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mplitude Approach를 이용한 도래각 탐지 안테나 시스템 구현

        申淨錄 淸州大學校 200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선도차량(Lead Vehicle; LV)과 단거리(short-range)를 유지하면서 무선위치 추적을 통하여 따라가는 자진차량(Autonomous Vehicle; AV)의 실시간 유도시스템을 구현하였으며, 그 결과를 이론치와 비교하였다. 기존의 도래각 추정 알고리즘인 MUSIC과 ESPRIT 방식은 도래각 추정에 필요한 연산시간이 길고, 장거리(long-range)에 적용하기 위한 것이다. 구현된 시스템은 지상에서 단거리(2∼50m)내를 이동하고 있는 선도차량으로부터 방사된 전자파를 감지하여 실시간으로 자진차량(AV)을 유도하기 위한 도래각 탐지 시스템이다. 시스템의 안테나 배열구조는 서로 인접한 안테나로부터 수신전력패턴의 변화를 크게 하여 도래각을 효율적으로 탐지할 수 있는 원형배열 구조를 사용하였다. 단거리내에서 이동하고 있는 신호원의 도래각 변화를 크게 하고, 정확한 측정을 위해 반-전력빔폭(HPBW)은 26˚, 개구의 크기는 64.3x82.5㎟인 피라미드 혼 안테나 7개를 반경 45㎝의 반-원형 구조로 배열하였을 뿐만 아니라 지향성 안테나는 90.0˚를 중심으로 좌-우 15.0˚의 간격으로 배치하였다. 각각의 수신안테나로부터 수신전력패턴을 1ms이내에 16개의 채널을 읽어들여 이동좌표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 각각의 수신전력을 입력받아 각 채널별 평균값을 구하여, 이동 신호원의 이동 좌표를 실시간(60ms이내)으로 표시하였다. 신호원의 도래각을 찾기 위한 방법으로 각각의 수신안테나에 들어오는 전력패턴의 비를 비교하여 최대값을 수신한 안테나 방향으로 도래파가 존재한다고 가정하고, 인접한 수신안테나의 전력패턴이 동일하게 나타나는 경우 정확한 도래각 추정을 위해 3차 spline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정확한 도래각을 탐지하고 이동좌표를 표시하였다. 제안한 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이동 신호원 주파수가 X-대역의 10.30GHz, 송신출력을 9.7dBm, 이동신호원의 중심좌표는 (0cm, 461cm), 측정거리는 461cm로 하여 (-120cm, 461cm)에서 (+120cm, 461cm)까지 0.5cm 간격으로 수평 이동하면서 측정한 결과 최소 99.6%로 이동 신호원의 위치좌표를 탐지하였다. 구현된 시스템은 선도차량(LV)으로부터 단거리내에서 유도되고 있는 자진차량(AV)의 실시간 유도 시스템으로 사용 가능하였다. In this papaer, we have proposed new method to apply at the real time system of autonomous vehicle which is moving in the short range and implemented system using the proposed method. The Music and ESPRIT which is the angle of arrival estimation algorithm of past tense have log processing time to need for the angle of arrival estimation, and have been applied with long range. The implemented system is the angle of arrival detection system to autonomous vehicle with real time to detect electromagnetic wave from the lead vehicle which is moving in the short range(2∼50m) on the earth. The antenna array structure of measurement system is circular array structure which can efficiently detect the angle of arrival to large variation of received power pattern from the adjacent antenna mutually. In order to large the angle of arrival variance of signal source which is moving in short range and measure with accuracy, 7 pyramidal home antenna which HPBW is 26˚, size of aperture 64.3x82.5㎟ have been arranged with semicircular structure of 45cm radius, and also directional antenna have been arranged with which distance between left and right is 15˚and center is 90.0˚. In order to arise the reliability, we have displayed with real time moving coordinate of moving signal source to obtain mean value for receiving input power of each channel. In order to certification of the proposed method, for frequency of moving signal source is 10.30GHz of X-band, transmitted power is 9.7dBm, and center coordination of moving signal source is (0cm, 461cm), we have detected position coordination of moving signal source to 99.6% in the result of measurement on horizontally moving from (-120, 461) to (120, 461) with 0.5cm distance. The implemented system have been available for real time system of autonomous vehicle which derived in the short range from lead vehicle.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 EBS 영어 독해 교재,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 독해 지문의 이독성 비교

        신정록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주관하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시험의 출제 방향에 대해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내용과 수준에 맞추어 학교 교육의 정상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출제한다고 제시하고 있다. 또한 세부적인 시행 계획에서 공교육의 내실화와 사교육비 경감을 위하여 학교 수업 보충 자료인 EBS 수능 교재를 대학수학능력시험과 70% 수준으로 연계한다고 밝히고 있다. 즉, 대학수학능력시험이 학교 교육과정의 핵심인 교과서와 교육과정을 보충하는 EBS 수능 교재의 수준에서 출제된다는 점이다. 하지만, 학교 현장에서 체감하는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영어) 영역의 독해 지문 난이도는 3학년에서 배우는 영어 교과서보다는 높고 EBS 수능 영어 교재와는 비슷한 수준을 보여주고 있다.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출제 방향과는 다른 양상을 보여주는 실질적인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영어 교과서, EBS 수능 영어 교재, 그리고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영어) 영역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읽기 텍스트의 난이도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인 New Dale-Chall 이독성 공식을 사용하여,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의거한 영어 II 교과서 3종, 2011년 및 2012년에 출판된 EBS 수능특강 외국어 영역 2권, 그리고 2012학년도 및 201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영어) 영역의 읽기 지문 난이도를 비교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본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영어 II 교과서 3종 각각의 이독성 평균 수치는 6.74~6.98 정도로 서로 비슷한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수치는 시대 변화를 반영한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취지를 고려하면 적당한 이독성 수치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3종의 영어 교과서 모두 단원이 올라갈수록 점차적으로 심화된 내용의 순서대로 배열되어 있지는 않았다. 둘째, 2011년 및 2012년 EBS 수능특강 외국어 영역의 평균 이독성 수치는 각각 7.39와 7.53으로 거의 비슷한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영어 II 교과서 전체의 평균 이독성 수치가 6.84임을 고려하면 학교 교육과정 보충 학습 자료인 EBS 수능 교재가 고등학교 교육과정보다 더 높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2012학년도 및 201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영어) 영역의 이독성 수치 평균을 살펴보면, 2012학년도 수능에서는 7.39이지만 2013학년도 수능에서는 조금 상승하여 7.62를 나타내고 있다. 영어 II 교과서의 평균 이독성 수치가 6.84임을 고려하면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영어) 영역이 학교 교육과정보다 더 높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EBS 수능특강 외국어 영역의 이독성 평균 수치가 7.39 및 7.53 정도이므로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영어) 영역이 학교 교육과정이 아니라 오히려 EBS 수능 영어 교재의 수준을 반영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영어) 영역에 70% 정도 반영되는 EBS 수능 영어 교재가 학교 교육과정을 넘어선다면 대학수학능력시험 또한 교육과정의 수준을 넘어서게 된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영어) 영역이 학교 교육과정의 수준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면 정상적인 교육과정을 토대로 교육이 이루어지는 공교육은 대학 입학시험에 대한 학생들의 욕구를 채워줄 수 없다. 대학 입학시험이 교육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우리나라 교육 현실에서 학생들이 공교육에서 욕구를 채우지 못하면 결국 사교육에 의존할 수 밖에 없다. 공교육의 내실화 및 사교육의 억제를 위하여 EBS 수능 영어 교재 및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영어) 영역의 텍스트 난이도를 학교 교육과정을 대표하는 영어 교과서의 수준에 맞게 재조정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