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미결정 경계조건이 포함된 유체-고체 연성 시스템의 모델 업데이팅 기법

        신현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1855

        유한요소 모델 업데이팅은 유한요소 모델과 실물 모델 간 특성을 튜닝하기 위하여 매우 중요한 절차이다. 일반적으로 모드 형상, 선형 탄성 계수 등의 모델 업데이팅 변수를 직접적으로 업데이트하나, 볼팅, 용접 등 구조물에서의 연결 부위(이하, 미결정 경계조건)도 마찬가지로 진동 특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미결정 경계조건이 포함된 유체-고체 연성 시스템을 모델 업데이팅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제안하며, 이를 연구용 원자로 2 차측 주급수 배관(하나로, 한국원자력연구원)에 적용하여 실효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유체-고체 연성 시스템의 계산 비용 감소를 위한 축소 모델링을 진행하였다. 미결정 경계조건의 물리 특성을 고려할 수 있는 적절한 축소 모델링 기법을 선정하고자 수치 예제를 활용하여 강결합법과 하이브리드 축소 모델링 기법 간 비교를 진행하였다. 또한 역 동역학 하중 추정 시스템을 구축하여 축소 및 업데이트된 모델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검증하였다.

      • 교육적 경험의 의미 분석을 통한 교사의 역할 고찰

        신현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855

        In an educational site whose subject lies in the lively and dynamic children, teachers encounter problems of choice every time. But the lack of coherent criteria is augmenting difficulties. The problem lies not with the absolute absence of such criteria but the absence of applicable criteria that can be used universally and generally. This is because these criteria are too far-fetched from the essence of education. Therefore, in order to suggest criteria that are more universal and fundamental, we need to start from what is fixed firmly in the education in itself. Education takes its subject on people's lives; and because people's lives are repetitions of experiences, education ultimately centers on people's experiences. However, not every experience is educational. Hence, if one is a teacher who takes charge of education, that person needs to have an understanding of experiences which are educationally meaningful and which are not, to say the least. In this light, the dissertation looks into John Dewey's theory of experience and analyzes the meaning of educational experience; after which, the study delves into the roles of a teacher based on educational experience. First, an experience, by its very feature, is formed by a combination of active doings and passive results. This experience is not in piece-by-piece form but instead in an organic continuation of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that is both continuous and cumulative. Moreover, in order for such an experience to occur, there must be a reciprocal interaction between person's internal factors and external environment in any way. This is just a general feature of an experience, and not every experience is educational. Educational experience is different from unintentional and non-cognizant experience. Educational experience needs to have relation between deeds and results, and predictability. Further, it must be a reflective experience where one, when faced with similar situation again in the future, can choose a better choice. Dewey described as criteria two principles which can be used to distinguish between educational experience and uninstructive experience. According to him, every experience has certain continuity and interaction, and that, depending on what course of action the interaction of these principles produce the quality of experience changes. Present experience is a product of past experience, and future experience would be something that results from present experiences. Therefore, if we were to admit that present lives do not spell the whole of people's lives, the consideration of future must be a natural consequence in the educational activity. Then the educational experience becomes the formation of a habit which reinforces the notion that successive experience is growth. However, because there are many directions in growth, in order for that growth to have any meaning in educational terms, it must be an intellectual and moral growth. This experience never occurs in a vacuum. When person's internal factors and external environment interact, a thing named 'situation' occurs, and then diverse experiences follow. Here, the degree to which this interaction is combined changes the quality of experience. Overly emphasizing internal factors such as person's impulse and desires or considering only the objective factors without considering the internal factors can't be the characteristics of an educational experience. Only by balancing the two sides, there can be an experience of intellectual and moral growth. However, the meaning of growth here doesn't mean a completed growth, but a continuous growth, an endless process. Like the purpose of education doesn't aim anything other than itself, growth too aims only a continuous growth. To achieve this, every experience must be reconstructed, reorganized and reconstituted to consistently pursue a coherent direction called growth. Based on Dewey's theory of experience, the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as the roles of a teacher grounded in educational experience. First, as an adult with mature experience, the teacher must be able to formulate a study plan in order for students to keep pursuing growth. Also, the teacher must take charge of a role as the leader of an organizational activity. Second, the teacher must attentively watch out for student's experiences and internal factors and must be able to constitute an external environment appropriate for each individual student. Third, the teacher must be able to formulate and present questions or situations that can stimulate student's thinking and facilitate intellectual thinking ability. 생동감 넘치는 아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 현장에서 교사들은 매 순간 선택의 문제에 직면하게 되지만 일관되게 적용되는 기준이 없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 문제는 기준이 전혀 없다는 것이 아니라 보편적이고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기준이 없다는 데에 있다. 이는 그러한 기준들이 교육의 본질에서 지나치게 멀어져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다 보편적이고 근본적인 기준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교육 그 자체에 붙박혀 있는 것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 교육은 인간의 삶을 대상으로 하고 인간의 삶은 경험의 연속이므로 교육은 곧 인간의 경험을 대상으로 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경험이 교육적인 것은 아니다. 따라서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라면 적어도 교육적으로 의미 있는 경험과 그렇지 못한 경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고 있어야 한다. 이에 본 논문은 John Dewey의 경험이론을 살피고 교육적 경험의 의미를 분석한 후 교육적 경험에 따른 교사의 역할은 어떠한 것인지를 살피고자 한다. 먼저 경험은 그 속성상 능동적 행위와 수동적 결과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그러한 경험은 단일한 조각 조각이 아니라 과거, 현재, 미래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지속적이고 누적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다. 또한 그러한 경험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어떤 식으로든지 개인의 내적 요인과 외적 환경이 상호 작용을 이루어야 한다. 이는 경험의 일반적인 속성일 뿐 모든 경험이 교육적인 것은 아니다. 교육적 경험은 무의도적이고 비인식적인 경험과는 다르다. 교육적 경험은 행위와 결과 사이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결과를 예측할 수 있어야 하며 나아가 다음에 그러한 상황에 직면했을 때 더 나은 선택을 할 수 있는 사고적 경험(reflective experience)이어야 한다. Dewey는 교육적 경험과 비교육적 경험을 구분할 수 있는 기준으로 다음 두 가지 원리를 제시하였다. Dewey에 의하면 모든 경험은 일종의 지속성(continuity)과 상호 작용(interaction)이 있으며 이러한 원리가 작용하는 방향에 따라 경험의 질이 달라진다. 현재의 경험은 과거 경험의 산물이며, 미래의 경험은 현재 경험의 결과로 이루어질 것들이다. 따라서 인간의 삶이 현재의 삶만이 전부가 아니라는 것을 인정한다면 교육적 활동에서 미래에 대한 고려는 당연한 것이어야 한다. 그렇다면 교육적 경험은 후속하는 경험이 성장이라는 일관된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습관을 형성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성장이라는 것은 다양한 방향이 존재하므로, 그러한 성장이 교육적으로 의미를 갖기 위해서는 지적, 도덕적 성장이어야 한다. 이러한 경험은 결코 진공 상태에서 일어나지 않는다. 개인의 내적 요인과 외적 환경 요인이 상호작용을 이룰 때 상황이라는 것이 발생되고 이러한 상황에 따라 다양한 경험이 발생한다. 이 때 상호 작용이 결합된 상태에 따라 경험의 질이 달라진다. 개인의 충동, 욕구와 같은 내적 요인을 지나치게 강조하거나 내적 요인의 고려 없이 객관적 요인만을 고려하는 것은 교육적 경험의 특징이 될 수 없다. 양자가 균형을 이룰 때 지적, 도덕적 성장으로서의 경험이 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여기에서 성장이라는 것의 의미는 완성된 형태로서의 성장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계속적인 성장 곧 끊임없는 과정으로서의 의미이다. 교육의 목적이 교육 그 자체 이외 다른 것이 아니듯이 성장 역시 지속적인 성장만이 있을 뿐이다. 이를 위해서는 모든 경험은 성장이라는 일관된 방향으로 끊임없이 재구성되고 재조직되며 재형성되어져야 한다. Dewey의 이러한 경험 이론을 바탕으로 교육적 경험에 근거한 교사의 역할을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겠다. 첫째, 교사는 성숙한 경험을 가진 성인으로서 학생이 성장이라는 일관된 방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교육 계획을 수립해야 하며 또 집단 활동의 지도자로서의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둘째, 교사는 학생의 경험과 내적 요인을 주의 깊게 살펴 학생 각자에 적합한 외적 환경을 구성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교사는 학생의 사고를 자극하여 지적 사고 능력을 촉진할 수 있는 문제 사태를 구성하고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 재즈에 있어서 창의적인 즉흥연주를 위한 연구

        신현아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55

        서양의 현대 음악에 있어서 여러 분야의 음악과 광범위하게 영향을 주고 받아왔던 재즈를 연구할 때 화성이나 리듬과 같은 기본적인 구성요소들과 더불어 반드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는 즉흥연주라 할 수 있다. 즉흥연주가 있어야만 반드시 재즈가 완성되는 것은 아니지만 재즈를 가장 재즈답게 만들어 주는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가 바로 이 즉흥연주(Improvisation)라 할 수 있다. 재즈는 유럽에 건너온 아프리카의 흑인들이 유럽의 음악을 접하게 되면서 미국에서 발달시킨 음악의 한 형식이라 볼 수 있다. 리듬 위주의 아프리카 음악이 사운드, 화성의 서구 음악적 요소와 결합되면서 재즈는 새로운 음악으로서 발전하여 왔다. 특히 스윙이라 일컬어지는 리듬적인 관계가 사운드, 그리고 재즈 특유의 즉흥연주와 배합되면서 생명력이 넘치는 음악으로 진보되었다. 초기의 재즈는 형식적으로 자유로운 선창과 응창 방식의 노동요에서 출발하여 점차 악기를 사용한 기악으로 발전하게 되었고 주로 관악기로 편성 된 빅밴드 형태였으나 연주기량이 높아진 연주자들에 의해 악보의 지시사항이 자의적으로 해석되면서 노동요에 나타났던 “즉흥” 요소가 점차 나타나게 되었다. 우리는 흔히 이러한 즉흥연주가 단지 연주자의 테크닉적인 연주 실력에 의존하여 연주 당시 즉흥적으로 만들어내는 곡의 한 부분으로만 간주하기도 해 왔다. 하지만 이 즉흥연주는 재즈의 기본요소와 다양하게 변화되는 멜로디, 그리고 연주자의 끊임없는 연습과 노력이 이루어낸 산물이라 할 수 있다. 즉흥연주는 음악적 창조 능력을 기르는 학습이기에 기교적 능력보다는 음악적 능력에 따른 이해와 창조적 표현에 대한 관심도에 따라 그 정도가 다르다. 즉흥연주를 하기 위해서는 기술적인 면도 수반이 되어야 하지만 음을 이용한 무한한 표현 가능성의 깨달음과 자신의 음악적 감정을 나타내 보고 싶은 욕구가 주가 되어 즉흥연주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재즈의 기원과 시대적인 변천사를 살펴보고 재즈의 즉흥연주에 있어서 기본적인 정의와 이론을 알아보겠다. 그리고 클래식 음악에서 즉흥연주의 역사적 배경과 흐름을 정리해 보고 초견, 시창 및 청음, 테크닉, 암보, 편곡을 통해 즉흥연주기법을 강화시키는 방법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 방과후학교의 유형과 학습몰입 정도에 따른 중학생의 방과후학교 교육만족도 차이

        신현아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방과후학교의 유형에 따른 학습몰입의 차이를 알아보고, 방과후학교의 유형과 학습몰입 정도에 따른 중학생의 방과후학교 교육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하면서 방과후학교 교육만족도에 대한 방과후학교의 유형과 학습몰입 정도의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지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연구결과와 논의를 통해서 얻은 요약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방과후학교의 특기․적성수업을 수강한 학생들이 교과수업을 수강한 학생들과 교과수업과 특기․적성수업 모두를 수강한 학생들보다 학습몰입 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방과후학교의 특기․적성수업을 수강한 학생들이 교과수업을 수강한 학생들보다 방과후학교 지도교사에 대한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몰입 정도가 높은 학생들이 학습몰입 정도가 낮은 학생들보다 방과후학교 교육과정, 지도교사, 교육시설 만족도가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방과후학교 교육만족도에 대해 방과후학교의 유형과 학습몰입 정도의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습몰입 정도가 높은 학생들에 있어서는 특기․적성수업을 수강한 학생들이 교과수업을 수강한 학생들보다 방과후학교 교육과정과 교육시설 만족도가 더 높았으나, 학습몰입 정도가 낮은 학생들에 있어서는 교과수업을 수강한 학생들과 특기․적성수업을 수강한 학생들 간에는 방과후학교 교육과정과 교육시설 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middle school student's after school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type and the degree of flow of after school.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including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a general characteristic of the study object, a general characteristic of the after school class, learning-flow scale, and after school satisfaction scal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e following :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arning-flow of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type of after school. That is, in the middle school, the students who take a course special-abilityㆍaptitude class showed higher learning-flow degree compared to both groups : one is the students who take only subject class and the other is the students who take both courses of special abilityㆍaptitude class and subject class. Second,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after school educational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after school that students chose. That is the students with special-abilityㆍaptitude class were more satisfied for after school instructors than the students with subject class.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fter school educational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learning-flow. The students with the degree of high learning-flow showed higher satisfaction in after school class curriculum, instructors, and educational facility than the degree of low learning-flow students. For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fter-school educational satisfa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type of after school class and the degree of learning-flow. Among the students who were high in learning-flow, the students with special-abilityㆍaptitude class were more satisfied with after-school class curriculum and educational facility compared to the students with subject class. On the other hand, among the students who were low in learning-flow,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oth.

      • Production of Gamma-aminobutyric acid by metabolically engineered corynebacterial strains

        신현아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1 국내석사

        RANK : 1855

        GABA (γ-aminobutyric acid)는 억제성 신경전달물질로서 발작 및 우울증 치료에 효과적이고 뇌 혈류개선, 산소공급 증가, 뇌세포 대사기능을 촉진시켜, 신경안정작용, 스트레스 해소, 기억력 증진, 혈압강하작용, 중풍과 치매 예방, 불면 해소, 비만 개선, 갱년기 장애 개선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결장암, 대장암세포의 전이 및 증식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도 보고되고 있다. 특히 GABA는 세계적으로 새롭게 각광받고 있는 기능성 물질로서 최근 웰빙(well-being) 문화와 관련해 건강기능성 식품 소재로 각광받고 있다. GABA는 glucose가 glutamate metabolism에 의해 L-glutamate로 합성되고, L-glutamate가 decarboxylse(GAD)와 반응하여 합성된다. 이와 같은 합성 과정을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L-glutamate를 많이 생산하는 상업 균주인 Corynebacterium glutamicum HH09 균주를 이용하여 GABA를 생산하도록 균주를 개발하였다. 또한, 대량 생산 시 GABA의 고 역가 생산을 위한 최적의 발효 조건을 찾고자 하였다. 우선, GABA생산을 위한 균주 개발을 위해, GABA로부터 succinate semialdehyde로 conversion하는 주요 enzyme 관련 유전자인 gaba-t gene을 homologous recombination원리를 이용하여 제거하였다. 이를 통해 gaba-t gene 이 knock out된 균주를 얻었다. 이를 Corynebacterium glutamicum HH104라 명명하였다. 모 균주인 Corynebacterium glutamicum HH09의 경우 L-glutamate로부터 GABA생산을 위한 gad gene이 없다. 따라서 다음 단계로, 다른 여러 균주로부터 gad gene을 얻어 다양한 vector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vector를 이용하여 flask culture를 한 결과, potato-tomato chimeric GAD gene을 이용한 pClik5aMCS Psod SL_GAD plasmid를 transform한 재조합 균주가 GABA를 12.12 g/ℓ 로 가장 많이 생산하였다. pClik5aMCS Psod SL_GAD plasmid를 gaba-t gene이 knock out된 HH104에 transform하여 GABA의 고 생산을 위한 재조합 균주인 Corynebacterium glutamicum HH105를 개발하였다. GABA의 대량 생산 시 최적조건을 개발하기 위해 5 ℓ 발효조를 이용한 발효를 진행하였다. GABA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전구물질인 MSG가 충분히 생산되어야 하므로 기존의 MSG 생산조건으로 발효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모 균주인 Corynebacterium glutamicum HH09는 발효 시작 51시간 경과 결과, glutamic acid 263.80 g/ℓ, GABA 0.0 g/ℓ 생산하였으나 GABA생산을 위해 개발한 재조합 균주인 Corynebacterium glutamicum HH105의 경우, 발효 시작 87시간 경과 결과, glutamic acid 28.58 g/ℓ, GABA 131.52 g/ℓ, 를 생산하였고, yield는 0.303으로 관찰되었다. 상기 결과에서 glutamic acid의 생산을 줄이면 더 많은 GABA를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여 glutamic acid생산을 줄일 수 있는 발효 배지 개발을 진행하였다. Cell permeability에 영향을 주는 biotin은 그 농도에 따라 cell내의 amino acid의 secretion정도가 결정된다. 이미 glutamate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cell membrane permeability 를 증대시키는 방법들을 고안하여 생산에 적용하고 있으며, biotin농도에 따른 amino acid 생산이 달라지는 것에 대한 연구 보고가 있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glutamate 생산성을 높이는 연구와 반대로 L-glutamic acid가 secretion되지 않고, 세포 내에 머물며 GAD효소와 충분히 반응하여 GABA로의 conversion 효과를 증대시키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이유로, cell wall synthesis에 영향을 주는 biotin을 공급하여 cell membrane permeability를 낮추고자 하였다. GABA는 L-glutamic acid보다 분자량이 작아 biotin이 첨가되더라도 세포 밖으로 secretion될 것으로 사료되어 biotin을 첨가한 배지를 이용한 발효를 진행하였다. Biotin을 100 ㎍/ℓ 공급한 결과, 발효 시작 108시간 경과 시점에서 glutamic acid는 1.82 g/ℓ, GABA 162.80 g/ℓ를 생산하였고, yield는 0.33으로 관찰되어 기존 배지에서보다 GABA생산의 22.7%, yield 8.9% 향상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검단리문화권의 적색마연토기 연구

        신현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55

        This study was written to examine the development patterns of Red Burnished Pottery in the Geomdan-ri Cultural Area and to infer the use and meaning of Red Burnished Pottery in abandoned residences. Until now,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Burnished Pottery culture from a macroscopic perspective, focusing on the Songguk-ri Cultural Area, and research has been conducted focusing on tomb rather than dwelling site. Based on this awareness, the Red Burnished Pottery excavated in the Geomdan-ri Cultural Area was comprehensively reviewed through the types and location of the excavation. First, the forms and detailed properties of Red Burnished Pottery were classified, and the Red Burnished Pottery was divided into one to five periods through dwellings and graves, artifacts that excavated together. Next, the amount of excavation by form was reviewed, and which type was preferred by period. From the third period, all types of the Red Burnished Pottery were equipped, and some forms disappeared as they entered the fourth period. Through the excavation rate, it can be seen that the long straight necked jar with round-bottomed and short straight necked jar with round-bottomed were the most popular throughout the Geomdan-ri cultural area, and the large pottery of jar(Ong) and mounted pottery with short legs was also frequently used. In addition, the Geomdan-ri Cultural Area was divided into three regions: Ulsan, Gyeongju, and Pohang. And then the frequency of excavation of Red Burnished Pottery was identified for each region. In Ulsan, round-bottomed jar with a straight neck, jar(Ong), a deep bowl with straight mouth rim, and mounted pottery with short legs were mainly used. In Gyeongju, round-bottomed jar which have a long neck that extends outward, jar(Ong), shallow bowl in which the mouth rim is bent outward, and mounted pottery with short legs were excavated. In Pohang, flat-bottomed jar and round-bottomed jar, whose neck becomes narrower toward the mouth rim and mounted pottery with short legs were identified. Finally, the excavation patterns of Red Burnished Pottery identified in the discarded dwelling ― dwelling was destroyed by fire and the dwelling with stone mound ― were reviewed, and the function and meaning were estimated from a folkloric point of view and a livelihood point of view.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use by disposal pattern. It was confirmed that Red Burnished Pottery was excavated from the floor surface of a certain space between the pillar hole and the wall. It was interpreted that it was used as a ritual in the house at the time of live in there and as a ritual for migration before and after incineration, depending on the order of disposal of the dwelling. It was found that family rituals and migration rituals have the meaning of preventing misfortune in that they pray for the well-being and peace of the family. It can also be seen that Red Burnished Pottery in the dwelling with stone mound is mainly excavated from stone-stacked areas and from layers formed when stone was stacked. In this case, it was interpreted as a burial item. Therefore, the meaning of the Red Burnished Pottery differed depending on the context of the excavation, even if it was the same abandoned residence. 본고는 검단리문화권의 적색마연토기를 집성하여 시기별, 소지역별 전개 양상을 검토하고, 폐기주거지 내 적색마연토기의 용도와 의미에 대해 살펴본 연구이다. 그동안 마연토기문화는 송국리문화권을 중심으로 거시적인 관점에서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주거지보다는 분묘에 초점을 두어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여기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검단리문화권 내에서 출토된 적색마연토기를 기종과 출토 위치 등을 통해 총체적으로 검토하였다. 먼저, 적색마연토기의 기종과 세부 속성을 분류하고, 출토 유구와 공반유물을 통해 적색마연토기를 1기~5기로 편년하였다. 다음으로 기종별 출토량을 검토하고, 시기별로 어떠한 형식이 선호되는지 확인하였다. 3기부터 적색마연토기의 모든 기종이 갖춰지고 일부 기종은 4기에 들어서면서 소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출토율을 통해 검단리문화권 전체적으로는 경부 직립의 원저장·단경호가 가장 유행하였으며, 옹과 단각의 대부토기도 자주 사용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검단리문화권을 울산·경주·포항 세 지역으로 세분하고, 지역별로 기종별 출토 빈도를 확인하였다. 울산에서는 경부 직립의 원저호, 옹, 직립구연의 심발, 단각의 대부토기가 주로 사용되었다. 경주에서는 경부 외경의 원저장경호와 옹, 단각의 대부토기, 외반구연의 천발이 높은 출토율을 보였다. 포항에서는 경부 내경의 평저호와 원저호, 단각의 대부토기만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화재 및 적석 폐기주거지에서 확인된 적색마연토기의 출토양상을 검토하고, 민속학적 관점 및 생업경제적인 측면에서 용도와 의미를 추정하였다. 그 결과, 폐기양상별로 용도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화재주거지는 주혈과 벽가 사이의 바닥면에서 적색마연토기가 출토됨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출토양상을 주거지 폐기 순서와 연관시켰다. 이에 따라 적색마연토기는 거주 당시에는 가내의례용으로, 소각 직전과 직후에는 이주의례용으로 이용되었다. 더 나아가 가내의례와 이주의례는 가정의 안녕과 평안을 기원한다는 점에서, 辟邪의 의미를 가졌을 것이다. 또한 적석주거지는 적석부 내·외 적석층에서 적색마연토기가 주로 확인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부장품으로 사용된 것이다. 따라서 적색마연토기는 같은 폐기주거지라도 출토 맥락에 따라 의미에 차이가 있었다.

      • 도시관광요소로서 가로경관과 보행환경에 대한 연구 : 명동 관광특구 일본인관광객을 중심으로

        신현아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55

        관광은 부가가치가 높은 신 성장동력 산업으로 세계 각국은 관광 진흥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도시관광은 기존의 시설들과 자원을 활용할 수 있으며 별도의 투자가 필요 없다는 측면에서 그 중요성이 높이 평가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전체적인 관광시장은 밝지 못한 편이나 서울의 외래관광객 방문객, 관광 수입 등을 비교적 높아 도시관광에 좀더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도시관광을 형성하고 있는 요소들 중 가로경관과 보행환경은 방문객에게 관광지 전체의 인상을 심어주는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특히 보행 관광을 통해 여유롭게 관광을 즐기는 여행 수요가 늘어감에 따라 가로경관과 보행환경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따라서 도시 관광의 진흥을 위해서는 가로경관과 보행환경을 도시관광요소로 보고 외래관광객의 입장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서울은 우리나라의 수도이자 최대의 도시관광 목적지이다. 서울 중에서도 명동은 외국인 관광객이 가장 많이 방문하고, 가장 인상깊은 방문지로 꼽는 곳이다. 관광객들은 이곳에서 주로 쇼핑을 즐기며 이러한 관광은 보행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명동은 2006년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하였으며 그 배경에는 관광특구로서 특별관리의 필요성도 포함된다. 도시관광, 가로경관과 보행공간, 지구단위계획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명동의 도시관광요소를 ‘기본요소’, ‘관광 환경적 요소’, ‘도시 환경적 요소’로 나누었으며, 가로경관과 보행환경은 ‘도시 환경적 요소’에 포함된다. ‘가로경관’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는 ‘건축물 요소’, ‘보도요소’, ‘가로시설물 관련요소’ 등 3가지로 크게 나누어진다. 또한 ‘보행환경’은 ‘안전성 요소’, ‘연속성ㆍ접근성 요소’, ‘편리성 요소’로 나뉘며 이들은 각각 좀 더 세부적인 요소들로 구성된다. 이렇게 선정된 요소들을 중심으로 설문지를 작성하여 명동은 방문한 일본인 방문객에게 명동관광특구의 가로경관과 보행환경에 대해 중요도-만족도 조사(IPA)를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였다. 조사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명동 관광특구의 가로경관에 대해서는 과반수 이상이 만족하였으나 보행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다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래관광객들은게 관광지의 가로경관과 보행환경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으며 이들은 ‘여행만족도’에 영향을 준다고 생각하고 있다. 셋째, 가로경관과 보행환경 구성요소들에 대한 만족도 평균은 척도의 중간값인 ‘보통’(3점)과 ‘만족’(4점) 사이의 값이다. 넷째, 가로경관요소의 IPA 결과 우선 시정이 필요한 요소는 ‘옥외광고물의 개수’, ‘가로수의 양’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보행환경요소의 IPA 분석 결과 우선 시정이 필요한 요소는 ‘횡단보도’와 ‘안내시설ㆍ표지판’, ‘보행자 편의시설’, ‘바닥포상상태’로 판단된다. 가로경관과 보행환경은 새로운 도시를 방문한 여행객들에게 그 도시와 직접 접촉하게 하는 매게체로 도시관광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또한, 여행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큰 요소인 만큼 순차적인 개선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A tourism is a higher value-added industry of new growth motive, and all of the world make an effort very much for tourism promotion. Particularly, urban tourism can make the use of given facilities and resources. And the importance is highly evaluated in an aspect of unnecessary additive investment. An overall tourism of Korea isn't bright. But because foreign tourist of Seoul and tourism income are relatively high, we should be concerned about urban tourism more. Streetscape and pedestrian environment among formative elements of urban tourism can be important elements that impress visitors with the whole tourism urban. Specially, according as visitors that leisurely appreciate an urban on foot tourism increase, the importance of streetscape and pedestrian environment is rising up better and better. Therefore, for the promotion of urban tourism, we should think streetscape and pedestrian environment is urban elements, and understand from a position of foreign tourist. Seoul is the capital of Korea and the greater destination of urban tourism. The most foreign tourists visited in Myung-dong among Seoul areas and they selected the best impressive tourism area. Tourists enjoy shopping in this place and this tourism is accomplished on foot. Myung-dong devises district unit planning in 2006 and as special tourism zone in the background include the necessity of especial management. Urban tourism, streetscape, pedestrian environment and district unit planning are compositively investigated, they also classify urban tourism element of Myung-dong into two elements: 'Basic element' and 'Tourism environment element'. And street scape and pedestrian environment is included in 'Urban environment element'. The formative elements of Streetscape is generally divided into three elements: 'Building', 'Sidewalk' and 'Street furniture'. Pedestrian environment is also divided into 'Safety', 'Continuity and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Each these elements more consist of the details. A survey questionnaire made by these analyzed elements. I gave one to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IPA) on Streetscape and pedestrian environment of Myung-dong special tourism zone. And then I conducted the survey questionnaire to japanese visitors in Myung-dong. An analyzed result of questionnaire is as follows. The first, satisfaction concerning streetscape of Myung-dong special tourism zone indicate more than half. But satisfaction regarding pedestrian was a little low. The second, foreign tourists think that streetscape and pedestrian environment is very important and they think that these elements affect their tourism satisfaction The third, satisfaction average with regard to streetscape and pedestrian environment is value between 3(normal) and 4(good) in intermediate value of scale The fourth, overriding correction elements in IPA's analyzed result of streetscape element indicated 'the number of outdoor billboard' and 'the number of trees lining a street'. The fifth, overriding correction elements in IPA's analyzed result of pedestrian environment element are 'Crosswalk', 'Information booth and Sign', 'Convenient facilities for pedestrian' and 'Paved status of side walk'. Streetscape and pedestrian environment are a very important element in urban tourism as intermediation connecting the urban for tourists visiting new urban. Also, We will gradually need to make an effort of correction as important as they affect tourism satisfaction of foreign touris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