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스토리텔링 그룹 활동이 ADHD 아동의 화용적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안미화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find out the effects of storytelling Group-Activity on the pragmatic communication abilities of children with ADHD. In order to solve these issues it has been carried out a total of 15 times three times a week to 50 minutes per session for 5-weeks. The subject are 3 school-aged students with ADHD.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 strategy, the experimental instruments have been applied using the Storytelling group-activity. The result has been analyzed parallel for a data process using a table and a bar graph, and the overall changes in those children appeared examination have been recorded, observed, and analyzed. Communication attitude measurements were taken by S-24 (Modified Erickson Scale of Communication Attitudes). The conclusions derived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torytelling Group-Activity increases the pragmatic abilities of children with ADHD. Second, Storytelling Group-Activity increases the communication attitude of children with ADHD. Therefore Storytelling Group-Activity improved the interaction with other people, and it has an effect on the pragmatic communication abilities of children with ADHD. 본 연구의 목적은 스토리텔링 그룹 활동이 ADHD 아동의 화용적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 연구하고자 하는 화용적 의사소통 능력은 화용적 능력과 의사소통 태도이다. 화용적 능력은 인사에 반응하기, 요청하기, 사건이나 경험을 설명하기, 차례 지켜 말하기, 지시 따르기, 시선 접촉하기, 따라 말하기, 과업에 주목하기, 화제를 유지하기, 역할 놀이하기, 순서대로 행동을 묘사하기, 사물의 기능을 이해하기, 그리고 활동이나 대화 시도하기의 13가지 항목이며, 의사소통 태도는 자신감, 적극성, 관심도, 안정감, 어려움의 5가지 항목으로 정의하였다. 스토리텔링 그룹 활동은 크게 5단계로 구성되어 있는데 제 1단계는 치료사의 스토리텔링을 듣고 아동이 다시 말하기, 제 2단계는 개인사진에 관해 스토리텔링하기, 제 3단계는 그림 순서대로 말하기, 제 4단계는 주어진 문장에 이어서 스토리텔링하기, 제 5단계는 핵심어휘와 관련된 스토리텔링하기로 구성되어 있다. 중재는 제 1단계부터 제 5단계까지 단계마다 각각 3회기씩 중재를 실시하였고, 중재 프로그램은 총 15회기 실시하였다. 매 회기는 50분간 3명의 ADHD 아동들의 그룹 활동으로 진행하였다. 대상아동은 소아정신과 전문의로부터 ADHD로 진단받은 세 명의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들로 구문의미이해력 검사 결과 언어연령이 4세에서 6세인 아동을 선정하였다. 이들은 모두 KEDI-WISC 검사에서 언어 성 IQ 80이상, 동작 성 IQ 80이상으로, 기타 감각장애나 신경계 결함을 수반하지 않고 약물을 복용하지 않는 아동들이다. 이들은 주의력 결핍으로 인해 또래관계에서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적절하게 표현하지 못하고 소외를 당하거나 위축되거나 폭력적인 성향을 많이 보인다는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ADHD 아동의 화용적 의사소통 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화용적 능력 평가와 의사소통태도의 평가를 사전, 중간, 사후에 실시하였다. 화용적 능력의 평가는 언어 진단 평가도구를 본 연구에 맞게 13가지 항목으로 재구성한 것으로서 아동의 반응에 따라 +, -, 혹은 ±로 평가하였다. 그리고 의사소통 태도의 평가는 자신감, 적극성, 관심도, 안정감, 어려움의 5가지 항목을 5점 척도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토리텔링 그룹 활동이 ADHD 아동의 화용적 능력을 향상시킨다. 인사 반응하기, 요청하기, 사건이나 경험 설명하기, 차례 지켜 말하기, 지시 따르기, 시선 접촉하기, 따라 말하기, 과업 주목하기, 화제 유지하기, 역할놀이하기, 순서대로 행동묘사하기, 그리고 활동이나 대화 시도하기 등의 화용적 능력들이 중재 전과 비교해볼 때 전반적으로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토리텔링 그룹 활동이 ADHD 아동의 의사소통 태도를 향상시킨다. 대상 아동마다 조금씩의 차이는 있지만, 전반적으로 자신감, 적극성, 관심도, 안정감의 요소에서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고, 의사소통의 어려움에 대한 평가척도는 감소하여 다른 항목들과 마찬가지로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3명의 아동 모두 화용적 능력과 의사소통 태도 평가 결과 화용적 능력에서 향상을 보였고, 전반적인 의사소통 태도에서도 긍정적 반응을 보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스토리텔링 그룹 활동이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증진시켜 ADHD 아동의 화용적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에 영향을 준 것으로 결론 내릴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대상 아동이 ADHD 아동이라는 특성을 고려하여 그룹 활동의 한계점을 보완하는 연구방법에 대한 고찰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화용적 의사소통 능력에 대한 보다 객관적인 평가 도구를 만들어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ADHD 아동의 다방면적 언어능력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ADHD 아동의 화용적 의사소통 능력뿐만 아니라 다방면적 언어 문제에 관해 더욱 연구해야 할 필요가 있겠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중재 프로그램인 스토리텔링이 ADHD 아동 외의 다른 언어장애 아동들의 결속표지나 이야기 분석 능력 등의 향상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후속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질 것을 기대한다.

      • 아두이노 기반의 사용자 참여형 스마트 포토닉 의류 프로토타입 개발

        안미화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As a fashion product that combines IT technology, smart clothing is being developed as a popular product with various forms and functions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Smart photonic clothing is a smart clothing in which the appearance of clothing is expressed in digital colors. It has various functions such as safety protection function, entertainment function, and communication function. Smart photonic clothing has been developed in various ways, mainly in the overseas fashion market, but in Korea, there have been few cases developed as a popularized product. In addition, previous studies in academia also had limitations in which research to develop a single function product limited to a specific use was conduc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d manufacture a user-participating smart photonic clothing prototype in the style of everyday wear, focusing on multi-functionality that can utilize the digital colors of smart photonic clothing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wear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ith the theoretical background, investigate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smart photonic clothing, examples of user-participating fashion design, and the concept and features of Arduino, a software program that can control digital colors. The concept setting and design tool for clothing production were derived. Second, the circuit of the LED module that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to the smart photonic clothing was designed using the LED matrix and the main board Circuit Playground Express. In addi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usability of smart photonic clothing as a daily wear, a jacket pattern designed for everyday wear and a pocket pattern for attaching and detaching an LED module were designed. Third, the LED module was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designed circuit diagram, and a smart photonic clothing prototype in the form of a jacket and a module pocket were completed to attach and detach the LED module according to the designed pattern. Fourth, it showed the process of designing and changing the pattern of the LED color displayed externally according to the user's design intention by using the coding command input of the Arduino IDE for the customized LED pattern. It also showed how to change the design through coding changes. In addition, a coding design method was proposed to control the LED emission mode according to various sensors. Fifth, the utility of the prototype was verified by suggesting LED patterns of various messages and images suitable for safety protection, entertainment, and communication functions, which are typical functions of smart photonic clothing.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design change process through the coding work of the Arduino IDE program may be somewhat limited in terms of accessibility and cognition to the general consumer. Therefore, in the future research,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a simplified design tool or application and systematize the manual to change the pattern design so that the general consumer can design the LED pattern more easily. Based on the prototype of smart photonic clothing developed i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process of developing user-participating smart clothing suitable for the consumer-producer era will be established. IT 기술을 접목한 패션상품인 스마트 의류는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점점 다양한 형태와 기능성을 갖춘 대중적인 제품들로 개발되고 있다. 스마트 포토닉 의류는 의복의 외관이 디지털 컬러로 표현되는 스마트 의류로 높은 가시성과 미적 표현성을 통해 착용자의 안전보호 기능과 엔터테인먼트 기능, 메시지 전달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갖추고 있어 해외 패션시장을 중심으로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으나 국내의 경우 대중화된 상품으로 개발된 사례가 미비하고 학계의 선행연구도 특정용도로 제한된 단일 기능의 제품을 개발하는 연구가 이루어지는 한계점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포토닉 의류의 디지털 컬러를 착용자의 니즈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멀티기능성에 초점을 두어 일상복 스타일의 사용자 참여형 스마트 포토닉 의류 프로토타입을 설계 및 제작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 배경으로 스마트 포토닉 의류의 개념 및 개발사례, 사용자 참여형 패션디자인 사례, 디지털 컬러를 제어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인 아두이노의 개념 및 특징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이를 통해 스마트 포토닉 의류 개발을 위한 콘셉트 설정 및 의류 제작용 설계도구를 도출하였다. 둘째, 아두이노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LED 패턴의 설계 및 출력이 가능한 LED 매트릭스와 센서와 LED가 일체화 된 메인보드 Circuit Playground Express를 이용하여 스마트 포토닉 의류에 탈부착 가능한 LED 모듈을 설계하였다. 또한 스마트 포토닉 의류의 일상복으로서의 사용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일상적으로 착용이 가능한 재킷 패턴을 설계하고 LED 모듈을 탈부착 하기 위한 포켓 패턴을 설계하였다. 셋째, 설계된 회로도에 따라 LED 모듈을 제작하고 디자인한 패턴에 따라 LED 모듈을 탈·부착할 수 있는 재킷과 모듈 포켓 형태의 스마트 포토닉 의류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였다. 넷째, 의복의 착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니즈에 부합하는 사용자 맞춤형 LED 패턴을 제시하고자 사용자의 디자인 의도에 따라 외부에 표시되는 LED 컬러의 패턴을 설계 및 변경 할 수 있도록 아두이노 IDE의 코딩설계를 통한 디자인 설계 방법을 제시하였다. 더불어 다양한 센서에 따른 LED 발광모드를 제어할 수 있는 코딩설계 방법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스마트 포토닉 의류의 대표적인 기능인 안전보호 기능, 엔터테인먼트 기능, 커뮤니케이션 기능에 맞는 다양한 메시지와 이미지의 LED 패턴을 설계하고 착용자의 상황에 따른 센서별 LED 발광모드를 설계하여 멀티기능성을 갖춘 일상복으로서의 프로토타입의 활용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국내 패션시장에서 스마트 의류가 대중에 패션아이템으로서의 인식이 부족한 한계점이 있음을 인지하여 스마트 의류의 대중화 및 실용화를 목적으로 일상복 형태의 멀티기능을 갖춘 스마트 포토닉 의류의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는 점에 있다. 또한 일상복의 경우 소비자가 의복을 착용하고 디자인을 평가한 뒤 선호하는 디자인을 재구매하는 일방향적이고 소모적인 형태의 소비구조였다면 본 연구에서 개발한 스마트 포토닉 의류는 의복의 착용 및 평가단계에서 사용자가 스스로 디자인 변형에 참여함으로써 패션아이템을 재디자인(re-design)하고 재생산(re-creative)할 수 있어 소비자가 의복을 재구매하지 않아도 선호하는 디자인의 의복을 지속적으로 착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지속가능패션으로서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아두이노 IDE 프로그램의 코딩작업을 통한 디자인 변경과정이 일반소비자에게 접근성과 인지적인 면에서 다소 제한이 있을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일반소비자가 보다 쉽게 LED 패턴을 디자인 할 수 있도록 간소화된 디자인 툴이나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패턴설계를 변경하는 매뉴얼을 체계화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불꽃처럼 나비처럼"과 "ELIZABETH-THE GOLDEN AGE" 의 영화의상 연구 : 명성황후와 엘리자베스 여왕 1세를 중심으로

        안미화 제주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movie costumes, artistic and figurative, serve to maximize the dramatic conveying effect of the movie’s theme, actor’s character, and the image of a dramatic situation expressed through clothing. As the public becomes more interested in the movies, the most accessible of the many cultural artistic performance genres, the interest in costumes is also increasing. Especially the costumes made for dramatization of historic events based on facts are the most effective method to directly transfer information, such as the movie’s theme, the actor’s character, and image of a dramatic situation, to the audience. Added to that, the reproduction and the reinterpretation through historical costumes convey the image more effectively to the audience.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research would be meaningful if it studied on how the movie costumes are implied with symbols in order to present a dramatic image depending on the situation. Therefore this research compared, analyzed, and interpreted the historical plays produced on historical backgrounds, ‘Like fireworks like butterfly’ and ‘Elizabeth – Golden Age’. In other words, five dramatic situations were extracted in order to compare and analyze the costumes of Empress Myeongseong of the movie ‘Like fireworks like butterfly’ to the costumes of Queen Elizabeth from ‘Elizabeth – Golden Age’ First, the charisma as a politician involved in politics, second, the inside that wants to live as a loved woman, third, the extreme sadness from political conflicts, fourth, the strength against the opposing power, fifth, the nobleness that does not fear death, and such are the situations extracted. The costumes presented according to the storyline and the personalities of the two characters with these five as the basis are compared and analyzed, and the implied symbolic meaning could be interpreted and analogized based on the results. Therefore the summation of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s the following. Firstly, having compared and analyzed the costumes of the two characters that show the charisma as politicians, even though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ir status as queen and empress, both had the charisma needed for politics compressed in their costumes. Secondly, having compared and analyzed the inside of the two protagonists who want to live as loved women, one could derive that they were in an inside conflict between the life as a woman and the destined life as a queen. In other words, the costumes of the protagonists had an ambiguous inner conflict compressed in them. Thirdly, having compared and analyzed the costumes of the protagonists who are in extreme sadness due to political conflict, the two costumes are similar in that both imply sadness even though expression technique may be different. In other words, the sadness is implied in the costumes of both of the characters. Fourthly, having compared and analyzed the strength of the two protagonists when facing the opposite side, even though there may be differences regarding the situation, both of the protagonists’ costumes derived the strength to face the enemies. Fifthly, having compared and analyzed the costumes of the two characters who show nobleness in not fearing death, there was nobleness that did not fear death and the dignity of the destined status as the monarch of England and the Mother of the State of Chosun even when facing regicide and assassination. In other words, the costumes of the two protagonists implied nobleness. As shown, one may extract that there are similar symbols of the movie costumes presented at the dramatic scene even though they may each be from different movie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symbolic meaning, along with the expression of the dramatic atmosphere, needs to be implied in the design of the movie costumes. Also it is considered that providing diverse ways of expressing in the attempts of designing movie costume of diverse genre may not only be a method to fasten the development of the movie industry, but also is the baseline in giving artistic value to the movie costumes as a genre of art. 영화 의상은 예술적, 상징적인 의상으로 영화의 주제, 배우의 캐릭터, 극적인 상황의 이미지 등이 의상을 통해 표현됨으로써 극적인 전달 효과를 극대화 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러 장르의 문화 예술 공연 중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영화에 대한 대중들의 많은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영화 의상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특히 역사적 실화를 바탕으로 기획된 시대극 의상은 영화의 주제, 배우의 캐릭터, 극적인 상황의 이미지 등의 정보를 관객에게 직접 전달하는 가장 효과적인 도구이다. 더불어 복식사적 고찰을 통한 재현 및 재해석된 영화의상은 더욱더 관객들에게 효율적인 이미지 전달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영화의상이 상황에 따른 극적인 이미지 표출을 위해 어떠한 상징적 의미를 함축시켜 표현되는지를 연구하는 것은 매우 의의가 있을 것이라 사려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대적 배경으로 기획된 시대극인 ?불꽃처럼 나비처럼?과 ?엘리자베스-골든 에이지?를 비교 ? 분석 ? 해석하였다. 즉, 영화?불꽃처럼 나비처럼?에서의 명성황후와 '엘리자베스-골든에이지'에서의 엘리자베스 여왕의 영화의상을 비교 ? 분석하기 위해 극의 스토리 전개 상 두 주인공의 공통적인 캐릭터가 표출된 장면들에서 유추된 다섯가지 이미지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정치에 참여하는 정치인으로서의 카리스마, 둘째, 사랑받는 여인으로 살아가고 싶은 내면, 셋째, 정치적 갈등에서 온 극도의 슬픔, 넷째, 반대 세력에 맞선 강인함, 다섯째,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는 당당함 등이다. 이 다섯 가지를 기본으로 두 주인공의 성격과 상황적 스토리에 의해 표출된 의상들을 선별하여 비교 ? 분석하고, 그 결과를 근거로 함축된 상징적 의미를 유추 ? 해석할 수 있었다. 따라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치인으로서의 카리스마를 표출시킨 두 주인공의 의상을 비교 분석한 결과, 두 주인공이 왕비와 여왕이라는 지위 차이는 있지만, 그 무엇보다도 두 주인공의 의상에는 정치에 필요한 카리스마가 함축되었다. 둘째, 사랑받는 여인으로 살아가고 싶은 내면에서의 두 주인공의 의상을 비교 분석한 결과, 여인으로의 삶과 왕비 또는 여왕으로서의 운명적 삶 사이에서 갈등하는 내면의 상태가 함축되어 있음을 도출할 수 있었다. 즉, 두 주인공의 극 중 의상에는 이중적 내면의 갈등이 함축되었다. 셋째, 정치적 갈등에서 온 극도의 슬픔에서의 두 주인공의 의상을 비교 분석한 결과, 두 주인공의 의상 표현기법에는 차이가 있지만, 그 무엇보다도 슬픔을 함축시킨 부분은 유사하다. 즉, 두 주인공의 극 중 의상에는 슬픔이 함축되었다. 넷째, 반대 세력에 맞선 강인함에서의 두 주인공의 의상을 비교 분석한 결과, 두 주인공은 상황적 차이가 있지만, 두 주인공의 의상에는 적에 대응하기 위한 강인함이 공통점으로 도출되었다. 즉, 두 주인공의 극 중 의상에는 강인함이 함축되었다. 다섯째,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는 당당함에서의 두 주인공의 의상을 비교 분석한 결과, 시해와 암살이라는 상황에서 두 주인공의 운명적 지위인 조선의 국모와 영국의 국왕으로서의 위엄을 지키며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는 당당함이 공통적으로 도출되었다. 즉, 두 주인공의 의상에는 당당함이 함축되었다. 이와 같이 동서양이란 지리적 차이, 시대의 차이 및 지위의 차이가 있는 영화라 하더라도 유사한 극적인 상황에 따라 표출된 영화의상의 상징적 의미가 유사함을 유추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영화의상의 디자인에는 영화의 극적인 분위기의 표현은 물론 이에 따른 상징적 의미도 함축되어야 함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다양한 장르의 영화의상 디자인 시도에 다양한 표현기법을 제공해줌으로써 영화산업의 발달을 촉진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사려되며, 더 나아가서는 영화의상을 예술의 한 장르로 예술적 가치를 부여하는 데에 밑거름이 되리라고 본다.

      • 初等學校 敎員이 인식한 敎員의 專門性과 그 伸張을 위한 인센티브 간의 關係

        안미화 建國大學校 2005 국내박사

        RANK : 248639

        영문초록: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fessionalism of a teacher and the incentiv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professionalism, a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The population of this study was limited to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eoul and Gyung-gi province. By random sampling, each 10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selected from 50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from 37 elementary schools in Gyung-gi province. The total subjects were 870. The statistical methods applied for the data analysis were: the three-way analysis of variance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and the incentives;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and the incentives.By literature review, open-ended surveys, and experts' judgements, the items for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and the incentives were selected. To test the validity of these items, the three round Delphi techniques and surveys were administe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difference analysis about th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factors of professionalism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the factors of professionalism according to gender. Female teachers had higher means on the attitude, curricular guidance, self-development, student guidance, and class management than male teachers.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in this study were: the competence and attitude of teachers in Gyung-gi province were higher than in Seoul; in terms of position, head teachers showed the lowest in curricular guidance, and principals and vice principals showed the highest in curricular guidance, and there was an interactive effect between location and gender; the higher the position of teacher was, the higher the self-development of teacher was; there were interactive effects between location, gender, and position, in student guidance and class management. Second, the result of difference analysis about the teacher's perception of the factors of the incentives showed that the higher the teacher's position, the higher mean the teacher had in personnel and finance. Teachers in Seoul had higher means than in Gyung-gi province, according to location, and there was an interactive effect between location and posit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working environments according to their position. The means of head teachers were the highest and the means of principals and vice principals were the lowest. The means of female teachers were higher in class management, autonomy, morale, welfare, teacher's training, and policy than male teachers.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were: The lower the position of the teacher, the lower class management and autonomy were; there was an interactive effect between location and gender; it appeared that the lower the position of the teacher, the lower the welfare of the teacher was; teachers in Gyung-gi province showed higher means in policy than in Seoul, and there was an interactive effect between location and gender. Third, there was a high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and the incentives. Especially, there was a high positive correlation among personnel, finance, and self-development.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and the incentives showed that the incentive predicted 11 percent of the competence and the attitude of teachers. The incentive predicted 17 percent of curricular guidance. The incentives predicted 27 percent of self-development. The incentives predicted 21 percent of student guidance. The incentives predicted 28 percent of class management.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gender, there were signigicant differences in the factors of the professionalism, such as competence, attitude, self-development, student guidance, and class management. Especially, in curricular guidance,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location and gender. In student guidance and class management,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location, gender, and position. Therefore, to develop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location, gender, and position, should be considered. Second, in terms of teachers' position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ncentive factors, such as personnel, finance, working environments, class management, autonomy, and welfare. In terms of gend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ass management, autonomy, teacher's morale, welfare, teacher's training, and polic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sonnel, finance, and policy, according to location.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among location, gender, and position, in personnel, finance, class management, autonomy, and policy.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the quality of school education, and the incentives, the characteristics of principals, vice principals, head teachers, and teachers should be considered. Third,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centive factors and the professionalism as perceived by teachers showed that the incentive predicted 11 percent of competence and attitudes, 17 percent of curricular guidance, 27 percent of self-development, 21 percent of student guidance, and 28 percent of class management. The incentive factor had various and even influences on each of the factors of professionalism. This result shows that the incentive factor was very suitable for the improvement of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and was a very necessary policy to guarantee the motives of teachers. Therefore,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a program which can check and correspond to the need for incentives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the above results and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as follows: First, the special quality of teaching profession, if they don't have a enthusiastic motive to teach, it is hard to be achieved the genuine education. Therefore the Education Authorities should develops and offers them various and continuous incentive in advance than undifferentiated compensator. Second, if future empirical studies about the domains which had a high relationships between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and the incentives follow, more reliable incentives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can be developed. Third,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future studies examining nation-wide subjects, including more teachers and educational administrators should follow

      • 초등학교장의 변혁지향적 지도성과 교사의 직무 수행의 관계

        안미화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principals and the job performance of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Four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in this study: 1.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elementary school principals and the job performance of teachers? 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variables of principal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he subvariables of teacher job performance? 3. What differences d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gender, position and career) and a background variable of school(school size) make to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principals? 4. What difference d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eachers(gender, position and career) and a background variable of school(school size) make to their job performance?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relevant literature was reviewed, and an experimental research was conducte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91 teachers who were selected by stratified random sampling from 30 elementary schools in the city of Ulsan in consideration of gender, position, career and school size.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Nho Jong-hee(1994)'s Principal Transformational Leadership Questionnaire, or PTLQ. Cronbach alpha test was carried out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 used to track connections between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principals and the job performance of the teachers, and t-test and F-test were utilized to see if the teachers took a different view of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heir principals and their own job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Besides, Pearson simple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look for relations between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s and their job performance.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performed their job better when the principals exerted a transformational leadership more.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s built on respect for teachers, personal interest, equal treatment and emphasis of ability development, and the finding suggested that teachers are able to fulfill their job in a more pleasant and active manner when principals try to get closer to them. Second, regarding connections between the subvariable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hose of teacher job performance, there was a stronger correlation between the principals' human respect and class preparation of the teachers, and setting an example by the principals was largely correlated to the teachers' instruction and work handling. Human respect by the principals had a great impact on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that had the closest correlation to their improvement in expertise as well. Third, as to the impact of principal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the teachers by gender, more of the male teachers found their principals to have a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pecifically, the male teachers considered the principals to respect others and take the initiative more than the female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ale and female teachers in the way of looking at the innovativeness of the principals. Concerning the influence of position, the head teachers found the principals to have a transformational leadership more than the lay teachers. The former had a higher opinion on the principals' human respect, taking the initiative and innovativeness than the latter,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was not significant. Fourth, as to differences in job performance by gender, the male teachers outdid the females in that regard. In particular, the former was ahead of the latter in class preparation, teaching, interpersonal relations and expertise improvement. The latter surpassed the former in work handling, but the intergroup difference was not signifiant. By position, the head teachers outperformed the lay teachers. Especially, the former excelled the latter in work handling, expertise improvement and interpersonal relations, but no significant intergroup gap was found in class preparation and teaching. By career, those whose career was 20 years or more were the best performers, followed by those with a career of 10 to 20 years and those with a career of less than 10 years. Thus, the more-experienced teachers were ahead of the less-experienced teachers. The school size made no difference to their job performance. In conclusion,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s had a great deal of impact on the job performance of the teachers. Especially, human respect and taking the initiative exercised a huge influence on that. As principals are empowered to use their discretion in most areas of school education, they should try to exert a transformational leadership, establish amiable relations with teachers and set an example to them. That will make it possible for them to turn into competent managers who can boost the job performance of teachers.

      • TV 드라마의상의 모리스 미학기호학적 해석 : <우아한 家>와 <시크릿 부티크>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안미화 제주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39

        드라마의상은 드라마의 극적 효과를 높이기 위한 시각적 표현수단으로, 드라마의 서사구조에 따른 갈등구조와 등장인물 내면의 심리, 캐릭터의 극적 표현을 시각적 영상언어로 강화시키거나 전달하는 기능이 있다. 이에 드라마의상이 등장인물에게 착용되는 그 자체로의 도상기호이고, 이를 통해 표현되는 다양한 의미들의 가치를 지닌 미학기호라고도 할 수 있다. 미학기호학은 모리스가 기호의 세미오시스의 탐구를 통해 기존 기호학의 영역을 확대함으로써 의상, 몸짓, 표정 등의 비언어적 기호의 기호론적 의미를 포함한 예술 영역과 미학적 탐구를 적용시켜 정립한 학문이므로, 드라마의상의 기호학적 분석  해석을 위해 모리스의 미학기호학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서사구조에 따른 주요중심인물들의 캐릭터와 심층구조에 내재된 함축적 의미가 표출된 드라마의상의 영상언어를 시각이미지로 형성화하여 도출한 결과를 미학언어로 구축하고자 함이었다. 이를 위해 모리스의 미학기호학의 개념과 복식의 미적범주를 고찰하였고, 드라마의 서사구조와 중심인물의 캐릭터 유형과 성격을 분석한 후 캐릭터화 하였다. 모리스의 미학기호학을 토대로 영상언어인 드라마의상의 의미표출양식을 분석  해석하기 위한 모형을 구축하였고, 이상에서 도출한 드라마의상의 미학기호학적 분석  해석 모형을 바탕으로 <우아한 가>와 <시크릿 부티크>의 드라마의상을 실증적으로 분석  해석하여 영상언어를 복식의 미적 범주의 미학언어로 구조화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최근 방영한 TV 드라마 중 <우아한 가>와 <시크릿 부티크>를 선정하였다. 그 이유는 두 드라마의 서사구조 속 중심인물들 간의 갈등구조를 중심으로 사건이 전개되고 이 갈등구조 속에서 함축적인 의미를 담고 있으며, 스토리에 전개된 갈등관계의 중심인물들의 상반된 이미지가 나타나는 점이다. 또한 두 드라마의 중심인물 간의 사건의 유사구조와 이에 따른 캐릭터의 유사성이 나타나는 점이다. 모리스의 미학기호학은 미학기호의 형식적인 구조에 적용 가능한 미학언어를 탐구하는 역할의 미학통사론, 미학기호의 지시대상이나 조건의 미적가치의 구조 의미를 의미작용 차원(지시적, 강조적, 처방적)에서 탐구하는 역할의 미학의미론, 미학기호의 생산자와 감상자 간의 미학기호의 기능적 사용 차원(정보적, 가치적, 선동적, 체계적)을 탐구하는 역할의 미학화용론으로 정의할 수 있었으며, 모리스의 미학기호이론을 미학통사론적 차원, 미학의미론적 차원, 미학화용론적 차원에서 드라마의상의 미학기호학적 분석 · 해석 모형을 구축하였다. 미학통사론적 차원에서는 도상기호의 시각적이고 조형적인 형식특성을 분석하는 것으로, 미학통사론 차원에서는 드라마의상의 형태, 색채, 재질, 스타일 등의 도상적 차원에서의 분석으로 이루어지고, 분석을 통해 도출된 기호를 통사론적 도상기호라고 하였다. 미학의미론적 차원에서 미학기호의 지시대상이 지닌 가치속성의 의미를 탐구하는 영역으로, 미학의미론적 차원에서의 해석은 서사구조에 따른 스토리의 지시적 차원, 스토리에 따른 캐릭터 이미지의 강조적 차원, 캐릭터 이미지를 통한 등장인물들 간의 갈등구조 반응의 처방적 차원에서의 분석 ‧ 해석을 통해 내재된 미적가치로 도출된 기호를 의미론적 미학기호라고 하였다. 미학화용론적 차원에서는 드라마의상을 비롯한 예술작품의 상징적 의미 체계를 분석한 것으로, 상징적 가치의 내재적 기능과 효과적인 의미 전달의 기능성을 정보적, 가치적, 선동적, 체계적 차원에서의 분석으로 이루어졌다. 미학화용론적 차원에서의 해석은 드라마의상의 캐릭터 심리전달의 기능과 드라마의상의 극적 효과 전달 기능을 기능적 사용 차원에서 도출된 기호를 화용론적 복합미학기호라고 하였다. 드라마의 서사구조는 드라마의 골격을 이루는 중심 스토리 구조와 다수의 주변적 스토리 구조들이 연계되어 스토리 구조에 따라 중심인물들의 다양한 이해관계들을 전개한 것이다. 중심인물들 간의 관계는 서사를 이끌어가는 중심요소이며, 인물들의 유형과 성격에 따라 대립, 반목, 협조 등의 관계로 형성된다. 따라서 드라마 서사구조에 따른 중심인물의 캐릭터를 분석하기 위해, TV드라마 <우아한 가>와 <시크릿 부티크>의 스토리 서사구조를 먼저 고찰한 후, 드라마의 골격인 중심 스토리구조와 다수의 주변적인 스토리구조를 연계하여, 중심인물 별 발단, 전개, 위기, 절정, 결말의 서사구조에 따른 캐릭터간의 갈등관계를 유추하였다. 그 결과, 중심인물 스토리 서사구조는 그룹의 최고 경영권과 과거 사건의 진실 은폐와 복수와 같은 유사구조로 구성되었고, 각 중심인물의 주변 스토리 서사구조에 전개된 사건들도 유사구조로 구성되었음을 도출하였다. 또한 모석희와 제니장, 하영서와 김여옥, 한제국과 김여옥 등의 중심인물 캐릭터가 서로 유사함을 유추할 수 있었다. 따라서 두 드라마의 중심인물들이 착용한 드라마의상(우아한 가의 모석희 100벌, 하영서, 43벌, 한제국 65벌과 시크릿 부티크의 제니장 95벌, 김여옥 62벌) 중에서 중심인물 별 서사구조(발단, 전개, 위기, 절정, 결말)에 따라 착용한 드라마의상을 발췌하여 분류였으며, 두 드라마의 서사구조와 중심인물 캐릭터 분석을 통해 유추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심 인물의 성격과 유형이 유사한 모석희와 제니장, 하영서와 김여옥, 한제국과 김여옥의 극적 장면(발단, 전개, 위기, 절정, 결말의 유사사건)에서 착용한 드라마의상을 발췌한 후 미학기호학적 해석을 하였다. 서사구조의 유사사건과 중심인물들의 유사한 캐릭터에 따른 드라마의상을 미학기호학적 차원에서 비교 ·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통사론적 도상기호의 도상적 차원에서의 형태, 색채, 재질 등의 해석에서는 다소 차이가 있으나 이를 통해 표현된 스타일에서는 대체적으로 유사함을 도출할 수 있었다. 그리고 두 중심인물간의 통사론적 도상기호를 통해 살펴 본 의미론적 미학기호의 의미작용 차원과 화용론적 복합미학기호의 기능적 사용 차원에서의 기호가 유사함을 도출하였다. 모석희와 제니장의 서사구조의 유사사건에 따른 드라마의상의 미학기호학적 차원에서의 기호과정을 통해 영상언어를 아이러니(발단), 무한한 우월성과 인간적 위대성(전개), 비장성(위기), 숭고성(절정), 품위성과 엘레강스와 시크(결말)라는 미학언어로 구조화하였다. 하영서와 김여옥의 서사구조의 유사사건에 따른 드라마의상의 미학기호학적 차원에서의 기호과정을 통해 영상언어를 스노비즘과 엘레강스(발단), 숭고한 무한성과 품위성(전개), 숭고적 비장성(위기), 숭고성와 비장성(절정), 숭고적 비장성과 비애성(결말)이라는 미학언어로 구조화하였다. 한제국과 김여옥의 서사구조의 유사사건에 따른 드라마의상의 미학기호학적 차원에서의 기호과정을 통해 영상언어를 숭고성와 엘레강스한 시크(발단), 숭고적 무한성(전개), 숭고성과 비애성(위기), 카타르시스적 숭고성(절정), 비장성(결말)이라는 미학언어로 구조화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드라마의상을 모리스의 미학기호이론인 통사론적 도상기호, 의미론적 미학기호, 화용론적 복합미학기호 차원에서의 분석 ‧ 해석 차원을 적용하여 드라마의상의 영상언어를 기호과정을 통해 미학언어로 구조화 할 수 있음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는 드라마의 서사구조에 따른 캐릭터와 사건 등의 유사성이 나타난 두 드라마의 드라마의상을 미학기호학이론을 적용하여 분석 ‧ 해석 모형을 구축하였다는 점이 의미가 있으며, 앞으로 더 다양한 장르의 드라마의상에도 적용하여 지속적으로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In drama, the drama costume is an instrument of visual expression that enhances the story’s dramatic effect while conveying the conflict within the narrative structure and codifying a character’s inner psychology or dramatic expression into its image language. Accordingly, the drama costume symbolizes the character and is an esthetic sign that expresses various meanings regarding the character. Charles Morris explores semiosis through esthetic semiotics, expanding the scope of existing semiotics to cover artistic fields, including the symbolic meanings of nonverbal signs like costumes, gestures, and facial expressions. This approach suggests that it is possible to apply Morris’s esthetic semiotics to the semantic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dramatic images. This study aims to interpret the image language of Elegant Family and Secret Boutique through costumes, which expresses the central characters’ traits concerning the stories’ narrative structures and their deeper themes. In particular, the study explores the concept of esthetic semiotics, considers the doubles’ esthetic categories, analyzes the drama’s narrative structure, and interprets the central characters’ traits. After analyzing the drama’s narrative structure and the main character, the character was transformed into a character. Based on Morris’s esthetic semiotics, a model was established to analyze and interpret the drama costumes’ semantic expression. Based on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the derived drama image, a image language was established using the costumes’ esthetic signs through empirical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the two television (TV) dramas. Among the latest dramas to be aired on TV, Elegant Family and Secret Boutique were selected because they share similar plotlines centered on the conflicts between the central characters, which contain implications on the conflicts’ structures as the central characters’ images develop. Morris’s esthetic semiotics is composed of the esthetic syntactics theory of the role of exploring esthetic language applicable to the formal structure of signs; the role of esthetic semantics in exploring the structural meaning of the values of esthetic signs or conditions in semantic action dimensions (designative, emphatic, or prescription); and esthetic pragmatics in the role of exploring the functional use of aesthetic signs (informative, valuative, incitive, and systemic) between producers and appreciators of esthetic signs. On the syntactic level, the visual and formative formal characteristics of schematic signs are analyzed. The sign derived from the analysis was determined as the syntactic icon sign, which was, in turn, derived by analyzing the shape, color, material, and style of the drama based on its esthetics. This area explores the meaning of the subject’s value attribute at the esthetic level. This interpretation is derived from a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the esthetic value of the story’s directional dimension, emphasis on character images according to the narrative structure, and the conflict’s prescription level through character images. On a pragmatic level, the signic meaning system of artworks, including the statue of drama, was analyzed through the intrinsic function of symbolic value and effective meaning transmission at the information, value, instigation, and systematic levels. Meanwhile, the compound esthetic sign is a pragmatic interpretation of the sign derived from the drama phase’s effects and the characters’ psychological transmission function in the drama phase. The narrative structure forms the drama’s framework, and several peripheral story structures are linked to develop the central characters’ interests. Depending on the kinds of relationships between the central characters, whether it is confrontational, antagonistic, and cooperative, their conflict is the primary force that drives the narrative forward. Therefore, the narratives of Elegant Family and Secret Boutique were initially considered before analyzing the main characters according to the drama’s narrative structure. By linking the main narrative with the various subplots surrounding it, the conflicts between the characters based on the central characters’ origins, development, crises, climaxes, and endings were inferred. As a result, the central characters’ stories consisted of similar structures, including the group’s top management rights and the concealment and emergence of the truth behind past events. Similarly, the events surrounding the narratives of each central character were also derived from similar structures. For example, it could be inferred that the main character pairs of Mo Seok-hee and Jenny Jang, Ha Young-seo and Kim Yeo-ok, and Han Je-guk and Kim Yeo-ok were similar. Among the costumes worn by the main characters of the two dramas (100 for Mo Seok-hee in Elegant Family, Ha Young-seo, 43 for Ha Young-seo, 65 in Han Empire, 95 in Secret Boutique, and 62 in Kim Yeo-ok), the drama images worn by the central characters were extracted and classified according to each central character’s arc (beginning, rising action, crisis, climax, and ending). After analyzing the narratives and central characters of the two dramas, a symbolic interpretation was made based on the drama’s images worn by Mo Seok-hee and Jenny Jang, Ha Young-seo and Kim Yeo-ok, Han Je-guk and Kim Yeo-ok, who have similar characteristics and character archetypes. Based on the analysis of similar plot points and central characters on a non-semester level, some differences in the interpretation of shapes, colors, and materials in the syntactic sign’s schematic dimension, but the style they expressed was generally similar. In addition, the semantic action and the functional use of compound esthetic signs were similarly based on the syntactic icons of the two central figures. Through the symbolic process at the esthetic level of the drama’s image following similar events in Mo Seok-hee and Jenny Chang’s narrative, the image language was structured as irony (beginning), infinite superiority and human greatness (rising action), tragic (crisis), sublime (climax), dignity and chic (ending). In comparison, the symbolic process at the esthetic level of the drama’s image following similar events in Ha Young-seo and Kim Yeo-ok’s narrative, the image language was structured as snobbism, elegance (beginning), sublime infinity and dignity (rising action), sublime tragic (crisis), and sublime tragic and splenicity (ending). However, examining the symbolic process at the esthetic level of the drama’s image following the similar events of the Han Empire and Kim Yeo-ok’s narrative, the image language was structured as sublime, elegant chic (beginning), sublime infinity (rising action), sublime, tragic (crisis), catharsis sublime (the climax), and tragic (end). In conclusion, this study determined that the image of drama can be structured as an esthetic language through analysis and symbolic interpretation at the syntactic, semantic, and pragmatic levels of Morris’s esthetic semiotics. This study’s significance demonstrates the semiotics of esthetics in the two dramas, shown by the similarities in their characters and narratives, established through analysis and interpretation. Future studies can apply the model to more diverse genres of drama costumes.

      • 메디컬(병원용) 제품 패키지의 색채디자인 연구 : 상처치료 제품과 합성골이식재 제품의 패키지 중심으로

        안미화 홍익대학교 문화정보정책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포장디자인은 소비자가 가장 먼저 제품에 대해 인지 할 수 있는 디자인의 요소이다. 단순히 제품을 보호하고 운반을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갖고 있었던 포장디자인은 현대에 들어서는 사람들의 높은 소비수준과 문화수준에 따라 단순히 제품을 보호하는 기능외에도 패키지디자인 자체에 부가가치가 창출되고 있다. 특히 사람은 눈을 통해 거의 모든 것을 인지하기 때문에, 패키 지 디자인의 적용된 그래픽이나 색채가 해당 제품을 선택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의료산업은 고령화 시대와 의료기술이 비약적인 발전으로 더욱 확대되고 있다.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에 맞춰 국내의 의료기기 제품의 개발과 포장에도 패키지 디자인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나 그 범위가 제한적이다. 의료관련 제품중 약국에서 판매되는 의약품에 대해서는 약물의 오남용의 문제 때문에 용기 구조 및 재질, 색채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상처치료 제품이나 합성골이식재와 같은 병원용 의료기기 제품은 수술, 처치, 화상등 여러 분야의 의사 및 간호사들인 의료전문인들이 사용하는 제품임에도 불구하고, 제품 패키지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관심이 매우 낮은 상태이다. 해당 의료기기 제품들은 빠른 시간내에 수많은 회사와 다양한 제품군 속에서 원하는 제품을 인지하고 찾아야 한다. 현재 의료기기 패키지디자인 또는 색상은 각 기업의 디자인 시스템으로만 구별될 뿐이며, 체계적이고 계획적인 디자인 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있지 않은 실정이다. 색채에 있어서도 무분별한 색의 사용으로 심각한 색채 공해를 초래하기도 한다. 따라서 색채가 신체에 미치는 요소 및 영향등을 고려하여 메디컬 카테고리내 제품 패키지에 있어서 사용자가 좀 더 인지가 쉽고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색채디자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이미 출시되어 사용하고 있는 상처치료와 합성골이 식재 제품을 대상으로 색채현황 분석을 통해 각 제품의 목적과 전문성에 맞는 색상 및 톤(Tone), 배색이미지를 포함한 색채디자인을 제안하였다. 또한 해당 제품이 의료기기인 만큼 정보적 요소를 부각하여 전체적으로 체계적인 디자인 적용방안을 모색하여 색채디자인의 개선방안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 이 있다. Packing design is elements of design to customer to take cognizance of products firstly. The packing design has been designed simply a facilitating the transport function and protect the products. But in modern times, it changed to be granted value such as depending on consumption levels and high cultural level of the people. Applied graphics and color of the packaging design are important to selection of the product because of people should recognize specially that almost all through the eyes. The medical industry for Aging Society and the advancement of medical technology ever widening. Changing rapidly with the times, Korea(Domestic) medical devices are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medical device’s development and package design but its rage is limited. The medical products have been studied for drug container structures and materials, colors, etc because of the problem of abuse of drugs sold in pharmacies. However, hospital products such as wound care products and synthetic bone grafting material covered in this research, despite doctors and nurses in various fields such as medical professionals are using the product in surgery, treatment, and burn etc., they are interested in very low about the importance of product packaging. The medical professionals should seek to recognize the corresponding products within a short time among the many companies and variety of products. Current medical device package design or color is only distinguished only by the design system of their respective companies. This is a situation that is not made up of a systematic and deliberate design system. Also even in color, sometimes it causing serious color pollution to the use of indiscriminate color. Therefore, in the medical category within the product package is needed colors design research with colors in consideration of the elements and effects of the body for the user to improve the convenience and easily recognize more. In this research presented a color and tone, color scheme imaging to fit purpose as professionalism of each product through the wound dressing product and synthetic bone graft material product which is already used in existing releases’ current color analysis of the product. Furthermore, it aim to presenting an improvement of color design to explore the systematic design methods plan generally to highlight the information elements as a medical dev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