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열린어린이집의 부모참여 활동에 대한 부모 만족도 및 요구도 차이

        신영미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열린어린이집의 부모참여 활동에 대한 부모 만족도 및 요구도간의 차이를 밝히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열린어린이집의 부모참여 활동에 대한 부모의 만족도는 어떠한가? 둘째, 열린어린이집의 부모참여 활동에 대한 부모의 요구도는 어떠한가? 셋째, 열린어린이집의 부모참여 활동의 만족도와 요구도 간의 차이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열린어린이집의 부모참여 활동에 대한 부모 만족도와 요구도를 알아보는 연구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산광역시내에 열린어린이집으로 지정된 기관에 자녀를 보내고 있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23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조사 대상 부모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 대상 부모의 특성(연령, 학력, 직업유무, 소득수준) 및 자녀의 특성(연령, 출생 순위, 재원기관 유형)에 따른 부모 만족도와 요구도의 점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 검증으로 Tukey검증을 실시하였다. 부모만족도와 요구도 점수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독립표본t-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에 근거하여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열린어린이집의 부모참여 활동에 대한 부모의 만족도는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 둘째, 열린어린이집의 부모참여 활동에 대한 부모의 요구도는 자녀의 어린이집 유형에 따라 운영의 융통성, 함께하는 부모참여활동에 대한 요구도는 민간어린이집에서 가장 높고,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에 대한 요구도는 가정어린이집에서 가장 높다. 그 외 하위요인을 분석한 결과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 셋째, 열린어린이집의 부모참여 활동의 만족도와 요구도 간의 차이는 열린어린이집 참여활동의 하위요인인 운영의 융통성은 차이가 없고, 하위요인공간의 개방성, 부모참여의 자발성, 참여활동의 일상성, 참여수준의 다양성,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 다면적 의사소통의 기회와 통로, 함께하는 부모참여활동, 어린이집과의 연계활동, 의사결정에의 참여에 대한 부모만족도와 요구도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 결론적으로 열린어린이집의 부모참여 활동에 대한 부모 만족도 및 요구도는 열린어린이집에 만족하고 있으나 요구는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열린어린이집에서는 영유아의 양육을 어린이집과 부모, 지역사회가 함께 하고, 부모가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부모참여 활동이 이루어져야함을 시사한다.

      • 한국 예술가곡에 나타난 전통음악적 요소에 관한 고찰

        신영미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한국 예술가곡에 나타난 전통음악적 요소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서양음악양식의 틀 안에 나타난 한국적 표현에 대해 이해하고, 진정한 한국예술가곡으로서의 의미와 가치를 생각해보고자 한 연구이다. 먼저 19세기말 찬송가의 보급으로부터 유입된 서양음악이 창가를 거쳐 한국 가곡으로 정립되기까지의 과정 및 이후 한국 예술가곡으로의 발전양상에 대해 살펴본다. 다음은 한국예술가곡에 사용되어지는 한국 전통음악적 요소를 음악의 3요소인 선율, 리듬, 화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선율적 측면으로는 음계와 시김새를, 리듬적 측면으로는 장단을 들 수있다. 한국전통음악은 화성이 없는 선율음악인 관계로 화성을 살펴볼 때에는 한국 작곡가들의 한국적 화성 창조기법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한국적 색채를 강조한 김순남, 윤이상, 나운영, 정회갑, 백병동, 김진균등이 작곡한 가곡을 분석· 연구하였다. 실질적 분석에 앞서 한국적 색채를 강조한 작곡가들의 사상 및 배경 등을 간단하게 살펴보았으며, 작품에 나타난 한국전통음악적 요소는 리듬·가락·화성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 연구하였다. 위와같이 연구한 결과 한국의 작곡가들은 가곡이라는 서양음악의 장르 위에 한국전통음악적 요소를 사용하여 보다 한국적인 가곡으로 만들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해왔음을 알 수 있었다. 한국 가곡을 창작함에 있어, 시대의 흐름에 따른 현대적 요구를 수용하면서도 한국 전통을 담아내고자 했던 한국 작곡가들의 시도와 노력을 다시 한 번 생각해볼 수 있기를 바란다. This paper was designed to understand Korean expressions of Korean art songs with Western music styles and to think of their true meanings and values, by considering their traditional music elements. For this purpose,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process in which Western music introduced from the diffusion of hymns in the late 19th century was established as Korean songs from Changga, and developments into Korean art songs afterwards. Next, Korean traditional music elements used for Korean art songs were classified into three elements; melody, rhythm and harmony. Scale and Sigimsae belong to a melody, and Changdan belongs to a rhythm. Since Korean traditional music is melodic music with no harmony, Korean harmony creation techniques of Korean composers were explored for analysis of harmony. Lastly, songs composed by Soon-Nam, Kim, Yi-Sang, Yoon, Woon-Young, Na, Hwi-Gap, Jeong, Byeong-Dong, Baek, Jin-Gyoon, Kim and others to emphasize Korean colors were analyzed and researched. Prior to the practical analysis, thoughts and backgrounds of composers highlighting Korean colors were briefly investigated,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elements in works were analyzed and studied, according to rhythm, melody and harmony. As the result, it was found that Korean composers have made various attempts for creating Korean songs, by applying Korean traditional music elements to Western music. In conclusion, this result implies that there is a need of reconsidering attempts and efforts of Korean composers who have accepted modern demands with the flow of time, and expressed Korean tradition for creating Korean songs.

      • 스마트폰 이용동기 및 정도와 과다사용 간의 관계

        신영미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스마트폰이 대중화되고 과다사용에 대한 우려가 높아짐에 따라 스마트폰 과다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에 스마트폰과 관련한 8개 요인을 추출하여 선별된 요인과 스마트폰 과다사용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 연구를 위해 용인지역을 중심으로 전국에 거주하는 17세 이상의 스마트폰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이용자들의 평균 스마트폰 사용기간은 약 9개월로 하루에 보통 3 ~ 4시간 정도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주된 동기는 SNS(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사용과 인터넷 검색이었다. 또 이용자들이 선호하는 기능은 SNS이며 애플리케이션 중 카카오 톡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과다사용과 관련하여 연령, 성별,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10대 청소년일수록 내성, 강박 및 집착, 생활불편 및 부적응 등 과다사용에 취약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나이가 어린 청소년일수록 스마트폰에 쉽게 빠져들어 금전, 학업 과다사용 등 다양한 문제에 노출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호자와 교사, 상담자는 10대의 스마트폰사용에 보다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필요하다. 더불어 가정과 학교에서도 청소년에게 과다사용의 위험을 알리고 스마트폰을 과도하게 사용하지 않도록 지도하는 것이 좋겠다. 성별에 따른 과다사용에 있어서는 여성이 남성에 비해 강박적 과다사용 경향이 강하게 나타났는데 스마트폰을 한시도 놓지 않고 늘 곁에 두며 메일이나 대화창을 수시로 확인하는 등 강박적 사용행태가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여성이 과다사용에 취약한 이유로는 문자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욕구를 들 수 있으며 이것이 여성의 과다사용을 부추기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스마트폰 과다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스마트폰 과다사용과 이용 동기, 이용정도는 서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금단 : 정보획득 동기, 내성 : 오락 및 여가활용 동기, 강박 : 즉시성 동기, 생활불편 : 오락 및 여가활용 동기, 그리고 애플리케이션 이용정도가 과다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스마트폰 과다사용에 대한 행태자료로서 가치가 있는데 이 연구의 결과가 학생상담 시 스마트폰사용패턴을 이해하는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상담자가 과다사용자를 위한 생활 개선안을 마련하는 데 유용한 데이터를 제공하리라 생각하며 모쪼록 상담자가 사용조절에 어려움을 겪는 내담자를 이해하고 적절한 카운슬링을 제공하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낙관성 훈련이 한 부모,조손가정 초등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능력에 미치는 효과

        신영미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연구는 낙관성 훈련이 한 부모나 조손가정 초등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낙관성 훈련을 통한 낙관성의 차이, 스트레스 대처능력의 효과와 스트레스대처능력에 대한 지속성 여부를 가설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낙관성훈련을 통해 한 부모나 조손가정의 초등학생이 낙관성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가지고 낙관주의적인 생활자세와 태도를 익힐 수 있는 구체적인 기술을 배워 낙관적 성향을 증가시킴으로 심리적, 신체적 스트레스환경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었다. 연구수행을 위해 전남 Y군에 소재한 K초등학교 3학년에서 6학년 학생 중 한 부모나 조손가정의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무선할당을 통해 10명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고, 다른 10명은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여 총 20명이 참여하였다. 실험집단은 7주간에 걸쳐 총 13회기의 낙관성 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해 SPSS17.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차이를 T-test분석으로 검증하였다. 낙관성훈련프로그램을 통하여 한 부모나 조손가정의 초등학생들의 낙관성과 스트레스 대처능력의 하위영역인 적극적대처, 소극적 대처, 공격적 대처, 사회지지추구적 대처능력이 향상되었고 그 효과가 지속되고 있음이 입증되었다.

      • 자아의 신화를 통한 진리와 상징에 대한 표현

        신영미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는 원하던, 그렇지 않던 간에 이미 갖가지 상황에 잘 조율된 다수의 자아를 소유하며 때때로 그것을 연출하기에 급급해하며 살아간다. 무엇이 진짜인지도 모른 채 거울 속 허상을 쫓으며, 혹은 그 허상이 되어 역할 연기를 능청스럽게 해내고 있는 사회 속 존재들이 되어 살아가고 있다. '나는 누구인가?' 시대를 막론하고, 존재의 진리를 찾기 위한 인간은 끊임없이 답 없는 물음을 반복하였다. 그러나 기존 질서 속 상황에 놓여진 존재로서의 자아는 실재와 상상의 경계를 헤매며 정의할 수 없는 현실의 애매한 순간만을 경험하게 된다. 답을 찾을 수는 없지만, 그러한 모호함 속에서 자아의 신화는 시작이 되고 그것은 현실과 기존의 질서라는 것이 그렇게 믿도록 설정되어진 매트릭스적 상상일 뿐인지도 모른다는 의심을 갖게 하였다. 이러한 진실에 대한 의심과 부정에 대한 몽롱한 물음, 현실과 상상의 경계에서 바라봄과 바라보여짐의 관계, 그 사이에서 드러나는 모호함과 역설 그리고 풍자가 본인 작업의 근간을 이루게 된다. 본인은 이러한 작업을 통하여 어떤 대상이 아니라, 상황에서 주어지는 뉘앙스를 표현함으로써 그림의 영적인 소명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이러한 작품의 뒷받침을 위해 본 논문에서는 먼저 '나르시시즘'과 '라캉의 정신분석'을 통하여 철학적 근거를 마련해 보았다. 라캉이 말하는 상징계와 실재계를 놓고 본다면 실재를 인식 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는 어떤것이 상징화에 적용되지 않는 순간을 주목하는 것인데, 그것은 정의 내릴 수 없는 현실의 애매한 순간, 바로 몽롱함의 경험을 통하여 실재를 인식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캐릭터로써의 자화상'과 '동물'의 상징적인 의미를 통하여 판타지의 차원이 작용한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이러한 개별적 이미지들은 본인의 의식이 만들어내는 기호가 되는데 일상적 경험을 바탕으로 접근하여 해석하기 어려운 초현실주의적이며 환상적인 성격을 띠게 된다. 또한 '거울의 시선과 응시' 라는 개념을 통하여 주체에 대한 근원적인 소외를 제시하며 자아의 신화를 역설적으로 표현하였다. 마지막으로 '단순화된 평면성'과 '복제, 반복의 이미지'를 통한 '서술적인' 작품의 특징을 나열하고, 본인의 작품을 korean pop art라는 동시대 미술 경향속에서 그 근거를 마련해 보았다. 존재의 근원적인 소외 라는 운명을 타고난 인간은 타자가 결핍을 가지고 있는 존재임을 알면서도 그 타자의 욕망에 충실하며 살아가고 있다. 본인의 작업과 본 논문은 어떤 정확한 답과 정의를 내리기 위한 것이 아니라, 당연시했던 상황과 존재를 낯설게 함으로써 경험하게 되는 그 찰나의 순간에 주목한다. 이로써 그림의 정신적 영역을 재인식, 그 과정을 통하여 본인이 작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진리의 순간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Regardless of whether we like it or not, we all live with well-coordinated selves and sometimes become hectic to realize such selves. We tend to chase after imaginary images in the mirror without knowing what is real or act as the imaginary image dictates us as a member of society. "Who am I" was the question all mankind repeats perpetually to find the truth about existence. However, the identity embedded in the existing order is only to experience ambiguous moments hovering across the borders between reality and fantasy. It is almost impossible to suggest an absolutely correct answer, but still such ambiguity begot myths about identity and, consequently led to the suspicion that reality and current order might be "matrixious" imagination that is programmed for us to believe so. Such suspicion on truth, dreamy desire for negation, the relations between seeing and being seen on the boundary of reality and imagination and resultant ambiguousness, paradox and satire are the bases of my work. I intended to represent spiritual calling by painting not certain objects but nuance in a given situation In order to support my work, this thesis attempted to lay philosophical found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narcissism" and "Psychanalyse of Lacan". The next section of the thesis explains the role of fantasy through symbolic meanings of " self-portrait as a character" and "animal". These separate images function as a symbol that is created by one's conscience. Thus they inevitably take on surrealistic and fantastical nature that is rarely subject to interpretation on the basis of ordinary experiences. In addition, the concept of " the glance of the mirror and gaze" reflects the fundamental isolation of self and paradoxically expresses myths about oneself. At last, "simplified plane" and "replication and repetition of image" are used to enumerat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my works and find their roots in the "Korean pop art" trend of contemporary art. We humans are destined to fundamental isolation of existence and even though all of us recognize such deficiency, we are busy living up to desires of others. My works and this thesis are not to provide an accurate answer and definition but to draw people's attention to a snap shot moment in which we experience the newness and strangeness of ordinary situations and our existence. Though this, I intend to discover the moment of truth that I pursue in my works by means of reperception of mental spheres of paintings.

      • 귀전우(Euonymus alatus) 추출물이 전신성 아나필락시스의 유발에 미치는 영향

        신영미 全州大學校 大學院 199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 of Euonyms alatus extract (EA) on the chicken gamma globulin (CGG)-induced active systemic anaphylaxis (ASA) and platelet-activation factor (PAF)-induced lethal anaphylaxis (LA) in ICR mice, and degranulation and histamine release of rat peritoneal mast cell. Mice were sensitization i.p. with 500 ㎍ CGG plus Bodetella pertussis (2×10^9 cells) and 1 mg alum on day 0, and were challenged i.v. with 500㎍ CGG on 18 days of sensitization. A severe ASA was induced in all EA-untreated mice. However, the ASA-reaction was reduced when mice were given i.p. EA-water extract for 4 days before sensitization or challenge, and this reaction was completely abolished when mice were treated with EA for 4 days before CGG-sensitization and 18 days after CGG, suggesting that EA has an active principles to prevent ASA. Intravenation of PAF (1 ㎍/mouse) alone produced a severe LA. But, the LA was not evoked when PAF was injected into mice in combination with EA (0.5 ㎍/mouse), or when PAF was injected into mice pretreated with EA (0.5 ㎍/mouse, i.p.) 30 min before PAF.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A shows strong antagonism against PAF. And in vitro EA also remarkably prevented the degranulation of compound 48/80 treated mast cells, and reduced significantly the histamine-release of these cells. Taken together,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EA can be developed as a new drug for preventing and curing allergic disea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