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보도사진에 의한 초상권 침해 유형에 관한 연구

        안희정 동아대학교 1997 국내석사

        RANK : 247647

        In modern society the freedom of the press is concerned with the protection of the basic rights of privacy and journal photos which derive from two points. One is that mass media have two contrary functions : their public role and the pursuit of profit, The other is that the personal information is revealed due to the rapid growth of information and technologies. In this respect the most ideal proposition is to guarantee two rights simultaneously through harmony between the two, but in fact, freedom of the press is sacrificed in order to respect the individual photographic rights can be violated in order to protect the freedom of the press. These two are contradictory and it is not so easy as to establish harmony between the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ake measures to protect the right of photos and to correct photographic invasions of privacy in order to raise the social status and reliability of the press. This study, in this respect, tries to study the concept of the right to publish photos and to investigate their juridical bases in some countries. And this study classifies examples of photographic invasions of privacy into five types and analyzes them to get a meaningful result. Finally this research examines aspects of ethics when reporting photography, law, and the individual. In conclusion, some important points are made as follows : First, it is thought that if all press organizations make efforts to promote the autonomous regulation system for prevention of invasion of privacy by the press photography and for recovering the injured party's right, the conflicts with him or her can be resolved and his or her right can be protected. This system will greatly contribute to raise the reliability of the press. Second, the Press Arbitration Commission should see to it that someone is held responsible for cases of invading other's photographic rights of privacy and imputing his or her fault to others by making the most of the right of arbitration valid since in July 1996. Third, it is possible for an applicant to recover his or her loss or suffering if he or she determines never to step back and that he or she will take the matter to court until his or her own right will be protected. Fourth, if the case is decided in favor of the applicant according to the law, when the suit will be started to collect damages for his or her sufferings or the right of reply will be requested perhaps report violation of one's right will be surely decreased. Thus this is most effective way to recover the autonomy of the press. The purpose of this control is to protect the civil photographic rights and freedom of the press, which are contrary, and to harmonize the two, and so the press should make efforts to report only the true and accurate news. Although they cannot verify the news is true, in case that they report it with the belief of the probability that it is true, it is true, it is desirable that the responsibility of the press be waived. This study dealing with the problem whether balance and invasion on photo-graphic right of privacy when reporting photography will be given to the photo- graphic right of privacy or the freedom of the press, puts a weight on the civil photographic rights. However, this photographic right of privacy can not be unconditional, and so we must find out the right path to mutual complement and to harmonize the two reciprocally.

      • 제 7차 교육과정 중학교 수학교과서에 실린 문장제 문제의 분석 : ­8-가 단계 부등식 단원을 중심으로

        안희정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논문은 제 7차 교육과정에서의 8-가 부등식 단원의 문장제 문제를 다음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첫째, 7차 교육과정 교과서별 부등식 단원의 문장제 문제들은 소재별로 어떠한 분포를 보이며 어떠한 부분이 부족한가? 둘째, 7차 교육과정 교과서별 부등식 단원의 문장제 문제 중 실생활과 연계된 소재의 문제는 얼마나 되며 어떠한 실생활 상황과 연계되어 있는가? 셋째, 7차 교육과정 교과서별 부등식 단원의 문장제 문제 중 타교과와 연계된 소재의 문제는 얼마나 되며 어떠한 교과와 연계되어 있는가? 위와 같은 관점에서 현행 16종 교과서에 수록된 내용을 소재별로 분석하였고, 실생활 관련, 타교과 연계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상에서 연구한 결과, 다양한 소재를 포함하지 못하고, 다양한 타교과와 연계되지 못한 교과서가 많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학생들의 창의성을 증진시키고 수학의 실용성을 이해시키기 위해 다양한 실생활 소재와 타교과 연계가 필요하다.

      • TV 음식프로그램 품질이 시청만족도와 재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

        안희정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V 음식프로그램은 일반 시청자에게 적절한 정보와 먹거리를 제공하고, 여가 생활로 자리매김 함으로써 이 시대의 주요한 관심사 이자 중요한 시장으로 성장했다. 본 연구는 TV 음식프로그램 품질(진행자, 시청자참여, 영상화면, 정보제공)이 시청만족도와 재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고 그 연구결과에 대하여 TV 음식프로그램 품질이 궁극적으로 시청만족도와 재시청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이 분류 하였다. 첫째, 음식관련 연구방법을 통해 TV 음식프로그램 품질(진행자, 시청자참여, 영상화면, 정보제공), 시청만족도, 재시청의도에 관한 이론을 연구하였다. 둘째, 제안된 연구 모형의 검증을 통해 실증적 연구모형의 적합함을 검사하고, 변수간 구체적인 인과 관계를 파악하였다. 셋째, TV 음식프로그램 생산 계획의 방향성과 관계의 수준에 대한 해결 과제를 모색해 성과를 발휘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체계적인 기본 자료를 제시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TV 음식프로그램 품질의 경쟁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실증적 연구(Empirical Research)와 문헌적 연구(Documentary Study)를 병행하고 탐색적 연구(Exploratory Research)로서 기본 자료를 제시하였다. 조사 대상으로 TV 음식프로그램을 3회 이상 시청한 시청자를 설문조사 하였다. 본 조사의 설문지는 조사 목적과 인사말을 포함 하였으며, 구체적 설문내용은 앞에서 논의된 이론적 배경을 통하여 추출된 연구변수들이 5개 영역으로 설계되었다. ① TV음식프로그램 특성이용에 관한 문항 9개, ② TV음식프로그램 품질에 관한 문항 16개, ③ 시청만족도에 관한 문항 5개, ④ 재시청의도에 관한 문항 4개, ⑤ 일반적인 조사대상자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6문항 등 총 40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데이터수정 과정을 거쳐 SPSS 2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와 같은 과정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설문 대상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기초 자료를 파악하고자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둘째, 각 변수들의 요인을 추출하기 위해 신뢰도 검증을 통하여 신뢰도 계수인 Cronbach's α값을 분석하여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셋째, 효율성 검증을 위해 측정 항목에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넷째, 상관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각 변수간(잠재변수 및 측정변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가설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TV음식프로그램 품질 요인 중 ‘진행자’, ‘시청자참여’, ‘영상화면’이 ‘시청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보제공’ 요인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청만족도가 재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청만족도’ 요인을 독립변수로, ‘재시청의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단순 회귀분석을 실시한 분석결과, ‘시청만족도’가 ‘재시청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TV음식프로그램 품질이 시청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진행자’, ‘시청자참여’, ‘영상화면’, ‘정보제공’ 요인을 독립변수로, ‘재시청의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다중 회귀분석을 분석한 결과, TV음식프로그램 품질 요인 중 ‘진행자’, ‘시청자참여’, ‘정보제공’이 ‘재시청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V 음식프로그램을 통해 가족간의 유대감이 시청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므로 가족 구성원 모두에게 무난한 식단 제공으로 수용의 빈도가 늘어날 수 있도록 노력해야하며, TV 음식프로그램 정보는 가정의 식생활과 밀접한 연관이 있으므로 프로그램 제작자가 이를 수용하여 제작 시 고려되어 보다 나은 TV 음식프로그램으로 발전 시켜야 할 것이다. TV food program has been grown to major interest and market in this generation by providing proper information and foods to normal viewer, and becoming to leisure life. The research will study about the quality of TV food program can affect ton watching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watch. The purposes of research are divided by the following effect. First, Through the method of research about foods, I studied the theory about the quality of TV food program(MC, viewer participation, video, information providing), watching satisfaction, intention to rewatch Second, Through verification of the proposed research model tested the suitability of an empirical study model and identified specific causal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Third, Sought solutions to the level of direction and relationship of production plan of the TV food program to achieve results and present systematic basic data. the research suggest a plan to have a compatibility of TV food program, combine Empirical Research and Documentary study, and suggest Exploratory Research as a basic data. Viewers watched TV food program more than 3 times are the survey target. A questionnaire include investigating purpose and greeting message, specific contents of survey are made of 5 sections by research variations of theoretical background at forth. It consists of ①9 questions on TV food program characteristics, ②16 questions on quality of TV food programs, ③ 5 questions on viewing satisfaction level, ④4 questions on intention to rewatch, ⑤ 6 questions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general survey subjec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data modification process using the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First, frequency analysis and technical statistics were conducted to identif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basic data of the survey participants. Second, to extract the factors of each parameter, the reliability factor Cronbach's α was analyzed to confirm the reliability. Thir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efficiency of the measured items. Fifth, Regressia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research. The results of hypothesis testing are as follows. First, 3 factors of TV food program quality factors are directly proportional to ‘ watching satisfaction (MC, viewer participation, video), ’information providing’ is turned out to be irrelevant. Second, to comprehend an effect of watching satisfaction to intention to rewatch, the consequence of simple regression analysis that ‘watching satisfaction’ as independent variable and ‘intention to rewatch’ as dependent variable program ‘watching satisfaction’ is directly proportional to ‘intention to rewatch’. Third, to comprehend and effect of TV food program quality on watching satisfaction, the consequence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at ‘MC’, ‘viewer participation’, ‘providing information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intention to rewatch’ as dependent variable program 3 factors of quality(‘MC’,‘viewer participation’, ‘providing information’ are directly proportional to ‘intention to rewatch’. Because Family fellowship through the TV food program is high at ‘watching satisfaction’, we need to provide a normal meal to increase accommodate frequency. And, as TV food program’s information is highly related with family’s food life, Producer should to accommodate this and make a better TV food program.

      • L. v. Beethoven 후기 피아노 소나타 특성에 관한 고찰 : Sonata Op. 109를 중심으로(an emphasis on Sonata Op.109. No.30)

        安嬉晶 대구가톨릭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Ludwig van Beethoven(1770~1827) is the greatest composer, as the last master of classical music period, who makes the direction to romantic music period successive to Franz Joseph Haydn(1732~1809) and Wolfgang Amadeus Mozart(1756~1791) from the latter 18 century and the early 19 century. Through the study of Beethoven`s Sonata Op.109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are derived. Those are the trends derived from both Classic and Romantic epements. In the first movement, the sonata from brings up the romantic mood of fantasy, and the two different themes used with dissimilar tempo and time. The second movement has sonata form and atmosphere of the first movement is diverted by prestissimo, the first theme of the second movement, and the development of Scherzo makes it active and advanced. In the third movement, it consists of variation form with themes and six variation and each variation is expressed by the lovely melody of theme and various change of tempo. In the aspect of rhythm, the sixteenth note is continued freely in the theme`s rhythm and the structure is expressed in a stem without division of high part and low part, In the second movement, the exposition of the fist theme`s rhythm is shown over the music and the third movement is subdivided variously like variation. The harmony is specialized with free transition of secondary dominant chord of seventh and diminished chord and Bass sound is prominent with chromatic motion. Especially, in the third movement, the eighteen note is accentuated to the sixteenth note and the thirty-second note and maker brilliant climax by broken chord of right hand on the trill of Bass, changing to Alto, and the eighteenth tone leaves trailing on the continuous trill, The finish seems to recollect past and feels calm and easy by reappearance of calm and lyrical theme. The long trill here expresses magnificence as an attempt for mew sound effects. As mentioned above, the great store of his imagination and passionate idea add adaptability to existing form and achieve climax. Sonata op.109 of Beethoven is the eminent music which can display his individuality and romantic atmosphere fantastically.

      • 한국 근대 자화상 연구

        안희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동아시아의 근대 회화는 서양화의 유입 속에서 人間像을 상위에 두는 서양식 장르 위계를 따르게 되면서 실내나 야외를 배경으로 하는 좌상이나 입상, 누드와 함께 자화상을 많이 제작하였다. 이런 인물화들은 전람회를 통해 공공에 개방되면서 서양화에 대한 인지도를 높였는데, 특히 자화상은 근대적인 미술교육기관인 東京美術學校 西洋畵科에서 졸업제작이라는 제도의 하나로 채택하면서 부각되었다. 그러나 자화상은 화가의 초상일 뿐만 아니라 거울을 통해 자신을 관찰하여 캔버스에 재현하는 작업과정이 반영되는 장르이기도 하다. 따라서 서양미술사에서 개성적이고 창조적인 예술가로 변화해 가는 화가의 의식과 사회적 위상이 반영되는 지표로 주목되어 왔다. 한국 근대 자화상은 이와 같이 근대기 洋畵家들의 달라진 사회적 위상과 의식을 반영했다는 측면에서 주목되어야 한다. 최초의 東京美術學校 西洋畵科 졸업생인 高犧東을 '미술계의 선구'로 대서특필한 것에서 보듯 양화가는 서구 미술의 유입으로 재편된 미술계에서 선두적인 역할을 맡게 되었다. 이는 근대 초기 일본에서 '서양화'가 '일본화'와 상대적인 개념으로 성립되어 근대화와 국제화를 진행하는 일본에 있어 배워야 하는 대상이고 전제가 될만한 가치기준이라는 인식이 식민지 조선에도 파급되었기 때문이다. '미술가'라는 용어는 이런 새로운 범주의 '미술'의 제작자를 지칭할 뿐만 아니라 '환쟁이(畵工)'라는 '쟁이(工)'에서 서구의 '예술가'(artist)로 "昇格"되어 가는 근대화가들의 인식 변모를 대변하고 있다. 근대 이전의 미술 제작은 향유, 창작과 비평 등 회화 활동의 전반에 걸쳐 관여하여 당대 회화의 성격 형성과 전개를 주도하던 사대부 문인과 채색 위주의 실용물이나 원체풍의 공적 감상물의 제작을 담당했던 직업화가에 의한 차등적인 이원 구조로 진행되었다. 본 논문의 주제인 한국 근대 자화상에는 고희동을 필두로 한 양화가들이 전통시대의 화가들과 달리 개성에 기초한 개인으로서의 자기 표현을 중시하는 '미술가(예술가)'로 진전해 가는 양상이 반영되어 있다. 현존하는 근대 자화상들은 다음과 같이 세 단계로 그 흐름을 파악할 수 있다. 제1기(1915-1920년대 중반)의 자화상들은 형식이나 모티프, 표정에서 기념이나 기록의 성격이 강하여 복식에서는 전통 시대의 사대부들이 입던 옷이나 단정한 양복이 주류를 이루었다. 이는 미술가에게 창작자보다는 계몽 지식인으로서의 역할이 강조된 근대초기의 양상이 반영되었기 때문이다. 제2기(1920년대 중후반-1930년대 중반)는 畵業과 관련된 소품이 주로 등장하고 얼굴의 표정 등으로 표현이 집중된다. 특히 반 고흐 등 서양의 천재적인 작가의 자화상에서 형식이나 소품, 화풍을 차용하는 양상이 두드러지는데, 이는 모자나 담배라는 모티프에 담긴 상징성을 차용하여 새로운 藝術家像을 표출하고자 하였기 때문이다. 천재적인 서구 화가를 典據로 하여 외형뿐만 아니라 생활 방식, 작화 태도를 모방함으로써 새로운 作家像에 대한 염원을 드러낸 것이다. 그러나 이 시기의 자화상은 서구의 자화상 형식이나 모티프 차용에 그치면서 '자아의식' 표현하는 단계에 이르지는 못하였다. 자화상을 통해 작가의 자아의식을 표출하는 것은 제3기(1930년대 중후반-1950년대)에 들어서야 보이는데, 이쾌대, 배운성, 이인성 등의 작가들이 자화상 연작을 통해 자신의 독특한 창작세계를 반증하고 있다. 이렇게 신분에서 '자아의식'의 표출로 옮겨가는 한국 근대 자화상의 전개 양상은 서양과 일본의 근대 자화상과 일치한다. 화가라는 직업의 사회적 위상을 드러내는데 집중되다가 내면이나 심리 표출이라는 '자아의식' 영역으로 이동하여 작가의 개성 표출에 주목하는 경향을 공유하고 있다. 자화상이 추구하는 '자아 의식'과 내면의 표출이라는 '근대적'인 성격은 미술뿐만 아니라 근대 문학에서도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즉 가라타니 고진이 지적한 대로 '고백의 형식과 내면의 전도현상'을 한국 근대 자화상에서도 볼 수 있다.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visual self-representation of some Korean modern painters as embodied in their self-portraits. I argue that the Korean modern self-portraits projected the aspirations of their creator, the Korean modern painters for a change in the status of art and hence in their own personal social standing. At the time of being modernized and westernized, the western self-portraiture was introduced into Japan and Korea along with the another figure paintings such as nude painting and the women portrait in domestic place. The self-portraiture became spread by the new Western art school, the Tokyo School of Fine Arts in Japan. When the Western painting division was inaugurated in 1896 at that school, its curriculum required the students to produce a self-portrait along with graduation work in their fourth year. The first self-portrait in oil painting in Korea was made by Ko Hei Tong, the first Korean western style painter and first Korean student of that school in 1915. From that on, the self-portraits seem to have been increasingly regarded as training grounds for the Western painters in Korea. The modern Korean self-portraits show different characteristics through the times. Few of the self-portraits produced during the early years display originality in pose or technique. Those self-portraits seem to have had function as a record or a memorial. From the mid 1920s many self-portraits followed the examples of the Post-impressionist Van Gogh, Ce´zanne who produced many self-portraits as a sign of their introspective attitude. They appropriated the motifs such as pallette and canvas, hat or pipe from that self-portraits. From the late 1930s the self-portraits began to serve as a positive form of self-expression. Some modern painters show their own personality in their self-portraits. The development of the modern Korean self-portraits bears visual witness to their struggle for social acceptance and self-awareness as artist. The painting occupation had been evaluated socially on the basis of its proximity to physical labor(賤技, 雜技) and the painting makers as a 'artisan'(畵工) with a concomitantly low standing in society. There was a considerable change in the definitions of art and those specialize in art during the modern times.

      • 빅데이터 도입을 위한 데이터 품질관리의 경영성과 연구 : - 기업의 데이터 품질관리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

        안희정 국민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offer the importance of data quality management to the corporation’s managers who want to enhance their value of business through adopting big data and suggest that focusing on successful factors of data quality management can solve one of the challenges of big data. Since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there has been a quantitative expansion of data and developed technologies to process these gigantic, atypical data as well. Therefore, the number of corporations that want to adopt big data is increasing because successful data analysis can increase their competitiveness in the market. While the former researches on big data mostly dealt with the technological issues of big data and discussed on its potential value, the quality issues of big data was mostly neglected. However, increasing number of researches has brought up quality issues of big data these days as one of the challenges that one needs to address. Also, they also point out that there is a limit to obtain useful analysis results by using data that have been acquired from outside resources. There are also opinions that simply adopting the latest technologies or techniques is not the starting point of applying big data when we observe the fact that a lot of enterprises do not thoroughly analyze the existing data within the company. The writer also agrees with this opinion. Therefore, this research tries to explore the positive factors of successfully managing the enterprises’ data quality, which could be considered as the foundation of big data analysis and verifies the hypothesis that as the data quality management promotes data utilization for better business management and tactical decision-making, it brings positive effects on customer orientation and business performance. If the quality management of the data within the company affects the business performance positively, then one can assume that big data quality management will bring significant consequences in business performance. For this reason, different references about big data, data quality management, and business quality management have been researched. In addition, a research model has been investigated and analyzed through a survey to those managers and users who have some experience on processing information data and who understand the concept of data quality. The following paragraphs sum up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First, the causes that impact the data quality management have been researched. From the influential factors of data quality management such as data quality management recognition, management-level support, and management environment, data quality management recognition and management environment showed positive effects on data structure design management and database management while the hypothesis that data utilization management will give positive effects was dismissed. On the other hand, because the management-level support also showed positive effects on data utilization management, we can conclude that management-level support gives positive impacts on all of the data quality management activities. Regardless of the different data quality management types, overall, the management-level support showed the highest influential factor on data quality management, followed by data quality management recognition and business environment. Second, the observation on whether the data quality management promotes the use of data or not was made. Database management and data utilization management showed positive effects on data usage level but data structure design management did not show notable effect. This is because the quality of data structure design is more related with dealing with the efficiency of information system management rather than users’ convenience and accessibility. There is a direct relation between database management that provides stable data that the users need within the given time or data utilization management that directly conducts measuring data errors for improvement, and the increase of users’ data utilization level. Third, analysis on the effects of the data utilization level on non-financial business performance was made. The data utilization level showed positive results for customer-orientation, which also led to positive effects on the business performance. In addition, data utilization level positively affected the business performance directly even without mediating the customer-orientation factor. However, when breaking the down the correlation between them, data utilization level also had indirect effect to the business performance when the customer-orientation factor was included. Fourth, three different industries, manufacturing, finance and telco, and others have been categorized. The writer observed that different industries did not have any moderating effects on the research model. To analyze the cause for this reason, I have compared three different groups by conducting One Way ANOVA analysis. As a result, there was no difference in data quality management recognition among the groups but the other five variables such as; management class support, management environment, data structure design management, data utilization management, and business performance, al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inance and telco industry and other industry groups. Data utilization level does not show notable difference among the industries because the survey items reveal that, generally, most of the industries stay at the level where they use their data directly with the business process and their data has not been analyzed thoroughly enough to affect their decision-making process. Lastly, through this research, I want to emphasis to those readers and business managers who are considering in adopting big data that rather than expecting positive features of big data by simply acquiring the external resource data like social data and investing on new technologies, they should examine their current data quality management system within the enterprise. Also, I suggest that if they prepare themselves to overcome current data quality issues, consequently, it will help them to effectively adopt and be able to manage big data successfully. 본 연구의 목적은 빅데이터 도입을 통해 비즈니스 가치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기업의 경영자들에게 데이터 품질관리의 가치를 전달하고 데이터 품질관리의 성공 요인에 집중하는 것이 빅데이터 도전과제의 하나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임을 제시하고자 한다. 정보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데이터의 양적 팽창이 이루어지고 대용량, 비정형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하는 기술도 병행해서 발전함에 따라 데이터 분석을 통해 경쟁력을 향상시키고자 빅데이터 도입을 고려하는 기업들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빅데이터에 관한 연구들은 기술적 이슈와 잠재 가치에 대한 논의는 활발한 반면 빅데이터의 품질에 대한 논의는 부족했는데, 최근에는 빅데이터를 도입하면서 몇 가지 해결해야 할 도전과제의 하나로 데이터 품질 이슈를 제기하고 있는 연구들을 찾아 볼 수 있다. 또한, 외부에서 확보한 데이터만 가지고 유용한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는 사실을 제시하고 있다. 아직 기존에 보유한 내부 데이터의 분석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기업들이 많은 현실을 고려할 때 최신 기술이나 기법의 도입만이 빅데이터의 출발점이라 할 수 없을 것이라는 견해들이 있으며 연구자도 이에 동의하는 바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 분석의 근간이라 할 수 있는 기업 내부 데이터의 품질관리 활동을 성공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영향요인이 무엇이며, 데이터 품질관리 활동이 업무 운영과 전략적 의사결정을 위한 데이터 활용을 촉진함으로써 고객지향성과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가설을 설정하고 검증하였다. 기업 내부 데이터에 대한 품질관리 활동이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준다면 앞으로 빅데이터에 대한 품질관리 활동은 경영성과에 더 큰 영향력을 미칠 것이라는 판단에 기인한 것이다. 이를 위해 빅데이터와 데이터 품질관리, 품질경영에 대한 문헌 연구를 수행하였고, 정보시스템 데이터 처리 또는 사용에 대한 경험이 있고 데이터 품질 개념에 대해 이해도를 가진 운영자 및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연구모형을 검증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데이터 품질관리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해 연구를 하였다. 데이터 품질관리 영향요인으로 설정한 데이터 품질관리 인식, 경영층 지원, 경영환경 중 데이터 품질관리 인식과 경영환경은 데이터 구조설계 관리와 데이터베이스 관리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데이터 활용 관리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은 기각이 되었다. 반면에 경영층 지원은 데이터 활용 관리에도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경영층 지원은 모든 데이터 품질관리 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품질관리 활동 유형에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데이터 품질관리 영향요인은 경영층 지원, 데이터 품질관리 인식, 경영환경 순으로 영향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데이터 품질관리 활동이 데이터 활용을 촉진시키는지 살펴보았는데 데이터베이스 관리와 데이터 활용 관리는 데이터 활용 수준에 정(+)의 영향을 주었으나, 데이터 구조설계 관리는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데이터 구조설계 품질은 사용자의 편의성, 접근성 보다는 정보시스템의 운영 효율성 측면과 연관성이 더 높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안정적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 내에 데이터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활동이나 직접적으로 데이터 오류에 대한 측정 및 개선활동을 수행하는 데이터 활용 관리가 사용자들의 데이터 활용 수준 향상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데이터 활용 수준이 비재무적 경영성과에 영향을 주는지 분석 하였다. 데이터 활용 수준은 고객지향성에 정(+)의 영향을, 고객지향성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데이터 활용 수준은 고객지향성을 매개로 하지 않더라도 경영성과에 직접적으로도 정(+)의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상관관계 분해를 통해 데이터 활용 수준이 고객지향성을 매개로 하여 경영성과에 영향을 주는 간접효과도 있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제조, 금융ㆍ통신, 기타 3가지 산업분류로 구분하여 산업분류가 연구모형에 조절 효과가 있는지 추가적으로 살펴보았으나, 유의성이 없었다. 그 원인을 파악하고자 One Way ANOVA 분석을 수행하여 3개 집단별 비교를 해보았다. 그 결과, 데이터 품질관리 인식은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경영층 지원, 경영환경, 데이터 구조설계 관리, 데이터 활용 관리, 경영성과 5개 변수에 대해서는 금융ㆍ통신 산업과 기타 산업 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산업간 데이터 활용 수준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는데 설문항목에 대한 내용을 살펴본 결과 일반적으로 데이터를 업무처리에 직접적으로 활용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분석과 의사결정에 데이터를 충분히 활용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데이터 활용 수준이 산업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를 통해 빅데이터 도입을 고려하고 있거나 도입 중에 있는 기업의 경영자들에게 소셜 데이터와 같은 외부 데이터 확보와 신기술 투자만으로 빅데이터의 달콤한 열매를 기대하는 오류를 경계하고, 현재 기업의 데이터 품질관리 체계를 점검하고 데이터 품질 이슈를 극복하기 위해 준비한다면 빅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도입하고 운영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중학교의 교무분장 재설계에 관한 연구

        안희정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중학교 교무분장 조직의 재설계를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지역 5개 중학교의 교무분장 조직의 차이점을 조사하고, 학교조직 구조 설계요인에 따라 중학교 교무분장 조직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동일 5개 중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259명에 대해 설문지 조사를 하여 교무 분장 업무특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후, 중학교의 교무분장 조직을 재설계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는 t 검증과 one-way ANOVA (일원변량분석), Scheffe 검증을 통해 통계처리 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각급학교의 교과교육부는 교과의 업무를 주업무로 하지만, 다른 행정업무를 분산시켜 부서업무로 운영하였다. 또, 학년부는 부장만이 있는 그 효율성이 낮게 운영되고 있었다. 둘째, 학교조직 구조는 과업의 수직적 분권화를 낮추기 위한 구조의 변화가 필요하다. 학교조직은 부서 부장의 역할과 책임을 강화하여 수직적, 수평적 분권화를 이루도록 해야한다. 그러기 위해 부서수를 축소하여 부장에게 권한을 위임하여 운영하도록 해야 하며, 기획의 역할을 확대하여 평교사로의 권한을 분산시켜 학교운영을 해야 한다. 또, 비정형화된 업무에 대해서 정형화된 부를 설치, 운영하는 것이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특정업무에 대해서 위원회와 메트릭스 조직으로 운영하여 좀더 학생 중심의 조직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설문조사 결과 학년부는 모든 영역에서 낮은 인식을 하였다. 이에 학년부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또, 직무의 중요성 인식면에서 연구부는 그 부서의 업무에 대한 중요성인식이 낮게 나타났으므로 그 업무에 대한 변화가 필요하다. 넷째, 위의 세가지를 정리하여 학교의 교무분장 업무조직을 재설계하면 다음과 같다. 학교의 교무분장 업무조직은 교무부, 교육정보부, 특별활동부, 각 학년부, 진로상담부, 행정부로 구성하고, 여기에 각 교과마다 위원회를 설치 운영하여 각 교과의 행사가 있을 때마다 운영하도록 한다. 연구부는 부서의 업무를 다른 부서인 교무부의 기획계로 이관시키도록 한다. 또, 생활지도부는 학생과의 밀접한 관계 형성을 위해 학년부로 이관시켜 운영하도록 한다. 즉, 교과교육부는 특정 교과에 대한 업무이고, 모든 교사는 각 교과에 대한 책임감을 가져야 하므로, 운영면에서 위원회와 같은 프로젝트 팀을 구성하도록 한다. 교무부는 기존의 업무를 수행하나, 기획계원들의 확대로 평교사의 권한 확대가 되도록 운영되어져야 한다. 각 학년부는 메트릭스 조직으로 운영하고, 각 학년의 학생생활지도, 학년 행사, 학년 교무업무 등을 주관하여 학생과 밀접한 구조를 형성하도록 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design education works divisions system in secondary school. For this purpose, the review of five secondary school education plannings, the analysis of related literatures in a point of school system structure design, and a survey with the same five secondary school 259 teachers were conducted. In data analysi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t-test, one-way ANOVA analysis and Scheffe-test were employed.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summarized as below: Firstly, each curriculum post of education works divisions performed other division'works and each grade post had only a head of parts without post members. Therefore, the efficiency of these posts was low. Secondly, in order to decrease a vertical decentralization, school system had to strengthen responsibility of head in each post. Moreover the school system had to reduce post number and strengthen planning post. And for nondefinite form works, school system had to organize committees and matrix system. Thirdly, as a result of the survey, each grade post needs to be active. Study post need to change because of less understanding about importance of works. Lastly, according to these three studies, redesigning of school education works divisions was as followed; School education works divisions system consisted of education administration post, education internet technology post, special activity post, each grade post, counseling post and school administration post. Each curriculum post was organized in committees. Study post works transferred control of planning part in education administration po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