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몽골 북부 흡스골 호수 퇴적층의 퇴적상 분석을 통한 신생대 제4기 후기의 고기후 분석

        신승원 강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몽골 흡스골 호수는 중앙아시아 내륙에 위치하고 있으며, 바이칼 열개지역의 확장으로 만들어진 구조호이다. 호수면의 고도는 1645m이며, 최대 수심은 262m이다. 이번 연구를 위하여 2004년과 2006년에 총 20개의 중력코어를 획득하였으며, 그 중에서 9개의 코어를 분석하였다. 1cm 간격으로 smear slide를 제작하고 박편을 관찰하였으며, 색지수를 측정하고 탄소연대를 측정하여 퇴적단위를 구별하여 궁극적으로 퇴적상을 분류하였다. Md 퇴적상은 홀로세 시기에 호수 주변 토양에서 유입된 많은 유기 영양염(nutrient)에 때문에 높은 초기 생산자에 의하여 축적되었다. Mld 퇴적상은 홀로세 초기에 호수면의 상승과 정체에 의한 검은색 엽층리가 관찰되는 특징이 있다. Sp 퇴적상은 호수면의 상승으로 호수 연안 습지환경에서 모래와 머드가 식물편들과 함께 축적되었다. Sl 퇴적상은 홀로세 후기에 세립의 모래와 이질이 엽층리를 이루며 퇴적되었다. Mwl 퇴적상은 해빙기 후기에 호수면의 상승으로 인하여 이질만 퇴적되었다. Swl 퇴적상은 해빙기 초기시기로 기온과 강수량의 증가로 인하여 호수면이 상승하여 모래의 함량은 줄어들고 이질의 함량이 증가하며 축적되었다. Ml 퇴적상은 해빙기시기에 엽층리가 발달된 모래질 이질이 주로 퇴적되었다. Msl 퇴적상은 LGM 시기에 특별한 구조가 없이 모래질 이질이 축적되었다. Sr 퇴적상은 LGM 시기로 오늘날 보다 호수면이 약 100m 아래에 존재하던 시기에 퇴적되었으며 많은 양의 모래와 이질이 반복해서 퇴적되었다. Cr 퇴적상은 LGM 시기에 실트와 클래이가 반복해서 퇴적되었으며 Sr 퇴적상과 비슷하다. Mp 퇴적상은 LGM 시기에 많은 식물편들과 모래와 이질이 함께 퇴적되었다. Mt 퇴적상은 LGM 시기에 급격한 경사면을 따라서 모래와 이질이 터비다이트 층을 이루며 퇴적되었다. 결과적으로 퇴적상은 플라이스토세 시기의 8개와 홀로세 시기의 4개로 총 12개의 퇴적상으로 분류할 수 있다. 흡스골 호수는 LGM 시기에 오늘날 보다 호수면이 약 100m 아래에 존재하였으며, 수층화가 이루어 지지 않은 작은 규모의 폐쇄호수였다. 퇴적물은 빙하에 의해 이동된 조립의 모래와 서식하는 개형충이 함께 퇴적되었으며, 호수 북쪽에 주로 유입원과 빙하가 존재하여 다른 지역에 비하여 모래의 함량이 높게 나타난다. 해빙기 시기 동안 흡스골 호수는 기온의 상승으로 호수면이 상승하고 빙하 녹은 물의 유입으로 호수 환경이 변화한다. 호수면의 상승으로 수층화가 일어나고 연안환경은 호수 내부 환경으로 변화하여, 조립의 모래에서 이질이 퇴적되게 된다. 홀로세 시기동안 오늘날과 비슷한 환경으로 변화하며, 주로 규조와 쇄설성 이질이 퇴적된다. 그러나 연안 지역에서는 규조와 개형충, 쇄설성 모래 입자들이 함께 퇴적되기도 한다. 또한, 홀로세 초기에 관찰되는 검은색 엽층리들은 호수면의 하강과 정체되던 시기에 퇴적된 것으로 탄소 연대측정결과 이전에 연구된 기후 변화 기록과 일치하는 결과가 관찰되었지만, 이러한 연구는 추후에 계속되어야 한다. 흡스골 호수에 저층 퇴적물의 퇴적상 분석결과는 호수면의 상승과 지역에 따라서 퇴적작용이 일어나지만, 일부 지형적인 영향으로 독특한 퇴적상이 관찰되기도 한다. Lake Hovsgol is located in Asian continetal interior and occupies one of series of Cenozoic rift basins which comprise the Baikal Rift Zone. The altitude of the lake surface is 1645 m a.s.l. and its maximum depth is 262 m. We collected 20 gravity cores in July 2004 and in August 2006. The nine gravity cores were used to interpret paleoclimate. We analysed sedimentary texture through smear slide(interval 1cm), thin section, spectraphotometer and A.M.S radiocarbon. Md Facies was accumulated by high primary productivity at Holocene because of input of much organic nutrients from surrounding soil. Mld Facies was characterized by black lamination indicating lake level rise or highstand at early Holocene. Sp Facies was accumulated by plant-rich fine sand and mud at early Holocene the coastal swampy environment due to lake level rise. Sl Facies was accumulated finely laminated fine sand and mud at late Holocene. Mwl Facies was accumulated by weakly laminated mud at late deglacial. Swl Facies was accumulated at deglacial period. During the period sand was accumulated at the first stage and mud was accumulated later because of increasing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Ml Facies was deposited well laminated sandy mud at deglacial. Msl Facies was accumulated structureless fine sandy mud at LGM. Sr Facies was sediment of LGM period, when the lake level was lower 100 m than that of the present. Sr Facies contains lots of sand size particles forming sand and mud rhythmite. Cr Facies was accumulated the silt and clay rhythmite lake the Sr Facies. Mp Facies was accumulated by plant-rich fine sand and mud at LGM. Mt Facies was accumulated by the urgent slope fine sand and mud turbidite at LGM. As a results, sedimentary facies are divided into total 12 facies as 8 Pleistocene facies and 4 Holocene faices. The Lake Hovsgol level at LGM was 100m below than the present level and was a small closed lake that stratification was not formed. sediments were transported with ice sheet and ostracoda had been Coarse deposited in the lake bottom. Coarse sediments were deposited at the northern part more than at the southern part because ice sheet was located in the northern part. At the Lake Hovsgol, after LGM the lake environment changed and inflow of ice melting caused the lake level to rise because of warm temperature. Following the lake level rise, lake stratification occurred from the coastal environment. Sand contents decreased the lake became an open environment. When input of sand decreased, carbonate mud was deposited. At Holocene, the environment around Lake Hovsgol changed into the present one, and the diatom and clastic mud were mainly deposited. But during Holocene the shallow coastal area have been transgressed into the coastal swampy environment due to lake level rise. As the lake level continually rose, clastic sand grain, diatom and ostracoda were deposited. The black lamination was formed, indicating the lake level rise or lake level highstand at early Holocene, and A.M.S. radiocarbon age data suggests a similar pattern climate change with the previous global data (i.e. Dongge Cave). However, this early interpretation needs more study in the future. The sedimentary facies of the bottom sediments in Lake Hovsgol have been controlled by changes of lake level, depositional position and bottom topography.

      • 온라인 구전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온라인 구전 동기에 관한 연구

        申承元 亞洲大學校 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Since the advent of internet, it has been very important role in modern society. Generally WOM of the off-line occurs in real place and that size is small and that range is limited to some degrees such as between friends, family, neighbors and so on. But the internet enables customers to share their opinions on, and experiences with, goods and services with a multitude of other consumers. These days the rapid growth of internet provides the customers with the opportunity to recognize and to communicate all of a company. Therefore, as internet is growing rapidly, we have to notice every activities of the internet users. Especially, in the present time when customer satisfaction and services marketing is put great emphasis on. Consumers are getting sensitive to the product offered and the service of the company and taking active steps to clear their complaints and to argue their rights to buy the product of good quality through various kinds of way. The very one of useful interactive tools is internet. In this paper, I tried to analyzes on-line WOM motivations and on-line WOM activity. We classified six on-line WOM motivation' variables by Thorsten Hennig' paper; Focus-Related Utility, Consumption Utility, Approval Utility, Economic Rewards Utility, Moderator-Related Utility, Homeostase Utility and then investigated how those variables have an influence on the on-line WOM activity. The result of analysis, on-line WOM activity has influenced Focus-Related Utility, Approval Utility, Homeostase Utility. 인터넷이 이 세상에 출현한지 얼마 되지도 않았건만 우리는 이미 인터넷 세상에 살고 있다. 인터넷은 어느 순간 우리 모두의 생활 속에 들어와 확고하게 자리매김을 해버렸다. 이제는 인터넷이 없는 세상을 상상하기가 어색하다. 일반적 구전의 개념은 오프라인 상에서 이루어지는 구전으로서 규모가 작고 친구나 가족 등과 같이 어느 정도 범위가 제한되어 있다. 하지만 인터넷 게시판을 통해 소비자들은 다른 수많은 소비자들이 가지고 있는 의견이나 소비경험 그리고 상품과 서비스 등의 정보를 서로 공유한다. 오늘날의 인터넷의 기하급수적인 성장은 소비자들이 기업의 모든 것을 국제적으로 지각하고 이에 관해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따라서 인터넷에 급속도로 발전해감에 따라 인터넷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인터넷 사용자들의 모든 활동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특히 고객 만족과 서비스마케팅이 중요시되는 현실에서 소비자들은 기업이 제공하는 제품과 서비스에 보다 민감해지고 불만족한 제품과 서비스에 대해서는 여러 채널을 통하여 문제점을 해결하고 즉각적으로 대처하는 적극적인 성격을 띠게 되는데 그 중에서도 인터넷이라는 가상공간이 유용한 상호작용적 도구로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구전동기로 제시한 영향행사 동기, 조언요청 동기, 인정획득 동기, 보상획득 동기, 중재요청 동기, 안정회복 동기는 Thorsten Hennig-Thurau(2004)와 온라인, 오프라인 구전에 관한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도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가설과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또한 이러한 온라인 구전동기가 온라인 구전활동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아주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통계분석을 해 본 결과 영향행사 동기, 인정획득 동기, 안정회복 동기가 구전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마지막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던 조언요청 동기, 보상획득 동기, 중재요청 동기가 표집의 문제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었다. 따라서 이러한 한계점은 향후 연구자들이 좀더 연구해야할 부분으로 남겨두었다.

      • 성인영어교수자의 교수리더십, 성인영어학습자의 영어자아개념, 셀프리더십, 영어교사효능감, 교육만족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신승원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concepts of andragogy that form the basis of adult learning are the role of experience, self-directedness, the learner's need to know, orientation to learning, and intrinsic motivation. Andragogy, the knowledge of adult learning and adult learners needs to be permeated into EFL adult education and the role of adult educators should be viewed as a facilitator. In addition, the existing research concerning educational satisfaction has focused mainly on the objective dimension of the learners and, by and large, has ignored the subjective dimensions. Educational satisfaction depends upon demographic or environmental variables in tandem with students' cognitive, metacognitive, affective, and motivational variab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adult English educators' instructional leadership, adult English learners' English self-concept, self-leadership, English teacher efficacy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had two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The first was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adult English educators' instructional leadership, adult English learners' self-leadership, and English teacher efficacy on educational satisfaction. The second was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adult English learners' English self-concept, self-leadership, and English teacher efficacy on educational satisfaction.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e sample(N=634) was drawn from 17 EFL teacher training programs of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zed research mode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indings from SEM demonstrated the existence of a positive relationship of instructional leadership, self-leadership, and teacher efficacy with educational satisfaction. In particular, instructional leadership had the most influential effect o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self-leadership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mediating variable. Although English self-concep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is study, English self-concept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predictor for self-leadership and English teacher efficacy. With research indicating that English self-concept has affected self-leadership and English teacher efficacy directly, it may be inferred that enhancing English self-concept would be still an effective way to boost adult students' educational satisfaction. The undertaken analysis of conceptualized instructional leadership could serve as a benchmark for further study on the application of andragogy in adult EFL programs. Inclusion of adult learners' cognitive and affective dimensions in this analysis has also been an especially important contribution to the extension of the existing research of educational satisfaction. Findings from this study could allow adult English educators to more fully understand adult English learners and their learning processes as well as to equip a more practical and rational knowledge for the antecedents of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outcomes of self-concept, self-leadership, and teacher efficacy. The findings suggested that similar studies should be conducted in terms of learners' cognitive and affective variables such as motivation, self-leadership, locus of control, self-concept, and teacher efficacy as well as andragogical practice in the EFL adult education field. Such studies can bring about valuable insights and implications required for the improvement of EFL teacher training programs. 성인학습자의 경험, 자기주도성, 알고자 하는 욕구, 학습에 대한 지향성, 내적 동기와 같은 안드라고지 개념들은 성인학습의 토대를 형성한다. 안드라고지, 즉 성인학습과 성인학습자에 대한 지식은 EFL 성인교육 분야에도 반영되어야 하며 성인교수자의 역할도 촉진자로서 재조명될 필요가 있다. 또한, 교육만족이 인구통계학적 특성이나 환경적 변인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인지적, 초인지적, 정의적, 동기적 변인에 영향을 받는데도 불구하고, 교육만족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주관적인 측면보다는 객관적인 측면에만 집중해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영어교수자의 교수리더십, 성인영어학습자의 영어자아개념, 셀프리더십, 영어교사효능감, 교육만족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영어교수자의 교수리더십, 성인영어학습자의 셀프리더십, 영어교사효능감은 교육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성인영어학습자의 영어자아개념, 셀프리더십, 영어교사효능감은 교육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17개 평생교육기관의 EFL 교사양성 프로그램에 참여한 634명의 성인학습자가 표본으로 추출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모델을 통계적으로 검정하기 위한 주된 분석방법으로는 구조방정식이 활용되었다. 구조방정식 통계 검정 결과 교수리더십, 셀프리더십, 영어교사효능감과 교육만족 간의 정적 상관이 입증되었다. 특히 교수리더십은 교육만족에 가장 영향력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고, 셀프리더십은 중요한 매개변인임이 실증되었다. 본 연구에서 영어자아개념이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지만, 영어자아개념은 셀프리더십과 영어교사효능감의 중요한 선행변인임이 입증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해 볼 때 영어자아개념은 교육만족을 향상하는 데 여전히 중요한 변인임이 추론되었다. 교수리더십의 개념화와 분석에 대한 본 연구는 EFL 성인교육 프로그램에 안드라고지의 적용을 위한 후속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특히 성인학습자의 인지적, 정의적 변인의 분석은 교육만족에 대한 기존 연구의 외연을 확장하는 데 이바지했다. 본 연구결과는 성인영어교수자들이 성인영어학습자와 학습 과정을 더 잘 이해하고 교육만족의 선행변인 및 학업자아개념, 셀프리더십, 교사효능감의 영향력에 대한 실용적이고 합리적인 지식을 갖추는 것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와 유사한 맥락의 연구들이 실행되어 EFL 성인교육에서의 안드라고지의 적용과 성인학습자의 동기, 셀프리더십, 통제 소재, 자아개념, 교사효능감과 같은 다양한 인지적, 정의적 변인들을 심도 있게 조사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연구들은 EFL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통찰력과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 一中 金忠顯과 그의 作品世界

        신승원 建國大學校 敎育大學院 1992 국내석사

        RANK : 247631

        Under the liquadation policy of national culture in the Japanese colonial age, Kim Chung-Heon (pen name; Il-Jung 1921- ) established the artistic-scientific foundation of 'Han-Cuel' calligraphy, originating the systematized standard court style of calligraphy which is relevant to the modern spelling system. On the other hand, He wrote "the writting method of our own letter". Because the province of Han-Guel was limited to the Jeong-Ja(정자), Heul-Lim(흘림). It was monotous and shortage of the moulding expression. He realized that problem and tried to expand the province through the knowledge gained into new field. He presented a new style 「Go-Che(고채)」, by creating the writting method of the Chinese letter's 「Jeon, Yea-seo(전,예서)」, basing the old printed book - Hunminjunghum, Yongbieochunga, Wolinnsukbo(훈민정음, 용비어천가, 월인석보). By examining the whole Chinese calligraphy - Jeon, Yea, Hea, Hang, Cho (전, 예, 해, 행,초). Even though being attained the great stage, we fail to understand his position gaining in Korean calligraphy history and then will examine the artist senses through his life time and the view point of calligraphy which are backgrounded in a work of art. The world of work is classified by the calligraphy style period. I hope to give a chance to look all around the modern Korean calligraphy history and his view points of calligraphy through this paper which is deal with the current backgrounds of the modern Korean calligraphy and Kim Chung-Heon's life time.

      • 민관학 협력 도시개발 일본 사례 연구 : 카시와노하를 중심으로

        신승원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민관학 협력 조직인 UDCK(Urban Design Center Kashiwanoha)를 중심으로 카시와노하 도시개발 참여 주체들의 협력 과정과 체계를 연구하여 향후 국내 도시개발에 있어서 주체 협력의 방식에 대해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연구의 차별성과 연구의 틀을 도출하였다. 카시와노하 사례 분석을 위해 3가지 질문과 협력적 거버넌스 모델을 통하여 카시와노하의 도시개발 배경, 도시개발 구상과 주체 협력 과정, UDCK의 구조와 운영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일본의 2000년대 초 전후를 중심으로 부동산 개발에 변화가 일어나 공공성의 내용이 변화하고 도시개발에서 민관협력 확대가 일어나는 배경에서, 민관학 분야의 주체들이 도쿄대학교의 주도로 일본 최초의 민관학 도시 운영 조직인 UDCK를 설립하여 카시와노하를 개발하였다. 특히 미쓰이부동산은 민간 회사이나 재원과 자금을 제공하며 수익성과 공공성을 동시에 추구하며 도시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본 연구는 다양한 도시개발 주체들이 UDCK를 중심으로 카시와노하 도시개발에 참여하여 함께 균형적으로 지역의 발전을 도모하고 있고, 그 단체들의 조직과 구성, 작동 방식을 분석하는데 향후 국내 도시개발에 다양한 주체들의 참여와 그 작동 방식에 시사점을 제시한다. This study focuses on Kashiwanoha, Japan's first public-private partnership for urban development, as a case study. By studying the cooperation process and system of actors involved in urban development in Kashiwanoha, focusing on the Urban Design Center Kashiwanoha (UDCK), this study aim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way of actor cooperation in future urban development in Korea. To this end, we derived the distinction of the study and the framework of the study through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For the case analysis of Kashiwanoha, three questions and a collaborative governance model were used to analyze the urban development background of Kashiwanoha, the process of urban development initiatives and actor cooperation, and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UDCK. In the context of the reorganization of the real estate market in Japan around the early 2000s, changes in the content of publicness and the expansion of public-private partnerships in urban development, UDCK, Japan's first public-private urban management organization, was established at the initiative of the University of Tokyo, and various actors worked together to develop Kashiwanoha. In particular, Mitsui Fudosan, a private company, provides financial resources and funding, and participates in urban development by pursuing both profitability and public interest. This study analyzes how various urban development actors are participating in the development of Kashiwa-no-ha through UDCK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the area in a balanced manner, and how they are organized, structured, and operated, with implications for the future participation of various actors in domestic urban development and how they operate.

      • 人間中心 敎育課程의 理論的 基盤으로서 老子의 思想

        신승원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1994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인간중심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인간관이 무엇이며 어떻게 전개 되어야 하는지를 Rogers와 노자의 사상을 중심으로 찾으려고 하였다. 교육의 근본목표가 시대와 사회를 초월하여 인간형성과 자아실현에 있으면서도 교육 과정 유형에서 굳이 인간중심 교육과정으로 구분되어야 할 이론적 배경에 대해서 선명하게 설명할 수 있는 내용이 필요한 점을 고려하였으며 교실사태, 즉 교사와 학생의 인간관계에서 바람직한 교사의 심리적 태도를 밝히려고 하였다. 따라서 인간중심 교육과정에서의 인간관은 인간의 자유성, 합리성, 전체성, 가변성, 주관성, 발생성, 불평형성, 불가지성적 입장을 지지하며 체질과 환경에 대해서는 중용적이다. 또한 인간중심 교육과정의 실천을 위해서 교사의 인격적 성숙은 중요하며, 교사의 자기 자신에 대한 정확한 자각과 학생을 있는 그대로 긍정하고 수용하기 위해서 노자의 사상은 여러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는데, Rogers는 그의 인간이론의 전개과정에서 '선'과 '노자' 사상을 적극 수용하고 있음은 매우 주목된다. 어떤 면에서 '인간중심' 문제는 '인내천'의 동양 사상, 그 가운데서도 '무위자연'을 주장하는 노자사상에서 그 근저를 밝혀내는 것이 순서로 생각된다. 이는 인간의 '본연성'을 노자를 통해서 보다 근접해서 살필 수 있기 때문이다.

      • 단시간의 일회성 근 수축 자극이 근세포 유형별 mTOR 신호전달 경로에 미치는 영향

        신승원 한국체육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근육은 인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기관으로서 인슐린성 호르몬이나 테스토스테론과 같은 성장 호르몬에 의해 근 단백질 합성을 자극된다. 이러한 호르몬은 다양한 운동 형식에 의해 분비가 되는데 운동에 의한 근 수축(muscle contraction)은 세포 내의 다양한 신호경로(signaling pathway)를 자극하고 이러한 경로를 통해 근 비대(hypertrophy)나 근섬유의 증식(hyperplasia)이 일어난다. 골격근의 증가를 일으키는데 가장 효과적인 운동 방법으로 저항성 운동이 대표적인지만 저항성 운동도 훈련 정도와 빈도, 강도, 기간, 수축 방식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운동 수행 후 근 비대를 일으키는 신호전달 경로를 분석함으로써 근 비대를 유도하고자 하는 운동선수의 훈련법 개발은 물론이고 노인, 대사성 질환 등 비 활동으로 인한 근 위축(muscle atrophy)을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한 운동처방 분야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근육의 과부하에 의해 발현이 되는 IGF-1을 비롯한 근 비대 유발 인자들은 근 세포 내에서 phosphatidylinositol-3 kinase (PI3K)/Akt pathway의 자극을 기점으로 하여 downstream protein을 활성화시킴으로써 단백질의 합성과 근 질량의 증가를 유발하게 된다. 특히, PI3K/Akt 신호전달에 의한 Mammalian Target of Rapamycin (mTOR)의 활성이 세포 내에서 다양한 성장신호를 통합하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중심 신호전달 기전이며 mTOR의 활성화는 다시 p70S6K 혹은 4E-BP1을 경유하는 독립된 두 가지 pathway로 진행된다. 즉, mTOR를 중심으로 Akt/mTOR/p70S6K로 이어지는 신호전달 경로가 골격근 성장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근 비대를 유발하는 mTOR 신호전달 기전에 관여하는 단백질 발현에 대한 선행 연구들의 결과는 근 섬유 유형(muscle fiber type)이 근육 내 신호 발현 변화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는 일반인들이 일회성 근 수축 운동을 수행하였을 때 근세포 내 mTOR 신호전달기전 발현이 어떻게 변화되는가와 근세포 유형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운동의 경험이 없는 일반인 7명 (28.7±7세)으로 구성하였으며 등속성 운동기구(HUMAC Norm, CSMI, USA)를 사용하여 60°deg/sec의 각속도로 5회, 180°deg/sec의 각속도로 5회, 240°deg/sec의 각속도로 25회 실시하였으며 Wingate test를 30초간 실시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운동 수행 전·후에 근생검을 시행하였으며 sample은 동결건조를 통해 single fiber dissection을 실시하였고 완성된 pool은 SDS-PAGE 와 Western blotting을 통해 관련 단백질 발현 변화를 분석하였다. 실험을 통해 운동수행에 의해 p70S6K (p<.05)는 운동 전과 비교해 두 가지 근섬유에서 증가(p<.05)를 보였으며 type Ⅱ가 type Ⅰ보다 28% 더 큰 발현(p<.05)을 보여준 반면, mTOR에는 운동 전, 후 근 섬유 유형 별 변화가 없었으며 4E-BP1은 운동 후 두 근 유형 모두 감소(p<.05)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단시간의 일회성 근 수축 운동은 초기 p70S6K의 증가를 통해 근 비대 신호가 이루어지지만 mTOR 신호전달 기전을 경유하지 않으며 이러한 근 비대 신호전달 기전은 type 1보다는 type 2에서 더 크게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Skeletal muscle is a very important organ system and skeletal muscle fiber protein synthesis is stimulated by insulin-like growth factor hormone(IGF-1) and testosterone. These hormones are secreted by various exercise types and muscle contraction can induce skeletal muscle hypertrophy or hyperplasia through the activation diverse intracellular signaling pathways. Although resistant exercise can be the best way to induce skeletal muscle hypertrophy, the extent of hypertrophy can also be varied by exercise intensity, frequency, period, contraction type. Thus analysis of intracellular signalling pathways that may be involved in muscle hypertrophy will benefit to not only athletes but also patients. Skeletal muscle overload increases IGF-1, growth hormone that may activate phosphatidylinositol-3 kinase (PI3K)/Akt pathway which switch on downstream proteins in turn increase muscle protein synthesis and mass. In particular, activation of mammalian Target of Rapamycin (mTOR) by PI3K/Akt signalling transduction is thought to be crucial for integration of various growth signalling. In other word, the signalling transduction from Akt to p70S6K via mTOR may play a critical role for skeletal muscle mass increase. Heretofore, the preceding studies have been suggesting that the expression of proteins that are associated with mTOR signalling pathway can be different between skeletal muscle type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effect of acute muscle contraction on the expression of proteins that are involved in mTOR signalling pathway and how the expression is different were examined. We studied 7 young subjects (seven men). All subjects were healthy and physically active, but were not currently engaged in an exercise training program. Subjects performed leg extension isokinetic test at 60°deg/sec, 180°deg/sec, 240°deg/sec and wingate test in 30 seconds. For this purpose, 7 young subjects were performed biopsy and samples were placed under a dissection microscope and fragments of single fibers were dissected out after lyophilization. After single fiber dissection, we performed SDS-PAGE and Western blotting. Western blotting with phosphospecific and pan antibodies was used to determine the phosphorylation status of 4E-BP1, mTOR and p70S6K. The phosphorylation of p70S6K on Thr 421/Ser 424 in type Ⅱ was increased by 28%(p〈.05) than in type Ⅰ. However acute contractile activity did not induce any significant changes in mTOR on muscle type. The phosphorylation of 4E-BP1 in type Ⅰ and type Ⅱ was decreased by 18% and 12% (p〈.05) after acute exercise. The presented results suggest that acute bout of exercise activates p70S6K but not mTOR and this hypertrophy signalling activation is higher in type Ⅱ muscle than in type Ⅰ muscle.

      • 소외된 노동의 경제 비판 : 『1844년의 경제 철학 초고』를 중심으로

        신승원 서울시립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Diser Aufsatz beschreibt das Konzept der ‘entfremdeten Arbeit’ in ökonomisch-philosophische Manuskripte aus dem Jahre 1844(im folgenden Manuskripte gennant) unter dem ‘ökonomischen kritischen’ Aspekt. Dadurch wird es gezeigt, daß Die Ökonomie-Kritik der Manuskripte eine ‘rettende Kritik’ ist. Der Beitrag zielt darauf ab, die Streitpunkte der alternativen ökonomischen Erkenntnisse innerhalb dieser Kritik darzustellen. Marx regelt die Entfremdung, die ontologisch dargestellt wird, als die gesellschaftliche und ökonomische Kategorie und analysiert damit die negativen Ökonomischrealität der damaligen Zeit. Auf der anderen Seite prüft er die Möglichkeit der alternativen Ökonomie durch die Überwindung der ‘entfremdeten Arbeit’. Aber die Ambiguität, die im Konzept der entfremdeten Arbeit gezeigt wird, ruft die theoretische Spannung hervor und läßt die Analyse und Alternative der Manuskripte auf der abstrakten Ebene erkenne. Der Grund dafür liegt darin, daß Marx als eine objektive Arbeitkategorie die ‘konkrete Arbeit’ und die ‘gesellschaftliche Arbeit’ mit der ‘Entfremdung’ verbunden und das Arbeitskonzept als ein doppeltes Konzept gemacht hat. Dieser Aufsatz geht davon aus, die die Anordnung dieser Ambiguität eine gesellschaftlich verborgene Bedeutung besitzt. Es ist eine Frage nach den modernen Ökonomie, die die Ästhetik der Existenz unterdrückt, während die Ökonomie der Existenz einseitig versucht wird. D.h. wird die ‘unentfremdete Arbeit’ mit dem Aspekt der neuen Befreiung, nämlich dem ‘Genuß des Lebens als Werk’ verbunden. Daraus wird die die Ästhetik umfassende Ökonomie, d.h. die Möglichkeit einer ‘menschlichen Ökonomie’ als eine gesellschaftliche Planung der Freizeit gezeigt. Die bisherige Interpretation der Manuskripte stellte die Befreiungslehre Manuskripte als einen abstrakten und utopischen Projekt dar und beachtete den Aspekt der alternativen ökonomischen Erkenntnisse nicht. Z.B. behandelte Althusser die Ambiguität der Manuskripte als unwissenschaftlich. Marcuse hat die Kategorien der Manuskripte mit der philosophischen Anthropologie verbunden und den Projekt der Manuskripte als ein Fertigprodukt von Hegel angesehen. Mandel hat zwar die gesellscahftlichen und ökonomischen Inhalte der Manuskripte relativ gut gezeigt aber auch den Zusammenhang zwischen der Ambiguität der Manuskripte und den alternativen ökonomischen Erkenntnissen vernachlässigt. Der Nachfolger, der die neuen ökonomischen Erkenntnisse der Manuskripte zum jetzigen Zeitpunkt übernimmt, ist Andre Gorz. Gorz betrachtet die Lohnarbeit und die Arbeit als eigene Tätigkeit getrennt und ist der Meinung, daß die Kulturgesellschaft durch die unbedingte Gewährleistung des ‘Grundeinkommens’ verwirklicht werden sollte. Dies konkretisiert die alternativen ökonomischen Erkenntnissen unter den vorhandenen Bedingungen erneut. Der Kern der Veränderung ist die erneute Anordnung der Arbeit und die Regelung der ökonomischen Rationalität. Marx sieht den Kapitalismus als nicht permanent an aber auch gleichzeitig war der Meinung, daß der Kapitalismus durch Vereinbartung oder Institutionen nicht leicht überwunden werden kann. Er hat die objektiven Bedingungen der technischen Entwicklungen erwähnt. Aber heute wird die allgemeine Verbreitung des Wachstumg ohne Beschäftigung und der Armut zu einer starken Entfremdung entwickelt. Die Überwindung der ‘entfremdeten Arbeit’, die das größte Argument darstellt, war ein Projekt, aus dieser lebensexistentiellen Unterdrückung das Dasein zu befreien. Dies bietet immer noch einen gültigen Zugang für eine Möglichkeit der heutigen fortschrittlichen Gesellschaft. Das liegt daran, daß die Manuskripte die Grenzen der Analyse, die sich auf die Arbeit bezieht, besitzen aber trotzdem die Einstellung der rettende Kritik gegen Ökonomie übernehmen. Die Ergänzung der alternativen ökonomischen Erkenntnisse nach dem jetztigen Standpunkt ist eine wichtige Aufgabe der sozialistischen Lehre zur Überwindung des immer stärker werdenden heutigen Skeptizismus. ※ Stichwörter : Entfremdung, entfremdete Arbeit, menschlichen Ökonomie, ökonomisch-philosophische Manuskripte, Marx, Andre Gorz 이 논문은 『1844년의 경제 철학 초고』(이하 『초고』)의 ‘소외된 노동’ 개념을 ‘경제 비판’의 측면에서 검토한다. 이를 통해 『초고』의 경제 비판이 ‘구제적 비판’임을 보이고 비판에 내재한 대안적 경제 인식의 논점들을 제시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맑스는 존재론적으로 다루어지던 ‘소외’를 사회 ․ 경제적 범주로 조정하여 당대의 부정적 경제 현실을 분석하는 한편, ‘소외된 노동’의 극복을 통한 대안적 경제의 가능성을 검토한다. 그러나 ‘소외된 노동’ 개념에 나타나는 애매성은 『초고』의 이론적 긴장을 가져오며 『초고』의 분석과 대안을 추상적인 차원으로 인식하게 만든다. 그 주된 원인은 맑스가 객관적 노동 범주로서 ‘구체적 노동’과 ‘사회적 노동’에 ‘소외’를 결합하여 노동 개념을 이중적인 것으로 만들었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그러한 애매성의 배치가 사회적 차원의 함의를 갖고 있다고 본다. 그것은 존재의 경제학이 일면적으로 추구되어 오면서 존재의 미학을 억압해 온 근대 경제에 대한 문제제기이다. 곧 ‘소외되지 않은 노동’은 ‘작품으로서 생의 향유’라는 새로운 해방의 관점과 연계되며, 이로부터 존재의 미학을 포괄하는 경제, 곧 자유 시간의 사회적 기획으로서 ‘인간적 경제’의 가능성이 시사된다. 지금까지『초고』의 해석은 『초고』의 해방론을 추상적 ․ 유토피아적 기획으로 일면화하고 대안적 경제 인식의 측면을 소홀히 다루었다. 가령 알튀세르는 『초고』의 애매성을 비과학적인 것으로 취급했으며, 마르쿠제는 『초고』의 범주들을 철학적 인간학에 결부시켜, 『초고』의 기획을 헤겔의 실현이라고 해석했다. 만델의 해석은 『초고』의 사회 경제적 내용들을 비교적 잘 드러내고 있지만, 그 역시 『초고』의 애매성과 대안적 경제 인식 사이의 연관에 주목하지는 않았다. 『초고』의 새로운 경제 인식을 현재적으로 계승한 논자는 앙드레 고르이다. 고르는 임금 노동과 자기 활동으로서의 노동을 분리하는 한편, 무조건적인 ‘기본 소득’ 보장을 통한 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주장한다. 이는 『초고』의 대안적 경제 인식을 현재적 조건 하에 새롭게 구체화한 것이며, 변화의 핵심은 ‘노동의 재배치’ 및 ‘경제 합리성’의 조정이다. 맑스는 자본주의가 영구적이라고 보지 않았지만, 동시에 합의나 제도를 통해 손쉽게 극복될 수 있는 것으로 보지도 않았다. 그는 기술 발달의 객관적 조건을 언급했지만 오늘날 고용 없는 성장과 빈곤의 대중적 확산은 소외의 심화로 이어지고 있다. 『초고』의 가장 강한 주장인 ‘소외된 노동’의 극복은 이같은 생계필연적 억압으로부터 현존을 해방하기 위한 기획이었으며, 오늘날 진보적 사회의 가능성에 관한 여전히 유효한 접근을 제공한다. 이는 『초고』가 노동중심적 분석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경제에 대한 구제적 비판의 입장을 견지하기 때문이다. 대안적 경제 인식의 현재적 관점에서 이를 보완해가는 것은, 심원해지는 현대의 회의론을 극복하기 위한 사회주의론의 중요한 과제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