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특수교육대상영유아 교육정책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 : 중요도와 실행도(IPA) 분석을 중심으로

        심솔비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제5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18~’22)」에 나타난 특수교육대상영유아 교육정책의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 IPA 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국의 유아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회수된 302부의 설문지 중 연구에 적합하지 않은 9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총 293부를 최종 연구자료로 활용하였다.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유아특수교사가 인식하는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 분석을 알아보기 위해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중요도와 실행도의 평균값을 활용하여 IPA 매트릭스 분석을 실시하여 시각화한 후 시사점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제5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18~’22)」에 나타난 특수교육대상영유아를 위한 정책 중 중요도 인식은 ‘특수교육 질 제고를 위한 특수교사 법정 정원 확보’,‘특수학교(급) 신·증설’,‘의료지원 체계를 통해 장애 조기발견 및 교육적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관계부처 연계 강화’,‘특수교육지원센터의 조기발견 및 진단·평가 기능 강화’,‘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보급’,‘특수교육대상유아 교육 내실화 지원’이 다른 문항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인식되었다. 둘째,「제5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18~’22)」에 나타난 특수교육대상영유아를 위한 정책 중 실행도 인식은‘유·초·중·고 학생에게 장애인식 개선 교육 연 2회 의무적 실시’,‘전문적 학습공동체 구성·운영’,‘특수교육지원센터의 조기발견 및 진단·평가 기능 강화’,‘특수교육대상자 치료지원 강화’,‘일반학교 구성원의 장애인식 개선을 위한 찾아가는 장애이해교실 운영’,‘유치원 또는 학교로의 전이지원 강화’가 상위 5개 문항으로 나타났다. 셋째,「제5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18~’22)」에 나타난 특수교육대상영유아 관련 교육정책에 대한 유아특수교사들의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의 차이는 13번 문항은 p<.01, 나머지 모든 문항의 결과는 p<.001로 모든 문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IPA 분석 결과 지속유지 영역에는‘특수교육 질 제고를 위한 특수교사 법정 정원 확보’,‘통합교육 연수 및 장애이해교육 관련 연수 개발·운영’,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조기발견 및 진단·평가 기능 강화’,‘유치원 또는 학교로의 전이 지원 강화’가 분포되었다. 과잉노력 영역은‘전문적 학습공동체 구성·운영’,‘특수교육지원센터의 상담 및 정보제공’,‘순회교육 등 통합교육에 대한 지원 강화’,‘특수교육대상자 치료지원 강화’,‘유·초·중·고 학생에게 장애인식개선교육 연 2회 의무적 실시’,‘일반학교 구성원의 장애인식 개선을 위한 찾아가는 장애이해교실 운영’,‘특수교육대상자 인권 보호 지원 역량 강화를 위한 연수 및 사례 발굴’이 분포되었다. 낮은 우선순위에는‘전일제 통합 형태의 통합유치원 및 유치원 특수학급 확대’,‘일반학교의 일반학급에 배치된 특수교육 대상자 지원 강화’,‘맞춤형 장애이해교육 및 홍보 콘텐츠 제작·활용’,‘방과후 교육·돌봄 담당 인력 역량 강화 및 처우개선 방안 마련’이 분포되었다. 집중노력 필요 영역에는‘특수학교(급) 신·증설’,‘통합교육 실시 유치원에 대한 지원 강화’,‘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보급’,‘특수교육대상유아 교육 내실화 지원’,‘개별화교육계획의 현장성 강화를 위한 지원체제 구축’이 분포되었다. 본 연구는「제5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18~’22)」에 나타난 특수교육대상영유아 교육정책의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 정책 시행의 중간 점검 차원에서 이루어졌으며,「제6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