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ICT를 활용한 수학 수업의 학업 성취도 및 학습태도의 효과 연구 : 지수·로그 함수와 그래프 단원을 중심으로

        신수연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55

        As a matter of fact, mathematics has a history that is long enough to the extent that it is safe to say that is started with the history of mankind when consider that the concept of the figure and the way of calculating began to develop from the prehistoric period. Today there is no fields that are not affected by mathematics, such as finance, information technology and national defense and the like. The natural science as well as the culture of arts and sciences, and social science fundamentally rely on the mathematics. The high technology in the 21st century is getting more and more relying on the model of mathematics which is the very indispensable for the high speed calculation that is required for the realization of the technology. Despite the crucial role that the mathematics is playing as a study or a science, most of the students find mathematics boring, difficult and troublesome. So teachers have to develop the optimal materials for teaching by acquiring themselves abundant knowledge, so as to let students adopt interest and enjoyment in that subject. Therefore, as part of efforts to design a teaching material that applied the ICT(Information Communication & Technology) to include those excessively broad and difficult concept of mathematics in the class so as for students to get more familiar to and confident of the mathematics, tests involving 2nd graders in a high school in the city Chuncheon was conducted in advance for assessing the school performance, and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were selected.(Each class room has 32 student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is study, a draft was prepares that is based on the introduction of ICT and two classes of 2nd graders of the high school were chosen as experiment class and comparison class respectively. The study conducted a validity test of both groups and found how the distribution of the grade turned out. The experiment class used the class material that used the ICT and the comparison class used mainly the contents of the textbook during the class. After the class finished in both groups, the students were given the ex post fact test for assessing their grade to substantiate the validity in the difference of the average of both groups. The test was given before and after the class is over for both groups to verify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that might come from the introduction of ICT in class. And t-verification was conducted to substantiate the possible difference. The level of the validity was decided as 5%. In order to verify these research problems, we used the unit exponential ㆍlogarithmic function and experimented 64 second grade students from two classes. The process of research based on the events which appear from the background of theory, preseding research, and the actual condition analysis. In order to improve student`s attitude of study, we made an ICT application teaching-learning plan. We checked student`s attitude of study through the study accomplishment evaluation and surveys. Thus, in this study, the following two research goals were established to analyze the impact of teaching and learning to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aptitude by searching for the teaching skill for the mathematic class implementing ICT that towards the concept and the application of EXPONEN· LOG EQUATION and INEQUALITY based on the chapter of EXPONENT· LOG FUNCTION (1)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who had teaching activities using the ICT and the comparison group? (2)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udent`s attitud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who had teaching activities using the ICT and the comparison group? The result from the performing the classes which were dated from 2007, 4, 30 to 2007, 5, 25, toward 64 students in 2 classes of 2nd grade with EXPONENT, LOG FUNCTION and GRAPH chapter in highschool Math I to conduct these research goals is as follow. Firs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by area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p=0.05) This chapter was rather complicated to prove the student's understanding and problem solving skill within short researching period.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results of testing the high and low sub-group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high and low sub-groups in the comparison group, but not in the results of the descriptive test. The high class group, particularl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significance level of 0.05. This revealed the fact that the high class students can approach the questions far more easily with clear explanation of the concept due to their superior problem solving skill. Lower class students, however, gave up trying even if they knew the question owing to the lack of confidence while they had chances to participate the classes actively. Third, in academic achievement test,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with significance level of 0.05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ison group among the 4 categories of concept, understanding, drawing graph, and application. This result is gained from the fact that students who solved applied questions belonged to the high class and that its average score rose. Fourth, there's no meaningful difference with significance level of 0.05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ison group in mathematical attitude per sector. In case of experimental group, however, showed increased class-participation rate through implementing ICT and higher interest toward math after the class. 수의 개념과 셈법은 역사가 기록되기 전부터 발전되어 왔기 때문에 사실상 수학은 인류의 역사와 더불어 시작되었다고 할 만큼 오래 된 학문이다. 오늘날 산업, 금융, 정보통신, 국방 등 수학이 미치지 않는 곳이 없다. 자연과학은 물론, 인문 사회과학도 기본 바탕은 수학이다. 21세기 첨단 과학 기술은 더욱더 수학적 모델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들이 요구하는 초고속 계산의 핵심도 바로 수학이다. 이처럼 수학이 학문 또는 과학으로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학생들은 지루해 하고, 어렵고, 골치 아픈 학문으로 생각하고 있다. 따라서 교사들은 교과에 대한 풍부한 지식을 갖추어 최적의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학생들로 하여금 교과에 흥미와 관심을 갖도록 하여야 한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방대하고 어려운 수학 내용들을 ICT(정보 통신 기술,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Technology)를 활용한 교수-학습 자료로 제작하여 지도함으로써, 학생들이 수학교과에 친근감을 느끼고, 자신감과 용기를 얻어 교과 학습 활동에 많은 영향을 줌으로써, 수학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바꾸고자 춘천시 소재 K 고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중간고사 성적을 기반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선정하였다. (한 학급 인원은 각각 32명) 본 연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ICT를 도입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 수업지도안을 작성하였고, 고등학교 2학년 두 개의 학습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두 집단을 유의성 검정을 실시하여 두 집단의 성적 분포가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알아보았다. 실험집단의 수업은 호기심 유발을 위해 ICT를 이용한 수업자료, 비교집단의 수업은 교과서 내용을 바탕으로 진행하였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수업을 한 뒤 학생들에게 사후 학업성취도 검사를 실시하여 두 집단의 평균치의 차에 대한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연구문제에서 ICT 도입에 따른 인지적 영역에 대한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 대한 산전검사와 사후검사의 점수를 산출하였다. 그리고 점수의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때 유의수준은 5%로 정하였다. 연구의 절차는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및 실태분석에서 나타난 시사점을 근거로 사고력을 신장하도록 ICT 활용 교수ㆍ학습 과정안을 제작하여 수업에 적용한 다음 학업 성취도 평가와 설문지를 통해 실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수·로그 함수와 그래프 단원을 기반으로 지수·로그 방정식 및 부등식의 응용과 관련된 개념에 대하여, ICT 활용 수학 수업 방법을 모색하여, 그 교수·학습이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와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다음과 같은 2개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ICT를 활용한 수업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사이의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주는가? 2) ICT를 활용한 수업이 전통적인 수업방식에 비해 학생들의 학습태도에 유의미한 변화를 줄 수 있는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고등학교 2학년 자연계열 2개 반 64명을 대상으로 2007년 4월 30일부터 5월 25일까지 고등학교 수학Ⅰ 지수 · 로그 함수 와 그래프 단원에 대한 수업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문제에 대한 결과 분석은 ICT 활용 수업에 따른 학업 성취도와 수업태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비교 집단과 실험 집단을 상호 비교 분석 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전체에서는 실험처치 후 객관식과 서술형 학업 성취도 검사를 통해 유의수준 0.05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도 단원 자체가 짧은 실험 기간 안에 학생들의 이해와 문제 풀이 능력을 검증하기에는 다소 복잡한 단원이었다. 둘째, 실험집단의 상위, 하위집단과 비교집단의 상위, 하위집단에서의 학업성취도 검사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 할 수 있었다. 특히, 상위집단의 경우 객관식에서 유의수준 0.05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상위집단은 문제풀이 능력이 평상시 뛰어난 편이기에 개념적인 부분을 확실히 정리 해 줌으로 더욱 쉽게 문제에 접근하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하위집단의 경우 수업시간에 좀 더 적극 참여할 계기는 마련했으나 수학 문제에 대한 자신감이 부족해서 아는 문제 임에도 불구하고 문제를 포기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셋째, 학업성취도 검사에서 개념, 이해, 그래프그리기, 응용의 네 가지 영역 중 응용에 해당하는 문제에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사이에 유의수준 0.05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는 응용문제를 풀었던 학생들의 대부분 상위 집단으로 상위 집단의 평균이 높아져서 얻어진 결과이다. 넷째,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전체의 영역별 수학적 태도면에서 유의수준 0.05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실험집단의 학생들의 경우 ICT활용 수업을 통해 수업에 대한 참여도나 수업 이후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흥미가 높아지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 성견에서 발치 후 즉시 임플란트 식립시 microgroove collar design이 주위 조직에 미치는 영향

        신수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박사

        RANK : 248655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alveolar bone reduction following immediate implantation using microgrooved and smooth collar implants in fresh extracted sockets.Four mongrel dogs were used. Full buccal and lingual mucoperiosteal flaps were elevated and third and fourth premolars of mandible were removed. Implants were installed in the fresh extracted sockets and after 3 months of healing the animals were sacrificed. The mandibles were dissected and each implant sites were removed and processed for histological examination.During the healing, the marginal gaps in both groups that were present between the implant and the walls of the sockets at the implantation disappeared as a result of bone fill and resoprtion of the bone crest. The buccal bone crests were located apical of its lingual counterparts. At the 12 week interval the mean of bone implant contact in the microgrooved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turned surface group.From the observation in some of microgrooved group, we have found bone attachments to the 12μm microgroove surface and collagen fibers at perpendicular to the long axis of the implants over 8 μm microgrooved surface.Withi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it could be concluded that microgrooved implants may provide more favourable conditions for the attachment of hard and soft tissues and reduce the resorption of marginal bone and the recession of soft tissue. 치아를 발거하면 전반적으로 치조제의 생리적 흡수가 일어나고 치조제의 협설폭 뿐만 아니라 수직적으로도 흡수가 일어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게다가 치아 발거 후 골소실은 설측이나 구개측보다 협측에서 더욱 심하게 나타나는데, 발치 직후 발치와에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것이 이러한 조직의 개조 과정을 어느 정도 차단하여 치조제의 형태를 보존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실험에서는 collar 부위에 microgroove가 있는 임플란트를 신선 발치와에 식립한 경우 조직의 생리적인 조직 개조에 의한 골흡수를 억제시킬 수 있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임플란트는 직경 3.45mm, 길이 10.0mm로 collar 부위에 8㎛과 12㎛ pitch의 microgroove가 있는 microgrooved 임플란트와 turned surface 임플란트 각각 8개씩 16개를 실험에 이용하였다. 30kg 전후 성견 4마리의 하악 양측 제 3, 4 소구치 발거 후 임플란트를 골이식재나 차폐막 없이 즉시 임플란트를 식립하였다. 형광현미경 관찰을 위하여 식립 1주, 6주, 11주에 각각 Alizarin red S, Oxytetracycline hydrochloride, 그리고 Calcein 순서로 정맥주사하였다. 12주의 치유과정을 거친 후 희생시켜 조직 시편을 제작하여 광학현미경과 형광현미경 하에서 골-임플란트 접촉율을 측정하고 조직계측점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관찰하였다.골-임플란트 접촉율에 있어서는 협, 설측 모두 유사하였으나, microgrooved 임플란트 군이 microgroove가 없는 turned surface 임플란트 군에 비해 협설측 각각 유의성 있게 우수하였다.광학현미경과 형광현미경 하에서 조직시편을 관찰하여 turned surface 임플란트 군에서는 결합조직섬유가 임플란트 표면에 평행하게 배열하는 반면에, microgrooved 임플란트 군에서는 12㎛ microgroove에서의 골유착과 8㎛ microgroove에서 결합조직 섬유의 수직 부착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현미경상에서의 골흡수 양상 관찰과 임플란트와 주위 경조직, 연조직 계측점간의 거리를 조직시편상에서 측정한 결과, 협측 골벽의 치조정 및 골외벽의 소실이 설측에 비해 더 컸다.이상의 결과에서 발치 후 즉시 임플란트 식립시 설측벽에 비해 협측벽의 골소실이 다소 크나, 발치 후 즉시 microgrooved 임플란트를 식립할 경우 골형성 및 결합조직 부착에 유리한 조건을 제공하여, 치아 발거 후 발생하는 생리적인 골개조 반응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결합조직 섬유의 수직 부착을 유도하여 변연골 흡수 및 연조직 퇴축을 방지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중학생의 운동참여와 외현화 및 내재화 문제의 관계 : 성차를 중심으로

        신수연 고려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경기지역의 중학생 384명을 대상으로 중학생의 운동참여와 외현화 및 내재화 행동문제의 관계를 성차 중심으로 살펴본 연구이다. 청소년들은 청소년기의 생물학적, 심리학적, 사회적·경제적 측면의 변화와 발달과정에서 오는 각종 스트레스와 심리적 고통을 경험하면서 내재화, 외현화 문제행동을 보이는데 이러한 청소년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 방안의 하나로 운동참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운동참여와 외현화 문제행동과 내재화 문제행동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특히, 최근 우리나라가 국가적?사회적 차원에서 청소년의 스포츠 활동 참여를 권장하려는 정책을 펼치는 것과 관련하여 운동참여의 요인 중 운동빈도에 중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성차를 중심으로 한 연구는 각각의 성에 적합한 문제행동 감소를 위한 대처 방안 수립과 체육교육이 나아갈 방향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함이다.이러한 목적에 따라 첫째, 연구대상자들의 운동지속의도, 문제행동에 대한 기술통계 분석 및 척도의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변인들과 각 하위변인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하였다. 셋째, 성별에 따른 각 변인들의 평균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를 실시하였다. 넷째,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해보기 위해 연구 모형을 설정하고 평가를 위해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성별에 따라 연구 모형과 경로계수에서 차이가 있는 확인하기 위해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운동참여는 내재화된 문제행동과 외현화된 문제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준다. 즉, 중학교 남학생의 경우, 운동 참여 빈도, 주 참여횟수를 증가시키면 우울, 불안, 사회적위축 등의 내재화된 문제 행동과 폭력, 비행, 공격성 등의 외현화된 문제행동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나 문제행동 감소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운동참여를 통한 문제행동의 감소에는 성차가 존재한다.내재화 문제행동의 평균은 남학생 보다 여학생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고 외현화 문제행동의 평균은 남학생과 여학생간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평균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운동참여와 문제행동의 관계는 남학생의 경우 운동지속의도가 주 참여횟수에 대한 영향, 주 참여횟수가 내면화된 문제행동에 대한 영향, 주 참여횟수가 외현화된 문제행동에 영향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 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여학생은 운동지속의도가 주 참여횟수에 대한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주 참여횟수와 내재화된 문제, 주 참여횟수와 외현화된 문제행동은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운동빈도를 늘리는 것 중학교 남학생의 우울, 불안, 사회적위축등의 내재화된 문제 행동과 폭력, 비행, 공격성 등의 외현화된 문제행동 감소에 도움을 준다고 볼 수 있으나 여학생의 경우, 운동 주 참여횟수를 증가시켜도, 내면화된 문제 행동이나 외면화된 문제 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결론이 도출되어 운동참여를 통한 문제행동의 감소는 성차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발달적으로 불안정한 청소년시기에 부정적인 감정과 문제행동을 운동을 통해 건설적으로 풀어나가는 것은 사회적으로나 개인적으로 주요한 밑거름이 된다. 이렇게 운동을 통한 긍정적 경험을 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청소년의 운동참여 의사를 높이고 지속적으로 운동에 참여시켜야 하며 스스로 운동을 선택하고 결정할 수 있는 기회를 주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운동이 여학생의 문제행동의 감소방안으로 자리 잡게 하기 위해서 여학생의 선호도를 고려한 다양한 운동프로그램의 계발, 남녀분반 체육수업, 스포츠클럽에서 여학생들의 흥미를 고려한 프로그램 개설 등의 사회적, 제도적인 뒷받침이 필요할 것이다.

      • 히나스테라 피아노 소나타 No.1 op.22의 분석 연구

        신수연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55

        알베르토 히나스테라는 20세기 음악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작곡가이다. 남미를 대표하기도 하는 그는 민족주의적 요소를 음악에 접목시켜 새로운 스타일을 개발하는 동시에 자기만의 음악적 색깔을 추구해 나갔다. 아르헨티나의 민속음악은 잉카음악, 스페인 음악, 아프리카 음악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음악들은 히나스테라의 음악에 재료가 되었기에 그의 작품 곳곳에서 민속음악의 요소들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히나스테라의 작품에는 민속적인 색채가 짙게 나타난다. 그는 10개의 피아노 작품을 완성 시켰으며 자신에 의해 3개의 시기로 분류된다. 제1기는 객관적 민족주의로 민속적 요소를 분명하고 직설적으로 보여준다. 제2기인 주관적 민족주의에서는 민속적 요소가 상징적으로 사용 되었으며, 제3기는 신 표현주의로 민속적인 요소보다는 작곡자 자신의 감정을 주관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데 주력했다. 이 3가지 시기는 모두 각각의 개성이 뚜렷하며 작품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이 논문의 주제인 피아노 소나타 no.1 op.22는 4악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악장은 (Allegro marcato) 제시부-발전부-재현부로 이루어져 전형적인 소나타 형식을 갖췄으나 리듬이나 화성은 전체적으로 현대적인 느낌이 묻어난다. 2악장은 (Presto misterioso) 신비하고 알 수 없는 공간에 있는 듯한 느낌을 준다. 이 곡은 론도 형식이며 히나스테라가 피아노 작품에 처음으로 12음 기법을 사용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3악장은 (Adagio molto appassionato) A-B-A'의 3부 형식이다. 무조적인 성격을 지녔으며 변박자의 사용과 랄렌탄도, 아첼레란도 등의 영향으로 템포의 변화도 자주 나타나 개성이 뚜렷한 작품이다. 4악장은 (Ruvido ed ostinato) A-B-A'-C-A''의 론도형식으로 작곡 되었다. 타악기적인 주법이 눈에 띄는 악장으로 민속적 요소가 주로 사용되었다. 히나스테라는 3개의 피아노 소나타를 작곡했지만 그 중 no.1 op.22는 작품성이 가장 뛰어나다고 평가 받고 있으며 오늘날 연주자들에게도 찬사를 받는 작품이다. Alberto Ginastera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erson in 20th century in music history. He is a composer representing South America and developed new style of music with nationalistic elements. Moreover, he completed his own musical style. Argentine folk music is consist of Inca Music, Spanish music and African music. Because Alberto Ginastera composed his works with these musical elements, Argentine folk music element can be found in his music. In this reason, his music has affluent Argentine traditional colors. He composed ten pieces of piano music and they divided by three period. In the first period, his music shows objective Nationalism clearly and directly. In the second period, His music represents subjective Nationalism because folk elements were used symbolically. The third period is Neo-expressionism because he tried to express his emotions subjectively rather than folk elements. His music of these three periods can be compared each other, and have strong personalities. This paper is about piano sonata no.1 which is consists four movements. Although the first movement has typical sonata allegro form, rhythm and harmony are more modernistic. The second movement, Presto misterioso, is mysterious and strange. This movement is rondo form. Because Alberto Ginastera introduced twelve-tone technique in his piano works, it is meaningful. The third movement is A-B-A ternary form, It is unusual work because of peculiarity of atonal music and changes in tempo using odd meter, rallentando and accelerando. Alberto Ginastera composed the forth movement by A-B-A'-C-A'' rondo form. In this movement, percussion style and traditional elements are mainly used. Alberto Ginastera composed three piano sonatas, no.1 op.22 is recognized as the best piece in his music.

      • 김윤덕류 가야금산조와 거문고산조 연구 : 중모리 선율 및 음계 중심으로

        신수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산조(散調)는 악기의 특성을 최대한 살려 연주자의 음악세계를 개성 있게 표출해 내는 독주음악으로 주요 관 · 현악기들마다 존재하며 현재까지 전승되어지고 있는 우리나라 대표 음악이다. 세대를 거쳐 산조의 가락이 전승되면서 여러 가지 유형이 생겨났고 이를 유파로 나누게 되었다. 본 연구는 가야금산조와 거문고산조의 여러 유파들 가운데 김윤덕류를 연구했다. 김윤덕은 가야금과 거문고 연주의 명인으로 가야금산조와 거문고산조를 후대에 남겼다. 김윤덕류 가야금산조와 거문고산조는 한 연주자로부터 만들어진 산조로 그 뿌리를 같이 두고 있기에 서로 많은 연계성이 있을 것이라 생각하여 본 논문에서 제시, 확인하고자 했다. 가야금산조 중 중모리 총 70장단과, 거문고산조 중 중모리 총 76장단의 장 별 선율과 음계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동일선율 과 유사선율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여 두 산조의 연계성을 밝히고자 한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야금산조 중모리 총 70장단은 모두 10개의 장으로 나누고 선법은 우조 1%, 평조 29%, 계면조 70%의 비율로 구성되어 있다. 거문고산조 중모리는 총 76장단으로 모두 12개의 장으로 나누고 가야금보다 장단의 수와 장의 수가 많다. 선법으로 우조는 존재하지 않고 평조 8%, 계면조 92%의 비율로 구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거문고산조가 가야금산조에 비해 선법은 다양하지 않고, 두 김윤덕류 가야금산조와 거문고산조 모두 계면조 선법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김윤덕류 가야금산조 중모리와 거문고산조 중모리의 선율을 동일선율과 유사선율 중심으로 비교분석한 결과 가야금산조 중모리의 70장단과 거문고산조 중모리의 76장단 중 동일선율이 5장단으로 가야금산조의 7%, 거문고산조의 6%를 차지하고 유사선율은 4장단으로 가야금산조의 7%, 거문고산조의 5%가 나타나 있었다. 셋째, 리듬과 표현법은 가야금산조에 비해 거문고산조가 박의 분할이 더 활발하며, 거문고산조에는 순차적으로 하행하거나 상행하는 선율형태가 많은 것에 비해 가야금산조에는 상행과 하행, 하행과 상행의 선율형태가 많았다. 또한 악기상의 특성과 구조로 인해 선율에서 주법이 다르게 표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산조는 공통적으로 계면조 선법이 가장 많은 부분에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산조들이 계면조 선법을 많이 사용하였기에 이와 같은 결과로 두 산조의 연계성이 희박하다. 그리하여 각 산조의 선율과 음계분석을 바탕으로 선율을 비교분석한 결과, 두 산조는 유사, 공통점의 비중이 적었다. 따라서 김윤덕류 가야금산조 중모리와 거문고산조 중모리는 김윤덕만의 독자적인 창의성으로 가락을 형성하여 두 산조가 생성되었다기보다는 김윤덕의 생애와 음악활동에서 확인되는 문헌적 사실을 바탕으로 김윤덕은 자신의 선생에게서 답습한 가락에 선율변화를 주어 본인의 유파를 형성하였을 뿐 두 산조가 서로 끼치는 영향과 연계성이 미비하다고 본다. 지금까지 김윤덕류 산조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므로 현재까지 전승되고 있는 산조의 한 유파로 그 중요성과 가치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김윤덕류에 대한 더 다양한 연구가 지속되기를 기대한다. Sanjo is a solo piece to express the musician’s music world in a very individualized way by allow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truments to come out as much as possible and is a representative Korean music with wind and string instruments. Over time, te melodies of Sanjo has been transmitted while creating many variations, which were divided into schools. This study examines the Kim Yun-Duk School among many schools of Gayageum and Geomungo Sanjo. Kim Yun-Duk was a maestro in Gayageum and Geomungo performances and left the Gayageum and Geomungo Sanjo. The Gayageum and Geomungo Sanjo of Kim Yun-Duk School have the same root as the creations of the same musician, which may predispose them to many similarities to be examined in this study. A total of 70 beats of Gayageum Sanjo and a total of 76 Geomungo Sanjo have been analyzed to find the similar or same melodies in an attempt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Sanjos. The results showed the following: First, the 70 beats of Gayageum Sanjo Jungmori can be divided into a total of 10 chapters, which were comprised of 1% of Wu, 29% of highkey, and 70% of interfacing keys. The Geomungo Sanjo Jungmori of 76 beats can be divided into a total of 12 chapters and while it has more numbers of beats and chapters, it did not have any Wu scale and was comprised of 8% of highkey and 92% of interfacing keys. Therefore, the Geomungo Sanjo does not have as much variety compared to the Gayageum Sanjo, but both Sanjos showed that the interfacing scales have the most significant portion. Second, the result of comparatively analyzing the melodies of Kim Yun-Duk School Gayageum Sanjo Jungmori and Geomungo Sanjo Jungmori for their similar and same melodies for their 70 beats of Gayageum Sanjo and 76 beats of Geomungo Sanjo, there were 5 same beats, which were 7% of the Gaageum Sanjo and 6% of Geomungo Sanjo, and 4 similar beats, which were 7% of Gayageum Sanjo and 5% of Geomungo Sanjo. Third, in the rhythm and expressions, the Geomungo Sanjo had more active division of beats compared to Gayageum Sanjo and the Geomungo Sanjo showed more orderly decreasing or increasing but the Gayageum Sanjo melodies showed more increase and decrease, then decrease and increase.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s of the instrument, the melodies had different techniques. In both Sanjos, the interfacing scales were mainly used, but the majority of the Sanjos use the same interfacing scales and this result cannot be concluded to have influenced each other. Therefore, the melody comparison of each Sanjo showed that, unlike the hypothesis, the similarities and sameness were not as common. Although the studies on Kim Yun-Duk School have not been common, I attempted to find the importance and value as a school that has been carried down until today in music. I hope that there are more studies on Kim Yun-Duk School arising from this study.

      • 대학생의 가족의사소통 유형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자기조절 매개변인 중심으로

        신수연 선문대학교 통합의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국문요약 대학생의 가족의사소통유형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기조절 매개중심으로- 신 수 연 임상심리상담학과, 임상심리상담 전공 선문대학교 통합의학대학원 본 연구는 대학생의 가족의사소통 유형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자기조절이 가족의사소통 유형과 대학생활 적응 관계에서 매개변인 역할을 갖는지 탐색해보자 한다. 이를 통해 대학생활 적응은 가족의사소통과 자기조절 능력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대학생활 부적응을 겪고 있는 대학생 자녀를 둔 가족에게 상담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하며, 나아가 대학생의 가족에게 기능적 의사소통 개발 프로그램을 제공으로 하고, 자기조절 능력 프로그램의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가설을 규명하기 위해 다음 같은 연구 문제를 제시하였다. 첫째, 대학생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과 가족 의사소통유형과의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대학생의 가족 의사소통 유형과 대학생활 적응 관계에서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대학생의 가족 의사소통 유형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대학생의 가족 의사소통 유형과 대학생활 적응 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이 매개변인을 갖는가? 본 연구는 충남, 충북, 경기도 지역 8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285명을 대상으로 자기 보고식 설문 조사 실시 자료수집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에 Satir의 가족 치료 모델을 근거로 개발된 가족 의사소통 유형 회유형, 비난형, 산만형, 초이성형, 일치형으로 나누어진 척도 중 하위 변인 비난형, 산만형, 일치형만을 이용하기 위해 해당 문항을 추출하여 설문문항 재구성 자료수집에 활용 하였으며, 대학생활 적응을 측정하기 위해 Baker와 Syrik(1984)이 개발한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SACQ) 척도와 자기조절능력을 측정하기위해 Kuhl과Fuhrmann(1998)이 개발한 의지구성목록(Volitional Components Inventory; VCI)을 윤영신(2007)수정 번안한 척도를 가지고 연구 측정 도구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를 문제를 규범하기 위한 통계는 SPSS 23.0 프로그램과 AMO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신뢰도, 기술통계, 빈도분석, T검증, 일원분석, pearson상관계수 산출, 중다희귀분석을 실시하였고 구조방정식 이용 매개분석을 하였으며 간접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ootstrap 기법을 이용 분석하였다. 부스트렙 샘플 2,000개로 지정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대학생활 적응은 여자가 남자에 비해 학업적 적응이 높으며 전공계열은 인문 계열과 이공계열의 학생이 예체능 계열 학생에 비해 사회적 적응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1학년과 4학년은 정서적 적응이 2학년 3학년에 비해 높은 것으로 분석결과 확인하였으며 대화 대상에서는 대학생활 적응에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어머니가 학업적응에서 높은 점수를 차지한 것을 분석결과 확인 할 수 있었다. 대화방식에서는 SNS, 이메일 대화와 대면 대화에서 사회적 적응, 정서적 적응, 대학 환경 대한 적응에서 그 차이는 확연하게 나타났다. 가족의사소통에서 부, 모, 형제의 산만형에서 여자가 남자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전공계열에서 부의 비만형과 모의 비난형, 산만형 그리고 형제의 산만형에서 인문 계열과 이공계열의 학생에 비해 예체능 계열의 학생이 높은 수준을 보였다. 그리고 학년에 따른 가족의사소통은 차이 2학년이 4학년 보다 높았으며 부, 모, 형제의 산만형과 모의 비난형에서 높은 것으로 입증하였다. 대학방식에서 부, 모, 형제의 비난형, 산만형에서 SNS,이메일 대화가 대면 대화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 모, 형제의 일치형에서는 대면 대화가 SNS, 이메일 대화 보다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가족의사소통 유형이 대학생활 적응에 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가족 의사소통 유형 중 부,모, 형제의 비난형, 산만형에서 부적 상관관계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 의사소통 유형 중 부,모,형제에서 일치형 의사소통은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가졌다. 대학생활 적응 하위변인에서는 정서적 적응과 학업적 적응은 부의 비난형 의사소통에서 부적상관계로 가정 높은 점수에 해당 되었으며, 대학생활 환경 적응에서는 모의 산만형이 부적상관계가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났다. 반면 사회적응에서는 형제 일치형에서 정적 상관관계로 가장 높은 점수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의사소통 유형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 모, 형제의 비난형, 산만형, 일치형 의사소통 점수가 대학생활 적응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의 비난형 의사소통과 모의 산만형 의사소통이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력이 유의미하게 관련이 있는 것을 분석결과를 확인 하였다. 부의 비난형이 모의 산만형 비해 상대적으로 더 큰 영향력 가지는 것으로 분석결과 입증 되었다. 넷째, 가족의사소통 유형과 대학생활 적응 관계에서 자기조절은 부분적 매개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가족의사소통이 산만형 의사소통과 비난형 의사소통을 많이 경험하면 자기조절은 감소하며 자기조절이 낮아지면 대학생활 적응의 수준 또한 함께 감소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자기조절을 통하는 간접효과와는 별도로 비난형 의사소통과 산만형 의사소통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직접효과 역시 부적으로 유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로를 종합하면 자기조절은 비난형 의사소통과 산만형 의사소통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부분적 매개변인을 갖는다는 결과를 증명하였다. 반면 일치형 의사소통을 많이 경험을 한 대학생은 자기조절은 증가하며 자기조절이 높아지면 대학생활 적응 수준 또한 함께 증가하는 것을 분석 결과 입증하였다. 가족의 의사소통 유형 중 일치형 의사소통을 많이 경험수록 자기조절의 수준은 증가하며 자기조절력 높아지면 대학생활 적응 또한 함께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일치형 의사통소유형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직접적 효과 또한 정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자기조절은 일치형 의사소통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은 정적으로 매개하는 유의미한 부분매개변인임을 분석결과 확인 되었다. 이상으로 연구결과에 비추어 보면 가족의사소통이 역기능적일수록 대화 방법은 신체적 접촉을 피하는 SNS,이메일을 대화를 하는 경우가 많으며 의사소통이 기능적일수록 대면 대화를 많이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족의사소통에 대한 영향은 초, 중, 고등학생에게만 한정된 것이 아니라 대학생에게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자기조절력은 대학생활 적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대학생활에 적응에 긍정적인 자원이 된다. 이에 대학생의 학업 중도 포기를 줄이기 위해서는 가족의사소통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자기조절 또한 대학생활 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행사함으로 대학생활 적응 높이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자기조절능력 개발과 기능적 가족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교육이 필요하다.

      • 외국계 금융종사자가 인지하는 스마트워크 환경이 조직몰입과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신수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With the prevalence and ubiquity of mobile devices, individuals now can search, store and make decisions about business-related information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The implementation of smart-work environment has enabled people on the move from place to place to easily deal with works and collaborate with one another anytime anywhere based on IT infrastructure and mobile system, which has improved organizational productivity, efficiency and immediacy (S.B. Kim & J.H. Lee, 2012). Among other fields, finance industry has adopted smart-work environment most proactively because it is more susceptible to shifts in time and environment than any other field. In the same vein, considering swift responses to market changes and customer needs as an overarching core competence, the finance industry have made substantial investments in implementation of smart-work environment and encouraged their employees to make the most of smart devices for business purpose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characteristics of smart-work environ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well as innovative behavior among employees in foreign-affiliated finance companies, and comparatively analyzed differences in their perception of smart-work environment in light of demographics. The present findings may be used as reference data for developing company-wide training materials intended for promoting efficient smart-work environment within foreign-affiliated finance companies, and have implications for the effects of smart-work environment on businesses and overall finance industry.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raised to achieve the aforementioned objectives. First, do the perceived smart-work environment characteristics vary with demographic variables? Second, do the perceived smart-work environment characteristic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the employees in foreign-affiliated finance companies? Third, do the perceived smart-work environment characteristic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innovative behavior among the employees in foreign-affiliated finance companies? Assuming the perceived smart-work environment characteristics would affec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novative behavior of employees in foreign-affiliated finance companies based on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drew on smart-work environment characteristics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novative behavior as dependent variables. To measure the perception of smart-work environment among employees in foreign-affiliated finance companies, the works of Ayyagari(2011), G. Y. Choi(2011), J.Y. Kim(2011), A. Y. Seo(2012) and S.G. Lee(2012) were adapted for the present study. To measur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questionnaires from Lee, Allen, Meyer & Rhee(2001) was used, whilst to measure the innovative behavior the questionnaires from Scott & Bruce(1994) were used. For data collection, 147 copies of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from employees in 7 foreign-affiliated finance companies.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SPSS 19.0. Below are the findings of this analysis. First, concerning the perceived smart-work environment in line with general demographics (gender, age, career and rank) of employees in foreign-affiliated finance companies, gender and career partially explained the difference in their perception of smart-work environment. Gender was associated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curity risks only. Specifically, females showed higher perception of security risks than males. Career accounted for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nectivity, where 3∼5-year-experienced employees showed the highest perception of connectivity. In contras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perceived smart-work environment in terms of age and rank. Second, the perceived smart-work environment did not affect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the employees in foreign-affiliated finance companies. Across all sub-factors of smart-work environment characteristics, the effects of smart-work environmen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proved insignificant. Third, IT complexity and security risks in smart-work environment perceived by employees in foreign-affiliated finance companies exerted significant influence on innovative behavior, whereas connectivity and inter-dependency had no effects.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foreign-affiliated finance companies should seek measures and improve their organizational systems to induc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novative behavior from employees and thus to cope with the ever-smarter office environment. 모바일 기기들의 보급화로, 개인들은 업무와 관련된 정보의 검색, 저장 및 의사결정 등을 언제 어디서나 종합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이 IT 인프라와 모바일 시스템을 기반으로 다양한 장소와 이동환경에서도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업무를 처리하고 협업 할 수 있는 ‘스마트워크 환경’의 구현이 실현되었으며, 이는 조직 업무의 생산성, 효율성, 신속성을 향상시켜줄 수 있게 되었다(김선배, 이주형, 2012). 스마트워크 환경이 가장 활발하게 도입된 산업으로는 금융업을 꼽을 수 있다. 금융업은 시간과 환경의 변화에 가장 영향을 많이 받는 산업으로, 시장의 변화와 고객의 니즈에 대한 민첩한 반응이 중요한 핵심역량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금융기업들은 스마트워크 환경 시스템 구축에 많은 투자를 하고, 직원들의 스마트 기기 업무 활용을 적극 장려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계 금융 종사자들이 인지하는 스마트워크 환경 특성이 조직 몰입과 혁신행동에 미치는 관계를 알아보고, 추가로 인구통계학적 차이에 따라 스마트워크 환경 인지의 차이가 있는지 비교해보기 위함이다. 연구 결과는 추후 외국계 금융 기업 내에서 효율적인 스마트워크 환경 활성화를 위한 사내 교육 자료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고, 스마트워크 환경이 기업과 금융 산업 전반에 가져올 영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한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라 인지하는 스마트워크 환경 특성의 차이가 있는가? 둘째, 외국계 금융종사자가 인지하는 스마트워크 환경의 특성은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셋째, 외국계 금융종사자가 인지하는 스마트워크 환경의 특성은 혁신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선행연구들을 고찰한 후, 외국계 금융종사자들이 인지하는 스마트워크 환경이 조직몰입과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하고, 스마트워크 환경 특성을 독립변수로 조직몰입과 혁신행동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우선 외국계 금융종사자들이 스마트워크 환경 인지정도 측정은 Ayyagari(2011), 최귀영(2011), 김지연(2011), 서아영(2012), 이신권(2012)을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였다. 다음으로 조직몰입 측정은 Lee, Allen, Meyer & Rhee(2001)가 사용한 설문을 사용하였고, 혁신행동 측정은 Scott & Bruce(1994)의 설문을 사용하였다. 연구를 위한 자료의 수집은 7개의 외국계 금융사 직원들을 대상으로 147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계 금융종사자의 일반적 특성인 인구통계학적 특성(성별, 연령, 경력, 직급)에 따른 스마트워크 환경 인식 정도를 분석한 결과, 성별과 경력에 따라서 부분적으로 스마트워크 환경 인식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성별에서는 보안위험성만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여성이 남성에 비해 보안위험성을 높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에서는 연결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3-5년차에 연결성을 가장 높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연령과 직책에 따른 스마트워크 환경 인식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국계 금융종사자가 인지하는 스마트워크 환경 특성은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스마트워크 환경 특성의 모든 하위요인을 포함한 검사 전체에서, 스마트워크 환경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무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외국계 금융종사자가 인지하는 스마트워크 환경의 IT복잡성과 보안위험성은 혁신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나, 연결성과 상호의존성은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더 스마트하게 변화될 오피스 환경에 대처하여 외국계 금융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조직몰입과 혁신행동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방안 모색과 조직의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 교류분석 재결단 의사소통 프로그램이 학부모의 정서표현성, 부모-자녀 상호작용 및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효과

        신수연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xchange analysis re-decision communication program on parents' emotional expression, parent-child interaction and family strength. The communication program used in this study is a total of eight sessions reconstructed based on exchange analysis theory. The study participants consisted of 24 parents living in Gyeongnam, and 12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data analysis showed that parents' emotional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improved. Next, no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groups in the effect on parent-child interaction.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amily strength. In other words, the communication program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family ties, positive communication, sharing values ​​and goals, and problem solving.   Therefore, the exchange analysis re-decision communication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It can be sai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arents' emotional expression and family strength. Based on these results, various discussions were conducted on the reorganization process of exchange analysis re-decision communication program, emotional expression of parents and family strength. At the same time, various implications, policy suggestion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