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안상민 서울장신대학교 자연치유선교대학원 2017 국내석사
This study has examined how the shofar can be applied to naturopathy based on the sound therapy revealed in the Bible. In addition, this research has focused on a goal that Christians should be fully engaged in the character of God to live healthier lives by experiencing God’s healing and naturopathy. In the Bible, many of the sick were healed by God. For instance, in the Gospels, Jesus had focused on healing ministries along with preaching and teaching ministries. In addition, anointing of healing had occurred when the prophets and the disciples laid their hands on the sick. It is written in Exodus 15:26 that God is the Lord who heals us. He said, “If you listen carefully to the Lord your God and do what is right in his eyes, if you pay attention to his commands and keep all his decrees, I will not bring on you any of the diseases I brought on the Egyptians, for I am the Lord, who heals you.”(NIV) This research has shown various ways to apply shofar in the pastoral ministry from the perspective of naturopathy. The following contents were addressed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sound therapy and shofar. First of all, the Biblical perspective of healing will be discussed associated with a shofar. God’s healing events in the Old Testament will be described first. Then, Jesus’ and the apostle’s healing ministry shown in the Gospels will be followed. The necessity of using a shofar for whole-personal naturopathy will be discussed along with application of shofar in the pastoral ministry. Secondly, for better understanding of naturopathy and sound therapy, justification and application of naturopathy will be addressed. Thirdly,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opathy and sound therapy will be described. Also, implications of sound and music therapy were discussed along with an explanation of resonance of the human body. Fourthly, this study has analyzed the Biblical events that took place in the presence of sound of shofar, such as experiencing God’s presence, miracles and healing events. Various kinds of shofar, including researcher’s own, were explained with photos. In this research, various energy levels of the body were recorded by aura analysis before and right after hearing the sound of the shofar. Keywords: Nautropathy, Music therapy, Sound therapy, Resonance, Shofar 본 논문에서는 성경에 나타난 소리치유에 근거하여 양각나팔이 자연치유 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이 연구는 그리스도인은 하 나님의 치유하심과 자연치유를 통해 전인적으로 신의 성품에 참여하고 건강하게 살아가야 한다는 목적을 두고 서술하였다. 성경에는 하나님의 치료하심으로 병든 자들이 고침을 받은 사건들이 많 이 등장한다. 예수 그리스도는 복음서에서 복음전파, 교육사역과 더불어 병든 자, 귀신들린 자들과 고통스러워하는 사람들을 치유하셨다. 또한 선지자들과 사도들 이 병자에게 안수할 때 치유의 기름부으심이 일어났다. 출애굽기15장 26절에 다 음과 같이 하나님께서 직접 말씀하셨다. “이르시되 너희가 너희 하나님 나 여호와의 말을 들어 순종하고 내가 보기에 의 를 행하며 내 계명에 귀를 기울이며 내 모든 규례를 지키면 내가 애굽 사람에게 내린 모든 질병 중 하나도 너희에게 내리지 아니하리니 나는 너희를 치료하는 여호와임이라” “하나님은 치료하는 여호와” 라고 하셨다. 이러한 치유하심은 하나님의 백성들에게 주시는 은혜이다. 연구자는 성경속의 양각나팔(Shofar)을 통한 자연치유를 목회 현장에서 적용하고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전개하였다. 첫째, 성경에 나타난 치유의 관점을 양각나팔과 연결 지어 서술하고자 한 다. 먼저 구약시대에 나타난 하나님의 치유에 대해 서술하고 신약성경의 복음서 에서 볼 수 있는 예수님의 치유와 사도행전에 나온 사도들의 치유를 살펴볼 것 이다. 그 후 성경에 기록된 양각나팔(Shofar)이 전인적 치유에 필요한 이유와 목 회 현장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 전개하고자 한다. 둘째, 자연치유와 소리치유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자연치유의 접근, 자 연치유의 정의, 자연치유의 당위성, 그리고 자연치유 활용방안 등에 대해서 서술 하고자 한다. 셋째, 자연치유와 소리치유에 대한 관계를 설명할 것이다. 동양의 소리치 유와 음악치유에 대하여 연구하고 소리치유와 인체의 공명관계를 살펴보았다. 넷째, 성경에서 알 수 있는 양각나팔(Shofar)을 통한 하나님의 역사와 임 재, 그리고 그 임재를 통한 기적과 치유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또한, 다양한 양각 나팔의 종류를 연구자가 소장하고 사역에서 사용하고 있는 여러 양각나팔과 더 불어 설명하였다. 또한 연구자가 양각나팔(Shofar)로 직접 하나님을 찬양하며 연 주하였을 때 그 소리를 들었던 사람들의 전과 후 오라(Aura) 분석을 실시하였다. 키워드: 자연치유, 음악치유, 소리치유, 공명, 양각나팔(Shofar),
소아청소년 1형 당뇨병 환자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관한 연구
안상민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6 국내석사
소아청소년 1형 당뇨병 환자들은 평생 혈당 관리를 목표로 하기에 질병 관리의 부담감 등의 질병관리의 문제 뿐 아니라 여러 심리사회적 적응 및 발달에도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소아청소년 1형 당뇨병 환자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19세 미만의 소아청소년 1형 당뇨병 환자들을 유의적 표집을 실시하였다. 2015년 9월부터~12월까지 서울 내 대학병원 2곳, 한국소아당뇨인협회, 소아당뇨 자조모임 등을 통해 서울, 경기 지역 및 지방에서 70명의 연구대상자를 모집하여 설문조사지를 제공하였고 그 중 58명이 연구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였다. 조사된 설문내용은 인구사회학적 차원(성별, 연령, 거주지, 가족의 경제적 상황 등), 의료적 차원(유병기간, 주관적 건강 상태, 입원 치료 경험), 심리사회적 차원(캠프 참여 경험, 가족지지, 또래 관계), 심리사회적 적응으로 구성되어 있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 지지가 높을수록 소아 청소년 1형 당뇨병 환자의 심리사회적 적응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하였다(t=2.834, p<.01). 둘째, 또래 관계가 좋을수록 소아청소년 1형 당뇨병 환자의 심리사회적 적응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2.648, p<.01). 셋째,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소아청소년 1형 당뇨병 환자의 심리사회적 적응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t=-2.389, p<.05). 이렇듯이 소아청소년 1형 당뇨병 환자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가족지지, 또래 관계, 주관적 건강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소아청소년 1형 당뇨병 환자의 심리사회적 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가족 기능 강화 캠프, 세미나 등의 가족지지 프로그램, 자조집단 운영, 학교 내 또래 관계 개입 등의 또래 관계 증진 프로그램, 건강 관리 교육 및 상담, 사례관리 등의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개발을 제안하였다. Child and adolescent patients of type 1 diabetes mellitus experience not only the burden of maintaining health but also psychosocial adjustment and development issues while controlling their blood sugar as their life goals.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affecting psychosocial adjustment of child and adolescent patients of type 1 diabetes mellitus. Child and adolescent patients of type 1 diabetes mellitus under age of 19 years old were selected by using purposive sampling. The subjects were incruited from September to December of 2015 among 2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Korea Insulin Dependent Diabetes Association, and self-help group of diabetes mellitus in child and adolescent, where about 70 subjects were sampled from Seoul, Kyung-gi, and country area, and 58 were voluntarily participated among 70. The survey constituted of socio-demographic information(sex, age, residential area, economic status of family, etc), medical dimension(duration of type 1 diabetes mellitus, subjective health status, inpatient treatment experience), psychosocial dimension(camp experience, family support, peer relationship), and psychosocial adjustment.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ed. First, strong family support increased the psychosocial adjustment of type 1 diabetes mellitus in child and adolescent patients(t=2.834, p<.01). Second, better peer relationship increased the psychosocial adjustment of type 1 diabetes mellitus in child and adolescent patients(t=2.648, p<.01). Third, better subjective health status showed the improvement in psychosocial adjustment of type 1 diabetes mellitus in child and adolescent patients(t=-2.389, p<.05). Therefore, family support, peer relationship, and subjective health significantly proved to be the factors affecting the psychosocial adjustment of type 1 diabetes mellitus in child and adolescent patients. Based on the result, family function strengthening camps, seminars, family support programs, self-help group, peer relationship improving programs such as interventions within the schools, health managing education and counseling, and health promoting program development such as case managements were suggested to improve the psychosocial adjustment of type 1 diabetes mellitus in child and adolescent patients.
역사적 인식이 브랜드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미국과 일본의 스포츠웨어 브랜드 사례를 중심으로
요 약 제 목 : 역사적 인식이 브랜드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 연구 - 미국과 일본의 스포츠웨어 브랜드 사례를 중심으로 국내 스포츠웨어는 그 양적인 성장에 불구하고 전기·전자, 의료, 콘텐츠 산업 등과 비교해 볼 때 아직까지 해외진출 성공 사례는 나오지 않고 있다. 이와 같이 국내 스포츠웨어의 해외진출이 부진한 이유는 현지화의 실패에 있다. 현지화(Localization)란 어느 시장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다른 시장 니즈 또는 소비자의 요구사항을 충족케 하는 프로세스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시장 및 고객의 니즈 뿐 만 아니라 사회적 특성, 문화적 요인, 역사적 인식 등 다양한 가치를 고려해야 한다. 브랜드의 인지도나 그 가치가 높다고 하더라도 이러한 브랜드가 특정 국가에서 기대 이하의 성과를 내거나 상대적으로 낮은 브랜드 가치를 가치는 국내 우수 브랜드에 밀리는 경우도 드물지 않게 볼 수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세계적으로 높은 브랜드로 인정받은 제품·서비스가 특정 국가에 대한 정치적, 사회적 이슈 등 브랜드 외적 요인으로 인해서 소비자의 반발을 받은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글로벌 브랜드가 특정 국가에서 어떻게 이미지가 구성되고, 또 브랜드 자산으로 어떤 과정을 거치는지 규명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의 이미지가 기업의 브랜드에 미치는 영향을 선행연구의 모형을 반영해서 분석했다. 이를, 국가 이미지 외에도 사회 문화적 이미지, 역사적 이미지, 관계형성 및 여행 의도 등 국가 이미지를 여러 측면으로 나눠서 브랜드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 회귀분석 모형을 통해 분석했다. 우리나라를 대상으로 한 해외 브랜드를 선정했으며, 종속변수로 미국의 스포츠웨어 브랜드와 일본의 스포츠웨어 브랜드의 기능적 및 상징적인 이미지를 설정했다. 독립 변수로는 해당 브랜드가 속한 국가 영향력, 사회 문화적 이미지, 역사적 이미지, 관계 형성 및 여행의도로 나눠서 그 효과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역사적 이미지, 관계형성 및 여행의도가 브랜드의 기능적 이미지와 상징적 이미지 모두에게 영향을 미쳤다. Abstract The impact of historical perception on branding preference -Focusing on the case of sportswear brands in the US and Japan Despite the quantitative growth of domestic sportswear, compared to the electric/electronic, medical, and content industries, there have been no successful cases of overseas expansion. The reason for the sluggish overseas expansion of domestic sportswear lies in the failure of localization. Localization is the process of making a product or service in one market meet the needs of another market or consumer. Here, various values such as social characteristics, cultural factors, and historical perceptions as well as market and customer needs must be considered. Even if a brand's recognition or its value is high, it is not uncommon for such a brand to perform below expectations in a specific country or to be defeated by a domestic excellent brand with a relatively low brand valu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Korea, products and services recognized as high-ranking brands in the world were often opposed by consumers due to factors outside of the brand, such as political and social issues for a specific countr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d out how the image of a global brand is formed in a specific country and what process it goes through with brand assets. In this study, the influence of the national image on the brand of a company was analyzed by reflecting the models of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to the national image, the impact on the brand was analyzed through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odel by dividing the national image into various aspects such as socio-cultural image, historical image, relationship formation and travel intention. Foreign brands targeting Korea were selected, and functional and symbolic images of American sportswear brands and Japanese sportswear brands were set as dependent variables.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effect of the brand was examined by dividing it into country influence, sociocultural image, historical image, relationship formation and travel inten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historical image, relationship formation, and travel intention affected both functional and symbolic images of the brand.
에너지 드링크가 고강도 운동 시 운동수행능력과 회복기 심박수 및 HRV에 미치는 영향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xercise capacity, heart rate recovery and heart rate variability after high-intensity exercise on caffeine concentration of energy drink. The volunteers for this study were 15 male university student. 15 subjects were taken basic physical examinations such as height, weight and BMI before the experiment. Primary tests were examined of VO2max per weight of each subjects by graded exercise test using Bruce protocol. Each of five subject was divided 3 groups(CON, ECGⅠ, ECGⅡ) by matched method based on weight and VO2max per weight what gained of primary test for minimize the differences of exercise capacity and ingestion of each groups. For the secondary tests, the groups of subjects were taken their materials before and after exercise as a blind test. After the ingestion, subjects were experimented on exercise test of VO2max 80% by treadmill until the all-out. Heart rate was measured by 1minute interval, and respiratory variables were analyzed VO2, VE, VT, RR and so on by automatic respiratory analyzer. And exercise exhaustion time was determined by stopwatch. Moreover, HRV was measured after exercise and recovery 3min. 1) Among the intake groups, ECGⅡ was showed the longest of exercise exhaustion time more than CON group(p=.05). 2) Result of heart rate during exercise according to intake group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of each time(p<.001), however, not significant differences of each groups and group verse time(p>.05). 3) Result of RPE during exercise according to intake group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of each time(p<.001), however, not significant differences of each groups and group verse time(p>.05). 4) Result of RER during exercise according to intake group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of each time(p<.001), however, not significant differences of each groups and group verse time(p>.05). 5) Result of HR and HRR after exercise according to intake group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of each time(p<.001), however, not significant differences of each groups and group verse time(p>.05). 6) Result of blood pressure after exercise and blood pressure in recovery period according to intake group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of each time(p<.001), however, not significant differences of each groups and group verse time(p>.05). 7) Result of HRV after exercise and HRV in recovery period according to intake group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of each time(p<.001), however, not significant differences of each groups and group verse time(p>.05). In conclusion, EDGⅡ showed the significant increase of exercise exhaustion time more than CON group(p=.05) and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HR, RPE, RER, HRV, HRR, blood pressure(p>.05). Therefore, 2.5mg/kg-1 ingestion of energy drink might be positive effect to increase exercise performance capacity without side-effect in cardiovascular disease.
Nanoliquid delivery and 3D patterning using QTF-based AFM with nanopipette
Nanofabrication with nanomaterials is important field of the scientific research infrastructure as well as nanobiotechnique-based industry with the functionalizing materials and technical analysis of various components, such as small bio-sensors, cell tracking, and analysis of the nanobio materials, photovoltaic cells. Two kinds of technologies are generally used for nanofabrications with optical, probe-based, nanoimprinting lithography (Top-down) and atomic layer deposition, molecular self-assembly (Bottom-up). Most of them give appropriate solutions within the boundary of specific purpose with most fabricated products' characteristics of randomness, non-selectivity, and isotropic. Among them, the scanning probe microscope (SPM)-based nanofabrication system has a potential for breakthrough for small patternings, high precision control, and on-demand shaping, which still has a weakness of mass product. Recent, 3 dimensional (D) printing techniques are focused for one-shot fabrication with the simple stacking process without assembly of components, while it is still challenging issue to realize nanoscale patternings with development of 3D nano-inkjet printing. There are several candidates to perform that skill, such as electrospining method, inkjet printing techniques with small aperture of nozzle, meniscus-confined 3D electrodeposition, and so on. However, they have still need for overcoming surface tension, reproducibility, ink-free jetting, randomness, etc. In this thesis, I show nanoliquid delivery and nanoscale 3D patterings using an optical microscope (OM)-combined nanopipette/quartz tuning fork-atomic force microscope (QTF-AFM) with capabilities of position-resolved force spectroscopy / microscopy. Critical factors of the system are aperture diameter of the nanopipette and precise distance control with AFM. This system can be one of the strong candidates for nanoscale 3D printing technology with the realization of nanoliquid delivery and 3D patterning as follows; 1) Development of the nanopipette/QTF-AFM, 2) Improvement of the system for high performance and versatile approaches, 3) Low-volume liquid delivery and 3D nanofabrications using the advanced nanopipette/QTF-AFM. With these non-template, on-demand, cost-effective, nanoscale direct 3D printing technique and fabricated materials, one can progress scientific challenges with applicant model of biological system, apply the engineering of the 3D nanoscale structure of the biochemical process, or develop molecular electronics. 나노물질의 나노제조는 생체센서, 세포 추적, 나노생체 물질 분석, 태양 전지 셀 등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기능성 물질과 다양한 성분의 분석 등의 나노바이오기술 기반 산업 뿐만 아니라 과학 전반에 걸쳐 그 중요도가 더해가고 있다. 나노제조의 방법으로는 크게 광, 탐침, 및 나노인쇄 기반 리소그래피와 같은 Top-down 방식과 원자층 증착, 분자 자기조립 기법 등의 Bottom-up 방식이 있다. 대부분의 기술은 사용되는 목적에 부합되는 범위에서 최적화되어 있다 것과 제조되는 산물이 대부분 임의의 형상이나 비선택성, 등방성 등으로 제작되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방식 중에서, 탐침 기반 나노제조 기술은 아직 대량 제품화가 어려운 실정이지만, 작은 형상제조, 정밀 제어 및 on-demand 형성 등으로 아주 큰 잠재성을 지니고 있다. 최근에는 3차원 프린팅 기술이 주목을 받고 있는데, 이는 복합한 구성품 제조 및 조립이 필요없이 단순한 쌓기 공정으로 원하는 제품을 만들어 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직은 나노크기의 형상화를 가능케 하는 3D 나노 프린팅 기술은 확립되지 못한 실정이다. 이렇게 중요한 기술을 현실화시키는 유력한 후보중에 Electrospining, 나노구멍을 이용한 잉크젯 프린터, 포획된 액체의 반월 모양의 틀을 이용한 3D electrodeposition 등이 있으나, 표면 장력, 재현성, 잉크 선택성 및, 임의성 등의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위치 자유하며 힘 분광 및 주사 검사 기능을 포함한 현미경이 결합된 나노피펫/수정진동자-원자힘현미경을 이용하여 나노액체의 전송 및 나노크기의 3D 형상화에 관한 연구를 보여줄 것이다. 본 기술의 중요한 요소는 핵심 부분인 나노피펫의 탐침 끝 구멍의 내경과 원자힘현미경을 이용한 수직방향의 정밀 거리 제어이다. 본 기술은 다음과 같은 실현화 단계를 거쳐서 3D 나노 프린팅 기술의 강력한 후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1) 나노피펫/수정진동자-원자힘현미경 개발, 2) 제안된 장비의 고성능을 위한 장비 개선, 3) 고급 장비 기술을 이용한 나노액체 전송 및 3D 나노제조 기술 확립. 본 연구를 통해 확립된 형판이 필요없고 on-demand, 가격경쟁력이 있는 나노크기의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하여 생체시스템의 모델로의 응용 등으로의 과학적 진보 뿐만 아니라 생화학 처리나 분자 전자장치 개발 등의 3D 구조의 공학 기술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슬관절 전치환술 후 하지 정렬 및 관절 경사가 Forgotten Joint Score에 미치는 영향
국문요지 목적: 무릎의 골관절염은 50세 이상의 성인에서 3명 중 1명에서 확인할 수 있는 흔한 질환중의 하나이며 이는 삶의 질 저하를 야기하는 하나의 요인이다. 이러한 골관절염의 치료로 슬관절 전치환술(Total knee arthroplasty)은 오랫동안 시행되어 왔고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하지만, 수술 후 많게는 약 33%의 환자에서 불편함이 있다는 보고가 있은 후 전통적으로 수술의 표준으로 사용되어온 역학적 축(Mechanical alignment)과 관절면의 각도(Joint line obliquity)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이에 환자중심의 평가 방법인 PROM(Patient reported outcome measure)중 하나인 Forgotten joint score-12(FJS-12)라는 평가 도구를 이용하여 Hip-Knee-Ankle(Hip-Knee-Ankle; 이하 HKA)각과 대퇴골의 관절 경사(Femoral joint line angle; 이하 FJLA)를 이용한 관절 경사에 따라 환자의 인공 관절 인지 정도에 차이 가 있는지를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서울한양대병원에서 2019년 1월부터 2020년 8월까지 일차 슬관절 전치환술 후 최소 1년 경과한 상태에서 하지 전장 방사선 검사와 FJS-12를 평가한 116명(169례)의 슬관절 전치환술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하지의 정렬 상태는 수술 전 후 하지 전장 방사선 사진상 HKA 각을 통하여 평가하였으며 관절면의 경사는 FJLA를 통하여 평가하였다. 수술 후 HKA(Postoperative HKA; 이하 Post-HKA) 각을 ±3도 기준으로 하여 외반군(Post-HKA>3), 내반군(Post-HKA<-3), 그리고 중립군(-3≤Post-HKA≤3)으로 나누었으며 수술 후 FJLA(Postoperative FJLA; 이하 Post-FJLA)를 ±2도 기준으로 내반 기울기(Post-FJLA<-2), 외반 기울기(Post-FJLA>2), 그리고 평행군(-2≤Post-FJLA≤2)으로 분류하였다. Post-HKA 각 및 Post-FJLA를 기준으로 나눈 3개 집단의 FJS-12 평균을 Kruskal-Wallis test 및 ANOVA를 통하여 분산분석을 시행하였다. 추가로 수술 전 후의 HKA 각 및 FJLA의 변화가 FJS-12 점수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분석을 추가적으로 시행하였다. 결과: 총 169례 중 수술 후 HKA 각에 따른 중립축군, 내반군, 그리고 외반군은 각각 62.7%(106례), 33.1%(56례), 4.1%(7례)였다. 수술 후 HKA 각에 따른 세 군 간의 FJS-12 점수의 통계적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P>0.05). 또한 수술 전 내반슬을 보이던 환자 중 슬관절 전치환술 후 역학적 축에 따라 중립축군(65례)과 내반군(42례) 간의 FJS-12 또한 차이가 없었으며(P>0.05), 수술 전 -10도 미만의 심한 내반슬인 경우에서도 수술 후 중립축군(20례)와 내반군(18례) 간에 FJS-12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443). Post-FJLA에 따른 평행군, 외반 기울기군, 그리고 내반 기울기군은 각각 53.8%(91례), 40.8%(69례), 그리고 5.3%(9례)였다. 세 집단 간의 FJS-12는 통계적 차이는 없었으나(P=0.094) 외반 기울기군이 FJS-12 점수가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수술 전 후 FJLA 변화 유무에 따른 FJS-12 비교 평가에서 FJLA 변화가 있더라도 FJS-12의 평균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으나(P<0.05) 수술 후 외반 기울기군이 FJS-12 점수가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결론: 슬관절 인공관절 전치환술 후 HKA 및 FJLA 정렬과 FJS-12로 측정한 관절인지 정도의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정확한 기계적 정렬을 달성하는 것이 슬관절 전치환술 후 만족도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 아닐수 있음을 시사한다. 추후 관절 경사 및 잔존 내반(Residual varus)이 환자 결과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전향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색인 단어: 슬관절 전치환술(Total knee arthroplasty), 역학적 축(Mechanical alignment), 운동학적 축(Kinematic alignment), 관절 경사(Joint line obliquity), Forgotten joint score-12(FJS-12)
Since Historical Manuscripts are usually found as sole survivors in written copies, priority used to be given to preservation of them. In the wake of vitalized studies on local history and added values like cultural contents, however, emphasis is now shifted from preservation of Historical Manuscripts to their utilization. Meanwhile, the Management Law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Resources is legislated to digitalize Historical Manuscripts as part of historic data. The present paper aims to explore the reality of web service for Historical Manuscripts, analyze the problems found in its current operation and present suggestions for its improvements. The Chapter 2 of this paper examines in detail the Management Law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Resources and the integrated system of Korean history and information. The Management Law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Resources provides a basis on which the project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to proceed, while the integrated system of Korean history and information serves as a central information organ of Korean historical data by collecting meta data from professional information centers and offering web retrieval service in return. In this chapter, space is also allowed to investigating the types of service and retrieval functions performed by the integrated system of Korean history and information. The Chapter 3 searches the types and problems of digitalized information service for archaic documents rendered by Seoul National University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useum,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and Korean Studies Advancement Center. Problems turned out to exist in that service is provided without taking particular features of archaic documents into consideration, users are confused with different method of classification and menu by different organizations, and that users are forced to install different viewers to tune in various forms of image viewers. In the Chapter 4, it is suggested to introduce the standardized criteria in describing the historic records like ISAD(G), to unify image viewers and system of classifying archaic documents, and to comply with access to web and standards for digitalizing old documents, as a measure to solve the problems raised in the Chapter 3. The present study reviews current reality and problems of web service involved in the organizations that conserve old documents and proposes to standardize web interface, description of lists and image structures as a solution to the problems brought forth in the analysis. It is hoped that these suggestions might be adopted to vitalize web service of archaic documents.
인간-로봇 협업에서의 작업자 의도 인식을 위한 멀티모달 데이터 기반 임베디드 머신러닝 시스템
This study proposes a collaborative robot system based on embedded machine learning that recognizes worker intentions. In recent industrial environments, the need for Human-Robot Collaboration(HRC) is increasing. However, there are still limitations in technologies that can recognize worker intentions in real-time and allow robots to respond quickly. This study designed a lightweight recognition system that enables collaborative robots to assist tasks by recognizing workers' gestures and voices in real-time. In particular, considering wearability and compactness, a wearable device equipped with a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based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and a microphone using PDM (Pulse Density Modulation) was used to collect gesture and voice data. Based on this data, the system can recognize worker intentions in real-time and allow collaborative robots to respond immediately.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ystem achieved 92.9% accuracy in gesture recognition and 81.3% accuracy in voice recognition. It demonstrated excellent real-time responsiveness with gesture recognition taking 57ms and voice recognition taking 94ms, reducing processing delay by up to 94% compared to conventional cloud-based systems. Through these results, the proposed system can significantly improve collaboration efficiency by promptly reflecting workers' commands and has proven its practical applicability in various industrial environments. In the future, this system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maximizing the efficiency of HRC in various fields such as manufacturing, logistics, healthcare, and services. 본 연구는 임베디드 머신러닝을 활용한 작업자 의도 인식 기반 협동 로봇 시스템을 제안한다. 최근 산업 환경에서 인간-로봇 협업(Human-Robot Collaboration; HRC)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나, 작업자의 의도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로봇이 신속하게 대응하는 기술에는 여전히 한계가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자의 제스처와 음성을 실시간으로 인식하여 협동 로봇이 작업을 보조할 수 있는 경량화된 인식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특히, 작업자의 착용 편의성과 소형화를 고려하여 MEMS(Micro Electro Mechan- ical System) 기반 IMU(Inertial Measurement Unit)와 PDM(Pulse Density Modu- lation) 방식의 마이크로폰이 장착된 웨어러블 기기를 사용해 제스처 및 음성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작업자의 의도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협동 로봇이 즉각적으로 반응하도록 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된 시스템은 92.9%의 제스처 인식 정확도와 81.3%의 음성 인식 정확도를 기록했으며, 제스처 인식은 57ms, 음성 인식은 94ms의 뛰어난 실시간 반응성을 보여 기존 클라우드 기반 시스템 대비 처리 지연을 최대 94% 감소시켰다. 이를 통해 제안된 시스템은 작업자의 명령을 즉각적으로 반영하여 협업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으며,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실용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향후 본 시스템은 제조업, 물류, 의료 및 서비스 등 여러 분야에서 HRC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