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Incidence and risk factors of infectious complications related to implantable venous-access ports

        심지수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구 목적 : 이 연구의 목적은 삽입형 정맥포트와 관련된 감염 합병증의 유병률과 그 위험요인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및 대상 : 본 연구는 2003년 8월부터 2011년 11월까지 본원 인터벤션실에서 삽입형 정맥포트 시술을 받은 총 1,747명의 환자들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중 144명은 혈액종양, 1,603명은 고체장기 종양 환자였다. 이 중, 총 40명의 환자에서 감염 합병증의 치료를 위해 정맥포트 제거를 시행하였다 (남 17, 여 23; 평균연령: 57.1세). 의무기록을 통해 삽입형 정맥포트 관련 감염 합병증의 유병률, 환자 특성, 미생물학적 결과 및 환자의 예후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단변량 분석 (t 검정, 카이제곱 검정 및 피셔의 정확성 검증)과 다변량 분석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이용하여 정맥포트 관련 감염합병증의 위험요인을 결정하였다. 연구 결과 : 1,747례 중 40례 (2.3%)에서 감염 합병증으로 정맥포트를 제거하였으며 그 유병률은 0.067 건/1000카테터•일이었다. 입원하여 정맥포트 삽입시술을 받은 환자에서 그렇지 않은 환자보다 감염의 유병률이 높았으며 (입원 vs. 외래; 34/1203 vs. 6/544, p=0.016), 혈액종양 환자에서 고체장기 종양 환자보다 감염률이 높았다 (혈액종양 vs. 고체장기 종양; 33/144 vs. 7/1603, p=0.041). 또한, 고식적 항암치료를 목적으로 정맥포트를 삽입한 환자에서 근치적 항암치료를 목적으로 한 환자보다 감염률이 높았다 (고식적 치료 vs. 근치적 치료; 30/1022 vs 10/725, p=0.022). 다변량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을 때, 혈액종양 환자에서 감염합병증의 위험도는 고체장기 종양 환자에 대하여 확률비 7.769 (p=0.001) 였고, 고식적 치료를 받은 군에서 감염합병증의 위험도는 근치적 치료를 받은 군에 대하여 확률비 4.863 (p=0.003) 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감염합병증이 있었던 환자 26례의 혈액 배양검사에서 미생물이 검출되었으며, 포도상구균(n=10)과 캔디다(n=7)가 가장 흔한 원인균으로 밝혀졌다. 결론 : 본 연구는 약 10년간 삽입한 1,747개의 정맥포트에 대한 후향적 연구로서, 1) 기저질환으로 혈액종양이 있는 경우, 2) 고식적 항암치료를 받는 경우가 정맥포트 관련 감염 합병증의 유의한 위험요인임을 밝혀내었으며, 추후 이러한 환자군에서 시술 및 시술 후 관리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incidence and risk factors of infections associated with implantable venous-access ports (IVAPs). Materials and Methods: From August 2003 through November 2011, 1,747 IVAPs were placed in our interventional radiology suite. One hundred forty four IVAPs were inserted in patients with hematologic malignancy and 1,603 IVAPs in patients with solid tumors. Among them, 40 ports (23 women and 17 men; mean age, 57.1 years; range, 13–83) were removed to treat port-related infections. The incidence of port-related infection, patient characteristics, bacteriologic data, and patient progress were evaluated. Univariable analyses (t-test, chi-square test and Fisher’s exact 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determine the risk factors for IVAP related infection. Results: Overall, 40 (2.3%) of 1,747 ports were removed to treat infection with an incidence rate of 0.067 events/1,000 catheter-days. From univariable study, the incidence of infection was seemingly higher in patients who received the procedure during inpatient treatment (p=0.016), patients with hematologic malignancy (p=0.041), and patients receiving palliative chemotherapy (p=0.022). From multiple binary logistic regression, the adjusted odds ratios of infection in patients with hematologic malignancies and those receiving palliative chemotherapy were 7.769 (p=0.001) and 4.863 (p=0.003), respectively. Microorganisms were isolated from 26 (65%) blood samples. Two most causative organisms were Staphylococcus (n=10) and Candida species (n=7). Conclusions: This retrospective study regarding 1,747 IVAPs of 10-year experience clarified the risk factors of IVAP-related infection as 1) underlying hematologic malignancy and 2) the patient state receiving palliative chemotherapy, suggesting that both the intervention and the post-procedure care in this population should be managed cautiously.

      • 필러의 입자크기에 따른 Fly ash/Epoxy 수지 복합소재의 기계적 특성 및 파괴거동에 관한 연구

        심지수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복합소재는 필러의 크기/형태, 기지-필러의 계면 특성과 같은 다양한 요소에 의해 기계적 특성이 달라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분자 복합소재에 첨가되는 fly ash의 입도, 함량변화에 따른 미세조직과 기계적 특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Fly ash의 입자 크기 및 분포를 확인하기 위해 입도 분석기 (Particle size analyzer) 를 활용하였으며, 복합소재의 파괴 거동에 대해 고찰하기 위해 전계 방출형 전자 현미경 (FE-SEM,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을 활용하였다. 복합소재의 균일분산을 위해 점도 측정을 진행하였으며, 최적점도조건인 7-9 Pa·s에서 경화 및 주입을 진행하였다. 90 ㎛, 53 ㎛ 미만으로 시빙된 Fly ash로 복합소재를 제작해 경도, 인장, 압축 시험을 진행하였으며, 필러의 함량 및 크기가 기계적 특성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필러의 함량에 의한 기계적 특성 변화를 확인한 결과, fly ash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경도 및 압축강도가 증가하였으나, 인장강도는 특정 함량 이상 fly ash를 첨가할 시 항복 강도가 감소하게 되었다. 또한 입자 크기에 따른 기계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90 ㎛, 53 ㎛ 미만의 시빙한 fly ash로 제작한 복합소재의 기계적 특성 시험을 진행하였다. 입자 사이즈가 작아질수록 인장, 압축 강도가 증가하였으며, 인장시편의 파단면 관찰을 통해 내부에 공극이 존재하는 큰 사이즈의 fly ash 입자로부터 파단이 시작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고분자 복합소재는 Mirror, Mist, Hackle zone으로 파단이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fly ash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균열의 전파 지점인 Mirror zone의 양상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선형적인 균열이 fly ash에 의해 진행되지 못하여 함량이 증가할수록 급진적인 파단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fly ash 함량, 크기에 따른 기계적 특성 변화를 파단 양상과 연관 지어 고찰을 진행하였다.

      • 재실패턴을 고려한 바닥복사난방시스템의 최적제어논리 제안

        심지수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Carbon neutrality is considered as the only solution to solve the climate crisis. As the damage done by climate crisis is getting more serious, the importance of carbon neutrality is being highlighted more. Building energy consumption accounts about half of the global final energy consumption. It is predicted that the building energy consumption will be continuously increased by the industrialization. And heating energy consumption in residential building accounts more than half of the global building energy consumption. Reducing heating energy consumption in residential building is the key issue to achieve the carbon neutrality. Most countries have planned and implemented building energy policies. The main purpose of these policies is to reduce the heating energy consumption in residential building. Despite of these efforts, carbon emissions from the building sector are continuously increasing. Especially, heating energy consumption in residential building still occupies a large portion of the building energy consumption. Lots of researches mentioned that poor heating energy management by occupant is the main cause of the increasing building energy consumption. Therefore, the proposal and application of heating control strateg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 of heating system and occupant patterns is necessary. Radiant heating system is a general heating system applied to residential building. It guarantees the occupant thermal comfort, and the thermal stability inside the building. For that reason, the application of radiant heating system in residential building is continuously increasing. Radiant heating system has the characteristic of the slow thermal response. Therefore, continuous heating is generally applied as the heating control logic in radiant heating system. As the importance of reducing the heating energy consumption is increasing, the diverse heating control logics for radiant heating system considering occupant patterns have been developed. To improve the thermal comfort and reduce the heating energy consumption, the heating control logics includes the prediction process. It predicts the optimal time to start and stop the heating system. Since the heating control logics require a complex calculation process and a large number of datasets, it is rarely applied in residential buildings. In order to reduce the heating energy consumption in residential building with heating control strategies, three issues related to radiant heating system should be considered. 1. Identification of occupancy patterns in residential building, 2. Slow thermal response characteristic of radiant heating system, 3. Applicability of heating control logic in residential building. In this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of radiant heating system is analyzed and the optimal heating control logic is proposed by considering these issues. The results and significance of this thesis is as follows. 1. Identification of occupancy patterns in residential building The occupant patterns in residential building show changes and diversities as lifestyle changes. In general, the occupancy pattern in residential building has been assumed that the occupants stay in the building for 24 hours in a day. This general method did not consider the diversified occupancy patterns in residential building. This study has identified 12 types of occupancy patterns from 229 households. By using electricity consumption data from 229 households, the occupancy patterns in residential building are redefined. From the occupancy patterns, the heating behavior in residential buildings are further analyzed by comparing the occupancy patterns and heating energy consumption. Result shows that as much as 81.5% of households consumed heating energy even during unoccupied hours. The heating energy consumed during unoccupied hours accounts for 39.5% of the total heating energy consumption. It shows that the heating energy consumption in residential building can be dramatically reduced by applying the heating control logic considering the occupancy patterns. In this study, the heating control logic considering occupancy patterns (Daytime, Night, and Dual setback control) are proposed. The reduction of heating energy heating energy consumption and thermal comfort are also analyzed by filed measurement. Night setback control, which lowers the set-point temperature during sleep hours, are found to reduce 11.2% of heating energy consumption while maintaining the thermal comfort. Up to 20.4% of heating energy can be reduced by applying dual setback control, which lowers the set-point temperature for unoccupied and sleep hours. These control logics can reduce the heating energy consumption even though it shows that the thermal comfort is greatly reduced by the characteristic of radiant heating system. 2. Slow thermal response characteristics of radiant heating system It requires a long time for the radiant heating system to decrease or increase the indoor temperatures. This is due to the slow thermal characteristic of radiant heating system. This causes thermal discomfort and inefficient heating energy consumption to increase since the indoor temperature cannot immediately change with occupant patterns. Optimal control logic is a method of changing the control of heating system in advance for the indoor temperature to reach set-point temperature at a target time. In this study the optimal control logic considering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the radiant heating system is proposed. The proposed method calculates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the radiant heating system by collecting data(indoor temperature, outdoor temperature, time interval) from the heating space. By applying the weather forecast data, the optimal time for controlling heating system is predicted. The proposed method only used the data collected from heating space. Hence,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residential buildings. This method also predicts the optimal time of the radiant heating system based on its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This enable the optimal time to be predicted with high accuracy without complicated calculation process or large numbers of data. The heating energy consumption and thermal comfort of proposed method are analyzed through field measurement. The heating energy of proposed method can be reduced to 31.6% compared to continuous heating and it also improved thermal comfort up to 15.7%. 3. Applicability of heating control logic in residential building To reduce the heating energy consumption in residential building by applying the heating control logic, the logic used should have a simple calculation process with high accuracy. Each residential buildings have its own various conditions (indoor environment, building energy performance, amount of heat input etc.). Because of this reason, existed control logic inevitably has complicated calculation process. The existed logics are rarely implemented in residential buildings. In this research, the optimal control logic considering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the radiant heating system is proposed. Proposed method considers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the radiant heating system with collected data from heating space. Only Indoor temperature, outdoor temperature and time interval data are required. Additional instruments for calculating optimal time are not necessary. Also, proposed method can consider the various conditions of residential building without the need of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target building. Result also shows that the optimal time can be predicted with high accuracy after 4 days of applying the method. The proposed method can accurately predict the optimal time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without having detailed information of target building. Hence, this method can be easily applied to other various residential building with radiant heating system. In this research, the optimal control logic for radiant heating system is proposed. It calculates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radiant heating system with only small dataset. Based on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the optimal time is predicted using short-range weather forecast data. It can predict the optimal time without complicated calculation process or large dataset. The accuracy of the proposed method shows that the proposed method reduces the heating energy consumption in residential building and guarantee the thermal comfort. If the proposed method is applied in Korean residential building, the total building energy consumption in Korea can be reduced up to 6.8%. The proposed method in this thesis not only greatly impacts the reduction of heating energy consumption in residential building, it also contributes to the reduction of national carbon emissions. 지구온난화에 따른 심각한 기후 위기로 전 세계는 유례없는 자연재해를 겪고 있으며, 빈번하고 강력한 자연재해는 마침내 인류 생존을 위협하는 지경에 이르고 있다. 이러한 기후 위기 속에서 전 세계는 2050년까지 지구 온도 상승을 1.5도 이내로 제한하고자 하는 2050탄소중립의 공동의 목표를 작성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전개하고 있다. 건물부문의 에너지 소비량은 전 세계 전체 에너지 소비량의 약 50%를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산업구조가 선진화되면서 그 비중이 더욱 커질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에 대부분의 국가에서 2050 탄소중립이라는 국가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건물부문의 에너지 소비를 우선하여 절감하는 정책을 전개하고 있다. 특히 주거건물의 난방에너지 소비는 건물부문의 에너지 소비의 주 원인이 되고 있다. 많은 국가에서 주거건물 난방에너지 소비를 절감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건물부문의 에너지 소비량, 즉 온실가스 배출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IEA를 비롯한 다수의 연구들은 재실자에 의한 부적절한 난방제어방식 적용이 주거건물 난방에너지 소비량 증가의 가장 큰 원인이라고 보았다. 이에 따라서, 난방시스템과 재실 특성을 이해한 난방제어방식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복사난방시스템은 다수의 연구자들에 의해 재실자의 열 쾌적성을 보장하고 실내 열 환경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우수한 난방시스템으로 증명되고 있다. 복사난방시스템은 주거건물에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으며, 특히 비교적 추운 겨울이 긴 북반구 지역에서 다양한 형태의 복사난방시스템의 설치가 증가하고 있다. 복사난방시스템은 대류 난방시스템과 비교하여 매우 느린 열 응답성을 가지며, 24시간 연속해서 난방시스템을 가동하는 연속난방 방식이 일반적으로 적용되어 왔다. 최근 복사난방시스템이 적용된 주거건물의 에너지 절감이 강조됨에 따라서, 연속난방 방식이 아닌 재실 패턴을 고려한 난방제어논리 개발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기존에 제안된 난방제어논리는 재실자의 열 쾌적성 보장과 난방에너지 절감을 위하여, 적정 난방 가동 시간의 예측 과정이 요구된다. 하지만 복잡한 계산방식이 불가피하게 요구되고, 낮은 예측정확도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실제 주거건물에서 적용하기 어렵다. 이 같은 한계로 인하여, 난방시스템과 재실 패턴을 고려한 난방방식의 필요성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복사난방시스템이 설치된 주거건물에 적절한 난방제어방식이 적용되지 못하고 있다. 복사난방시스템이 설치된 주거건물에 난방에너지 절감을 위한 난방제어논리가 적용되기 위해서는 다음 세 가지 이슈가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1. 주거건물의 재실 패턴 재정의, 2. 복사난방시스템의 느린 열 이동 특성 분석, 3. 주거건물에 난방방식의 적용 가능성. 본 연구는 세 가지 이슈들을 고려하여, 복사난방시스템의 열 전달 특성을 고려한 최적 난방제어논리를 제안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 및 결과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1. 주거건물의 재실 패턴 재정의 재실자의 라이프스타일이 변화하면서, 주거건물의 재실 패턴은 다양화되었다. 기존 주거건물의 재실 패턴은 재실자가 24시간 항상 실내에 거주한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기존 방법으로 재실 패턴을 고려한 난방제어방식을 제안하기 어렵다. 본 논문은 229 가구에서 수집된 전기에너지소비량 자료를 이용하여 재실율을 산정하였다. 그리고 주거건물의 재실 패턴을 재정의하였다. 분석 결과 총 12 종류의 재실 패턴이 도출되었다. 재실 패턴과 난방에너지 소비량을 비교하여 주거건물의 난방에너지 소비 특성을 분석하였다. 주거건물에서 재실자가 거주하지 않는 비재실 시간 동안에도 난방에너지를 소비하는 가구는 전체 가구 중 81.5%를 차지하였다. 전체 난방에너지 소비량 관점에서 비재실 시간에 소비되는 난방에너지는 전체의 39.5%를 차지한다. 본 연구 결과는 주거건물에서 재실 패턴을 고려한 난방방식은 불필요하게 소비되는 난방에너지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재실 패턴을 고려한 난방방식(Daytime, night, dual setback control)을 제안하였다. 바닥복사난방시스템이 설치된 실험실에 제안한 난방방식을 적용하여 난방실험을 진행하였다. 난방방식에 따른 난방에너지 절감 및 열 쾌적성 효과를 분석하였다. 수면시간에 설정온도를 낮추는 Night setback control은 재실자의 열 쾌적성을 유지하면서도, 11.2%의 난방에너지 절감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재실 시간과 수면 시간에 각각 설정온도를 낮추는 Dual setback control을 적용한다면 최대 20.4%의 난방에너지가 절감될 수 있다. 바닥복사난방시스템이 설치된 주거건물에서 재실 패턴을 고려한 난방방식은 난방에너지를 줄일 수 있으나, 복사난방시스템의 느린 열 응답 특성으로 인하여 재실자의 열 쾌적성이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복사난방시스템의 느린 열 이동 특성 복사난방시스템은 느린 열 응답 특성 때문에 실내온도가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데오랜 시간이 소요된다. 재실자 패턴에 따라서 실내온도가 즉각적으로 변화하지 못하기 때문에, 복사난방시스템에서 재실 패턴을 고려한 난방방식의 적용은 불쾌적성을 증가시키며 비효율적인 난방에너지 소비를 유발할 수 있다. 최적제어논리는 목표시간에 실내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하도록 난방시스템을 미리 변경하는 난방방식이다. 최적제어논리는 복사난방시스템이 설치된 주거건물의 난방에너지 절감 및 재실자 열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제안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 제어논리의 한계점을 분석하고, 복사난방시스템의 열 전달 특성을 고려한 최적제어논리를 제안하였다. 난방공간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사난방시스템의 열 전달 특성을 산정한다. 미래 외기온도 자료를 복사난방시스템 열 전달 특성 모델에 입력하여, 실내온도가 설정온도까지 도달하는 시간(최적 난방 가동, 정지 시간)을 예측하는 최적제어논리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난방 공간에서 수집된 실내온도, 외기온도, 시간 데이터만을 활용하여 난방공간의 열 전달 특성을 고려한다. 따라서, 다양한 주거건물에 적용 가능한 제어논리이다. 복사난방시스템의 열 전달 특성에 기초하여 최적 난방 가동/정지 시간을 예측한다는 점에서 복잡한 계산과정과 데이터 없이도 안정적인 예측이 가능하다. 또한, 미래 환경 변화에 따른 최적 난방 가동/정지 시간의 예측이 가능하다. 제안한 최적제어논리의 난방에너지 절감 및 열 쾌적성 효과를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연속난방방식과 비교했을 때, 31.6% 의 난방에너지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재실자의 열 쾌적성은 15.7%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주거건물에 난방방식의 적용 가능성 주거건물은 복잡한 평면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복사난방시스템의 최적제어논리 적용을 위한 추가적인 기기 설치가 어렵다. 또한 최적제어논리가 복잡한 계산과정을 요구하거나, 최적 난방 가동/정지 시간 예측정확도가 낮다면 실제 주거건물에서 재실자는 최적제어논리를 거의 적용하지 않는다. 주거건물마다 다양한 환경(실내환경, 벽체 열 관류율과 같은 건물 에너지 성능, 바닥구조체 축열성능, 난방에너지 투입량)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기존 최적제어논리는 구체적인 건물의 정보 및 많은 양의 데이터가 요구되고, 복잡한 계산과정이 선행되어야만 했다. 본 연구는 난방공간에서 수집한 최소한의 데이터(실내온도, 외기온도, 시간)만으로 복사난방시스템의 열 전달 특성을 산출하고, 최적 난방 가동/정지 시간을 예측하는 제어논리를 제안하였다. 난방공간의 구체적인 정보 없이도 주거건물이 가지는 다양한 환경을 고려하여 복사난방시스템이 설치된 주거건물에 최적제어논리가 적용될 수 있다. 최적제어논리를 적용하고 약 4일 이후부터 최적 난방 가동/정지 시간의 오차율은 0.5℃ 이내로, 최적제어논리의 예측 정확도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논리는 주거건물의 구체적인 정보 없이도 짧은 기간 내에 최적 난방 가동/정지 시간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추가적인 측정기기를 요구하지 않고, 높은 정확도를 보이기 때문에 다수의 주거건물에 확산될 수 있는 제어논리라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복사난방시스템이 설치된 주거건물에서 불필요하게 소비되는 난방에너지를 절감하고, 재실자의 열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최적제어논리를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최적제어논리는 주거건물에서 수집된 최소한의 데이터로 복사난방시스템의 열 전달 특성을 산정하고, 최적 난방 가동/정지 시간을 예측한다. 때문에, 복잡한 계산과정 또는 많은 양의 데이터 없이 최적 난방 가동/정지 시간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최적제어논리는 주거건물에 쉽게 적용가능할 것이라 판단된다. 제안하는 최적제어논리가 국내 복사난방시스템이 설치된 주거건물에 적용된다면, 국내 전체 건물에너지의 6.8%를 절감시킬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최적제어논리는 주거건물의 난방에너지뿐 아니라, 국가 단위의 탄소배출량을 절감시키는 데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 국내 지역기후를 반영한 표준기상데이터 작성 및 건물에너지 시뮬레이션에 대한 영향도 분석

        심지수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 세계적으로 에너지 과소비에 따른 문제점들이 발생함에 따라서, 각 정부들은 에너지 절감을 위한 다양한 대책들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건물에너지 분야는 에너지 절감 가능성이 높은 분야로 지목되었으며, 이에 따라 Low energy building, Zero energy building이 효율적인 에너지 절감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Low energy building, Zero energy building을 구현하기 위한 건축설계 단계에서의 검토방법으로 일반적으로 건물에너지시뮬레이션 방법을 이용한다. 건물에너지시뮬레이션을 통해 다양한 건물에너지 절감 대책(energy conservation measures)의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게 된다. 건물의 내·외부환경사이의 물리적인 상호작용을 통하여 에너지 소비량을 예측하는 건물에너지시뮬레이션은 해당건물의 물성치, 외부 기상데이터 등의 다양한 데이터가 요구된다. 특히 에너지의 민감도가 높은 저에너지, 제로에너지 건물의 경우, 이러한 입력데이터의 영향도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건물의 외부환경을 대표하는 표준기상데이터의 경우, 전 세계적으로 제한된 지역에 한하여 제공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일부 지역에 대한 표준기상데이터가 제공되고 있으며, 주로 대도시 지역에 국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저에너지 건물, 제로에너지 건물의 에너지 절감 대책을 작성하는 건물에너지 시뮬레이션에서 필수적인 표준기상데이터를 작성을 목적으로, 표준기상데이터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검토를 실시하였다. 표준기상데이터는 국내를 70개 지역으로 세분화하여 각 지역의 기후 특성을 반영하여 표준기상데이터를 작성하였다. 표준기상데이터 작성방법으로 본 연구에서는 ISO 15927-4 방법을 따랐다. 표준기상데이터를 작성하기 위해 반드시 요구되지만, 실측값이 일부 지역에만 국한되어 제공되고 있는 기상 관측요소인 수평면 전 일사량, 수평면 직달·산란 일사량에 대해 누락된 지역의 예측값을 작성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국내의 지역 기후 특성에 적합한 일사량 예측모델을 분석 및 제시하기 위해 전 세계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수평면 전 일사량, 수평면 직달·산란 일사량 예측모델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예측모델에 대해 일사량 실측값이 제공되는 지역에 대해 예측값과 실측값과의 비교를 통해 각 예측모델의 국내 적용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수평면 전 일사량 예측모델로는 Zhang&Huang 모델이 국내 지역에 가장 우수한 신뢰도를 나타냈으며, 수평면 직달·산란 일사량 예측모델로는 Watanabe 모델이 가장 높은 신뢰도를 나타냈다. 기상 관측 예측모델의 신뢰성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국내 70개 지역에 대한 표준기상데이터를 작성하고 신뢰도 분석을 진행하였다. 최종적으로는 작성된 국내 표준기상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역 기상특성을 반영한 표준기상데이터를 이용하는 경우와 기존의 인접 대표지역 표준기상데이터를 이용하는 경우의 건물에너지 시뮬레이션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상지역의 기후 특징을 반영한 표준기상데이터를 이용하여 에너지 분석을 진행하는 경우, 건물에너지 소비량 예측 정확도는 기존 인접 대표지역 표준기상데이터를 이용하는 방법에 비하여 에너지 소비량의 시뮬레이션 결과치가 실측치에 근접하였다

      • Structural dynamic analysis of space launch vehicle using axisymmetric shell element including hydroelastic effect for pogo stability analysis

        심지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Space launch vehicle exhibits many multidiscipline-related instabilities which are caused by coupling between the fuselage structural and other subsystem components. Pogo phenomenon is one of those coupled instabilities. This thesis focuses on the pogo phenomenon which is the longitudinal dynamic instability of space launch vehicles. For the prediction of the pogo phenomenon,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appropriate structural model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feedlines and propulsion system.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conducting the modal analysis of the launch vehicles. It was conducted by using the axisymmetric two-dimensional shell elements. The present analysis was validated using examples of the existing launch vehicles. The comparison in terms of modeling and results against the

      • 드라마에 나타난 청소년범죄 재현 의미 연구 : 〈인간수업〉을 중심으로

        심지수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최근 한국 사회에서 청소년범죄가 성인범죄 못지않게 점점 더 조직적이고 흉악해지는 상황에서 공개된 넷플릭스 시리즈 <인간수업>을 중심으로 드라마에 나타난 청소년범죄 재현의 의미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드라마에서 청소년범죄를 재현하기 위해 장치한 청소년 범죄자들과 성인 인물을 중심으로 분석과 청소년이 저지른 범죄와 상동구조를 이루는 성인의 범죄, 사업 구조의 비교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청소년의 범죄에 대해 한국 사회가 인식하고 있는 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인간수업>에 나타난 청소년범죄는 ‘성을 매매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미성년자가 조건만남을 통해 돈을 버는 성매매로, 조건만남을 하는 성을 착취하는 포주로 재현되고 있다. 이는 성과 자본의 권력 체제 안에서 이루어졌다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성을 사유하는 것’에 대해 말한 게일루빈이 진단한 여성억압의 역사를 살펴보고, 성을 거래할 수 있는 배경 안에서 가능한 범죄인 여성의 성이 남성에게 종속되는 형태인 매매춘과 성매매의 의미를 파악하는 시도를 하였다. 또한 드라마에서 남성이 여성에게 성을 매매하는 형태도 재현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장하여 성의 상품화 구조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인간수업>에서 범죄를 저지른 청소년의 특성과 청소년들이 이룬 범죄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청소년 범죄자 오지수와 배규리가 범죄를 선택한 원인이 결핍과 소외가 존재하는 가정환경을 중심으로 서사화되었음을 확인하였고, 이 청소년들을 발견하지 못하는 학교와 사회의 한계점이 청소년들이 재현할 수 없다는 상상력 부족으로부터 드러내고자 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청소년이 선택한 범죄가 성인이 이루는 여성의 성을 착취하는 성매매 위장업소, 미성년의 몸을 착취하는 연예 매니지먼트와 같은 범죄와 사업을 재현함으로써 청소년의 범죄가 성인의 범죄 및 사업 구조 안에서 계승 및 체현되어 반영이 이루어졌다는 사실을 드러내고자 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청소년범죄 재현 의미연구를 위해 ‘청소년’과 ‘범죄’를 구분하여 재현 양상을 살펴보는 시도는 <인간수업> 텍스트가 이전까지 범죄소년을 갱생하는 목적으로 교훈 및 교육적 측면으로 해석되고 이루어졌던 드라마 텍스트를 벗어났기 때문에 가능했다. 가해자에게 가정과 학교, 사회로부터 오는 서사를 부여하여 철저히 청소년범죄에 대한 책임을 성인과 사회로 돌려 청소년이 범죄를 저지를 수밖에 없는 환경적 본질을 파고드는 서사와 형식이 드러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인간수업>에서 재현하는 청소년 범죄자와 청소년의 범죄에 대한 의미를 살펴보고 사회적으로 던지는 문제의 고찰 지점을 모색하였다.

      • 현대 조경의 시각화 매체로서 맵핑

        심지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시각화 매체로서 맵핑은 환경과 사회의 변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조경에서의 맵핑도 조경 계획과 설계의 과정에서 널리 활용된다. 하지만 이안 맥하그의 중첩법이 시작된 이후 오랜 시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맵핑의 방법들은 변하지 않고 있다. 최근 도시 환경의 변화는 맵핑이 가진 잠재력을 다시 발견하길 요청하고 있다. 오늘날 시간과 공간이 갖는 역동적 관계를 시각화하는 매체로서 맵핑에 대한 재발견이 필요한 시점이다. 특히 현대 조경에서 맵핑은 다른 시각화 매체와 구분되는 독특한 특징을 갖는다. 맵핑은 맥하그의 중첩법과 같이 대상지가 가진 자연적, 사회적, 인문적 조건을 등급으로 구분하고 중첩을 통해 대상지의 특성을 시각화하는 고전적 분석의 역할과 함께, 다음 두 가지의 특징을 겸비한다. 하나는 다른 시각화 매체로는 발견할 수 없는 대상지의 감춰진 사실들을 드러나게 하는 역할이고, 다른 하나는 디자인 프로세스에 관한 창조적 행위의 매체로 기능한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시각화 매체로서 맵핑이 갖는 잠재력에 주목하여 현대 조경에서 맵핑의 적극적인 활용을 제안하고자 한다. 다른 시각화 매체와 달리 맵핑에는 공간 정보가 포함되고, 맵핑을 하는 제작자의 주관이 반영되며, 이용자도 맵핑에 참여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특히 빠르게 변화하는 도시 내에서 보이지 않는 사안들을 시각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잠재력이 크다. 조경의 영역에서 제한적으로 활용되어 온 맵핑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본 연구는 시각화 매체로서 맵핑에 관한 선행 연구를 종합하고, 현대 조경 설계의 실천적 방법으로 맵핑 방법론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시각화 매체로서 맵핑’에 관한 이론적 고찰과, ‘현대 조경에서 맵핑의 활용’에 관한 이론 및 실천적 영역에서 맵핑의 활용, ‘맵핑을 통한 서울역 고가 프로젝트의 시각화’를 통해 실천적 영역에서 맵핑에 대해 살펴보았다. ‘시각화 매체로서 맵핑’에 관해서는 여러 시각화 매체 중 맵핑과 유사한 지도, 다이어그램, 인포그래픽과 비교를 통해 맵핑이 갖는 특징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였고, 이후 맵핑의 전통적인 사례부터 최근 사례까지, 보건학에서부터 경제학, 예술의 영역에서 활용된 사례들을 통해 맵핑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 ‘현대 조경에서 맵핑의 활용’에서는 조경가의 시선으로 본 맵핑의 이론적 개념들을 살펴보고, 현대 조경 계획과 설계의 실천적 영역에서 맵핑이 활용된 사례를 통해 현대 조경에서 맵핑의 역할을 분석적 매체, 재현적 매체, 생성적 매체로 정리하였다. 분석적 매체는 대상지의 자연적, 사회적 맥락을 이해하는 매체로서 맵핑의 역할에 관한 것이고, 재현적 매체로서 맵핑은 대상지에 보이지 않는 것을 드러내는 재현의 역할에 관한 활용을 의미한다. 생성적 매체로의 맵핑은 창조적 행위를 가능하게 하는 맵핑의 역할에 대한 것이다. ‘맵핑을 통한 서울역 고가 프로젝트의 시각화’에서는 맵핑이 가진 잠재력을 실증적으로 확인하는 시도로서, 서울역 고가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맵핑을 활용하여 도시의 감춰진 부분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서울역 고가 프로젝트는 현재 고가도로로 이용되는 도로를 폐쇄한 후 공원을 조성하여 시민에게 개방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사업으로 서울시의 중점 사업이라는 점, 도시의 인프라스트럭처를 공원으로 바꾸는 점, 그리고 대상지가 서울의 중심에 위치한 점을 이유로 맵핑의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이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대상지 인근의 지역 자원, 유동 인구의 흐름, 그리고 도시 상권의 변화를 맵핑하였다. 지역 자원의 맵핑은 역사•문화 자원의 위치와 규모를 맵핑하고, 시간적 연대를 바 차트를 이용하여 시각화하였다. 이후 시대별 유산을 대시매트릭 기법으로 같은 시대를 공유하는 자원들을 연결하였다. 그 결과 네 개의 시대별 동선이 도출되었고, 각각의 동선과 연계한 전략의 수립과 활용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유동 인구의 맵핑은 대상지의 지하 유동 인구의 경우 지하철 이용 인구를 통해, 그리고 지상 유동 인구는 서울시 유동 인구 분석 보고서 자료를 활용하여 맵핑하였다. 맵핑 기법으로는 기호형 맵핑 중 원형 기호를 활용한 맵핑을 하였고, 플래너리의 수식에 따라 유동 인구를 원형 기호로 변환하였다. 지하철 이용 인원의 맵핑 결과, 서울역 1호선과 연계한 접근 경로가 필요하며, 서울역 1호선의 출입구에서 고가까지의 흐름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 회현역 이용 인원의 유입을 유도해야 한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유동 인구 분석 보고서를 맵핑한 결과로는 서울역에서 세종대로로 이어지는 동선에 따라 출입구를 확보할 필요성과 서울역, 남산, 남대문 시장의 유동 인구를 연결하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점, 서울역 프로젝트를 통해 만리동이 활성화될 가능성을 알 수 있었다. 상권의 변화 맵핑을 통해서는 서울역 고가 인근의 도시 변화를 추적할 수 있었다. 소상공인 시장 진흥공단에서 제공하는 상업 변화 데이터를 활용하여 2000년부터 2014년까지 업종의 변화를 맵핑한 결과, 2와 3구역은 안정된 상권으로 4, 6, 7구역은 트렌드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지역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 결과를 통해 서울역 고가 프로젝트로 인한 영향에 크게 반응할 구역을 파악하고, 도시의 변화에 대응하는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맵핑이 다른 시각화 매체와 구분되는 분명한 장점이 존재한다는 점, 현대 조경에서 맵핑이 분석적, 재현적, 생성적 맵핑으로 기능한다는 점, 그리고 도시 맥락을 해석하는 강력한 시각화 매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현대 조경에서 맥하그의 중첩법이 GIS로 발전한 이래로 정체되어 있었던 맵핑이라는 매체에 대해 그 개념을 검토하고 조경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실천적 사례와 함께 고찰하고 실증적으로 맵핑을 통해 도시를 이해하고자 시도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한국어 용언 단일어근의 형태 구조 조건 연구

        심지수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국어 용언의 단일어근 형태소를 대상으로 하여, 형태 목록을 확정하고 내부 형태 구조의 분포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어 고유어의 동사 및 형용사의 단일어근 형태소가 어떠한 내부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그 분포는 어떠한지 알아보았다. 또한 형태 구조의 도출 과정에서 반영하는 의미 관계를 밝히고 인지적으로 어떠한 절차를 거쳐 실제적인 구조가 만들어지는가를 알아볼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어의 특성이 드러나는 고유어 동사와 형용사의 형태 구조를 대상으로 하였다. 고유어는 국어의 발생과 함께 이른 시기에 형성되어 목록의 변화가 적고 음운변화만 나타난다. 고유어 중에서도 용언을 대상으로 한 것은, 한국어가 교착적인 성격을 가진 서술어 중심의 언어이기 때문이다. 용언 어근에 서술성이 고스란히 내재해 있어 한국어의 서술성을 드러내는 고유어 동사와 형용사 어근 내부 형태 구조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용언 어근의 내부 형태 구조를 밝히기 위하여 단일어 용언을 대상으로 하였다. 단일어 용언은 단일한 형식으로 어근이 더 이상 분석되지 않는 하나의 어근으로만 이루어진 것을 말한다. 이때 형태 표지 ‘_다’와 직접 결합한 고유어 동사 및 형용사 어근만을 분석 대상으로 삼는다. 어근 뒤에 붙는 ‘_다’의 경우 순수한 문법적 관계를 표시하는 형식 형태소이므로 단어 형성과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다고 보아 ‘_다’에 선행하는 어근을 추출하여 내부 형태 구조를 살펴보았다. <고려대 한국어대사전>에서 고유어 용언으로 분류된 표제어 중에서 기본형 ‘_다’와 직접 결합한 어근의 형태를 1,484개 추출하여 고유어 용언 단일어근의 형태소 목록을 확정하였다. 이때 한자어, 외래어, 혼효어, 접사 결합형 등을 제외하였고, 공시적인 기준을 통해 형태소 목록을 확정하였다. 이러한 형태 목록을 각 품사별로 자동사와 타동사, 형용사로 나눈 다음 형태 구조에 있어서 기능 부담량이 큰 음절과 음소 등에 따라 살펴보았다. 음절은 첫음절과 끝음절로 나누고, 음소는 첫음소와 끝음소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음소에서 자모순위와 자음순위, 모음순위를 각각 살펴보았다. The subject of study is morpheme root of Korean predicat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list of morph and understand the distribution of internal morpheme construction. Internal morpheme construction and its distribution that the morpheme root of Korean simplex verb and adjective has have been investigated. Simplex predicate refers to a single root that cannot be further analyzed into the simple state of root. For example, ‘_다’ that comes after root is formal morpheme that indicates the pure grammatical relations. Herein, the internal morpheme construction has been examined by extracting the root of ‘_다’. Here, the list of morpheme was created by extracting 1,484 root of morph that is combined with ‘-다’ at entry word classified as Korean predicate from <Korea University Korean Dictionary>. At this time, Sino-Korean word, loanword, mixed words, and affixation type were excluded, and the list of morphemes was established based on a synchronic(contemporary) basis. This morph list had been divided into intransitive verbs, transitive verbs, and adjective by each word class. Then, the morphological structure was divided into syllable and phoneme that has large functionaload. A syllable and phoneme was divided into the first syllable and end syllable, and the first phoneme and end phoneme respectively. In the first phoneme, the order of the alphabet, consonant, and vowel were examined individually. For vowels, both monophthong and diphthong had been examined. These characteristics of morphological structure can be used not only in morphology but also in various fields of research. When people make new coinage or nonce words, a word that suits Korean morphological structure can be created by reflecting Korean morphological structure. Based on <형태사전(morph dictionary)> contains morph analysis information, the users would be able to instantly recognize the morph structure. In comparative linguistics, phonemes, syllables and morpheme units will be a standard of comparison when it is contrasted with the foreign languages. In computer linguistics, the conformity degree can be heightened through setting characteristics and restrictions while matching and tagging natural language and computer language in the program. Herein, morphological structure information will improve clarification of the computational process. Furthermore, it can provide basic statistics inform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education, enabling to educate Korean grammar in more systematic method, teaching irregular verb in regular manner for instance. As a future research study, predication and non-predication of Korean morph structure can be compared through the analysis of morph structure of Korean Noun. Through the comparative study among Korean, Chinese and foreign words, the morph structure of Korean would be clarified, and characteristic of Korean is expected to be elucidated as well. Furthermore, through native speaker cognition experiment that finds which morph do people recognize as Korean language, the systematic morph structure of Korean would be able to be verified. ⦁Keywords: morphophoneme, morpheme construction, internal morpheme construction, simple word, predicate, phoneme, syllable

      • 광고 길이와 시간적 확실성, 광고 선택이 인스트림 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

        심지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스트림 광고는 광고 길이나 광고의 잔여 시간을 알려주는 타이머의 유무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소비자에게 노출된다. 온라인상에서 소비자들은 대부분 특정한 목적을 가지고 콘텐츠에 접근하므로 이때 등장하는 인스트림 광고는 소비자의 목표를 좌절시켜 광고 효과를 저해한다. 그러나 소비자가 광고를 선택할 수 있게 되면 이러한 부정적 효과는 완화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인스트림 광고 맥락에서 광고 길이와 시간적 확실성, 광고 선택이 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소비자가 광고를 기억하고 이에 대한 태도를 형성하기 위해 광고는 소비자에게 충분히 노출되어야 한다. 광고 길이가 길면 광고에 노출되는 시간이 많아져 광고 회상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나, 저항 이론(Reactance Theory; Brehm, 1966)에 따르면 길이가 길어질수록 심리적 저항이 증가하여 지각된 침입성을 높이고 부정적인 태도를 야기할 수 있다. 한편, 타이머를 통해 시간적 확실성이 주어지면 소비자는 광고의 잔여 시간을 보다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이때 광고가 길면 소비자는 주어진 시간만큼 광고를 회피하려 하지만 짧은 광고의 경우에는 광고로부터 주의를 전환했다가 다시 콘텐츠로 주의를 돌리는 것이 더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긴 광고의 노출량이 더 적을 것이다. 따라서 시간적 확실성이 제공되는 경우 회상에 대해서는 짧은 광고에 비해 긴 광고의 수행이 저조할 것이지만, 적은 노출량으로 인해 심리적 저항은 더 낮으므로 긍정적인 태도를 보일 것이라고 예측하였다. 마지막으로, 소비자가 시청할 광고를 선택할 수 있으면 지각된 통제감이 높아져 광고 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며, 이러한 긍정적 태도로 인해 광고를 선택할 수 없을 때와 비교하여 선택할 수 있는 경우에는 시간적 확실성과 광고 길이의 상호작용 효과 또한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본 연구는 2(광고 길이: 긺/짧음) × 2(시간적 확실성: 유/무) × 2(광고 선택: 가능/불가능) 피험자 간 요인 설계로 진행되었다. 광고 길이가 긴 조건은 60초, 짧은 조건은 15초로 조작하였으며, 시간적 확실성에 따라 타이머가 존재하거나 존재하지 않는 광고를 미국의 한 시트콤을 편집한 동영상 콘텐츠 중간에 삽입하였다. 광고 선택의 경우, 광고를 선택할 수 있는 조건은 세 개의 광고 선택지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였고 선택할 수 없는 조건은 별도의 선택지를 제공하지 않고 강제로 광고를 시청한 후에 나머지 동영상 콘텐츠를 이어서 보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실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짧은 광고보다 긴 광고에 대해 더 나은 브랜드 및 광고 내용 회상을 보였으며, 광고 및 브랜드 태도 또한 긴 광고에 대해 더 호의적이었다. 이는 정교화 가능성 모형(Elaboration Likelihood Model; Petty & Cacioppo, 1984, 1986)에 의거, 광고 길이가 길수록 소비자를 설득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된 광고 메시지를 더 많이 반복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정보 처리가 활성화되어 긍정적인 태도로 이어진 것이라 해석할 수 있다. 다음으로, 광고 및 브랜드 태도에 대해 시간적 확실성과 광고 길이의 상호작용이 관찰되었다. 광고 회상에 대해서는 상호작용이 유의하지 않았지만, 태도에 대해서는 시간적 확실성이 주어지는 경우 광고 길이가 길 때 더 긍정적인 효과가 관찰됨에 따라 상호작용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앞서 짧은 광고에 비해 긴 광고가 더 긍정적인 태도를 보인 것과 관련하여, 시간적 확실성이 주어짐에 따라 태도에 대한 광고 길이의 효과가 더욱 강화된 것이라 볼 수 있다. 광고 선택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광고를 선택할 수 없는 경우 더 나은 브랜드 회상을 보였다. 이는 강제적으로 노출되는 광고가 참가자들의 비자발적 주의를 끌어 브랜드 회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광고 선택이 지각된 통제감을 높여 지각된 침입성을 낮추고 긍정적인 광고 및 브랜드 태도로 이어지는 경로를 확인함으로써 지각된 통제감의 완전 매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광고 길이와 시간적 확실성, 광고 선택 사이의 삼원상호작용은 유의하지 않았지만 예측과 동일한 방향성은 관찰되었다. 본 연구는 정보 처리적 관점에서 광고 길이의 효과를 입증하였고, 시간적 확실성과 광고 길이의 상호작용 효과를 확인했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를 지닌다. 이를 통해 길이가 긴 인스트림 광고 집행 시에는 시간적 확실성을 제공하는 것이 긍정적인 광고 효과로 이어질 것이라는 통찰 또한 제공한다. 나아가 광고 선택의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그 기제가 지각된 통제감이라는 것을 밝힘으로써 인스트림 광고에 대한 학문적 영역을 확장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Consumers are exposed to various types of in-stream ads different in their length, timer, etc. Since consumers tend to have specific intents when approaching contents online, the advertising effect of an in-stream ad can be diminished by hindering consumers' goals, while this negative effect will be reduced if consumers can select the ad. Henc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the ad length, temporal certainty, and ad selection on the advertising effectiveness of the in-stream ad. The long ad can positively affect ad recall. However, as the ad length gets longer, the consumer's psychological reactance towards the ad can increase, forming a negative attitude. Meanwhile, when the temporal certainty is given via timer, consumers can more precisely predict the remaining time of the ad. This allows consumers who watch longer ads more chances to avoid the ad. Therefore, when the temporal certainty is given, the recall rate for the long ad will be lower than the short ad. But because the actual exposure time of the long ad can be shorter, it will decrease the psychological reactance and lead to a more positive attitude. Lastly, being able to select the ad will positively affect the advertising effect through the heightened perceived control. This may also nullify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temporal certainty and the ad length. This study had a 2(ad length: long/short) × 2(temporal certainty: given/absent) × 2(ad selection: possible/impossible) between-subjects factorial design. An ad with or without a timer according to the temporal certainty was inserted in the middle of content edited from an American sitcom. For ad selection, three ad options were given to participants in the possible condition. In the impossible condition, participants were simply exposed to the ad. There were several important findings in this study. First, participants showed a better recall rate and attitude toward both the ad and the brand for the longer ad. According to the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this result shows that the longer ad repeats the persuasion message more than the short ad, and can make consumers' information processing easier. Second,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of temporal certainty and ad length on attitudes toward the ad and the brand. Specifically, the positive effect of the longer ad length was more prominent when the temporal certainty was given by the timer. This pattern of interaction implies that the temporal certainty strengthens the positive effect of the ad length on the attitude. Third, the results for the ad selection were as follows. The involuntary attention led by the forced exposure of the ad made the participants recall the brand better. Also, the complete mediation effect of the perceived control was confirmed by identifying the route where the ad selection decreased perceived intrusiveness and improved attitudes via perceived control. The three-way interaction was not significant. This study's theoretical implication lies in that it confirmed the effect of the ad length and observed the interaction effect of the temporal certainty and the ad length. The practical implication derived from this is when executing ads with long durations, giving consumers temporal certainty could make a better advertising effect. Furthermore, the study expanded the in-stream ad literature by verifying the effect of the ad selection and discovering the perceived control as its underlying mechan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