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수학적 연결성 관점에서의 고등학교 수학Ⅱ 교과서 분석

        신유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수학Ⅱ> 교과서를 수학적 연결성의 내적, 외적 측면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교수·학습 방법 및 차기 교과서 개발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수학 개념이 지닌 내적 연결성에 내포된 수학 개념의 계통성에 대해 깊이 있는 이해를 제공하고, 외적 연결을 통해 어떤 맥락에서 어떤 교과와 연결하여 지도 가능한지 분석하기 위해 수학적 연결성을 내적 연결과 외적 연결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수학Ⅱ> 교과서에서 수학 내적 연결성은 단원별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 2.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수학Ⅱ> 교과서에서 수학 외적 연결성의 유형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적 연결의 빈도수는 532개로 개념 연결은 전체의 42.10%인 224개로 나타나고 있고, 표현 연결은 57.89%인 308개가 나타나고 있다. 단원별로 내적 연결을 분석한 결과 다항함수의 미분법 단원이 개념 연결 53.12%, 표현 연결52.27%로 내적 연결의 모든 부분에서 높게 나타났다. 미분 단원은 변화 현상을 해석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학습해야 하는 선수학습 지식의 내용이 많아 개념 연결의 사례가 많았고, 변화율을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그래프나 표를 활용하는 표현 연결의 사례도 많이 나타났다. 둘째, 외적 연결의 빈도수는 486개로 나타났으며 맥락 연결이 197개, 교과 연결이 289개로 나타났다. 수학과 과학의 긴밀한 교과 특성상 연결의 비중이 높고, 연결의 소재가 과학 분야에서 이루어진 경우 넓은 범위에서 수업의 소재로 활용 가능하므로 교과 연결로 포함하여 분류하였던 까닭에 과학 교과 연결의 비중이 높았던 것으로 분석된다. 교과 연결은 과학, 기술, 사회 교과 순으로 연결 비중이 높게 나타났고, 체육, 미술, 가정, 음악 교과와의 교과 연결의 빈도수는 낮게 나타났다. 셋째, 맥락 연결 197개의 유형별 빈도수는 실생활 맥락 연결 사례가 115개로 전체의 58.37%, 수학사 맥락 연결은 24.36%인 48개, 공학적 도구 활용은 17.25%인 34개로 나타나고 있으며 맥락 연결이 가장 높은 단원은 다항함수의 미분법 단원이었다. 실생활 맥락은 개인의 사생활에서 볼 수 있는 현상과 관련되는 개인적 맥락이 가장 높은 빈도수로 나타났고, 수학사 맥락은 수학자의 삶, 업적의 일화를 소개하는 H-1의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공학적 도구 활용은 공학 도구 활용 방법이나 설명 없이 공학 도구 화면만 제시하는 T-1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분석 단위별로 외적 연결을 분석한 결과 맥락 연결은 전체의 33.5%가 도입 부분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외적 교과 연결은 전체의 46.37%가 문제 부분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다. 도입 부분에 맥락 연결이 높은 것은 단원의 도입 부분에 학습자의 학습 동기를 유발하기 위한 흥미 있는 소재를 맥락과 연결하여 제시하기 위한 의도로 분석되고, 문제 부분에서 외적 교과 연결이 높은 것은 속도, 가속도, 거리와의 내용을 다루는 소단원 자체가 현실적인 맥락을 도입하여 타 교과와의 연결을 시도하고, 관련 개념을 확인하기 위한 문제가 다수 제시되어 높은 비중이 나타났던 것으로 분석된다. 연구 결과로부터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서로 다른 수학 개념 사이, 수학 내 다른 주제들 사이의 관계를 인식할 수 있게 내적 개념 연결을 강조해야 한다. 수학적 개념은 계열성과 계통성을 지니고 있어서 선수 학습 지식이 뒷받침되어야만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개념의 학습으로 나아갈 수 있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수학적 연결성에 대해 탐구하여 수학 내·외적 상황에서 수학을 인식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교과서를 활용하여야 한다. 둘째, 실생활 맥락 연결에서는 다양한 주제와 연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수학이 실제 생활에 활용되고 있고, 유용하다는 가치 인식을 통해 태도 및 실천 역량이 향상되도록 개인적 맥락 뿐 만 아니라 사회적, 직업적 맥락의 주제도 다양하게 연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셋째, 수학사 맥락 연결에서는 수학사와 관련하여 학생들이 직접 경험해 볼 수 있는 실질적인 수학사 체험의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수학의 역사가 길고, 많은 수학자들의 연구 결과로 수학의 논리성과 엄밀성이 확보되었던 만큼 개념 발달 과정에서 수학자가 겪은 일화나 그들이 해결한 난제들의 사례가 학습 자료로 교과서에 의미 있게 수록되면 수학사에 대한 실제적인 관심과 수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갖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공학적 도구 활용을 활용함에 있어 형식적인 학습 이전에 직관적인 탐구 활동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형식화, 추상화 되어 있는 수학 내용을 공학적 도구를 활용하여 시각화하는 것은 수학 개념 이해에 도움을 줄 수 있으므로 공학 도구를 활용한 과제들을 단원의 도입 부분에도 배치하여 형식적인 학습 이전에 직관적인 탐구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외적 교과 연결에서는 과학, 사회, 기술 교과 뿐 만 아니라 다양한 교과와의 연결을 바탕으로 교육 과정 전반에 걸친 포괄적인 연결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실제적인 변화율을 담고 있는 데이터를 활용하여 이 상황을 수학적으로 모델링하는 경험을 통해 미적분의 유용성을 느낄 수 있는 연결이 필요하고, 다양한 모델이 제시되어 있는 외적 교과와 연결하여 융합적인 사고를 신장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여섯째, 교육과정 개정으로 인한 내적 개념 연결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학습자의 인지적 구성 순서에 역행하지 않도록 교사의 지도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때, 공학적 도구를 활용하여 구체적이고 직관적인 활동을 추가하거나 <수학Ⅱ> 이후에 학습하는 <미적분>에서 수학 개념 정의의 변화를 인식시키고 부족한 부분에 대한 보충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창의·융합 역량의 신장과 융합적 지식이 강조되고 있는 시대적 상황에 맞춰 개발된 2015 개정 <수학Ⅱ> 교과서를 수학적 연결성의 관점에서 분석하였으며, 본 연구 결과가 교수·학습 방법 및 차기 교육과정의 교과서 개발에 참고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teriocin-producing Lactobacillus salivarius PG1230 from piglet

        신유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855

        젖산균은 각종 동물의 장관 내에 서식하며 소화관내에서 점막 보호 및 장내 이상발효의 개선, 칼슘의 체내 흡수 촉진 등 여러 가지 유익한 생리작용을 나타내기 때문에 정장제와 같은 의약품과 사료 첨가제로도 이용되고 있다. 또한 젖산균에 의한 bacteriocin의 생산이 보고된 이래로 젖산균 유래의 bacteriocin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는 자돈의 분변으로부터 분리된 Lactobacillus 균주의 antimicrobial substance 생산과 그 특성을 조사하고 부분 정제함으로서 천연 식품 보존제 또는 첨가제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단국대학교 실험농장에서 사육하는 자돈 분변시료에서 분리된 250 종의 유산균주에 대해 well diffusion agar method를 사용하여 다수의 유산균을 1차 선발하였으며 이 중에서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의 억제능이 가장 우수한 PG1230을 분리하였다. 최종 선발된 PG1230 균주는 형태학적 특징, 생화학적 특성 및 16S rRNA 유전자 서열분석을 통하여 Lactobacillus salivarius PG1230으로 동정되었다. L. salivarius PG1230는 pH 3.0에서 90분간 반응시켰을 때에도 접종 초기의 생균수와 거의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한편, 담즙산염 0.1%와 0.3%를 첨가하였을 때, 0.1%를 첨가한 처리구에서는 대조구와 비슷한 수준의 생균수를 유지하였지만, 0.5%를 첨가한 처리구에서는 12시간부터 50% 이상 균수가 감소하였다. 장 흡착능 실험을 통해 PG1230을 단독으로 실험한 처리구에서는 108을 처리하였을 때 107의 생균수가 유지됨을 확인하였으며, E. coli K88과 함께 처리하였을 때에는 E. coli K88의 흡착능을 저하시켜 108을 처리하였음에도 L. salivarius PG1230을 처리하였을 때에는 103의 생균수만을 확인하였다. 이는 시중에 Probiotics로 사용되고 있는 L. rahmnosus GG와 비교하였을 때에도 더 높은 흡착력을 확인하였으므로, L. salivarius PG1230이 돼지의 장 상피세포에도 잘 흡착함을 알 수 있었다. L. salivarius PG1230이 생산하는 항균물질은 Listeria monocytogene, Streptococcus agalactiae, S. aureus, Lactobacullus fermentum, Lactobacullus dulbruekii, Lactobacullus salivarius, Lactobacullus acidophilus, Bacillus cereus를 억제할 뿐만 아니라 Salmonella Typhimurium, Shigella flexneri 등의 성장을 억제하였다. L. salivarius PG1230의 생육에 따른 항균 활성을 측정한 결과, 생장정체기 초기에 최대 활성 (40AU mL-1)을 나타내었으며 생장정체기 동안에도 활성을 잃지 않았다. 항균물질의 활성은 pH 2-12 구간에서 소실되지 않아 열에 안정한 물질임을 알 수 있었다. L. salivarius PG1230가 생산하는 항균물질은 단백질분해효소 처리 후에 활성이 실활 됨으로써 단백질성 물질인 것으로 추정하였다. L. salivarius PG1230의 항균물질을 정제하기 위해 배양상등액을 Ammonium sulfate precipitation 후, Sep-pak C-18 cartridge, BioSep-SEC-S2000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에 의해 부분 정제한 뒤, 항균활성이 있는 fraction을 Reverse phase-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를 진행하였다. 정제된 fraction을 Tricine-SDS-PAGE 실험을 통하여 항균물질의 분자량이 약 5kDa 정도임을 알 수 있었다. A bacterium showing inhibitory activity against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was isolated from piglet. The isolate, PG1230, was found to be the Gram-positive, rod-shaped, non-motile, and catalase-negative strain. It was identified as Lactobacillus salivarius based on its morphological and biochemical properties, as well as its 16S rRNA sequence. The antimicrobial substance partially-purified from the culture supernatant of L. salivarius PG1230 was inactivated by proteinase K, trypsin, pepsin and ?-chymotrypsin, but was stable with lipase and ?-amylase, which indicates its proteinaceous nature. The antimicrobial substance had a molecular weight of approximately 5kDa in tricine SDS-PAGE analysis. Its activity was not affected by pH changes ranging from 2 to 12 and various heat treatments (120?C for 15min). It was found to be stable after organic solvent treatment, such as ethanol, isopropanol, acetone, and acetonitrile. Furthermore, the strain exhibited good acid tolerance in an artificial gastric solution as well as bile resistance in media containing 0.3% bile acid, comparing with L. rhamnosus GG. The adhesion of each individual strain (PG1230 and LGG strains) to mucin and their effect on E. coli K88 adhesion to pig intestinal mucus obtained from the duodenum and ileum was compared. PG1230 and LGG strains maintained the level of the initial cell number mainly in the ileum. Both strains had the ability to inhibit pathogen adhesion on both the duodenum and ileum. However, the PG1230 strain more effectively reduced the adhesion of E. coli K88 than the LGG strain. These results demonstrate the potential of L. salivarius PG1230 as a probiotic that can be utilized in foods and might be beneficial for animal health as well.

      • Hippocampal neural stem cell에서 인슐린 결핍에 의해 유도되는 autophagic cell death에서 KLF15의 역할 규명

        신유리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55

        퇴행성 뇌 질환 및 물리적 손상에 의한 신경계 질환을 대상으로 소실된 특정 신경 세포를 대체할 수 있는 성체신경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법 개발 연구들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식 후 미미한 성체신경줄기세포의 생존율은 세포 치료제 개발에 커다란 걸림돌이 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성체신경줄기세포의 생존율에 영향을 주는 요인 규명 및 생존율 향상 방안 모색과 같은 연구가 필요하다. 성체 포유류 뇌 속 해마와 뇌실에 신경세포로 분화, 증식하는 줄기세포가 존재하며 이 성체해마신경줄기세포(Adult hippocampal neural stem cells, HCN) 는 새롭게 이식된 뇌에서 이식 부위 신경 network 에 잘 연결되어 기능하며 그 과정에 retinoic acid, leukemia inhibitory factor, bFGF, insulin 등의 신경발생 외부 인자들이 중요하게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중 신경발생 성장인자로 필수적인 인슐린이 결핍되면 성체신경줄기세포 생존율이 저하되며 그 관련 기전으로 autophagic cell death 가 연관되어 있음이 보고되었다. Autophagy 는 영양분 고갈, 산화 스트레스, 외부 감염 등 다양한 외부 자극에 의해 유도되는 현상으로 autophagosome 이라는 세포 내 특정 구조물을 형성하여 불필요한 단백질 또는 세포 소기관등을 소화하여 세포의 항상성을 유지하거나 세포사를 야기한다고 알려졌다. 본 연구에서는 성체신경줄기세포에서 생존에 필수적인 인슐린 결핍에 의해 유도되는 autophagic cell death 의 자세한 신호전달 기전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우선 성체신경줄기세포에서 인슐린 유무에 따른 유전자 발현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microarray 를 수행하였으며 인슐린 결핍 24시간 경과 후 세포에서 412개, 48시간 경과 후 세포에서 136개의 유전자가 유의하게 발현 양상에 차이를 보였다. 이 중 zinc finger DNA 결합 단백질로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고, 세포의 성장, 분화, 신진대사, 염증, 발암, 생리 및 병리 등 다양하게 관여한다고 알려진 KLF15를 핵심 단백질로 선정하여 autophagy 기전과의 연관성을 관찰하였다. 성체줄기세포에서 인슐린 결핍에 따라 세포 생존율이 저하되고 auotphagy 현상이 유도되며 KLF15 유전자 발현 및 단백질 발현이 증가 되었다. KLF15 단백질 발현 증가는 인슐린 제거 후 이른 시간부터 관찰 되며 이는 autophagy 유도 기전 초기에 관여함을 유추할 수 있다. Autophagy 기전에 주요 단백질인 AMPK와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AMPK 활성약제인 AICAR 처리시 KLF15 단백질 발현이 증가되며 autophagy 현상이 유도됨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KLF15가 AMPK와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성체신경줄기세포에서 인슐린 결핍에 의해 유도되는 autophagic cell death 기전에 중요한 신호전달 인자로 작용함을 알 수 있다.

      • 영상 아카이브 활용의 측면에서 본 편집 다큐멘터리의 가치 : <88/18>과 <모던코리아> 시리즈를 중심으로

        신유리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55

        1980년대 이후의 한국 현대사를 돌아본다는 취지로 제작된 <88/18>과 <모던코리아> 시리즈는 KBS가 소장하고 있는 영상기록물을 창작 자원으로 삼아 제작한 편집 다큐멘터리(compilation documentary)이다. 편집 다큐멘터리는 제작 과정에서 촬영을 배제하고 기존에 존재하는 영상물의 편집을 통해 제작한 다큐멘터리를 지칭하는데, 다양한 아카이브를 비롯한 여러 출처로부터 발견한 영상물을 재구성함으로써 새로운 관점이나 의미를 부여한다는 특징을 지닌다. 이 연구는 <88/18>과 <모던코리아> 시리즈가 아카이브의 활용이라는 측면에서 지니는 기록학적 의의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88/18>과 <모던코리아> 시리즈에서 주목할 점은 영상기록물을 생산되던 시점의 목적 그대로 활용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다큐멘터리 연출자는 30여 년이 지난 시점에서 기록을 다른 측면에서 해석하고 가공해 활용한다. <88/18>과 <모던코리아> 시리즈는 아카이브에서 기록을 발굴하고 재해석한 결과물이며, 기록에 부여된 단일하고 고정적인 의미 이상으로 새로운 의미와 통찰을 발현시킨다는 점에서 가치를 지닌다. 또한 여기서 활용된 영상기록물은 방송영상물로 대중의 집단기억 형성과 역사 인식에 주요하게 영향을 끼쳐 온 이미지이다. <88/18>과 <모던코리아> 시리즈는 이를 재료 삼아 과거를 재구성하고 그 이면을 드러내며 주목받지 못했던 부분을 다시 조명한다는 점에서 집단기억의 재생산과 역사적 다양화에 기여한다. <88/18>과 <모던코리아> 시리즈가 아카이브를 매개로 과거에 접속할 수 있는 것은 기록의 증거적, 정보적 가치에서 기인한다. 동시에 다큐멘터리에서 활용된 이미지가 실제 과거의 대상과 연결되어 있다는 감각은 시청자에게 흥미와 감동을 유발하는 요인이 된다. 한편, 편집 다큐멘터리에서 기록은 일정부분 가공되고 변형된 형태로 활용되기 때문에 기록의 맥락에 대한 조사 및 연구가 선행되어야 사실의 오류를 방지하고 과거에 대한 입체적인 해석이 가능하다. <88/18>과 <모던코리아> 시리즈는 아카이브를 창작 자원으로 활용한 하나의 사례로서 기록의 가치와 활용 가능성을 확장하고 아카이브를 활성화시킨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88/18> and <Modern Korea> series, which were produced to look back on modern korean history since the 1980s, are compilation documentaries produced using archival footage collected by KBS as a creative resource. A compilation documentary refers to a documentary that is produced by editing the existing footage instead of conducting the filming. In addition, a typical feature of the compilation documentary is that it delivers a new point of view or new meanings under the process of reorganizing found footage from various resources including arch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88/18> and <Modern Korea> series through the aspect of using archives. What is noteworthy in the <88/18> and <Modern Korea> series is that the archival footage is not used as it was for the purpose of production. The director applied it to reinterpret and process different aspects based on more than 30 years of historical gap. These series were the outcome of reusing and reinterpreting the archival records, and further, they had significant value to reveal new meanings and insights beyond the single and fixed meaning given to the records. In addition,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se archival footage was the significant image that supported the public formation of collective memory and historical cognition. By using previously mentioned resources, the <88/18> and <Modern Korea> series purposefully contributed to reproducing the past, revealing the hidden backgrounds, and appealing to the areas that were not recognized to support recreating the collective memory and to diversify the history. A reason <88/18> and <Modern Korea> series were capable of accessing the past through archives as a medium is based on the evidential value and informational value of the records. At the same time, the sense that the images in the documentary are related to actual historical facts triggers the viewer’s interests and emotions. Since the compilation documentary uses partially edited and modified records, this study reminded the importance of investigation and close literature reviews based on the context to prevent factual errors and to encourage multilateral interpretation of past. The <88/18> and <Modern Korea> series were examples of using archives as a creative resource. This study found these compilation documentaries are significant that they activated the archives to enlarge the value and potential use of the archival records.

      • 미중 경제안보 경쟁 심화에 따른 우리나라 외교 전략 고찰 : 반도체 동맹 논의를 중심으로

        신유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미중 경제안보 경쟁 심화에 따른 우리나라 외교전략을 반도체 동맹을 중심으로 논의한다. 오늘날 반도체를 비롯한 경제안보의 중요성이 심화되며 미중 간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국제사회는 공급망 논의에서 새로운 질서를 형성해나가기 위해 자국 우선주의 기반의 산업 육성 전략을 펼치고 있다. 반도체 산업에 있어 결코 적잖은 영향력을 보유하고 있는 우리나라이지만, 미중 간 경제안보 경쟁 상황과 빠르게 논의되고 있는 반도체 동맹 구성에 있어 우리나라의 외교 및 산업 생존 전략을 모색할 필요성이 커졌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경제안보의 등장 배경과 미중 반도체 경쟁을 이론적인 관점에서 먼저 이해하며, 반도체 동맹의 종류와 관련된 미중 각국의 정책을 비교분석했다. 나아가 관련 논의에 있어 우리나라의 외교·산업적 현황과 딜레마, 기존 대응의 한계와 전망 시나리오, 고려할 변수 등에 대해 다루었다. 우리나라의 외교 전략을 도출해내는 과정까지 본 연구는 다음 세 가지 함의를 시사한다. 첫째, 오늘날 미국이 적극적으로 구상하고 있는 반도체 동맹의 종류는 크게 ‘선별 전략 동맹’과 ‘포괄 동맹’이라는 두 가지 항목으로 나뉜다. 분업화된 국제 공급망의 특성을 반영하는 반도체 동맹은 세력전이와 공급망의 패권 강화라는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으며, 참여국의 성격은 일방적인 편승보다 자국 이해관계에 따른 참여적 형태가 더 강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미중 간 정책에 있어 미국은 동맹국의 참여를 바탕으로 한 대중 규제 정책을 구사하고 있으며, 보조금 지원 등을 통한 자국 산업을 육성해나가며 그 과정에 있어 반도체가 군사력에 활용되는 것을 염두하고 있다. 중국은 미국의 정책을 비판하고 있으나 마찬가지로 우방국 확대를 통해 미국의 공세에 맞대응하고 있으며, 군민융합 전략을 통해 반도체 자급력을 강화하고 있다. 종합하면, 미국 주도의 반도체 동맹 논의가 심화될수록 반미 연대 형성도 강화되고 있으며 그로 인한 전체적인 안보 비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우리나라는 미국의 보조금 요건 변화 등 관련 정책의 유동성에 있어 산업적 리스크를 겪고 있으며 중국에 편중된 광물 공급망에 있어서도 상당한 불안정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미중 사이에서 한쪽편만 들기 어려운 반도체 공급망 구조 속 국내 기업들의 딜레마가 커지고 있다. 셋째, 반도체 동맹의 장기적인 시나리오와 관련해 미중 간 디커플링이 지속될 경우 공급망 전반의 분열이 더욱 심화할 것으로 보여지며, 미국 중심의 단일 질서 형성 가능성은 현실적으로 낮을 것으로 관측됐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기존 공급망 내에서의 시장 교역이나 상호의존도 등을 고려할 때 미중 간 온전한 디커플링에 한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밖에 오늘날 EU 등과 같은 국가들이 독립적인 공급망 형성을 위한 정책을 육성하고 있어 제3전선 형성 가능성도 존재한다. 결과적으로, 우리나라의 외교전략과 관련해 본 연구는 다음 세 가지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국내 산업 경쟁력을 활용해 대미·대중 차별적 협력 정책을 구사하여 외교 협상력을 강화해야 한다. 둘째, 국내 반도체 산업 육성 및 공급망 관리 정책을 구사함과 동시에 민간 기업 간 네트워크를 강화해 국가 간 정책적 유동성에 대응해야 한다. 시스템 반도체 전반의 생태계 구축과, 편향된 공급망 관리, 그리고 국내 기업이 수혜를 입을 수 있는 산업 전략을 지속적으로 도모해야 한다. 셋째, 변화하는 국제정세와 반도체 동맹 시나리오의 불투명성에 대응하기 위해 국가 대 국가, 그리고 국제 거버넌스 구축 과정 등 전반에 있어 전략 관계를 다변화해야 한다. This study demonstrates on Korea’s diplomatic strategy in intensifying economic security rivalry between the U.S. and China, focusing on semiconductor alliance discussion. Today, the international society is implementing a national priority-based industrial strategy in order to secure its share in the formation of a new semiconductor supply chain order, which derived from the competition between the U.S. and China. Accordingly, although the South Korea is competent enough in semiconductor industry, there has been a growing need for them to search for its own diplomatic and industrial survival strategies among the new formation of semiconductor alliance. To figure out the answer, this study first reviewed the background of economic security and the competition of the US-China in semiconductor field from a theoretical perspective, and analyzed each country’s policy related to the semiconductor alliance. Further more, the study figured out the South Korea’s diplomatic and industrial situation and dilemmas, limitations of existing responses, prospective scenarios and long-term variables to consider in related discussion. In the process of finding out the South Korea’s diplomatic strategies,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three implications. First, the type of semiconductor alliance led by the U.S. consists of ‘selective strategic alliance’ and ‘comprehensive alliance’. Second, as the discussion of the US-led semiconductor alliance intensifies, the formation of an anti-America alliance is also strengthening, in turn, the overall security cost in increasing. Especially, the dilemma of domestic companies is growing in the supply chain structure, due to the difficulty in taking one side between the two countries. Thirdly, regarding the long-term scenario of the semiconductor alliance, the overall supply chain division is expected to intensify if the US-China decoupling continues. However in reality, there will be a limit to the full decoupling between the two countries, considering market trade and interdependence within the existing supply chain. As a result, the study is suggesting the following three South Korea’s diplomatic strategies. First, Korea should strengthen its diplomatic negotiation skill by utilizing different cooperation policy between the U.S. and China, based on its domestic industrial competitiveness. Second, it is important to respond to policy liquidity between countries by strengthening network of private companies, and at the same time, increasing the overall competitiveness of non-memory semiconductor industry and managing a biased supply chain. Lastly, in order to cope with the changing international situation and variable semiconductor alliance scenario, strategic relation should be diversified, both in the nation-to-nation and international governance base.

      • 팝송을 통한 중학생들의 영어듣기능력 향상에 관한 연구

        신유리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855

        이 연구의 목적은 수준별 이동 수업 학급 기본반 학생들의 수업에 팝송을 접목시켜 수업을 진행하였을 때, 이를 통하여 학생들의 영어 듣기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알아보고 수업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이와 더불어 팝송을 활용하여 학생들을 지도하였을 때, 학생들이 영어 학습에 흥미와 자신감을 가지고 보다 만족하며 수업에 임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이것들이 그들의 실력향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에 관하여 파악해 보고자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제기하였다. 첫째, 영어 듣기 능력 향상 지도에 있어, 교과서 수업 외 팝송의 도입은 영어 듣기 능력을 향상 시킬 것이다. 둘째, 영어 듣기 능력 향상 지도에 있어서, 교과서 수업 외 팝송의 도입은 학생의 수업에 대한 흥미도, 자신감, 그리고 만족도를 높여줄 것이다. 이 연구를 분석하기 위하여 2011년 3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8개월 동안 익산시 소재 B중학교 2학년 기본반 학생 8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총 1번의 사전 평가와 2번의 사후 평가를 비교하여 듣기 능력의 성취도를 조사하였으며, 사전 ․ 사후 설문지 조사를 통하여 팝송 수업의 흥미도 ․ 자신감 ․ 만족도를 조사하여 여기에서 얻어진 점수를 바탕으로 결과를 도출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낼 수 있었다. 첫째, 성취도 검증의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듯이, 팝송을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한 실험 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훨씬 높은 성취도를 보였다. 이렇듯, 교과서와 병행한 팝송 수업이 학생들의 영어 듣기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큰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둘째, 실험반 학생들의 실험 전 ․ 후 설문지 조사결과에 의하면, 학생들은 팝송 공부를 통해 영어 학습에 관한 흥미도와 만족도와 자신감 등의 학습의 내적 동기를 불러 일으킬 만한 요인들이 향상 되었고, 이는 더 나아가 학생의 듣기 능력 성취도의 향상에 도움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영어 듣기 능력이 단 기간에 향상 될 수는 없다라는 것은 이미 알고 있는 사실이다. 따라서 현장에 있는 교사들은 학생들의 듣기 능력 향상을 위해, 팝송의 활용뿐만 아니라 더욱더 효과적인 많은 방법들을 개발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학습자들로 하여금 영어 학습에 더 많은 흥미를 느끼고 학습 능력의 고취에 힘쓸 수 있게 하는 그러한 교육이 교육 현장에서 이루어 질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eaching listening comprehension through English pop songs and to find a way to improve students' listening skills as well as their motivation. In addition, the study is interested in finding out whether the students feel more satisfied and confident when learning English with pop songs, and how the satisfaction and the confidence effect the students' English skills. The following two hypotheses were set forth: First, other than textbook lessons, introduction of pop-songs will improve students' listening skills. Second, other than textbook lessons, introduction of pop-songs will increase students' interest, confidence and satisfaction of English. The subjects chosen for this study were eighty second-grade students in "B" middle school.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for eight months from March 2011 to September 2011. The data for analyzing the study results have been collected from the nation-wide listening tests which took place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and the questionaries asking about the students' interests and attitudes.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yield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hypotheses: First, in the nation-wide tests, students in the experiment group have shown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combination of textbook lessons and pop-songs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students' English listening skills. Second, the data from the questionaries have shown that there is a considerable improvement in the affective domains such as confidence, attitude, and interests. Students are not expected to improve their English listening skills in just a short period of time. Therefore, teachers in the field of education should make a full use of English pop-songs or other study resources to improve students' listening comprehension. At the same time, teachers are recommended to develop their own study materials to find more ideal and effective ways to help their students.

      • 학습동기유발 중심의 유비쿼터스 기반 교수·학습 모델 개발

        신유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855

        In this rapidly changing information society, amid growing awareness of the issue that it is no longer useful to memorize existing knowledge and master skills, lerner-centered education deserves special emphasis. The lerner-centered education means that learners reorganize their own knowledge and experiences and thereby play a key role to solve problems. Against this backdrop, Ubiquitous Environment now presents new possibilities for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Ubiquitous Learning Environment basically offers learning opportunities without any physical limits such as timetable or school buildings. However, attaining Ubiquitous Environment is not all about the realization of Ubiquitous Learning. For applying the innovative ubiquitous technology to education, it is essential to develop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that is appropriate for today's social awareness of education and for Ubiquitous Environment, and can motivate learners. Accordingly, this study is aimed at developing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that helps learners to facilitate self-directed learning with proper educational information available at any time and anywhere, thanks to the benefits from ubiquitous learning, thereby motivating them and maximizing the learning effects. For this aim, this study examines existing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and selects some field and project study models which motivate learners through linking contents to their experiences, make them facilitate self-directed learning, and are proper for applying Ubiquitous Environment in effective way. Moreover, a field study support model based on Ubiquitous Environment is derived from the integration of theses models. For verifying this new model, experiments are also conducted in order to find out what influences the field study support model based on Ubiquitous Environment has on motivation for learning.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these experiments, Ubiquitous Environment is better than traditional one in stimulating learners to have an interest to study, but it does not become continuing motivation for coursework. Meanwhile, an experimental group under the Ubiquitous Environment study support model shows their interest becomes continuous motivation for coursework. The advent of the new Ubiquitous Environment thanks to technological advances does not offer educational effects without applying prope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e quality of future education depends on how well Ubiquitous Environment is integrated into educational activities.

      • 영어의 조음 위치 동화 연구 : 기능주의적 관점의 최적성 이론에서

        신유리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1855

        여러 이론이 음운 현상의 범언어적 보편성과 개별적 특이성을 설명하기 위해 제시되었지만, 많은 연구가 현상의 기술에 그쳤을 뿐 현상의 근본적인 이유를 제시하는 데는 충분하지 못하였다. 이 글은 음성학적 요소를 고려하는 기능주의적 관점을 음운론에 도입함으로써 기술적 적절성 뿐 아니라 설명적 적절성에 도달할 수 있음을 보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이 글에서는 최적성 이론을 받아들이되 기능주의적 관점에서 그 제약들을 음성학적 동기를 가진 것으로 제한하고, 이러한 이론틀에서 영어 조음 위치 동화 현상을 분석한다. 최적성 이론은 보편 제약의 득이 서열로 개별 언어 현상을 설명함으로써, 언어의 보편성과 개별 언어의 특이성을 모두 포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임의적인 제약 설정에 의한 과도한 문법의 생성이 이 이론의 문제점으로 지적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보편 제약의 근거로 음성학적 동기를 제안함으로써 이 문제의 해결을 시도한다. 조음적 용이성과 인식적 용이성이라는 음성학적 동기는 특정 언어에만 해당되지 않고 일반적인 물리적·생리적 원리에 근거하므로 언어 보편적이다. 또한, 이는 모든 언어에서 지켜지는 절대 법칙이 아니라 언어마다 지켜지는 정도가 다르므로 위반 가능하기도 하다. 이러한 점에서 음성학적 동기는, 언어 보편적이며 위반 가능하다는 최적성 이론의 제약 요건을 모두 충족시킨다. 그러나 음성학적 원리만으로는 언어 개별적 특이성을 설명할 수 없으므로 음운론의 개입이 필요한데, 보편 제약의 언어 개별적 서열로써 이를 나타내는 최적성 이론은 이에 적합하다. 이 글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영어의 조음 위치 동화 현상을 살펴보고 이전 연구에서 제시된 조음 위치 동화의 일반성을 재고한다, 3장에서는 단선 음운론과 비단선 음운론, 최적성 이론에서 조음 위치 동화를 분석한 이전 연구들을 고찰하고 비판한다. 이어 4장에서는 음성학적 요소를 음운 현상의 동기로 받아들이는 기능주의적 관점에 바탕을 둔 최적성 이론에서 영어의 조음 위치 동화 현상을 분석한다. 최적성 이론의 보편 제약을 조음적 용이성과 인식적 용이성이라는 음성학적 동기가 있는 것으로 제한함으로써 설명적 적절성을 획득할 수 있음을 보인다. 마지막으로 임의적 제약 서열이라는 최적성 이론의 미해결 과제를 지적한다. There have been numerous theories attempting to explain the cross-linguistic universality and language-specific markedness of phonological phenomenon. However, the vast majority of these studies fail to provide adequate reasons behind the phenomenon, focusing instead on describing when and how the phenomenon takes place.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show how explanatory adequacy can be attained by introducing phonetic features from a functionalist view to functional motivations. To this end, this thesis analyzes the universality and markedness of English place assimilation within the framework of Optimality Theory (OT). In a departure from previous studies, the constraints of OT will be restricted to those with phonetic motivations. OT is widely used because it is able to explain both the universality and markedness of language simultaneously: whereas universal constraints are employed to explain the former, relative rankings within the constraints are used to explain the latter. Despite its flexibility in explaining both universality and markedness, OT has been criticized for the generation of overpowerful grammar due to its arbitrary constraints, motivations, specifically ease of articulation and ease of perception, are language universal since they are based on general principles of physics and physiology and not on any specific or individual language. In addition to universality, phonetic motivations are also characterized by its violability in that they are not absolute, but rather, flexible as can be seen by the fact that not all languages adhere to the principles to the same degree. Phonetic motivations satisfy the two requirements of constraints in OT, which are language universality and violability. However, language-specific markedness cannot be explained by phonetic motivation alone, requiring the addition of phonology. Since language-specific markedness can be explained through rankings of violable constraints, OT is the most appropriate choice. This thesis develops as follow: In chapter II, data concerning English place assimilation are presented, and the generalization on place assimilation given in previous studies are reexamined. Chapter III critically reviews previous approaches to place assimilation within the framework of linear phonology, non-linear phonology, and OT. Chapter IV analyzes English place assimilation from a functional approach of OT, which explains phonological phenomenon in terms of phonetic motivations. Particular emphasis will be put on the claim that constraints in OT must be based on phonetic motivations, i. e., ease of articulation and ease of perception. Finally, this thesis concludes with a brief discussion of inherent problem of OT suggesting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 수사구조개혁에 관한 연구

        신유리 한양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1855

        수사구조개혁은 형사소송법 제정 전인 광복 직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시부터 근 70년 가까이 정권의 교체시기마다 꾸준히 핵심적인 쟁점으로 언급되어 왔다. 1954년 형사소송법 제정 이후 약 60년 만인 2012년 형사소송법이 개정되어 논란이 종식될 것을 기대하였으나 현재까지도 사법경찰관의 수사권 및 검·경간 관계에 관한 문제는 학계와 실무계, 언론과 국회의 중점 관심사안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렇듯 오랜 기간 동안 수사구조개혁이 끊임없이 이슈가 되고 있는 이유는 현재 우리나라의 수사구조에 심각한 문제가 있지만 앞으로 개선하여 나아가야 할 방향을 찾지 못하였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특히 2012년 이루어진 형사소송법 개정의 경우 당시 검찰공화국이라는 말이 등장할 정도로 심각해진 검찰권 남용현상과 독점적인 검찰 권력에 대한 견제의 필요성, 개정 전 형사소송법 내용이 일제강점기 조선형사령과 내용이 일치할 만큼 후진적이라는 사실, 현실적으로 경찰이 사건 대부분을 수행함에도 수사개시진행에 대한 근거규정조차 없다는 법규정과의 괴리 등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결연한 의지에서 단행되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개정취지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재의 수사구조에 관한 법규상·실무상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수사구조개혁의 필요성이 권력균형의 원리를 실현하고 경찰에게 수사 주체성을 부여함으로써 책임감을 증진시켜 실체적 진실의 발견과 사법정의를 실현함에 있음을 확인하고, 앞으로 나아가야할 방향성을 제시함에 그 목적이 있다. 그 첫 단계로 현 정부가 발표한 수사권조정합의문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점을 검토하였다. 또한, 수사구조개혁의 대원칙을 공판중심주의의 확립, 검사의 경찰에 대한 일방적인 수사지휘권의 페지, 수사와 기소의 분리, 검사의 영장청구권 독점 폐지로 선정하였다. 수사구조개혁 이후 일어날 수 있는 경찰의 비대화 및 인권침해를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현 정부가 수사구조개혁의 전제라고 밝힌 자치경찰제도를 선행적으로 검토하였다. 현재 추진 중인 자치경찰제도만으로는 경찰권 남용의 통제방안으로 부족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경찰 내부적인 개혁 및 인권보호제도 강화를 목표로 하고, 경찰의 수사능력 전문화 및 내부에서의 부당한 간섭의 차단과 법률전문가 및 형사공공변호인제도의 확장, 영상녹화제도 확대, 영장전문심사관의 의무도입, 외부적 통제기관의 신설 등을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수사구조개혁은 어느 수사기관이 수사권을 많이 가져가는지에 관한 문제가 아니라 국민의 권익 및 인권보호와 직결되는 사안이다. 경찰과 검찰 모두 신뢰받는 수사기관으로써 서로 균형과 협력을 이루는 관계로 거듭나기 위해 수사구조개혁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