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東아시아 열녀도 연구

        신수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는 시도되지 않았던 東아시아 열녀도에 대한 정리와 脫性, 禁慾的 이미지가 열녀도라는 틀을 통해 東아시아에서 어떠한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열녀도의 출현은 그 始原이 中國이다. 西漢의 유향이 『列女傳』을 저술하였으며 이를 畵本으로 하여 열녀도가 제작되기 시작하였는데, 주로 황제나 황녀를 위한 鑑戒的 목적으로 제작되었다. 이후 귀족계층에서도 병풍이나 무덤을 장식하여 儒敎的 교훈을 강조하게 된다. 宋代부터 儒敎的 家父長制에 따른 여성 통제가 강화되면서 여성교육을 위한 목적으로 열녀전의 삽화로써 열녀도가 그려지기 시작한다. 明代에는 열녀의식이 더욱 강조되었으며 열녀도의 제작 또한 절정에 이른다. 韓國에서는 朝鮮時代부터 열녀도가 본격적으로 그려졌으며 현전하는 작품 또한 朝鮮時代 이후의 작품뿐이다. 朝鮮역시 儒敎的 家父長制를 기반으로 한 여성교육의 일환으로 열녀도를 제작하였고, 그 체제는 中國에서 수입한 『古列女傳』을 기초로 韓國의 열녀 설화를 증보하여 재창조한 것으로 크게 3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日本의 열녀도는 江戶시대이후부터 본격적으로 제작되었다. 武士계급이 통치하게 된 江戶時代에 主君에 대한 충성과 권력 강화를 위한 사상적 기반으로 주자성리학을 도입하였고, 이를 여성에게 교육하기 위해 中國과 朝鮮의 열녀도를 수입하여 교육에 활용하게 된다. 17세기후반부터 일본문화와 설화를 바탕으로 한 열녀도가 새로이 제작되었다. 이와 같은 배경 속에 형성된 東아시아의 열녀도에 대해서 本 論文에서는 도상적 특징에 따라 身體毁損·獻身·自殺·女俠으로 분류하여 각 나라의 열녀도를 비교, 분석하였고 분석을 통해 도출된 東아시아 열녀도에 나타나는 여성이미지를 정리하였다. 初期열녀도의 형태는 현전하는 中國의 <武梁祠 畵像石>, <列女仁智圖>, <司馬金龍墓 출토 木板漆屛風>를 통해 알 수 있고 이중 <武梁祠 畵像石>을 열녀도의 始原으로 설정하여 비교의 기준으로 삼았다. 中國의 열녀도는 宋·明代의 작품을 影宋 道光本『新編古列女傳』,『仇畵列女傳』, 萬曆本『古列女傳』을 통해 살펴보며, 朝鮮의 경우 『三綱行實圖』, 『東國新續三綱行實圖』,『五倫行實圖』를, 일본 江戶時代의 작품으로『本朝列女傳』의 열녀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東아시아 삼국의 열녀도에 나타나는 공통된 여성의 이미지는 '희생 이미지'로 결론지을 수 있으며, 여성의 '희생이미지'를 강조함에 있어서 中國에서는 '義'를 위한 헌신적 이미지에 비중을 두었고, 朝鮮 열녀도에서는 남편과 家門, 정절수호를 위한 신체훼손의 측면을 강조하였으며, 日本 江戶時代 열녀도는 남편을 위해 대신 싸우는 강하고 용감한 女俠의 이미지를 부각시켜 묘사하는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다. 즉 각국이 처한 사회적 배경과, 가치관에 따라 집중 부각되는 도상과 표현양식은 차이를 보이는 것이다. 양식상의 변화로는 中國은 明代를 기점으로, 朝鮮은『五倫行實圖』에서부터 교훈 전달의 목적보다 繪畵性이 강조된 화면으로의 변화를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igeonhole the Lienu¨ picture(the virtuous woman picture) of east Asia and examine the progress of its unsexual and ascetic image, which hasn't been tried. The Lienu¨ picture has its root in China. It was painted and made to teach the king and princess in the base of "Lienu¨ Zhuan" which had been written by Liu xiang in the period of the western Han. From then, nobles decorated their folding screens and tombs with the Lienu¨ picture to emphasize Confucian lessons. From the period of Song, the regulation on women by the name of Confucian ideas was reinforced and the Lienu¨ picture was made as an illustration in "Lienu¨ Zhuan". At the period of Ming, the spirit of virtuous women was emphasized more and climaxed. In Korea, the Lienu¨ picture was made intensively at the period of Chosun and handed down from that time. Chosun also was based on the Confucian ideas and the Lienu¨ picture was made to teach women. the Lienu¨ picture of Chosun was imported from China, but developed on the help of the unique virtuous women stories. The Lienu¨ picture of Japan was imported from China and Chosun and made intensively at the period of Aedo(江戶) when soldiers dominated the country and swore their loyalty to the king, because it wa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country system and to teach women the Confucian ideas. In this thesis, the organizations of the Lienu¨ picture are classified into self-torment, sacrifice, suicide and brave woman. And the woman image of the Lienu¨ picture is induc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Lienu¨ pictures of the east Asia. The origin of the Lienu¨ picture is the 'Wu Liang Ci wall carving' and the early forms of the Lienu¨ picture are 'Lienu¨ Renzhi Tu' (列女仁智圖), 'Wood painted in lacquer from the tomb of Sima Jinlong'. Lienu¨ pictures of China which are examined here are Do-kwang version of "New version Lienu¨ Zhuan" (道光本 新編古列女傳), "Guhwa Lienu¨ Zhuan" (仇畵列女傳), Manluck version of "Lienu¨ Zhuan" (萬曆本 古列女傳). Lienu¨ pictures of Chosun are "Samgang-haengshil-do" (三綱行實圖), New version of "Samgang-haengshil-do" (東國新續三綱行實圖), "Olun-haengshil-do" (五倫行實圖). The Lienu¨ picture of Aedo is "Bonjo Lienu¨ Zhuan" (本朝列女傳). After all,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same woman image which can be extracted from the Lienu¨ picture of the east asia is 'sacrifice'. But to embody that image, righteousness was emphasized in China, self-torment for husband, family and chastity was emphasized in Chosun, and brave woman who fought instead of her husband was emphasized in Aedo. This difference was originated from the difference of each country's social background and value. The organizations of the Lienu¨ picture have been changed to emphasize more pictorial explanation than lesson from Ming in China and "Olun-haengshil-do" (五倫行實圖) in Chosun.

      • 중년여성의 피부상태·외모지향성·피부건강관리와의 관련성

        신수경 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피부건강관리로 젊음을 유지하고 노화예방 하여 삶에 대한 만족감과 행복을 느끼고 싶어 하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피부상태‧외모지향성‧피부건강관리와의 관련성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전남 및 목포에 거주하는 35-59세 중년 여성들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방법으로 실시하였다. 기간은 2014년 11월 11일 부터 2015년 4월 8일 까지 총 33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310부를 최종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설문도구는 일반적 특성에 관한 사항 6문항, 월경상태 2문항, 건강상태 및 피부상태 6문항, 외모지향성 13문항, 피부건강관리에 대한 지식 17문항, 피부건강관리 태도 6문항, 피부건강관리에 대한 행위 20문항 총 70문항을 본 연구에 맞게 재구성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피부건강관리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외모지향성, 피부건강관리 태도, 피부건강관리 행위에 대한 문항들의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피부건강관리요인과 외모지향성, 피부건강관리(지식‧ 태도‧행위)에 대한 신뢰도는 Cronbach‘s 의 계수로 판단하고,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월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외모지향성과 피부건강관리(지식‧ 태도‧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중년여성의 일반적 피부건강요인과 외모지향성 피부건강관리(지식‧태도‧행위)의 관련성에서 직업판매서비스직이, 피부건강관리 지식의 경우 월 소득 500만원 이상이, 피부건강관리 태도에서는 45-49세, 최종학력, 피부건강관리 행위는 대졸이상이 경우, 판매서비스직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폐경을 겪지 않는 여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피부건강관련 요인과 외모지향성‧피부건강관리(지식‧태도‧행위)관련성에서 월경 상태에서는 피부건강관리 태도에서는 월경이 규칙적이지 못하며, 피부건강관리 행위의 경우 폐경 진행 중인 결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피부건강관리 중요성은 폐경이 아닌 여성의 피부관리 중요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건강상태 및 피부상태에 요인과 외모지향성‧ 피부건강관리(지식‧ 태도‧행위)와의 관련성에서는 건강상태가 좋은 결과와 피부건강 습득방법은 피부과/피부관리실의 경우 외모지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피부건강상태 및 피부상태에 따른 피부건강관리 지식의 경우 건강상태가 좋은 경우, 스트레스는 경제적 문제, 건강관심도가 높은 경우, 피부건강 습득방법은 대중매체, 피부건강관리 방법은 피부관리실의 경우 피부건강관리 지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상태 및 피부상태에 따른 피부건강관리 태도의 경우 건강상태가 피부건강 습득 방법의 경우 피부과의원/피부관리실, 효과적인 피부건강 관리 방법은 피부관리실의 경우 피부건강관리 태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건강상태 및 피부상태에 따른 피부건강관리 행위의 경우 건상상태가 좋은 결과와, 건강관심도가 매우 관심이 있는 경우, 피부상태는 보통인 결과, 피부건강 습득방법은 피부과의원/피부관리실의 경우 피부건강관리 행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외모지향성‧ 피부건강관리 지식‧ 피부건강관리 태도‧ 피부건강관리 행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피부건강관리 지식이 피부건강관리 행위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주민자치회의 민주적 대표 구성에 관한 연구 : 서울형 주민자치회를 중심으로

        신수경 한신대학교 사회혁신경영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A study on the Composition of democratic representation of the Residents Autonomy Board: Focusing on the Seoul-type Residents Autonomy Board Sue-Gyung Shin Graduate school for social innovation business Hanshin University (Advisor, Sanghun Lee) In October 2010, 「the Special Act on the Reorganization of the Local Government System 」and the 2013 「Special Act on the Reorganization of Local Power and Local Government System」 were enacted, establishing a legal basis for the conversion of the existing Resident autonomy committee into a the Residents Autonomy Board. As a result, a pilot project of the Residents autonomy board has recently been underway nationwide. In particular, since 2017, a pilot project of the ‘Seoul-type Residents Autonomy Board’ has been conducted in earnest, and interest has been gathered in the role and possibility of the Residents autonomy board. However, even dur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Seoul-type Residents Autonomy Board’ pilot project, a problem was revealed that it was not possible to secure the representation of residents in the composition of the residents autonomy board. Rather, it is reported that the phenomenon of returning to the existing Resident autonomy committee in terms of personnel compos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omposition of members and executives of the ‘Seoul-type Residents Autonomy Board’ pilot project and seek ways to secure representation of residents. To this end, based on theoretical discussions on the composition of democratic representatives, the ordinance on 23 autonomous districts of the ‘Seoul-type Residents Autonomy Board’ was compared and analyzed based on the guarantee of ‘Democratic Participation’, securing ‘Democratic Representation’, and realizing ‘Democratic Accountability’. In addit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eld experts from five autonomous districts among the pilot projects.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the composition of the members and executives of the ‘Seoul-type Residents Autonomy Board’ identified the problem from the perspective of democratic representative composition and suggested the following improvements. In terms of guaranteeing 'Democratic Participation,' first, expanding the number of members of the residents autonomy board relative to the population of number. Second, the priority allocation rate of group members shall be reduced or abolished in the public lottery of members. Third, eliminate age restrictions on the qualifications of members, and expand participation of socially weak and minority people, such as children and foreigners. Fourth, adjustments to the roles of members and executives are required. Next, in terms of securing ‘Democratic Representation’; First, the need to strengthen the standard of participation of the percentage of certain genders and 15% or more in their 40s and younger, and to systematize the sortition method when the members are formed. Second, as an alternative to frequent conflicts due to the election of executives, three to four members will be composed of executive delegations and the chairman will be selected by lottery or rotation system within the delegation. Finally, in terms of realizing "democratic responsibility," it is effective to provide various residents with experience in residents autonomy and residents autonomy board by increasing systematic education of committee members and executives and reducing the term cycle, rather than strengthening the criteria for evaluation or responsibility. From this point of view, it was suggested that the composition of residents autonomy board’s members and executives should be made into ‘residents' miniatures’ with various interests, and this is the most realistic way to form a residents autonomy board with a high sense of democratic accountability. In this study, the ordinance of each autonomous district, which is conducting pilot projects of 23 autonomous councils in Seoul, was analyzed and data was collected and utiliz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in five autonomous districts. However, the pilot project of the ‘Seoul-type Residents Autonomy Board’ is still in progress, and there is a limit to not fully understanding various variables as no investigation has been conducted into the situation of all autonomous districts. Therefore, this study should be considered an interim evaluation of the ‘Seoul-type Residents Autonomy Board’ pilot project, and in-depth research on the composition of democratic representatives of the Residents Autonomy Board should be conducted in the future. 국문초록 주민자치회의 민주적 대표 구성에 관한 연구; 서울형 주민자치회를 중심으로 신 수 경 한신대학교 사회혁신경영대학원 (지도교수 이 상 헌) 2010년 10월 「지방행정체제 개편에 관한 특별법」과 2013년 「지방분권 및 지방행정체제개편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되면서 기존의 주민자치위원회가 주민자치회로 전환되는 법적 근거가 마련되고, 전국적으로 주민자치회 시범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2017년부터 ‘서울형 주민자치회’ 시범사업이 본격적으로 실시되면서 주민자치회의 역할과 가능성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그러나 ‘서울형 주민자치회’ 시범사업 실시 과정 중에도 주민자치회 임원 구성에서 주민 대표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가 드러나고, 인적 구성의 측면에서 오히려 기존 주민자치위원회로 회귀하는 현상까지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서울형 주민자치회’ 시범사업의 위원 및 임원 구성에 대한 평가와 주민 대표성 확보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민주적 대표 구성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서울형 주민자치회’ 시범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23개 자치구의 주민자치회 실시·운영에 관한 조례를 ‘민주적 참여’의 보장과 ‘민주적 대표성’의 확보, ‘민주적 책임’의 실현 등을 바탕으로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시범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23개 자치구 중 5개 자치구의 현장 전문가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이 실시되었다. 이 연구결과 ‘서울형 주민자치회’ 위원 및 임원의 구성을 민주적 대표 구성의 관점에서 문제점을 파악하고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민주적 참여’ 보장의 관점에서 첫째, 주민자치회 위원의 정원을 동 인구수에 비례하여 확대하고, 둘째, 위원 공개추첨 시 단체회원의 우선 배정률을 낮추거나 폐지해야 한다. 셋째, 위원 자격의 연령 제한을 없애고, 아동과 외국인 등 사회적 약자와 소수의 주민들의 참여를 확대한다. 넷째, 위원 및 임원의 역할에 대한 조정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민주적 대표성’ 확보라는 관점에서 첫째, 특정 성별 비율과 40대 이하 15% 이상의 참여 기준을 강화하고, 위원 구성 시 추첨방식을 체계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임원 선출로 인한 잦은 갈등의 대안으로 3∼4명의 위원을 임원 대표단으로 구성하고 대표단 내에서 추첨이나 교대로 회장을 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민주적 책임’의 실현 측면에서 평가기준이나 책임기준을 강화하지 않고 위원 및 임원의 체계적인 교육을 강화하고 임기 주기를 단축하여 다양한 주민에게 주민자치와 주민자치회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주민자치회 위원 및 임원의 구성을 다양한 이해관계가 있는 ‘주민 축소판’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였으며, 이는 민주적 책임 의식이 높은 주민자치회를 구성하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23개 주민자치회 시범사업을 실시하고 있는 자치구별 조례를 분석하고, 5개 자치구 현장 전문가 심층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활용하였다. 그러나 서울시 주민자치회 시범사업이 아직 진행 중이고, 모든 자치구의 상황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다양한 변수를 충분히 파악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형 주민자치회’ 시범사업에 대한 중간평가로 간주하고, 향후 주민자치회의 민주적 대표 구성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 뮈세의 이상세계 추구 : 그의 시와 시론을 중심으로

        신수경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낭만주의 시인, 알프레드 드 뮈세Alfred do Musset의 시세계를 그의 시집 『첫시집』 Premie`res Poe´sies과 『새시집』Nouvelles Poe´sies을 중심으로, 삶에서 얻는 불행한 체험들을 통해서 얻고자 하는 그의 이상세계를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뮈세는 19세기라는 혼돈의 시대를 몸소 체험함으로써, 한 젊은이로서 느끼는 방황과 고독을 자신의 시에 옮겨 놓고 있다. 작품 속에 자신과 같은 젊은이들의 모습을 담아냄으로써 끊임없는 '자유'를 노래했다. 그는 혼돈의 사회적 환경과 자신의 내부에서 끓어오르는 열정의 발산으로 인해 많은 삶의 장벽에 부딪치게 되는데, 뮈세는 이러한 감정들을 자연스럽게 자신의 시 속에 옮겨놓고 있다. 뮈세는 강렬한 삶의 열정에서 오는 수많은 좌절, 고통, 눈물을 체험하게 되는데, 이것은 그의 시적 재능을 원숙하게 만들어주는 계기가 되었다. 그의 불행한 삶의 경험은 오히려 훌륭한 시적 영감이 될 수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그의 시들은 대부분이 삶의 패배에서 오는 내적 메아리라 할 수 있는데, 그는 오히려 삶의 절망을 통해서 아름답고 진실한 시로 승화시키고 있다. 그는 고통과 고통을 통한 눈물을 통해서 인간의 삶의 세계를 무한적인 것으로 이끌어가고 있다. 고통은 인간에게 내린 신의 선물이며, 인간은 고통을 통해서만이 성숙해질 수 있는 것이다. 그의 시적 아름다움은 바로 고통, 절망, 고독 등을 시로 승화시킴으로써 자신의 내면세계를 그대로 반사하고 있다는 점에 있다. 뮈세의 시적 삶은 그다지 길지는 않지만 가장 열정적인 심정일 때에만 글을 썼기 때문에, 그의 시는 자신의 삶의 응축이라 할 수 있다. 특히 그는 시적 열정과 함께 사랑의 열정이 강했던 시인이었기에 그의 시는 아름다운 언어로된 사랑의 연금술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사랑의 열정이 강했던 만큼 실패도 많았던 그였기에 사랑의 소중함을 더욱 감지할 수 있었다. 사랑이 언제나 영원하기를 꿈꾸었던 뮈세는 현실에서 이룰수 없는 것이기에 추억이라는 내적 대화를 통해서 자신의 시 속에서 실현시키고 있다. 이렇듯 뮈세는 자신의 시 속에서 고통을 통해서 인간이 성숙해질 수 있다는 것, 사랑은 추억을 통해서 영속해질 수 있다는 것 그리고 시는 삶의 진실을 담고 있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내 보이고 있다. 이것이 바로 뮈세가 자신의 시 속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것이다. 뮈세의 시는 자신이 느낀 그대로를 발산한 것이기 때문에 장황한 수식이나 감정토로가 많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시가 오늘날까지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는 이유는 인간의 본연의 모습, 즉 끊임없이 이상과 꿈을 향한 열망을 가지고 살아가는 인간의 자연스러운 모습을 솔직하게 그려내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Cette e´tude a pour but d'envisager le monde ide´al chez Alfred de Musset, a` travers ses deux recueils poe´tiques, Premie`res Poe´sies, Nouvelles Poe´sies. Pour cela, it est d'abord ne´cessaire d'examiner les expe´riences de sa vie. La plupart de ses poe´sies sont autobiographiques puisque ses oeuvres sont un fide`le reflet de sa vie. Sa vie sentimentale est l'unite´ de l'inspiration de son oeuvre. C'est donc sa vie qui est sa source essentielle et le fondement de ses valeurs. Ve´rite´ et expe´rience se confondent dans ses poe´sies. Enfin, l' esthe´tique chez Musset, c'est la transcription de la ve´rite´ et le beau de la vie. D'ailleurs, Musset accorde une grande importance a` l'amour. Pour lui, une vie sans amour serait une vie perdue. Mais la vie amoureuse de Musset commence par une trahison fe´minine. Donc, son grand e´chec sentimental a provoque´ chez lui une perte de lui-me^me, la de´pression et le de´senchantement. Mais it croit que l'amour et la douleur sont inse´parables. Si la douleur est son ine´vitable compagne, la douleur est aussi une chose belle et grande. Il renai^t de la douleur de l'amour. Il a exprime´ l'eternelle souffrance de l'homme inquiet et divise´ dans son oeuvre. Musset a connu le sens positif de la souffrance. Par example, 『Les Nuits』 sont un hymne au de´sespoir et il a insiste´ la dolorisme que l'homme ne pourrait que mu^rir par la souffrance. Musset croyait e´ternel l'instant du bonheur et de l'amour passe´ par les souvenirs dans sa poe´sie. Le souvenir prolonge l'instant de l'amour. Il a poursuivi le temps perdu dans la me´moire du pre´sent, il a donc voulu rechercher le monde perdu dans le souvenir du passe´. Musset espe`re croire en l'e´ternite´ de l'amour. Le souvenir chez Musset, c'est le tre´sor de l'a^me immortelle. En conclusion, chez Musset, le monde ide´al sert a` de´finir l'infini de la souffrance, l'eternite´ de l'amour, la ve´rite´ de la vie et la poe´sie. Pour cela, il y a ses sentiments les plus vivement ressentis et une transparence de son coeur dans sa poe´sie.

      •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만 2세 유아의 기본생활습관과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신수경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통해서 만 2세 영아의 기본생활습관 및 자아개념의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기본생활습관과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성에 따른차이를 분석하여 영아의 인성교육에 실증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영아의 성,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만 2세 영아의 기본생활습관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영아의 성,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만 2세 영아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2세 영아 82명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각각 41명씩이며, 실험집단의 영아는 24회의 인성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영아의 기본생활습관 검사도구는 서미경(2004)의 ‘만 2세아 기본생활습관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예절, 질서, 청결, 절제 4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아개념 척도는 김호인(2010)의 ‘영아의 사회정서발달 평정척도‘의 하위영역 중 자아개념 부분을 사용하였다. 연구절차는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 순으로 이루어졌으며,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대상으로 기본생활습관과 자아개념을 사전⋅사후 측정 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변량 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의 성,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만 2세 영아의 기본생활습관에 미치는 영향에서 기본생활습관 전체 및 하위 요인인 예절, 질서, 청결, 절제영역 모두에서 인성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표준보육과정을 실시한 비교집단보다 점수가 높아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성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영아의 성,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만 2세 영아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은 인성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자아개념 점수가 높아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성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만 2세 영아의 성, 기본생활습관과 자아개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영아의 교육현장에서 인성교육 프로그램으로 적용할 때 효과적인 교수방법이 될 수 있다는 근거를 제공한다. 본 연구 결과를 영아 인성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개도국 전자정부 성과의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Analysis on determinants of perceived e-government performance in developing countries

        신수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전 세계적으로 전자정부가 정부경쟁력 제고를 통한 국가발전의 핵심수단으로 강력히 추진되고 있다. 특히 90년대까지 전자정부가 정보화가 어느 정도 발전된 국가에서나 실천 가능한 혁신전략으로 여겨졌다면, 이제는 개도국에서도 적극적으로 적용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추세이다. 실제로 2008년 현재 191개 UN회원국 모두가 다양한 형태의 정부서비스를 인터넷을 통해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된 바 있으며, 이는 전자정부가 선진국과 개도국을 막론한 보편적인 정보혁신 전략으로 자리 잡았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개도국의 경우 자원과 인력의 희소성, 전자정부 구현의 실패가 국가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선진국에 비해 감수해야 하는 위험이 크고, 일반적으로 조사된 전자정부 결정요인이 개도국 전자정부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이 선진국과 다를 수 있다. 전자정부가 무엇을 의미하고 어떠한 영역이 준비되어야 보다 성공적으로 구현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는 지금까지 주로 선진국 위주로 이루어져 왔다. 대다수 개도국의 경우 전자정부의 도입이 아직 초기단계에 불과하기 때문에 그동안 논의 자체가 어려웠기 때문이다. 그러나 선진국 전자정부에 기반한 연구결과는 개도국의 개도국에 그대로 적응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개도국의 경우, 기본적인 정보통신 인프라 및 응용프로그램, 기술인력 등에서 선진국과 다른 조건을 갖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진국에 기반한 전자정부 연구결과를 개도국에 적용해 봄으로서 기존연구를 보완하고, 개도국 전자정부 관계자들에게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기존 전자정부 연구를 분석하여 전자정부의 결정요인을 파악하여, 이들 구성요소가 실제 개도국 전자정부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현재 한국이 국제정보격차해소를 위해 개도국 정보통신 전문인력 양성을 목표로 실시하고 있는 국가정보화 또는 전자정부에 대한 초청연수에 참석한 개도국 전자정부 전문가 및 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설문조사를 보완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사례로써 말레이시아와 베트남의 전자정부를 분석하였다. 말레이시아는 성공사례로써, 베트남은 실패사례로써 분석대상이 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문헌분석을 통해 도출한 전자정부 결정요인이 개도국의 전자정부 영향에 미치는 영항을 살펴본 결과, 개도국의 성공적인 전자정부 구현을 위해서는 명확한 전자정부 비전과 목표와 적절한 수행전략 수립, 업무 프로세스의 변화, 고위급의 강력한 지원, 정보통신기술에 의한 혁신을 잘 받아들일 수 있는 조직 문화, 새로운 기술의 도입에 따른 법·규제의 변화 등의 결정요인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재정자원의 경우 기존연구에서는 전자정부의 성공적 구현에 중요한 요소로 꼽고 있으나 본 연구의 통계분석에서는 개도국의 전자정부 성공에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말레이시아와 베트남의 경우 전자정부 구현을 위하여 재정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이 나타나, 재정자원이 중요함을 알려주고 있다. 그러나 베트남의 전자정부 프로젝트의 실패가 공무원이 재정자원을 오&#8228;남용한 결과임을 생각할 때 재정자원 자체보다는 재정자원의 효율적 관리가 더 중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개도국 전자정부 성공에 재정자원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향후 더 연구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외부지원의 경우 기존 연구에서는 기술·재원·인력을 제공하여 전자정부 구현을 지원하는 반면, 정부가 추구하는 전자정부 목표와 상충되는 목적을 갖고 정부의 전자정부 구현을 통제하기도 하는 요인으로 보았다. 본 연구에서 외부지원이 개도국 전자정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해 본 결과, 통계분석에서는 전자정부 구현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베트남 정부의 사례연구에서는 외부에서 전자정부를 위한 재원을 제공하는 긍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말레이시아 정부의 사례연구에서는 정부가 강력한 리더십을 가지고 전자정부 구축을 추진할 경우에는 외부 압력이 전자정부 성과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정부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으로는 국가경제규모, 정치적 안정성 및 인구수가 도출되었으며, 개도국 전자정부 성과에는 비교적 미치는 영향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통계분석에서 국가경제규모만 정자정부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국가경제규모가 클수록 큰 규모의 전자정부사업을 추진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말레이시아의 사례에서 나타나듯 강력한 통제가 가능한 정부가 성공적인 전자정부를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민주화가 덜 된 정부가 정도가 전자정부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반면 베트남의 경우 독재적 성격의 정부가 부패를 일으켜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정부 결정요인이 개도국 전자정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가 개도국의 전자정부 정책 대안 모색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개도국이 전자정부를 성공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전자정부 비전 및 전략 수립, 고위급의 강력한 지원 여부, 전자정부에 의한 변화를 받아들일 수 있는 문화 및 가치 정착, 기술 및 인력 요소, 업무 프로세스의 변화와 새로운 법·규제의 제정 등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국제기구나 외국기업을 통한 재원·기술·인력의 지원 여부도 고려할 때 전자정부 구현이 성공적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개도국에서 전자정부를 구현할 때는 위의 모든 결정요소들을 확인하고 진행해야 할 것이다. Many previous studies have already discussed the definitions and critical factors of e-governments. Yet, the objects of the discussion hardly transcended the developed countries, due to lack of conspicuous outcomes on the e-government development in the developing countries. While the recent development of e-governments in developing countries made it possible to analyze its implementation and identify success and failure factors, the empirical studies that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terminants or prerequisites of e-governments and the e-government performance of developing nations are still scanty. This study, based on a survey conducted on 155 ICT experts who participated in the e-government projects in 56 countries, examines how the determinants of e-government performance in the developed countries affect the e-government performance of developing countries, and draws implications that may be applied by developing countries to advance successful e-government performances. The statistical analyzes reveal that change in work place, organizational culture and values, vision, strategies and leadership, human resources and technologies can positively affect e-government performance of developing countries. On the other hand, external support is found to negatively influence e-government performance of developing countries. In addition, it is indicated that financial resources do not predict e-government performance of developing countries. The statistical analyzes also show that some determinants can better predict e-government performance when they are combined. This is because they are closely related to one another. The revised determinants that combine organizational culture and values with vision, strategies and leadership, technologies with human resources are found to better explain e-government performance of developing countries. On the other hand, the determinant combining financial resources with external support is found to have no influence on e-government performance. The case studies of Malaysian and Vietnam e-governments generally support these findings. It is indicated that change in work place; technologies; skilled IT personnels and users; organizational culture and values; vision, strategies and leadership; and laws and regulations can explain why Malaysia is successful and Vietnam is not. It reveals that Malaysian e-government is successful because Malaysia successfully changes work processes, has high quality of work force, allocates financial resources, enjoys top leader's support and employees' positive attitude toward IT innovation, and has proper strategies and legal and regulatory framework for e-government. Yet, it is also indicated it has low level of IT infrastructure development, and small external support. On the other hand, Vietnam fails in government reform, has small portion of highly educated population, suffers from employees reluctant to accept changes through e-government, has unclear strategies and less effective legal and regulatory framework, along with lower level of IT infrastructure development. In addition, it finances its e-government projects through donors' financial support. Regarding financial resources, it is indicated that unlike statistical results, both countrie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financial resources, and make efforts to secure them. Thu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understand the impact of financial resources on e-government performance of developing countries. A possible explanation is that financial resources is necessary but not sufficient condition for e-government. Rather, managing financial resources effectively can be more important for successful-government. It is supported by the fact that Vietnamese failure of the project 112 is due to corrupted public officers involved in budget allocation and management for the project 112. Among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national economic strength, political stability and population, only economic strength appears to have relatively weak influence on the e-government performance of the developing countries according to statistical analyzes. Yet, the case studies reveal that political stability can also explain e-government performance of developing countries. While the autocratic government of Malaysia positively affect e-government performance, that of Vietnam negatively affects e-government performance. In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decision makers of developing countries. First, it is crucial for the government to reform its structure and work processes corresponding to e-government environment. It is also equally important to get organizational consensus for IT innovation by assuring that changes through e-government is not a threat but a benefit. Similarly, top leader's strong support can facilitate sharing of e-government values and ideas among stakeholders. Second, practical and realistic goals and objectives need to be set up. With too grand objectives, it is highly unlikely that stakeholders are satisfied with the service e-government provides. Third, setting up a proper legal and regulatory framework corresponding to e-government environment is critical. laws and regulations incompatible with new technologies can negatively affect e-government performance. At the same time, it is essential to assess the availability of technologies, infrastructure and human resources so that necessary resources can be allocated for e-government. Finally, external support can either enhance or hinde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e-government. Too much interference of outside stakeholders over the government policy agenda can negatively affect e-government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they can facilitate e-government implementation providing necessary financial, technical and human resources.

      • 도시성장과 개발의 정치경제 : 용인시 난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신수경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박사

        RANK : 247631

        용인의 경험을 통해 볼 때, 지방정부와 기업 사이의 상호작용은 사업계획신청과정(건축인허가과정)에서 두드러지게 부각되었다. 이를 통해 양자간의 권력관계를 설명할 수 있었다. 중앙정부와 기업 사이의 상호작용은 주로 중앙정부의 거시경제정책변화 및 이에 따른 규제완화를 기회의 창으로 활용하는 과정 및 개발 붐을 조성하는 과정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주요 기회로는 산지 및 농지 규제완화, 준농림지역 도입, IMF 국가 위기 극복을 위한 주택건설경기 활성화조치 등이 있었다. 또한 개발계획을 추진하는 기업이 직면한 위기상황에서 주로 나타났다. 위기란 인허가기간 지연, 부동산 또는 건설경제 변동주기상의 침체 등이 있었다. 이를 통해 양자간의 권력관계를 설명할 수 있었다. 주민의 역할은 지방수준의 정치적 공간에서 주민의 역할과 주장이 중요하게 취급되었을 때 비로소 부각되었다. 개발의 입안과 추진을 둘러싼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기업, 주민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도시성장 및 개발과 관련된 행위자들의 동학을 설명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특정시기에 용인에서 진행되었던 도시성장의 특징을 이해할 수 있었다.

      • 수학과 자기평가 활동이 학생의 학업성취도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신수경 전주교육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Effect of Self-Evaluation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tudents' Attitude on Mathematics This paper was aimed at exploring effects of the lessons applying self-rating activities of writing type to mathematic communication in an affirmative way upon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attitude of students in an effort to stop the past style of teachers' rating which had given too much importance to their one-way rating.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the control group which applies self-rating activities of writing type to a mathematic class and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conducts the class in a traditional teacher-centered learning manner? Second,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attitude of students in a mathematic class between the control group which applies self-rating activities of writing type and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conducts the class in a traditional teacher-centered learning method? Third, what is the response of the participants in the group which applies self-rating of writing type in mathematic class to such self-rating? In order to solve the above tasks of the study, pre- and post-test plans were employed for both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A pre-test was conducted to the fifth grade students of J Elementary School in Gunsan-si, Jeollabuk-do as subjects of this study. They were classified into homogeneous groups in consideration of their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attitude in mathematics and assigned to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respectively. During the period of experiment which lasted from March 1 to June 30, 2011, a total of 16 self-ratings were carried out in each first and second session of the classes for the first semester of the fifth grade which divided the contents of the units 3 to 7 of mathematics by topic. For the experimental group, class was conducted by using self-rating method of mathematics while, for the control group, a traditional way of class for mathematics was given. The items of assessment were the same for both groups but the experimental group was requested to write down their self-rating results in their paper whereas the rating paper with questions only was furnished to the control group. After the experiment, a post-test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any changes in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attitude of both groups in the mathematics class. Independent samples t-test was employed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academic achievement as well as learning attitude of students in mathematics class. Moreover, the responses of the subjects and any particulars presented during the experiment were observed and recorded to examine the response of the control group to self-rating. After the experiment was completed, 6 students were interviewed to sound their reactions. From the study, following outcomes could be drawn: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of mathematics between the group which applied self-rating of writing type and the group which conducted mathematics class in a traditional teacher-centered way.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attitude of students in mathematics class between the group which applied self-rating of writing type and the group which conducted mathematics class in a traditional teacher-centered way. Third, positive response to self-rating was made by the participants in the group which applied self-rating of writing type in the mathematics cla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