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선의 중첩을 조형화한 거실가구 디자인에 관한 연구

        신효재 경일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Due to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life, it is more valuable to use the living-room increasingly, and the living-room has various patterns showing much individuality according to inhabitant's life-style and taste. The easiest way for the effective decoration of living-room is to use furniture, whose main material, wood, can breathe more than five hundred years after cutting and accordingly is more popular these days when many people have concerns in health, and is preferred because of its beautiful appearances and special fragrance. However, the use of material lumber have some problems such as distorting, contraction, or expansion which is the greatest disadvantage of wood. Accordingly, alternative materials are used to make up for the disadvantage. Because of their weakness and simplicity, the alternatives have limitations in producing formative furniture full of artistic values. That is because they are used simply to make up for the weak points of material lumber regardless of its advantage. With an expression element of 'line,' therefore, this study will present the ways to decorate a space with beauty and individuality and to make up for the problems with wooden furniture.

      • 부정적 부모양육방식과 학교생활부적응이 중학생의 휴대전화 의존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

        신효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부정적 부모양육방식과 학교생활부적응이 사회적 위축을 매개로 휴대전화 의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중학생의 휴대전화 의존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을 확인하여 중학생 대상의 사회복지적 함의 모색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국 아동·청소년 청소년패널조사 2010 (KCYPS: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여 2차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중학교 3학년 학생 2,259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분석방법으로는 SPSS 22와 MPLUS 7.4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SE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실시하였고, 모형의 적합도를 확인, 경로의 효과성 분석, Sobel 검증을 하였다. 첫째, 부정적 부모양육방식, 학교생활부적응, 사회적 위축은 휴대전화 의존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정적 부모양육방식과 학교생활부적응을 많이 경험할수록 휴대전화의 의존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 사회적 위축 수준이 높을수록 휴대전화의 의존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부정적 부모양육방식과 학교생활부적응은 사회적 위축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정적 부모양육방식과 학교생활부적응을 많이 경험할수록 사회적 위축 수준이 높아질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부정적 부모양육방식, 학교생활부적응과 휴대전화 의존과의 관계에 사회적 위축이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중학교시기에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고 영향을 끼치는 가정과 학교가 휴대전화 의존에 미치는 영향에 다양한 경로가 있음이 확인 되었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에 따른 논의점 및 본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휴대전화 의존을 줄이거나 예방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이 필요하다. 둘째, 부정적 부모양육방식과 학교생활부적응이 휴대전화 의존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를 예방하기 위한 개입 방안이 다각적 차원에서 마련되어야 한다. 이에 부모의 부정적 부모양육방식을 감소시키기 위한 부모교육의 실시, 중학생의 학교생활부적응을 감소시키기 위해 부적응 학생의 조기발견으로 휴대전화 의존을 막기 위한 다양한 개입이 필요하다. 셋째, 부정적 부모양육방식, 학교생활부적응과 휴대전화 의존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위축이 매개하는 요인이기 때문에 사회적 위축에 대한 개입이 필요하다. 즉, 사회적 위축 수준이 높은 중학생을 조기에 발견하여 이로 인한 휴대전화 의존을 예방해야 한다. 본 연구는 중학생의 휴대전화 의존에 관한 논의에 청소년기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가정과 학교라는 다양한 요인을 제시하였고 이러한 요인들이 휴대전화 의존에 이르는 다양한 경로를 밝혀 휴대전화 의존 관련 개입 내용을 논의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청소년 중 휴대전화 의존율이 가장 높은 중학생을 대상으로 휴대전화 의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그리고 부모양육방식 중 방임과 학대가 휴대전화 의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에서 본 연구가 방임, 학대가 휴대전화 의존에 미치는 영향 관련 후속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있다. This study explores the mediating role of social withdraw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parenting behavior (neglect and abuse), school maladjustment and mobile phone dependency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3rd wave of ‘Korea Children Youth Panel Study (KCYPS) 2010’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 data of 2,259 students at the 3rd grade in middle schools was used for final analysis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alysi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negative parenting behavior (neglect and abuse), school maladjustment and social withdrawal had positive impacts on mobile phone dependency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negative parenting behavior (neglect and abuse), school maladjustment had positive impacts on social withdrawal. Third, Social withdrawal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parenting behavior (neglect and abuse), school maladjustment and a mobile phone dependency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of social welfare practice and policy for youth are discussed as follows: First, an intervention to prevent mobile phone dependency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should be made. This may include prevention programs early intervention by detecting a risk group. Second, since negative parenting behavior (neglect and abuse), school maladjustment had positive impact on mobile phone dependency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ctive intervention is required for reducing mobile phone dependency. Concretely parents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in order to lower negative parenting behavior (neglect and abuse). And early identification should be carried out to decrease school maladjustment. Third, since social withdrawal is the mediating factor between the negative parenting behavior (neglect and abuse), school maladjustment and mobile phone dependency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ctive intervention on the early detection of social withdrawal problem for reducing mobile phone dependency is definitely required. This study introduces the composite perspectives on the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negative parenting behavior (neglect and abuse) and school maladjustment related to mobile phone dependency. It also prepares the basic data for further interventions related to mobile phone dependency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In addition, this study verifies the factors which affect mobile phone dependency of adolescents, especially targeting middle school students whose mobile phone dependency is the highest. Considering that there are only few studies regarding negative parenting behavior (neglect and abuse), this study will particularly contribute to suggesting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on mobile phone dependency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 취업지원 프로그램이 중장년층 구직자의 구직효능감과 진로장벽에 미치는 효과

        신효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장년층 구직자를 대상으로 취업지원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구직효능감과 진로장벽에 어떠한 효과가 있었는지를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확인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지원 프로그램이 중장년층의 구직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둘째, 취업지원 프로그램이 중장년층의 진로장벽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이를 위해서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일자리센터 40~60세 중장년층 40명을 선정하여 20명씩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Program에서 t-검증과 일원분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여 통계적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양적 결과가 갖는 신뢰성에 대한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평가 설문지, 개방형 질문과 사후 면담을 통해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를 분석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지원 프로그램은 중장년층 구직자의 구직효능감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취업에 도움이 되는 기술이나 자격을 갖추고 있다고 생각하고, 유익한 취업정보를 구하는데 자신감과 이력서를 작성하는데 자신감이 향상되었고, 구인자에게 적합한 사람임을 설득할 자신감이 향상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면접에서 좋은 인상을 줄 자신감도 향상되었다. 둘째, 취업지원 프로그램은 중장년층 구직자의 진로장벽 감소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특히 진로장벽 하위요소인 직업정보 부족, 미래불안, 대인관계의 어려움, 자기명확성 부족, 중요한 타인과의 갈등에 직접적인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는 중장년층 구직자의 취업을 위한 준비활동에 있어서 취약한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중장년층 구직자들의 구직효능감을 향상 시키고, 진로장벽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중장년층 구직자를 대상으로 하는 취업지원 프로그램은 중장년층의 구직효능감과 진로장벽에 효과적인 모델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 콘크리트 손상 탐지 딥러닝 모델 학습을 위한 신속 라벨링 시스템 개발

        신효재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사회기반시설의 노후화에 따른 사회적 수요의 증가로, 영상 기반 딥러닝 모델을 활용한 자동화된 안전진단 기술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 다. 일반적으로 딥러닝 모델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형태로 라벨링된 데이터를 이용한 학습을 수행하여야 한다. 그러나, 기존 인력 기반의 수동 라벨링은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경험과 지식 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정확성과 일관성을 담보하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신속, 정확, 일관된 라벨링을 위하여 사전 학습된 딥러닝 모델을 활용한 반 자동 이미지 라벨링 시스템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한 학습데이터 구축 방법 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개발된 반자동 이미지 라벨링 시스템은 미리 학습된 CGNet(Context Guided Network) 모델과 SAM(Segment Anything Model)을 이용하여 최소한의 인력 개입을 통해 4종의 콘크리트 손상을 라벨링할 수 있다. 균열의 경우에는 지정된 RoI 내에서 CGNet 모델을 이용하여 라벨링 되며, 다른 손상들은 SAM 모델을 이용하여 객체와 배경을 지정해 주면 그 에 맞는 라벨링이 수행된다. 본 시스템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GUI 기반의 프로그램으로 개발되었으며, 수행된 라벨링 결과를 브러시 툴을 사 용하여 수동으로 수정할 수 있다. 개발된 반자동 라벨링 시스템의 성능(신 속성, 정확성, 일관성)을 검증하기 위해 4명의 라벨러가 80장의 콘크리트 외 관 손상 이미지를 사용하여 반자동-수동 라벨링 비교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수동 라벨링 대비 소요시간이 평균 87.97% 단축되었으며, 손상탐 지 정확도는 평균 mIoU 67.07%를 보였다. 또한, 라벨러 간 결과물의 유사 도는 평균 mIoU 78.44%의 수치를 보임으로써, 신속성과 정확성, 일관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반자동과 수동 라벨링 학습데이터의 학습 성능을 비교하 기 위하여, 동일한 이미지에 반자동과 수동으로 라벨링을 수행한 뒤, 이를 활용하여 딥러닝 모델인 DeepLabV3+와 CGNet을 각각 동일한 조건으로 학 습하였다. 콘크리트 손상 이미지 2,518장으로 두 가지 라벨링 방식의 데이 터를 통해 모델을 학습한 결과, 반자동 라벨링 데이터 활용 모델의 객체탐 지 정확도(mIoU)가 수동 라벨링 데이터 활용 모델 대비 94%~106% 수준으 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개발된 반자동 라벨링 시스템이 콘크리트 손상을 탐지하는 모델 개발에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 Due to the increasing social demand driven by the aging of social infrastructure,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automated structural inspection using image-based deep learning models. In general, deep learning models needs to be trained using data labeled in a predefined manner for further use. However, conventional human-based manual labeling is not only time-consuming and labor-intensive, but also relies heavily on the inspector's experience and knowledge, posing challenges in ensuring accuracy and consistency. In this study, a semi-automatic image labeling system was developed using a pre-trained deep learning model for fast, accurate, and consistent labeling, and the performance of the training data built by the system was verifiedThe developed semi-automatic image labeling system can label four types of concrete damage with minimal human intervention using pre-trained CGNet (Context Guided Network) model and SAM (Segment Anything Model). Cracks were labeled using the CGNet model within a specified RoI (Region of Interest), while other damages were labeled using the SAM model by specifying the object and background. This system was developed with a user-friendly GUI (Graphic User Interface), and the labeling result can be manually modified using the brush tool in the system. To assess the performance (speed, accuracy, consistency) of the developed semi-automatic labeling system, a semi-automated-manual labeling comparison experiment was conducted by four labelers using 80 images of concrete exterior damag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R (Shortage Rate) of the required time was 87.97% in average compared to manual labeling, and the damage detection accuracy was 67.07% measured by mean Intersection over Union (mIoU) in average. The similarity of results between labelers was an average mIoU of 78.44%, confirming speed, accuracy, and consistency of the system. In addition, to compare the learning performance of semi-automatic and manual labeling training data, the same images were labeled semi-automatically and manually and then used to train the deep learning models (DeepLabV3+ and CGNet)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a result of training the mobels with 2,518 concrete damage images labeled by both labeling methods, the object detection accuracy (mIoU) of the model trained using semi-automatic labeling dat was from 94% to 106%, which is higher than those of the model trained using manual labeling data. This shows that the developed semi-automatic labeling system can be efficiently used to develop a model for detecting concrete damage.

      • Valuation of Pollinators: With Individual Crops’ Demand

        신효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15

        우리나라의 지속적 생태계 파괴, 기후변화 등으로 인해 국내 곤충 밀도가 감소하고 있으며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꿀벌과 같은 화분매개 곤충의 밀도감소는 생태계 뿐만 아니라 작물 생산에도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다양한 경제적 가치 평가 분석이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주로 사용된 분석 방법들은 생산자를 중심으로 생산량 또는 생산비용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 사회 전체에서의 화분매개 곤충의 가치를 분석했다고 보기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화분매개 곤충이 작물 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반영하되, 이러한 곤충의 감소로 인한 생산자와 소비자의 후생 변화를 추정해 경제적 가치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요 생산 작물들 중 화분매개 곤충의 수분활동에 의존하는 작물들을 선정한 후 이들의 수요함수를 Tobit 모형으로 추정해 개별 작물의 자기가격 수요탄력성을 구하였다. 이후 단기 사회후생 효과 모형에 수요탄력성을 반영해 생산자와 소비자의 사회 후생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추정된 화분매개곤충의 가치는 7.6조로, 기존 방법론을 사용한 선행연구들에 비해서는 높게 추정되었다. 이를 통해 생산자 중심의 분석인 기존 방법론들은 화분매개곤충의 가치를 일부 저평가하는 경향도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지역별 생산 작물에 따라 생산액이 달라지는 만큼 화분매개곤충의 가치 및 감소로 인한 피해 또한 지역별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더 나아가, 본 연구에서 사용한 방법론을 활용하여 가치평가 뿐만 아니라 화분매개곤충의 밀도감소 시나리오를 설정해 그로 인해 발생하는 피해 산정을 추정함으로써 본 연구에서 사용한 모형의 응용도 시도하였다. Pollinators play a vital role in agricultural production. Without proper pollination, crops may lack in quality and quantity which can affect both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agricultural goods. Pollinator density decline has long been a topic of study, as with economic development, many wild pollinators lost their habitat. To make things worse, due to climate change, managed pollinators are also experiencing colony disappearance and collapse. Korean farmers have been dealing with annual bee colony loss occurrences for the past few of years. Bee colonies are perishing due to many reasons mostly caused by climate change. As many Korean farmers rely on honeybees and bumblebees for the pollination of various fruits and vegetables, such occurrences result in decreased production and increased expenditures to replace the lost pollinators. In response, the Korean government is actively implementing pollinator-related policies. Many studies have estimated the value of pollinators through various methods. Based on studies that estimate individual crops’ pollinator dependency ratio, most pollinator valuation studies either use production revenue data for the production value approach or the cost of pollinator replacements for the replacement value method. Others combined previous methods to reflect the changes in the environment and market. In this study, the economic value of pollinators in Korea is estimated by evaluating the changes in social welfare loss caused by pollinator decline. Building on the short term model of Lippert et al.(2021), the social welfare loss for each crop is estimated. This study analyzes the demand and demand elasticity of individual crops necessary for the final model rather than referencing estimation results of existing studies. National data such as the Crop Production Survey and the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were mostly used, but past research and data such as Klein et al.(2007) were also used for each crops' dependency ratio. The estimated results contain both national and regional estimates, and the results reveal that, pollinators are valued at around 7.6 trillion won in Korea. This result is higher than that of other previous literature and it can be seen that methods that focus more on the production aspect have a tendency to underestimate the value of pollinators. The results also show that, despite Korea's relatively small geographical area, it was found that regional differences do exist. Additionally, applications of the model to estimate losses caused by pollinator loss was attempted by implementing specific scenarios. Policy implications are drawn from such findings, particularly in light of recent pollinator-related policy decisions taken by the Korean gover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