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公務員의 昇進制度에 관한 硏究

        신태철 水原大學校 行政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Problem related to the promotion is one of the biggest confronting issues in the society of civil servants. From the personal standpoint, promotion is followed by increments of responsibility and salary as well as fulfills the economical and social desires by the improvement of a position. Furthermore, from the organizational standpoint, it is the key method to achieve the goal of a organization by holding the promising personnel. In this paper, the meaning and current system of promotion for the civil servant were examined, and also problems of the current system of promotion and the renovation measures against the problems were suggested. 1. The ratio between the external recruit through the new and special employments and the internal promotion might be appropriately balanced. The external recruit and internal promotion should be flexibly operated in consideratin of the social condition, administrative demand, and piling-up of promotion, which might be the way to insure the promising personnel outside as well as raise the spirits of civil servants inside. 2. The piling-up of promotion can be alleviated by the following reform measures. Firstly, it can be considered of increasing the number of rank. Secondly, leaving the current 9 rank system as it is, increase of the number of minimum service year for the promotion and the system of the maximum promotion year for each rank can be adopted for alleviating the promotion difference among the places. Thirdly, the system of competitive promotion of civil servants in the 5th rank might be activated Fourthly, the stagnation of personnel movement can be prevented by enlarging the personnel exchange among the places. 3. The criteria of the promotion might be reformed as follows. Firstly, the objective and detailed criteria for the efficiency rating system might be provided by reforming the current system. Secondly, the rate of distribution of marks might be controlled against each applicant for the promotion. Thirdly, the current system of educational training used to be utilized as the mean of promotion might be renovated to culture knowledge and skill, which is the original purpose of the educational training. Fourthly, the periods of temporary rest or suspension from office and position revocation might be reflected in the personal career, which is not currently adopted. In addition, influx of promising non-governmental personnel can be activated by admitting the non-official career highly related to the public office as the working career.

      • 웨슬리 속회를 통한 참된 공동체 회복에 관한 고찰

        신태철 협성대학교 신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감리교의 창시자인, ‘존 웨슬리’(John Wesley 1703-1791)의 감리교 속회에 관하여 살펴보고, 이에 비추어 참된 교회 공동체를 이루기 위하여, 속회가 왜 필요한지에 관한 당위를 모색하는 것이, 이번 연구의 목적이다. 교통과 통신의 발달로, 지구촌이라 불리는 현대 사회는, 그 어느 때 보다, 사람과 사람간의, 관계성을 중요시 하는 시대이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이 시대는 관계가 상실된 시대라고, 말하는 이들도, 적지 않다. ‘페이스 북’(Face Book)과 ‘스마트 폰’(Smart Phone)으로 대표되는, ‘소셜 네트워크’(Social Network)는, ‘사이버’(Cyber)공간에서, 사람들 간의 관계를 밀접하게 연결해 주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관계를, 현실에서 이어 가는 이들은 많지 않다. 결국 사람들 간의 관계성은 약화되고, ‘개인주의’는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풍조로 파생된, ‘이기주의’는 ‘인간소외’ 현상을 낳았다. 이러한 때에, 자신은 물론 가족과 친구, 그리고 직장의 동료와 이웃들 간의 관계성은 점차 약화되고 있으며, 교회 공동체의 관계성 역시, 약화되고 있다. 한국의 교회가 숫자는 늘었지만, 교인의 수가 정체하거나, 감소하는 현재의 추세가, 이러한 현실을 잘 반영해 주고 있다. 원래, 하나님께서 세상을 창조하신 목적은, 하나님이 세상을 하나 되게 해서, 자기와 더불어, 빛 가운데 있게 하려는 것이다. 따라서 하나님의 뜻을 따르는 교회 공동체는, 어둠이 그늘진 사회에서, 빛과 소금의 역할을 잘 감당해야 할, 사명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교회는, 18세기 영국 사회를 성령의 바람으로, 자기갱신과 사회갱신의 변화를 일으켰던, 웨슬리의 감리교 속회에 주목해 볼 필요가 있는 것이다. 속회는, 감리교회의 ‘성소’(聖所 Holy Place)이자, ‘핵심적 부분’(Essential Part)이다. 그리고 속회는, 감리교회를 다른 교회와 구분 짓는, 특성이 된다. 이러한 면에서 속회는, 감리교회의 치리에서, 중심부를 차지하고 있다. 이렇듯 속회를 중심으로, 다른 제도들이 모이고, 또한 제도들의 효력도, 속회로부터 파생되어 나아간다. 따라서 생명력 있는, 참된 교회 공동체로서 속회는, 감리교회의 가장 핵심적인 제도이다. 예컨대 속회는, 감리교회의 살아있는 유기체로서, ‘세포’(Cell)라 할 수 있다. 감리교회의 조직과 구조가, 그곳으로부터 계속 재생산되고, 발전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감리교회의 공동체에서, 만일 ‘속회’를 없애거나, ‘속회’의 기능이, 제대로 발휘되지 못한다면, 감리교회의 생명력 있는 성장과 조직은 파괴되고 말 것이다. 교회의 공동체성은, 이전과 달리, 익명의 출석교인이 다수인 교회에서는, 기대하기 힘들다. 따라서 이제는, 웨슬리의 속회 공동체와 같이, 관계성을 회복시키는 조직을, 교회에서 활성화해야 하는 것이다. 이는 곧 소그룹 중심의 공동체성을 강화하기 위한, 목회전략이기도 하다. 웨슬리는, 초대교회의 신자들의 친교를, 감리교 운동의 주된 모델로 보았으며, 그것을 통해, 양육과 성장을 도모하는 소집단의 모임이, 크게 필요하다고 믿었다. 교회의 공동체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먼저 그 안의 구성원들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역동적인 공동체로서의, 교회 모델을 개발하여야 하며, 이를 위하여, 속회를 강화하고, 속회 중심의 목회를 통해, 깊은 관계성을 형성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부부, 청장년, 청소년, 어린이, 전문인, 기능별 소그룹 등의, 다양한 속회 모델을 개발하고,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신약성서 시대의 가정교회에서처럼, 확고한 공동체적 영성을 지닌, 작은 교회가 강하다. 교인들과 교역자 간에, 그리고 교인들 간에, 친밀한 코이노니아가 이루어지고, 강한 공동체 의식을 가질 수 있는 최대한도의 숫자는, 아마도 150명 정도가 될 것이다. 하지만 공동체적 영성에 있어서, 본질적으로 중요한 것은 숫자가 아니라, 참된 비전과 확신이 있는가, 하는 것이다. 익명 속에서, 군중의 종교적 필요를 충족해주는 교회가 아니라, 하나님 나라에 대한 비전을 함께 공유하며, 교인들이 서로 하나가 되고, 치유되며, 변화되고, 함께 봉사하는 교회가, 진정한 공동체적 교회이다. 웨슬리의 감리교 신앙은, 어느 한 부분의 강조에 의해, 구별되지 않는다. 웨슬리는, 믿는 이들의 사랑의 친교가 존재하는 공동체를, 교회라고 이해하였다. 이는 제도적 교회를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가시적 교회와 불가시적 교회의 균형을 유지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즉 가시적 교회는, 역사적 제도로서의 교회, 말씀이 선포되고, 성례전이 행해지는 교회를 말하는 것이며, 불가시적 교회는, 성도의 교제로서의 교회를 말하는 것이다. 모라비안 조직 속에서, 영국성공회가 상실한 초대교회의 예배요소를 보았고, 성도 간에 교제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것은 곧 ‘성령 충만한 공동체’를 뜻한다. 이는 예수를 그리스도로 고백하고, 예수의 십자가 복음을 선포하고, 예수는 그리스도라고 가르치고, 예수의 생명을 나누고, 예수의 생명으로 섬기고, 예수의 십자가로 자유하고 하나 되는 공동체의 원동력은 바로 성령 충만이다. 오순절 마가다락방에 임하신 성령이 임재

      • 조선조 후기 소설에 나타난 풍자성 전개양상 연구 : 연암소설과 판소리계 소설 중심

        신태철 韓南大學校 敎育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조선조 후기소설에 나타난 풍자성 전개양상 연구 본 논고에서는 조선조 후기 소설에 나타난 풍자성 전개양상을 양반 작가인 연암의 소설과 동시대의 서민의 작품이라 할 수 있는 판소리계 소설을 비교 고찰함으로써 당시의 정치, 경제, 사회의 모순과 양반관료들의 인간상 및 서민들의 삶의 의식을 이해하고자 한다. 풍자란 현실에 대한 부정적 비평적 태도에 근거를 두고 인간의 제도나 인간과 사회의 악행, 우행, 모순, 불합리 등을 냉소적으로 비난 공격한 후에 이면에는 교정이나 개량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당시의 사회상을 보면 조선의 봉건사회는 오랜 세월을 거치는 동안 서민의 가혹한 수탈에 의지하여 계속 유지되면서 계층간의 대립이 심화되었다. 더구나 양란을 겪으면서 조선사회가 근원적으로 안고 있는 제도적, 내부적 모순이 허물어지게 되었다. 지배 논리가 위협당하고 스스로 지배의 한계성을 노출시켰으며 일반 민중의 각성과 자아 의식의 생성으로 정치, 사회, 경제적으로 많은 변화를 가져왔음에도 지배계층의 횡포와 탄압은 곳곳에서 자행되었으며 이러한 불합리와 모순, 부패 등을 문학을 통해서 폭로하고 조소하였다. 연암 소설에서의 풍자성을 대상, 내용, 표현과 표기에 따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풍자의 대상은 개인에서 집단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나 집단이나 집권층에 집중이 되었으며, 둘째, 몰락해가는 이조 양반들의 위선적인 생활을 폭로하고 조롱을 통한 권위의 추락과 신분의식의 변화를 풍자하고 비판했으며 아울러 피지배 계층의 진솔한 인간성과 분수에 맞는 생활을 표현하였다. 셋째로 표현면에 있어서는 양반계층의 부정과 무능 비합리성을 자기 모순과 자기반성을을 위한 아이러니와 냉소, 풍자적인 수법을 이용하였다. 끝으로 표기면과 독자층에서 국문이 아닌 한자로 기록되어 일반 민중들이 접하기에 어려움이 있었을 것이며 작가의 능력으로 보아 국문표기도 가능했겠지만 작가 자신을 포함하는 특권층의 자기반성의 방편으로 삼고자 한 의도로 생각된다. 다음으로 판소리계 소설에 대한 풍자성을 요약한다. 첫째, 풍자적 수법은 골계와 해학의 웃음을 동반한 차원 높은 풍자를 보이고 있는 바 특히 ‘배비장전’과 ‘춘향전’ 완판본이 이에 해당된다. 둘째로 세속적 인간상에 대한 풍자로 양반의 형상은 연암의 양반과 별 다를 바 없지만 양반계층에게 갖은 수모와 끝없는 추락을 통해 원상회복 없이 마무리한다. 또한 풍자의 대상들에게 이상적인 방향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끝으로 판소리계 소설에서의 풍자는 선의 측면인 상놈과 악의 측면인 양반의 구조사이에서 이루어진다. 이상의 풍자성 전개양상을 통해 조선조 후기 사회에 나타난 사회의 모순과 양반관료들의 인간상, 서민들의 진솔한 생활상 및 의식을 이해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help understanding a satire in the late period of Choson Dynasty's novels. First, I observed the concepts of the satire in many angles for the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a satire and researched the motivation and the reasons to emerge the satire in the late period of Choson Dynasty's novels. For instance, in Yeon-am's novels the satire is observed by the point of view of indivisual, periodical, and Silhak thoughts. I chose three satirical novels of Yeon-am's and described them using the plot, representation, objects of satire and critical attitudes. especially through the satire in the traditional korean narrative songs I observed the notion of it, categories, emerging of facts and studied the satire of 'Chunhangjeon' and 'Bebijangjeon' novels. The main stories are briefly summed up as follows. 1) The satire is the method and art of literature based on negative attitudes of real life, using contradiction, absurdity and stupidity attack human society or social situation afterward it's inner purpose is changed to reform or revise them. 2) In the Korean society, or Oriental countries the origin of the satire is a strong urge to the ruling classes' misdeeds , while in the western society it is originated from Latin word 'Satura Lanx' meaning baskets for the first products fruits a year is a anti-literature form such as various arts and crafts . 3) The traits of satirical literature are based on real life, in deeper meaning it's a social literature form and is accompanied by humors. In addition it's intention is to reform the society and gives the lessons. 4) The motivation of satire expressed in Yeon-am's novels is a in the indivisual situation point of view, his family's falling to the poverty and his upright view of womanhood b. in the periodical situation point of view, after two wars with Japan and China there were people's decline in the standard of living, monetary economy and handicraft manufacturing. c. the new spirits for instance, critical attitudes, political, economical and social consciousnesses were budded from birth of 'Silhak'. 5) When we observe the traits of satirical literature in 'Heosengjeon' and 'Yangbanjeon' a. Both are stories to satirize and criticize the aristocrat's formalistic and hypocritical life using two characters b. Through Heoseng's commercial business, he criticized those days' social, economic, political absurds ,which was facts of social condition that monopoly was possible. 6) The notions of traditional korean narrative songs and its emerging facts are a. because common people of Choson Dynasty couldn't protest against aristocrat's power, borrowing literature disclosed and sneered at ruling class's rottenness b. its emerging facts are first because of development of agriculture and industry there were changes in social position. Second, falling down of the breach of discipline in the central government third, with the development of monetary economy and handicraft a sense of class distinction was emerged ,which is also one factor of budding the mass of people's awareness

      • 고온 배기 재순환과 냉각 배기 재순환을 이용한 디젤엔진에서의 NOx 저감에 관한 연구

        신태철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자동차 배출 오염 물질에 의한 대기오염이 날로 심화되어가고, 이에 대한 세계 여러 나라에서는 일 산화 탄소, 탄화수소, 질소 산화물, 입자상 물질 등에 대한 규제도 강화되고 있다. 더 나아가서는 완전연소 생성물인 이산화탄소도 2009년부터 규제 대상 물질이 될 것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가솔린 엔진보다 연비 면에서 우수한 디젤엔진이 그 대안의 하나로 떠오르고 있다. 그러나 디젤엔진은 질소산화물과 입자상 물질의 배출이 많은 것이 문제이다. 배출 가스 저감 방안으로서 배기 재 순환 및 후처리 장치 등을 이용한 오염물질을 저감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엔진 스피드, 부하 및 배기 재순환 변화에 따른 고온 배기 재순환과 냉각 배기 재순환에서 질소 산화물 저감 상태를 측정하였다. 배기 재순환에 따른 탄화수소,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공연비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배기 재순환 율을 증가시킴에 따라 고온 배기 재순환에 비해 냉각 배기 재 순환이 낮은 배기 온도로 인한 연소온도의 저하로 질소산화물 저감 과 배기 재순환율을 증가 시 킬 수 있었다. 고온 배기 재순환과 냉각 배기 재순환에서 부하율을 증가시킴에 따라 일 산화 탄소, 이 산화 탄소는 많은 증가를 보였다. 탄화수소는 고온 배기 재순환과 냉각 배기 재순환에서 부하율을 증가시킴에 따라 미소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공연비는 배기 재 순환율 증가에 따라 고온 배기재 순환과 냉각 배기 재순환에서 감소하였다. Nowadays air pollution is becoming worse, and accordingly the engine emission regulations are getting more stringent. In addition to the traditional regulations on NOx, HC, CO, PM, the regulation on CO_(2) will be carried out voluntarily from 2009. Due to its inherently higher efficiency, diesel engine is regarded as an alternative to gasoline vehicle. However there remains the problem how to reduce NOx from diesel engine exhaust. EGR in diesel engine is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promising technology to reduce NOx in diesel exhaust and is widely being studied by many researchers. In this study, the effect of EGR on the reduction of NOx was investigated Cooled EGR showed higher EGR rate and lower EGR gas temperature than Hot EGR and con sequently higher NOx reduction was achieved in Cooled EGR by lowering combustion peak temperature. In both Hot EGR and Cooled EGR, CO and CO_(2) emission increased as the EGR rate increased, but HC emission was slightly affected by the EGR rate. Air to fuel ratio(Lambda) decreased as the EGR rate increased.

      • 초등학교 학생의 변형농구 훈련이 농구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

        신태철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변형농구 훈련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농구 기초 기능(슛, 드리블, 패스)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데 있으며, 농구 개인 기능 검사를 사전?사후 검사로 실시하여 변형농구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학생의 농구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초등학교 학생에게 어렵고 복잡한 일반 농구 활동을 쉽고 친화감을 가지게 하여 학생들의 체력 향상 및 농구에 관한 이해를 높여 학교체육 현장 및 생활체육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20명의 초등학생을 두 집단으로 나누어, 한 집단은 일반농구 훈련 프로그램을 또 다른 집단은 변형농구 훈련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12주 동안 주2회(1회60분)씩 총24회에 걸쳐 두 집단의 학습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첫재, 변형농구 훈련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학생의 슛 기능을 향상 시키지 못하였다. 하지만 일반농구 훈련 프그램은 p<.05 수준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다. 둘째, 변형농구 훈련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학생의 패스 기능향상에 p<.05 수준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다. 셋째, 변형농구 훈련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학생의 드리블 기능향상에 p<.05 수준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일반농구 훈련프로그램은 슛 기술 향상에, 변형농구 훈련프로그램은 드리블, 패스 기술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지만 연구대상의 표본수가 적어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