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建築디자인 프로세스에서 CAAD모델을 이용한 綜合性能評價方法

        안병욱 延世大學校 200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건축디자인 문제의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고 단일기준 평가로 제한된 기존의 성능평가 연구의 범위와 성능평가결과의 디자인 프로세스로의 적용성 결함이라는 문제의식에 연구의 배경을 두고 있으며, 성능 지향적 디자인과 형태 지향적(form-oriented) 디자인을 통합하는 새로운 디자인 방법론의 개발과 활용에 관한 연구이다. 이와 같은 배경 하에 본 연구에서는 ① 다양한 독립적 성능평가 절차들을 하나의 다중기준(multi-criteria) 평가모델로 정립할 수 있는 통합성능평가 방법론과 ② 성능평가의 과정을 설계과정에서 공유하기 위한 성능 지향적 CAAD(Computer Aided Architectural Design) 시스템의 프로토타입을 제시하여 전산화하였으며, ③ 설계초기 단계에서 다중 성능의 저하 없이 다양한 디자인 대안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의사결정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제2장에서는 성능평가관점에서 건축디자인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성능평가결과와 디자인변수와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통합성능평가의 개념을 제시하였다. 건축디자인의 가장 큰 특징은 만족해야 하는 다중기준이 상시 존재한다는 점이며, 모든 성능을 만족시키는 디자인 대안을 선택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건축디자인 결과물의 질적 향상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성능평가결과의 디자인 프로세스로의 반영은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해 성능평가결과와 디자인변수와의 상호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건축디자인 문제는 ① 단일기준 문제, ② 단일기준-다중속성 문제, ③ 다중기준-단일속성, ④ 다중기준-다중속성 문제로 분류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건축디자인 문제를 다중기준과 다중속성의 해결과정이라는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따라서 통합성능평가의 해결과정이란 상충되는 다중성능기준들 사이에서 최적의 균형을 갖는 다중속성 즉 디자인대안을 탐색하는 의사결정과정으로 설명될 수 있다. 제3장에서는 다중기준평가에서 최적해 도출을 위한 최적화 기법을 고찰하였으며, 건축디자인 문제에 있어서 적절한 최적해 도출방법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최적해의 선정 절차 및 방법은 분석의 목적과 대상에 따라 변한다. 전통적 또는 공학적 관점에서의 최적해란 유일의 최적해를 도출하는 것이지만, 건축 디자인에서의 최적해 개념은 성능평가결과가 반영된 다양한 디자인 옵션을 나타내는 최적해의 근사치 집합 도출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단계 최적화 의사결정 기법인 동적계획법의 논리를 건축디자인 문제에 적용하였다. 동적계획법은 다른 최적해 도출방법과는 달리 불연속, 비선형적인 체계를 연속적인 체계로 재구성하는 효율적인 논리를 제공함으로서 건축디자인의 다중기준-다중속성 문제에 적용하기에 용이하다. 그러나 동적계획법은 일반적인 해법이 아니기 때문에 건축디자인 문제에 적용하기 위해선 표준적 모델로 전환하는 방법론과 각각의 상황에 맞는 디자인 문제에 대한 모델 구성 및 조합이 필요하다. 제4장에서는 다중기준평가모델을 구성하기 위해 필요한 성능예측모델, 대안생성모델, 최적화모델의 특성 등을 살펴보고 이 3가지 모델을 통합한 다중기준평가모델을 제시하였으며, 법용 그래픽 CAD 시스템과의 통합을 위해 성능지향적 CAAD 시스템의 프로토타입을 제시하였다. 성능평가의 결과를 디자인 정보를 이루는 하나의 요소로서 간주 할 때 건물성능평가란 완성된 건물의 평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성능평가를 위해 채용된 모델의 평가를 의미한다. 다중기준평가 모델을 구성하기 위해선 성능예측모델, 디자인 대안생성을 위한 대안생성모델, 최적해 선정을 위한 최적화 모델을 통합해야하며, 각 모델의 상세수준은 평가모델이 적용되는 단계에서 이용 가능한 디자인 정보의 수준과 일치해야 한다. 다중기준 평가모델에서 도출된 대안의 성능평가결과를 설계과정에 지속적으로 반영시키기 위해선 다중기준평가모델과 그래픽 CAD 시스템과의 통합이 필요하며, 본 장에서는 다중기준평가모델과 그래픽 시스템에서 공통적으로 필요로 하는 디자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를 공유하여 통합한 성능지향적 CAAD 시스템 프로토타입을 제시하였다. 제5장에서는 4장에서 제시된 다중기준평가모델을 바탕으로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외피 디자인시 물리적 환경성능과 초기투자비 등 균형 잡힌 다중성능을 유지하면서도 다양한 디자인 대안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다중기준평가모델을 구성하였다. 본 평가모델에서는 건물 외피 디자인의 중요한 요소로서 고려되는 창 면적비, 차양의 길이, 유리종류, 벽체종류의 4가지 디자인 변수, 즉 다중속성의 변화에 따른 패시브상태에서의 동·하계 실내온도, 주광율, 종합투과손실, 초기투자비 등 5가지의 다중기준을 균형잡히게 만족시키는 디자인 대안의 도출을 적용대상으로 하였다. 다중기준평가모델의 목적은 균형 잡힌 성능을 만족시키는 최적해집합 즉 디자인 대안들을 도출하는데 있으며, 통합성능평가란 도출된 대안들중에 대해 성능평가결과와 디자인 변수간의 상호관계(trade-off)에 관한 분석을 통해 최종대안을 선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6장에서는 다중기준평가모델을 통해 도출된 외피 디자인 대안들의 의사결정 방법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성능지향적 CAAD 시스템 프로토타입의 유용성을 검증하였으며, 통합성능평가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설계초기단계에서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위해서는 부분적 최적화보다는 전체적인 최적화가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서로 상충되는 성능목표와 디자인 변수간의 상호교환관계를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디자인 변수의 조절과 성능기준의 추가에 따른 의사결정 방법과 상호교환 다이어그램을 제시하였으며, 일정 수준의 물리적 성능을 만족 후 최소투자비를 갖는 디자인 대안 선택방법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new intergrated evaluation method and performance oriented Computer Aided Architectural Design model. In buildings, it is difficult to achieve the optimal performance, because building has multi-criteria to be satisfied with. There has been many studies in the range of optimization methods used for building performance evaluation. But these studies has been concentrated on single-criterion optimization and sub-optimal design problem. To obtain better performance of building, designer must be provided with design tool which facilitate decision making throughout the design process. The application of CAAD technology to building performance evaluation can be used efficiently in a context of multi-criteria evaluation. To enhance decision making in performance-conscious design, multi-criteria evaluation and CAAD model which produce prescriptive design information and design options must be developed. Designer needs information that is prescriptive, expresses his design options, tells him about the sensitivity and stability of solutions given changes in the parameters on which they are selected, and is presented at a level of detail appropriate to the stage in the design process. Intergrated evaluation method model consists of three categories of mathematical models for computer aided design, and optimization models are best suited to the provision of this kind of information. Although computer programs providing very detailed simulations of a building's performance in a number of environmental components are now available, the information they offer is necessarily evaluative rather than prescriptive. As a method of investigating alternatives at the early states of design, such programs are inefficient because they require the user to operate by trial and error. Environmental tradeoff diagrams utilize the concepts of dynamic programming optimality method in multicriterion desicion making to offer designer prescriptive qunantitative information which relates the performance achievable in different environmental components both to the building design and to each o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ple criterion problems(thermal, lighting, acoustics, cost) and multiple attributes(building envelope's design variables) are examined with intergrated evalution method presented in this study. Also this study examined that a non preference approaches based on dynamic programming which allows the designer to make tradeoff diagrams can provide practical and useful information for design. Tradeoff diagrams which related measures of performance to the properties of whole forms(compact or dispersed plans, heavyweight or lightweight construction and cellular plans) would clearly be useful at the earliest stages of design.

      • 한반도주변 안보환경과 통일후 한국의 군사력 건설방향

        안병욱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남북의 군사력 대치 국면은 한민족에게 있어 경제적·심리적인 분야뿐만 아니라 다양한 국면에서 불필요한 국력의 소모를 야기시키고 있다. 매년 200억 달러의 국방비를 소모하고 있을 뿐 아니라 국민들의 정신적 긴장과 국제사회에서의 한반도 위상에 있어서도 불이익을 주고 있다. 하지만, 21세기에는 국제사회의 평화분위기 조성과 남북한 국력의 격차 등에 의해 필연적으로 통일의 길로 접어들게 될 것이다. 이러한 통일에 대비하여 단계적인 준비를 진행시켜 나아가야 할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논문에서는 통일한국이 주변 강국의 각축 속에서 영구적인 안전과 평화를 보장하고 세계 평화시대에 기여할 수 있는 통일 후 적정수준의 군사력 건설 방향을 제시하였다.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세계 각국은 자국의 이익을 우선시 하는 외교가 중요시되고 있으며, 한반도 주변의 4강인 미국·일본·중국·러시아 모두 자국의 이익에 중점을 두면서 그 어느 때 보다 활발한 접촉을 갖고 있다. 그러나 이들 국가간의 안보환경은 다양한 이해관계의 교차와 복잡한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공동의 안보와 평화체계를 기대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미국의 경우 냉전 종식 이후에 국방비의 대규모 감축이 불가피해짐에 따라 양적 감축을 실시하는 반면 질적으로 향상된 기술집약형 군사력 건설을 꾀하고 있으며 일본은 막강한 경제력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변화하는 국제정세에 맞추어 안정된 안보환경을 위해 군사력을 증강시키고 있다. 중국 또한 질적으로 우수한 과학화된 군대를 추구하고 있으며 러시아는 냉전체제 종식 이후 새로운 군사체계를 이룩하는데 노력을 경주하여 자국 방위를 위한 최저 군사력 건설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러한 다각적인 안보환경을 담고 있는 한반도에서 무력도발이 일어난다면 외교적 노력에 의하여 분쟁이 해결될 수도 있겠지만 한국이 군사력으로 대응할 경우에는 전쟁으로 발전할 수도 있다. 전면전일 경우 주변국이 취할 수 있는 전쟁수행 방식은 걸프전과 이라크전에서 보았듯이 우세한 해군력으로 해상주도권을 장악하여 해상을 봉쇄한 후, 공군 및 유도무기로 주요 전략목표에 대하여 전략적인 타격을 실시하고, 상륙·공정·지상 및 공중기동부대로 영토에 대하여 무력 침공하는 양상을 보일 것이다. 앞의 어떤 경우든 적국은 부분적으로 무력을 사용한 후 전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협상을 제안할 가능성이 많다. 또한, 앞으로 예상되는 미래전의 특징은 전장환경 면에서 정보영역은 광역화되고 감시영역은 다양화되는 등 전반적으로 정보감시영역이 다차원화 될 것이다. 또한 걸프전에서 선보인 것처럼 전투력 배비는 다차원으로 합동·정밀화가 되고, 무기체계면에서 기동속도는 고속화되고 기동방식은 입체화 될 것이다. 한편 동북아 안보환경의 변화는 통일한국에 대한 불특정 위협 중에서 가장 위협적인 국가로 일본과 중국을 부상시켰다. 주변 강대국들에 비해 통일 한국의 국력이 절대적으로 열세에 놓일 것이 분명하며, 어느 특정국가를 위협으로 상정하여 대비하는 것은 적절하지 못하다. 그러나 세계적인 군사력의 변화 추세가 양적인 군사력보다는 질적인 군사력을 추구하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주변 강대국 중에서 일본이나 중국이 한국의 질적 군사력의 방향설정에 있어서 주요한 참고 대상이 될 것이다. 주변국들의 질적으로 우수한 군대의 육성 방향과 한반도에서 예상되는 미래전의 양상을 고려해 볼 때 한국군 또한 첨단 무기체계의 도입과 정보작전 수행이 가능한 소수정예 군대 육성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동북아 주변 국가들의 군사력 건설 형태의 고찰과 함께 주변국의 군사력 비교를 통하여 통일한국에 위협을 줄 수 있는 국가를 판단하고 이에 대비한 통일한국의 적정 군사력 건설방안을 제시하였다. 가장 큰 위협을 줄 수 있는 일본과 중국의 군사력을 비교해 본 결과 양적인 면에서 자위대는 크게 우려할 수준은 아니었다. 하지만 군사력의 질적인 수준은 세계적인 수준에 도달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일본의 연구개발, 군사기술, 방위산업분야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에 반해 중국의 군사력은 양적으로는 거대하나 질적으로는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유인 우주선을 성공시키는 등 기술력이 향상되었고 여기에 성공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경제개혁이 마무리 된다면 중국은 일본을 능가하는 군사대국이 될 것이다. 일본과 중국의 대립관계 속에서 우리의 군사전략 방향은 통일 후 동북아정세와 한국의 위상을 고려하고 위협요인에 대처 할 수 있도록 첫째, 한미 동맹관계는 통일비용과 통일이후 국가예산소요 면을 고려할 때 계속 유지되어야 하며, 둘째, 다변적 군사협력체제를 통한 치밀한 군사적 관계 유지와 다변적 안보협력 및 군비 관리체제를 정착시켜야 하며 셋째, 독립적인 전쟁수행 능력확보는 국가생존에 필수적이고 넷째, 양보다 질적인 군대를 통한 군사력 현대화를 구축해야 하며 다섯째, 현대전력과 더불어 동원전력 체계를 강화하여야 하며 여섯째, 현재의 육군위주에서 해·공군을 증강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통일한국의 적정군사비는 GNP의 5% 이상 수준을, 상비전력은 총 55만 명, 핵무기 및 전력 타격능력보유, 정보자산의 확보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남북한 방산업체의 민영화 조정, 훈련 및 주둔시설 정리, 비무장지대 위험시설 처리와 부대의 재편, 지휘구조 조정 등을 통일독일 사례를 교훈삼아 준비해야 한다. 통일 후 군구조는 첫째, 국방부장관에 직속하는 통합군사령관은 전 군종의 군령측면의 노력을 통합하며, 군종 및 기능사령부는 군령의 시행기능만 담당함으로써 실제적인 작전운영 측면에 중점을 두어 예하 사령부를 지휘토록 한다. 둘째, 군종별 사령부 외에 특수사령부, 통합 지원사령부를 편성한다. 특수사령부는 미래에 전략사령부가 되어야 하며, 통합 지원사령부는 작전수행 지원 및 전력준비 임무를 총괄 수행토록 해야 한다. 셋째, 통합군사령부, 특수군사령부, 통합 지원사령부는 3개 군종이 통합되어야 한다. 넷째, 창설되어야할 부대로는 해군의 전략무력사령부, 공군의 전략공군사령부, 특수군의 신속대응사단, 공정사단, PKO사단, 통합지원군의 동원사단이다. 다섯째, 통일 후의 향토사단은 지방방위군으로 전환하고 신속한 동원이 가능하도록 제도적으로 보강되어야 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군의 군사력 건설방향, 규모 그리고 구조의 개혁은 쉽지 않을 것이다. 특히 평시 민주주의 사회에서는 집단이기주의와 기득권층의 저항으로 불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통일’이라는 일대 변혁시기에 맞추어 통수권자가 강력한 의지를 갖고 추진하지 않으면 안되며, 시기를 놓치거나 통수권자의 의지가 약하다면 다시금 소비지향적 군 구조를 가질 수밖에 없다. 통일 후 주변 4강의 관계 속에서 우리나라의 위치를 정확히 하기 위해서는 경제적이고 강력한 군이 필요하다. 국방비의 효율적 사용과 이를 통한 강력한 군대를 양성하기 위해 지금부터 준비해야 한다.

      • 국제경영시스템 인증기업의 안전보건 인식 수준 고찰 및 향상방안 연구

        안병욱 한국기술교육대학교 IT융합과학경영산업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내외 기업의 규모별 안전보건인식 수준을 확인하고, 유의미한 의미가 있는지 분석하여 사업장의 안전보건 인식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연구를 실 시하였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안전보건관리의 필요성, 산업안전보건경영시스템, 산업안전보건법의 태동 및 최근 흐름 등의 연구주제와 관련된 기초이론을 정립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해외 기업의 규모별 안전보건인식을 파악하기 위하여 글 로벌 인증기관인 DNV GL Business Assurance 의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안 전보건 인식 수준을 확인하였으며, 벤치마킹 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을 위하 여 LEADER그룹을 별도로 구분하여 그들의 안전보건 인식의 특징을 별도 로 정리하였다. 국내통계자료를 분석하여 국내 특성을 확인하여 인식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국내 기업의 안전보건인식을 확인하기 위하여 안전보건공단에서 발표된 ’2018 산업안전보건 실태조사 기본통계보고서‘ 내용 총 11개 부문 중 안전보 건인식과 관련된 3개 부문에 해당 하는 질문 내용을 선택하여 연구하였으며 몇 가지 특징을 도출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내부시스템 성숙도 향상을 위하여 안전보건경영 시스템 등급제를 도입하여 등급에 따른 차등 관리 실시 방향으로 변화를 모 색하고 정부조달 및 기업구매정책 반영을 통하여 기업이 안전보건인식 향상 이 생존 방안임을 인식할 수 있도록 외부환경을 조성함으로써 국내 사업장 의 안전보건인식향상 및 산업재해 감소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According to the 2018 Industrial Accidents Status released by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91.8 percent of all employees of Korea is working for less than 1,000 employees. However industrial disaster rate is 96.7% of the total. This study is conducted to identify the level of safety and health awarenes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ompany and to suggest improvement. The research method was to derive characteristics of LEADER Group based on surveys by Global Certification Body D The basic theories of the necessity of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the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the motion of the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Act, and the recent trend were established to carry out the research.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of the LEADER Group were derived through the survey. - Affected by various stakeholder on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issues - There is an internal culture that places great emphasis on health and safety. - Health and safety issues are strongly integrated into the company's internal strategy and have specific and mature systems to implement them - Give a high value in 3rd party certification of the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actively utilize it as a tool to satisfy the needs of stakeholder. In order to check the safety and health awareness of domestic companies survey of the classification corresponding to the safety and health recognition were studied in the statistics of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d some features were derived. -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alth and health awareness between groups with more than 1,000 employees and less than 1,000. - Groups of less than 1,000 employees, 50-99, 100–299 and 300–999 companies clearly show a tendency to see lower rates of industrial accidents as companies grow in size, but very little difference in levels of health and safety awareness - Small companies tend to invest less in the health and safety sectors and focus on areas for compliance with regulation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domestic compani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Global LEADER Group, suggest to improve internal system maturity and improvement measures utilizing external environment. - To improve the maturity of the internal system, the existing 3rd party certification system is improved to an evaluation certification system to distinguish grades within the certification system, and to provide itemized and level-level guidelines to encourage all companies to improve. - In addition to the evaluation elements of government procurement and corporate purchase, safety and health factors such as the supplier's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system(evaluation grade level) and industrial accident rate are added to induce the improvement of the level of safety and health awareness and performance throughout the companies.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improving safety and health awareness of workplaces and reducing industrial accidents.

      • 청소년 활동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사회 요인에 관한 연구 : 인천광역시 연수구를 중심으로

        안병욱 인천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신도심과 원도심의 급격한 차이가 발생하고 있는 인천광역시 연수구라는 특수한 지역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지역 내 청소년 활동과 관련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청소년 활동 참여를 촉진하고 지원함으로써 균형적인 청소년 활동 지원 및 환경 구축 등의 사회복지의 실천개입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연수구의 청소년 활동과 관련하여 사회 복지적 지원체계를 확립하는데 있어 근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며, 그동안 다루어지지 않았던 지역사회의 요인들과 청소년 활동 참여와의 관계를 밝히는데 있어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지역사회 요인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1)지역사회 자원(청소년시설 인지도, 청소년시설 만족도, 청소년시설 접근성), 2)지역사회안전에 대한 인식, 3)거주지 특성으로 정하였다. 연구를 위해 연수구 내의 중, 고등학생 청소년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1,152개의 설문결과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SPSS 23.0을 사용하였으며, 조사대상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변수들의 정규성을 검정하기 위해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변수들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마지막으로 종속변인에게 독립변인들이 미치는 영향과 인과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지역사회 특성이 청소년 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청소년시설 인지도, 청소년시설 접근성, 청소년시설 만족도가 종속변수인 청소년 활동 참여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시설 만족도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청소년시설 인지도가 두 번째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청소년시설 접근성은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종속변수와의 유의 확률을 분석한 결과 청소년 활동 만족도는 활동참여가 적은 청소년집단과 활동 참여가 많은 청소년집단 모두 가장 높은 유의확률을 보였다. 이를 통해 청소년 활동 참여에 청소년시설 만족도가 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청소년시설 인지도의 경우 활동참여가 많은 청소년들에게만 유의한 확률을 보였다. 전체적인 청소년시설 인지도의 평균 수준이 낮은 것을 반영할 경우 청소년시설 인지도 역시 청소년 활동 참여에 전적으로 영향을 끼친다고 볼 수 있다. 청소년시설 접근성의 경우 활동참여가 많은 청소년들에게만 영향을 끼쳤다. 하지만 청소년시설 접근성이 한 단계 줄어들 때 활동 증가가 나타나 부정적인 확률 변화를 보여, 실제적으로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지역사회인식은 유의미한 영향을 보이지 않았다. 지역사회인식의 빈도분석 결과의 평균 전수는 30점 만점에 23점으로 평균 점수를 높이 상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 안전과 관련한 인식에서는 긍정적인 인식수준이 상위 평준화 되어 대체적으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 진다. 이는 연수구의 전체적인 안전수준이 높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는 결과로 지역사회인식이 청소년 활동 참여에 끼치는 영향이 적음을 설명하는 이유로 예측된다. 연수구 지역의 특수성인 신도심과 구도심의 차이에 대한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를 보면, 신도심에 대비해 구도심에 거주하는 청소년의 경우 활동참여가 많은 집단에 속할 확률이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거주지의 차이가 청소년 활동 참여에 정적인 영향을 끼친다고 예측된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 활동 활성화를 위해 인지도를 높이는 체계적인 홍보 전략수립, 청소년시설의 새로운 역할정립 및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과 다양화, 신도심과 구도심의 균형적 청소년 활동 지원체계 확립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 special area called Yeonsu-gu, Incheon, where there have been differences between the new town and the old town rapid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related to youth activities in the certain region. It is also to encourage teenagers to participate diverse youth activities and to support them. This study has a purpose to set up plans in order to improve welfare systems such as well-balanced youth activities in a good environment. Especially, it can be a meaningful data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unity and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youth activities as the data has not been investigated in the past.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community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1) the community resources (the awareness of youth facilities / satisfaction / accessibility), 2) the awareness of community safety and 3)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y. For this research, this survey was conducted b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Yeonsu-gu. 1,152 students answered the survey. 'SPSS 23.0' was applied to analyze the survey data. Frequency analysis was used in order to find the general features. In addition,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was conducted to test the normality of variable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see the correlation of the main variables. Finally, a poly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 and how independent variables influence to dependent variables. This study shows the results of analysis which is based on the influences of community features on youth activities. The participation of youth activities as a dependent variable is influenced by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the awareness of youth facility, facility accessibility and the satisfaction level of youth facilities the satisfaction level of youth facility is the most highly related to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youth activities. The awareness of youth facility is the second highest factor. In the case of the facility accessibility is the less related to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youth activities. As a result of analyzing p-value with dependent variables, the satisfaction level of youth activities showed the highest p-value in both the low-level participation of youth group and the high-level participation of youth group. Through this result, the satisfaction level of youth facilities has the positive effect on enhancing the participation level of youth activities. In the case of the awareness of youth facilities, there was the only noticeable effect to teenagers who often takes part in youth activities. If the awareness level of youth facility awareness is low, it entirely impacts on the participation level of youth facility. Facility accessibility has the only impact on teenagers who participate in many youth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it has a bad impact on visitors when the facility accessibility gets worse. Community safety awareness had no significant effect. The average result of the frequency analysis of community safety awareness was 23 points out of 30, which is higher than the average score of other factors. In the perceptions related to community safety, the level of positive perception seems highly satisfactory. It shows the safety level of Yeonsu-gu is averagely high and it significantly doesn’t have any negative effects on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youth activities. From the results of the poly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eenagers living in the old town may belong to the groups that participate twice as likely to participate in youth activities as teenagers living in the new downtown.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differences in residence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participation in youth activi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suggests that youth facilities need to consider diverse strategies by enhancing the quality of programs and diversifying youth programs for invigorating youth activities. It is also important to balance each town.

      • 멀리뛰기 발구름 동작의 운동학적 분석

        안병욱 경성대학교 대학원 199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kinematic variables on the take-off motion of long jump. A typical high speed film analysis technique including DLT method was adapted to record and analyze total of eight long jumps performed by elite woman athletes at a track and field events. The followings were fou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ake-off horizontal velocity and performed records was significantly related as r=.61 at p<.05 level. However, it was not possible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ouch-down horizontal velocity and performed records. It was not possible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ouch-down vertical velocity, take-off vertical velocity and performed records. The relationship between take-off velocity and performed records was significantly related as r=.71 at p<.05 level. However, it was not possible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ouch-down velocity and performed record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lean angle at take-off and performed records was significantly related as r=.85 at p<.05 level. However, it was not possible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lean angle at touch-down and performed record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COG height at take-off and performed records was significantly related as r=.66 at p<.05 level. However, it was not possible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COG height at touch-down and performed recor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ake off distance and performed records was significantly related as r=.80 at p<.05 leve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ot contact time and performed records was significantly related as r=.64 at p<.05 level.

      • 체외충격파치료와 신경근육전기자극이 만성뇌졸중 환자의 균형, 보행, 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영향

        안병욱 대구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만성뇌졸중 환자에 일반적 운동치료그룹(GPT), 일반적 운동치료그룹 + 신경근육 전기자극치료(GPT+NMES)그룹, 일반적 운동치료그룹 + 신경근육 전기자극치료그룹 + 체외충격파 치료그룹(GPT+NMES+ESWT)를 적용하여 각 각 TUG, BBS, 보행시 하지의 무릎과 발목관절가동범위평가, 근활성도 변화, 보행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치료기간에 따른 동적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 TUG와 BBS를 측정하였으며, 치료기간에 따른 TUG와 BBS에서 세 그룹 내 효과검증의 결과 치료 전, 후 4주, 8주후에 모두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으며, 치료기간과 치료방법에 따른 상호작용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치료 기간별 TUG와 BBS 평균값에서 세 그룹에서 유의한 감소가 있었으며, GPT+NMES+ESWT 큰 감소가 있었다. 또한 평균값에서도 세 그룹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GPT+NMES+ESWT 증가 폭이 크게 나타났다. 보행 시 하지의 무릎과 발목관절 가동범위 평가에서는 중재기간에 따른 각 그룹의 무릎 관절각도의 차이와 발목 관절각도의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치료기간과 치료방법에 따른 상호작용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치료기간별 효과 크기에서는 각 치료군은 8주후와 각 시점간의 무릎, 발목 관절각도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치료 기간별 무릎, 발목 관절각도의 추정된 평균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적용 유형별 유의한 차이가 있으나 GPT+NMES+ESWT의 증가가 더 컸다. 보행시 치료기간에 따른 하지의 근 활성도 변화를 비교하였으며, 치료 기간에 따른 보행시 넙다리곧은근, 반힘줄모양근, 앞정강근, 종아리근 근 활성도에 있어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치료기간과 치료방법에 따른 상호작용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치료기간별 효과 크기의 결과는 각 치료군은 8주후와 각 시점간의 넙다리곧은근, 반힘줄모양근, 앞정강근, 종아리근 모두 근 활성도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치료 기간별 넙다리곧은근, 반힘줄모양근, 앞정강근, 종아리근의 근 활성도의 추정된 평균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적용 유형별 유의한 차이가 있으나 GPT+NMES+ESWT의 증가가 더 컸다. 보행 특성의 분석 결과 중재기간에 따른 보행속도, 분속수의 차이 결과에서 치료 기간에 따른 세 그룹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치료기간과 치료방법에 따른 상호작용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치료기간별 효과 크기 결과는 각 치료군은 8주후와 각 시점간의 보행속도, 분속수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치료 기간별 보행속도, 분속수의 추정된 평균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적용 유형별 유의한 차이가 있으나 GPT+NMES+ESWT의 증가가 더 컸다. 중재기간에 따른 세 그룹의 보장 비대칭율, 단하지 지지시간 비대칭율의 차이 결과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치료기간과 치료방법에 따른 상호작용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치료기간별 효과 크기를 알아보기 위해 대비 검정을 한 결과 각 치료군은 8주후와 각 시점간의 보장 비대칭율, 단하지 지지시간 비대칭율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치료 기간별 보장 비대칭율, 단하지 지지시간 비대칭율의 추정된 평균값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며, 적용 유형별 유의한 차이가 있으나 GPT+NMES+ESWT의 감소가 더 컸다. 결과적으로 뇌졸중 환자에게 TUG와 BBS, 근 활성도 측정, 보행 평가, 보행 시 하지의 무릎과 발목 관절의 관절가동범위 평가에서 세 그룹 모두 유의한 향상이 있었다. 특히 GPT+NMES+ESWT 그룹에서 다른 두 그룹 보다 상대적인 향상이 있었다. ESWT치료의 병행이 기존의 뇌졸중 환자의 치료에 추가적인 치료방법으로 적용에 연관성을 두어 효과적 뇌졸중 치료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ESWT) on balance, gait and range of motion (ROM) of lower extremities including knee and ankle joints in chronic patients with stroke. [SUBJECTS AND METHODS] Forty-five in-patient subjects at least 6 months post-stroke were recruited in the study.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a general physical therapy group (GPT, n=15),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group (NMES, n=15), or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group (ESWT, n=15). Subjects in each group received the treatment 30 minutes daily for 5 days a week during 8 weeks of treatment period. The Gaitrite System was used for gait analysis. Assessment for balance included timed up and go test (TUG) and Berg balance scale (BBS). Range of motion (ROM) changes in the knee and ankle joints were measured with a goniometer. All patients were measured 3 times over an initial baseline prior to the intervention, 4 weeks and 8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All measurement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analysed using SPSS Windows version 21.0. Two-way ANOVA was used to identify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over treatment period each group. Paired t-test was then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were intra-group differences each group. For assessing the inter-group changes, two-way repeated ANOVA was used. The least square difference (LSD) test was used for post hoc analyses. [RESULTS] All groups showed significant intra-group differences in the gait analysis, TUG, BBS, and ROM of knee and ankle joints after the intervention.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inter-group differences after intervention, subjects in the group of ESWT reported improvements in gait, balance, and ROM of lower extremities including the knee and ankle joint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applied to a general physical therapy including the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can be effective to treat chronic patients with strok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