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농악과 중국 앙가 비교연구 : 호남 농악과 안휘화고등 춤사위를 중심으로

        쑨멍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한국과 중국은 고대부터 농경생활을 했기 때문에 농경문화적인 성격이 강한 나라들이다. 또한 한국과 중국은 한자문화권에 속해 있기 때문에 경제교류와 함께 문화교류도 활발하였다. 그러므로 한국과 중국은 역사와 문화적 차이는 많지만 무용적인 측면에서 농악과 앙가 사이의 내용과 형식의 유사성을 살필 수가 있다. 한국의 농악과 중국의 앙가는 기원에서부터 노동기원설과 제의설을 공유하고 있다. 또한 농경문화에서 탄생한 종합예술이자 민간무용이기 때문에 춤의 성격과 춤사위에서 비교되는 측면이 많다. 특히 한국 웃다리 농악에서 연희되는 무동놀이와 중국의 안휘화고등(安徽花鼓灯)에서 연희되는 어깨춤은 기예적인 측면에서 유사하다. 원래 농악과 앙가는 풍요를 기원하는 의례적인 성격을 가지고 탄생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연희되는 과정 속에서 놀이적인 요소가 강화되면서 무동놀이와 어깨춤과 같은 놀이성과 기예성이 강화된 춤이 발전하였다고 볼 수 있다. 한국의 농악은 품앗이로 대표되는 농촌공동체적인 성격이 강하고 길놀이와 지신밟기같이 벽사적인 성격과 진법을 기본으로 하는 군사적인 성격도 가지고 있다. 또한 관객들에게 흥미를 일으키는 오락성도 높다. 중국의 앙가도 농사지을 때 농악과 같이 노동 의욕을 북돋아주고 노동의 피로를 풀어주는 농경문화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풍요를 기원하고 벽사(僻邪)적인 제의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 반면에 농악의 진법처럼 군사적인 성격은 약하다. 또한 오락성이 강한 공연형식으로 연희된다. 농악은 악기연주와 함께 동작을 해야 하는 제약 때문에 다양한 표현을 하지 못하는 반면에 걷거나 뛰거나 뛰어오르고 회전하는 역동적인 춤사위를 보여준다. 또한 군사적인 요소가 들어가 있기 때문에 무용의 진법이 앙가에 비해 체계적이다. 앙가는 농악에 비하여 연주의 비중이 크지 않기 때문에 무구를 사용하여 다양한 표현과 기교를 보여줄 수 있다. 또한 남녀가 춤을 추기 때문에 무용적인 요소가 농악에 비하여 강하고 춤사위가 섬세하다고 할 수 있다. 무동춤과 어깨춤은 곡예와 같이 힘들고 어려운 동작과 춤사위로 짜여 있다. 때문에 많은 학습과 수련이 필요하다. 앙가의 한 종류인 안휘화고등(安徽花鼓灯)의 어깨춤이 제천의식을 할 때 하늘과 더 가까이 다가가기 위한 연희로 시작하고 있다면 농악의 무동놀이는 제의적인 성격보다는 오락적인 성격이 강하다고 할 수 있다. 대부분의 무동놀이가 어린아이인 무동과 사미가 참여하여 소박한 동작으로 짜여 있다면 어깨춤 모두 성인들로 구성되어 보다 역동적이고 세련된 춤사위를 보여준다. Korea and China have been farming since ancient times, so they are both countries with strong agricultural culture. In addition, both Korea and China belong to the cultural circle of Chinese characters, so cultural exchanges are also very active while having economic exchanges. Although Korea and China differ greatly in history and culture, we can still observe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content and form of Korean Nongak and Chinese Angga from the perspective of dance. Korean Nongak and Chinese Angga have the origin of labor and sacrifice from the beginning. On the other hand, they are both comprehensive arts born in the agricultural culture, that is, folk dances, so there are many aspects of dance styles and actions that can be compared. Especially the children’s dancing in the Korean Nongak and dancing-on-the-shoulder in the Chinese Anhwihwagodeung ,the dance skills ar every similar. It can be said that the Nongak and Angga originally have the ritual nature of praying for abundance. However, in the process of performance, with the strengthening of the game play elements, the entertainment and skills of the children’s dancing and dancing-on-the-shoulder have been strengthened. Nongak and Chinese Angga have the origin of labor and sacrifice from the beginning. On the other hand, they are both comprehensive arts born in the agricultural culture, that is ,folk dances, so there are many aspects of dance styles and actions that can be compared. Especially the children’s dancing in the Korean Nongak and dancing-on-the-shoulder in the Chinese Anhwihwagodeung, the dance skills are very similar. It can be said that the Nongak originally have the ritual nature of praying for abundance. However, in the process of performance, with the strengthening of the game play elements, the entertainment and skills of the children’s dancing and dancing-on-the-shoulder have been strengthened Korea Nongak has the character of the rural community represented by mutual assistance, but also has the character of parading, worshiping the gods, exorcising the evil spirits and tactical deployment of troops. In addition, the audience are interested in it for it’s entertaining. Nongak has the characteristics of stimulating labors’ enthusiasm, eliminating labors’ fatigue of the farming culture, as well as the character of praying for abundance, exorcising the evil spirits and worshiping the gods. It is more entertaining to perform than military to deploy troops. Due to the limitation of simultaneous performance of instruments and actions, Nongak of Honam Zuo Dao can not have multiple performances. On the contrary, Nongak shows dynamic dancing postures such as walking, jumping and rotating. In addition, due to the addition of military elements, the formation of the dance is more systematic than the Anhwihwagodeung. Compared with Honam Zuo Dao Nongak, Anhwihwagodeung has a low proportion in playing, so dance properties can be used to show a variety of performances and skills. In addition, due to the distinction between male and female roles in the dance, the dance elements are more than the farmers’ dance and the dance routine are more delicate. The children’s dancing in the Korean Nongak and dancing-on-the-shoulder in the Chinese Anhwihwagodeung are similar to acrobatics in that they are choreographed with difficult technical actions. So dancers need make great effort to study and train. It is said that the dancing-on-the-shoulder is showed in the heaven worship ceremony in order to get closer to the sky, while the children’s dancing is more entertaining. Most of the children’s dancing are performed by children acting as dancers and monks, choreographed with simple routine, while the Anhwihwagodeung are performed by adults, showing a more dynamic and skillful dance routine.

      • 『金鰲新話』와 『聊齋志異』의 귀신관과 애정관 비교 연구

        쑨멍 동양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김시습의 『金鰲新話』와 蒲松齡의 『聊齋志異』는 모두 비현실적 소재를 다룬 傳奇 형식의 소설작품이다. 두 작품의 작가는 모두 어려서부터 촉망받는 인재였으며, 출중한 재능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각자의 사연으로 인하여 끝내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역사 속으로 사라진 비운의 인물이다. 이러한 두 작가의 공통점과 작품상의 공통점에서 촉발된 관심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시작되었다. 우선 『金鰲新話』와 『聊齋志異』와 관련한 기존 연구들의 고찰을 통해 어떠한 연구가 진행되어왔는지 살펴보았으며, 이를 종합하여 본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또한 『金鰲新話』의 작가인 김시습과 『聊齋志異』의 작가인 蒲松齡의 생이와 창작활동, 그리고 『金鰲新話』와 『聊齋志異』의 창작배경을 살펴봄으로써 작가와 작품에 대한 이해를 돕고 심도 깊은 비교 연구를 위한 토대를 마련하였다.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와 작가 및 작품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金鰲新話』와 『聊齋志異』의 비교 범위를 작가의식, 귀신관, 애정관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심도있는 비교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되어진다. 작가의식에 있어서 김시습과 蒲松齡의 작품 내에는 작가 자신의 소원, 그리고 소원을 이루지 못하게 한 원인에 대한 이야기가 각각 존재하는데 이야기를 풀어내는 방식은 두 작가가 각자의 특색이 있다. 귀신관에 있어서 『金鰲新話』에 나타난 귀신은 대부분 단일한 형태와 성격으로 묘사되어 일정한 틀에서 벗어나지 않지만, 『聊齋志異』에서는 여러 형상의 귀신이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며 각자 인간적 성향을 지니고 있다. 또한 두 작품의 지옥과 신에 대한 외형적 묘사는 비슷하나 작가의 의도에 맞게 특성이 조정되어 서로 다른 분위기를 드러낸다. 애정관에 있어서 『金鰲新話』와 『聊齋志異』내의 작품은 이루지 못한 사랑에 대한 한의 정서를 내포하고 있지만 『金鰲新話』의 한이 비극적이고 우울한 전통적 한이라면 『聊齋志異』에서의 한은 상황 설정과 유머 요소를 도입해 분위기를 희극적으로 구성했다는 차이점이 있다. The Myth of Keumo and Liaozhaizhiyi are the novel containing unrealistic material. Both authors was a promising young men from an early age. However, they lived unfortunate life for circumstances of their own despite their outstanding talent. These commons terms of author and novel, for such a reason, interest becomes sparked and this study has begun. First of all, an overall direction of this study was set up after reviewing an earlier studies about both novels. And then, both author's whole lifetime, creative activities, and creation background of both novels is explored for in-depth study from more better understanding that authors and novels. On the basis of earlier studies and investigations about authors and novels, a comparative study on the Myth of Keumo and Liaozhaizhiyi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drawn. First, both novels have a stories about author's wish and unfulfilled ambition. However, it unfold a different pattern respectively. Second, a ghosts in Myth of Keumo have a similar character and feature. In contrast, many types of ghosts are in Liaozhaizhiyi and they have a character same with a normal human like a petit bourgeois. Also, a description of appearance of god and world after death in Myth of Keumo and Liaozhaizhiyi have no some great difference. However, an each places and gods in two novels are described as different atmosphere with each author's intentions. Third, both novels have an emotion of sorrow about a hopeless love. An emotion of sorrow in Myth of Keumo is painfully tragic and gloomy. However, an emotion of sorrow in Liaozhaizhiyi is comical as add some elements like a humorous situation, black comedy.

      • 여대생들의 외모관리인식과 외모향상추구행동이 대인관계 및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쑨멍 우송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가 대학생들의 외모향상추구행동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 외모향상추구행동과 대인관계 및 대학교 생활적응과의 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는 먼저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외모향상추구행동, 대인관계 및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기본적인 이론과 이에 관련된 여러 기존연구들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관련변수들을 추출하고 변수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연구모형과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얻은 자료를 바탕으로 실증적 분석을 하고자 한다. 분석결과를 통해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가 체형관리행동, 의복관리행동 및 메이크업·헤어관리행동을 포함하는 외모향상추구행동의 영향요인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외모향상추구행동에 따른 대학생들의 대인관계 및 학교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는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와 이들 변인은 지속적으로 다양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연구되어야 할 과제로서 국민 건강향상을 위하는 것뿐만 아니라 화장품업계, 미용업계, 성형외과, 피부과 등의 업계를 위한 마케팅 전략 수립에도 유용한 정보가 되기를 희망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