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분석 부분어절 사전 기반의 형태소 분석 및 음절-형태소 전이 확률 기반 품사·동형이의어 태깅

        신준철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어휘수준의 의미처리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형태소를 분석하고 품사와 동형이의어를 분별하는 분석기가 필요하다. 동형이의어분별은 구문분석시에 여러 중의성을 해소하기 위해 필요하다. 한국어 형태소 분석기를 위한 규칙기반 방법들이 연구되었으나 교착어가 가지는 다양한 불규칙과 원형복구의 어려움 때문에 낮은 정확률을 보여 왔다. 천만 어절에 달하는 세종말뭉치가 완성된 이후로 학습기반의 형태소 분석 및 동형이의어 분별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형태소 분석 절차는 두 단계로 나뉜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하나의 어절을 분석하여 형태소와 품사 그리고 동형이의어 번호를 가진 후보들을 생성한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문맥 정보를 이용하여 하나의 적합한 후보를 선택한다. 본 논문은 세종말뭉치에서 기분석 부분어절 사전을 구축하고 첫 단계에서 이를 활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어절 분석 내용을 저장하여 사용하는 기분석 전체어절 사전 뿐 아니라, 어절 분석 내용의 부분을 저장하는 기분석 부분어절 사전도 사용하는 것이다. 이 방법으로 대부분의 어절을 2개 이상의 형태소로 나누어서 분석할 수 있다. 기분석 전체어절 사전은 어절 전체와 그 분석 내용 전체를 저장하기 때문에 구축 과정이 간단하지만, 기분석 부분어절 사전은 복잡한 단계를 거쳐서 만들어진다. 우선 말뭉치에서 어절의 음절(표층형)들을 각각 그에 해당하는 원형(형태소) 음절과 연결하고, 이 연결 정보를 토대로 어절의 부분과 그에 해당하는 원형 정보를 사전에 저장한다. 이 때 형태소(또는 품사) 전이정보와 어절의 처음에 나타날 수 있는 품사정보 등 다양한 추가정보를 같이 저장한다. 세종말뭉치로 만들어진 기분석 부분어절 사전은 대부분의 어절을 분석할 수 있다. 우선 입력된 어절을 2부분으로 나눈 뒤, 각 부분을 기분석 부분어절 사전에서 찾는다. 그리고 찾아진 각 부분의 분석 내용으로 후보를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후보들은 빈도 정보와 형태소 전이빈도 등을 통해 평가 점수를 계산한다. 이 점수가 임계치 이상일 경우에는 후보로 적합하다고 판단하지만, 그 이하일 경우에는 후보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그리고 어절 안에 복합명사가 존재한다고 가정하여 어절을 3개 이상으로 나누는 방법을 적용한다. 복합명사를 포함하는 어절은 우선 조사만 따로 분리하고, 복합명사 부분을 다시 2개 이상으로 나누어서 분석한다. 후보들이 생성된 뒤에는 적절한 하나의 후보를 선택하는 두 번째 단계로 넘어간다. 은닉 마르코프 모델은 이 단계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되어지는 모델로 높은 정확률이 특징이다. 본 논문에서는 동형이의어 정보를 포함하는 어절의 전이 확률을 계산하기 위해 기본적인 어절 단위 전이 모델 1가지와 어절의 부분 정보(어말 또는 어두)만을 사용하는 전이모델 2가지를 제안한다. 다양한 전이 모델을 모두 적용하기 위해 하나의 전이 확률식으로 통합하여 구성하지 않고 가장 신뢰도가 높은 모델부터 순서대로 시도하여 먼저 성공한 모델만을 적용하는 단계별 적용 방법을 제안한다. 기본적인 전이모델은 입력된 두 개의 어절 쌍이 말뭉치에서도 그대로 나타난 경우를 찾아서 적용하는 것으로 학습 사전의 용량이 매우 크고, 재현율이 극히 낮기 때문에 실용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전이모델이 세 번째 것보다 재현율은 낮지만, 재현에 성공한 경우에는 신뢰도가 더 높다. 따라서 두 번째 모델이 세 번째 모델 보다 우선적으로 시도되며 가중치가 더 높다. 실험을 위해 세종말뭉치 약 1,100만 어절을 10문장 단위로 나눈 뒤에, 9문장은 학습(990만 어절)하고 나머지 1문장을 테스트세트(110만 어절)로 사용하였다. 기호를 포함하거나 오류가 있는 어절도 예외 없이 학습세트 또는 테스트세트에 포함시켰다. 어절 단위로 정답을 측정하였으며, 품사와 동형이의어 둘 다 맞추어야 정답으로 인정하였다. 기분석 부분어절 사전을 사용한 알고리즘으로 후보를 생성하였고 은닉 마르코프 모델(HIdden Markov Model : HMM)로 후보를 선택한 결과 정확률 96.49%가 나타났다. HMM은 비록 정확률이 높지만, 시간 복잡도가 어절의 후보 수 제곱에 해당하는 느린 알고리즘에 속한다. 본 논문은 이 모델을 대체할 수 있는 더 빠른 확률 모델을 제안한다. 음절-형태소 전이 모델은 인접한 어절의 음절을 조건으로 현재 어절의 후보에 대한 확률을 계산한다. HMM은 인접 어절의 분석 후보(형태소, 품사, 동형이의어 정보로 은닉 상태에 해당한다.)를 조건으로 확률을 계산하는데, 음절-형태소 전이 모델은 음절 정보(표층형. 관찰된 정보)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큰 차이점을 보인다. 음절-형태소 전이 모델 또한 앞 어절과 뒷 어절 음절의 일부만을 사용하는 확률 모델들을 사용한다. 또한 뒷 어절이 동사일 경우에는 동사의 음운변동을 고려하여 예외적으로 그 동사의 형태소 원형 음절 정보를 사용하여 전이 확률을 계산한다. 그리고 부사 어절이 나타날 경우에는 부사의 앞 어절과 뒷 어절이 서로 인접한 것으로 가정하여 전이확률을 계산하고, 이것을 기존의 확률값에 곱하여 후보 선택에 사용한다. HMM을 실험한 환경과 같은 환경에서 음절-형태소 전이 모델을 실험한 결과 정확률 96.42%로 0.06%의 차이를 보였으며, 후보 선택에 소요된 시간은 약 절반으로 감소하였다.

      • 초등학교 여학생의 신체활동, 심폐체력, 식이섭취와 비만 및 대사증후군 위험 요인과의 연관성조사

        신준철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동작가속계를 이용하여 측정한 신체활동, 심폐체력, 식이섭취와 비만 및 대사증후군과의 상관관계를 분석과 더불어 비만 및 대사증후군을 결정하는 예측 독립인자로서의 설명력을 검증하는 것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 S시 소재 초등학교 여학생 147명의 자발적 참여자를 대상으로 실시했으며, 모든 참여자는 7일 연속 기간 동안 동작가속계를 착용함으로서 신체활동량을 측정하였고, 트레드밀을 이용한 점진적 운동 부하검사를 통해 심폐체력 측정하였으며, 24시간 회상법을 이용하여 식이섭취량 총 3회(주중 2회, 주말 1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대사증후군 위험 점수는 허리둘레(Z1), 혈당(Z2),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Z3), 혈압(Z4), 중성지방(Z5)을 포함한 각 해당 변인의 표준화 점수(Z = (해당값 - 평균 ) / 표준편차)를 산출한 후 이들 전체 변인의 표준화 점수를 합산한 값(∑Zi = Z1+Z2+Z3+Z4+Z5)을 산출하여 이용하였다. 신체활동, 심폐체력, 식이섭취와 비만지표 및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및 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이용하여 통계적 유의도 수준을 검정하였다. 신체활동과 심폐체력은 체질량지수(r=-0.386 & r=-0.397, respectively), 체지방량(r=-0.354 & r=-0.365, respectively), 허리둘레(r=-0.419 & r=-0.440, respectively)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식이섭취는 비만지표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활동은 대사증후군 지표 중 중성지방(r=-0.245)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폐체력 또한 중성지방(r=-0.166)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하지만 식이섭취와 대사증후군 지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나지 않았다. 신체활동, 심폐체력, 식이섭취와 대사증후군 위험 점수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신체활동(r=-0.299)과 심폐체력(r=-0.264)이 대사증후군 위험 점수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식이섭취는 대사증후군 위험 점수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만과 대사증후군에 대한 독립 예측인자결정을 위한 다중회귀분석을 한 결과, 신체활동이 나이(r=0.130), 체질량지수(r=0.173), 체지방량(r=0.141), 허리둘레(r=0.189)의 변량에 대한 독립적인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여학생을 대상으로 비만과 대사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 생활습관 관련 인자로서 신체활동, 심폐체력, 식이섭취의 역할을 규명한 결과, 신체활동과 심폐체력이 초등학교 여학생의 비만 지표 및 대사증후군과 유의한 연관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변인의 개인차에 대한 독립적인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교 여학생의 비만과 대사증후군 위험을 예방하기 위한 목적에서는 규칙적인 신체활동과 심폐체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운동이 절실히 필요하다는 사실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 correlation between obesity, metabolic syndrome and physical activity, cardiorespiratory fitness, dietary intake based on verified predictor of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as explanatory adequacy in girls. 147 elementary girls were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is study. Physical activity was measured by using the accelerometer for seven days, and cardiorespiratory fitness was measured with a graded treadmill exercise test, and dietary intakes were analyzed by Can-Pro 2.0. Metabolic syndrome risk score was computed by summing the standardized values for waist circumstance(Z1), glucose(Z2), HDL cholesterol(Z3), blood pressure(Z4), and triglyceride(Z5). As a result, physical activity was inversely correlated with BMI(r=-.386), Fat(r=-.354) and Waist(r=-.419). And cardiorespiratory fitness was inversely correlated with BMI(r=-.397), Fat(r=-.365) and Waist(r=-.440). Also, metabolic syndrome risk score was inversely correlated with physical activity(r=-.299), cardiorespiratory fitness(r=-.264). However, dietary intake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both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risk score. As a result for independent predictor of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risk score analyzing multiple regression, physical activity has explanatory adequacy as an independent predictor of BMI(r=.173), Fat(r=.141) and Waist(r=.189). And age(r=.130) has explanatory adequacy as independent predictor of metabolic syndrome risk score. In conclusion, physical activity, cardiorespiratory fitness in this study was related to the obesity indices and metabolic syndrome, that was estimated giving independently effects. Consequently, low level of physical activity in girl caused increase of cardiorespiratory fitness, and increase of the fat accumulation in abdominal that lead to the metabolic syndrome.

      • 전자부품 산업 신규설비 개발을 위한 설비 투자 및 운영 프로세스 재구성: A 기업 적용 사례연구

        신준철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새로운 기술의 발달과 함께 제품개발의 생애주기(Life Cycle)가 짧아지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설비의 기술은 복잡해지고 있다. 신제품 개발 (NPD, New Product Development) 및 제품생산에서 이를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설비에 대한 필요성이 중요해지고 있다. 또한 기업에서는 투자되는 설비 투자규모의 증가와 핵심 기술 확보가 기업의 핵심역량이 됨에 따라 신규설비 개발 및 이를 신제품 개발에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하지만 설비 투자 및 운영에 대한 기술적 검증 및 표준화가 되지 않아 부서 간 또는 개인 별 차이가 발생하여 효과적인 설비개발이 어려웠다. 본 연구논문에서는 전자부품 산업에서의 신규설비 개발 및 운영에 필요한 설비 투자 및 운영 프로세스에 필요한 항목을 단계별로 나눠 재구성하였다. 프로세스 재구성은 비즈니스 프로세스 혁신 (BPR, 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실제 산업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프로세스를 1.설비투자계획, 2.설비시방서 작성, 3.설비기술심의, 4.설비투자품의, 5.설비발주업무, 6.설비제작 및 검수, 7.설비도입업무, 8.운영 및 설비관리, 9.유휴설비관리의 9가지 단계로 구분하였다. 각 프로세스는 산업현장에서 적용하기 쉽도록 목적, 주관부서, 시작 및 완료 조건, 업무흐름도, 추진산출물을 정의하고 각 단계에서 필요로 하는 기능을 도출하였다. 설비 기술심의에서는 설비 개발 시 기술 표준화를 위해 설비시방서를 기본사항, 일반사항, 세부사항, 공통사항으로 분류하였다. 설비제작 및 검수에서는 설비개발 검수 시 필요한 제품품질, 생산성, 안전성, 보전성의 항목의 확인이 중요하다. 운영 및 설비관리에서는 설비투자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A 전자부품 기업의 설비분류 및 코드를 분류하여 적용하였다. Together with the development of new technology, the life cycle of Product Development is becoming shorter and the machine technology to materialize this is becoming more complex. The need of machines to effectively achieve this is becoming more important in New Product Development (NPD, New Product Development) and manufacturing . Companies are formulating strategies on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new machine development and new product development, since the scale of investment and the core technique becomes their core competence. However, because the technical inspection and standardization was unachieved for machine investment and operation, departmental and personal disparities occurred resulting to difficulties in effective machine development. This research thesis divides the items necessary for machine investment and operation, as well as the operation process, in a per level basis and restructure them, which in turn are needed for new machine development in the electronic component industry. The 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 methodology has been applied for the process restructure. The process has also been divided into 9 stages namely 1.Machine Investment Plan, 2.Formulation of Machine Specifications, 3.Review on Machine Technique, 4.Approval for Machine Investment, 5.Ordering the Machine, 6.Machine Manufacturing and Testing, 7.Machine Introduction, 8.Machine Operation and Management, 9.Management of Idle Machines - to enable its application in the actual field. For easy application, each process defines the purpose, the supervising department, the beginning and completion conditions, the promoted product, the process flow, and also deduces the needed functions per level. While in the machine technology review, the machine specifications have been categorized as basic, general, detailed, and common to achieve technical standardization upon machine development. For machine manufacturing and testing on the other hand, the checking of product quality, productivity, safety, maintainability is important, especially for the testing of the developed machine. Under operation and machine management, company machine categorization and code standardization has been applied to achieve effective machine investment.

      • Collective action and anti-piracy operations in the gulf of aden : conditions and motives for participation

        신준철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International anti-piracy operations have been taking place in the Gulf of Aden and Somalia since 2008 in response to the piracy threat that has been directly affecting international trade and threatening the lives and way of life of many states around the world. The area is much larger than any single state could protect on its own, which lead states to cooperate and rely on the naval assets of other states, despite of it being a military effort. The current study’s aim is to explain why states would cooperate in the collective, anti-piracy operations, since mainstream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tells us that states are not likely to participate in collective efforts in security affairs, much less when non-allies are involved. Using the logic of collective action as the theoretical framework, the current research applied four selected factors derived from the literature in piracy studies - the amount of shipping states have in the region, the number of attacks states suffered, the number of navy warships states possess, and whether a state is involved in an alliance. The research then tested these factors using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to generalize the conditions and reasons that states require and have to participate in the collective anti-piracy operations. It also focused on three cases - Singapore, Japan, and Iran – to provide evidence that states participate in the operations as a result of the factors mentioned; the case studies also observed if there were other factors that affected the decision to deploy warships and participate in the operations and that could not be sufficiently explained with the results of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for the most part, these factors correlated with the deployments and participation of the states in anti-piracy operations. However, one factor, the amount of shipping, did not seem to directly affect the decision of states to deploy their warships, suggesting that states would not participate in the operations unless their civilians were directly harmed. Finally, the case-studies revealed that other factors not tested with statistical analysis, such as prestige, international obligations, and military deterrence also shaped the decision of states to deploy their warships and participate in the operations. 국제 대(對)해적작전은 지난 2008년도부터 아덴만 인근 해역(아덴만, 소말리아, 인도양)에서 본격화되기 시작하였다. 특히 소말리아의 해적은 국제무역에 피해를 끼치고 자국민의 생명 및 재산을 위협하고 있기 때문에 국가들은 아덴만으로 군함을 포함한 해군력을 파견하여 자국의 이익을 보호해왔다. 하지만 각 국가는 아덴만 해역을 자국의 해군력만으로 보호하기에는 너무나 방대한 구역이라는 점을 인지하여 결국에는 해적을 소탕하기 위해 집단행동에 참여할 수 밖에 없었다. 본 연구는 국가들이 집단적, 대(對)해적작전에 참가하는 유인을 설명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국제정치의 주류이론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국가들은 안보와 관련된 집단행동(collective action)에는 참여를 하지 않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진행되고 있는 대(對)해적작전은 다양한 국가들이 참여하는 집단행동이라는 점에 착안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집단행동논리’라는 이론적 틀(theoretical framework)을 토대로 국가들의 대(對)해적작전 참여를 설명할 수 있는 4개의 변수(국가들의 아덴만 물동량, 해적으로부터 공격받은 회수, 보유 군함 척수, 그리고 주요 참가국와의 동맹여부)를 가설로 설정하고, 이에 대한 통계분석을 통해 국가들이 대(對)해적작전에 참여하기 위한 조건 및 동기에 대한 일반화를 시도하였다. 또한, 3개의 사례분석(case study)(싱가포르, 일본, 이란)을 바탕으로 상술한 변수들이 개별 국가의 대(對)해적작전 참여 동기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통계분석결과로 설명되지 않은 다른 변수도 존재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통계분석의 결과에 의하면 4개 요소 중 3개 요소(해적으로부터 공격받은 회수, 보유 군함 척수, 그리고 주요 참가자와의 동맹여부)는 통계적 유의미성을 보였으며 1개 요소(물동량)는 통계적 유의미성을 보이지 않았다. 이를 통해 국가들은 자국 국민들이 직접적으로 공격받거나, 이에 따른 실질적인 피해가 있어야만 집단행동에 참여한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사례분석 결과를 통해 통계학적으로 분석된 변수들 외에 다른 변수들(위상, 국제적 책임, 군사적 억제력 등)이 국가들의 군함파견 및 대(對)해적작전 참여 여부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제품브랜드 인지도와 인터넷 쇼핑몰의 인지도가 소비자의 위험지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신준철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많은 사람들은 인터넷을 단순한 정보 기술이 아니라 새로운 문화로까지 확대하여 해석하고 있다. 인터넷 비즈니스는 경제적·기술적 동기 때문에 향후에 급속한 속도로 확산되리라는 것이 전문가의 공통적인 전망이다. 이러한 인터넷의 이용 증가는 인터넷 쇼핑몰의 증가로 이어졌다. 앤더슨 컨설팅의 전망에 따르면 2005년에는 15조 원 규모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인터넷 쇼핑몰에 대한 소비자 행동에 관한 연구를 절실히 필요로 하게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상에서 각기 다른 구매 상황에 처한 소비자의 위험지각이 제품의 유형에 따라 어떠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가를 알아보고, 내구재와 비내구재 제품 구매시 제품브랜드 인지도와 쇼핑몰의 인지도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는 서로 다른 제품브랜드 및 인터넷 쇼핑몰의 조합에 대한 지각된 위험의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평균간의 차이가 유의한 가를 분석하는 t 검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소비자들이 동일한 구매상황에서 내구재와 비내구재 제품에 대해 느끼는 위험지각은 비내구재에 비해 내구재 구매 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소비자들이 내구재 구매 시 느끼는 재정적 위험과 기능적 위험, 준거집단에 의한 사회적 위험, 심리적 위험 등을 비내구재 구매시보다 더 많이 지각하게 된다고 말할 수 있다. 내구재·비내구재 구매 시 각각의 상황에서 비유명 쇼핑몰과 비유명 제품브랜드로 인한 위험지각 증가에 미친 영향과 유명쇼핑몰과 유명제품브랜드로 인한 위험 감소 영향을 분석한 결과 두 상황 모두 제품브랜드로 인한 위험의 지각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인터넷 쇼핑몰의 인지도가 제품브랜드의 인지도를 상쇄시키지 못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즉, 소비자는 아직 익숙하지 않은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구입을 통해 제품의 하자가 발생했을 때 A/S 문제나, 교환 또는 환불에 대한 환불의 문제 등을 제품브랜드에 전가시킨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제품브랜드의 인지도는 인터넷 쇼핑몰의 인지도보다 소비자가 제품 구매 시 느끼는 위험지각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It is said that Internet is a culture rather than a simple information technology. Experts predict internet business will go through a rapid expansion for the economic and technological reasons. This expansion of internet has brought the increase of internet shopping malls. According to the prediction of Anderson Consulting, the market size of internet shopping mall in Korea will reach ₩ 15 hundred billion by 2005. This is why the studies on the consumer behavior of the field is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meaningful differences in perceived risk of consumer s by the product categories and to analyze the influences of Product Brand Awareness (PBA) and Internet Shopping Mall Awareness (ISMA) on the perceived risks in purchasing the durables and non-durables. T-test was used to determine if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among the combinations of PBA and ISMA. The study shows that within the same purchase condition, the perceived risk is higher for the durable goods than for the non-durable goods. That is, consumers perceive more financial, functional, social, and psychological risks for the durables. It was also found that perceiving risk for PBA is higher than for ISMA from the comparison between increase in the combination of non-popular product brands and non -popular internet shopping malls and decrease in the combination of popular product brands and popular internet shopping malls. The conclusion is that PBA has more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perceived risk than ISMA. When consumer s have a problem with their products purchased in an internet shopping mall, they ascribe it to a product's fault rather than internet shopping malls'. As a summary, PBA influences the perceived risk of the consumers more than ISMA does.

      • 미중경쟁 심화와 한미 및 미일 동맹 결속도 변화요인 연구 : 오바마 2기 ~ 트럼프 행정부를 중심으로 ‐

        신준철 국방대학교 관리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오늘날 미국과 중국이 경쟁하는 국제정세 상황 속에서 오바마 행정부 2기와 트럼프 행정부의 한미 및 미일 동맹 결속도의 변화가 왜 서로 다르게 나타났는지에 대한 의문을 가지며 시작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가 미국의 안보정책 기조 및 전략과 한국ㆍ일본의 안보정책 기조, 대중 위협인식이 얼마나 정합하고 공유되었는지에 따라 변화가 다르게 나타났을 것이라 주장하고 있다. 실제로 한국과 일본은 미국과 중국의 경쟁을 받아들이는 입장이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 예컨대, 한국은 중국에 대한 무역의존도가 높은 경제적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그렇기에 중국을 견제하고자 하는 미국의 전략에 쉽게 참여할 수 없는 위치인 것이다. 반면에, 일본은 한국과는 다르게 이미 세계적인 경제 대국이었기에 타국에 무역 의존을 할 필요가 없었다. 그리고 중국과의 관계도 역사 및 영토 문제 등으로 인해 갈등을 겪고 있었으므로 중국을 견제하는 미국의 전략에 있어서는 적극적으로 가담하는 모습을 보여왔다. 결론적으로 한미동맹과 미일동맹 결속도의 변화는 미중 경쟁 심화라는 안보 상황의 변화로 인해 중국의 위협을 어떻게 인식하는가에 더 영향을 받기도 했다. 물론, 중국 외 북한, 러시아 등과 같은 안보 위협이 한미 및 미일 관계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될 수도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부상이 한미 및 미일 관계 변화에 있어 핵심적인 요인이라고 보았다. 그래서 중국을 대하는 美 행정부의 안보정책 기조 및 전략과 한국ㆍ일본 정부의 안보정책 기조, 대중 위협인식이 얼마나 정합하고 공유되었는지에 따라 관계 발전에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는 것이다. 고로, 주변국과의 경쟁에 있어 ‘포용ㆍ협조’의 안보정책을 추구한 오바마 행정부 2기와 ‘신뢰’를 추구했던 박근혜 정부의 안보정책 기조는 정합했음은 물론 양국이 중국의 위협을 인식하는 공유 정도 또한 유사하였기에 한미동맹 결속도는 강화되었다. 하지만, ‘수정주의적 내셔널리즘’과 ‘보통국가론’의 기조를 추구한 아베 정부 2기와는 안보정책 기조가 정합하지 않고, 중국의 위협인식을 공유하는 정도 또한 유사하지 않았기에 미일동맹 결속도는 약화된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와 반대로 ‘미국 우선주의’를 펼쳤던 트럼프 행정부에 와서는 ‘평화와 번영’의 기조 아래 협력의 안보정책을 펼친 문재인 정부와 기조가 정합하지 않고, 양국이 중국의 위협인식을 공유하는 정도 역시 유사하지 않았기에 한미동맹 결속도는 약화되었다. 그러나 자국의 이익을 얻기 위해 ‘독자적 협력’을 펼쳤던 아베 정부 4기와는 안보정책 기조가 정합했고, 중국의 위협을 인식하는 공유 정도 역시 유사하였기에 미일동맹 결속도는 강화된 결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오바마 행정부 2기에서 트럼프 행정부로 시기가 변화함에 따라 한미동맹의 결속도는 ‘약화’로 변화했고, 미일동맹의 결속도는 ‘강화’로 변화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한국의 윤석열 정부가 미중경쟁 상황 속에서 美 바이든 행정부와 동맹 관계를 어떻게 유지해 나아가야 할지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This study began with the question of why the changes in the solidarity of the ROK-US and US-Japan alliances during the 2nd Obama administration and the Trump administration were different in today's international situation where the US and China compete. Accordingly, this study argues that these results would have changed differently depending on how aligned and shared the US security policy stance and strategy, South Korea and Japan's security policy stance, and public threat perception were shared. In fact, Korea and Japan have different positions in accepting competi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For example, Korea has an economic relationship with China that is highly dependent on trade. Therefore, it is in a position where it cannot easily participate in the US strategy to contain China. On the other hand, unlike Korea, Japan did not have to depend on other countries for trade because it was already an economic powerhouse. Also, relations with China were not very smooth due to historical and territorial problems, so it showed an active piggyback on the US strategy of checking China. In conclusion, changes in the solidarity of the ROK-US alliance and the US-Japan alliance were more influenced by how we perceive China's threat due to the change in the security situation of intensifying US-China competition. Of course, security threats other than China, such as North Korea and Russia, may be factors that influence changes in ROK-US and US-Japan relations, but in this study, the rise of China is seen as a key factor in changes in ROK-US and US-Japan relations. So, the development of relations was influenced by how well the U.S. administration's security policy stance and strategy toward China, the security policy stance of the South Korean and Japanese governments, and the perception of threats to China coincided and were shared. Therefore, in competing with neighboring countries, the 2nd Obama administration, which pursued a security policy of 'embrace and cooperation', and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 which pursued 'trust', coincided with each other, and the degree of sharing in which both countries perceived China's threat was also similar. As a result, the solidarity of the ROK-US alliance was strengthened.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 solidarity of the U.S.-Japan alliance was weakened because the security policy stance did not coincide with the second Abe administration, which pursued the "modificationist nationalism" and "ordinary state theory," and the degree of sharing China's perception of threats was not similar. On the contrary, the Trump administration, which had "America First," did not agree with the Moon Jae In government, which had a security policy of cooperation under the "peace and prosperity," and the degree of sharing China's perception of threats was not similar, weakening the solidarity of the Korea-U.S. alliance. However, the 4th Abe administration, which pursued “independent cooperation” to gain its own interests, had the same security policy stance and the degree of sharing in recognizing China’s threat was also similar, confirming the result of the strengthening of the US-Japan alliance. Therefore, as the time changed from the second term of the Obama administration to the Trump administration, the solidarity of the ROK-US alliance changed to ‘weakening’, and the solidarity of the US-Japan alliance changed to ‘strengthening’. Based on this, this study seeks to derive implications for how Korea's Seok-Yeol Yoon administration should maintain an alliance with the Biden administration in the United States amidst the US-China compet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