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업사이클링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창의성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안찬양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업사이클링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창의성과 자기효능감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D구의 J어린이집과 S어린이집에 다니는 6, 7세 아동들 중 발달 및 정서에 문제없는 일반아동들로 이들 모두의 부모님들은 아동들이 연구 참여하는 것에 동의하였고 총 20명의 아동이 연구대상에 선정되었다. 두 군데의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실험을 해야 하는 상황에서 J어린이집과 S어린이집은 동질성이 확보되었다. 이에 J어린이집에 다니는 아동 10명이 실험집단에 S어린이집에 다니는 아동 10명이 통제집단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기간은 2019년 12월부터 2020년 2월까지이며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제외한 총 12회기 프로그램을 실험집단에게 주 1-2회, 70분씩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종합창의성검사와 자기효능감 검사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의 양적 분석은 SPSS 25.0의 대응표본 t-검증으로 하였으며 질적 분석은 집단미술치료 과정 중에 나타나는 아동들의 언어적 표현과 태도 및 행동을 2명의 보조치료사가 관찰하여 기록한 내용과 회기마다 녹화한 동영상을 근거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업사이클링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는 아동의 창의성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창의성의 4가지 하위요인인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상상력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둘째, 업사이클링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는 아동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자기효능감의 3가지 하위요인인 인지적, 신체적, 사회・정서적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셋째, 업사이클링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단계별 진행과정을 살펴본 결과 아동의 창의성과 자기효능감에 긍정적 변화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업사이클링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창의성과 자기효능감 향상에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추후 본 연구를 활용한 프로그램이 아동이 가진 잠재가능성을 개발시켜 삶의 과정에서 마음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유용한 예방적 차원의 미술치료적 접근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wanted to see if group art therapy using upcycling was effective in improving children's creativity and self-efficacy. Among children aged 6 and 7 who attend J Daycare Center and S Daycare Center in D-gu, Seoul,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ordinary children who had no problem with development and emotion, and all parents agreed that children would participate in the study and a total of 20 children were selected for the study. In a situation where experiments should be conducted on two daycare centers, the homogeneity of J and S daycare centers has been secured. As a result, 10 children attending J Daycare Center wer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0 children attending S Daycare Center were in the control group. The research period is from December 2019 to February 2020, and a total of 12 programs, excluding pre- and post-inspection, were conducted once or twice a week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70 minutes. The research tools used a comprehensive creativity test and a self-efficacy test. Quantitative analysis of research results was based on response sample t-verification of SPSS 25.0, and qualitative analysis was based on the verbal expressions, attitudes, and behaviors of children that appeared during the group art therapy process, and videos recorded by two assistant therapists at each s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group art therapy using upcycling was effective in improving children's creativity. I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in all areas of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and imagination, the four sub-factors of creativity. Second, group art therapy using upcycling has been effective in improving children's self-efficacy. I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in all areas of cognitive, physical, social and emotional, three sub-factors of self-efficacy.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progress of group art therapy programs using upcycling, there was a positive change in children's creativity and self-efficacy. Therefore, this study confirmed that group art therapy using upcycling is effective in improving children's creativity and self-efficacy. We hope that the program using this study will develop the potential of children so that it can be a useful preventive approach to maintaining the health of the mind in the course of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