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소셜 프랜차이즈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가맹점 자율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신요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1855

        As the social economy has emerged as one of the alternatives for solving social problems, interest and experiments in social franchises and a methodology for scaling the social economy continue to increase. The success or failure of social franchises will have a huge impact on many stakeholders, including franchise headquarters and franchisees, as well as beneficiaries and local residents who are eligible for the service. Therefore, in-depth research on success factors is needed to prevent the insolvency of social franchises and ensure growth and sustainability. However, research with theoretical validity through field-based empirical analysis is lacking. Based on empirical research, this study aims to objectively analyze phenomena that occur in the field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social franchise success factors. In addition, by verifying the impact of autonomy and social performance, which ar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social franchises, on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franchises, the direction of franchise management and operation were presented in the future. Through this, theoretically, it is expected that more in-depth follow-up studies will be conducted by broadening the understanding of social franchises and stimulating academic interest. In practice, it is expected that it will provide necessary implications for organizations that are operating social franchises or seek future attempts, and it will be used as a useful reference material for those in charge of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who want to establish social economy revitalization policies Based on prior research, social franchise success factors were divided into social and business capabilities. Social capabilities were derived from social value orientation, government support utilization, local network utilization, social economy experience. Business capabilities were derived from operating system competitiveness, brand power, and customer orientation. A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including the verification of the moderating effect of franchise autonomy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performance, and the influence was analyzed by conducting a survey on social franchise workers. The results show that social value orientation, local network utilization, social economy experience, and customer orientation affect social performance (+), local network utilization, social economy experience, and operating system competitiveness affect economic performance (+). It also suggested that franchisee autonomy, a characteristic of social franchise, has a moderating effect between social autonomy (-), government support utilization (+) and economic performance. In addition, franchise autonomy, a characteristic of social franchises, has a moderating effect between social value orientation (-), use of government support (+), and economic performance, and social performance has a mediating effect between local network use (+), social economy experience (+) and economic performanc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ed empirical analysis-based research targeting actual social franchise headquarters and franchisees in the social franchise study, which had been limited to understanding concepts and case studies in Korea.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factors affecting the business performance of franchisees were presented, and through analysis of the moderating effect of autonomy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performance, a more systematic management and effective operation methodology for franchisees was presented in the future.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perception of each member of the franchise headquarters and franchisees due to the practical limitation that there are not many social franchise cases. There were limitations in securing quantified objectivity by using it as an indicator, and some factors such as human competency were excluded from the analysis, so it is expected that in-depth follow-up studies that supplement these limitations will continue in the future. 사회적 경제가 사회문제 해결의 대안 중 하나로 부상하면서 사회적 경제의 규모화 방법론인 소셜 프랜차이즈에 대한 관심과 실험도 계속 증가하고 있다. 소셜 프랜차이즈의 성패는 가맹본부, 가맹점 구성원은 물론 서비스 대상인 수혜자나 지역주민 등 많은 이해관계자들에게 큰 파급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소셜 프랜차이즈의 부실화를 방지하고 성장과 지속가능성을 담보하기 위한 성공요인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나, 실증분석 기반의 이론적 타당성을 갖춘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실증연구를 바탕으로 현장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객관적으로 분석하여 소셜 프랜차이즈 성공요인의 영향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소셜 프랜차이즈의 중요 특성인 자율성과 사회적 성과가 가맹점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해 봄으로써 향후 가맹점 관리와 운영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이론적으로는 소셜 프랜차이즈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학문적 관심을 자극하여 이후 보다 심도있는 후속 연구들이 진행되기를 기대하며, 실무적으로는 소셜 프랜차이즈를 운영하고 있거나 향후 도입을 모색하는 조직에 필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사회적 경제 활성화 정책을 수립하고자 하는 정부와 지자체 담당자들에게는 유용한 참고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소셜 프랜차이즈의 성공요인을 사회적 역량과 비즈니스 역량으로 구분하였으며, 사회적 역량에는 사회적가치지향성, 정부지원 활용, 지역 네트워크 활용, 사회적 경제 경험을, 비즈니스 역량에는 운영시스템 경쟁력, 브랜드 경쟁력, 고객지향성을 독립변수로 도출하였으며, 가맹점 자율성의 조절효과, 사회적 성과의 매개효과 검증까지 포함하여 연구모형을 수립하고 소셜 프랜차이즈 종사자 대상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해 사회적가치지향성, 지역 네트워크 활용, 사회적 경제 경험, 고객지향성은 사회적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지역 네트워크 활용, 사회적 경제 경험, 운영시스템 경쟁력은 경제적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침을 규명하였다. 또한 소셜 프랜차이즈의 특성인 가맹점 자율성이 사회적가치지향성(-), 정부지원 활용(+)과 경제적 성과 사이에서 조절효과가 있으며, 사회적 성과가 지역 네트워크 활용(+), 사회적 경제 경험(+)과 경제적 성과 사이에서 매개효과가 있음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는 그동안 국내에서 개념의 이해나 사례 연구 등에 머물러 있던 소셜 프랜차이즈 연구에 실제 소셜 프랜차이즈 본부와 가맹점을 대상으로 실증분석 기반의 연구를 시도한 점에 그 의미가 있다. 연구 결과를 통해 가맹점의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제시하였으며, 자율성의 조절효과와 사회적 성과의 매개효과 분석을 통해 향후 가맹점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관리와 효과적인 운영의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는 소셜 프랜차이즈 사례가 많지 않은 현실적 제약으로 가맹본부와 가맹점 구성원 개개인의 인식을 기반으로 연구를 진행한 점이며, 가맹점의 성과를 측정함에 있어 실측 데이터가 아닌 응답자의 인식 수준을 성과 지표로 사용하여 계량화된 객관성을 확보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는 점, 그리고 인적 역량 등 일부 요인들이 분석에서 제외된 점으로 향후 이러한 한계를 보완한 심도 있는 후속 연구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 Aging에 따른 임시치관용 수복물의 색조안정성

        신요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1855

        연구목적: 수종의 3D 프린팅, 덴탈 밀링 및 기존 재료로 제작된 임시 치관 수복물을 다양한 시간 간격 동안 일반적으로 소비되는 음료에 담근 후 색조 안정성을 비교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본 연구에는 화학적 조성과 제조 방법이 다른 6개의 임시치관용 수복물을 사용하였다. 전통적인 재료에 해당하는 재료 2개 (AlikeTM & Luxatemp automix plus), 3D 프린팅 레진 소재인E-Dent 100, VeroGlaze)와 2개의 Milling용 PMMA 블록(PMMA DISK, Telio®CAD)을 사용하였다. 수분 흡수도 및 용해도 시험은 국제표준규격(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에서 기술한 실험방법 “ISO 4049:2009, Dentistry - Polymer-based restorative materials, Water sorption and solubility”의 내용을 기초로 하였다. 색조안정성 시험은 커피와 Black Tea를 착색용액으로 사용하여 12주간 시편을 착색용액에 보관하였다. 통계 분석은 One-way ANOVA를 통하여 분석을 시행하며 Tukey HSD test 를 사후 검정으로 활용하였다. 결과: Alike와 VeroGlaze는 가장 높음 수분 흡수도를 보였고 Luxatemp는 가장 낮은 수분 흡수를 보였다. 색조 안정성 시험에서 기존 재료의 ΔE는 염색 액에 따라 달라졌다. PMMA 밀링 블록은 최대 4 주까지 상대적으로 낮은 ΔE를 보인 후 8주 후에 크게 증가했다. (P <.05). 3D 프린팅 된 재료는 높은 ΔE 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당한 증가를 나타냈다 (P <.05). 결론: 변색의 정도는 색소가 있는 음료와 관련이 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였다. 시각적으로 인지 할 수 있는 색차 값(ΔE)은 재료나 용액에 관계 없이 나타날 수 있으며 PMMA 밀링 재료 및 3D 프린팅 레진 소재는 8주 후에 더 빠른 변색을 나타냈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compare the shade stability of provisional restorative materials through various fabrication techniques. MATERIALS AND METHODS. The following were used for the specific processing groups, 3D-printing provisional resins (E-Dent 100; EnvisionTEC, GmbH, Germany and VeroGlazeTM; Stratasys®, USA), dental milling blocks (PMMA Disk; Yamahachi Dental Co., Japan and Telio®CAD; Ivoclar Vivadent AG, Liechtenstein), and chairside materials (AlikeTM; GC Co., America & Luxatemp automix plus; DMG, Germany). The water sorption and solubility test were carried out according to ISO4049:2000. For the color stability test, coffee, and black tea were used as staining solutions. Data was analyzed by one-way ANOVA and verified by Tukey’s HSD using SPSS version 22.0 (SPSS Inc. Chicago, IL, USA). RESULTS Alike and Veroglaze showed the highest values and Luxatemp showed the lowest water sorption. In the color stability test, PMMA milling blocks showed a relatively low ΔE up to 4 weeks, and then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8 weeks (P<.05). 3D-printed materials exhibited a high ΔE or a significant increase over time (P<.05). CONCLUSION Color stability diminishes with time, and a visually perceptible color difference value (ΔE) was shown regardless of the materials and immersions. PMMA milled and 3D-printed materials showed more prominent change in discoloration after 8 weeks.

      • 무치악환자 하악 견치 부위에서의 디지털 파노라마 영상의 수직 확대율

        신요한 고려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55

        목적 : 본 연구는 Computed Tomography(CT)를 이용하여 무치악 환자의 하악 견치 부위의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의 수직 확대율을 알아보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 하악 임플란트 오버덴쳐 치료를 위해 고려대학교 구로병원에 내원하여 술전, 술후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과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MD CT)를 촬영한 31명의 무치악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술전, 술후 파노라마 사진 상에서 하악 견치 부위의 수직 길이를 측정하여 이를 MD CT상에서의 수직 길이와 비교 하여 수직 확대율을 계산 하였다. 또한 술후 파노라마 사진 상에서의 임플란트의 총 길이와 실제 임플란트의 총 길이를 비교하여 수직 확대율을 계산하였다. 결과 : 무치악 환자의 하악 견치부위에서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하악골 상연 부위의 거리 측정시 CT와 비교한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의 수직 확대율은 127% 였으며 하악의 상연부터 하연까지의 전체 거리 측정시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의 수직 확대율은 228% 확대율을 보였다. 결론 : 무치악 환자 하악 견치부위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의 수직 확대율은 하악골 상연 부위에서 계측시와 하악골의 전체 거리 계측시 통계적 유의차가 있었다. 하악의 기저골만 남은 무치악환자의 경우 확대율을 고려한 임플란트 길이 선택이 필요하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vertical magnification rates of digital panoramic radiograph in edentulous mandibular canine area by utilizing Computed Tomography(CT). Materials and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thirty one edentulous patients of Korea University in Guro for treating the mandibular implant overdenture, and they took digital panoramic radiograph and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MD CT) pre and post operations. Vertical magnification rates were calculated by comparing vertical length on digital panoramic radiograph of mandibular canine area pre and post operation, and vertical length on MD CT. In addition, vertical magnification rates were measured by comparing total lengths of actual implant and total lengths of implant on digital panoramic radiograph post operation. Result: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vertical magnification rates of the digital panoramic radiograph were 127% when comparing CT which measured the length of the upper part of mandible , and the vertical magnification rates of the digital panoramic radiograph was 228% when the total length of mandible were measured. Conclusion: Vertical magnification rates of digital panoramic radiograph in edentulous mandibular canine area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calculating upper part of mandible and the total length of the mandible. Thus, this result demonstrates that it is important to choose the length of implant by considering vertical magnification rates when they are edentulous patients with basal bone of mandible.

      • 엘렌 G.화잇 저서에 나타난 늦은비 성령의 준비에 관한 연구

        신요한 삼육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리스도인들의 최고의 관심과 소망이 되는 성령, 특별히 요한 계시록 14장의 세천사의 기별에 힘을 주어 온세상을 그 영광으로 환하게 하는 요한 계시록 18장 천사의 큰 외침과 관련하여 늦은비 성령의 충만한 은혜를 통해 나타나게 될 범 세계적인 성령부흥 운동에 관해 살펴보고 이 시대와 백성을 향한 하나님의 뜻이 무엇인지 고찰하는 것이다. 제 1장은 문제의 진술, 연구의 목적, 연구의 방법과 제한을 서술하고 있다. 제2장에서는 성령의 신성과 속성과 위격과 상징에 대하여 간략하게 그 실체를 살펴 보았고, 이른비의 결과가 어떻게 나타났는지,또한 늦은비의 결과는 어떻게 전개 될것인지에 대하여 살펴 보았다. 제3장에서는 늦은비는 어떤 기별들의 메세지가 있는지 알아보았고, 제4장에서는 각인의 영원한 운명이 결정되는 늦은비 성령의 충만함을 어떤 삶을 살아야 받을수 있는지, 그 준비의 생애에 대하여 알아 보았다.

      • 코딩과 소프트웨어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에 대한 실증 사례연구 : H대학의 전공자와 비전공자의 비교를 중심으로

        신요한 호서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55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ased on digital technology is greatly chang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round the world. In particular, domestic universities have been promoting coding and SW education through the SW-centered university support project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since 2015. Accordingly, each university provides education for majors as well as non-majors and the general public. However, coding and SW education using major and non-major curriculum has not yet reached the beginner level, and sufficient education to contribute to the cultivation of computational thinking is not being carried out. In addition, previous studies to date have not considered what core competencies can be cultivated through specific coding and SW education, and no survey has been conducted on which competencies students consider important. As a result, there are still many difficulties in developing the capabilities required by the industry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Previous studies conducted on domestic university students to date have the following limitations. First, in previous studies,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necessity or direction of core competency education. However,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expected that various competency development will be needed to improve employment and work skills. Second, previous studies had individual orientations on key performance indicators (KPIs) necessary for the successful operation of coding and SW education in universities, but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derive major KPIs and conduct integrated research. Lastly, in previous studies, case studies were conducted on majors and non-majors in many cases, but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ompare and analyze the coding and SW curriculum and operation contents of majors and non-majors to present future directions and strategies for future education improvement. Based on the need for research as described above, this study first reviews the previous studies and targets major and non-major students at H University in the basic knowledge and competency demanded by the industry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s well as coding and SW education KPI, which is an indicator of successful operation of the curriculum, is to be derived. Next, through an empirical case study applying the review results of previous studies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coding and SW education at H university are identified and major directions for improvement are proposed. In this study, a paired sample t-test was conducted for KPIs derived from core competency items and coding and SW curriculu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negative discrepancy between almost core competency items and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each KPI of coding and SW education.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re are areas to be improved in the core competency education currently being implemented. Specifically, the results of analysis derived from systematic consideration of previous studies and empirical case studies using IPA were presente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the KPIs desired in coding and SW education by college were quite different, implying the need to design and operate differentiated coding and SW curriculum for each college.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4차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는 전 세계의 교육환경을 크게 변화시키고 있다. 특히 국내 대학들은 2015년부터 미래창조과학부가 지원하는 SW중심대학 지원 사업을 통해 코딩과 SW 교육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각 대학들은 전공자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과 함께 비전공자와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전공교육과정과 비전공교육과정을 이용한 코딩과 SW 교육은 아직도 초급수준을 넘어서지 못하고 있으며, 컴퓨팅 사고력 함양에 기여할 수 있는 충분한 교육이 수행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또한 현재까지의 선행연구들은 구체적인 코딩과 SW 교육을 통해서 함양할 수 있는 핵심역량이 무엇인지에 대한 고찰이 없었으며 수강자들이 어떤 역량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지에 대한 조사도 시행되지 않았다. 이로 인해 4차산업혁명 시대에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역량을 개발하기에는 아직도 많은 어려움이 상존하고 있다. 현재까지 국내 대학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행된 선행연구들은 몇 가지 한계가 있었다. 첫째, 선행연구들은 역량 교육의 필요성이나 방향성에 대해서는 연구가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 그러나 4차산업혁명 시대에는 취업과 업무능력 향상을 위해서 다양한 역량 함양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둘째, 선행연구들은 대학의 코딩과 SW 교육의 성공적인 운영에 필요한 핵심성과지표(KPI)에 대한 개별적인 지향점을 가지고 연구하였으나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주요 KPI를 도출하고 통합적인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선행연구에서는 전공자와 비전공자를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시행한 경우는 많았으나 앞으로는 전공자와 비전공자의 코딩과 SW 교육과정과 운영 내용을 비교 분석하여 향후 교육의 개선방향과 전략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이상과 같은 연구의 필요성에 기초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를 통해 H대학의 전공과 비전공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4차산업혁명 시대에 산업계가 요구하고 있는 핵심역량 그리고 코딩과 SW 교육과정의 성공적인 운영지표인 KPI를 도출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선행연구의 검토 결과와 중요도-성과분석(IPA)을 적용한 실증적 사례연구를 통해 현재 H대학이 가지고 있는 코딩과 SW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에 대한 주요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핵심역량 항목 그리고 코딩과 SW 교육과정에서 도출한 KPI를 대상으로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거의 모든 핵심역량 항목 그리고 코딩과 SW 교육의 각 KPI의 중요도와 만족도 간에 부정적인 불일치가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현재 시행하고 있는 핵심역량 교육에서 개선해야 할 부분이 존재하고 있음을 시사해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구체적으로 선행연구의 체계적 고찰과 IPA를 적용한 실증적 사례연구를 통해 도출된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에 의하면 단과대학 별로 코딩과 SW 교육에서 원하는 KPI가 상당히 다르게 나타났으며, 단과대학 별 차별화된 코딩과 SW 교육과정의 설계와 운영이 필요함을 시사해준다.

      • 경계에 선 음악, 인디와 메이저 사이 : 정진운밴드를 바라보며

        신요한 한국예술종합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1855

        정진운밴드는 확장하는 대중음악시장에서 메이저 기획사의 자본이 비(非)주류라고 여겨졌던 인디음악을 선택하는 새로운 변화의 흐름에 서있는 하나의 문화적 기호(Cultural Sign)다. 대중음악생산의 기획시스템과 소위 인디문화는 만날 수 있는가. 히트상품이 되고 싶은 인디밴드는 어떤 바램과 고민을 가지고 있을까. 상업성과 예술성이라는 상반된 가치를 대표한다고 여겨지는 아이돌음악과 인디밴드의 제작과정을 정리해보고 생산자의 입장에서 이 두 가지의 태도는 어떻게 같고, 어떻게 다른가를 관찰했다. 사람들과 소통하기 위해서 기획과 제작이라는 과정을 거치고 음악소비의 표준화된 형식에 맞춘다는 점에서 둘은 닮아 있었지만, 만들어진 음악의 성패를 자본과 경제논리로, 상업적인 성과에 두는지, 아니면 예술가 자신의 예술적 욕망의 재현에 두는지는 다른 점이었다. 제작과정에서 아티스트 자신의 자율성, 참여의 측면에서도 둘 사이에는 차이가 있었다. 한국사회에서 인디음악에 대한 정의는 모호하다. 서구사회에서 탄생한 인디문화가 한국사회에 자리 잡는 과정에서 한국의 인디음악은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다. 언더그라운드, 얼터너티브, 반문화가, 기존 주류 질서로부터의 이탈이라는 측면에서 인디문화라는 개념과 혼재하면서 생기는 인디음악을 둘러싼 통념들이 관찰되기도 한다. 인디음악은 상업적이지 않은, 더욱 순수한 예술이라고 받아들여지고 있지만, 아이돌그룹을 메이저 기획사의 육성시스템을 통해 만들어진 공산품, 상업적인 상품에 불과한 저급한 음악이라고 보는 시각도 있다. 상업적인 예술은 저급한 것이고 상업적이지 않은 예술은 고급이라고 보는 시각은, 과거 일부 상류층만 접근할 수 있었던 순수예술이 인터넷 등의 발달로 희소성을 잃고 고급문화의 지위를 잃은 상황에서, 인디음악을 그것을 대체하는 새로운 고급문화로 받아들여지게 한다. 인디가 대중음악시장의 새로운 상품으로 떠오르면서, 인디음악이 지닌 예술적 가치가 지나친 상업성에 의해 훼손될 수 있다는 우려가 당연히 제기되고 있다. 정진운밴드의 내부에서도 그러한 고민과 갈등은 존재한다. 밴드 구성원들이 스스로의 음악적 자율성을 두고 자각하는 정체성은 저마다 다르고 희망하는 앞길도 동일하지는 않다. 경제적 이익과 공연자로서의 예술적 존중을 함께 얻고 싶은 한국 대중음악계의 한 그룹을 만나면서, 두 가지의 바램이 공존하는 제작현장과 고민을 정리하여 보다 선명한 시선으로 한국대중음악계를 바라보고자 한다. Jeong Jin-woon band is a cultural sign of the expanding popular music market which  the flow of new change that the capital of the Major music Industry chooses indie music. Can the system of Popular music production and the so-called Indie culture meet? What kind of desires and worries do indie bands want to become hit products? The production process of idol music and indie bands, which are supposed to represent the contradictory value of commerciality and artistry, were summarized and the producers viewed how these two attitudes differed and how they differed. The two are similar in that they communicate with people through the process of planning and production and adapt them to the standardized form of music consumption. However, whether they make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music produced by capital and economic logic, commercial performance, It was a different thing to put in the representation of desire.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in terms of autonomy and participation of artists in the production process. The definition of indie music in Korean society is ambiguous. Indie music has been defined in various ways in the course of the establishment of indie culture in Western society. Underground, alternative, and counterculture are common myths surrounding indie music that are mixed with the concept of indie culture in terms of departure from the existing mainstream order. Indie music is considered to be purely art that is not commercial, but there is also a view that idol groups are low-priced music that is nothing more than commercial products and commercial products made through the development system of major companies. Commercial art is low and non-commercial art is considered to be advanced, as the pure arts, which were only accessible to some upper classes in the past, lost their noble status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etc., It is accepted as a new advanced culture. As Indie emerges as a new commodity in the popular music market, concerns arise that the artistic value of indie music can be undermined by over-exploitation. There is such an agony and conflict in the inside of Jeong Jin-woon band. The members of the band are aware of their own musical autonomy. I will meet with a group of Korean popular music companies who want to get together with economic interests and artistic respect as performers. I will look at the Korean pop music industry with a clearer perspective by organizing the production sites and troubles where two desires coexist.

      • 응급구조(학)과 학생들의 환자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인식 및 태도

        신요한 가천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55

        국문 초록 응급구조(학)과 학생의 환자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인식 및 태도 Recognition and Attitude Of Students In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Service About Patient Privacy Protection 가천대학교 보건대학원 응급구조학 신 요 한 지도교수 : 김보균 본 연구의 목적은 응급구조(학)과 학생의 일반적 특성 및 임상실습 경험 여부에 따른 환자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인식 및 태도를 분석하여 환자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필요성을 불러일으키고 실습 기간 중에만 환자의 개인정보를 접하게 되는 실습학생들을 위한 환자 개인정보보호 교육 프로그램 마련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00 광역시의 G대학교 응급구조학과, 경기도 00시의 D대학 응급구조과에 재학 중인 학생 215명을 대상으로 설 문조사를 시행한 후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및 백분율, 일원배치 분산분석 방법을 시행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의료법 및 개인정보보호 관련 법령과 제도 운영에 대한 인식은 임상실습을 경험한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높은 인식 수준을 보였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둘째, 환자 개인정보보호 및 노출에 대한 인식도 조사에서는 일반적 특성, 임상실습 여부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환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교육 이수여부에서는 1학년보다는 2학년과 3학년에서, 임상실습을 경험한 학생일수록 높은 수준을 보였다. 환자의 개인정보는 환자 및 보호자에게 중요한 정보이므로 보호되어야 하며 타인에게 노출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응급구조(학)과 학생들 대부분 인식하고는 있지만 명확하게 인지하고 있지 못한 통계를 보였으며, 개인정보보호 관련 법령과 제도운용 현황에 관련된 문항을 제외하고는 임상실습 경험 여부에 따라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임상 실습 전 환자 개인정보보호 관련 교육을 시행한 후에 실습을 진행함에도 불구하고 의료기관 및 관할기관에서 임상실습을 경험한 학생들과 그렇지 않은 학생들의 인식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현재 각 학교에서 자체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관련 교육과 임상 실습지에서 진행되고 있는 환자 개인정보보호 교육의 점검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환자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꾸준한 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인식과 태도를 개선하고, 보다 더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환자 개인정보보호 관련 교육을 진행하여 환자 개인정보보호에 관련된 내용을 적절하게 교육받은 응급구조(학)과 학생들을 양성해나가야 할 것이다. 중심단어 : 응급구조(학)과, 응급구조사, 개인정보, 개인정보보호, 임상실습

      • 근접방사선 치료의 안전관리를 위한 Square Arrayed Dosimeter 기반의 방사선원 위치추적 연구

        신요한 인제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1855

        목적 : 방사선치료 분야에서는 자궁경부암이나 전립선암 등의 특정 종양들의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brachytherapy가 널리 이용되어왔다. 이는 192Ir, 60Co, 125I 등의 방사성 동위원소를 환자에게 근접시키거나 삽입하여 일정 시간 노출시킴으로써 치료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는 외부적 충격이나 시간에 따른 장비의 노후화, 또는 시술자의 부주의 등으로 인한 방사선원의 유출 또는 파손 등의 안전사고가 보고되어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사고의 예방 및 발생 시의 즉각적 인지와 대처를 위한 광도전성(방사선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치환하는 성질) 물질 기반의 선원추적 및 감시체계에 대한 최초 연구로, square arrayed dosimeter를 제작하여 선량분포 감지성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원의 추적 및 감시용 square arrayed dosimeter의 제작을 위해, 25개의 pixel(0.5 × 0.5 cm2)이 정방형으로 배열된 printed circuit board (PCB)를 특수 주문제작하여 기판으로 사용하였다. 해당 PCB 상에 광도전체의 일종인 HgI2를 screen printing 기법으로 증착하고, 상단에 물리적 증기증착법으로 금을 증착하여 상부전극을 형성하였다. 이후, 192Ir brachytherapy 선원에 대한 제작된 dosimeter의 재현성, 선형성, percent interval depth (PID), pixel map 및 선량분포 검출성능을 평가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dosimeter의 선원추적 장치로서의 활용가능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 재현성 및 선형성 평가결과, 각각 relative standard deviation (RSD) < 1.5% 및 R-sq > 99%의 평가기준을 충족시킴으로써 해당 dosimeter의 출력이 안정적이고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PID 평가에서는 192Ir 선원이 방출하는 광자선의 영향 범위와 유사한 5.5 cm의 감지범위를 확인하였다. pixel map 및 선량분포 검출성능 평가에서는 해당 dosimeter가 선원의 이동에 따른 선량분포의 변화에 즉각적으로 반응함을 확인하였다. 결론 : 본 연구는 방사선원 위치추적 및 감시를 위한 광도전체 기반의 square arrayed dosimeter에 대한 최초연구로서, 평가결과를 통해 이러한 목적이 성공적으로 달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제한적 영역에 대한 선원의 출입현황 집중감시체계 및 디지털 기반의 brachytherapy quality assurance system 등의 개발에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작된 dosimeter는 감지 면적 및 pixel 수가 제한적이며, 외부적 요인에 취약하다는 한계가 있다. 추후,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한 pixel 및 array의 확장 및 구조적 안정화 등의 추가연구가 진행되면 환자와 시술자에 대한 선량 및 안전관리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