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디지털 뉴스 미디어 환경의 알고리즘 추천과 정보 선택의 효과: 선택적?균형적 노출과 확증편향 및 정치참여

        신지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comprehensively examine the cause and effect of recommendation algorithms in the digital media environment and their impact on individuals' lives. It focuses on understanding the technical mechanisms underlying the recommendation algorithms and their implications. The study investigates how the nature of recommended political articles influences individuals' political attitudes and behavioral changes in digital media environments that emphasize individual and media choices. The research explores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that influence news users' choices in algorithmic environments where related news is recommended based on customized subscriptions. Additionally, it aims to uncover how perceptual evaluation factors of personalized information are associated with confirmation bias and political participation in algorithm-based information environments that are independent of news users' choices. The perceptual evaluation factors considered relivance and fairness. Relivance is assessing whether news optimized is accurately delivered for me. Faireness is assessing whether various opinions are presented in a balanced manner. Summarizing the analysis results, the study found that different mechanisms operate depending on individuals' experiences of selective exposure and balanced exposure. Selective exposure, observed in the subject and types of news agency, involves heuristic information processing for quick decision-making through intuitive thinking and discussions with like-minded individuals. Balanced exposure, on the other hand, is more prominent among individuals with high political tolerance, characterized by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f diverse views. Also, the experience of seeking dissenting information in the past positively influences balanced exposure in the types of news agency, while individuals with a strong sense of efficacy gained through discussions with dissenting individuals exhibit higher levels of balanced exposure in the subject. Furthermore, participants in the selective exposure group displayed a high level of opinion reinforcement, suggesting a potential confirmation bias, when exposed to one-sided articles that align solely with their preferred political party. Conversely, when participants in the selective exposure group were recommended articles covering the political views of both competing parties, there was a tendency towards opinion moderating. The effect on political participation varied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a selective exposure group and the algorithm recommendation method. In a digital media environment emphasizing individual choices, selective exposure groups exhibited higher levels of online political participation when exposed to one-sided articles, while balanced exposure groups displayed a greater inclination to engage in political discussions with individuals sharing the same political orientation. In an algorithm-based personalized information recommendation environment, selective exposure groups showed a higher willingness to converse with individuals holding different political tendencies when articles from both sides were recommended. Lastly, the selective exposure group, when exposed to personalized one-side articles aligned with their preferred political party, exhibited a high level of relivance perception. This high level of perceived relivance led to polarization. However, the perception of fairness regarding personalized recommended article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from the nature of political articles but showed a potential for de-polarization. 본 연구는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추천 알고리즘 시스템의 형식이 삶의 영역에 미치는 원인과 결과를 기술적 메커니즘의 원리 속에서 체계적으로 이해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알고리즘의 기계적 지식 논리 속에서 뉴스 추천방식의 대표적 특징으로, 개인과 미디어의 선택이 강조된 미디어 환경에서 추천된 정치기사의 성격이 정치적 의견과 행동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보이는지를 정치적 양극화의 맥락에서 규명하고자 했다. 구체적으로 개인의 맞춤 구독방식을 통해 관련 뉴스가 추천되는 알고리즘 환경에서는 뉴스 이용자들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토대로 정보처리의 메커니즘을 알아보았다. 또한 알고리즘 추천 기반의 정보 환경에서는 개인화된 정보의 지각 평가로, 자신에게 최적화된 뉴스가 정확하게 전달되었는지를 평가하는 적절성과 다양한 의견을 균형있게 다루었는가로 공정성의 평가가 확증편향의 가능성과 정치참여에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밝혔다. 분석 결과, 첫째 뉴스 이용자들은 선택적 노출과 균형적 노출 경험에 따라 서로 다른 기제가 작동하는 것을 발견했으며, 선택적 노출의 경험은 직관에 의한 사고체계를 이용해 단순하고 빠른 의사결정을 위한 휴리스틱 정보처리와 자신과 유사한 정치적 견해를 가진 사람들과 토론을 통해 자신감을 경험한 것으로 동견 정치토론 효능감이 주제와 매체 영역의 뉴스 선택을 높이는 결과를 보였다. 특히 뉴스 매체의 이념적 성향은 선택적 노출을 높이는 데 영향을 미쳤으며, 이용자들은 자신의 정치집단 정체성을 통해 소속감을 느끼는 뉴스 매체에 대한 정보를 더 선택하려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균형적 노출 경험은 자신과 다른 견해를 가진 상대방에 대한 이해와 포용으로 정치적 관용이 높을수록 주제와 매체 선택에 영향을 미쳤으며, 과거 이견 정보에 대한 추구 경험은 매체 정보에, 이견을 가진 사람들과의 토론을 통한 효능감은 주제 정보의 균형적 선택을 증가시켰다. 둘째, 편향적 뉴스 소비 경험이 높은 선택적 노출 집단의 참여자들은 두 유형의 알고리즘 추천방식에서 모두 선호 정당의 입장만을 다룬 일방향 기사를 제공했을 경우 확증편향의 가능성으로 논의되는 의견보강 정보처리와 의견 공고화가 높게 형성됐다. 이들에게 경쟁하는 두 정당의 정치적 견해가 골고루 다뤄진 양방향의 기사를 추천한 경우에는 태도 극단을 완화하는 이견추구 정보처리 의향과 의견 절충이 높은 경향성을 보였다. 그러나 정치참여 효과는 선택적 노출 집단의 여부와 알고리즘 추천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결과를 보였다. 이용자 개인이 선택한 조건에 따라 관련 기사가 추천되는 미디어 환경에서는 선택적 노출 집단에게 일방향 기사를 추천할 경우 온라인 정치참여가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균형적 노출 집단의 경우 일방향의 기사를 제공했을 때 자신과 정치적 성향이 동일한 사람들과 대화하고자 하는 동질적 정치대화의 의향이 높게 나타났다. 이용자의 선택에 기빈한 개인화된 정보 추천 환경의 결과는 선택적 노출 집단에게 양방향의 기사를 추천할 경우 자신과 정치적 성향이 다른 사람들과 대화하려는 이질적 정치대화 의향이 높은 것으로 발견돼 체계적인 논의가 필요한 부분으로 다뤄졌다. 셋째, 미디어가 추천한 개인화된 정치기사를 읽은 선택적 노출 집단은 일방향 기사를 읽고 내용에 대한 적절성의 평가가 높게 나타났으며, 정치적 기사의 방향성과 적절성의 지각 평가 수준은 양극화와 연결된 결과에 대해 주목해 볼 필요성이 제기됐다. 반면 개인화된 추천 기사에 대한 공정성 지각은 정치기사의 성격과는 별다른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으나, 탈극화의 맥락에서 논의되는 의견 조정과 이질적 정치대화의 효과가 높아지는 결과를 보여 향후 연구가 더 필요한 부분으로 볼 수 있었다.

      • 아버지의 양육태도 및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이 영유아 자녀의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신지희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Influence of Paternal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and Child-Nurturing attitudes on Infants' Smart­Phone Immersion Shin, Jihe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ngshi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aternal smart phone addictionn proneness and their infants’ immersion. 202 one to five year olds in daycare centers in Yangcheon-gu, Seoul. and their fathers were selected for the current survey study. Several questionaires were used for data collection; Korean Mobile Phone Addiction Scale(Kyungho Hur, 2004), Parenting attitudes Scale(Lee & Oh, 1982), and infants' Smart­Phone & Immersion Scale(Yoon, 2015).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SPSS WIN 22.0 program.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deducted to analyz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father and infants and their actual use of smart devices. Then Cronbach's α coefficient was calculated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 t-test and one-way ANOVA were also calculated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fathers’ smart phone proneness and their nurturing attitudes according to their general variables and correlation analysis to see relationship between two variables. Lastl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effects of two. The statistical test was performed at significance level α =.05. Significant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endency of smart­phone addic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fathers' educations, occupations, monthly incomes, and dual incomes. However,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tendency of the smart­phone addiction according to the fathers' religion or not, the fathers without religion tend to be addicted to smart­phone.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attitudes level according to fathers' general variables,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ofessions, but father with religion showed more attainable and reasonable attitudes toward infant than the father without religion.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smart phone addiction pronenes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s’ smart phone immersion showed that the higher the fathers' smart phone addition proneness, the higher the infants' smart phone immersion showed.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ub-factors of the addiction tendency of smart phone such as ‘morbid immersion, life disorder, loss of control, obsession symptom' and ‘infant development, excessive pursuit, obsessive use' appear. This suggests that there is a close correlation between the fathers' tendency to add to the smart­phone and the child's subordinate factors. Also,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parenting attitudes and infants' smart­phone and immersion, nurturing attitudes and immersion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The higher the fathers’ nurturing attitudes were affectionate, autonomous, attainable, and reasonable, the lower the infants' smart­phone immersion revealed. Affective-rejection, autonomy-control, achievement-non-achievement, rational-unreasonable parenting attitudes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various sub-factors such as abnormal development, excessive pursuit and obsessive use. This suggests that there should be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tendency of the fathers' addiction to the smart­phone and the subordinate factor of the infants' smart­phone. Third, it was predicted that fathers' smart phone addiction proneness had a greater impact on infants’ immersion than nurturing attitudes. The more the fathers' loss of control over the smart­phone and the higher the obsession with confirming the smart phone, the more the infant and the smart­phone become more immersed. On the other hand, as the father shows more affectionate and reasonable parenting attitudes, the infant‘s smart­phone and immersion tend to decrease. This result shows that fathers' loss of smart­phone control, obsessive-compulsive symptoms, and affectionate and reasonable parenting attitudes are the main predictors of infants' smart­Phone and commi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the fathers' tendency to add to the smart­phone and the infants' involvement with the Smart­Phone. This is crucial to the development of infants, and it is important for fathers to play important roles in control over their infants’ smart phone usages. In order to make proper use of infants who are Smart­Phone users of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are for and study various aspects such as parenting, awareness and attitudes. In order to reduce the immersion of infants and smart­phone, precautionary research should be preceded by the use of the correct smart­phone by the father. In addition, a program to prevent smart­phone addiction should be developed and parent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to provide reasonable guides to parents. Further research is needed on the effects of infant and toddlers on smart­phone and immersion when infant and toddler limit their smart­phone exposure time. 국문초록 본 연구는 아버지와 영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실태를 살펴보고, 아버지의 양육태도 및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이 영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관계와 영향을 알아보려 한다. 이를 위해 아버지의 일반적 변인에 따른 아버지의 양육태도,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의 차이와, 아버지의 양육태도 및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과 영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과의 관계, 아버지의 양육태도 및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이 영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인 서울시 양천구에 소재한 가정, 민간, 국공립 어린이집의 영 · 유아반(만1세∼5세)에 재원중인 영유아의 아버지 202명에게 한주리와 허경호(2004)가 개발하고 박용민(2011)이 수정·보완한 스마트폰 중독척도, 이종승, 오성심(1982)의 부모양육태도 척도, 윤태정(2015)의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 평가척도를 사용한 질문지를 배부하고 회수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대상 아버지와 자녀의 일반적 특성과 스마트기기 사용실태를 빈도(N)와 백분율(%) 통해 산출하였고, 측정도구의 신뢰성을 알아보기 위해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아버지의 일반적 변인에 따라 아버지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 양육태도 수준에 차이가 있는 지를 살펴보기 위해 t 검정과 일원분산분석(one-way ANVOA)을 실시하였고, 아버지의 양육태도 및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이 영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 간에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아버지의 양육태도 및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이 영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통계적 검증은 유의수준 α=.05에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아버지의 학력, 직업, 가정 월소득, 맞벌이 등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에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아버지의 종교 유무에 따라 과몰입/스마트폰 몰입/중독 경향성을 살펴본 결과, 종교가 없는 아버지들이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의 일반적 변인 중 아버지의 학력, 직업, 가정 월소득, 맞벌이 등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반면 종교가 있는 아버지가 종교가 있는 없는 아버지에 비해 영유아에게 성취적이고 합리적인 양육태도를 많이 보였음이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의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과 영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아버지의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이 높을수록 영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도 높게 나타났다. 병적과몰입, 생활장애, 통제상실, 강박증상, 등의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 하위 요인과 이상발달, 과도한 추구, 집착적 사용 등의 영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 하위요인과도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아버지의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과 영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 하위 요인 간에도 상호 밀접한 상관성이 있음이 드러났다.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영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양육태도는 영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여, 아버지가 애정적, 자율적, 성취적, 합리적 양육태도가 높을수록 영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이 낮게 드러났다. 아버지의 애정-거부, 자율-통제, 성취-비성취, 합리-비합리 양육태도는 이상발달, 과도한 추구, 집착적 사용 등의 영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 하위 요인과도 모두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아버지의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과 영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 하위 요인 간에도 밀접한 상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아버지의 스마트폰 과몰입/중독경향성 요인이 양육태도에 비해 영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다고 예측되었다. 아버지가 스마트폰에 대한 통제력을 상실과 수시로 스마트폰을 확인하는 강박증상이 높을수록 영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은 높아지고, 아버지가 애정적, 합리적 양육태도를 많이 보일수록 영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어, 아버지의 스마트폰에 대한 통제상실과 강박증상과 자녀에 대한 애정적, 합리적 양육태도가 영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예측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아버지의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과 영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 간의 유의한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부모 역할의 중요성에 대해 알게 되었는데 이는 영유아의 발달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영유아가 스마트폰을 사용함에 있어서 적절한 통제를 담당하기 때문이다. 영유아가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 바르고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부모인 아버지 또한 인식과 태도와 같은 여러 측면에서 영유아의 스마트폰 사용과 관련하여 지속적인 관심과 더불어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영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을 줄이기 위해 무엇보다 아버지의 올바른 스마트폰 사용을 위한 예방차원의 연구가 선행되어야 하며 스마트폰 중독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부모의 합리적인 지도를 위한 부모 교육 및 영유아의 스마트폰 노출시간을 제한할 때의 영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에 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 덧무늬기법을 활용한 도자 작품 연구

        신지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덧무늬 토기란 융기문 토기라고도 하며 덧무늬로 장식된 토기로써 기물 위에 흙을 덧붙이거나 기물의 흙을 집어 올려 무늬가 도드라지도록 장식된 토기를 말한다. 덧무늬 토기를 만드는 과정은 인간의 생애와 닮아있다. 인간은 긴 시간에 걸쳐 다양한 경험을 쌓아 자아를 형성해 나아간다. 덧무늬 토기는 차근차근 흙 줄을 쌓아 만든 후에 다시 흙을 쌓아 기물을 완성한다. 따라서 덧무늬 토기는 단순한 기물을 넘어 누군가의 시간의 집적물이자 총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이 필자를 매료시켜 연구를 통해 현대적 미감으로 재해석 하고자 하였다. 무늬가 도드라지도록 장식하는 기법에는 덧무늬 외에 양각기법과 퇴화기법이 있다. 이 기법들은 시기, 목적, 방법이 크게 다르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잘 알려진 양각기법과 퇴화기법 훨씬 이전에 덧무늬가 있었음을 재조명하고 현대적으로 활용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작품 제작 연구에 앞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진행한 이론적 연구를 통해 신석기시대 토기의 제작 양상과 특징을 파악할 수 있었다. 더 나아가 덧무늬 토기의 제작 양상, 특징, 문양을 살펴봤다. 덧무늬 토기는 단독으로 장식된 예도 있지만, 다른 장식과 함께 복합적으로 장식된 예가 더 많다. 문양 형식도 다양하고 흙 줄을 붙이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위를 도구로 눌러 문양을 남기기도 한다. 이처럼 덧무늬 작품 제작 연구에 앞선 이론적 연구는 덧무늬 토기를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되었다. 덧무늬 도자 작품은 기물과 덧무늬 사이에 균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서 실험장에서 덧무늬 태토 부착 및 발색 실험을 진행했다. 작품 제작에 사용하는 분청토와 색과 질감이 다른 산백토, 산청토, 흑토를 일정한 비율로 배합한 후 장식하여 조건에 따른 변화를 확인했다.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태토와 동일한 점토 외에 산백토, 흑토를 일정한 비율로 배합하여 덧무늬 장식에 사용하였다. 덧무늬 도자 작품 제작 단계에서는 덧무늬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새로운 미감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도자기 제작 시 사용되는 각 점토의 특성을 이용해 덧무늬 장식을 보다 다양하게 표현하고자 하였고, 자연의 태동을 주제로 현대인의 생각과 감성을 담아 보고자 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덧무늬 토기를 현대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덧무늬 토기를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신석기시대로부터 현재를 이을 수 있는 전통의 가교가 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덧무늬기법이 지속적으로 활용되어 전통 도자 양식의 하나로써 자리매김하기를 바란다. 주제어 : 신석기시대 토기, 덧무늬 토기, 덧무늬, 융기문 토기, 장식기법 Also called raised-pattern pottery, raised-design ceramics are raised pattern decorations to highlight the design by adding clay to the object or raising its clay. The process of making raised design ceramic resembles human life. Human beings form their ego by accumulating various experiences over a long period. Similarly, the raised-design ceramics are made by piling up clay rows step by step and stacking up the clay again to complete the object. Thus, raised-design ceramics are said to be an accumulation and totality of one’s time beyond a simple object. Fascinated by this, I decided to reinterpret raised-design ceramics with a modern aesthetic sense through research. Decoration techniques to accentuate and highlight designs include embossed carving and slip painting techniques in addition to raised designs, varying greatly in timing, purpose, and method.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reexamine the existence of raised designs long before the well-known embossed carving technique and slip painting technique and to use them in a modern way. Prior to the research on ceramics production, this study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and aspects of the ceramics production of the New Stone Age through theoretical research based on prior studies. Also, this study analyzed the production aspects, characteristics, and the patterns of raised-design ceramics, which had examples of decorated alone and more examples of decorated in combination with other patterns. It had diverse forms and left designs with the top pressed using a tool beyond attaching the clay rows. As such, the theoretical research prior to the production of raised-design ceramics helped to understand raised-design ceramics more deeply. For raised-design ceramics, it is important to avoid cracks between the object and the raised designs. Thus, an experiment was conducted in the lab on the attachment and coloring development of raised designs. This study mixed in a certain ratio the Sancheong black clay, Sancheong clay, and black clay, which are different in color and texture from the powdered green clay used in the ceramics production, decorated them, and confirmed the changes according to the conditions.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mixed Sancheong black clay and black clay in a certain ratio in addition to the clay with the same clay source and used them for decorating the raised designs. In the ceramics production stage, raised designs were reinterpreted in a modern way to express a new aesthetic sense.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lay in ceramics production, this study attempted to diversify the decoration of raised designs and incorporate the thoughts and emotions of today’s people with the birth of nature as the theme. This process enabled the search for ways to employ raised-design ceramics in a modern way. This study theoretically examined raised-design ceramics and reinterpreted them in a modern way to become the bridge of tradition connecting the present to the Neolithic Age. It is hoped that the raised design technique will be continuously used and established as one of the traditional ceramic forms. Keywords: New Stone Age ceramics, Raised-design ceramics, Raised designs, Ceramic bowl with raised designs, Decoration technique

      • 시각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그래픽위트를 활용한 광고에 관한 연구 : commercial poster를 중심으로

        신지희 성신여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포스터 디자인은 미적 가치가 있는 것만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감각에 소구하는 형식을 통해 보다 높은 심리작용을 이용하는 강화형식으로 대중에게 전달하고 설득하는 일을 하며 현대사회에서도 대중적 시각언어로서 독자적인 위치를 지니고 있다. 본 연구는 그래픽위트의 시각표현에 있어 현대사회의 문화를 인간적 흥미와 자극을 주면서 이해와 공감을 얻고 메시지를 핵심적으로 전달하면서도 쉽게 떠올릴 수 있는 commercial poster를 제작하여 소비자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메시지 수용에 있어 거부감이 없으며 오래도록 메시지를 기억하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위트(wit)는 커뮤니케이션의 한 방법으로 사람들에게 거부감이나 긴장감을 주지 않고 설득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커뮤니케이션은 이해와 공감대에서 비롯되며 유머 즉, 위트는 소구의 유형이기도 하지만 사회문화적 상황과 밀접한 관련을 지닌 표현양식으로 다른 소구의 유형보다 보다 더 심리적 친근감을 가져다준다. 유머의 시각적 표현기법인 그래픽 위트를 commercial poster에서 활용한다면 기존의 상업포스터에 비하여 그 의미를 명쾌하게 표현하고 주목성을 가지며 독창적인 표현으로 메시지 수용과 광고회상도 측면에서 탁월한 결과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또한 주제와 소재 및 표현 방법에 있어 새로운 시도들과 함께 개성적이고 위트 있는 아이디어로 대중에게 즐거움을 줌과 동시에 정확한 계획과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에 대한 주제와 목적을 뚜렷하게 하여 정보전달의 효과를 높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그래픽 위트의 시각적 특성과 유형별 표현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commercial poster의 효과적인 의미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그래픽위트의 표현을 유형화하여 작품 제작을 한다. A poster design not only pursuits its aesthetic value, but it is through the form of sensual appeal that intensifies the use of mental process as a strengthening form to communicate and persuade the general public. Poster designs have been in a unique position as being the visual language for the contemporary society. This study aims to use graphic wit as a form of visual expression in the culture of contemporary society in order to stimulate human interests that deliver core messages of understanding and sympathy through the production of commercial poster that interests consumers and leaves long-lasting messages without having reluctance. Wit is one method of communication that does not give denial or tension to the people but rather have benefits in persuading people. Communication begins with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where humor, in this case, wit, is a type of appeal that also connects between intimacy and social culture that connects to other forms of expression, bringing more psychological feeling of closeness than other appeals. As a type of visual representation technique of humor, by utilizing graphic wit into commercial poster, the meaning of expression will bring more clarity than the older commercial posters. Researches predict that it will be more attentive to the public that will produce excellent results in message capacity and ad retrospection due to its expressive originality. Also, new experiments through the techniques from topics, contents and expressions will produce fresh unique and witted ideas, and there needs to be accurate plan that can deliver the message in its themes and goals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delivering information. This study will analyze the visual attributions and expression types of graphic wit, and through this, try to produce a commercial poster that expresses through graphic wit that can deliver its meaning in an effective way.

      • 격려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장애아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및 자기존중감, 통제소재, 사회적 관심에 미치는 효과

        신지희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18세 미만의 발달장애아동을 둔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격려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자기존중감, 통제소재, 사회적 관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장애아동 어머니 총 20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0명씩 무선배정한 후에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8회기의 격려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프로그램 실시 전 후에 양육 스트레스, 자존감, 통제소재, 사회적 관심 검사를 실시하고 공변량 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격려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양육 스트레스에서 유의하게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의 효과를 보면, 격려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부부 및 가족문제와 부모의 비판적 태도 요인에서 유의하게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격려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자기존중감에서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격려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어머니들은 통제집단 어머니들에 비해 내적통제 점수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격려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어머니들은 통제집단 어머니들에 비해 외적통제 점수는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격려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사회적 관심에서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격려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장애아동 어머니들의 양육스트레스, 자기존중감, 사회적 관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다.

      • 견갑골 안정화 운동이 둥근 어깨 자세와 거북목 증후군에 미치는 효과

        신지희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두 집단의 운동 프로그램이 둥근 어깨 자세와 거북목 증후군의 개선과 동적, 정적 안정성 향상에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자세 개선과 안정성 향상을 위해 한 집단의 운동을 고집하기 보다는 두 집단의 운동 프로그램을 함께 병행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것이다.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exercise programs of the two groups were also effective in improving rounded shoulder posture and forward head posture and improving dynamic and static stability. Therefore, it would be more effective to combine the two groups of exercise together rather than insisting on one group of exercise to improve posture and stability. In addition, since it is an exercise using band, gym ball, bosu, foam rollers temporal and spatial utilization is high.

      • 국내 입원환자 초기 영양선별도구의 비교평가 및 개선방안 도출에 대한 예비연구

        신지희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바이오헬스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입원환자의 영양불량은 재원일수의 증가, 상처회복의 지연, 면역능력 저하, 사망률 및 합병증의 증가를 야기시키며, 따라서 입원초기 정확한 예측을 통한 영양불량의 조기 선별은 입원환자의 예후관리에 중요하나, 국내에 보편적으로 통용되는 영양선별도구는 부재하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외 영양불량 선별 도구들간의 영양불량 선별력을 비교 분석하고, 예측력을 개선할 수 있는 수정보완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종합병원 입원환자 120명의 임상, 생화학 자료 및 식이 섭취 자료는 의무기록 및 개별면담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PG-SGA로 정의된 영양불량을 기준으로 하여, 국내외 6개 (NRS-2002, NRI, GLIM, NRST, NSI, SNSI)의 영양 선별 도구들의 영양 불량 유병율, 민감도, 특이도를 측정하고, 영양불량 선별 도구의 예측력을 유의하게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영양지표를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외 대표적인 영양선별 선별도구 들은 영양불량 유병율이 4%-41%로 선별도구마다 상이하게 다름이 관찰되었다. 또한, 각 영양 불량 선별도구들의 타당도를 PG-SGA를 기준으로 평가하였을 시, 각 도구들의 타당도는 64.75%-87.83%의 민감도,67.26%-100%의 특이도, 0.12-0.72의 카파 상관 계수를 보이는 큰 차이를 볼 수 있었다. 이 중 NRST의 타당도가 가 87.83% 민감도, 89.69% 특이도, 0.72 카파 상관계수로 가장 높음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NRST의 타당도의 개선 여부를 탐색하여 보았을 시, 특히 간단하게 수집할 수 있는 2주간의 체중감소와 영양관련증상점수를 NRST에 추가하였을 시, AUC및 모델 적합도가 유의하게 향상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상이한 영양불량 선별력을 보이는 영양 선별 도구들간에 PG-SGA를 기준으로 NRST가 가장 타당하며, 영양 지표의 개선을 통해, 예측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양선별도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추후 대규모의 연구에서 재현현이 필요하나, 선제적으로 영양불량 환자를 식별하는 도구의 표준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함의를 가진다. Malnutrition of hospitalized patients is a well-known risk factor for poor prognosis and mortality. Nonetheless, many malnutrition screening instruments are either foreign instruments or developed under specific hospital settings. There are lack of consensus on the standardized form of malnutrition screening instrument that can be widely applicable to Korean. This study aimed to compare five, simple malnutrition screening instruments (nutritional risk index [NRI], global leadership initiative on malnutrition [GLIM], nutrition risk screening tool [NRST], nutrition screening index [NSI], severance nutrition screening index [SNSI]) and explored risk factors to improve discriminability of the instrument. This study analyzed cross-sectional data of 120 in-hospital patients collected within 48 hours upon admission. Clinical and biochemical data were collected via medical records. Interviewer assessed anthropometrics and dietary intake. Sensitivity, specificity, and kappa coefficients of each malnutrition screening instrument was calculated, compared to patient-generated subjective global assessment. Change in area under the curve (AUC) was estimated to assess improvement in discriminability of the instrument by adding new risk factors. In our study, prevalence of malnutrition varied across malnutrition screening instruments ranging from 4.2% by NSI to 40.8% by PG-SGA. Among five malnutrition screening instruments, NRST had the highest agreement with PG-SGA (k =0.72), followed by GLIM and SNSI.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NRST was high, showing 87.83% and 89.69%, respectively. For NRST score, the AUC significantly improved from 0.90 to 0.95 by adding two-weeks weight loss and nutrition-related symptom (change of AUC and 95% confidence interval: 0.05 (0.005, 0.10)). In this study, we observed significant variability diagnosing malnutrition among malnutrition screening tools and NRST was found to have the greatest accuracy with potential of improvement by adding simple nutrition indicators. Further large studies are warranted to replicate our findings.

      • Direct cell fate conversion of human somatic cells into neural stem cells

        신지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Neurodegenerative diseases are caused by the progressive loss of neurons and function including a neuronal death. Most of neurodegenerative diseases are incurable and the pathophysiology is not well understood. For these reasons, cell replacement therapy and disease modeling are expected to be key objectives to cure and understand the neurodegenerative disorder, and neural stem cells (NSCs) and neuronal cells (NCs) are great promising cell sources for the regenerative medicine. Due to inaccessibility of NSCs and NCs in human, many researchers recently study on generating induced NSCs (iNSCs) and induced NCs (iNs) by introducing retrovirus, lentivirus, episomal vector, mRNA, protein, small molecules and so on. iNs are terminally differentiated and unable to proliferate, and it is not appropriate to apply for cell replacement therapy which requires massive amount cell, whereas iNSCs are self-renewal and have a tri-lineage differential potential. Using the direct conversion method, iNSCs were able to generate from not only normal people but also from patients, and generated iNSCs are personalized cells which can be used for drug screening and understanding the diseases mechanisms for patient specific. Therefore, iNSCs have more amendable and a great potential for clinical application and disease modeling. Here I show the two different methods to generate the NSCs. In the first part of this study, I generated the iNSCs by introducing the retrovirus into human somatic cells. A recent study has suggested that fibroblasts can be converted into mouse induced neural stem cells (miNSCs) through the expression of defined factors. However, successful generation of human iNSCs (hiNSCs) has proved challenging to achieve. Here, using miRNA expression profile analyses, I showed that let-7 microRNA has critical roles for the formation of PAX6/NESTIN-positive colonies from human adult fibroblasts and the proliferation and self-renewal of hiNSCs. HMGA2, a let-7 targeting gene, enables induction of hiNSCs that displayed morphological/molecular features and in vitro/in vivo differentiation potential similar to H9-derived NSCs (H9-NSCs). Interestingly, HMGA2 facilitated the efficient conversion of senescent somatic cells or blood CD34+ cells into hiNSCs through an interaction with SOX2, while other combinations or SOX2 alone showed a limited conversion abilit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HMGA2/let-7 facilitates direct reprogramming toward hiNSCs in minimal conditions and maintains hiNSC self-renewal, providing a strategy for the clinical treatment of neurological diseases. In the second part of this study, without introducing exogenous transcription factors, using only chemical combination directly converse the human somatic cells into NSCs. Overexpression of exogenous transcription factors could result in the random insertion and mutation into host genome which causes the tumorigenesis and mutagenesis; therefore, recent researches focused on non-integration methods to generate the target cells. Here, I report a direct conversion of human fibroblasts into expandable induced neural stem cells by four chemicals (ciNSCs), without passing through the pluripotent stage. These ciNSCs resemble to H9-NSCs and induced NSCs from human fibroblast by virus transfection, in neurosphere formation and NSC-specific gene and protein expression. After further maturation, ciNSCs can be differentiate into three main neural lineage, neurons, astrocytes and oligodendrocyte in vitro and in vivo. Additionally, they can be terminally differentiated into specific neuronal subtypes, such as dopaminergic-, glutamatergic- and GABAergic- neurons, under defined culture conditions. Thus, my data suggests that a specific chemical cocktail can drive the neural lineage-specific direct conversion of human somatic cells into progenitors with self-renewal and multipotency.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reveal that additional transcription factor can induced the human somatic cells into neural stem cell more efficiently and rapidly and also the limitation of clinical application by introducing exogenous transcription factor can be replaced by application of small molecules. iNSCs have a potential to replace the damaged and non-functional cells in neurodegenerative diseases and patient derived NSC can be the disease model and used for drug screening. Even though application of iNSC in clinical approach need to be more studied for safety, it would provide the better understanding of neurodegenerative disease. Therefore, my studies suggest novel insights to treatment the neurodegenerative diseases modeling and trea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