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Erte의 fashion illustration(1915-1925)을 활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신하영 弘益大學校 産業美術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20세기 전반기의 세계적 패션 일러스트레이터(Fashion Illustrator)인 에르떼(Erte':1892-1990)의 패션 예술세계를 종합적으로 소개하고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논문은 에르떼의 폭 넓은 활동 영역 중에서도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 분석의 초점을 맞춘다. 에르떼는 세계적인 패션잡지인 Haper's Bazar와 1915년에서 1936년에 걸쳐 전속 계약을 맺고 수많은 일러스트레이션 작품을 동 잡지에 게재하였다. 1915-25년 기간 엔 주로 일반 소비자를 위한 의상 관련 일러스트레이션 작품을 발표하였고, 1926-36년 기간에는 일반 소비자들이 소화해내기 어려운 환상적 의상과 각종 생활 소품에 관련된 일러스트레이션 작품을 발표하였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에르떼가 1915-25년 기간에 발표한, 소비자를 위한 의상 관련 일러스트레이션 작품을 분석의 핵심 대상으로 삼았다. 그 이유는 첫째, 에르떼의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은 에르떼가 가장 정력적으로 활동하던 시기에 심혈을 기울였던 영역이다. 따라서 에르떼의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 대한 분석을 통해 에르떼의 패션 예술세계의 정수를 읽어낼 수 있다. 둘째, 에르떼가 Haper's Bazar(1915-1925)에 게재한 일러스트레이션 작품들은 지금까지 잘 보존 되어 있는 데다, 이후의 연구자들에 의해 끊임없이 편집·정리되어 왔기 때문에 접 근이 용이하였다. 에르떼의 패션 예술세계는 너무나 폭이 넓어 쉽게 그 특징을 정리하기 어렵지만, 대체로 다음과 같은 주요 특징이 확인된다. 첫째, 에르떼의 작가주의는 대중성, 소비 가능성보다는 예술성에 더 치중하였다. 에르떼의 이러한 면모는 대중적 수용 가능성이란 측면에선 에르떼의 한계로 나타났지만, 후대의 수많은 패션 디자이너들에게 예술적 영감을 제공하였다. 둘째, 에르떼는 한 두 가지 스타일을 고집하지 않고 다양한 미술, 패션 조류를 수용하여 독특한 방식으로 결합시켰다. 에르떼의 작품들 에는 예술성과 실용성, 이국취향과 역사주의 등이 조화롭게 결합되어 있다. 셋째, 에르떼의 작품들은 이질적인 패션조류들을 결합하여 새로운 맛을 창조하는 '칵테일효과'를 내는 혼합주의 성향이 나타났다. 넷째, 에르떼는 자신의 작품들 속에 파격 과 유머, 눈속임법 등 다양한 유희적 요소를 풍부하게 내장시켰다. 이는 에르떼가 평생 추구한 유미주의와도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 끝으로, 에르떼의 끊임없는 과감한 실험성은 패션의 모든 영역에서 자신의 의도를 가장 잘 구현해내기 위한 창작 정신이었다. 그래서 에르떼는 동 시대의 모든 사회적, 문화적 변동을 수용하여 이를 자신의 독자적 스타일로 재구성해내기 위해 실루엣, 재단, 디테일, 색상, 소재, 장신구에 이르기까지 의상의 모든 영역에서 과감한 실험을 계속했다. 이는 에르떼의 작품생활 전체에 일관되게 나타나는 완벽주의, 장인정신의 반영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의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을 통해서 후대의 패션 디자이너들에게 던져주는 고 주된 교훈은 첫째, 패션 디자인은 고도의 예술이며, 따라서 패션 디자이너는 고도의 훈련과 창조적인 장인(匠人)이 되어야 한다는 평범한 교훈을 제시하였다. 둘째, 패션 디자인은 무궁무진한 발전, 변화 가능성을 갖고 있다. 그 이유는 패션 디자인 은 사회변동과 미술 등 예술계의 다양한 조류를 수용하고 결합시키며 변화시킬 수 있는 폭 넓게 열린 장르이기 때문이다. 다만 에르떼의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서 발견한 한 가지 아쉬운 점은 에르떼의 작가주의적, 유미주의적 취향이 너무 강하여 소비대중으로부터 폭넓은 지지를 얻기에는 어려운 면이 있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에르떼의 철저한 작가주의적 정신과 실험을 계승하되 이를 대중의 수요와 더 긴밀히 결합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내는 것은 오늘날의 패션 디자이너들의 주된 과제가 되어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generally introduce and analyze the fashion world of the world class fashion illustrator in the early term of the 20th century (Erte´: 1892-1990). Erte´ broke fresh ground for original art world through active work activity for all areas. He constructed so original style as to create the term labeled ‘Erte´esque’. Of his extensive activities, this article focuses on his analysis on fashion illustration. Entering into an exclusive contract with the world famous fashion magazine, Haper´s Bazar over 1915 and 1936, he carried lots of illustration works at the same magazine. He published clothing related illustrations for general customers during 1915-25, and fantastic clothing fantastic and difficult for general customers to understand and life small tools during 1925-36. This article makes the core analysis subject clothing related illustration works for customers published during 1915-25. The reason for concentrating on fashion illustration of Erte´'s wide range of fashion art world is as follow. First, fashion illustration is an area he put his heart and soul to at the age he acted most energetically. Thus we can read the essence of this fashion art world through his analysis to fashion illustration. Second, the illustration works carried at the Haper's Bazar have been preserved until now, and its access is easy as they are well edited and adjusted by subsequent researchers. Erte´ generally absorbed these time movements and applied them to his fashion art works. His fashion art world is too wide for adjustment of his features, but following major characteristics are confirmed. 1) Authorial spirit : Erte´ put stress on artistry over popularity and consumption. This phase of Erte´'s was revealed as his limit in the respect of popular acceptability, but it provided artistic inspiration for many fashion designers in the coming generation. 2) Mixing principle: Without insisting one or two styles, he accepted various art, fashion trends and combined them to peculiar method. At his works, artistry and practicality, exotic taste and traditionalism are harmoniously combined. His works produces 'cocktail effect' combining alien fashion trends and creating new taste. 3) Playing principle: In his works, various play factors such as exception, humor, consumer deception are equipped. This is related estheticism he pursue for his life. 4) Experimental principle: He made a bold attempt for embodying his intention at all fashion areas. He continued to boldly experiment at all areas of silhouette, cutting, details, color, texture and accessory to accept all social and cultural shifts and re-compose them as his unique style. This can be said to be the reflection of perfectionism and craftsmanship uniformally revealing over his work life. The lesson of his fashion art world cast to the subsequent of fashion designers are as follows. First, fashion design is an advanced art, so fashion designers should be highly trained and creative masters. Second, the everlasting development changeability of fashion design. Fashion design is a wide open genre to accept, combine various trends of art circles such as social change and art. One regretable aspect found in Erte´ is that his authorial and aesthetic taste is too strong to get wide support from the general public. Succeeding to his thorough authorial spirit and experiment but finding out a method to combine it to the public demand is a major task today's fashion designers should pursue.

      • 반응표면법기반 시뮬레이션 방법을 통한 내압 방폭 엔클로저 설계에 관한 연구

        신하영 동아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Manufacturing, installation, and repair of explosion proof apparatus which are used in flammable atmosphere is strictly regulated by law. Therefore, a quality management system about explosion-proof manufacturing should be confirmed with the certification of explosion proof apparatus. Among explosion-proof devices, an explosion-proof enclosure can overcome pressure of internal explosion due to the fact that internal explosion may not have an effect on external flammable atmosphere. Consequently, safety and standard requirements of the explosion-proof enclosure should be satisfied and identified in the many industrial situations. In order to avoid failure of explosion-proof certification, explosion-proof enclosure manufacturing companies have been suffered a loss by an excessive design. Although, the companies can get a safety improvement by an excessive design, they can lose industrial competitiveness based on high manufacturing costs. Therefore,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optimize thickness of explosion-proof enclosure for high safety and low manufacturing cost. First of all, the experiment is designed by using design of experiment (DoE) to identify the functional relationship between input variables and their associated output responses. Second, structure interpreting simulation is conducted to obtain results and to reduce experimental costs. Third,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is used to estimate the functional relationship as well as to obtain optimal setting of explosion-proof enclosure. Next, a design space is established to find input factor settings that satisfy the product quality by using an overlay contour plot based on estimated functions. Finally, a comparative study between simulation results and optimal settings is performed by using the prototype of an explosion-proof enclosure. 폭발 분위기에 사용되는 방폭전기기기 제조‧설치‧보수는 법으로부터 엄격히 규제되어 있다. 따라서 방폭전기기기 인증과 함께 방폭 제조 관련한 품질경영시스템도 반드시 인증 받아야 한다. 방폭전기기기 중 내압 방폭 엔클로저는 내부 폭발의 압력을 견딜 수 있어야 한다. 이런 내부 폭발이 외부의 폭발 분위기에 영향을 미쳐서는 안 되며 따라서 내압 방폭 엔클로저는 방폭 규격의 요구조건이 충족되어 안전성이 입증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내압 방폭 엔클로저 제조기업들은 방폭 인증에서 실패하지 않으려고 필요이상의 과설계로 인한 원가 손실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내압 방폭 엔클로저 과설계는 안전성 향상은 가져올 수 있으나 제품의 제조비용 상승으로 경쟁력을 잃을 수 있는 위험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내압 방폭 엔클로저 외벽 두께를 최적화하여 높은 안전성과 낮은 제조비용을 실현하기위한 최적 설계를 수행하고자 한다. 먼저 내압 방폭 엔클로저 크기 및 재료의 응력 정보를 토대로 실험계획법(Design of Experiment, DoE)을 이용하여 실험을 설계하고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자료를 도출한다. 그리고 도출된 자료를 바탕으로 반응표면법(Response Surface Design, RSM)을 이용하여 입력변수와 연관된 출력응답 사이의 기능적 관계를 추정한다. 이렇게 추정된 자료를 바탕으로 회귀식과 디자인 스페이스를 도출한다. 디자인 스페이스의 결과를 바탕으로 시료를 제작하여 확인 시험을 실시한 결과 최적화된 내압 방폭 엔클로저는 압력에 따른 변형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무게는 약 11 % 감소하였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방폭인증기관(ExCB : IECEx Certification Body)에 인증을 의뢰하여 방폭 인증을 취득함으로써 방폭 규격의 요건의 충족과 안전성을 입증 받았다. 따라서 내압 방폭 엔클로저 방폭 규격의 요건 충족과 안전성 확인으로 유효성이 입증되었으며, 제조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원자재 비용을 줄이는 최적 설계를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산업현장에서는 내압 방폭 엔클로저의 다양한 크기 및 재료가 요구된다. 따라서 다양한 크기 및 재료의 입출력 함수관계를 도출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70, 80년대에 활동한 여성 포크싱어들에 대한 고찰

        신하영 청운대학교 산업기술경영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여성 포크 가수들에 대한 연구이다. 당시의 시대적 상황과 배경을 기반으로 대중매체들의 기록들을 발췌하여 작성하였다. 대중문화는 당시의 사회적인 주요현상을 모티브로 하여 생겨나기 때문에 시대적 배경을 첨부 하였다. 해방 후 미군부대를 중심으로 미8군 등의 부대 내 클럽음악에서 자연스럽게 포크 음악이 나타나게 된다. 포크가수가 나타나는 시기를 보면 유신정권과 사대주의의 영향으로 여성의 사회 문화적 참여가 어려운 시기였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여성으로서는 드물게 포크 가수의 길을 걸었던 여성 음악가들을 고찰 하였다. 1960년 4.19 혁명과 5.16 군사 쿠데타가 있었다. 민주화의 과제는 근대화의 발전 논리와 냉전 체제의 안보 논리에 휘말려 1960년대는 모순과 갈등의 시대였다. 이러한 시대 상황으로 인해 젊은이들은 격렬하게 기성사회와 정치를 비판 하고 있었다. 당시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젊은이들에게 퍼져있던 음악은 사랑과 낭만을 노래한 순수음악들과 저항의 항쟁 음악들이 였다. 자유로운 가사와 표현이 가득한 팝송을 번안해 부르게 되면서 한국 가요계에도 포크 음악이 태동하기 시작하였고 스스로 표현 하고자 하는 시대적 필요에 의해 직접 가사와 멜로디를 만들고 노래하는 ‘싱어 송 라이터’가 이때부터 등장하게 되었다. 군사정권 당시에 발표된 대부분의 포크 음악은 금지곡에 묶였다. 이런 연유로 포크 음악은 제도권에서 발 부칠 곳이 없어졌다. 이렇게 시작된 소위 언더그라운드 운동은 군사 정권의 감시와 검열 속에서도 질적 양적 팽창을 가져왔고 많은 가수들이 동참 하였다. 김민기로 부터 비롯된 포크 음악은 사회적 모순과 불의를 고발하는 저항과 해방의 염원을 토해냈다. 격동의 역사 속에서 포크음악은 불의에 항거하는 표현 수단으로써 여타 다른 음악들과 는 다른 의미를 갖는다. The following thesis is a study on female folk singers. It was written based on an excerpt of mass media records from the historical situation and background at the time. The historical background was added because mass media was created by the main social events as a motive at the time. After Korea's liberation, folk music naturally became popular, mainly at the U.S. Army base, within a club at a field army called Eighth United States Army (EUSA). Looking at the period at which folk songs were brought in, it was a time that was difficult for women to participate in social or cultural affairs due to the Yushin regime and the effects of flunkeyism. Accordingly, this thesis is a contemplation upon female musicians who as women rarely took on the journey of becoming folk singers at such a time. In the 1960s, the 4.19 Revolution and 5.16 Military Coup took place. The real essence of democracy was caught up in the logics of democracy development and the Cold War System's security policies. Hence, the 1960s was a period of contradictions and conflicts. Due to the historical situation, college students strongly criticized the established society and politics. At the time, popular music among the young included genuine music that sang about love and romance and rebellious music. As pop songs that were full of expression and free lyrics were being sung at the time, folk music started to pave its way into the Korean music industry as well. “Singer songwriters” who made their own lyrics and melodies out of a need to express at such a historical setting started to appear at this time period. Under the military regime, most folk songs that were released at the time were banned as forbidden songs. For this reason, folk music did not have room under this regime. The underground movement that had begun because of such events continued to grow in quantity and quality, in which many singers took part in even under the surveillance and censorship of the military regime. Folk music, which was started by Kim Mingi in Korea, desperately expressed the resistance to social contradictions and injustice, and the desire for liberation. In the midst of turbulence, folk music was a way to express defiance against injustice which is why it takes on a different meaning compared to other genres of music.

      •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신하영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n Career Identit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in preparation of career through the application of a Career Prepa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I formed following research issues. First, Does a Career Prepa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have an effect on improving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Career Identity? Second, Does a Career Prepa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have an effect on improving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ird, Does a Career Prepa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have an effect on improving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Career Preparation Behavior? Research Hypotheses based on these research issues are set up as following. First, training through Career Prepa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will enhance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Career Identity. Second, training through Career Prepa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will enhance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ird, training through Career Prepa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will enhance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Career Preparation Behavior. To verify these hypotheses, 20 volunteer students, who are first graders in H-specialized high school located in Nam-myeon, Yangju-si, Kyeonggi-do, were randomly separated into two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ith 10 students in each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carried out the Career Prepa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in totally 10 sessions for about 60-90 minutes over 6 weeks. And the control group was not treated at all.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I examined both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before and after using an Career Indentity Scal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cale. To verify these hypotheses,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got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by use of SPSS 20.0 program. The ANCOVA verification was carried out on the difference by groups on the condition of the variabl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of experimental group undergoing Career Prepa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statistically show a meaningful improvement of Career Identity. So, the Career Prepa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has an effect on the increase of Career Identity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Second, students of experimental group undergoing Career Prepa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statistically show a meaningful improvemen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o, the Career Prepa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has an effect on the increase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Third, students of experimental group undergoing Career Prepa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statistically show a meaningful improvement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o, the Career Prepa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urth, students of experimental group kept a high level of Career Ident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fter testing. So, the Career Prepa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has an effect to keep a level of Career Identit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As these finding seen, the Career Prepa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turned out effective in enhancing Career Identit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특성화고등학교 진로교육 현장에서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을 진로지도 하는 데에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학생들이 자신에게 적합한 진로를 결정하고 준비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함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정체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위의 연구 문제를 바탕으로 한 본 연구의 연구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적용은 특성화고등학생의 진로정체감을 향상시킬 것이다. 둘째,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적용은 특성화고등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것이다. 셋째,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적용은 특성화고등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향상시킬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경기도 양주시 남면에 위치한 남녀공학 특성화고등학교 1학년 학생 가운데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가하기를 희망하는 20명을 각각 10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을 측정하는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 10명을 대상으로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총 6주 동안 10회기에 걸쳐 한 회기 당 60분에서 90분 이내의 시간으로 실험처치를 하였고, 통제 집단은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실험 집단의 실험 처치가 끝난 후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에 사전검사와 동일한 검사도구로 사후 검사, 추후 검사를 실시하여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검사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20.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에 어떤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검사 결과를 공변인으로 통제하여 사후 검사에 대한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또한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 종료 후 프로그램의 지속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추후 검사를 실시하고, 사후 검사와 추후 검사에 대해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은 본 연구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처치한 후 실험집단의 진로정체감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것으로 보아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정체감을 향상시키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둘째,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처치한 후 실험집단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통제집단 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것으로 보아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셋째,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처치한 후 실험집단의 진로준비행동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것으로 보아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향상시키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넷째,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종료된 후 실험집단의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수준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거나 유지되었다. 이것으로 보아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수준을 향상시키는 데 지속적인 효과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 미루어볼 때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을 향상시키는 데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 Enabling sound-based navigation for drone landing

        신하영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Precise guidance of the drone to the desired location is one of the most challenging issues. Currently, drones rely on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to navigate for landing. However, many problems reside in GPS. For example, the innate error of GPS may complicate the exact navigation to the desired location. Also, if the drone cannot use GPS due to environmental factors, it may not find the landing pad. Although many researches are being conducted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GPS, we need the another system for landing guidance of the drone, also handling a situation when the use of GPS are impossible. In this thesis, we design and implement the sound-based navigation system for drone landing. A unique advantage of our proposed system is that it can confirm a drone’s direction using a sound source. The frequency shift caused by the relative velocity between the observer and the sound source, Doppler’s effect, is used to find the direction. With a basis of the above phenomenon, we devise an algorithm that enables navigation and landing. Our experiment’s results show the directionality to the landing pad can be found. In this thesis, the architecture of the entire system, the description of the algorithm, and the evaluation of the system are elaborated.

      • 신활자본 음식조리서의 음운 연구

        신하영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신활자본 음식조리서는 20세기초에 납활자로 발간된 음식조리서로, 조선후기의 전통 음식 조리법들이 수록되어 있음은 물론, 서양 음식 조리법들도 등장한다. 방언사적 측면에서는, 20세기 초의 서울 방언을 반영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본고에서는 신활자본 음식조리서에 나타난 표기법과 음운 변화에 대해 서술하였다.

      • 서울 남산 경계부의 환경특성에 관한 연구

        신하영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도시화로 인해 도시 내 산지에 다양한 개발 사업이 시행됨에 따라 산지를 훼손하고 새로운 공간이 들어서면서 인접한 도시공간과 바로 면하게 되는 산지 경계부가 발생 하였다. 이러한 경계부에서는 주변지역을 고려하지 않은 단편적인 개발사업의 면모 가 극적으로 나타날 것이며, 관계성 없는 수많은 경계면으로 도시 안에 파편적으로 존재할 것이다. 그러나 도시 내 산지 경계부를 대상으로 도시와 도시 내 산지의 실증 적인 공간 관계를 밝혀내는 것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이와 관련한 연구가 수행되지 못하는 한계를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 내 산지 경계부의 물적 환경 실태를 분석하고 유형화함으로써 경계부의 의의와 작용을 상세히 기술하고자 하였다. 특히, 서울의 중심부에 위치한 ‘남산’ 경계부에서 나타나는 환경특성들은 현대 도시공간에서 발현되고 변화해온 대 표적인 공간이라고 볼 수 있기 때문에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는 크게 이론적 고찰, 현장연구, 분석 및 해석으로 나눠서 진행하였다. 이론적 고 찰에서는 대상지를 분석하기 이전에 ‘경계’에 대한 다층적인 의미와 가치를 파악하는 기 초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장연구는 문헌연구와 현장관찰조사로 나눠서 진행하였다. 전자 는 남산의 역사적인 변천과정을 남산 경계부가 변화하게 되는 배경을 총체적으로 분석 하고자 하였고, 후자는 이를 바탕으로 현재 남산 경계부의 물리적인 환경을 미시적으로 분석하고, 그에 따른 유형화를 통해 남산 경계부의 환경특성을 해석하고자 하였다. 남산 경계부는 크게 회현자락, 예장자락, 장충자락, 한남자락으로 공간적 범위를 나눠서 시계열적으로 조사하였고, 다음과 같은 변화의 양상을 파악할 수 있었다. 첫째, 회현자락에서는 일제강점기 조선신궁의 조성으로 남산의 원지형이 완전히 변형되었고, 이후 공간의 용도와 주체만 변경된 채 공간구성방식은 그대로 적용되어 현재까지도 영향을 주고 있다. 둘째, 남산의 구릉지형은 도시화로 인한 주택난을 해소하고, 홍수 등의 재해를 피 할 수 있었기 때문에 주거단지 개발을 위한 최적의 조건을 제공하였다. 필지의 규모 와 형태는 현재까지도 그 특징이 남아있다. 셋째, 도시의 확장으로 남산이 서울의 중심부에 위치하게 되면서 중심 시가지의 교 통 혼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교통의 길목으로써 이용되기 시작하였다. 넷째, 남산공원은 도시에서 아직 개발되지 않은 남겨둔 땅으로 여겨져 정부 주도의 잦은 공원 용지 해제로 남산 경계부 개발이 가속화되었고, 현재까지도 잠식시설이 여 전히 남아있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 남산 경계부에 잠식되어 있는 시설의 설립목적과 이후의 변화 를 통해 남산 경계부의 공간적인 특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현 잠식시설의 존속 기간이 평균 33년으로 ‘공공’을 위한 시설이라는 명목 하에 오랜 시간 잠식되어 있었다. 그 중 정치 · 군사적인 목적으로 설립된 시설들은 대부분 공공성이나 오락 · 편의성을 띠는 시설로 용도가 변경되었다. 둘째, 회현자락의 경우, 과거에는 국민 계몽교육을 주도하는 시설이 들어섰지만 이 후 시민들을 위한 공원의 역할이 중대되면서 오락 · 편의성의 성격으로 변하였다. 셋째, 장충자락에 위치한 문화시설은 과거에는 국민계몽의 성격을 띠었지만 현재 는 주체와 객체가 모두 시민이 되면서 개방적인 성격으로 변모하였다. 한편, 체육시 설들은 현재까지도 큰 변화 없이 존치되고 있다. Arc GI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표고 경사 향을 중심으로 현재 남산 경계부의 지형 환경을 조사하였는데 이를 통해 남산의 완만한 구릉지형 조건이 도시화로 인한 남산 경계부의 구조변화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경계부 의 물적 환경을 분석하여 경계부 환경특성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고자 토지이용에 따 른 경계의 물리적인 처리방식과 지형환경에 따른 시설물의 배치형태를 유형화하여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해석을 도출하였다. 첫째, 토지이용에 따른 경계의 처리방식 유형분석을 통해서 경계부의 훼손정도를 파악할 수 있었는데 이를 통해 현재 경계부가 기존의 지형환경을 무시한 채 얼마나 심각하게 훼손이 되었는지를 파악할 수 있었다. 둘째, 경계부 토지이용의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는 유형이 도로였는데 이는 경계부를 지 나가는 차량의 원활한 흐름을 중시하다보니 단편적인 경관을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셋째, 도시환경과 자연환경의 중첩되는 산지 경계부에서는 도시에서 산지로의 물리적 · 시각적 접근성의 기회를 늘리기 위한 장치로 ‘공원’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다. 도시 내 산지는 도시공간과 밀접한 관련성을 갖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상호작용하 면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공간적 관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에 대해 남산 경계 부를 대상으로 실증적인 분석을 했다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앞으로 도시의 새로운 변화와 함께 남산 경계부는 또 다른 변화를 겪을 것이다. 따라서 이에 따라 기존의 남산의 역사적 변천과정 연구의 뒤를 이어 현재 남산 경계부의 현황을 더해감 으로써 시간의 흐름에 따른 자료 축척의 의미를 동시에 갖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