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겨드랑동맥 분지양상에 대한 해부학 연구와 임상 적용

        양기욱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겨드랑동맥은 세 구획과 여섯 개의 분지로 구성되어있다. 겨드랑동맥 분지의 형태와 변형은 임상의에게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아직 이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여 본 연구에서 겨드랑동맥의 분지 형태와 변이를 연구하였다. 30구의 기증된 시신에서 59쪽의 상지에서 겨드랑동맥의 형태를 연구하였다. 위가슴동맥 (STA)은 겨드랑동맥의 첫 번째 구획에 위치하였다. 가슴어깨동맥 (TAA)과 바깥가슴동맥 (LTA)은 두 번째 구획에 위치하였고, 어깨밑동맥(SSA), 앞위팔휘돌이동맥 (AHCA), 뒤위팔휘돌이동맥 (PHCA)은 세 번째 구획에 위치하였다. 각 분지의 길이가 겨드랑동맥 시작점을 기준으로 하여 측정되었고, 분지와 구획 간의 통계적 연관성이 평가되었다. 겨드랑동맥의 평균 길이는 112.50 mm이었고, 이 길이를 기준선으로 정의하였다. 이 기준선을 기준으로 제 1, 제 2 및 제 3 구획은 각각 37.56%, 39% 및 30.05%에 위치하였다. STA는 25.11%에 위치하였다. TAA와 LTA는 각각 42.67 %와 54.82 %에 위치하였다. SSA, ACHA, PCHA는 각각 64.72%, 83.89% 및 84.53%에 위치하였다. LTA의 위치와 SSA 및 AHCA의 위치는 각각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리고 AHCA와 PHCA 사이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겨드랑동맥의 형태는 가지의 수가 3개부터 9개까지 관찰되었다. 가장 빈번한 형태는 LTA와 SSA가 한 곳에서 분지가 된 형태였고 (22/59), AHCA와 PHCA가 같이 분지된 형태는 59쪽 중 19쪽에서 관찰되었다. 앞의 두 가지 형태가 12쪽에서는 동시에 관찰되었다. TAA와 LTA가 함께 분지한 것은 9쪽에서 발견할 수 있었고, SSA, AHCA와 PHCA가 2쪽에서 함께 분지 되었다. 겨드랑동맥의 분지형태나 변이에 관한 이번 연구 결과가 임상의에게 수술이나 시술 시 유용한 정보가 되고자 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branching patterns and variations of the axillary artery. The length of the branching points of the axillary artery from the rib was compared with respect to the average length of the axillary artery. Based on the average length of the axillary artery, the length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parts was analyzed. The origin of the lateral thoracic artery (LTA) was correlated with that of the subscapular artery (SSA) and the anterior humeral circumflex artery (AHCA).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HCA and the posterior humeral circumflex artery (PCHA). The branches were 3–6 in number and 9 branching patterns. The most frequent branching pattern was a common origin of LTA and SSA (22/59). ACHA and PCHA originated together in 19 cases, and both patterns were combined in 12 cases. The thoracoacromial artery (TAA) and LTA branched together in 9 cases, and a common trunk for SSA, ACHA, and PCHA was found in 2 cases. The branching patterns and variations of the axillary artery are useful for surgeons and clinicians for accurate diagnostic interpretation and graft surgery.

      • 무릎동맥 분지양상의 해부학적 연구와 임상 적용 : Anatomical Study of the Genicular Artery Branching Patterns and Its Clinical Applications

        양기욱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total knee arthroplasty for older patients is increasingly recognized as a standard treatment option, and the number of these surgeries has increased substantially. Although the vascular complications in total knee arthroplasty occur continually, precise studies are scarce. In this study, a cadaveric study of the genicular artery was performed. The atypical branching patterns of the genicular artery were 23.81%. The branching patterns of the genicular artery were classified into five types. The superior lateral and medial genicular arteries were located at + 38.17 ± 3.10 mm and + 32.68 ± 3.83 mm, the middle genicular artery was located at + 7.57 ± 3.98 mm and the inferior lateral and medial genicular arteries were located at - 18.46 ± 2.63 mm and - 24.09 ± 3.52 mm. When the middle genicular artery was combined with the other genicular arteries, the superior lateral genicular artery was located at + 23.77 ± 6.61 mm and branched separately, + 42.82 ± 3.13 mm. In addition, the middle genicular artery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inferior medial genicular artery and the inferior lateral genicular artery, respectively. Its embryological mechanism and effect should be confirmed with larger cases. In this study, the topography of the genicular artery and its anatomical association were demonstrat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n. Knowledge of the topography of frequent variation would be useful for safe surgery and clinical procedures. Moreover this data encourages further development of this concept of variation study. 무릎수술을 진행하는 외과의사에게 주변 구조물들을 얼마나 잘 보존을 하였는가는 상당히 중요한 문제이다. 이것은 환자의 수술 후 예후나 합병증과 바로 관련된 문제이기 때문이다. 무릎수술 중 하나인 무릎관절 전치환술은 한국에서 최근 10년 사이 4배정도 증가하였지만 무릎 주변의 혈관의 변이나 위치 관계에 관한 해부학적 연구는 아직까지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무릎에 혈액을 공급하는 동맥의 위치와 그에 따른 상관관계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무릎 동맥은 총 6가지로 안쪽위무릎동맥, 가쪽위무릎동맥, 중간무릎동맥, 안쪽아래무릎동맥, 가쪽아래무릎동맥, 내림무릎동맥으로 구성되어있는데 저자는 이들 중 내림무릎동맥을 제외한 나머지 5가지 동맥의 해부학적 위치와 동맥 분지들 간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시신 22구, 총 42쪽에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무릎의 중심을 기준으로 안쪽위무릎동맥은 + 32.68 ± 3.83 mm, 가쪽위무릎동맥은 + 38.17 ± 3.10 mm, 중간무릎동맥은 + 7.57 ± 3.98 mm, 안쪽아래무릎동맥은 - 24.09 ± 3.52 mm, 그리고 가쪽아래무릎동맥은 - 18.46 ± 2.63 mm에 위치하였다. 가쪽위무릎동맥이 단독으로 분지된 경우에 + 42.82 ± 3.13 mm에서 분지되었고 다른 동맥과 함께 분지된 경우에는 + 23.77 ± 6.61 mm에 위치하여 동맥의 분지양상에 따라 위치 차이가 존재하였다. 중간무릎동맥은 안쪽아래무릎동맥, 그리고 가쪽아래무릎동맥과 상관관계가 각각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외과의사들에게 동맥의 위치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보다 안전한 수술과 시술을 시행 할 수 있다고 생각되고, 변이에 관한 연구 발전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 필러의 크기제어 및 표면개질을 통한 LED용 열전도 복합소재의 열적특성 향상 연구

        양기욱 세종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전자기기 소자의 소형화, 고성능화에 따라 직접회로의 고집척화와 전력의 대용량화로 개발되는 추세이지만, 그로인한 발열량이 상승하게 되고, 이는 기기의 수명과 신뢰도에 밀접한 연관이 있다. TV, 컴퓨터, LED, 네비게이션, 모니터, 노트북, 휴대폰 등 다양한 제품군의 기판에서 발열이 일어나고 그로 인한 수명과 신뢰도가 낮아지게 된다. 특히 LED는 반영구적이고 에너지 소비 또한 형광등에 비해 낮아서 LED 수요는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하지만 LED의 총 에너지 중 20%가량이 열에너지로 빠지게 된다. 이러한 발열을 10℃만 낮출 수 있다면 LED의 수명은 배 이상으로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발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열원에 방열판을 부착을 하는 방법이 있으나 열원과 방열판 사이의 접촉 표면이 고르지 못하여, 긴밀한 접촉을 하지 못한다. 그로인해 공기층이 생성되고, 이러한 공기층은 열전도도가 매우 낮아 열의 이동을 방해하는 주요 원인이 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열원과 방열판 사이의 접촉 표면에 고열전도 재료 (TIM: thermal interface material)를 주입하여 접촉면적을 증가시키고 방열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열전도성이 높고 열 안정성이 우수한 실리콘오일을 기반으로 한 TIM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우선 필러의 크기제어를 통한 충진률을 증가시키고, 필러의 표면개질과 혼성화 공정을 통해 충진률 향상 및 열전도 경로를 증가시킬 수 있는 LED용 방열 그리스를 제조 하였다. Horse’s packing model을 사용하여 필러크기에 따른 최대 충진률을 구할 수 있었다. 실란 커플링제를 사용하여 alumina, aluminium nitride, boron nitride 분말의 표면을 개질하였다. 또한 alumina와 aluminium nitride, alumina와 boron nitride을 각각 결합시키는 혼성화 공정을 통해 충진률을 증가시키고 열전도 경로를 형성시켰다. 2가지의 실험 설계를 통하여 고분자 복합소재의 열 안정성 및 열 전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