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도형의 닮음 교육과정 개발모형

        안경은 中央大學校 校育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1855

        In this paper, we develop a model of the textbook by applying the storytelling to increase academic achievement, mathematics practicality and a positive attitude of mathematics. We develop a mathematics textbook model applying storytelling for the unit of Similarities of Geometric Objects of the 8th grade according to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fter story presented by the history of mathematics, students can compose their real life stories by themselves, and by providing a variety of reading materials, students increase their own interests of mathematics class. Textbook model was composed in the form of various characters' dialogue. 본 논문은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실용성과 긍정적인 태도, 학업성취 신장을 위해 스토리텔링을 적용하여 교과서모형을 개발하였다.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맞추어 중학교 2학년 도형의 닮음 단원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수학사를 이용하여 스토리를 제시한 후 학생들이 실생활에서 스스로 이야기를 구성 할 수 있도록 하였고, 다양한 읽을거리를 제공하여 학생들의 수학수업에 대한 흥미를 높이도록 하였다. 교과서 모형은 다양한 주인공들의 대화 형식으로 구성되었다.

      • TAM모형을 이용한 스포츠 애플리케이션 사용의도에 관한 효과 검증

        안경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55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basic materials to attract users’ intent to use by exploring major precedence factors that may affect initial acceptance of sports applications using a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r this, 450 people in their 20s to 50s living in Seoul were surveyed; except for 27 answers considered improper for the research, a total of 423 sheets were analyzed. A questionnaire was used for the measurement tool, and SPSS 21.0 Version and AMOS 20.0 Version were employed for data processing. To secure validity and credi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frequency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Moreover, the following result was obtained through path analysis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First, information quality, individual innovation, self-efficacy and social influence out of precedence factors had positive (+) impact on perceived usefulness. System quality, however, showed no positive (+) impact on perceived usefulness. Second, perceived easiness was revealed to have positive (+) influence on perceived usefulness. Third, perceived easiness had no positive (+) effect on sports application attitude, while perceived usefulness showed positive (+) impact on sports application attitude. Lastly, sports application attitude had positive (+) influence on intent to use sports application. With rapid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oriented industry, IT environment has become more complicated and interest in and the importance of big data in the 4th industry has expanded. In response to this, it is required to continuously analyze data on information that users want. To draw more attention from all sports application users to technological attributes, it is necessary to expand contents by combining sports applications with smartphone technologies such as GPS, augmented reality (AR), virtual reality (VR), Internet of Things (IoT) and even wearable products, and let them use the features in daily life and work. Furthermore, it is important to concentrate on branding effect through communication, which is closely related to relationship building, develop measures to expand users' needs and the opportunity for communication, identify factors affecting positive or favorable attitude toward sports applications, and continue to verify the relationship among the factors, instead of only focusing on the technological aspects of sports applications. By doing so, strategies to keep and derive users’ favorable attitude toward sports applications should be prepared. Moreover, it is required to come up with methods to penetrate into people’s life starting from use of sports applica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기술수용모델을 이용하여 스포츠 애플리케이션 초기 수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 선행요인을 탐색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들의 사용의도를 이끌어 낼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20~50대 이상을 대상으로 450명을 설문하였고, 그 중 연구에 부적합하다고 사료된 27부를 제외하고 총 423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자료처리는 SPSS 21.0 Version과 AMOS 20.0 Version을 사용하였다.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 CFA),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신뢰도분석(reliability analysis)을 실시하였고,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 SEM)을 이용한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선행요인 중 정보 품질, 개인의 혁신성, 자기 효능감, 사회적 영향은 지각된 유용성에 정(+)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시스템 품질은 지각된 유용성에 정(+)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용이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정(+)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용이성은 스포츠 애플리케이션 태도에 정(+)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각된 유용성은 스포츠 애플리케이션 태도에 정(+)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스포츠 애플리케이션 태도는 스포츠 애플리케이션 사용의도에 정(+)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화 산업의 비약적인 발전과 함께 IT환경이 복잡해지고 4차 산업의 빅데이터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커지는 상황을 대비하여 사용자들이 원하는 정보를 지속적으로 분석해야 한다. 스포츠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모든 사용자들에게 기술적인 속성과 더불어 관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도록 기술적 측면에서 스마트폰의 GPS 기능과 증강현실(AR)과 가상현실(VR), 사물인터넷(IoT), 웨어러블 제품과도 스포츠 애플리케이션을 결합하여 일상생활과 업무에 활용할 수 있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콘텐츠를 확장하여야 한다. 또한, 스포츠 애플리케이션의 기술적 측면에서만 끝나는 것이 아닌 관계형성에 밀접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브랜딩(branding) 효과에 집중하여 사용자의 니즈(needs)와 소통의 장을 확장할 수 있는 방법을 발전시켜 스포츠 애플리케이션을 긍정적으로 혹은 선호하는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그 요인들과의 관계성을 지속적으로 검증하여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의 스포츠 애플리케이션의 호의적인 태도에 대한 유지와 유도할 수 있는 전략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며, 더나아가 스포츠 애플리케이션 사용을 시작으로 사용자들의 라이프 생활까지 채워갈 수 있는 방안들이 필요하다.

      • 시각장애 특수학교 음악 영재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자의 의견과 요구 : 시각장애학생, 학부모, 지도강사 면담을 중심으로

        안경은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시각장애 특수학교 음악 영재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자의 의견과 요구를 파악함으로써, 효과적인 시각장애 특수학교 음악 영재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지원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A 시각장애 특수학교의 음악 영재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시각·자폐성 장애 학생 1명, 시각장애 학생 1명, 각 학생의 학부모 2명, 지도 강사 2명으로 총 6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음악 영재 프로그램에 대한 의견과 요구 2가지 범주에 대한 면담자료의 분석 결과에 따라, 학생으로부터 7개의 하위 범주와 14개의 의미 단위, 학부모로부터 11개의 하위 범주와 21개의 의미 단위, 지도 강사로부터 8개의 하위 범주와 16개의 의미 단위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면담자들은 모두 시각장애 영재 학생의 영재 조기 교육과 영재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둘째, 면담자들은 전반적으로 프로그램에 만족하였다. 특히, 시각장애 학생과 강사의 1:1 수업 그리고 시각장애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프로그램 등의 제공에 긍정적 반응을 보였다. 셋째, 영재교육의 제도적인 지원으로 영재성 개발을 지속되어지길 희망하고 있었으며, 영재 교육을 통한 진로나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는 것을 요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시각장애 특수학교 음악 영재 프로그램 연구를 위해서는 조기 교육, 지도 교원 양성, 정보 제공 등과 관련한 지원방안과 후속연구에 대한 논의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시각장애 특수학교 음악 영재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 학부모, 지도 강사의 의견과 요구를 통해 현황을 파악하고 지원 방안과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시각장애 특수학교 음악 영재교육의 발전을 위한 기초연구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 동화에 형상화된 죽음의 양상 연구

        안경은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동화에 나타난 죽음의 양상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둔다. 본고는 죽음을 다룬 외국 동화와 국내 동화를 대상으로 각 작품이 죽음을 바라보는 인식과 표현상의 특징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죽음이 갖는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Ⅱ장에서는 외국 동화에 나타난 죽음의 세계를 살펴보았다. 연구자는 안데르센의 <어머니 이야기>, 미하엘 엔데의 <오필리아의 그림자 극장>, E.B 화이트의 <샬롯의 거미줄>, 에릭 엠마뉴엘 슈미트의 <오스카와 장미 할머니>, 마거릿 와일드의 <할머니가 주신 선물>을 대표로 선정하여 동화 속 죽음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Ⅲ장에서는 국내 동화 4편에 나타난 죽음의 세계를 논의하였다. 고정욱의 <여름캠프에서 무슨 일이?>, 황선미의 <마당을 나온 암탉>, 송정양의 <우리 집엔 할머니 한 마리가 산다>, 조원희의 <혼자 가야 해>를 대상으로 죽음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Ⅳ장에서는 각 동화 속에서 죽음에 대한 작가의 인식이 어떻게 표출되었으며, 죽음이 어떤 방식으로 표현되는지 탐색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죽음 관련 동화의 교육적 효과를 도출해 내었다. 본고는 각 작품별로 죽음을 바라보는 인식을 다음과 같이 범주화하였다. 첫째, 죽음을 순응해야 할 자연의 법칙으로 바라보는 입장이다. 모든 생명에게 죽음은 삶의 연속선상에 있는 것이다. 죽음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게 되면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이들의 상처도 치유될 수 있다. 둘째, 죽음을 삶에 대한 성찰의 계기로 보는 입장이다. 우리는 죽음이 언제 닥칠지 모른다는 사실을 깨닫고 나면 살아있음에 감사하게 되고, 힘든 일에도 맞설 의지가 생긴다. 셋째, 죽음을 인간이 할 수 있는 최후의 선택이라고 보는 입장이다. 인간은 질적인 죽음을 위해 스스로 삶을 끝맺을 수 있다. 각 작품별로 죽음을 드러내는 표현 방법의 차이를 2가지 기준으로 구분하였다. 첫째, 죽음의 형상화 여부에 따라 죽음을 형상화 한 작품들과 죽음을 형상화 하지 않고 단순 기술한 작품들로 나누었다. 둘째, 주제와의 관련성을 비교하여 죽음이 작품의 주제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작품들과 관련이 낮은 작품들로 나누었다. 이러한 작품들을 분석하면서 연구자는 동화 속 죽음이 교육적 효과를 갖고 있음을 발견했다. 첫째, 아동이 죽음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성숙한 존재로 거듭난다. 아동은 죽음에 대해 터부시하는 사회적 분위기에 의해 죽음을 지나치게 무서워한다. 죽음이 등장하는 동화를 접한다면 이를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기 때문에 불안감이 감소할 것이다. 둘째, 삶에 대해 성찰해 볼 기회가 되어 인생을 보다 값지게 살아가는 데 도움을 준다. 동화를 읽는 아동은 주인공의 죽음을 간접체험하며 자신의 평범한 일상에 감사함을 느낄 수 있다. 셋째, 도덕적 가치를 탐구하고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준다. 동화는 바람직한 가치를 전수하는 기능을 가진다. 그러나 더 나아가 어린이가 직접 가치를 탐구해보고 가치의 중요성을 직접 결정해 볼 수 있도록 하는 기회도 제공해야 한다. 아동이 각 입장에서 가치를 비교, 분석, 평가해보면 그 과정을 통해 탐구력과 사고력이 향상될 것이다. Ⅴ장에서는 죽음 관련 동화의 교육적 효과에 주목하여 아동의 성장에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리고 죽음 관련 동화가 지닐 수 있는 문제점을 발견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외국 동화와 국내 동화 속 죽음의 세계를 살펴 죽음의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외국 동화와 국내 동화에 나타난 죽음에 대한 논의가 아동문학의 발전 및 동화를 활용한 죽음준비교육의 기초를 마련하는 자료가 될 것을 기대한다.

      • 오르비톨 유도체의 알킬화에 관한 연구

        안경은 전주우석대학 1990 국내석사

        RANK : 1855

        4, 4-dimethyl-2-cyclohexene-1-ol과 olivetol과의 반응에서 Silica존재하의 BF₃-etherate 촉매하에서는 고리화되지 않는 알킬 화합물로서, NMR 스펙트럼에서 자기적으로 등가적인 2'-94,4-dimethyl cyclohexen-3-yl) olivetol과 자기적으로 비등가적인 4'-(4,4-dimethyl cyclohexen-3-yl) olivetol이 생성되었다. 한편 silica 없는 상태에서는 고리화 반응이 일어나 3,4,6-trihydro-7-hydroxy-5,5-di methyl-9-pentyl-2',6'-methano-2H-1-benzoxocin이 생성되었다. 이들 화합물들은 NMR스펙트럼에서 silica존재하에 생성된 화합물은 자유로운 회전상태이므로 down field에서 피이크가 나타났고, silica 없는 상태에서 생성된 고리화된 화합물은 rigid system상태이므로 up field에서 피이크가 나타났다.

      • ASSURE 모형을 적용한 화성법 교수·학습 지도방안 연구 : 예술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안경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55

        예술고등학교 교육 과정에 따르면 음악 작품은 음, 리듬, 장단, 음정, 가락, 화성 등의 다양한 음악적 요소들의 결합으로 구성되어 있음으로 각각의 요소를 이해하는 것은 음악 활동을 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그 중 화성은 작곡 전공 학생들을 위한 기초적인 이론이 될 뿐만 아니라, 연주 전공 학생들의 연주 활동에도 밑바탕이 되는 지식이다. 따라서 화성법 학습이 처음 이루어지는 시기인 예술고등학교에서 보다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교수·학습이 요구된다. 성공적인 교수·학습 과정에서 교사와 학생 사이에 이루어지는 의사소통은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한 방법으로 교수매체의 사용이 요구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교수매체의 사용은 학생들의 동기와 흥미를 유발하여 학습에 참여 할 수 있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개념의 이해를 돕는 도구로 사용하여 효과적인 교수·학습으로 이끌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교수·학습 상황에서 체계적인 교수매체 사용을 위해 로버트 하이니히(Robert Heinich, 1988)등이 제시한 ASSURE 모형을 화성법 수업에 적용하고, 구체적인 교수·학습 계획 및 지도안을 개발하고자 한다. ASSURE 전략은 실제 수업에서 매체와 자료의 활용을 위한 계획의 수립과 관련된 교사의 임무를 자세히 기술하고 있다. ASSURE는 학습자 분석(A), 표준과 목표 진술(S), 매체와 자료의 선정(S), 매체와 자료의 활용(U), 학습자의 참여 유도(R), 평가와 수정(E)의 6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단계를 충분히 고려하여 이 논문에서 다루게 될 화성법 수업에 적용하여 진행한다면, 실제 수업 현장에서 높은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본 논문은 아래와 같은 단계로 진행하다. 첫째, 예술고등학교 음악과 학생들이 화성법의 개념을 이해하고, 다양한 작품을 분석하는데 보다 쉽고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해 ASSURE 모형의 개념과 음악 수업에 적용한 단계별 전략을 개발한다. 둘째, 예술고등학교에서 화성법 학습을 위해 사용되는 3종 음악이론과 음악의 이해 교과서를 분석한다. 셋째, 이를 근거로 하여 예술고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화성법 3차시에 걸친 교수·학습 계획 및 지도안을 개발한다. 1차시 교수·학습 지도안에서는 다양한 매체 사용으로 바탕으로 3화음과 3화음의 전위의 정확한 개념을 이해하고 실제 악곡의 분석 활동으로 연결되도록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2차시 교수·학습에서는 학생들은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모둠별로 자신이 연주하고 있는 악곡을 선택하여 분석하고 발표한다. 이를 통해 분석 능력을 적용하고 확인하는 시간을 갖으며, 7화음과 관련된 학습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 연구를 통해 ASSURE 모형에 대한 음악 교사들의 긍정적인 인식과 화성법 학습에 관한 연구가 많이 개발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전통주거공간 분석을 통한 한국형 아파트개발에 관한 연구

        안경은 同德女子大學校 디자인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1855

        각 시대와 사회는 고유한 정신과 표현방식을 가지고 있으며 그 속에서 사회, 과학, 문화, 역사 등 여러 객관적인 사실들이 이루어 진다. 21세기의 문턱에 선 지금 많은 학자들이 미래의 모습을 예측하고 있는데 그중 전세계적인 문화성향의 가장 두드러진 특성으로 ‘문화적 민족주의’를 꼽을 수 있다. 이는 정보통신산업의 발달로 세계가 점차 지구촌화 되어가면서 각국의 문화가 국적을 잃고 획일화 되어가는 것에 대한 반발로써, 자국의 문화적 독창성 및 주체성 확립을 전통성 추구를 통해 실현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각 민족의 가치, 그들의 생활과 이념, 제도 등 모든영역의 문화와 관계되어 형성되는 복합적 문화 형태인 주거공간에 대한 전통성 추구는 불가피하다고 본다. 우리나라의 경우, 주거문화의 정착화 이후 한국인의 고유한 주생활 습관에 의거한 ‘한옥’이라는 우수한 주거공간을 형성하였지만 근대화의 과정에서 급격히 도입된 서구문화의 영향으로 우리것을 잊은채 혼돈속에서 그것의 형태가 변화하게 되었다. 현재 우리나라의 가장 일반적인 주거형태로 자리잡은 ‘아파트’는 생활의 편리, 관리의 용이 등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그것의 도입과정에서 전통성의 단절, 그리고 지난 30여년간 주택난의 해소 등을 위해 획일적인 평면으로 양적인 공급에 너무 치우쳐온 나머지 급변하는 시대에, 급변하는 거주자들의 다양한 요구사항에 적절히 대응 하지 못하게 되었다. 위와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아파트라는 주거공간의 질적인 향상을 전통성 추구를 통해 실현하고자 함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과정을 통하여 진행 되었다. 첫째, 한국형 아파트 개발을 위한 이론적 고찰과정으로 주거공간을 형성하는 제반요인들의 변화 경향과 아파트가 우리나라에 도입된 이후 변화과정 그리고 국내건설회사들이 제시한 한국형 아파트 사례검토를 통해 그 경향을 살폈다. 이는 각각 향후 기대되는 주거유형과 기존 아파트의 문제점 파악을 통해 개선방향을 설정하고자 함이다. 둘째, 전통주거공간의 분석과정으로 이는 아파트라는 주거공간에 전통성을 추구함에 있어서 그것이 형태적 답습이나 패턴의 응용도입 등으로 그치지 않고, 전통주거공간에 대한 내면적인 이해로 부터 출발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전통주거공간의 배치 및 내부공간 특성에 영향을 미친 사상을 비롯하여 주생활 행위 및 영역구분에 따라 공간을 이루는 물리적요소, 그리고 공간을 총체적으로 표현해 주는 의장에 이르기까지 전통주거공간을 이해하기 위한 기본틀을 형성하였다. 셋째, 위의 과정을 바탕으로 하여 한국형 아파트로 개발 가능한 적용요소들을 선정하고 제안하는 과정이다. 일반적으로 주거공간을 계획하는데 있어 중요사항이 되는 ‘생활’을 반영한 공간을 제안하기 위해 전통주거생활과 현재 그리고 근 미래까지를 포함한 주거생활에 대한 파악을 통해 지속적인 생활 습관과 향후 예측되는 주거생활에 대응하여 공간을 배치하고 의장을 통한 마감으로 제안하였다. 그 제안은 배치 및 내부공간 분석, 행위분석 및 영역구분, 의장분석 등의 접근 방법을 통하여 구체적인 개발요소들을 선정하고, 그것을 55평형의 아파트 평면을 이용해 제안 하였다. 이상의 연구과정을 통하여 제안한 새로운 유형의 한국형 아파트는 전통성을 추구함에 있어, 그것이 형태적 답습이나 패턴의 도입 이외에도 얼마든지 다양한 측면에서 접근 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며, 날로 다양해지는 거주자들의 소비패턴에 또하나 선택의 기회를 부여했고, 문화적 민족주의 시대에 우리것을 제대로 인식하고 발전시키고자 한데에 본 연구의 의의(意義)가 있다. Every era and society has its own mentality and way of expression in which various social, scientific, cultural and historical events are absorbed. Among the images of the future belonging to the next century expected by many scholars, the most outstanding feature of the global cultural trend can be referred to as the rise of 'cultural nationalism'. This is a repercussion to the uniformed cultures which lost their originality during the course of globalization accelerated by the progres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t is aimed to the establishment of originality and subjecthood through revitalization of tradition. Therefore it is inevitable to pursue tradition on residence which is also a complex cultural form compounded with every ethnic group's cultural sphere such as its values, lives, ideology and institutions. Koreans have developed a superior residential space named 'hanok' based on their own life-style, but it lost its identity in a chaos caused by rapidly incoming western civilization during the course of modernization. Though apartment houses which are in their places as the most common residential form in Korea have many merits in terms of convenience, management, they don't meet the residents' diversified needs. This is attributable to discontinuation of tradition on their introduction and inclination to the quantitative supply with a uniformed figure.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dvance apartment houses in quality as a residence through revitalization of tradition and the procedures are as follows: The first procedure is theoretical contemplation. The trend of the various factors forming residential space is studied through watching the alterations of apartment houses since their introduction to this country and case studying Korean style apartment houses presented by domestic construction firms. This is to find out a solution to the residential style expected in the future and the problems of existing facilities. The second procedure is analysis of the traditional residential space that gives a starting point of introspection of it without cease at the stage of formal following or pattern application in revitalizing tradition in the apartment houses. Hence a basic framework to understand the traditional residential space is including arrangement in that space, the ideas influenc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interior space, the physical aspects according to activities and space division and decoration that expresses the space in general. And the third procedure is to select and suggest aspects applicable to developing Korean style apartment houses. To introduce a space reflecting the 'life' which is a major consideration in designing a residential space, configuration and decoration is made by taking into account of the life-style of the past, present and future. The suggest is embodied by a plane figure of 55 pyong type apartment house after selecting the concrete development aspects with approaches such as arrangement and interior space analysis, behavior analysis and space division and design analysis. This study has its meaning in that it suggests a possibility of various approaches other than formal following or pattern application in revitalizing tradition in a new Korean type apartment house, that it gives another selection to diversifying consumers' patterns and that it helps recognize and develop our tradition in this age of cultural nationalism.

      • 경도인지손상 환자에서 수면각성리듬과 신경인지기능의 연관성

        안경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39

        The circadian rhythm in the elderly is disturbed due to the neurodegenerative change in suprachiasmatic nucleus (SCN) and diminished exposure to synchronizing factors such as light, social activity and physical activity. This phenomenon results in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EDS) through nocturnal sleep disruption and decreased daytime alertness. The sleep-wake rhythm in Alzheimer's Disease (AD) patients is more disrupted compared to normal elderly subjects, for their neurodegenerative change in SCN is greater than that of the normal elderly. Similarly, the greater is the severity of dementia, the greater are the nocturnal sleep disruption and EDS. And EDS is particularly associated with the decline of specific neurocognitive function including executive function, which has been known to be a predicitve factor for converting to dementi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leep-wake rhythm and cognitive function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patients, from the standpoint of preventing dementia. We aimed to compare the parameters of sleep-wake rhythm in community-dwelling MCI patients to those of normal elderly subjects, and to illustrate the characteristics of circadian rhythm related with the decline of specific neurocognitive function. METHODS Community-dwelling elderly subjects above 60 years old were recruited and the diagnosis of MCI was made by Petersen’s criteria. Twelve MCI patients (Age: 69.3±4.4) and 12 age- and sex-matched normal control (NC) subjects (Age: 67.4±3.8) were finally selected by excluding the illnesses to affect the cognitive function. Eight tests {Verbal Fluency (VF), Boston Naming Test (BNT), Mini-Mental Status Exam. (MMSE), Word List Memory (WLM), Constructional Praxis (CP), Word List Recall (WLR1), Word List Recognition (WLR2), Constructional Recall (CR)} in the Korean version of the Consortium to Establish a Registry for Alzheimer's Disease Assessment Packet (CERAD-K) neuropsychological battery and Stroop Color-Word Test (SCWT) were administered to assess the neurocognitive function. For each subject, 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Epworth Sleepiness Scale (ESS),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AUDIT), and Sleep Apnea subscale (SA) in Sleep Disorders Questionnaire were administered. The sleep-wake rhythm was measured by applying actigraphy (actiwatch??-16, Mini-Mitter Company, Oregon, USA) for 96 hours, and sleep variables were obtained through Actiwatch Communication and Sleep Analysis Software (Actiware version 5.02.0000). A cosinor analysis was done to calculate acrophase and amplitude of the sleep-wake rhythm. The scores of 9 neurocognitive function tests were adjusted by age, sex and education years. P value below 0.05 had a statistical significance. RESULTS (1) The mean GDS score in the MCI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NC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ores of ESS and SA between the two groups. (2) In the MCI group, sleep efficiency was significantly lower, and wake after sleep onset and fragmentation index were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those of the NC group.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mplitude and acrophase of sleep- wake rhythm between the NC and MCI groups. (4) In the combined group of MCI patients and NC subjects, the amplitude of sleep-wake rhythm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CP scores(r=0.434), and the acrophase tended to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WLR1 scores(r=0.370, p=0.07). CONCLUSIONS In our study, MCI patients showed poorer sleep maintenance and more frequent movements during sleep compared to NC subjects. However, MCI patients did not have any difference in the amplitude and acrophase of sleep-wake rhythm from those of NC subjects. In the combined group of MCI patients and NC subjects, lower amplitude was associated with decreased visuospatial function which has been known as a predictive factor of dementia. A longitudinal follow-up study will be necessary to verify that the decreased amplitude of sleep-wake rhythm could be a predictive factor of dementia. 노화에 따라 일주기리듬을 조절하는 시상하부의 시신경교차상핵(suprachiasmatic nucleus, SCN)의 신경퇴행성 변화와 함께 빛, 사회적, 물리적 활동 등의 동조인자와 접촉이 감소되면서 일주기리듬이 손상되며 이는 야간수면붕괴, 주간각성감소로 나타나 과다주간졸음(excessive daytime sleepiness, EDS)을 초래한다. 알쯔하이머병 치매 (Alzheimer's Disease, AD) 환자는 정상노인에 비해 SCN의 신경퇴행성 변화가 심하여 수면각성리듬의 손상이 정상노인에 비해 훨씬 심하며, 치매의 정도가 심할수록 야간수면붕괴 및 EDS가 심한 경향을 보인다. 한편 EDS는 치매의 예측인자로 알려진 실행기능 감퇴와 같은 특정신경인지기능 영역의 손상과 관련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치매의 예방측면으로 치매 전단계인 경도인지손상(mild cognitive impairment, MCI)환자의 일주기리듬과 인지기능의 연관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어,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MCI환자에서 일주기리듬의 변인들이 정상노인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특정 신경인지기능 감퇴와 관련된 일주기리듬의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Petersen이 제시한 기준에 따라 MCI를 진단하였으며 MCI군과 나이, 성별을 맞추어 짝짓기 표본으로 정상대조군을 선발하여 최종적으로 MCI군 12명(남:녀=4:8, 평균연령±표준편차=69.33±4.42) 및 정상노인군 12명(남:녀=4:8, 평균연령±표준편차=69.42 ± 4.03)을 선발하였다. 선발 과정에서 인지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상태와 질병은 배제하였다. MCI군 및 정상노인군의 신경인지기능의 평가를 위해 CERAD-K(the Korean version of the Consortium to Establish a Registry for Alzheimer's Disease) 신경심리평가집의 언어유창성 검사, 수정판 한국형 보스톤이름대기 검사, 간이정신상태 검사, 단어목록기억 검사, 구성행동 검사, 단어목록회상 검사, 단어목록재인 검사, 구성회상 검사 등의 8가지 검사와 스트룹 색깔-단어 검사를 실시하였다. 선정된 MCI군 12명과 정상노인군 12명에게 노인성 우울척도(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알코올 사용장애 평가검사(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Epworth 주간졸음척도(Epworth Sleepiness Scale, ESS)와 수면장애설문지(Sleep Disorders Questionnaire)중 수면무호흡증 하부척도(Sleep Apnea subscale, SA)를 작성도록 하였다. 수면각성리듬 측정을 위해 96시간 동안 액티크라피(actigraphy; actiwatch??-16, Mini-Mitter Company, Oregon, USA)를 착용하였으며 액티와치 소프트웨어(Actiwatch Communication and Sleep Analysis Software; Actiware version 5.02.0000)를 이용하여 수면변인 값을 구하였고 cosinor분석을 통해 일주기리듬의 정점시각과 진폭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신경인지기능검사의 점수는 연령, 성별, 교육 수준에 따른 차이를 통제하였고 통계적 유의수준은 P<0.05로 하였다. 결과 (1) MCI군의 GDS의 평균점수는 정상노인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나 ESS와 SA의 평균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MCI군의 수면효율은 정상노인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 입면 후 깨어있는 시간과 분절지수는 유의하게 높았다. (3) MCI군의 수면각성리듬의 진폭과 정점시각의 값은 정상노인군과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4) MCI군과 정상노인군을 합한 전체군에서 수면각성리듬의 진폭의 값은 구성회상 검사 점수와 유의한 상관성(r=0.434)을 보였으며 정점시각의 값은 단어목록회상 검사 점수와 상관의 경향성(r=0.370, p=0.07)을 보였다. 결론 MCI군은 정상노인군에 비해 수면유지가 어려웠고 수면 중 움직임이 심하였으나 수면각성리듬의 진폭과 위상 변화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전체군에서 수면각성리듬의 진폭 감소는 치매로의 예측인자로 알려진 시공간능력 감퇴와 연관성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추후 종적 추적 관찰 연구를 통해, 수면각성리듬의 진폭감소가 치매발병의 한 예측인자임을 규명하는 과정이 필요할 것으로 보여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