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Generalized Hyperbolic distribution 을 이용한 KOSPI 200 옵션가격 구하기

        심선희 고려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논문의 주제는 Generalized Hyperbolic 분포를 이용하여 KOPSI 200 의 가격을 구하는 것이다. Maximum-likelihood estimation 과 Esscher Transform 을 이용하여 분포의 변수를 구하고 KOSPI 200의 유러피안 콜옵션 가격 공식을 유도한다. 공식으로 나온 계산결과와 실제 데이터를 비교한 결과 작은 오차를 가지고 유사함을 알 수 있다.

      • 기체 크로마토그래피 질량 분석기를 이용한 음용수 중 페놀류 측정을 위한 분석방법 개발

        심선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기 (GC/MS, 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를 이용하여 음용수 중 페놀류를 측정하기 위한 새로운 분석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분석 방법은 기존의 ‘먹는물 공정 시험 기준’에서 명시한 분석 방법과 비교하여 여러 종류의 페놀류를 분리하여 측정함으로써 다양한 페놀류를 동시에 정량 분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질 오염 공정 시험 기준’에서 명시하는 분석 방법과는 달리 유도체화 과정이 없고 농축 과정을 최소화함으로써 전처리 과정에 따른 오차를 줄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분석 방법을 통해 실제 음용수 시료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첫째, 10 종의 페놀류에 대해 7 개의 검정 표준 용액을 제조하여 본 연구의 분석 방법에 따라 실험한 결과, 검정 곡선의 상관 계수는 0.9911 ~ 0.9986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먹는물 수질 공정 시험’에서 제시한 정량 한계 농도 5 μg/L로 시료를 제조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총 10 종의 페놀에 대한 방법 검출 한계는 0.217 μg/L ~ 0.618 μg/L이었고, 정량 한계는 0.691 μg/L ~ 1.969 μg/L로 정도 관리 목표값에 만족하였다. 셋째, 10 종의 페놀류에 대하여 2 μg/L, 5 μg/L, 10 μg/L, 20 μg/L의 농도로 합성 시료를 제조하여 실험하였다. 10 종의 모든 페놀류에 대한 회수율은 100 % ± 10 %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넷째, 먹는물 시료의 주요 매질인 호소수, 하천수, 지하수를 이용하여 동일한 농도의 페놀류를 첨가한 시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매질과 상관없이 회수율이 100 % ± 25 %이내의 범위를 나타내어, 페놀류 측정에 있어 매질에 따른 방해 효과는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GC/MS 방법은 음용수 중 페놀류 측정이 가능하였으며, 특히 10 종의 페놀류를 동시에 정확히 분석할 수 있음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분석 방법은 기존의 ‘ 먹는물 공정 시험 기준’을 대치할 수 있다고 판단한다. This study suggests a new analysis method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phenols contained in drinking water using 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er. The suggested method has several advantages over the pre-existing analysis method, specified by the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drinking water’. It can simultaneously analyze various phenols and perform quantitative analysis on various types of phenol at the same time. Moreover, the suggested method does not need the derivatization and the concentration processes specified by the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pollution’. Thus the analysis process would be much simpler and more convenient to perform. Experiments were done to explore the practicality of applying 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seven standard solutions containing ten different types of phenols were prepared and the calibration data were obtained. The results on calibration data showed good linear curves with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0.9911 and 0.9986. Second, experiments to calculate the method detection limits were performed. The detection limit for the ten types of phenol ranged from 0.217 µg/L to 0.618 µg/L and the quantitative limit ranged from 0.691 µg/L to 1.969 µg/L, which satisfies the Korea quality control criteria. Third, the recovery tests were performed using ten types of phenols with the concentrations of 2 µg/L, 5 µg/L, 10 µg/L, and 20 µg/L. The measured recovery rates were ranged within 100 % ± 10 %. Fourth, samples of the most common matrix of drinking water (lake water, river water, and ground water) were tested. Upon analyzing these solution samples, the recovery rates for the samples were within 100 % ± 25 % range. This method in detecting phenols is seem to be unaffected by the various matrix of drinking water. Overall, it was proven that the proposed method using 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er is an effective and accurate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phenols in drinking waters. More specifically, this method is capable of simultaneously analyzing various types of phenol. Therefore, the proposed method would be an good option to replace the existing standard methods.

      • 낙동강 유역의 비점오염원관리를 위한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LULC)자료 기반의 XGBoost 모델 구축

        심선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a machine learning model that can predict the achievement of the target water quality under the current 4th phase Total Water Pollution Load Management system for the entire Nakdong River basin. Additionally,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key factors that have the greatest impact on the achievement of water quality objectives through feature importance and SHAP analysis. Water resources in the Nakdong River basin play a crucial role in providing drinking water, domestic water, and agricultural water for the Gyeongsang-do region. Despite implementing the Total Water Pollution Load Management system since 2004, the Nakdong River Basin continues to face challenges in achieving its water quality objectives. Unlike point source pollution, which has significantly decreased due to the installation of environmental infrastructure, non-point source pollution accounts for a high proportion of 70% of all pollution sources. Consequently, the Moolgeum area, which is a representative water source in the downstream of the Nakdong River, has experienced difficulties in water quality management, such as a 19% increase in Total Organic Carbon (TOC) concentration in 2020 compared to 2011. Non-point source pollution occurs as a result of various unidentified activities influenced by factors such as topography, land use, and climate. It is characterized by the difficulty in identifying discharge pathways and the intermittent nature of pollutant generation, making it challenging to manage. Furthermore, changes in rainfall patterns due to climate change, including an increase in the frequency of intense summer rainfall, have posed challenges in managing the basin's runoff characteristics. To address these issues, this study utilizes landscape index and meteorological data to predict the achievement of water quality objectives under the Total Water Pollution Load Management system for TP, BOD, and TOC parameters. The XGBoost machine learning model is employed for this purpose. Considering that pollutant runoff characteristics can vary depending on land use characteristics, the study conducted research by classifying watersheds with dominant land use characteristics into three groups: agricultural areas, forested areas, and urban areas using K-means clustering. The average prediction results of the TP, BOD, and TOC parameters using the XGBoost model were as follows: for non-rainy seasons, agricultural areas showed 78.7% accuracy, forested areas showed 91.1% accuracy, and urban areas showed 76.5% accuracy. For rainy seasons, agricultural areas showed 78.5% accuracy, forested areas showed 79.2% accuracy, and urban areas showed 71.9% accuracy, indicating relatively high accuracy. Subsequently, through feature importance and SHAP analysis, the study identified the key factors influencing the prediction of the achievement of water quality objectives. The research results revealed that monthly total precipitation and average temperature, as meteorological factors, exerted significant influence across all land use types. In terms of landscape index, the ED index consistently showed high importance across all land use types. Additionally, the CONTAG and PD index were identified as key factors for agricultural areas, the LPI and COHESION index for forested areas, and the SHDI, COHESION, and PD index for urban areas. The CONTAG index, which showed high importance in agricultural areas, reflects the ratio and variability of various land use types. In domestic agricultural land, there is less intensive farming compared to paddy fields. Especially in the Nakdong River Basin, where there are many sloping terrains, a significant amount of soil loss occu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nage non-point source pollutant discharge and movement in watersheds with agricultural characteristics. In the case of forested areas, particularly the LPI and ED index among the landscape index exhibited high importance. This suggests that in watersheds within the Nakdong River Basin that share the characteristics of forested land use, maintaining complex and extensive forest coverage within the watershed is crucial for enhancing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effect in nearby rivers. Lastly, for urban areas, the monthly total precipitation during rainy seasons emerged as a particularly important factor, along with the SHDI, COHESION, PD, and ED index among the landscape index. This indicates that in urban areas, managing surface runoff of pollutants caused by impermeable surfaces during rainfall events and enhancing physical connectivity within urban watershed areas are necessary. 본 연구의 목적은 낙동강 유역 전체를 대상으로 현재 시행되는 4단계 수질오염총량제 목표수질 달성 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머신러닝 모델을 구축하고, 특성 중요도 분석 결과를 통해 목표수질 달성 여부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주요 인자들을 분석하는 것이다. 낙동강 유역의 수자원은 경상도 지역의 식수와 생활용수 및 농업용수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에 낙동강 유역은 2004년부터 수질오염총량제를 시행하여 수질관리를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환경기초시설의 설치로 크게 감소하고 있는 점오염원과 달리 비점오염원이 전체 발생되는 오염원 중 70%의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어 낙동강 하류의 대표 상수원인 물금지역은 2011년 대비 2020년도의 TOC농도가 19% 증가하는 등 목표수질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비점오염원은 지형, 토지이용, 기후 등의 영향을 받아 불특정한 활동에 따라 발생하게 되어, 유출경로 확인이 어렵고 오염물질이 비지속적으로 발생되어 관리가 어려운 특징을 가진다. 또한, 최근에는 기후변화로 인해 여름철 집중호우 발생빈도가 증가하는 등 강우패턴의 변화로 유역의 유출 특성이 변화되고 있어 하천 유역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점오염원의 유출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경관지수와 기상자료만을 이용하여 TP, BOD, TOC 항목에 대한 강우기와 비강우기의 수질오염총량제 목표수질 달성 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머신러닝 모델을 XGBoost를 이용하여 구축하였다. 이때, 토지이용 특성에 따라 오염원의 유출 특성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K-means Clustering을 이용하여 우세한 토지이용 특성을 가지는 유역을 농지, 삼림지, 도심지 3가지 그룹으로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XGBoost 모델을 이용한 TP, BOD, TOC 항목의 평균 예측 결과는 비강우기의 경우 농지는 78.7%, 삼림지는 91.1%, 도심지는 76.5%였으며, 강우기의 경우 농지는 78.5%, 삼림지는 79.2%, 도심지는 71.9%로 비교적 높은 정확도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후, Feature Importance와 SHAP을 이용하여 목표수질 달성 여부 예측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자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모든 토지이용 유형에서 기상 인자인 월 강수량합과 평균기온이 모델 예측 시 높은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나타났다. 경관지수에서는 ED가 모든 토지이용유형에서 공통적으로 높은 중요도를 보였으며, 그 외 농지에서는 CONTAG, PD, 삼림지에서는 LPI, COHESION, 도심지에서는 SHDI, COHESION, PD가 주요 인자로 나타났다. 농지에서 높은 중요도를 보인 CONTAG는 다양한 토지이용 유형의 비율과 분산정도를 반영하는 지수로, 국내 농지 중 밭의 경우 논에 비해 집약적인 영농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특히 낙동강 유역의 밭은 경사지가 많아 유실되는 토양의 양이 많기 때문에 농지의 특성을 가지는 유역의 경우, 밭 주변 비점오염원 유출 및 이동에 대하여 관리하는 것이 보다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또한, 삼림지의 경우 경관지수 중 특히, LPI와 ED가 높은 중요도를 보였는데, 이를 통해 낙동강 유역 중 토지이용 특성이 삼림지의 특성을 가지는 유역은 유역 내 삼림의 형태가 복잡하고 넓은 면적을 차지할 수 있도록 관리하여 인근 하천의 수질개선효과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도심지의 경우, 강우기의 월 강수량합이 특히 중요한 요소로 도출되었으며, 경관지수 중 SHDI, COHESION, PD, ED가 주요 인자로 도출되었다. 이를 통해 도심지의 경우 강우시 불투수면에 의한 오염물질의 표면유출 관리와 도심지의 특성을 가지는 유역 내의 물리적 연결성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TV홈쇼핑 광고프로그램이 소비자 충동구매를 통하여 구매 후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심선희 부경대학교 경영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TV홈쇼핑 업체들은 소비자의 흥미를 유도하는 다양한 장치와 저렴한 가격, 업체들의 거래 안전성 보장 등의 강점을 내세워 뉴미디어 시대의 새로운 쇼핑방식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TV홈쇼핑은 시간절약 및 구매의 편리성 등으로 현대적인 유통산업으로 소비자들로부터 인기를 얻고 있으나 TV홈쇼핑 업체들의 다양한 마케팅 전략은 소비자들의 충동구매를 유발시키기도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TV홈쇼핑 광고에 대한 자극요인이 충동구매와 구매 후 평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 쇼핑호스트가 TV홈쇼핑 광고 자극요인 중 제품요인과 충동구매 성향과의 관계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 분석하였다. 우선 TV홈쇼핑에 대한 선행 연구를 비롯하여 TV홈쇼핑 광고에 대한 자극요인과 충동구매, 그리고 구매 후 평가와 조절변수인 쇼핑호스트에 대한 기존 문헌 연구를 하였고, 이들 문헌 연구를 이론적 배경으로 TV홈쇼핑을 이용하고 있는 주부, 학생, 직장인을 대상으로 실증 연구를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사회 과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SPSS 12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빈도 분석, 요인 분석, 신뢰성 분석, 상관관계 분석 등을 실시하였고, AMOS 7.0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연구 모형의 적합 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연구 모형과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한 실증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 분석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TV홈쇼핑 광고에 대한 자극요인과 충동구매에 관한 추정결과를 보면 TV홈쇼핑 광고에 대한 자극요인 중 제품의 품질을 제외하고 제품의 디자인, 유행제품, 이용의 편리성, 저렴한 가격은 충동구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TV홈쇼핑 광고에 대한 자극요인 중 유행제품이 충동구매에 가장 높은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충동구매에 대한 구매 후 평가에 관한 추정결과를 보면 충동구매는 구매 후 평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실은 충동구매 소비자들은 충동구매 후 불만족 보다 즉각적인 만족이나 즐거움 등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셋째, 쇼핑호스트를 조절변수로 충동구매에 대한 추정결과를 보면 제품요인 중 제품의 디자인과 유행제품은 충동구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제품의 품질은 충동구매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본다면 제품의 품질의 경우 쇼핑호스트가 설명해 줄 수 있는 부분에 한계가 있고 TV 화면을 통해서는 오프라인 시장에 비해 제품의 품질이 뛰어나거나 우수한지를 판단할 수 없으므로 소비자들 또한 쉽게 구매 결정을 내리지 못하기 때문에 충동구매에 미치는 영향력이 낮음을 알 수 있다. TV홈쇼핑 광고프로그램이 소비자 충동구매 행동과 구매 후 평가에 미치는 영향들에 대한 결과가 제시하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TV홈쇼핑 업체는 경쟁력을 높이기 위하여 세분화된 선별작업을 통해 제품을 판매하고 판매된 후에도 지속적인 사후관리로 고객들로부터 꾸준히 좋은 평가를 받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TV홈쇼핑 상거래를 촉진하고 건전한 상거래 분위기를 위해 언론이나 정부 산하기관 등의 노력과 더불어 TV홈쇼핑 업체들 스스로도 경쟁력 향상을 위해 평판구축에 꾸준히 신경 써야 할 것이다. 더 나아가, 무조건 소비자들의 구매 유도를 유발하기 위한 마케팅 전략보다는 TV홈쇼핑에 대한 현재의 상황을 엄격히 분석하고 앞으로의 추세를 면밀히 예측하여 미래지향적인 전략을 수립하고 실천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소비자들이 합리적인 구매를 할 수 있도록 TV홈쇼핑 업체는 자극적인 마케팅 요소의 개발 보다는 엄격한 품질관리와 제품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허위와 과장 광고에 따른 소비자 보호 정책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As changing customers needs and buying measure the rapidly changing market environment, customers can select what they want or get information about it through TV or computer without visiting a shop. The typical example of this kind of consumer culture is TV Home-shopping. TV Home-shopping shows high potential for time saving and purchasing convenience, but it also increases impulse buying, leaving the consumer without enough time to plan their purchases or gather enough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s they are buying. I surveyed the housewives, students, and workers who use TV Home-shopping in this research. I also research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imulation factor of TV Home-shopping advertisement and whether consumers were more drawn to impulse buying or evaluating after the purchase and about what how products factor of stimulation factor of TV Home-shopping advertisement affect to customer’s impulse buying by general shopping host and entertainer shopping host. I tried to help raise awareness of the dangers of impulse buying caused by the improvised feeling and atmosphere given by the TV Home-shopping market. I used the SPSS 12 statistics package and AMOS 7.0 statistics package for data analysis of this research. I also set up the research model and the theory based on pre-existing research and conducted proof-analysis to verify them. To summarize the result of my proof-analysis is below. First, though deduction of stimulation factors between TV Home-shopping advertisement and impulse buying, I found that stimulation factors of TV Home-shopping advertisement such design of product, fashion products, convenience and low price greatly affect impulse buying surprisingly, product quality was not a big factor. Second, though evaluating consumers's reactions after impulse buying, I found that impulse buying affects meaningfully to estimation after buying. Third, looking at impulse buying though the shopping host control variable, I found that design and fashion products of product factors affect meaningfully to impulse buying. But quality doesn’t affect to impulse buying. The result of effect from TV Home-shopping advertisement in customer’s impulse buying and estimation after buying is that TV Home-shopping company have to sale products through segmental selective action and should get good estimation from customer by ongoing post-management after sale products. The company have to build up the future-oriented strategy and to translate it into action as strictly analyzing current situation of TV Home-shopping and closely predicting the trend of the future rather than marketing strategy to lead to customers purchasing unconditionally.

      • 요약 규칙을 적용한 요약하기 지도 프로그램의 효과

        심선희 부산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읽기(독해)의 한 방법으로서, 요약 규칙을 단계적으로 적용한 요약하기 지도 프로그램으로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지도 방안에 대한 연구이다. 읽기를 통해 글의 의미를 아는 것은 독해의 가장 중요하고 본질적인 일이다. 최근 독해 과정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고 그 효과를 입증하는 연구도 성과를 얻고 있다. 그러나 실제 교육 현장에서 체계적으로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지도 방안은 미비한 실정이다. 이 연구는 최근의 읽기 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체계적인 지도 방안의 하나로 요약하기 전략을 활용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요약 규칙을 단계적으로 적용한 요약하기 지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요약하기 방법을 실제 수업에 활용할 수업 모형을 구안하여 지도한 후, 요약하기 능력과 읽기 능력의 학습 효과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1장에서는 독해 지도 방안으로서 요약하기 전략의 필요성을 알아보고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해서 연구 문제와 관련한 시사점을 얻었다. 요약하기는 글의 의미를 이해하는 중요한 전략의 하나로, 글에 쓰인 단어의 의미에 대한 지식, 글의 구조에 대한 지식, 글 내용에 대한 배경 지식 등이 관여하고 초인지를 동원해야하며 글을 읽는 맥락까지 고려해야 하는 종합적인 사고 과정이다. 그러므로 요약하기 전략을 학습함으로써 읽기 능력이 향상되리라는 가설을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선행 연구들을 고찰한 결과 독해 과정에 대한 연구나 필요성은 비교적 많이 연구되어 있으나 교육 현장에서 실제로 학생을 지도하는 방안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 실행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2장에서는 읽기의 이론적 배경을 밝혀 연구의 타당성을 말하고자 하였다. 읽기 교육의 목표는 기초적으로 문자 획득에 있으나 본질적인 것은 글을 읽고 의미를 이해하는 독해 활동에 있다. 읽기 관점의 변화로 이제 읽기는 의미 구성 과정으로 이해되고 있다. 즉 독자는 글 읽기를 통하여 필자가 말하고자 한 바를 자신의 사고 과정을 통하여 재구성한다는 것이다. 특히 사회적 구성주의 관점에서는 읽기가 글과 독자의 상호 작용이라는 관점에서 더 나아가 해석 공동체 내의 구성원들 간의 의미 구성으로 보기도 한다. 읽기가 글을 읽고 의미를 구성하는 것이라면 글을 축자적으로 이해하는 것이어서는 안 된다. 글을 읽고 자신의 사고 과정을 동원하여 재구성해야 하는 것이다. 이런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요약하여 재구성할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사람들은 글 전체를 기억할 수가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글의 중심 의미를 찾아서 요약하여 이해하고 기억해야하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요약하기 전략은 글 이해를 하는 중요한 학습 방법의 하나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요약하기 전략에 적용할 요약 규칙을 삭제 규칙, 선택 규칙, 일반화 규칙, 구성 규칙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요약하기 지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험하는 과정에 대해 진술한 것이다. 요약하기가 독해 과정에 중요한 학습 방법이라면 요약하기 지도 프로그램이 체계적이고 전략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지도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그래서 본 연구자는 요약하기 지도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요약하기 지도 프로그램은 최근의 읽기 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요약 규칙을 단계별로 적용하고 현시적 교수·학습 모형을 이용하여 지도하도록 설계하였다. 요약 규칙을 단계별로 적용한 요약하기 지도 프로그램은 6단계로 구성하였다. 즉, ‘요약하기 개념 파악하기 단계-삭제하기 단계-선택하기 단계-일반화하기 단계-구성하기 단계-종합하기 단계’로 설계하였다. 4장에서는 요약하기 지도 프로그램을 실험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일반계 고등학교 1학년 남학생을 대상으로 실험반과 통제반을 설정하고, 실험반을 대상으로 요약하기 지도 프로그램을 투입하여 실험하고 통제반과 비교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5장에서는 요약하기 지도 프로그램의 실험 결과에 의한 결론을 제시하고 제언을 말하였다. 요약하기 지도 프로그램의 실험 결과에 의한 결론을 다음과 같다. 첫째, 요약 규칙을 단계적으로 적용한 요약하기 지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결과 요약하기 능력과 읽기 능력의 향상을 가져왔다. 그러므로 요약하기 지도에 있어 지도 프로그램의 부재로 인한 현장 교사들의 어려움에 다소나마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둘째, 요약 규칙을 단계적으로 적용한 요약하기 지도 프로그램을 활용한 교수·학습 모형으로 현시적 수업 모형을 응용하여 사용하였는데, 효과가 긍정적이었다. 셋째, 요약 규칙을 단계적으로 적용한 요약하기 지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지도한 결과, 학생들의 요약하기 능력과 읽기 능력의 향상을 가져왔다. 요약하기 능력 향상의 경우, 학습의 효과는 ‘삭제하기> 일반화하기> 선택하기’로 크며, ‘구성하기’와 ‘종합하기’에는 효과가 별로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요약하기 학습은 읽기 능력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요약하기 학습이 보편적인 수업 방법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해 본다. 그리고 요약하기 학습이 전략으로 능숙하게 쓰이기 위해서는 충분한 학습 기간의 연습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며, 문단 단위의 요약에서는 쓰기와의 관련성과 수준별 집단도 고려하는 지도가 필요하리라고 생각한다. 덧붙여 글의 이해 과정은 종합적인 사고 과정이기 때문에 사고 과정에 대한 상호작용도 고려할 만하다.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improve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by applying the program of step-by-step application of the summarizing rules. More recently, many researches have been carried out for reading comprehension process, and they have resulted in good achievements that prove its effects. But, in reality, teaching methods for improving reading comprehension abilities systematically on education field are still insufficient. Therefore, this research is to reflect recent results for reading researches and apply summarizing skill as one of systematical teaching method to enhance reading abilities. Summarizing, as one of critical strategies for understanding text, is a comprehensive thinking process which shortens the length of text, identifies main ideas, and reconstructs them. Therefore, students can improve their comprehension abilities through summarizing activities. Following is detailed descriptions for this research. First, this research has developed summarizing teaching program by applying summarizing rule on step-by-step basis. Summarizing rules are laid out by order from ‘easy-to-learn’ to ‘difficult-to-learn’. In other words, it is sorted by order of ‘deletion-selection-generalization-construction’ Here, ‘Step for recognizing the concept of summarizing’ is added to above list before ‘deletion’. In addition, after learning each summarizing rule, ‘Step for multiple application’ is added to apply at the above rules. Therefore, teaching program applying summarizing rules consists of 6 steps in ‘Recognizing the concept of summarizing - Deleting - Selecting - Generalizing - Constructing -Multiple application’. Teaching program for summarizing is developed as 2 types of worksheets are for students and teachers. Second, teaching program for summarizing for classes used explicit instruction as a basis. Teaching order for summarizing explicit instruction is ‘Modeling - Guided practice - Consolidation -Independent practice - Application’. Following is effects after teaching first grade of high school with summarizing program which applies summarizing rules step-by-step basis. First, their reading comprehension abilities were improved by effect of summarizing teaching program. In addition, summarizing abilities were improved. In case of summarizing abilities, learning effects are ranked as the order of ‘Deleting > Generalizing > Selecting’ in the size of effects, and ‘Constructing’ and ‘Multiple application’ didn't show much effect. Based on discussions mentioned above, summarizing teaching program with summarizing rule in step-by-step basis is believed to be effective for improving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abilities. Therefore, summarizing program is recommended for general teaching method. 【Key words】summarizing rule, reading comprehension abilities, summarizing abilities, summarizing teaching program

      •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가 SNS 사용자간의 상호작용성에 미치는 영향

        심선희 부경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user's behaviors of social network services(SNS) at an user's level. This study decides variables such as information privacy concern, information privacy risk, information privacy protective response, and interaction among SNS users and tries to find how variables affect each other. To do this, this study designed a new research model for the purpose and performed survey, focusing on SNS users who are over twenty years old. Total 272 responses have been analyzed. The findings are as followed: First, collection and awareness of information privacy concern have positive effects on information privacy protective response. In other words, users always aware uncertainty or risk that their personal information may be abused. Second, collection and control of information privacy concern have positive effects on information privacy risks.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power to manage user's personal information and influence of control still belong to a SNS company, rather than users. Third, information privacy risks have positive effects on information privacy protective response. It means that users take direct and indirect protective actions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when they aware that there are privacy exposure risks. Fourth, information privacy risks and information privacy protective response have negative effects on interaction among users. There is less interaction among users who show higher tendency to protect their personal information. Fifth, collection and control of information privacy concern have negative effects on interaction among users. People who have higher tendency to protect their personal information makes less participation in interaction among us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empirical study, protection measures for users information can be proposed at an individual level as below. First, SNS users should be more prudent when making open their information. Over the SNS, people voluntarily make open their personal information to build a sense of fellowship, a sense of kinship and a sense of intimacy with other people so that they may have their social desires satisfied. However, they should realize that not only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y enter when joining SNS, such as their names and addresses, but also various other kinds of information they post for themselves can be their personal information. Accordingly, they should recognize they make responsible choices during the process of making open their personal information, and they should be more careful to make prudent and rational choices. Second, SNS users should respect other people's personal information. Since SNS users are basically personal information providers, but they also read other people's personal information, every single individual can be either a personal information collector or a personal information infringer. Therefore, it is required to make a code of ethics for SNS users to realize that searching and leaking other people's personal information is a social behavior absolutely different from building a bond of sympathy with other people with the same tastes by acquiring information about their tastes and interest. Moreover, as SNS features in making open a great deal of personal information about individuals' tastes and interest, SNS users should recognize there always exists a risk of infringing other people's privacy over the SNS. Key Word: information privacy concern, information privacy risk, information privacy protective response, interaction among users

      • 게임 중심 수업이 초등학생의 영어 듣기·말하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심선희 昌原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at the game-centered teaching can improve listening and speaking abilitγ of the students better than an ordinary text book-centered method in an elementaly school class. The study is based on the experiment for the students of Yanggock Elementary School at Sinchon-dong, Changwon-shi. The process of the test is as follows: 1. We devided the students into an experiment class and a comparative class. 2. Comparison test was made between the two classes and no meaningful differences were found in terms of speaking, listening and interest. 3. For the experiment class we used game-centered method while for the comparative class we used the ordinary text book-centered method. 4. Improvement test was made after 16 weeks later and the result was as follows: 1) The game-centered class seemed to have given positive changes on the attitude of the students to stud English. 2) Statistics shelved that game-centered method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tudents' ability of speaking English. That is to say that the game-centered class had more improvement in listening and speaking English than comparative class. In conclusion the game-centered method preyed to be one of the most effective method of listening and speaking English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it motivates an interest of learning English. However, it should be noted to maximize an effect of the game-centered method that the role of the teacher is very import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