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초등학생의 일상적 창의성과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긍정적 사고의 매개효과

        안아영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일상적 창의성, 긍정적 사고, 진로성숙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일상적 창의성과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긍정적 사고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397명을 대상으로 일상적 창의성, 긍정적 사고, 진로성숙도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SPSS 21.0 프로그램 및 SPSS Macro Process를 사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고, 매개효과는 bootstrap 방법을 통해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일상적 창의성, 긍정적 사고, 진로성숙도 간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각 변인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일상적 창의성은 긍정적 사고를 부분 매개하여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진로성숙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진로교육 및 상담 장면에서 일상적 창의성과 긍정적 사고를 장려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기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veryday creativity, positive thinking, and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find out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think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veryday creativity and career maturity. To this end, a questionnaire on everyday creativity, positive thinking, and career maturity was conducted with 397 students in the 5th and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s in Seou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and the SPSS Macro Process, and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through the bootstrap metho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veryday creativity, positive thinking, and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Second, it was found that everyday creativity has an effect on career maturity by partially mediating positive thinking.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effective to encourage everyday creativity and positive thinking in the scene of career education and counseling to improve career maturity. Finally,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 초등교사의 교육청 산하 미술영재교육원 수업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안아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가 공교육 산하의 미술영재교육원에서 미술영재를 가르치는 과정에서 무엇을 경험하며 그 의미는 무엇인지 탐색하는 데 있다. 이에 초등교사의 수업 경험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위해 개인의 이야기화(化)된 경험을 연속적이며 다양한 관계가 드러나는 구조와 틀을 통해 통합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내러티브 연구를 수행하였다. 2019년 7월부터 2019년 9월까지 현재 시도교육청 산하의 미술영재교육원에서 미술영재수업을 담당하고 있는 2명의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들의 미술영재교사로서 경험의 모습은 어떠한가? 김 교사의 내러티브는 ‘꿈꾸다’, ‘생각하지 않았던 길을 걷다’, ‘도전하다’ 그리고 ‘더 단단해지다’란 흐름으로 구성되었다. ‘꿈꾸다’에는 작은 도시에서 태어나 예술가를 꿈꾸던 어린 소녀가 경제적인 이유로 그 길을 포기하며 성장하는 과정이 담겨져 있다. ‘생각하지 않았던 길을 걷다’에는 가족의 부담을 덜기 위해 가장 안정적인 교직을 선택하며, 그 안에서 자신의 이상적인 미술 수업 실현을 위해 노력하나 한계를 경험하는 모습이 그려진다. 이어 ‘도전하다’에서는 자신의 미술적 역량 발휘를 위해 미술영재교사가 되고, 특별한 아이들을 만남으로서 다양한 도전을 시도하는 과정이 나타난다. 마지막으로 ‘더 단단해지다’는 미술영재수업에 있어 어떤 어려움을 경험하지만 그럼에도 더 나은 영재교사가 되기 위해 한 발 한 발 내딛는 김 교사의 모습을 그리고 있다. 박 교사의 내러티브는 ‘꿈꾸다’, ‘멈추어 서 있다’, ‘새로운 길을 찾다’ 그리고 ‘다시 꿈꾸다’란 흐름으로 구성되었다. ‘꿈꾸다’에는 예술가 집안에서 태어나 자유로운 그림을 그리기를 희망하던 소녀가 대학입시의 실패, 유학 시도의 좌절 그리고 아픔으로 남아있는 중등 기간제 교사 경험까지 많은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예술가의 꿈을 좇는 과정이 나타난다. ‘멈추어 서 있다’는 잠시 쉬어가기로 결심한 초등학교에서 그녀가 자신을 지켜주던 미술수업의 한계를 경험하고 점차 초등학교 일상에 매몰되어지는 모습이 그려진다. 이어지는 ‘새로운 길을 찾다’에서 일상에 권태감을 느끼던 박 교사가 우연한 기회에 초등미술영재교사가 되고 이에 환희를 느끼기도 동시에 한계를 느끼고 고민하는 과정이 드러난다. 마지막으로 ‘다시 꿈꾸다’는 작가의 길 대신 수업을 만드는 예술가로서 자신을 인정하고 다시 꿈을 꾸기 시작하는 박 교사의 모습이 담겨 있다. 둘째, 초등교사에게 미술영재수업경험은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가? 이와 관련하여 ‘교사, 해방되고 성장하다’, ‘수업 공간, 새로운 의미를 가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관계, 그 속에서 좌절하고 또 풍성해지다’란 세 가지 주제가 도출되었다. 첫 번째 주제와 관련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일반적인 초등교사들과 차별화된 이력을 지닌 연구 참여자들은 일반 미술수업에서 본인의 예술적 역량이 제한되는 경험을 한다. 그리고 초등미술영재수업의 구조적 특징은 이들 내러티브에서 드러나는 일반수업의 한계점을 보완하는 방향으로 해석되었다. 이에 이들은 미술영재수업을 자신의 예술적 역량이 펼칠 수 있는 탈출구로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은 자신의 미술영재교육전문성과 관련하여 ‘충분하지만 부족한 실력’이라는 모순된 모습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들은‘영재교육’에 있어 자신의 전문성 향상의 필요를 강하게 경험하고 있었으며 개인적 노력을 통해 이를 극복하고 성장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두 번째 주제와 관련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미술영재수업은 이들에게 자신의 과거경험이 재해석되어 드러나는 공간이자 자신의 작품으로서 수업이 이루어지는 공간으로서 의미를 가진다. 이들은 자신의 과거 경험을 바탕으로 미술영재수업의 방향성을 설정하고 이상적인 교사상을 그리고 있었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이 삶에서 수업아이디어를 얻고 끊임없는 성찰과정을 거쳐 자신만의 수업을 만들어내는 과정은 예술가의 창작과정과 흡사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은 수업을 자신의 노력의 산출물이자 창작 작품으로서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는 동시에 수업 개선을 위하여 자신의 수업을 공유하는데 주저하는 하나의 이유로 파악되었다. 마지막 주제와 관련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이들은 미술영재수업을 경험하면서 맺는 다양한 관계 속에서 고립되어 홀로 섬을 경험하기도 하고 주변의 인정 속에서 삶 속에서의 풍요로워짐을 경험하기도 한다. 미술영재수업을 계속하면서 어려움을 느끼는 이들은 주변에 영재교사지원시스템이 탐색하나 이에 부족함을 인식하게 된다. 그 과정에서 이들은 미술영재교육이 개개인의 교사 역량에만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음을 경험한다. 동시에 이들은 미술영재수업 속 맺어지는 관계 속에서 인정을 받고, 새로운 도전을 시작하게 됨으로써 교직생활 뿐만 아니라 개인적 삶에 풍요로워짐을 경험함을 알 수 있었다.

      • 화재 발생시 화재 시뮬레이션을 통한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위험지역 예측

        안아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콘크리트 구조체의 경우 화재에 노출되면 건물붕괴가 발생하거나 구조체의 성능이 눈에 띄게 감소하는 심각한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인화물의 면적, 종류, 건물의 형태, 화재 시간 등에 따라 구조체의 손상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성능의 감소 정도를 정확하게 평가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화재 발생에 따른 구조체의 결함과 피해 범위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화재로 인한 열의 분포를 정확하게 예측하여 실시간으로 구조체의 성능 저감을 고려하여 구조 안전성을 평가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화재 시뮬레이션 기법을 이용하여 화재에 의한 열적 분포, 고열에 의한 구조체의 영향을 평가하여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위험지역을 예측하였다. 화재 시뮬레이션을 통해 얻은 대기 온도를 적용하여 부재 내부의 온도를 파악하기 위해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고 이 온도에 근거하여 구조 성능 저하 정도를 파악하였다. 부재별 구조 성능 저하를 고려하여 실별 구조안전성을 평가하고, 이를 통해 얻은 화재에 따른 위험 지역을 판단하였다. 또한, 이 결과를 토대로 위험지역에 도달하는 시간을 도출하여 실시간 실별 구조 안전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프로그램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의 화재 시뮬레이션 모델은 인화물의 면적과 위치별 최대온도에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오피스 건물의 화재 성상인 fast와 medium의 경우는 시간에 따른 온도 분포가 유사하였다. 고열에 의한 구조성능 해석 결과, 인화물의 면적이 클수록 성능 저하 정도가 컸으며, 이를 통해 얻은 구조안전성 평가 결과 일정시간이 지나면 화재발생 장소의 인접 지역 모두가 위험 지역이 되었다. 앞서 수행한 결과를 토대로 제작된 구조안전성 예측 프로그램은 화재 발생시 실이 위험해 지는 시간이 표시되며 추가적으로 화재가 발생할 경우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어 시간이 표시된다. 본 논문에서 제작한 구조 안전성 예측 프로그램을 통해 화재 발생으로 인해 위험지역에 도달하는 시간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실제 화재시 구조 안전성에 미칠 수 있는 시간과 영향에 대해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에서 본 연구에서는 화재 발생 시간에 따라 부재의 성능 저하 정도를 파악하여 구조체의 위험지역 및 화재 후 위험지역 여부와 피해 정도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화재 후 구조물의 보수·보강 면적 및 범위를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다. When concrete structures are exposed to fire, building collapse can occur, or performance of the structure can noticeably decrease under fire. Also, it is difficult to verify decrease ratio due to various parameters such the area of inflammables, kind of inflammables, shape of building, fire time, etc. It is important to estimate fire effect and scale because of the defects of structure they can soon lead to casualties. In this study, safety of rooms are estimated using evaluating thermal distribution due to a fire by a fire simulation techniques and the effect of the structure by high temperature Structural degradation degree is evaluated using temperature derived from finite element analysis for determining the temperature of inside of member. Structural safety of rooms is evaluated considering the safety member by structural degradation, and the structurally deficient area is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the fire resulting from this evaluation. In addition, on the basis of the results, visual program is made for indicating the real-time structural safety of rooms. Fire simulation model of the this study showed a correlation between the maximum temperature in the area and the specific location, and time-temperature curve were similar temperature distribution in the case of fire growth phase of fast and medium. Structural performance due to high temperature analysis, the greater the area of the area of inflammables, the greater degradation of structural performance. After a certain time, all the adjacent areas of the fire place was a structurally deficient area. Structural safety prediction program mad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s time to be structurally deficient area. And, displayed time is updated in real time if fire is additionally occurred. Due to structural safety prediction program in this study, so that you can easily grasp the time to reach the structurally deficient area for a time it was to help identify the potential impact on the real fire and structural safety. In this study, the maintenance and reinforcement areas and scope of the structure after the fire can be easily determined. Because structurally deficient rooms and degree of damage can be estimated using degradation of structural performance in accordance with the fire time.

      • 문화유산 3차원(3D) 디지털 기록의 보존에 관한 연구

        안아영 부산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문화유산 분야에서 일찍이 문화유산을 보존·복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3차원(3D) 디지털 기록을 활용하였다. 최근에는 가상현실(VR) 체험관과 같은 3차원(3D)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문화유산 콘텐츠가 매해 증가하고 있어, 해당 기록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하지만 3차원(3D) 디지털 기록은 2차원(2D) 유형의 기록과는 전혀 다른 특징을 갖는 복잡하고 태생적 디지털 기록(Born-Digital)이기 때문에, 그 보존과 활용에 있어 많은 잠재적 장애물이 나타나고 있다. 이 연구는 문화유산 3차원 디지털 기록의 보존에 있어 잠재적 장애물을 확인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한 보존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먼저 문화유산의 3차원(3D) 디지털화 과정을 살펴보고, 문화유산 3차원(3D) 디지털 기록의 특성에 따른 보존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다음 선진적으로 수행 중인 국외 문화유산 3차원(3D) 디지털 기록의 보존 활동을 분석하여, 보존을 위해 중점적으로 요구되는 사항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국내 문화유산 3차원(3D) 디지털 기록의 현황을 조사하여 보존상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두 가지의 보존 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데이터 선별, 문서화와 메타데이터, 보존 포맷, 데이터 보안 등을 고려할 수 있도록 문화유산의 3차원(3D) 디지털화 이행 전략을 제시하였다. 둘째, 문화유산 3차원(3D) 디지털 기록의 보존을 위한 체제 구축을 제언하였다.

      • 브랜드 사용자 이미지와 소비자 자아이미지의 일치성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안아영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광고에서의 브랜드 사용자 이미지와 소비자 자아이미지와의 관계가 가지는 영향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었다. 다시 말해, 광고에서의 브랜드 사용자 이미지와 소비자 자아이미지가 일치했을 때 그것이 광고효과인 소비자의 광고태도, 브랜드태도,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 자아이미지를 실제적 자아이미지와 이상적 자아이미지로 나누었다. 이후 광고에서의 사용자 이미지와 소비자의 실제적ㆍ이상적 자아이미지를 브랜드 개성 척도를 이용하여 측정한 후 사용자 이미지와 실제적 자아이미지, 사용자 이미지와 이상적 자아이미지의 절대차이를 계산하여 실제적 자아이미지 일치도, 이상적 자이이미지 일치도 두 개의 독립변수를 가공하였다. 연구결과, 실제적 자아이미지 일치도와 이상적 자아이미지 일치도 모두 종속변수인 광고태도, 브랜드태도, 구매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광고에서의 사용자 이미지와 소비자의 실제적ㆍ이상적 자아이미지가 일치할수록 브랜드에 대한 광고태도, 브랜드태도, 구매의도는 긍정적이 된다. 또 실제적 자아이미지 일치도의 영향보다는 이상적 자아이미지 일치도가 종속변수에 끼치는 영향이 훨씬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광고에서의 사용자 이미지가 소비자의 실제적 자아이미지와 일치했을 때 보다는 이상적 자아이미지와 일치했을 때 더 긍정적인 광고태도, 브랜드태도, 구매의도가 생성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광고에서 사용자 이미지가 면밀한 소비자조사를 기반으로 올바르게 창출되어야 하는 주요 변수임을 시사해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the consistency between a brand user’s intended image in an advertisement and a consumer's self image. In other words,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consistency between a brand user’s image in an advertisement and a consumer’s self image can generate positive effects on advertising attitude,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or not. In this study, a consumer’s self image is divided into an actual image and an ideal self image. Besides, this study suggests two independent variables: "the Actual Self Image Consistency" and "the Ideal Self Image Consistency." Those two independent variables are produced by the following procedure. At first, measure a user image, an actual self image and an ideal self image with "the Brand Personality Scale." Secondly, calculate absolute difference between a user image and an actual self image as well as absolute difference between a user image and an ideal self image.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self consistencies, that is "the Actual Self Image Consistency" and "the Ideal Self Image Consistency," significantly influence on the dependent variables which are advertising attitude,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That is, the more a user’s image in advertisement corresponds to an actual and an ideal self image, the more positive advertising attitude,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are created. Furthermore, this study also examines that, between "the Actual Self Image Consistency" and "the Ideal Self Image Consistency," which self consistency gives more effects on advertising. The result of the examination indicates that the influence produced by "the Ideal Self Image Consistency" plays a more influential role in determining the dependent variables than "the Actual Self Image Consistency" does. Therefore, when a user’s image in advertisement is corresponding with an ideal self image, more positive advertising attitudes, brand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 would be engendered rather than when a user’s image in an advertisement and an actual self image are corresponding.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learly suggest that a user’s image in an advertisement is a pivotal factor, which should be created through elaborated and accurate consumer researches.

      • 동맥경화가 치주질환에 미치는 영향과 의사결정모형

        안아영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1. 목 적 치주질환은 구강 내 세균과 인체의 면역과정에 의한 결과물이다. 그래서 다양한 전신질환과도 밀접한 영향을 갖는다고 알려져 있다. 이들 전신질환과의 관련성은 혈행의 문제로 추측해 볼 수 있으므로, 혈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맥경화증과 치주질환의 연관성을 검토하였다. 그러나 치주질환이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극히 미미한 실정이다. 또한, 동맥경화증이 원인이 되어 치주질환을 발생시키는 가능성에 대한 연구는 거의 찾을 수 없었다. 그러므로 동맥경화와 치주질환의 연관성을 살펴보기 위해서 동맥경화의 위험요인과 치주질환의 연관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동맥경화와 치주질환의 연관관계뿐 만 아니라, 어떠한 요인이 치주질환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Decision tree 분석을 통하여 동맥경화의 위험요인에 의한 치주질환의 유병율 증가추세를 제시하여 임상적으로 치과의사의 의사결정과정에 적용할 수 있는 모형을 만들어 보고자 하였다. 2. 방 법 - 연구대상 보건복지부 산하 질병관리본부의 사전승인을 얻은 후, 최근 2년 동안의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2010년, 2012년)를 분석하였다. - 동맥경화 위험요소 동맥경화의 원인이 되는 설명변수는 건강설문조사와 생화학 검사를 통하여 수집되었다. 동맥경화에 영향을 주는 위험요인으로는 공복혈당, 수축기 최대혈압, 이완기 최소혈압, 폐경기간, 여성호르몬제 복용기간, 콜레스테롤수치, LDL/HDL 콜레스테롤수치, 체질량지수(BMI), 흡연여부, 흡연기간, 여성호르몬 E2(estradiol), E3(estriol), 적혈구 침강속도(ESR), c-reactive protein(CRP), Waist hip ratio(WHR) 등이 있다. - 치주질환 유병여부 기준 지역사회 치주가료 필요지수 중 천치주낭(4~5mm, Code3) 이상의 상태를 치주질환으로 간주하고 치주질환 유병여부를 유/무로 판단하였다. - 자료분석 방법 동맥경화 위험요인과 치주질환의 연관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유의확률 0.05로 Logistic regression 분석을 시행하였다. 이후 변수간의 우선순위를 두어 나무가 가지를 치듯이 순차적으로 치주질환 위험도를 가늠해보기 위하여 Decision tree analysis를 통해 치주질환 유병율을 추정하였다. 통계분석 프로그램은 IBM SPSS Statistics 20(SPSS is headquartered in Chicago, Illinois, USA)을 사용하였다. 3. 결 과 1) 유의확률이 높은 변수부터 모형에서 제외하면서 유의확률의 변화를 확인해본 결과, 최종적으로 모형에 적용할 수 있는 변수는 수축기 최대혈압, 공복혈당, HDL-콜레스테롤, 폐경기간, 흡연기간이었다. 최종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모형은 다음과 같다. ln(p/1-p)=-2.392+0.006*x1+0.008*x2-0.010*x3+0.040*x4+0.026*x5 p: 치주질환 유병율 x1: 수축기 최대혈압 x2: 공복혈당 x3: HDL-콜레스테롤 x4: 폐경기간 x5: 흡연기간 2) 여성호르몬제 복용기간,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현재 흡연여부, 이완기 최소혈압, BMI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3) Decision tree 분석결과 치주질환 유병율과 가장 관계가 깊은 변수는 흡연기간이었다. 흡연무경험자들은 치주질환 위험도가 낮은 편이었고, 정상수치인 공복혈당범위(84mg/dL이상)에서도 치주질환 위험도의 증가추세가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공복혈당이 108mg/dL 이하에서는 하위분류기준으로 최종 수축기 혈압의 증가에 따라 치주질환 유병율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17년 이상의 흡연기간을 가진 피험자들은 현재 흡연을 하는 경우 위험도가 증가하였다. 그리고 23년 이상의 장기 흡연자들은 공복혈당 123mg/dL이상이 되자 치주질환 유병율이 크게 증가하였다. 공복혈당이 이 중 123mg/dL 이하인 피험자들은 흡연기간이 31년을 초과할 경우에 치주질환 위험도가 커졌다. 동맥경화증의 위험요인들로 치주질환의 유병율을 설명하는 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Decision tree analysis는 동맥경화증과의 공통 위험요인으로부터 치주질환의 위험도를 예측하고 예방하는 데에 유용한 의사결정과정을 제공하므로 향후 연구결과가 축적된다면 임상적으로도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