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도시 환경디자인 요소로서 건설현장의 가림막에 관한 연구

        안미자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A city is the most complicated and gigantic work human beings have created. A city is composed of individuals that belong to a variety of classes and have various personalities. At the same time, a city is an organism that changes with time constantly. A city is not only a symbol of civilization but also civilization itself! Therefore, the elements of the urban environment, humans, buildings, and nature, should coexist and cooperate with each other, and people must make an effort to create an atmosphere in which the three elements of an urban environment can coexist successfully. As the standard of living rises, survival is no longer a daily concern, and people become more interested in raising the quality of the urban environment, so nowadays public art and design are discussed in many fields. Especially, while current urban planning has been treated as construction itself, the new urban planning has emphasized a multicultural approach which is based on the shape of buildings. In order to give lifeto the monolithic city space, it is necessary to have a conscious development strategy. In the urban environment, which changes daily, we see a lot of construction being done to create a new look. However, the temporarily installed structures in construction sites are becoming far more attractive than in the past. The ordinary concept of a construction site was usually an unpleasant and dreary image. Construction companies started building fencesin the beginning of construction due to the frequent number of accidents, so unattractive fences became common. Then one day fences with beautiful colors and pictures started appearing around the construction sites. Usually temporary fences are built for the safety and security of a certain place. Depending on the places, various types and kinds of fences can be installed, and those fences have the purposes of boundary, protection, and enclosure. Temporary fences for construction sites are usually short-term, but construction usually takes from a minimum of 24 months to a maximum of 46 months, according to the use of the building and size of the construction company. In case of a high-rise apartment of 20 floors, construction takes 36 months, and an apartment of 15 floors takes over two years. The higher you build, the longer it takes. In case of redevelopment, it takes over three years, due to the problems of removal and civil appeal. It is always messy around construction sites. In addition, noise from construction sites annoys people. That’s why construction companies build temporary fences for construction. The temporary fences exclude the construction sounds, block people’s view and protect passersby. However, only covering the dangerous elements doesn’t make passersby feel better psychologically. We should not overlook the environmental and visual effect of the temporary fences due to the long-term persistence of temporary fences around construction sites and their influence on the urban environment. In my research, I investigated the general present condition of temporary fences around construction sites and the case studies frominside and outside the country. In addition, I examined the classification, function, and meaning of temporary fences according to their roles. Temporary fences should reflect the culture of the current generation because temporary fences have not only the function of protection or defense and the role of connecting or dividing between streets and construction sites but also the function of making contact with people in public places. Construction sites with which people come into contact very often arenecessary as a tool to make an affluent life, so we need to see temporary fences in a new light as structures in the urban environment. The design of temporary fences at construction sites is used as a medium to improve the beauty of the city and as a measure to develop the image of construction companies with the general public. However, construction companies should also try to have communication with people, conducting corporate public relations, announcing cultural events and news, and so on. Temporary fences around construction sites obstruct people’s views, interrupt ventilation, block sunlight, and so on. If we understand and solvethose problems, temporary fences will be able to play a role which can give ventilation to a hard city environment that has noisy pollution and heavy traffic. In order to develop the quality of the street environment, construction companies should approach the design of temporary fences with pro-humankind and pro-environment aesthetic. I have two suggestions based on my studies of temporary fences being used around construction sites as one element of city environment designs. The first suggestion is to change the colors of the net which covers the outside of buildings under construction. As a visual effect, this will help people to see the progress of work. The second suggestion is to use the temporary fences to show the procedures of construction and the images of before and after completion. This will help to gain the sympathy of people. In conclusion, I researched the fences of construction sites as an important factor in urban environment design for my master’s thesis. I investigated the general present condition of temporary fences at construction sites and the case studies from inside and outside the country. Also, I examined the classification, function, and meaning of temporary fences according to their roles. At the end of my research, I suggested two things to improve temporary fences for urban environment design; the first is to change the colors of net for construction, and the second is to show the procedures of construction to the general public. When construction companies design temporary fences with pro-humankind and pro-environment aesthetics, temporary fences can evoke people’s sympathy. In other words, people will think construction is no longer unpleasant but it is necessary for our rich life. I hope my research helps to improve urban environment design. 도시는 인간이 만든 가장 복잡하고 거대한 작품이다. 도시는 다양한 계층과 성격의 사람들에 의해 이루어진 다양하고 광범위한 복합적인 집합체인 동시에 끊임없이 시간에 따라 변화를 거듭하는 생명을 가진 유기체이고, 인류문명의 상징이며 인류문명 그 자체이다. 그러므로 도시환경의 요소인 인간, 건축물, 자연은 상호간에 변화 있는 존재로서 협력, 공생하여야하며, 인간이 그 주체가 되어야 한다. 삶의 수준향상에 따른 자연스러운 도시환경에 대한 관심은 기존의 생존권과는 다른 입장에서 어떻게 하면 그 환경의 가치를 높일 것인가의 문제로 모아지고 있고 이러한 맥락에서 공공미술과 디자인은 현재 많은 부분에서 논의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기존의 도시계획이 건설자체로서 이루어져왔다면 새로운 사회적인 요구와 맥락에서는 건물 외형을 중심으로 다양한 문화적인 접근이 이루어져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획일화된 도시공간에 표정을 부여하려면 도시 이미지에 대한 의도적인 개발전략이 필요하다.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고 있는 도시환경에 우리 주변은 새 모습으로 단장하는 공사가 많이 발생한다. 도시재개발로 자주 접하게 된 공사현장 가설구조물은 과거의 공사현장과 또 다른 면모를 보이고 있다. 그동안의 공사장 풍경은 거리의 불쾌감을 주고 회색빛 삭막함 그 자체이며 우리 머릿속에 고정된 이미지였다. 초기에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주변에 그물이나 담장을 치는 게 일반화되었다. 그런데 언젠가부터 가설 울타리 위에, 혹은 그 주변에 색채와 그림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일반적으로 가림막은 어떤 장소의 보호나 경계를 위해 설치된다. 장소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종류의 가림막을 설치할 수 있으며, 경계·보안·차폐 등의 목적을 갖는다. 공사현장 가림막의 경우 설치가 일시적이기는 하나 공사기간이 건설사와 용도, 규모에 따라 다르지만 평균적으로 최소 24개월(약2년)에서 최대 46개월(약4년)이상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통 일반적인 20층 아파트의 경우 36개월로 약 3년을 공사기간으로 하고 일반 건물의 경우 15층 정도의 건물은 약 2년 이상이고 높아질수록 그 기간은 더 길어진다고 할 수 있다. 재개발일 경우에는 철거와 민원문제로 인하여 평균적으로 3년 이상 소요된다고 한다. 건설현장 주변은 흔히 자재와 장비들로 어지럽게 마련이다. 여기에 분진과 소음까지 있어 옆을 지나는 시민을 불편하게 한다. 그래서 인도와 공사현장 사이에는 공사를 위해 가림막을 세워 시선을 차단하고 행인을 보호한다. 그러나 위험 요소를 가리는 것만으로 보행자의 심리적 위축감이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는다. 이처럼 일시적이라고 하기에는 오랜 기간 가로 이미지로 존재하는 가림막의 환경과 지역, 시각적인 효과를 간과하고 넘어가기에는 도시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현장의 가림막에 관한 일반적인 현황과 국내외 사례를 조사?분석하였고, 그리고 요즘 사용되는 가림막의 역할에 따른 분류와 기능, 의미를 살펴보았다. 가림막은 단순히 도로와 건설현장을 구분 짓거나 동선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고 방어나 보호의 기능만을 기본적으로 지키는 단순한 의미뿐만 아니라 공공장소에서 시민과 접촉하는 특성을 갖는 만큼 도시와 환경, 가로공간의 특성, 그 시대의 문화를 반영하여야 할 것이다. 우리 생활 주변에 자주 접하게 되는 공사현장은 풍요로운 삶을 만들기 위한 도구로서 그 존재의 필요성이 있으므로, 더 좋은 환경을 위한 도시 구조물 및 설치물로서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다. 공사현장 가림막 디자인은 도시미관을 개선하는 새로운 매체로 또는 대중에게 건설기업의 자사 이미지를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는 현실이다. 그러나 기업은 여기서 그치는 것이 아닌 기업의 홍보와 공연, 예술등 문화계의 소식도 알리는 등 사람들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시도하며 변화해야 한다. 도시민의 시야를 가리고 통풍을 방해하며 일조권을 침해하고 있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파악?개선을 하면, 소음공해, 교통 혼잡 등을 갖고 있는 각박한 도시 환경에 환기를 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가로환경의 질이 높아지기 위해서는 인간중심적이고, 친환경적이며 장소성이 있는 방향으로 것에되어야 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미학적 접근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 환경디자인 요소로서의 건설현장에 사용 중인 가림막을 연구, 조사한 내용을 바탕으로 두 가지를 제안하고 있다. 첫째, 건축물 외부를 분진망으로 가리게 되는데, 이를 시각적인 효과의 하나로서 분진망의 색체를 변화시켜 건축물의 공정을 알 수 있도록 제안한다. 둘째, 공간감을 느낄 수 있도록 건축물이 완성되는 과정, 완공 후의 모습을 미리 보여주는 방식으로 공사현장에 사용되는 가림막의 재질과 조건 등을 고려한 공정율 표현 방식에 대한 방향성을 제안하고 있다. 이번 논문에서는 도시환경 디자인의 중요한 요소인 공사현장의 가림막에 대한 연구를 위해, 가림막의 일반적인 현황과 국내외 사례를 조사 분석하였고, 또한 가림막의 역할에 따른 분류와 기능 그리고 의미에 대해서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환경을 위한 가림막을 향상시키기 위해 두 가지를 제안하고 있다. 첫째, 공사를 위한 분진망의 색체를 변화시키는 방법과 둘째, 대중에게 공사현장 과정을 공개시키는 방법이다. 건설회사가 친인간적이고, 친환경적인 미학접근을 통해 가림막을 디자인 할 경우 사람들은 좀 더 공감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서, 사람들은 공사현장이 더 이상 불쾌감을 주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삶을 풍요롭게 한다고 생각 할 것이다. 이번 연구가 도시환경 디자인을 향상시키는 조금 더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光學活性ビナフト-ルを利用するジアステレオ選擇的反應に關する硏究

        안미자 京都大學 1997 해외박사

        RANK : 247631

        유용한 비대칭 합성법의 개발을 목적으로 1,1'-binaphthalene-2,2'-diol을 chiral 보조기로 이용한 일련의 반응을 실시하여 아래의 결과를 얻었다. 1. Binaphthyl α-Keto Ester의 Diastereoselective 반응 (S)-6a와 MeMgX와 반응을 실시하여 MeMgCl에서는 48%수율(51% de), MeMgBr 에서는 78%수율(60% de), MeMgI의 경우는 44%수율(61% de)로 7을 얻었다. 절대구조는 Grignard 시약과 용매에 따라 다른 결과가 얻어졌다. 이는 6b-d을 이용한 반응에서보다 높은 선택성을 나타냈으며 2'의 free의 수산기가 입체선택성의 향상에 큰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2. Binaphthyl Glycine Equivalent을 이용한 α-AminoAcid의 비대칭 합성 LDA/THF-HMPA 조건하, (S)-12와 각종 alkyl halide와의 반응을 실시한 후, 계속하여 염산, benzoyl chloride와 반응시켜 20-24을 62-79%수율, 69-82% de로 얻었다. 이를 N-benzoyl amino acid ester로 변환시켜 비천연형의 R가 선택적으로 얻어졌음을 확인했다. methyl bromoacetate, iodoacetonitrile의 경우에는 18, 19을 각각 71%수율(86% de), 77%수율(80% de)로 얻었으며 절대 구조는 반응메카니즘으로 부터 R가 선택적으로 얻어졌다고 생각된다. 같은 반응을 36을 이용하여 실시했을 때는 입체선택성이 현저하게 저하했다. 3. Binaphthyl Phenylacetate을 이용한 Diastereoselective 반응 n-BuLi/THF 의 조건하에서 (S)-40과 각종 aldehyde와 반응을 실시하여 benzaldehyde의 경우, 97%수율(threo:erythro=93:7)로 41을 얻었다. major로 얻 어진 threo는 76% de였으며 절대구조는 S,S,R임을 확인했다. p-anisaldehyde의 경우(45)에도 S,S,R가 선택적으로 얻어졌다. 다른 aromatic aldehyde, aliphatic aldehyde의 경우에도 입체선택성의 차이는 있지만 거의 동일한 결과 가 얻어졌다. 여기에 반하여 68과 benzaldehyde와의 반응에서는 입체선택성 이 크게 저하했다. 이상 1,1'-binaphthalene-2,2'-diol을 chiral 보조기로 이용하는 반응의 diastereoselectivity의 향상에는 2'의 free의 수산기가 필수임을 실험적으로 입증했다.

      • 국산 재배 딸기의 방향성분에 관한 연구

        안미자 全北大學校 1983 국내석사

        RANK : 247631

        Two methods were used to extract flavor components from Korean clutivated strawberry. One was steam distillation with vacuum, and another was solvent extraction. Analysis of extracted flavor components was done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er. Registry of Mass spectra Data, EPA/NIH spectra Data Base were used in identifying mass spectras. GC/MS spectras showed presence of fifty-three components ; two acids, five alcohols, eight esters, nine carbonyl compounds and twenty-nine hydrocarbons. Of these, Major components are 2-methyl propanoic acid, methyl hexanoate, Hexanal, methyl dodecanoate. which were also indentified by pyysalo et al. from Fragaria Vesca L.. Some of hydrocarbons, which were not identified by others, were present probably due to the difference in extraction methods.

      • 여성 금융직 종사자의 근무환경이 여드름에 미치는 영향

        안미자 중앙대학교 의약식품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25세 이상 성인여성을 중심으로 급증하고 있는 여드름증상의 발생과 악화원인을 여성 금융직 종사자의 여드름 발병수준과 근무환경에 대한 실증적인 조사를 통해 그 실태를 파악하고 예방활동을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특히 IMF 이후 구조조정이 극심했던 금융업 종사자의 업무환경과 여드름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컸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서울에 근무하는 일반시중은행, 외국계은행 등 5개의 금융기관과 기타 금융업종사자 23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행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를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생활습관적 요인과 여드름과의 관련성에서는 정상군과 여드름군의 경우 여드름 가족력, 생리상태. 흡연, 메이크업 정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여드름군은 정상군에 비하여 여드름가족력이 높고, 생리상태가 불규칙적이며, 메이크업을 진하게 할수록 여드름 유병률이 높았다. 경미한 여드름군과 중증 여드름군의 경우 식사시간, 인스턴트 식품의 기호성, 우유 섭취량, 하루 수면시간, 음주, 세안습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식사시간이 불규칙적이고, 인스턴트 식품을 좋아하며, 우유섭취량이 많고, 수면시간이 짧으며, 음주를 자주 하고, 간략히 세안할수록 중증여드름증상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물리적 근무환경요인에 따른 정상군과 여드름군의 경우 근무시간, 휴식시간, 사무기기 사용시간, 실내공기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근무시간이 길고, 근무 중 휴식시간이 짧으며, 근무시간 내 사무기기의 사용시간이 길고, 실내공기(화폐, 종이먼지 등)의 문제점이 클수록 여드름 유병률이 높았다. 경미한 여드름군과 중증여드름군의 경우 초과근무빈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고, 초과근무 빈도가 높을수록 여드름 유병률이 높았다. 셋째, 심리적 근무환경요인인 직무만족도와 숙련도, 대인관계에 따른 정상군과 여드름군의 경우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경미한 여드름군과 중증여드름군의 경우 대인관계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여드름증상이 심할수록 대인관계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금융직종사자의 경우, 연구대상자의 45.4%가 여드름증상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개인적•생활습관적 특성, 물리적 근무환경요인, 심리적 근무환경요인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의 급격한 성과주의, 경쟁위주의 노동환경의 변화는 노동 강도의 심화로 이어져 여성 금융직 종사자의 여드름질환의 주요 발생원인 및 악화 요인의 하나로 작용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여드름증상의 감소와 치료를 위해서는 근로자의 직업적 특성을 고려한 근무환경의 개선과 함께 피부건강과 여드름에 관한 교육과 보다 발전된 예방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실천하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outbreak and aggravating causes of acne among female adults above 25, focused on the women workers in financial business by researching the positive data about the degree of acne-outbreak and the state of the working environment of them. Especially, after the severe restructuring in the consequence of IMF crisis, there is a need for the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the working environment and acne. For this study, questionnaires, answered by 238 women workers who work at 5 financial institutions in Seoul, were analyzed by using SPSS. The results are as follows ; First, there are considerable differences between the patients with acne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personal-habitual aspect, such as familial-acne, menstrual condition, smoking, the thickness of make-up.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light and the severe acne group in the personal-habitual aspect, such as the regularity of mealtime, preference for the instant food, the intake of milk, the length of sleeping, the intake of alcohol, the type of face-washing. Second, there are also considerable differences between the patients with acne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physical working environment, such as working hours, the length of using office machinery, the interior air condition.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light and the severe acne group in the physical working environment, such as the frequency of the overtime work. Third, on the contrary, there is not a considerable difference between the patients with the acne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psychological working environment, such as job-satisfaction, the degree of dexterity, personal relations. Bu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light and severe acne group in the psychological working environment, such as personal relations. Consequently, the composite elements, such as personal-habitual element, physical working environment, psychological working environment, influence the acne of the women workers in financial business. Therefore, for the sake of the alleviation and remedy, efforts to make the working environment improved have to be taken. At the same time, education and preventive programs for the health of skin have to be upgraded, with the workers'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being under consideration.

      • Ligularia fischeri Turcz 엽의 성분과 생리활성 : Constituents and Their Bioactivities of Ligularia fischeri Turcz Leaves

        안미자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옛날부터 한방에서 약용 또는 식용으로 사용되어 온 곰취는 전통 한약제로 관절염, 마비, 류머티즘, 파행, 부종, 탈장 및 복통 등에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곰취의 잎과 줄기는 식용으로 이용되어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곰취의 성분과 생리활성을 확인하며, 현재 국내 유통 중인 곰취의 성분과 함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곰취의 실험은 항산화 활성이 확인된 ethyl acetate, butanol 분획물을 silica gel, ODS, sephadex LH-20 gel로 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하여 총 8개의 화합물을 분리하였으며1H-NMR, 13C-NMR, MS등의 기기분석을 통하여 구조동정을 실시하였다. 분리된 8개의 화합물은 3-O-caffeoylquinic acid (1), 5-O-caffeoylquinic acid (2), 3,5-di-O-caffeoylquinic acid (3), quercetin-3-O-glucoside (4), quercetin-3-O-rutinoside (5), quercetin-3-O-galactoside (6), ethyl-β-O-galactopyranoside (7), and pterodontriol-6-β-O-glucopyranoside (8)로 확인동정 하였다. 분리된 각 화합물에 대해 항산화 활성과 tyrosinase, 그리고elastase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항산화 활성은 Ligularia fischeri Turcz leaves - 3 (3,5-di-O-caffeoylquinic acid) 와 Ligularia fischeri Turcz leaves - 2 (5-O-caffeoylquinic acid)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Ligularia fischeri Turcz leaves - 3 (3,5-di-O-caffeoylquinic acid)는 elastase억제효과 (IC50 45.891 µM)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caffeoylquinic acid 유도체는 상대적으로 낮게 관찰되었다. Ligularia fischeri Turcz leaves -1 (3-O-caffeoylquinic acid), Ligularia fischeri Turcz leaves - 5 (quercetin-3-O-rutinoside), 그리고 Ligularia fischeri Turcz leaves - 6 (quercetin-3-O-galactoside)은 농도의존적으로 elastase억제효과가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곰취에서 분리된 화합물의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 4개의 marker phenolic compounds의 HPLC-UV 동시분석조건을 확립하였으며 Ligularia fischeri Turze leaves의 성분 비교를 위해 PCA과HAC분석을 실시하였다. Phenolic compounds의 함량은 ethyl acetate 분획 층에 가장 많았으며 Ligularia fischeri Turcz leaves - 6 (hyperoside), Ligularia fischeri Turcz leaves - 2 (5-O-caffeoylquinic acid), Ligularia fischeri Turcz leaves - 3 (3,5-O-caffeoylquinic acid), 그리고 Ligularia fischeri Turcz leaves - 5 (rutin)의 순으로 나타났다. 4개의 지표성분을 UV 320 nm에서 동시분석법, PCA, HAC방법으로 확인한 결과 수집된 22개의 곰취 중 강원도 횡성과 울릉도 지역을 제외한 다른 지역은 유사한 phenylproponoid패턴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곰취는 다양한 생리활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식용과 약용, 건강보조식품, 제약 그리고 화장품 산업의 원료 물질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Ligularia fischeri Turcz is a plant origin of Ligularia Radix et Rhizoma (山紫菀) which have been used for the treatment of coughs, inflammations, jaundice, scarlet fever, rheumatoidal arthritis, and hepatic diseases etc. Ligularia fischeri Turcz leaves have been known to use same remedies with roots and rhizomes from the ancient. The studies were designed to isolate and evaluate their constituents and bioactivities. Eight compounds were two sesquiterpenoid glycosides such as ethyl - β - D - galactopyranoside (7), and pterodontriol - 6 - O - β - D - glucopyranoside (8), and three known caffeoyl derivatives such as 3-O-caffeoylquinic acid (1), 5-O-caffeoyl quinic acid (2), and 3,5-di-O-caffeoyl quinic acid (3), and three flavonoid, quercetin-3-O-β-D-glucoside (4), quercetin-3-O-rutinoside (5), and quercetin-3-O-galactoside (6) from Ligularia fischeri Turcz leaves. And then 8 isolated compounds were estimated in the 22 Ligularia fischeri Turcz leaves collected from different regions and places. The samples were compared with their contents of constituents and then the contents of major compounds were evaluated by the developed HPLC analysis method. Antioxidative and antiaging activities assays of the isolated each three phenolic and flavonoid compounds were evaluated by the measurement of DPPH, ABTS+, NBT, whitening effect of tyrosinase, and elastase inhibitory activities. Most of the isolated compounds from Ligularia fischeri Turcz leaves exhibited moderate effect of DPPH, NBT, ABTS+ superoxide scavenging, tyrosinase, and elastase inhibitory activities. Based on the significant antioxidative effects, Ligularia fischeri Turcz leaves which have potent whitening effect and antiaging activities are considered to be useful for cosmetic resources and health food supplements. We also analyzed the contents of four bioactive compounds using HPLC-UV method. Various extraction conditions were optimized and the analytical condition was validated by determining the specificity, linearity, accuracy, precision, limit of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recovery, and robustness. Using the validated analytical method, four bioactive compounds were successfully quantified in 22 commercial samples. Principal component and hierarchical clustering analysis were conducted to show the practically of the developed method. We found three separated groups of Ligularia fischeri Turcz leaves because of the various component contents. The results explain that the contents of bioactive compounds and their medicinal effect of Ligularia fischeri Turcz leaves could be differ from the cultivated regions.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the developed HPLC-UV method with the various bioactive assays could be used for the quality control of Ligularia fischeri Turcz leaves. Also, this herbal medicine is considered to be applied to health supplements, medicine manufactures and cosmetic resour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