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곤충을 차용한 조각 개념의 존재 유한성 연구 : 연구자 작품 중심으로

        심형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삶’과 ‘죽음’을 주제로 ‘존재의 유한성’을 다루기 위해 작품을 제작한 동기와 이론적 근거들을 서술한다. 그리고 연구자가 생각하는 ‘존재’의 의미와 ‘유한성’이 말하는 개념이 무엇이고 어떤 것인지 작업을 통해서 구체적으로 제시하며 비교 및 분석한 연구 논문이다. 인간은 태어남과 동시에, 필연적인 ‘죽음’과 공존하며 살아간다. 피할 수 없는 절대적 죽음 앞에서 인간은 공포에 사로잡혀 존재의 상실을 깨닫게 된다. 즉, ‘세상에 없는 존재’로 인식하기 때문에 불분명한 삶에서 불안과 두려움을 갖고 함께 살아간다. 연구자는 죽음의 개념을 해석하고 종교에서 나타나는 죽음 의의를 나열하며 개인적 서사로 죽음을 다양하게 해석한 작가들을 소개한다. 그 과정에서 실존주의 철학자 프리드리히 니체(F. W. Nietzsche, 1844~1900)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를 참고하여 작가들이 표현한 작품에서 삶과 죽음이 얼마나 밀접한 관계를 맺는지 설명한다. 그리고 마르틴 하이데거(Martin Heidegger, 1889~1976)의 『존재와 시간』를 참고하여 삶과 죽음의 존재 가치는 언제까지 존속하고 그 유한함은 어떻게 유지되는지 존재 여부를 분석한다. 그리고 어머니의 죽음을 생의 순환으로 재해석한 빌 비올라(Bill Viola, 1951~)와 곤충을 통해 탄생과 죽음을 적나라한 과정으로 선보인 데미안 허스트(Damien Hirst, 1965~)를 선행 작가로 지정해 연구한다. 연구자가 겪은 개인적인 죽음의 경험이 공포를 양산했고 그 불안감을 벗어나기 위해 어린 시절의 아픈 기억을 치유해 준 곤충으로 시선을 돌린다. 그러한 과정을 통해서 인간이 유한한 삶을 사는 것과 같이 곤충도 마찬가지임을 알게 됨으로서 탄생과 죽음은 누구나 겪고 누구에게나 공평한 생의 순환임을 주목하게 된다. 이때 자연의 섭리만이 영원함을 유지하는 것임에 의문을 품고 인간이 가진 존재성을 찾으려 노력했으며, 이를 통해 육체를 벗어나는 죽음이 끝이 아닌 또 다른 시작이자 그것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고 관련된 연구를 진행한다. 즉, 한 생명의 죽음은 끝나는 것이 아닌, 대상의 죽음을 인식한 나머지 다른 존재들로 전이되고 또 기억됨으로써 존재성을 얻게 된다. 이를 통해서 새로운 인식과 가치를 작품으로 해석한 본 논문 중 Ⅲ장 ‘연구자의 작품분석’에서는 연구자가 곤충에 대한 존재성과 의의를 함께 풀어서 작품으로 열거하려 한다. 이를 <곤충 시리즈(Insect series)>라 명명하고 <딱정벌레목(Coleoptera)>, <메뚜기목(Orthoptera)>, <곤충 사체(insect corpse)>의 세 부분으로 구분한다. 지극히 주관적인 경험을 토대로 만든 곤충의 부재를 통해 죽음은 우리의 삶과 무관한 것이 아닌 매우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시사하며 삶에 대한 가치와 의미를 깨닫고 긍정적으로 수용하도록 유도한다.

      • Outcome of massive pulmonary embolism treated only with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and anticoagulation without thrombolytic therapy or surgical embolectomy

        심형태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623

        Introduction: Thrombolytic therapy is the comventional treatment for massive pulmonary thromboembolism (PTE). However, it often proves ineffective in case of circulatory collapse, and the necessity of surgical embolectomy remains a subjective of debate.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outcomes of patients with massive PTE who underwent intensive care, including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ECMO) without thrombolytic therapy or surgical embolectomy.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39 patients treated for massive PTE between January 2011 to June 2019. Massive PTE was managed with anticoagulation and hemodynamic support in the intensive care unit, with ECMO applied in case of circulatory collapse. Serial CT angiography was used to measure CT obstruction index and the right ventricle to left ventricle short-axis diameters (RV/LV) ratio to assess changes in pulmonary emboli and RV strain. Results: Out of the 39 patients, 21 were in cardiogenic shock, with 15 requir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Fifteen patients received ECMO support, and nine were successfully weaned from it. The overall in-hospital mortality was 23% (9/39). On the six-month follow-up CT scan, residual PTE was observed in 10 patients, with a median CT obstruction index was of 6.25 % (range 2.5 – 35). The initial mean RV/LV ratio was 1.8 ± 0.47, which decreased to less than 1 (0.9 ± 0.1) at follow-up CT. Conclusions: Intensive care with heparin alone and timely ECMO support without thrombolytic therapy may represent an effective treatment option for patients with acute massive PTE. Further discussion and exploration of clinical implications and research avenues are warranted in the full manuscript.

      • The Role of SHMT2 in Exogenous Stress in HepG2

        심형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23

        Liver widely detoxifies various exogenous substances and their metabolism can cause toxicity. Exogenous stress-induced hepatic damage is manifested by various pathways. In particular, exogenous toxic substances such as ROS, mitochondrial damaging substances, and lipids may cause lipid accumulation or induce death in hepatocytes. SHMT2 is a human gene that encodes SHMT, mitochondrial, and expressed in whole bodies. Recent studies on the function of this protein have been focused on functions which (1) related to one-carbon metabolism, (2) required to supply mitochondrial formate, and (3) supplying mitochondrial glycine to generate glutathione and nucleic bases. As a mitochondrial protein-encoding gene, SHMT2 is highly expressed in developmental stages and proliferating cells, including the liver. Moreover, SHMT2’s specific interactions with the disease were widely reported. GWAS studies and large Cancer tissue datasets showed SHMT2 mutation and elevation of expression might be a cause of schizophrenia and various types of cancer. However, SHMT2's role in exogenous stress was not reported. Therefore, in this study, we found the role of SHMT2 in hepatocarcinoma HepG2 cells in cell proliferation, response to exogenous stress inducer. To confirm this, we have achieved efficient knockout of SHMT2 in hepatocyte sstem cells using siRNA and CRISPR. Exogenous stresses such as Cobalt, PA, tBHP, and lipid induction were administered to the SHMT2 inhibitory model. No phenotypic changes other than lipid accumulation were observed in SHMT2 knockdown, but SHMT2 KO Cells showed decreased PA and tBHP - induced cell death and lipid accumulation. This henomenon is thought to be partially explained by AMPK activation. In conclusion, SHMT2 deficiency is not only important for the mitochondrial function of hepatocytes, but also changes phenotypes of extrinsic stress in cells by the combined action of increased oxidative stress and activation of AMPK via purine synthesis. Knockout of SHMT2 is expected to be a platform to identify the response to exogenous stress in mitochondrial-inhibited hepatocytes. 간은 외인성 물질의 대사에 광범위하게 기여하는 기관으로, 물질 혹은 대사에 의해 생성되는 대사체 및 산화성 스트레스는 간독성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간의 외인성 물질 대사에 있어 SHMT2가 간세포의 Mitochondrial function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며, 특히 Glycine에 의존적으로 여러 독성 물질에 대한 취약성을 유발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Serine hydroxymethyltransferase, mitochondrial(SHMT2)은 L-serine을 glycine으로 분해하는 효소로, mitochondria내에서 tetrahydrofolate에 Methyl group을 공급하여 mitochondria의 One Carbon Metabolism(1C Metabolism)을 유지하며, glycine과 formate의 공급을 경유하여 purine synthesis를 유지하는 데에 있어서 주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간세포에서 SHMT2의 기능을 이해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RNA interference, CRISPR을 이용하여 기능적, 유전적 억제를 수행하였다. 또한, SHMT2의 억제 상태에서 Serine, Glycine의 결핍 유무에 따른 Mitochondria, Oxidative Stress에 대한 Phenotype을 확인하였고, Palmitate, Cobalt Chloride, Rotenone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독성 물질에 의한 Cell viability를 평가하였다. SHMT2를 siRNA로 억제한 HepG2 세포주는 Mitochondrial phenotype이나 exogenous stress에 의한 Cell viability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Lipid overload에 의한 지질의 축적이 확인되었다. 다만, 적은 양의 SHMT2도 Mitochondrial function 및 Phenotype을 유지하는데 문제가 없을 수 있다는 보고가 존재하기 때문에 CRISPR을 이용한 SHMT2의 Complete Knockout을 수행하여 Single Clonal Selection을 통한 SHMT2KO HepG2 Cell line을 만들었다. SHMT2를 CRISPR을 이용하여 세포 내에서 완전히 결핍시킨 HepG2 세포주는 Glycine의 공급에 의존적으로 Mitochondrial Potential, Oxygen Consumption Rate를 비롯한 Mitochondria의 기능이 저하되었고 ROS의 증가를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SHMT2KO 세포주에서 Ser, Gly의 결핍은 Palmitate, tBHP를 비롯한 독성 물질에 대하여 취약성을 나타냈으며, 지질 축적이 유의미하게 감소하는 현상을 나타냈다. 이와 관련하여 AMPK의 activation이 관찰되었으며, 이 기전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중에 있다. 결론적으로, SHMT2 Knockout 간세포주는 Mitochondrial defect와 ROS의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이에 따라 Serine 및 Glycine에 의존적으로 외인성 스트레스에 대한 취약성을 나타내었다. 뿐만 아니라, Purine Synthesis저해에 의한 AICAR 축적이 일으킬 수 있는 AMPK의 활성화를 통한 지질축적의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SHMT2의 억제 모델은 Mitochondria 손상을 통해서 외인성 물질의 독성 기전을 판단하는 플랫폼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Tetralogy of fallot with anomalous coronary artery crossing the right ventricular outflow tract

        Sim, Hyeong-tae 울산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04

        목적: 활로 4징증(Tetralogy of Fallot, ToF) 환자에서 우심실 유출로를 가로지르는 관상동맥 기형을 동반하는 경우 우심실 유출로 재건술을 시행함에 있어 어려움을 유발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관상동맥 기형을 동반한 활로 4징증 환자의 수술적 치료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1991년부터 2001년까지 총 812명의 환자가 서울 아산병원에서 ToF로 수술적 치료를 시행 받았다. 이 중 우심실 유출로를 가로지르는 관상동맥 기형을 동반한 총 23명의 환자(23/812, 2.83%) 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 하였다. ToF 교정술 시에 나이의 중앙값은 13개월 (5 ~ 45 개월) 이었다. 우심실 유출로를 가로지르는 관상동맥 기형의 종류는 의미있는 누두부 분지(significant big conal branch)가 8례, 좌전하행지 관상동맥(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 LAD)이 우측 관상동맥(Right coronary artery, RCA) 으로부터 기시하는 경우(LAD from RCA)가 6례, 우측 관상동맥에서 다른 하나의 좌전 하행지 동맥이 기시하여 우심실 유출로를 가로지른 후 원래의 좌전하행지 동맥과 함께 주행하는 경우(Dual LAD)가 5례, 우측 관상동맥이 좌전하행지 관상동맥으로부터 기시하는 경우 (RCA from LAD)가 4례였다. 8명의 환자는 고식적 수술 (palliative operation)을 일차수술로 먼저 시행받았다. 이중 7명의 경우 우심실 유출로(Right ventricular outflow tract, RVOT) 경감술을 시행 받았고, 1명의 경우 체폐 단락술 (systemic to pulmonary shunt)을 시행 받았다. ToF 교정술을 시행할 때 우심실 유출로 재건술의 방법은 transannular patch를 이용한 경우가 10례, 폐동맥 판막륜을 보존하면서 sub-coronary patch를 사용하거나 하지 않은 경우가 12례, Rastelli식 교정술을 시행한 경우가 1례 있었다. 결과: 총 1례의 조기 사망이 있었고 만기 사망은 없었다. 경과 관찰 기간의 중앙값은 75개월 (2 ~ 184개월) 이었다. 경과관찰 기간동안 4명의 환자가 총 6례의 재수술을 시행 받았다. 재수술의 종류는 우심실 유출로 경감술이 5례, 폐동맥 판막 치환술 1례 였다. Rastelli식 교정술을 시행받은 환자를 제외한 22명의 환자들의 5년 재수술 회피율(freedom from reoperation)은 85.7 ± 9.4% 였다. 심초음파 검사로 확인한 평균 RVOT 압력차는 수술 직후 28 ± 13 mmHg였고, 경과관찰 기간동안 가장 최근에 검사했을 때는 27 ± 10 mmHg 였다. 결론: 관상동맥 기형을 동반한 ToF환자에서 RV-PA conduit을 사용하지 않고 시행한 우심실 유출로 재건술은 좋은 장, 단기 결과를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