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EVA 및 POE 봉지재를 사용한 PV모듈 옥외성능 및 열화특성 분석

        심지현 청주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최근 태양전지의 효율 향상과 함께 태양광 모듈의 내구성 또한 필수적으로 갖춰야할 조건이다. 특히 요즘 이슈화 되고 있는 PID(Potential Induced Degradation) 현상의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방안 중 봉지재의 소재로 일반적으로 쓰고 있는 EVA(Ethylene-Vinyl Acetate)를 POE(Poly Olefin Elastomer)로 대체하는 방법이 있다. POE는 수분투습도가 EVA의 10% 밖에 되지 않고, 체적저항 또한 EVA 비해 높기 때문에 PID 문제가 거의 발생하지 않아 태양전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원자재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신뢰성 평가 PID, DH(Damp Heat), TC(Thermal Cycle), 복합(Complex) 시험을 각 봉지재별로 거친 후 특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PID 시험을 통과한 EVA 모듈이 POE 모듈 대비 14% 더 많이 감소하였으며, 나머지 모든 모듈의 성능감소율은 4% 미만이었다. 우리는 신뢰성 평가를 거친 모듈 4 kW를 옥외에 구축시켰으며, 2014년 3월부터 18개월간 측정하였다. 총 발전량을 비교하였을 때 EVA와 POE 모듈의 월 평균 발전량은 POE 모듈이 3.5% 더 많이 발전하였으며, 신뢰성 평가에 따른 발전량은 DH, 복합, TC, PID 시험 순으로 발전하였다. 평균 효율은 POE가 더 높게 측정되었다. 특히 TC 시험에서 EVA 12%, POE 8%로 신뢰성 평가를 거친 모듈 중 가장 큰 저하를 보였다. 또한 PID 시험을 거친 EVA가 옥외 노출 후 특성이 회복하는 추세를 보였지만, 여전히 POE 보다 특성이 낮았다. 이러한 옥외 실증결과를 바탕으로, PID 현상에 취약한 EVA 대체 봉지재로서 POE 봉지재의 가능성을 입증하였으며, PID 현상 외 가혹한 외부환경에서도 평균적으로 POE 모듈의 특성이 우수하였다. 추후 장기적인 모니터링 분석을 통하여 EVA 및 POE 발전량 측정 및 특성을 비교 진행 할 예정이며, 이러한 분석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EVA 소재를 대체할 수 있는 POE의 실증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Under outdoor environments, we studied the performance of polycrystalline photovoltaic(PV) modules that were fabricated with both EVA(Ethylene-Vinyl Acetate) and POE (Poly Olefin elastomer) encapsulants and went through a set of reliability tests such as PID(Potential Induced Degradation), DH(Damp Heat), TC(Thermal Cycle), and Complex testing. After the tests, The EVA photovoltaic modules exhibited relatively larger performance degradation in comparison to the POE photovoltaic modules after the the PID test, so the overall power generation of the modules dropped significantly by ≥ 14% in EVA module with respect to that of POE modules. Reduction of all of the modules, after the reliability test has less than 4%. We observed that POE was more effective than EVA as an encapsulat; The power output of each module is being degraded as time goes by. It shows that the average power output of POE is higher than that of EVA. After passing each test, the total power output of POE for 18 months is more than that of EVA by 3.5%, especially the difference of power output, which passes the PID test, is higher by 10%. In addition, after the analysis on maximum output characteristics, the power output of EVA module in the TC test has fallen rapidly. After passing the PID test, the efficiency of the POE module remains higher, while that of the EVA module has fallen again after great decrease and recovery. It has been observed that the average of EVA characteristics is lower than POE. Through the result of the outdoor tests, the possibility of the POE encapsulant as substitution of EVA has been proven. Processing the measurement of the power output and Comparison of the Characteristics for the EVA and POE encapsulant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long-term monitoring would be necessary.

      • Caffeic Acid 가열에 의한 구조변환 메커니즘 구명

        심지현 전남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식품은 가열을 통해 조리하여 섭취하는 경우가 많다. 식품 중의 특정 성분은 가열에 의해 다양한 화학반응이 발생함에 따라 구조적 변환이 초래될 가능성이 높음은 물론 그로 인해 생리활성에도 차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가열은 식품조리학, 식품가공학, 식품기능학 및 영양학적 측면에 있어 매우 중요한 인자라 판단된다. 그러나 식품 유용성분의 가열에 의한 구조변환 연구는 매우 제한적으로 행해져 왔다. Caffeic acid (CA)는 전형적인 phenylpropenoic acid로 대부분의 식물체에 널리 함유되어 있어 일상적으로 섭취하고 있는 성분들 중 하나이며 항산화, 항균, 항암, 항바이러스, 항염증 및 면역조절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을 발현함이 보고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CA를 대상으로 가열에 의한 구조적 변환 여부를 확인하고 그 변환 메커니즘을 제시하였다. CA 3.6 g에 증류수 3.6 L를 가한 후, heating mentle을 이용하여 100℃에서 24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생성된 CA 가열 생성물을 대상으로 ODS-MPLC 및 prep-HPLC를 행하여 총 12종의 화합물을 단리ㆍ정제하였다. 단리된 화합물들을 대상으로 NMR 분석을 행하여 구조해석을 행한 결과, 3,4-dihydroxybenzaldehyde (1), 4-methylbenzene-1,2-diol (2), (1S,2S,3S)-1-(3,4-dihydroxyphenyl)-5,6-dihydroxy-3-methyl-2,3-dihydro-1H-indene-2-carboxylic acid (3), 5-(1-hydroxyethyl)benzene-1,2,3-triol (4), 4-ethylbenzene-1,2-diol (5), 4-[1-(3,4-dihydroxyphenyl]ethyl)-5-ethylbenzene-1,2-diol (6), 3-{2-[1-(3,4-dihydroxyphenyl)ethyl]-4,5-dihydroxyphenyl}acrylic acid (7), 4-(1-hydroxyethyl)benzene-1,2-diol (8), (1R,3S)-1-(3,4-dihydroxyphenyl)-3-methyl-2,3-dihydro-1H-indene-5,6-diol (9), (1S,3S)-1-(3,4-dihydroxyphenyl)-3-methyl-2,3-dihydro-1H-indene-5,6-diol, (10) (1S,3S)-3-(3,4-dihydroxyphenyl)-1-methyl-2,3-dihydro-1H-indene-4,5-diol (11) 및 (1R,3S)-1-(3,4-dihydroxyphenyl)-3-[2-(3,4-dihydroxyphenyl)propyl]-2,3-dihydro-1H-indene-5,6-diol (12)로 구조해석되었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CA는 가열에 의해 decarboxylation, 이중결합에 수소첨가 또는 수산기 첨가 및 radical반응 등을 통하여 다양한 형태로 화학적 구조변환 및 축합체 형성 등의 반응이 수반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가열에 의한 특정 성분의 구조적 변환 연구는 식품조리학 및 기능성식품학은 물론 식품가공학, 영양학 및 한의학 등의 분야에 있어 매우 중요한 기초적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바, 본 연구 성과가 추후 관련 연구분야에 유용하게 이용되기를 기대한다. It has been reported that specific compounds containing in food materials were chemically converted by boiling in water. In addition, the chemical conversion affects biological activities after boiling. However, study on chemical conversion of food constituents by boiling has been conducted very limitedly. Caffeic acid, one of the typical phenylpropenoic acids, is contained in almost whole vegetable foods. It exerts various biological activities such as antioxidant, antibacterial, antiviral, anticancer, anti-inflammatory, and immunoregulatory effects. In this study, the chemical conversion and its mechanism of caffeic acid by boiling were investigated. Caffeic acid (3.6 g) in distiled water (3.6 L) was boiled at 100℃ for 24 h using heating mentle. Converted compounds from caffeic acid by boiling were purified using ODS-MPLC and prep-HPLC systems and gave 11 compounds. The structure of the isolated compounds were determined by MS and NMR analyses. They were identified as 3,4-dihydroxybenzaldehyde (1), 4-methylbenzene-1,2-diol (2), (1S,2S,3S)-1-(3,4-dihydroxyphenyl)-5,6-dihydroxy-3-methyl-2,3-dihydro-1H-indene-2-carboxylic acid (3), 5-(1-hydroxyethyl)benzene-1,2,3-triol (4), 4-ethylbenzene-1,2-diol (5), 4-[1-(3,4-dihydroxyphenyl)ethyl)-5-ethylbenzene-1,2-diol (6), 3-{2-[1-(3,4-dihydroxyphenyl)ethyl]-4,5-dihydroxyphenyl}acrylic acid (7, new compound), 4-(1-hydroxyethyl)benzene-1,2-diol (8), (1R,3S)-1-(3,4-dihydroxyphenyl)-3-methyl-2,3-dihydro-1H-indene-5,6-diol (9), (1S,3S)-1-(3,4-dihydroxyphenyl)-3-methyl-2,3-dihydro-1H-indene-5,6-diol, (10), (1S, 3S)-3-(3,4-dihydroxyphenyl)-1-methyl-2,3-dihydro-1H-indene-4,5-diol (11), and (1R,3S)-1-(3,4-dihydroxyphenyl)-3-[2-(3,4-dihydroxyphenyl)propyl]-2,3-dihydro-1H-indene-5,6-diol (12, new compound). Based on the structure of the identified compounds, the conversion mechanism of caffeic acid by boiling in water is proposed that caffeic acid was chemically converted via decarboxylation, hydrogenation or addition of hydroxyl group in double bond and benzene ring, and radical reaction. Investigation on chemical conversion of food constituents by boiling is expected to provide very important information relating to culinary science, functional food science, food processing, nutrition, and oriental medicine.

      • 보육교사 아동권리 및 권리존중보육실행 인식이 훈육방식과 언어적 통제유형에 미치는 영향

        심지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nsure that the rights of children are implemented from a priority view point by finding out how the discipline methods and teacher's discipline affect the language control type, as the perception of child rights and respect for the child care teachers are generally seen in the discipline situation. The research issu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What is the overall tendency with regard to child-rights awareness, rights-respecting child-care practice, disciplinary methods and linguistic Control Types? Research Question 2. What are the differences child-rights awareness, rights-respecting child-care practice, disciplinary methods, and linguistic Control Type in terms of general background factor of the child-care instructor? Research Question 3. What about the relationship among child-rights awareness, rights-respecting child-care practice, disciplinary methods, and linguistic Control Type? Research Question 4. What is the influence of child-rights awareness and rights-respecting child-care practice on disciplinary methods and linguistic Control Type? Research Question 4-1. What is the relative influence of child-rights awareness and rights-respecting child-care practice on discriplinary methods? Research Question 4-2. What is the relative infleunce of child-rights awareness, and rights-respecting child-care practice on linguistic Control Type? This study was conducted among 316 teachers currently working at childcare center located in Seoul and throughout Kyeongki province. The collected data's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DUNCAN'S test, Pearson correlation were evaluated using SPSS 23.0 program. Also, in order to verify the internal consistency on the scale, Cronbach's q was used as well. The results of this study regarding the research problem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tendencies of the child-care instructor's child-rights awareness, rights-respecting child-care practice, disciplinary methods, and linguistic Control Types are as follows. Above all, the child-rights awareness of the child-care instructor was little above the middle with the protection rights being the highest. The rights-respecting child-care practice of the child-care instructor turned out to be little above the middle while child-care instructor's disciplinary method was above the middle with logical explanation having high score among sub-factors. The child-care instructor's linguistic Control Type were in the order of personality control, status control, and command control. Secondly,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child-rights awareness, rights-respecting child-care practice, disciplinary methods, linguistic Control Type by child-care instructor's general background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ild-care instructor's child-rights awareness by his or her work experience. Among the sub-factors of child rights awareness based on the career of child care instructors, those with less than three to five years of experience scored higher than those with less than three years of experience and those with less than five to 10 years ol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actice of rights-respecting child-care. Nex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and experience in coercion among the sub factors of discipline methods according to the general background of child care instructors,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neglect among the sub factors of disciplinary methods according to word experience. The coercion of child care instructors by ag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30 and 40 years of age, higher than 45 years of age or older. In accordance with the career of a child care instructors, those who have less than five to seven year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than those with less than one to three years, more than seven to 10 years, and more than 10 years. The difference in language control types of child care instructors didn'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and career, but significant differences in educational backgrou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mmand control emerged among the sub-factors of linguistic Control Types, and high school graduates (with training course completed) used command control at a higher level than those who graduated in two to three years, graduated in four years, and graduated in graduate school or higher. Third, the awareness of child rights and the practice of respect for rights of child care teachers appeared static with logical explanation, which is a sub-factor of disciplin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oercion and neglect turned out to be negative. In other words, the more child care teachers recognize children's rights and implement rights-respecting child care, the higher the logical explanation of positive discipline methods and less the negative discipline methods of coercion and neglect. Next, the higher the awareness of child rights and the right to protect children's rights, a sub factor in the recognition of child rights in linguistic Control Types, the less command control is used and the higher the recognition of the four major rights of children, the higher the personality control. It has been shown that the more the child's best interests are implemented, the less the day-to-day job respect and the less the child's best interests are implemented, the more personality control is used, and the less the commanding and status control is used. Fourth, child-care instructor's awareness of child-rights and rights-respecting care-practice turned out to be a significant factor in predicting logical explanation, coercion, and neglect which are sub-factors of the child-care instructor's disciplinary methods. Next, the child-care instructor's child-rights awareness and rights-respecting care-practice was a significant factor predicting command control, status control, personality control which are sub-factor of linguistic Control Type. This study proposed the importance of the awareness of child rights and respect for child care teachers in most previous prior studies and the improvement of education. Based on the limitation that the teacher's respect for children's rights and rights of children are not given top priority in the discipline situation, we have identified the influence of the teacher's awareness of child rights and the practice of respect for children on discipline and verbal control patterns.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goes to implicates that instructor education in positive manner in terms of disciplinary methods and verbal control is necessary through seeking ways for child rights awareness and respect for child care instructors to reach high levels and providing it to the instructors.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아동권리 및 권리존중보육실행의 인식이 훈육상황에서 일반적으로 보이는 태도로서 훈육방식과 교사의 훈육이 언어를 주로 사용하게 되므로 언어적 통제유형에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는지 알아봄으로써 아동의 권리가 최우선의 관점으로 실행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 문제 1. 아동권리인식, 권리존중보육실행과 훈육방식 및 언어적 통제유형의 전반적인 경향은 어떠한가? 연구 문제 2. 보육교사의 일반적 배경 변인에 따른 아동권리인식, 권리존중보육실행과 훈육방식 및 언어적 통제유형의 차이는 어떠 한가? 연구 문제 3. 아동권리인식, 권리존중보육실행과 훈육방식 및 언어적 통제유형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 문제 4. 아동권리인식, 권리존중보육실행이 훈육방식 및 언어적 통제유형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4-1. 아동권리인식, 권리존중보육실행이 훈육방식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4-2 아동권리 인식, 권리존중보육실행이 언어적 통제유형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 경기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교사 31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검정, ANOVA, 사후분석으로 DUNCAN’S 검정,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척도의 내적 일관성 검증을 위하여 Cronbach's ɑ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아동권리인식, 권리존중보육실행, 훈육방식, 언어적 통제유형의 전반적인 경향은 다음과 같다. 우선 보육교사의 아동권리인식은 보통보다 조금 높은 수준으로 보호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권리존중보육실행은 중간 이상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보육교사의 훈육방식은 중간 이상 수준으로 하위요인에서 논리적 설명이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언어적 통제유형은 인성적 통제, 지위적 통제, 명령적 통제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아동권리인식, 권리존중보육실행, 훈육방식, 언어적통제유형의 유의한 차이는 다음과 같다. 우선 보육교사의 아동권리인식은 경력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보육교사의 경력에 따른 아동권리인식의 하위요인 중 참여권에서 3년~5년 미만의 보육교사가 3년 미만 교사와 5년 이상~10년 미만 교사보다 높게 나타났다. 권리존중보육실행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음으로 보육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훈육방식의 하위요인 중 강압에서 연령과 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훈육방식의 하위요인 중 방임은 경력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보육교사의 연령에 따른 강압은 30세~40세 미만이 45세 이상보다 높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경력에 따른 5년~7년 미만의 교사가 1년~3년 미만, 7년 이상~10년 미만, 10년 이상 교사보다 높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보육교사의 언어적 통제유형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연령, 경력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학력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언어적 통제유형의 하위요인 중 명령적 통제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고졸(양성 과정수료) 교사가 2~3년제 졸업, 4년제 졸업, 대학원 이상 졸업 교사보다 높은 수준으로 명령적 통제를 사용하였다. 셋째, 보육교사의 아동권리 및 권리존중보육실행의 인식이 훈육방식의 하위요인 논리적 설명과 정적인 관계가 나타났고 강압과 방임은 부적인 상관이 나타났다. 즉 보육교사가 아동권리를 인식하고 권리존중 보육을 실행할수록 긍정적인 훈육방식의 논리적 설명을 높게 사용하고 강압과 방임의 부정적인 훈육방식을 적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보육교사의 아동권리 및 권리존중보육실행의 인식이 언어적 통제유형에서 아동권리인식의 하위요인 보호권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명령적 통제를 덜 사용하고 아동권리 4대권의 인식이 높을수록 인성적 통제가 높게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권리존중보육실행의 하위요인 하루 일과존중과 아동 최선의 이익을 실행할수록 인성적 통제를 사용하며 명령적 통제와 지위적 통제는 적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육교사의 아동권리 및 권리존중보육실행의 인식이 보육교사의 훈육방식 하위요인 논리적 설명. 강압, 방임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변수였다. 다음으로 보육교사의 아동권리인식과 권리존중보육실행은 언어적 통제유형의 하위요인 명령적 통제, 지위적 통제, 인성적 통제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변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대부분 선행연구에서 보육교사의 아동권리 및 권리존중보육실행 인식의 중요성과 교육 개선의 논의를 제안하는 것으로서 교사가 권리존중이 실행되지 않는 훈육상황에서 아동의 권리가 최우선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제한점에 기초하여 교사의 아동권리와 권리존중보육실행에 대한 인식이 훈육방식과 언어적 통제유형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보육교사의 아동권리인식과 권리존중보육이 높은 수준으로 도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교사에게 제공함으로써 훈육방식과 언어적 통제유형에 있어서 긍정적인 방법의 교사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논리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놀이 중심의 언플러그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심지현 공주교육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oday, our society is poised to create a new paradigm that creates new value-added values based on knowledge-based information processing centers. future society requires creative thinking to find and conceptualize vital information of the vast majority of information generated everyday. In other words, the future society needed humen who are creative minds with Logical thinking Ability. Elementary school software education has been presented as an alternative to increasing Resolving ability of various problems, fostering logical thinking, and fostering Creativity. Training methods and tools used in software education have been studied, and many instructional methods and tools are based on programming language. However, this learning method may be an interference factor in software education, for learners who lack experience or knowledge of programming languages, 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re inexperienced in the basic functions of the computer themselves. In particular, the programming language, including abstract concepts, should be difficult, especially considering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stay in concrete operational stage. This study select and Apply Unplugged Program to improve their logical thinking skills in consideration of the level of low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develops instructional learning models based on the design direction of the instructional methods utilizing play_Focused Unplugged program. and Researcher develop lesson plan and learning materials based on learning objectives. and Researcher taught. play_Focused Unplugged program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play_Focused Unplugged program helped improve lower grades students ' logical thinking, the study conducted pretest-posttest of the third graders(1 class, 27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and The improvement of the average pretest-posttest score was analysed and the improvement of the logical thinking elements was analyzed. As a result, play_Focused Unplugged programs improve logical thinking and enhances proportional reasoning and combinational reasoning of the elements of logical thinking. This study shows that play_Focused Unplugged program used in this study is an effective method for learning a lower grades student's software. 오늘날 우리 사회는 컴퓨터 정보처리 중심의 지식 정보사회를 기반으로 융복합이라는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변혁기를 맞이하고 있다. 따라서 미래 사회에서 매일같이 생겨나는 방대한 정보 중에서 중요한 정보를 찾아 논리적으로 연결하고 융합하기 위해서는 창의적인 사고력이 필요하다. 즉, 미래 사회에 필요한 인재는 논리적 사고력이 뛰어난 창의적인 인재이다. 이에 다양한 문제에 대한 해결력을 높이고 논리적 사고력을 길러주고 창의적 인재를 기를 수 있는 한 가지 대안으로 초등학교부터 소프트웨어 교육을 적용하자는 것이다. 소프트웨어교육에 사용되는 많은 교육방법 및 도구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기반으로 한다. 그러나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경험이나 지식이 없는 학습자 혹은 아직 컴퓨터 자체의 기본기능에 미숙한 초등학교 저학년의 경우 추상적인 개념을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기능 중심으로 그대로 교육하기는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의 특성을 고려하여 초등학교 저학년의 논리적 사고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놀이 중심의 언플러그드 교육을 선택하여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놀이 중심의 언플러그드를 활용한 교수 학습 방법의 설계 방향에 따라 교수 학습 모형을 개발하고, 각 차시별 학습 목표에 따라 교수·학습 지도안, 학습 자료를 개발하여 놀이 중심의 언플러그드 수업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놀이 중심의 언플러그드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의 논리적 사고력 향상에 도움을 주는 가를 알아보기 위해 초등학교 3학년 1개 반 27명에게 사전, 사후 GALT 검사를 실시하였고 사전, 사후 점수에 대한 평균의 향상도와 논리적 사고력 요소의 향상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놀이 중심의 언플러그드 교육이 논리적 사고력을 향상시키고 논리적 사고력의 요소 중 비례논리와 조합논리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활용된 놀이 중심의 언플러그드 교육이 초등학교 저학년 소프트웨어 학습에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임을 알 수 있다.

      • 영어과 수준별 이동수업에 대한 고등학생과 교사의 인식 연구

        심지현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영어과 수준별 이동수업에 대한 고등학생과 교사의 인식 연구 학생의 수준에 따른 개인차를 무시한 교수, 학습 방법으로는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양성이 어렵다는 판단 하에, 제7차 교육과정에서 수준별 수업이 도입되었다. 이후 수준별 수업은 점차 확대 되었으나, 단위학교별 학교장 재량으로 수준별 수업의 시행 시기와 방법이 변화되어왔다. 따라서 실제 운영되고 있는 수준별 교육과정에서 교육의 주체인 학습자와 교수자의 인식을 연구하고 수준별 수업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영어과 수준별 이동수업이 보다 더 효율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영어과 수준별 이동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을 연구하였고, 인식을 영어과 수준별 이동수업을 통한 영어능력에 대한 자신감, 영어에 대한 흥미, 학습 동기, 영어과 수준별 이동수업의 효과, 문제점, 그리고 만족도로 범주화하였다. 연구를 위해 영어과 수준별 이동수업을 진행하고 있는 대구의 고등학교 3곳과 서울의 고등학교 1곳의 고등학생 632명과 현직 영어교사 5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학생 설문조사와 학생 초점 집단 인터뷰, 교사 개인 인터뷰를 진행하여 학생과 교사의 영어과 수준별 이동수업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과 수준별 이동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전반적인 인식으로는 영어과 수준별 이동수업을 통한 영어능력에 대한 자신감 영역이 가장 낮았고, 문제점 영역이 가장 높았으며, 학습자들의 전반적인 인식은 대체로 부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학생의 변인에 따른 학습자의 인식 비교 결과로는 먼저 성별 차이에서는 집단 간의 인식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학년별 차이로는 영어과 수준별 이동수업을 통한 영어 학습 동기 영역 외에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1학년 학습자 집단이 2,3학년 집단보다 영어과 수준별 이동수업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었다. 수준별 차이를 비교한 결과로는 영어과 수준별 이동수업의 효과, 문제점, 만족도 영역에서 각 집단의 차이가 유의미했으며, 상급반의 인식이 중급, 하급반의 인식보다 긍정적이었다. 수준별 학급 편성 방식별 차이로는, 모든 학급 편성 방식에서 상급반의 인식이 중급반과 하급반보다 영어과 수준별 이동수업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문항 주관식 응답 분석과 학생 초점 집단 인터뷰를 통한 학습자의 인식에서는 상급반 학습자들은 수업내용의 난이도, 학습 집중도, 동기 유발 측면에서 영어과 수준별 이동수업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과, 모호한 학급 편성 기분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다고 응답하였고, 중급반 학습자들은 이동수업의 단점, 학생 간 격차 심화 등으로 인해 영어과 수준별 이동수업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하급반 학습자들은 교사의 차별, 학습동기 저하로 영어과 수준별 이동수업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다고 하였다. 셋째, 영어과 수준별 이동수업에 대한 교사의 인식 분석 결과는 학생들에게 미치는 낙인 효과, 수준별 학급 지도의 애로사항 등으로 대체로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영어과 수준별 이동수업의 하위집단 학생들은 학생들 간의 위화감, 교사의 차별로 인해 영어 학습에 대한 동기가 저하된다는 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교사는 학생들의 학습동기가 결여되지 않도록 위화감과 열등감을 조장하지 않는 학습 분위기를 형성해야 할 것이다. 둘째, 영어과 수준별 이동수업의 수업내용과 평가방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수준별 이동수업의 수업시간을 정규시간 외의 방과 후 학교 시간으로 편성하여 수준별 교육과정의 본래의 취지를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수준별 이동 수업의 학급 편성 시 수준별 학급을 세분화 하여 편성하면 보다 더 효율적인 수준별 이동수업 운영이 가능 할 것이다. High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Perspectives on Level–Differentiated English Clas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high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perspectives on level–differentiated English clas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four high schools were selected from Seoul and Daegu, and the students from those schools did the survey and the interview. Data were collected from 632 students and five teachers. Eight students were interviewed to study their perspectives on level–differentiated English class, and five teachers were interviewed personally. The summarized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affective factors and perception on level–differentiated English class were not shown positive, and perspectives by gender h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Second, the first grade students have more positive perspectives on level–differentiated English class than other students, and the upper grade students prefer to learn English in the level–differentiated English class than other groups. Third, the upper grade students prefer to the level–differentiated English class because of its motivation factors.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proper level of the classes and they thought the class were helpful for their studying. Fourth, the lower grade students do not prefer to the class because of sense of inferiority, teacher’s discrimination, and sense of incompatibility between other students. Fifth, five teachers who were interviewed show negative perception on level–differentiated English class because the class brings labeling effect that the lower grade students are not good at learning.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has some suggestions to improve level-differentiated English class. First, teachers should not discriminate against any students based on their grades, because teachers’ labeling effect may demotivate students who want to learn English. Second, various types of level–differentiated English class need to be considered, because there is limitation of managing level–differentiated English class such as same contents and test. Third, it would be more effective to subdivide level–differentiated English class, because the upper, middle, and lower class system is not proper for various level’s students.

      • 현대 여성구두 디자인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 초현실주의 영향을 중심으로

        심지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how surrealistic art trend is reflected on the design for modern women's shoes through grasping the way the trend is expressed on female shoes, and to shed new light on the artistic value of the shoes for women through analyzing the figurative features of the design for the women's shoes. This is to suggest one of the ways to review the modern people's rapidly changing structure of mind set, the value of the world of spirit, and living sense. Futhermore, another purpose is to enable the expression of design work to get help from pure art that satisfies basic desire for pursuit of new human sensitivity, and also to practically help the industrial design to create artistic idea and develop higher value-added work. I searched for the features of surrealistic expression in the new genre of women's shoes as a source of idea for design, and sought to identify the artistic value of them through categorizing them according to figurativeness, and analyzing the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surrealistic thinking has a feature of unique idea and its development, which means it broke from classical and rational convention. It is applied to women's shoes, and it expressed the idea and shape going beyond tradition of reasonable thinking and rational development process by denying or dismantling rules. Surrealism has come to express dreams, hallucination, and human instincts, which led to the hallucinative interpretation and expression of art. This is the transposition of consciousness to artistic expression. Automatism and paranoiac critical method was studied in order to express internal subject and these were applied to the extensive range from pure art to the design for women's shoes. Second, surrealists delivered the emotions impossible in reality and basic thinking via combining of the images of unrealistic shapes, and dismantled the conventional shape of beauty. Their exploring the instinct by surrealistic ideas of irregularity, disorder, and asymmetry resulted in new interpretation of the figurativeness of women's shoes and it was expressed with symbolism and sensitivity in various images. Third, I found that the features of pure art and the surrealistic expression in the design for women's shoes have the similarity in the whole process that the creation of shape starts from the self consciousness. And it was possibly expected that both are the same idea in the contents side of personal subjects and visual symbolism that elements of shape and the way of expression have. The design of women's shoes is an extended concept that has the subjective artistic expression of designers in the center of it, going beyond the limited concept of universal shape based on functional tradition, and is being developed into modern art that expresses the impulse of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The surrealistic figurative expression of the design for women's shoes is the true development of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and performs the function that recovers personal sense of beauty and fantasy which were not able to be discovered because they existed out of consciousness through expressing activity. It is to discover the true identity of self, and help modern people that are experiencing isolation from nature and society feel hope and sensitivity and feel pleasant. I hope that various experiments with the figurative expression of the design for women's shoes are conducted and touching works are created as works of art, and artistic expression is applied to the entire area of design related with industrial design in order to create new value. While I conducted the study, I could realized that the theoretical system about the aesthetic side of the design for women's shoes is needed, and the design for women's shoes is the area that we can enhance the possibility of artistic expression in association with figurative art. In addition, I hope that the efforts to create new aesthetic value should proceed through actively exploring and experimenting with creative sense of beauty, and have great impact on the industries relevant to the artistic area. 본 연구는 초현실주의 예술사조가 여성구두 디자인에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파악하고, 여성구두 디자인의 조형적 특성을 분석하여 여성구두의 예술적 가치를 재조명하려는 것이다. 이는 빠르게 변화하는 현대인의 의식구조와 정신세계의 가치, 생활감각을 살펴볼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임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나아가 인간감성의 새로움을 추구에 대한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고, 작품표현에 도움을 주고, 더불어 산업디자인의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예술적인 발상과 전개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디자인 발상 근원으로서의 초현실주의 표현특성을 여성구두에서 찾아보았고 그 조형성에 따라 분류하고 결과를 분석하여 미학적으로 그 가치를 확인하는 시도를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현실주의 사고와 전개과정은 고전적이고 이성적인 인습의 탈피를 의미하며 독특한 발상과 사고전개의 특징을 보인다. 이는 여성구두 디자인에 응용되었고 규칙을 거부하거나 해체하여 기존의 합리적인 사고와 이성적인 전개의 과정을 뛰어넘는 사고와 조형을 표현하였다. 초현실주의는 꿈, 환각, 인간의 본능을 표현하게 되었고 그 결과 환각적인 예술해석과 표현을 하게 되었다. 이는 무의식이 예술표현의 의식 상태로 전위된 것이다. 내재적 주제를 표현하기 위하여 오토마티즘(automatism), 오브제(objet), 데페이즈망(depaysement), 데칼코마니(decalcomanie) 가 연구되었고, 이는 여성구두 디자인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응용되었다. 둘째, 초현실주의자들은 비현실적인 형상의 이미지의 결합을 통해 현실에서 불가능한 감정, 원초적인 사고를 전달하며 기존의 관습적인 형태미를 해체시키고 불규칙, 무질서, 불완전, 비대칭 등의 초현실주의 사고에 대한 탐구는 여성구두 디자인의 조형성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하게 되었고 다양한 이미지의 형태로 표현되었다. 셋째, 순수예술과 여성구두 디자인의 초현실주의 표현의 특성은 자아를 의식하는 출발점에서 조형을 형성하는 모든 과정이 유사함을 볼 수 있었으며, 개인적인 주제의 내용적인 측면과, 조형요소와 표현방법이 가지는 시각적 상징성에서 동일한 사고임을 예측할 수 있게 하였다. 여성구두 디자인은 기능적 전통을 근거로 보편적 형태의 한정된 개념을 초월하여 디자이너의 주관적 예술성의 표현이 주가 되는 확장된 개념이며, 의식과 무의식의 충동을 표현하는 현대의 예술로 전개되고 있다. 여성구두 디자인의 초현실주의 조형표현은 진정한 무의식의 탐구와 발전이며, 표현의 행위를 통해 의식 밖에 잠재하여 발견할 수 없었던 개인적인 미감과 환상을 회복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자아의 진정한 정체성을 찾는 것이며 자연과 사회로부터 소외를 경험하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희망과 감성을 느끼게 하며 즐거움을 주는 역할이다. 여성구두 디자인의 조형성 표현에 대한 다양한 실험이 이루어져 감동을 주는 작품이 예술작품으로 창조되고, 실용디자인 영역에 예술표현이 적절하게 응용되어 새로운 가치가 창출되길 기대한다. 이번 연구를 진행하며 여성구두 디자인의 미학적 측면에 관한 이론적 체계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으며, 여성구두 디자인을 조형예술과 연계하여 예술적 표현의 가능성을 확대시켜나갈 수 있는 분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창조성을 적극적으로 탐구하고 실험하여 새로운 미적가치를 창조하는 노력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이는 관련된 산업디자인 영역에 많은 영향을 미치리라 기대한다.

      • 사람 pre-naïve B 세포의 조절 세포로서의 역할에 대한 연구

        심지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서론: 사람의 말초혈액 내에 순환 하고 있는 pre-naïve B 세포는 transitional B 세포와 naïve B 세포의 중간단계의 특징을 보이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그러나 pre-naïve B 세포의 기능에 대해서 자세히 알려진 바가 없다. 다만, 생쥐에서 사람 pre-naïve B 세포와 발달단계가 유사한 T2-marginal zone precursor(MZP) B 세포가 interleukin(IL) -10을 생성하는 조절세포로서(regulatory B cells, Bregs) 면역억제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람 pre-naïve B 세포가 IL-10을 생성함으로 T 세포 증식과 cytokine 생성을 억제하는 조절세포로의 기능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사람의 말초혈액에서 pre-naïve B 세포를 분리하고, CD154(CD40L) 발현 세포를 이용한 CD40의 자극 조건에서 IL-10 생성능을 flow cytometry와 효소면역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pre-naïve B 세포를 CD40의 자극 조건에서 CD4+ T 세포를 같이 배양하여 T 세포의 증식과 cytokine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flow cytometry와 효소면역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건강한 사람으로부터 분리한 pre-naïve B 세포가 CD40 자극 하에 naïve B 세포, memory B 세포에 비해서 IL-10을 의미 있게 많이 생성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pre-naïve B 세포가 CD4+ T 세포의 증식과 cytokine 생성을 억제하였다. 반면, 자가 면역질환인 전신성홍반성루푸스(루푸스, SLE) 환자의 pre-naïve B 세포는 CD40 자극을 주어도 정상인의 pre-naïve B 세포만큼의 IL-10를 생성하지 못 하였다. 결론: 따라서 pre-naïve B 세포는 사람 말초혈액에 존재하는 독특한 B 세포군로서 정상인의 면역반응을 조절하는 세포로의 역할을 보이며, 면역학적 항상성과 자가 항원에 대한 관용 유지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중년 여성의 통합문학치료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심지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ed at exploring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 lives of middle-aged women are revitalized as they participate in an Integrative Poetry & Bibliotherapy program. In particular, the author used her own self-epic to describe that these participants of the Integrative Poetry & Bibliotherapy program could restore their potential resilience and regain positivity in life by reflecting on their lives and restructuring them. These descriptions were based on the author's childhood, school life, marriag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author traced back her life in terms of ‘reflection of self(self-exploration, self-understanding)’ and ‘reflection of relationships(exploration of others, understanding of others)’. The narrative research protocol was followed, because the poetry therapy program for the participants was based on the author’s personal experience. Accordingly, the participants reflected on their overall lives and discovered that they had experienced diverse changes in their lives and at the same time, had undergone and endured challenges and hardships. The research question was to examine what meaning this process of self-reflection took in their lives. Further, this study sought to explore whether utilizing their innate resilience had positive effects in their lives using narrative inquiry. This study followed the narrative research protocol suggested by Clandinin & Connelly(2007), and the participants were six middle-aged women who enrolled in the Integrative Poetry & Bibliotherapy program, led by the author, at S library in S district, B city. All participants complete the poetry therapy program(12 sessions from March 4, 2016 to June 3, 2016) and six in-depth interviews. The participants fell under the ‘Middle adult era’ suggested by Levinson(2004), and every one of them not only discovered their innate resilience but also experienced a new meaning of life through this process. The following are the summaries of the results. First, middle-aged women focused on the relationships with themselves and with others and classified ‘independent self-construal’ as individuality and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as relatedness. Particularly, although both individuality and relatedness are formed during growth, they consistently interact in harmony since adulthood. Second, as they reflected on their inner selves during ‘self-reflection’, they discovered an array of themselves, including ‘shrugging’, ‘like my mother’, ‘wants to be comforted’, ‘needs courage’, ‘wants to change’, and ‘wants to be confident’. Third, as they reflected on their relationships with others during ‘reflection of relationships’, they came to accept th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such as ‘understand my mother’, ‘accept others who cause me trouble’, ‘understand through communication’, and ‘grow with them’. In particular, they came to understand the lives of their mothers, who had practically shaped their lives, and found the courage to face their significant others who had caused them trouble. Fourth, as they introspected, they discovered their innate positive resilience, such as ‘strengthening the muscles of my heart’, ‘for a better choice’, ‘deliver a positive message to myself’, and ‘positive energy in me’ and applied them in their lives. The participants encouraged one another and exchanged positive support among themselves. In addition to these findings, the author realized, during the process of this study, that Integrative Poetry & Bibliotherapy should not end as a short-therm therapy program for middle-aged women, but should be something that is provided continuously throughout their lives. One reason for this assertion is that the lives of middle-aged women, as they enter late adulthood, will continue to be bumpy along the way. Therefore, middle-aged women are in need of various Integrative Poetry & Bibliotherapy programs that would refresh and revitalize their daily lives. Moreover, it is also important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them to become part of a poetry therapy community and connect with others to help them view their lives from multiple and new perspectives. Such opportunities would ensure that they discover resilience and positivity, and practice their idiosyncratic values within their families and social group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author surmised that overcoming the midlife crisis and discovering the vigor of life would serve as a positive energy for the women themselves but also for their families and all members of their social communities.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 여성이 통합문학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어떠한 과정을 통해 삶의 활력을 발견해가는 지를 탐색하는 데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 연구자는 통합문학치료 프로그램에서의 중년 여성 참여자들이 스스로 삶의 과정을 돌아보고 이를 재구성함으로써 이들 내면에 잠재된 회복탄력성과 삶의 긍정성을 새롭게 되찾을 수 있다는 것을 연구자 자신의 삶의 서사 self epic를 토대로 기술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의 배경에는 연구자 자신의 ‘유년, 학창시절, 결혼생활, 대인관계’ 등이 동반되었다. 연구의 내용은 연구자 자신의 삶과 삶의 흔적들을 ‘자기영역 성찰(자기탐색, 자기이해)’과 ‘관계영역 성찰(타인탐색, 타인이해)’로 분류되어 구성되었다. 한걸음 더 나아가 본 연구에서 활용된 연구 기술방식은 중년 여성의 문학치료체험과정이 연구자 자신의 개인적인 체험을 근거로 한 것임으로 내러티브 연구 방법에 따르고자 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문제는 중년 여성의 생애전반을 살펴보면서 자신의 삶에서 다양한 변화를 경험하며 동시에 도전과 역경을 견디며 살아왔음을 성찰하고, 그러한 삶을 성찰한 경험의 과정이 자신에게 어떤 의미를 가지게 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이들에게 내재되어 있는 회복탄력성을 활용함으로써 자신의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는지를 내러티브 분석을 통해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뿐만 아니라 본 연구는 클랜디닌과 코넬리가 제시한 내러티브 연구 절차에 따라 진행하였으며 연구 참여 중년 여성들은 B시의 S구에 소재하는 S도서관 문학치료 프로그램의 신청자 6명이다. 이들 중년 여성 6명은 본 연구자가 진행하는 문학치료 프로그램(2016년 3월 4일부터 6월 3일까지 총 12회)과 6회에 걸친 심층 인터뷰 등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중년 여성은 레빈슨의 인생주기에서 중년기에 해당하며, 이들 중년 여성들은 자기성찰 과정을 통해 스스로에게 내재된 회복탄력성을 발견하는 것은 물론 새로운 삶의 의미를 체험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진행하면서 추출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 여성은 자기성찰을 통해 자신은 물론 타인과의 관계에 초점을 두고 ‘독립적인 자기관’은 개별성으로, ‘상호의존적 자기관’은 관계성으로 구분하여 성찰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참여자들의 성장과정에서 개별성과 관계성이 형성되지만, 성인기 이후에는 서로 조화를 이루며 끊임없이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정리되었다. 둘째, ‘자기영역 성찰’에서 자신과 자신의 내면을 성찰하면서 ‘움츠린 모습의 나’, ‘엄마를 닮은 나’, ‘위로 받고 싶은 나’, ‘용기가 필요한 나’, ‘변하고 싶은 나’, ‘당당해지고 싶은 나’ 등 다양한 모습의 자신을 발견하였다. 셋째, 자신과 타인과의 ‘관계영역 성찰’을 하면서 ‘엄마를 이해하다’, ‘힘들게 하는 타인을 수용하다’, ‘소통을 통해 이해하다’, ‘그들과 함께 성장하다’ 등 긍정적ㆍ부정적인 면들을 수용하게 되었다. 특히 자신의 삶에 뿌리 깊게 영향을 준 어머니의 삶을 이해하게 되었고, 자신을 힘들게 하는 의미 있는 타인과 마주할 수 있는 힘이 생겼다. 넷째, 자기성찰을 하는 동안 스스로에게 내재된 긍정적인 회복탄력성으로 ‘내 마음의 근육을 가꾸자’, ‘보다 나은 선택을 위해서’, ‘나에게 긍정의 말을 전하다’, ‘내 속에 담겨 있는 긍정에너지’ 등을 발견하고 적용하였다. 중년 여성 참여자들 간에는 서로를 격려하고 배려하는 긍정적인 지지가 교환되었다. 그 외에도 본 연구를 진행해오는 과정에서 연구자는 중년 여성의 문학치료적 작업이 단순히 프로그램의 차원에서 단기적으로 수행되기 보다는 삶의 전반과정동안 지속적으로 제공되어야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왜냐하면 중년을 지나 노년으로 가는 중년 여성의 삶이 여전히 순탄하지만 않다고 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들 중년 여성들에게는 일상의 삶을 더욱 더 활기차게 해 줄 다양한 통합문학치료 프로그램의 제공이 요구된다 하겠다. 뿐만 아니라 중년 여성이 삶의 과정을 다각적이고 새로운 시각에서 바라볼 수 있도록 문학치료적 공동체 및 연대의 기회를 마련해주는 것도 필요하다. 이를 통해 이들 개인에게는 자기회복력 및 긍정성이 담보되고 가족 및 사회 공동체 안에서는 이들만의 고유 가치를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연구자는 중년 여성에게 봉착한 중년의 위기를 극복하고 새로운 삶의 활력을 찾는다는 것이 중년 여성 개인에게는 물론 이들을 둘러싼 가족과 사회 공동체 구성원에게도 긍정의 에너지로 널리 확산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 주거가치가 아파트 브랜드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브랜드 중요도와 지역별 거주자 인식을 중심으로

        심지현 홍익대학교 광고홍보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1990년대 들어서면서 주거에 대한 욕구와 함께 아파트 품질에 대한 욕구도 함께 상승 하였고, 소비자들의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패턴은 아파트의 공급과 선택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이러한 현상으로 각 건설업체에서는 브랜드에 따른 다양한 아파트를 선보이며 시장에 진입하였다. 현재 2012년 아파트 브랜드들은 넘쳐나고 있지만 처음 건설업체에서 얻고자 하였던 브랜드 가치나 주거의 만족은 실제적으로는 차이가 많이 나는 경향이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의 목적은 본원적인 주거가치를 알아보고 주거가치가 아파트 브랜드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과 브랜드의 중요도 인식과 지역에 따른 거주자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아파트 브랜드의 실 거주자를 대상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역 아파트 브랜드 거주자와 시 단위 지역에서는 창원, 진해, 김해지역의 아파트 브랜드 거주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항목은 크게 본원적 주거가치와 브랜드 애호도, 브랜드 중요도, 지역별 거주자 인식으로 구분하였으며, 조사된 내용에 대해 상호작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1) 아파트의 본원적 가치 중에서 주거품질의 가치, 단지품질의 가치, 커뮤니티의 가치가 유의적이었다. 이 가치들이 높을수록 아파트 애호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생활편의성에 대한 가치는 애호도에 높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아파트에 대한 애호도에 대중교통성과, 상업, 공공시설에 대한 접근성은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외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 결과는 브랜드 애호도에는 주거품질, 단지품질, 커뮤니티 품질에 의해 결정됨을 시사하고 있다. (3) 주거가치에 대한 아파트 브랜드 애호도의 영향에 브랜드 중요도의 조절효과가 나타났으며, 이는 주거가치에 대한 만족이 높을때 브랜드 중요도를 높게 생각하는 집단에서는 애호도에 대한 높은 애착을 가지고 있었다. 이것은 연구대상 아파트 거주자들은 아파트에 주거가치의 만족이 높음으로서 브랜드 중요도도 함께 상승함을 입증하고 있다. (4) 주거가치에 따른 브랜드 애호도는 서울지역과 경남지역의 큰 차이점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각 건설사의 같은 브랜드아파트에 대한 시공기술과 계획성을 동일하게 도입하는 현상으로 의미할 수 있다. 끝으로 본원적 주거가치가 브랜드 애호도에 유의한 영향으로 단지품질과 커뮤니티의 요인이 높을수록 재 구매의향과 타인추천에 영향이 높았으며, 그 중 타인추천에 대한 의향이 더 높게 나타났는데, 실 거주자들에 의한 타인추천효과는 마케팅 측면에서는 단지품질과 커뮤니티의 가치들이 아주 중요한 요인으로 시사할 수 있으며, 각 품질에 대한 사후관리 역시 중요한 논의점이 될 것이다. Since 1990, consumers' desire for the own housing and its quality has increased, and their diverse life-style has had great effects on supply and demand of apartments. For this reason, many construction companies came up with variety of apartment brands to access to the market. In 2012, although various apartment brands have been promoted, there is a tendency of increasing gap between the brand image the company tried to build in the first place and the customers' satisfac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real residents in the branded apartments in order to find out the fundamental value of housing, the housing value's effect on the residents' preference of brand, and the adjusting effect of different groups of residents' perception. Thu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the branded apartment residents in Seoul, Chang-won, Jin-hae, and Gim-hae. The major entry of survey was roughly devided into the fundamental housing value, brand preference, brand significance, and residents' perception in different areas, and the surveyed data went under the interaction analysis. As a result, (1) the significant variables among the fundamental value of housing were housing quality, complex quality, and community quality. The higher those qualities are, the more people prefer the apartments. (2) The value of life convenience has no effect on the preference of apartments. This means that the access to public transit, commercial area, and public facilities does not affect the preference of apartment, which is pretty surprising finding, and suggests that the brand preference is determined mainly by housing quality, complex quality, and community quality. (3) For the housing value's effect on the apartment brand preference, it turns out that the brand significance has good adjustment effect, which tells us that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the housing value, the more preference was found among the group valuing the brand significance. This proves that the higher satisfaction of apartments in terms of housing quality help its brand significance improve. (4) There is little difference between Seoul and Gyeong-nam region, which is resulted from the similar plan and technology introduced by each construction company for its branded apartments. Finally, the fundamental housing value turns out to be significant variable to the brand preference, and the higher the complex quality and the community factors, the more purchase wishes and the recommendation to others were found. Among them, the recommendation to others was more significant result, and it also suggests that the recommendation factor by the real residents is very important in terms of complex quality and community values from marketing perspective. The follow-up service for each quality can be important discussion point for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