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E. Grieg의 피아노 소나타 Op.7에 관한 연구

        신혜진 추계예술대학교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그리그는 노르웨이를 대표하는 작곡가이자 연주자이다. 독일에서 공부했던 그는 19세기 후기 낭만주의의 영향을 받았으나, 그 시기 유럽전역에서 일어난 민족주의의 영향을 받아, 기존 형식에 머무르지 않고 노르웨이 민요, 민속춤, 민속악기 등 민속적인 요소들과 노르웨이의 자연 환경들을 음악 속에 표현하고자 하였다. 그가 유일하게 남긴 피아노 소나타인 <Piano Sonata Op.7>은 총 4악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소나타 형식, 3부 형식 등 낭만주의 소나타 형식을 기초로 하고 있다. 그러나 곡의 내용은 선율이나 화성, 리듬 등에서는 민속적인 요소들을 많이 포함한다. 노르웨이의 민속적인 요소들과 그리그의 삶과 음악을 이해한다면 <Piano Sonata Op.7>을 연주하는데 더욱 좋은 연주가 될 것이다. In the late 19th century, many people of Europe began seeking and establishing their own unique ethnic and nationalistic identities. Music and art were no exception, with many ethnic and national groups showing their unique identities through music and art. During this period, while some in Norway campaigned against nationalism, Grieg was a composer that represented Norwegian nationalism. This paper examines the cultural trends of Scandinavian countries during this time, with a specific focus on the characteristics of Norwegian nationalist music. In particular, an analysis of Grieg’s <Sonata Op.7> reveals that many of the characteristics of Norwegian nationalism during this time period were shown in the musical character of Grieg’s pieces. Composed in 1865, <Sonata Op.7> was a piece that deviated from German romantic music and instead moved towards a Norwegian nationalistic style that is comprised of a combination of various elements from Norwegian folk music. Specifically, Grieg’s <Sonata Op.7> is a four movement piece that consists only of piano Sonata. The first movement is a Sonata form with a short yet powerful movement, with the melody itself being lyrical and consisting of two themes. The second movement is slow and produces a lyrical and beautiful melody. The third movement features an old Norwegian emotional tone and atmosphere, along with a folk song’s melody. The final movement is a Sonata form with an introduction that features a rhythmical mood. Further, Grieg’s Piano Sonata features throughout sequence modulation, chromatic progression, non-harmonic tones, an open fifth chord, pedal point, Gangar, Halling, Springdangs, and etc. On the emotional side, Grieg’s Piano Sonata has a nationalistic tendency. Contrarily, on the formality side, its colors are that of romantic music. Overall, Grieg well-represented Norway’s musical colors during his period with rhythmic folk dance music, church mode, and the folk scale. One will be more appreciable of Grieg’s music player if one goes further than a simple literal interpretation to seek the pervasive folk elements within his music.

      • 학부모가 인식한 유치원 교사의 부모상담 역량에 대한 분석

        신혜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야)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ABSTRACT An analysis of kindergarten teachers' parental consulting competence Shin, Hye Jin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The purposes of counseling with parents in kindergartens are to solve the problems of some children with serious problematic behaviors, to solve and prevent the problems of children with various developmental problems, to develop children and to realize their potentiality, etc. Enhancing kindergarten teachers’ counseling abilities will help to discover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s in early stage and to correct and prevent them This study, therefore, aimed at analyzing kindergarten teachers’ counseling abilities into five factors, which are teacher’s personality and attitudes, teacher’s counseling techniques, teacher’s professionalism, teacher’s understanding of children and teacher’s communication skills, in order to help kindergarten teachers to take counsel with parents on children’s various problems, thereby providing basic information for the enhancement of teachers’ counseling abiliti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have been set up. First, how are the actual conditions of counseling with parents in kindergartens? Second, how are kindergarten teachers’ abilities to counsel with parents perceived by parents? A survey was conducted involving 300 parents of children in two kindergartens in A city, Chungcheongnam-do for two weeks from October 10 to October 23, 2017. The questionnaire used for the study had been modified and supplemente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study with reference to the questionnaire for parents used by Ha Jeong-bin (2014) and Jo Hyeon-mi (2017). Out of 300 questionnaires distributed, 251 were collected and used as data. In the study, in order to examine parents’ percep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abilities to counsel with them,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and analyzed as follows using SPSS 18.0 program. First, in order to find out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a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Second, in order to examine the actual conditions of counseling with parents in kindergartens, a χ² test was carried out. Third, for the examination of difference in parents’ percep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counseling with them, a t-test and a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ere carried out, and Scheffe’s test was conducted as a post-test. The results of the research questionnaire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As for the actual conditions of counseling with parents in kindergartens, an examination was carried out on difference in perception of counseling with parents according to parents’ background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a child’s “life attitudes” and “friendship” accounted for higher proportions of counseling themes in counselings taken with parents in kindergartens. As for parents’ participation in counseling, “twice per year” took the first spot. As for participants in counseling with parents, “mother” recorded the highest figure. With regard to the time for parents’ participation in counseling, at the beginning of semester took the first spot, followed by the middle of semester. The results above indicate that higher attention is given to children’s adaption to a kindergarten at the beginning of semester and to children’s life in a kindergarten in the middle of semester. As for difference in perception of time for participation in counseling with parents, “no more than 20 minutes”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 With regard to materials provided in counseling with parents, “record on observation of a child” was highest in number. Counseling with parents was shared with family members, suggesting that “mothers,” who were participating in counseling share the contents of counseling with “fathers.” As for kindergarten teachers’ abilities to counsel with parents perceived by parents, all of the parents who were aged less than 40, graduated from a four year university or higher and had three children gave the highest perception to teacher’s personality and attitudes in terms of teacher’s counseling ability, followed by teacher’ understanding of children.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parents think that teacher’s personality and attitudes displayed in counseling with them are important even when the teacher educates their children. Furthermore, their higher perception of teacher’s understanding of children suggests that they put more importance to teacher’s attention to and understanding of their children than to teacher’s counseling techniques,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teacher’s communication techniques. Keywords early childhood teachers’ counseling, counseling ability, personality and attitudes, counseling techniques, teacher’s professionalism, understanding of children, communication techniques 국문초록 학부모가 인식한 유치원 교사의 부모상담 역량에 대한 분석 신혜진 유아교육전공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치원에서의 부모 상담은 문제가 심각한 일부 아동의 문제해결뿐만 아니라 발달상의 다양한 문제를 보이는 유아의 문제 해결과 예방, 유아의 성장, 잠재력 실현 등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가 부모와 유아의 여러 가지 문제들에 대해 상담할 수 있도록 교사의 상담 역량을 교사의 인성 및 태도, 교사의 상담기법, 교사의 전문성, 교사의 유아의 이해, 교사의 의사소통 기술의 5가지 요인으로 분석해서 교사의 상담 역량을 강화하는데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문제는 첫째, 유치원에서의 부모상담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학부모가 인식한 유치원 교사의 부모상담 역량은 어떠한가? 이다 본 연구는 충청남도 A시에 소재한 2곳의 유치원의 재원중인 유아의 학부모 300명 을 선정하여 2017년 10월 10일부터 10월 23일까지 2주간 실시하였으며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하정빈(2014), 조현미(2017)가 사용한 부모용 설문지를 참고하여 연구와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총 300부에 251부가 회수되어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 교사의 부모상담 역량에 대한 학부모 인식이 어떠한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수집된 자료들을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하고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유치원에서의 부모상담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카이검증을 실시하였다. 셋째, 학부모가 인식한 유치원 교사의 부모상담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증과 일원분산분석 및 사후검증으로 Scheffe의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된 연구문제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치원에서의 부모상담 실태는 부모의 배경변인별로 부모상담의 대한 인식차이를 보았다. 그 결과로는 유치원에서 진행되는 부모상담 시 상담 주제로 유아의 생활태도와 교우관계에 대한 비율이 높았고 학부모의 상담참여는 연 2회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 부모상담의 참여자는 어머니가 가장 높았고 학부모의 상담 참여시기에 관한 질문에는 학기 초와 학기중간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학기 초에는 유아의 유치원 적응기간에 따른 관심도가 높음을 알 수 있고 학기중간은 유아의 유치원생활에 대한 관심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부모상담 참여시간에 대한 인식차이에서는 20분 이내가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고 부모상담시 안내받은 부모 상담자료 제공으로는 유아 관찰기록이 제일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상담은 가족이 함께 공유하는 것으로 나타냈는데 이는 상담에 참여하는 어머니가 아버지와 함께 공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학부모가 인식한 유치원 교사의 부모상담 역량에서는 부모의 나이가 40세미만, 4년대 졸업 이상, 3명의 자녀를 둔 부모 모두에게서 교사의 상담역량으로 교사의 인성 및 태도를 중요하게 인식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교사의 유아의 이해가 높은 중요도를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살펴보면 학부모들은 상담을 하면서 보이는 교사의 인성과 태도가 내 아이를 교육할 때에도 중요하다고 생각하며 교사의 유아의 이해가 높은 것은 교사가 내 아이에 대해 얼마나 관심을 갖고 이해하고 있는가의 중요성이 교사의 상담기술, 교사의 전문성, 교사의 의사소통 기술 보다 더 높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지각된 대표 강점과 실제 대표 강점의 일치수준에 따른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주관적 행복감의 차이

        신혜진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지각된 대표 강점과 실제 대표 강점의 일치수준에 따른 자아정체감과 주관적 행복감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구광역시에 소재하는 S중학교 재학생과 K고등학교 재학생 36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사용한 측정도구는 성격적 강점척도, 성격 강점 인식 질문지, 자아정체감 검사 척도, 주관적 행복감 척도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지각된 대표 강점과 실재 대표 강점의 일치수준에 따라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주관적 행복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집단 간 구체적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Scheff'e 방식을 이용하여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또 학교급에 따라 지각된 대표 강점과 실제 대표 강점의 일치수준의 분포를 살펴보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학교급에 따라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주관적 행복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각된 대표 강점과 실제 대표 강점의 일치수준에 따른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주관적 행복감의 차이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각된 대표 강점과 실제 대표 강점의 일치수준에 따른 학교급별 자아정체감과 주관적 행복감의 차이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지각된 대표 강점과 실제 대표 강점의 일치수준을 활용하여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주관적 행복감 증진이 가능함을 시사해 준다. This reserch is to have a difference between ego-identity and subjective happiness according to the consensus level of actual signature strenths and perceived signature strenths for teenagers. The subject of the experience are 367 students who belongs to S middle school and K boys high school in Taegu. The used measurement equipments are the character strength measurements, signature strength, ego-identity scale, subjective happiness scale. Collected data is analysed by SQSS 18.0 statistic program. We have calculated codfficient alpha of Cronbach in order to evaluate reliability of each measurement tool. We have used one-way anova in order to figure out difference between ego-identity and happiness of teenager according to consensus level between actual signature strenths and perceived signature strenths and we did post evaluation with Scheff'e method in order to evaluate difference among the groups. Furthermore, we have used dependent test verification in order to figure out difference between ego-identity and subjective happiness according to school level not only used crossed analysis for checking distribution of consensus level between actual signature strenths and perceived signature strenths according to school level. experiment result is as below. Result shows positive relationship in difference between ego-identity and subjective happiness of teenager according to consensus level of actual signature strenths and perceived signature strenths also shows positive relationship in difference between identity and subjective happiness by class according to actual signature strenths and perceived signature strenths. At the result, It current that ego-identity and subjective happiness of child to a level of the between actual signature strenths and perceived signature strenths.

      • 부모 이혼 과정에서 아동의 자기개념 증진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신혜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 of self-concept of children during the parental divorce process and what effect comes through the art therapy, especially focused on searching for self-image.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self-image in art therapy is to express, to develop and to reconstruct self-concept, the overall idea about ‘me’ that is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located inside. Self-image that represents self-concept includes metaphors about one’s conscious or unconscious self. Additionally, considering self-image is the outward expression of one’s self-representation, the object relations of children can be inferred from it. By visualizing the initial internalized objet relation that affects the current state, children are able to redefine the object relations and restructure the self-representat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an 8 year old girl whose parents were in the legal divorce meditation period. The period of the art therapy was from January, 2015 to May, 2015. Total 15 sessions were performed once a week for 1 hour at OO regional welfare center. The art therapy program was divided into three parts. The first part(session 1-3) was for reducing the child’s defense and tension, and forming a rapport with the therapist. And in this period the child could start to find her self-image. In the second part(session 4-12), the child gradually explored her self-image deeply and expressed her direct emotions. In the last part(session 13-15), the child integrated her self-images and firmed her true self-concept. In order to follow up her changes at home and at school as well, her mother’s interview was paralleled. Every session was reviewed and redeemed under 2 experts in art therapy. To measure the change before and after, the House-Tree-Person test and the Kinetic Family Drawing test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self-concept change process, the expressed self-images during the art therapy sessions were reviewed in detail. The behaviors and language expressions of the child in each session were also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elf-concept of the child, that had been vague and fragmented due to her self defense and a lack of self-awareness, was gradually clarified. She accepted the experience and her feelings related with the parental divorce process while reading a metaphoric book that contains a parental divorce story. And she opened her family story to the art therapist. After that, she practiced separating from her mother, using soft plastic clay as ‘the transitional object’. The therapist had the role as a ‘good enough mother’, and this role could be a ‘facilitating environment’ to the child. After all, she recognized herself as an independent individual, and she made her self-image. In this self-image artwork, her real self was reflected. This means that she built the clear self-concept. Second, the art therapy to explore self-image had a positive impact on her self-concept. In the process of finding her self-image, she made the self- representation and the main object-representation visible. Through the art works, she found her early object relation and had a chance to reorganize it. The lack of the care giver’s enough care and the deficit of the unconditional regard made the child to form a ‘false self’. To protect her ‘true self’, the ‘false self’ used a metaphoric self-image. However, she realized it was not her real self-image. She used a soft plastic clay as her transitional object, and after all she made her self-image with it. She built a stable and firm house with a hard material and placed her self-image art work inside the house. Like this, she had a chance to look at herself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through her metaphoric self-image. And a positive therapeutic change came with a new metaphoric self-image. This result suggests the importance of psychological intervention time for the children in the parental divorce process. In the chaotic situation of the parental divorce process, the art therapy intervention will help the children to develop a stable self-concept. And this self-concept will be the foundation of the resilience for the children to maintain the adaptive life after the parental divorce. 본 연구는 부모 이혼 과정에서 아동의 자기개념 증진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 연구로서, 자기상 탐색을 중심으로 미술치료를 진행하면서 아동의 자기개념이 어떻게 변화되는지, 그리고 자기상 탐색을 중심으로 한 미술치료가 자기개념 증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미술치료에서 자기상을 탐색하는 과정은 의식, 무의식적으로 자리 잡고 있는 ‘나’에 대한 총체적인 생각, 즉 자기개념을 표현하고 전개하여 재정립해나가는 과정을 의미한다. 시각적으로 표현된 자기상은 자기개념을 반영하며 의식, 무의식적인 자신에 대한 은유를 포함한다. 또한 자기상이 자기표상의 외적 표현임을 고려할 때, 자기상을 통해 아동의 대상관계를 유추할 수 있다. 현재 상태에 영향을 주는 초기 내면화된 대상과의 관계를 시각화함으로써, 아동은 대상관계를 재정립하고 자기표상을 재구조화할 수 있게 된다. 연구를 위해 협의이혼 숙려 기간에 있는 8세 여아를 대상으로 개인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2015년 1월부터 2015년 5월까지 주 1회 60분씩 15회기에 걸쳐 진행하였다. 또한 가정과 학교에서의 아동의 변화 사항을 파악하기 위해 매 회기 어머니 상담을 병행하였다. 미술치료 전문가 2인에게 임상 감독을 받아 회기별로 수정, 보완하는 작업을 거쳤고, 사전 사후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집-나무-사람 검사와 동적 가족화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기개념 변화 과정을 보기 위해서 초기, 중기, 후기 세 단계로 나누어 표현된 아동의 자기상을 분석하였다. 또한 매 회기 작품과 언어 표현, 행동 표현 등의 관찰 내용을 비교 분석하여 자기상 탐색을 중심으로 한 미술치료가 부모 이혼 과정에서 아동의 자기개념 증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고찰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치료 초반에 아동은 자기 인식의 결여와 자기방어로 인해 모호하고 파편적인 자기개념을 드러냈으나, 부모 이혼 과정에서의 경험과 감정을 수용하고 이를 연구자에게 개방하면서 점차 명료한 자기개념을 형성하였다. 아동은 ‘충분히 좋은 어머니’ 역할을 하는 치료사라는 대상을 통해 ‘촉진적 환경’을 제공받았고, 미술 매체를 ‘중간 대상’으로 삼아 양육자인 어머니에게서 분리하는 연습을 하였다. 그 후 아동은 독립된 주체로서의 자기를 인식하여 자기상을 만들어내었고, 이로써 자기개념을 증진시키게 되었다. 자기상 탐색을 중심으로 한 미술치료는 부모 이혼 과정에서 아동의 자기개념 증진에 중요한 계기를 제공하였다. 아동은 자기상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자기표상과 주 양육자인 어머니 표상을 가시화하였으며, 그를 통해 초기 대상관계를 확인하고 재구성하는 기회를 갖게 되었다. 부모의 갈등에서 비롯된 양육자의 돌봄 결여와 무조건적 존중의 결핍은 아동에게 거짓자기를 형성하도록 하였고, 거짓자기는 참자기를 숨기기 위해 은유적 자기상이라는 보호막을 사용하였다. 은유적 자기상이 가지는 의미를 심층 탐색함으로써 아동은 그것이 진짜 자기의 모습이 아님을 깨닫게 되었다. 아동은 은유된 자기상을 통해 다른 관점에서 자기를 바라볼 수 있는 기회를 가졌고, 그 은유가 새로운 은유로 바뀌는 지점에서 긍정적 치료적 변화가 일어났다. 본 연구는 부모 이혼 과정이라는 혼란 상황에서 미술치료 개입이 아동의 자기개념을 안정적으로 발달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사례로서, 이혼 가정 자녀들을 위한 심리적 개입 시기를 결정하는데 하나의 기초 자료 역할을 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자기개념은 부모 이혼 후에도 아동이 적응적 삶을 유지하도록 하는 탄력성의 토대가 될 것이다.

      • 통일한국의 사회적 갈등 해소를 위한 사회과 통일교육

        신혜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1990년 독일은 40여년간의 분단을 극복하고 마침내 통일을 이루었다. 그러나, 서독의 경제적 절대우위와 지속적인 교류를 통하여 통일을 이루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동 ·서독간에는 여러 가지 갈등이 남아있다. 급작스런 동독의 붕괴로 새로운 체제에 적응해야 하는 동독주민들과 경제적 우위를 바탕으로 우월감을 내세우는 서독주민들과의 심리적 이질감, 자유민주주의와 공산주의간의 이념적 갈등, 가치관의 혼란으로 인한 동독주민의 일탈행위 등 여러 가지 갈등이 보이고 있다. 통일 이전부터 서독은 정치교육을 통하여 민주주의적 가치를 강조하였다. 민주주의에 배치되는 극우파나 극좌파에 대한 경계심을 고취하고, 공동체의 질서 유지를 위한 준법정신과 협동정신, 올바른 가치 판단을 위한 지식을 전달하는데 노력했다. 또한 독일의 정치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정치문화로 발전시키는 등 민주시민 육성을 위한 정치교육을 과감하게 전개하였다. 통일 이후 독일에서는 갈등을 해소하고 진정한 사회 통합을 이룩하기 위해 독일은 의식 개혁적 측면에서 정치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첫째, 과거 교조주의적 공산교육의 청산을 실시하여 주민들로 하여금 새로운 통일독일 체제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도록 교육시키고 있다. 둘째, 민주시민 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여러 가지 갈등을 대화와 타협을 통해 조정하고 합의함으로써 갈등을 해소하는 절차를 배우게 한다. 셋째, 민족 동질성 교육을 강조하여 통일독일의 민족 정체성을 확립한다. 넷째, 동서독 각 지역에서 상호 상대방의 입장을 이해할 수 있는 사회통합교육을 동시에 실시하고 있다. 다섯째, 통일독일의 국내적 의미뿐만 아니라 국제적 관계를 강조하는 국제주의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독일의 갈등상황과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서의 정치교육은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준다. 향후 통일을 달성한 한국사회에서도 이와 같은 심리적 갈등, 이념 갈등, 일탈행동 뿐만 아니라 계층 갈등, 지역 갈등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지금부터 통일대비 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그러나, 현행 제6차 교육과정에서의 도덕(윤리)과나 사회과 교과서 내용을 살펴보면, 이러한 통일한국의 갈등상황을 예상하고 준비하는 내용은 극히 미약하며, 교사-학생 모두 ‘통일이후의 상황’에 대해 가장 부족하게 학습하고 있는 것으로 설문결과 나타났다. 진정한 통일 이후를 대비하는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먼저 분단보다는 통일지향적인 교육목표가 학습자의 수준에 맞게 제시되어야 한다. 갈등 해소 방안으로서의 통일교육 내용에 있어서는 첫째, 갈등을 대화와 타협에 의한 민주적인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 민주시민 교육, 둘째, 심리적 거리감을 하부구조(역사, 언어, 문화 등)에 의한 동질성을 강조함으로써 이질성을 극복할 수 있는 민족 동질성 교육, 셋째, 국제사회의 거시적 관점을 길러주는 국제주의 교육, 넷째, 통일의 이익을 강조하여 통일의지를 고취시키는 낙관적 전망을 심어주는 교육, 다섯째, 사실의 합리성을 바탕으로 하는 객관적 교육을 통해 상호이해의 바탕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학교뿐만 아니라 ‘민족통일교육본부’(가칭)과 같은 전담기구를 통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다양한 영역에서 또 교과외 특별 활동을 통해서 열린 교육 방법(시청각수업, 토의수업, 가상 학습, 현장 체험학습 등)으로 실시해야 할 것이다. 독일통일의 경험이 시사하듯이 통일 이전에 통일 이후의 상황을 충분히 예상하고 대비한다면, 통일한국의 경우 남북한간의 통일 후유증과 갈등은 쉽게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만약 이러한 준비가 없을 경우, 통일이후 북한지역 주민의 체제 통합, 남북한 주민 사이의 사회통합 분야에서 상당한 기간동안 사회적 혼란과 갈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통일대비 교육의 중요성은 더 한층 강조되는 것이다. In 1990, Germany overcame its partition lasted for about 40 years and finally accomplished unification. However, although the unification was accomplished through the absolute economic predominance of West Germany and continuous interchanges between two divided parts, there still remains lots of conflict between East and West Germany. Conflicts have appeared in such shapes as psychological discord between East Germans who have to acclimate themselves to a new governmental system from the sudden break down of East Germany and West Germans who feel superiority with their relative dominant economic power, and the former´s deviation resulted from the ideological conflict between Democratism and Communism or confusion of view. To solve these conflicts and unite society, Germany has carried out political educations for innovating people's view. First of all, liquidation of the past dogmatic communist culture for East Germans to positively accept the new governmental system of unified Germany. Second, emphasis on education for democratic citizen. Through communication and negotiation, people learn the procedure of adjusting their interests and making agreements. Third, establishment of the ethnic identity of unified Germany through emphasis on ethnic homogeneity. Fourth, simultaneous execution of social unification education to help people understand each other's standpoint. Fifth, international education develop a broad view of world. This political education as a device to solve conflicting social problems implys a lot to Korean people. In the future unified Korean society, more deepened conflicts between regions or classes as well as ideological, psychological conflicts and social deviation could come out. To eliminate this possibility, we should carry out educations for preparing unification from now on. But investigating the contents of moral or social studies texts under the present 6th curriculum, it is revealed that supposition of or preparation for future conflicts is few and training for situations after unification is most wanting for both the teacher and student. To establish real educations for post-unification situations, the goal of education should be oriented to unification than partition and the goal should be presented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the learner. The unification education as a device to solve conflicts should be; first, education for democratic citizen to cultivate problem solving ability in a democratic way through communication and negotiation; second, education for ethnic homogeneity to overcome heterogeneity and psychological gap of nation (e.g., history, language, and culture); third, international education to develop a broad view of world; fourth, through emphasis on the homogeneity of the substructure education for optimistic prospect to encourage will to unification through emphasis on the interests after unification; fifth, objective education based on factual rationality. This should be accomplished through not only school but also organization taking full responsibility like “The Education Center for National Unification (provisional name),” and in every course of study or extra-curricular activities, approaches to open education (such as audio-visual class, discussion class, hypothetical learning field experience learning, etc.) should be made most of. As unified Germany´s experience implys, when fully supposing post unification situations and preparing for them, the future unified Korea will easily get over side-effects and conflict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But without preparation, social disruption and dissension could occur for a considerable period in the fields of accommodating North Korean residents to governmental system and socially bridging the gap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ns. In this respect, the importance of education for preparing for unification should be emphasized more than anything.

      • 성인애착이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신혜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애착이론(Attachment Theory)과 선행 연구들에 근거하여 성인애착이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가 유의미한지 검증함으로써 실제 상담 장면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 개입 방안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애착(애착불안, 애착회피)과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심리적 디스트레스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성인애착(애착불안, 애착회피)과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는 유의한가? 연구 대상은 서울 및 수도권의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438명 으로 성인애착 척도,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척도 중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하위 척도와 간이 진단 검사 중 우울과 불안 하위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SPSS 22.0을 사용하여 각 변인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결과 분석을 위해 단일 차원으로 구성된 애착불안과 애착회피는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요인부하량의 크기에 따라 문항을 할당하여 문항 묶음을 제작하였다. 또한 AMOS 22.0을 활용하여 측정모형과 연구모형을 검증하였으며, Sobel 검증을 통해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애착불안과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관계는 조금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애착회피와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관계는 보통 수준의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반면에 성인애착과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관계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은 심리적 디스트레스와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성인애착이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이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보호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상담 과정에 있어 성인애착과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을 통합적으로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의 의의는 성인애착과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관계에서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경로에 대한 간명한 설명을 제시함과 동시에 실제 생활 장면에서 작용하는 중요 기제를 밝혀냈다는 점이다. 또한 심리적 디스트레스를 호소하는 내담자들에게 상담 개입이 용이한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성인애착과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관계를 이해하는 틀을 마련해줄 뿐 아니라, 개인이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을 사용함으로써 심리적 디스트레스를 예방하고 이를 완화하기 위한 상담 개입방법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함의를 가진다.

      • Lipopolysaccharide로 자극한 임신부 자궁경부 섬유아세포에서 인터루킨-6의 발현에 대한프로게스테론의 조절 기능

        신혜진 울산대학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연구목적 : 감염과 염증은 조산의 주요 원인이며 염증성 시토카인의 증가로 인해 조기진통 및 조산을 초래하게 된다. 본 연구는 임신부의 자궁 경부 조직 내 섬유아세포를 배양하여 lipopolysaccharide(LPS)로 자극하였을 때 인터루킨-6(interleukin-6, IL-6)의 발현에 대한 프로게스테론의 조절기능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자궁경부 섬유아세포 배양을 위해서 임신 37주 이후에 제왕절개술을 시행한 3명의 건강한 산모에게서 서면동의 후 자궁경부 조직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자궁경부 조직을 잘게 자르고 collagenase(Gibco-BRL)로 처리한 후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DMEM)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후 섬유아세포를 확인하기 위해 면역염색방법을 사용하였다. LPS로 자극한 섬유아세포 배양액에 프로게스테론을 농도별로 투여한 후 IL-6 농도 변화 및 mRNA 발현량을 비교하기 위해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와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RT-PCR)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 배양액 내 자궁경부 섬유아세포를 LPS 0.1 μg/ml로 자극하였을 때 LPS를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IL-6의 농도 및 IL-6 mRNA 발현량이 증가하였고(P<0.05), LPS 10 μg/ml까지 농도를 증가하였을 때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IL-6의 생성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 LPS로 자극한 후 프로게스테론 10 nM에서 1000 nM까지 증가시키면서 24시간 배양하였을 때 프로게스테론1000 nM 에서만 유의하게 IL-6의 생성 및 발현의 감소를 보였다.(P<0.05) 에스트로겐의 투여는 LPS에 의한 IL-6 생성의 증가나 프로게스테론에 의한 IL-6 생성의 감소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자궁경부 섬유아세포에서 LPS로 자극하였을 때 프로게스테론이 IL-6의 생성을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프로게스테론이 자궁경부 섬유아세포에서 직접적인 항염증 작용을 나타낼 수 있음을 시사한다. Objective : Infection or inflammation is an important cause of preterm labor and delivery, and is characterized by increased product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effect of progesterone on interleukin-6(IL-6) in fibroblasts of human uterine cervical tissue treated with lipopolysaccharide(LPS). Materials and methods : Human uterine cervical tissue was obtained from 3 women with pregnancies at term, before the onset of labor, when a cesarean section was performed. For the culture of cervical fibroblast cell, tissue samples were digested with collagenase(Gibco-BRL) for one hour at 37 ℃ and incubated in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DMEM), and then identified by immunostaining. Samples of the tissue culture media were collected and evaluated for IL-6 production level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and semi-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after treated with LPS alone, with P4 and LPS, and with P4 and estrogen and LPS, respectively. Results : An obvious increase of IL-6 level in fibroblasts was observed after LPS dose-dependent stimulation.(p < 0.01)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production of IL-6 in P4-treated fibroblasts after LPS stimulation independent of estrogen exposure.(p < 0.05) Conclusion : Progesterone significantly reduced the IL-6 expression and secretion in LPS-stimulated cervical fibroblas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echanism of preventing preterm birth by progesterone is anti-inflammatory effects, especially on suppression of interleukin production.

      • 마인드맵을 활용한 주체적 미술 감상활동의 교육적 효과

        신혜진 성신여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미술은 인간의 감성과 감각을 자극하여 자기표현과 자기이해를 실현한다. 특히, 감상은 작품과의 만남을 통해 나와 타인을 넘어 세계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미술활동이다. 자기창조의 활동으로서 감상은 감상자의 적극적인 체험을 강조하며, 감상자의 주관적 사고 작용을 요구한다. 즉, 작품을 대하는 감상자의 주체적 태도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감상교육은 감상자의 주체성을 길러주는 것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연구자는 본 연구를 통해 미술 감상활동에서 감상자의 주체적 감상에 대한 중요성과 함께 그에 대한 방안으로 학교 미술수업을 활용한 주체적 감상 훈련을 주장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현재 학교의 미술 감상수업이 보이는 문제를 인식함과 동시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마인드맵을 활용한 주체적 감상활동을 본 연구에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마인드맵을 활용한 주체적 미술 감상활동이 어떠한 교육적 효과를 보이는지 발견하고 학교 미술 감상수업에서 적용이 가능한지 확인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청소년들의 주체적 미술 감상 능력의 함양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만 13세에서 만 18세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어떠한 개입 없이 마인드맵을 활용해 스스로 작품을 감상하도록 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1장에서는 주체적 감상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개인적 경험에 대해 서술하고, 연구주제 및 문제를 도출하였다. 2장에서는 현행 교육과정에서 교사와 학생들이 감상교육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살펴보고 미술 감상·비평 방법의 한계를 설명하였다. 또한 미술 감상활동에서 기대할 수 있는 마인드맵의 효과도 제시하였다. 3장은 연구의 내용과 방법을 설명하였으며, 4장에서는 인터뷰에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마인드맵을 활용한 주체적 감상의 결과를 밝히고 있다. 5장에서는 연구 참여자들에게서 수집된 인터뷰 자료와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마인드맵을 활용한 주체적 감상의 효과와 한계를 정리함으로써 주체적 감상의 필요성과 감상활동에서 마인드맵이 가지는 의의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이를 통해 얻게 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인드맵을 활용한 주체적 감상활동은 감상자의 관찰력을 향상시키고 작품을 주관적으로 생각할 수 있게 했다. 또한 마인드맵은 감상자가 자신의 생각을 논리적으로 정리하는 것에 효과를 보였다. 둘째, 마인드맵을 활용한 주체적 감상활동은 감상자의 관심, 흥미, 지적수준 등에 따라 감상의 차이를 보인다는 점에서 보완이 필요하다는 한계를 지닌다. 셋째, 마인드맵을 활용한 주체적 감상활동은 감상자의 사고를 촉진하고 다양한 감상교육으로 응용이 가능하며, 감상활동에 대한 자기 효능감을 증진시킨다는 점에서 가치와 의의를 가진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주체적 감상의 필요성과 미술활동에서 마인드맵이 가지는 의의 및 활용방안에 대한 추가적인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유치원 만 5세 샘물반 목공놀이 활성화를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

        신혜진 호서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ways to activate the 5-year-old Kindergarten children's woodworking play to help it established as their ordinary life play and examine children's responses and their teachers' changes.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1. What would be practical ways to activate the children's woodworking play? 2. What about the children's responses and teachers' changes shown up in the activation of the woodworking play 2-1. What about the children's responses shown up in their woodworking play? 2-2. What about the teachers' changes shown up in the activation of the woodworking play?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sampled 25 five-year-old children and a teacher from Saemmul Class of Pureun Kindergarten attached to a University in 'C' city of Chungcheongnam-do.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May 3 through Dec. 24, 2021. Based on Kemmis & McTaggart's (1998) action research model, this study conducted a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This study consisted of 3 action processes. Through the entire action processes, this study use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collecting the data and analyzing the results per research poi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is study explored the ways to activate the children's woodworking play, and practiced them for 3 sessions. At the first session, the woodworking play was designed, while supplying the materials and tools required for producing the play. And in order to help the children interested in the woodworking play, theyn were allowed to freely design their play by using natural things and small wooden pieces. In the 2nd session, the arena for the woodworking play was expanded, while the children were encouraged to use the tools to learn about the woodworking skills. In this course, the children were urged to use their woodworking skills to repair the Kindergarten things or make some for their Kindergarten, while their activities were induced to be related with their ordinary life. In the third session, 'trees' were integrated with the educational theme. Then, the preceding activities were reviewed, while an exhibition was held to share the pleasure of the woodworking play with other class children. The safety education was designed throughout the all sessions. Secondly, children's responses and teacher's change shown up in the action were diversified. Children enjoyed the woodworking play, expressing diverse emotions positively. If necessary, they helped each other, sharing the materials of the woodworking play and cooperating with each other. In addition, through the play, children would learn about the diverse concepts, being more able to live their kindergarten life more conveniently or solve their impending problems. On the other hand, the teacher would be reaware of the value of the woodworking play, while observing the children's woodworking play, learning about the woodworking play. Thus, the teacher enhanced her knowledge about the woodworking play, enhancing her confidence and professionalism. On the educational fields for the younger children, the woodworking play had not been activated due to the fear of the safety accidents thereof and teachers' lack of knowledge and confidence. This study may well be significant in that it has confirmed that if the teachers should be reaware of the woodworking play and some subsidies should be provided, the woodworking play would well be spread as children's ordinary activities like other plays. Lastl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ould help kindergarten teachers to enhance their professionalism, conducing to the qualitative enhancement of the kindergarten education and children's growth and development. 본 연구의 목적은 만 5세 학급에서 목공놀이가 유아들이 일상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놀이로 자리 잡도록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여 이를 실행하고, 실행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의 반응과 교사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만 5세 샘물반 목공놀이 활성화를 위한 실행 방안은 무엇인가? 2. 만 5세 샘물반 목공놀이 활성화를 위한 실행 과정에서 나타난 유 아의 반응과 교사의 변화는 어떠한가? 2-1. 만 5세 샘물반 목공놀이 활성화를 위한 실행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의 반응은 어떠한가? 2-2. 만 5세 샘물반 목공놀이 활성화를 위한 실행 과정에서 나타난 교사의 변화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충청남도 C시 소재 대학부속유치원인 푸른유치원 만 5세 샘물반에서 실시 되었으며, 연구 참여자는 학급 유아 25명과 교사 1명이다. 연구 기간은 2021년 5월 3일부터 2021년 12월 24일까지이다. Kemmis와 McTaggart(1998)의 실행연구 모형을 토대로 협력적 실행연구를 수행했다. 총 3차의 실행 과정을 거쳤으며 실행의 전 과정에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연구문제별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샘물반의 목공놀이 활성화를 위한 실행 방안을 모색하고 3차 실행 과정을 거쳤다. 1차 실행에서는 목공놀이영역을 구성하고 목공 재료와 목공놀이 도구 등 자료를 지원했다. 그리고 목공놀이에 대해 흥미를 갖도록 자연물, 작은 나무 조각 등을 활용한 자유 구성 활동을 실시했다. 2차 실행에서는 목공놀이영역을 확장하고 점진적으로 목공놀이 도구를 소개하여 목공기술을 익히도록 했다. 유아들이 익힌 목공기술을 활용하여 유치원 생활에 필요한 물건을 수리하거나 만드는 등 실생활과의 연계에도 중점을 두었다. 3차 실행에서는 ‘나무’를 교육 주제와 통합하여 진행하였다. 그리고 그 동안의 활동 과정을 되돌아보고, 다른 반 유아들과도 목공놀이의 즐거움을 나누기 위한 방안으로 전시회를 열었다. 안전교육은 실행의 전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실시 됐다. 둘째, 샘물반 목공놀이 활성화를 위한 실행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의 반응과 교사의 변화는 다양했다. 유아는 목공놀이를 즐기고 다양한 감정을 적극적으로 표현했다. 도움이 필요할 때 서로 돕고, 목공놀이 도구와 자료를 아끼고 나눠 쓰며 협력하는 모습도 보였다. 또한 놀이를 통해 다양한 개념을 학습하고, 유치원 생활을 더욱 편리하게 하거나 놀이를 풍부하게 하기 위해 당면한 문제를 해결해 나갔다. 교사는 유아 목공놀이의 발전적 변화를 보면서 목공놀이의 가치에 대해 재인식하고 목공놀이 운영에 관한 지식을 추가하며 자신감을 갖고 전문성을 길렀다. 유아교육 현장에서 목공놀이는 안전사고 발생에 대한 염려, 목공놀이 운영에 대한 교사의 지식 및 자신감 부족 등 여러 가지 요인으로 유아의 일상적인 놀이가 되지 못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교사의 목공놀이에 대한 인식을 제고 하고, 약간의 지원이 따른다면 목공놀이도 다른 놀이처럼 유아들이 원하면 할 수 있는 일성적인 놀이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가 목공놀이 운영에 대한 교사의 전문성을 증진하고, 교육현장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며 놀이를 통한 유아의 성장‧발달을 향상하는데 기여 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