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장애 대학생의 취업욕구 및 취업준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심용복 대구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looked into the differences in the employment-related desire of disabled collegians and employment efforts according to their individual attributes, analyzed the factors to impact disabled collegians' employment preparation. In this mann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and materials to devise comprehensive employment preparation supporting programs under the current situation that college education of the disabled people is generalized. To achieve such a purpose, this study targeted 216 disabled collegians at 7 universities in Metropolitan Capital Area and 8 universities in provincial areas. The analytic results of the disabled collegians' employment desire and employment preparation influence factors are as follows: First, most disabled collegians think that their entrance into universities can be of help to their employment, and they hope to get a job in their major-related fields after graduation. For confidence to be successful in getting a job, most disabled collegians did not have confidence for employment, and they worried about employers' distrust of their competencies, convenience facilities and personal relations even in the case they get a job, after graduating from universities. Second, most disabled collegians began to prepare for their employment since their junior year, and the largest number of the disabled collegians are preparing for public official jobs. The disabled collegians acquired employment-related information through mainly audio and visual data like the Internet, and they did not use the employment centers within their universities.    Third, most universities did not have interest in disabled collegians' employment preparation, or although they operated the employment preparation supporting program, the support was just a formal type which did not help greatly the disabled collegians. However, the disabled students demanded universities to pay attention to their employment preparation and devise career counseling and employment preparation programs in consideration of their disability types and degree. Fourth, for efforts for employment by the disabled collegians, more disabled collegians at universities located within the Metropolitan Capital Area than those in provincial areas, more lightly disabled collegians than heavily disabled collegians, the disabled collegians majoring in special teacher, public official and social worker-related fields than general majors made more efforts for their employment. This difference showed a significant result. However, the efforts of employment according to gender and disability types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mployment preparation influence factors of disabled collegians, school life factor impacted most on employment preparation of the disabled collegians, followed by psychological factor, family support factor and medical factor. However, socioeconomic factor did not have an impact on their employment preparation.    As a result above, universities should set up an organization exclusively in charge of the disabled students to collect employment information including firms active for employment of the disabled people, make database, actively converge the demands of job field and devise pre-employment educational programs. Various companies including large corporations need to convert their awareness to expand the employment of the disabled people beyond the law-regulated disabled people employment rate. Policy authorities should also draw up a systematic supplementary measure to consolidate the implementation of compulsory employment rate of the disabled people. 본 연구는 장애대학생의 취업과 관련된 욕구와 취업노력 정도를 장애학생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그 차이를 살펴보고, 장애대학생의 취업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장애인의 대학교육이 보편화 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장애학생들의 욕구에 부응하는 종합적인 취업준비 지원프로그램을 마련하기 위한 정책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도권 지역의 7개 대학교와 지방의 8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 216명을 대상으로 장애대학생의 취업욕구 및 취업준비 영향요인을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대학생의 대부분은 대학진학이 자신의 취업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대학 졸업 후 자신의 전공과 관련된 분야로 취업하기를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졸업 후 취업에 성공할 자신감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장애학생이 취업자신감을 가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졸업 후 취업을 했을 경우에도 자신의 능력에 대한 고용주의 불신, 편의시설, 대인관계 등을 염려하고 있었다. 둘째, 장애대학생은 대부분 3학년 때부터 취업준비를 시작하고 있었으며, 취업을 준비하는 직종으로는 공무원을 가장 많이 준비하고, 다음으로는 특수교사, 사회복지사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장애대학생은 취업과 관련된 정보를 주로 인터넷 등 시청각 자료를 통해 얻고 있었으며, 대학 내의 취업(상담)센터는 거의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부분의 대학은 장애학생의 취업준비에 별로 관심을 갖고 있지 않거나 취업준비 지원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더라도 장애학생에게 별로 도움을 주지 못하는 형식적인 지원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장애학생들은 대학에서 장애학생의 취업준비에 관심을 가지고 장애유형과 정도를 고려한 지속적인 진로상담과 취업준비 프로그램을 마련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었다. 넷째, 장애대학생의 취업을 위한 노력정도는 지방소재 대학보다는 수도권 지역의 대학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이, 중증장애학생보다는 경증장애학생이, 일반전공계열의 학생보다는 특수교사, 공무원, 사회복지사와 관련이 있는 전공계열의 장애학생이 취업을 위해 더 많은 노력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성별, 장애유형별에 따른 취업노력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섯째, 장애대학생의 취업준비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학교생활 요인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쳤으며, 다음으로 심리적 요인, 가족지원 요인, 의료적 요인 순으로 장애대학생의 취업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사회·경제적 요인은 장애대학생의 취업준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볼 때, 각 대학은 대학 내에 장애학생의 진로상담과 취업준비를 지원하는 전문기관이나 전문인력을 두어 장애인 고용에 적극적인 사업체의 정보 등 취업정보를 다각도로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취업 현장의 요구를 적극 수렴하여 취업의 접근성이 확대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현실적인 취업 전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 그리고 대기업을 비롯한 각 기업에서는 법으로 규정된 장애인 의무고용률 이상으로 장애인 고용을 확대하려는 의식의 전환이 필요하며, 정책당국에서도 기업의 장애인 의무고용률 이행을 강화 할 수 있는 제도적 보충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