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교스트레스 및 자기 통제력이 청소년의 자살생각 및 자해시도에 미치는 영향

        신미옥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교스트레스와 자살생각 및 자해시도간의 관계에 대한 자기 통제력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경기도 안성 지역에 위치한 한 중학교 학생 387명에게 설문을 실시하였고, 이중 자료가 부적절하다고 판단되는 것 23부를 제외한 총 364명의 학교스트레스, 자기통제력, 자살생각, 자해시도 척도 설문지를 분석 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는 수집된 데이터를 연구문제에 따라 기술통계, Pearson의 상관분석, 매개효과 검증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주요변인(학교스트레스, 자기 통제력, 자살생각, 자해시도)들 간에 차이 검증을 위해 t-test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 자살생각에 있어서 성별에 따른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교스트레스, 자기통제력, 자해시도 간의 성별의 차이는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청소년의 학교스트레스, 자기 통제력, 자살생각, 자해시도 간에 상관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자기 통제력과 학교스트레스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고, 자해시도는 자살생각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자해시도와 학교스트레스 요인 중 하위요인으로는 친구요인이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자살생각은 학교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친구요인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청소년의 학교스트레스와 자살생각간의 관계에서 자기 통제력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스트레스와 자해시도간의 관계에서 역시 자기 통제력이 부분 매개 변인 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학교스트레스가 높을지라도 자기 통제력이 높으면 자살생각 또는 자해시도가 낮아짐을 의미하는 것으로 자녀를 양육하는 부모들이나 현장에 있는 교육관계자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교스트레스가 자살생각 및 자해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학교스트레스와 자살생각, 자해시도와의 관계에서 자기 통제력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살생각 및 자해시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스트레스 요인과 자기 통제력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청소년의 자살예방 및 자해시도를 예방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며, 청소년의 학교적응 및 자기통제력 향상, 부모교육 프로그램과 관련된 상담에 이용할 수 있는 기본 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 下位職公務員의 組織沒入에 관한 硏究 : 濟州特別自治道를 中心으로

        신미옥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신뢰와 양성평등인식수준․승진차별 인식수준, 직무만족수준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연구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를 통하여 이론적 고찰을 하고,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후, 이를 토대로 연구 분석 틀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설문조사법을 통하여 실증분석 하였다. 실증분석은 사회과학 통계프로그램인 SPSS WIN(12.0)을 이용하여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기술통계,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응답자의 인사정책에 대한 인식 수준을 살펴본 결과 소속조직의 보직배치 및 순환에 대한 인식수준은 각 개인별 특성에 따라 각각 다르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보직배치 및 순환에 대한 인식수준과는 달리 소속조직의 업무분장에 따른 성차별 인식수준에서는 응답자 모두가 성차별을 느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보직할당제에 있어서 대부분 응답자들이 보직할당제에 대하여 찬성하였으나, 읍면동에 근무하는 응답자는 보직할당제에 대하여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인사 발령 시 희망근무기관 조사에서는 1순위로 도본청을 가장 많이 선택하였으며, 2순위로 행정시를 선택하였다. 그리고 실증분석의 결과 첫 번째, ‘개인별 특성요인에 따른 신뢰수준, 양성평등 및 승진차별 인식수준, 직무만족, 조직몰입의 수준에 차이가 있는가?’에서는 부분적으로 개인별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연구문제 ‘신뢰수준은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서는 조직신뢰․상관신뢰․동료신뢰가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 동료신뢰가 46.3(ad R2)%로 세 가지 변수 중 가장 높은 설명력을 나타냈다. 세번 째 연구문제 ‘양성평등 및 승진차별 인식수준은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대하여는 양성평등 인식수준 및 승진차별 인식수준 모두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양성평등 인식수준이 조직몰입에 23.1(ad R2)%, 승진차별 인식수준이 조직몰입에 7.6(ad R2)%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네번째 연구문제 ‘직무만족수준은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대하여는 직무만족수준이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만족은 조직몰입에 43.3(ad R2)%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결과를 종합하여 살펴보면 모든 요인이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에서 동료신뢰가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제주특별자치도 하위직 공무원의 조직몰입 제고를 위하여 우선 조직구성원들간의 신뢰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이에 조직몰입에 주요 영향 요인인 동료신뢰․직무만족을 위한 조직문화의 긍정적 형성과 이를 촉진할 수 있는 공식적, 비공식적활동을 확대 지원할 필요가 있을 것이며, 특히나 조직내 신뢰양상은 조직목표를 달성하는데 중요하게 작용할 것이다. 그리고 본 연구의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자료 분석에 사용된 모든 측정치들은 제주특별자치도 소속 개별 공무원들의 주관적인 인식에 근거하고 있다. 이는 개인의 주관적인 편향성이나 사회적으로 바람직하다고 생각되는 방향으로의 편향(social desirability bias)으로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조직의 특성이 설문조사 결과에 반영됨에 따라서 다른 조직에 결과를 반영하는데 한계가 나타난다. 더불어 향후 연구에서 다른 조직과의 비교 연구를 통하여 조직몰입에 있어서 객관적인 지표의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두 번째로 조직몰입 연구에 있어서 많은 학자들이 다양한 요인을 가지고서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에 조직몰입 영향요인에 있어서도 다양한 요인이 발생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기존 선행연구의 영향요인을 가져와 영향정도를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가졌다. 이에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조직몰입에 대한 연구내용을 정리함으로써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한 재정리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세 번째로, 본 연구는 특정 시점에서 횡단적 연구에 국한되어 있기 때문에 당시 상황적 특성에 따른 오염효과를 배제할 수 없으므로, 관계의 정확한 검정을 위해서는 조사시점을 달리한 종단적 연구의 시도가 필요할 것이다. 또 조직몰입에 대한 우리나라 공직사회에 맞는 새로운 척도 개발과 표준화 작업이 필요할 것이다. 네 번째로, 본 연구는 하위직 공무원의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를 실증분석한 논문으로 조직의 성과를 달성하기 위하 여는 하위직공무원뿐만 아니라 관리자에 속하는 5급 이상의 공무원의 조직몰입도도 중요할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조직몰입의 제고방안을 제언하는데 있어 전체 조직의 조직몰입 제고 방안을 제시 하는데 한계가 발생하였다. 이에 향후 연구에서는 조직전체에 대한 연구의 시도가 필요할 것이다. As a study that empirically analyzes the effect of the trust, the recognition level of gender equality․the recognition level of discrimination in promotion, and job satisfactio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study conducted a theoretical review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looked into influential factors affect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n, the study composed an analytical tool for research based on the review. Also, with a view to discovering th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through a survey research method. For the empirical analysis, the study performed a reliability analysis, a factor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a t-test, ANOVA, a correlation analysis,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the SPSS WIN (12.0), a social scientific statistical program. First,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respondents' recognition level of the personnel policy and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recognition level of appointment allocation and circulation in one's organization, each of respondents perceived those differently according to each individual characteristic. However, unlike the recognition level of appointment allocation and circulation, in the recognition level of sexual discrimination according to the role sharing in one's organization, all of the respondents were found not to feel sexual discrimination. Also, concerning the appointment allocation system, most respondents were for this system; however, respondents who were working in the unit of town, village, and district, were shown to recognize the appointment allocation system negatively. Lastly, in the survey of their desired institution regarding working during personnel changes, respondents selected a provincial office as their top priority, and then selected an administrative city a second top priority. Also, as a result of an empirical analysis, first, in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reliability level, the recognition level of gender equality and discrimination in promoti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 factors?', there appeared a difference in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part. In the second research problem, 'Will the reliability level affect organizational commitment?', all the organizational trust․leader trust ․co-worker trust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and from among others, co-worker trust displayed the highest accountability out of the three variables, posting a 46.3(ad R2)%. As regards the third research problem, 'Will the recognition level of gender equality and discrimination in promotion affect organizational commitment?', both the recognition level of gender equality and the recognition level of discrimination in promotion were discovere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recognition level of gender equality demonstrated accountability for organizational commitment, constituting a 23.1(ad R2)%, and the recognition level of discrimination in promotion exhibited accountability for organizational commitment, marking a 7.6(ad R2)%. In relation to the fourth research problem, 'Will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affect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showed accountability for organizational commitment, recording a 43.3(ad R2)%. When looking into the summarized results, all factors concerning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each factor were discovere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lso, out of the influential factor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co-worker trust was found to be the most influential. Therefore, in order to enha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junior level civil officers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it is imperative to seek ways to increase responsibility among organizational members more than any other. Naturally, it would be necessary to extend support for both official and non-official activities that may positively create and promote organizational culture for reliability on peers․job satisfaction, which are major influential factors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Particularly, the pattern of trust within an organization will be important for achieving the organizational goal.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may be as follows. First, all measured values used for the data analysis are based on the subjective recognition of individual civil officers who belonged to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This can be a subjective bias of an individual or a social desirability bias. In addition, there appear to be limitations in reflecting these results to another organization because the characteristics of a certain organization were reflected in the survey research results. Plus, there would be a need for developing an objective index for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a comparative study with another organization in follow-up studies. Second, the study looked into th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with various factors in studie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many scholars. Thus, there appeared to be various factors also among influential factors regard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level of effect by taking influential factors from existing studies. Accordingly, follow-up studies should conduct research into the re-summarization of influential factors regard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summarizing research contents concerned with diverse organizational commitments. Third, this study is limited to traversal research at a specific point in time; thus, it is unable to exclude a pollution effect according to the situational character of the time. Hence, it would be necessary to attempt vertical research of which the point in time for investigation becomes different for an accurate 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 Furthermore, new scales need to be developed and standardized suitable for Korean civil service society regard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Fourth, this study is a paper that empirically analyzed research into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junior level civil officers. Thus, in order to achieve performances of an organizati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not only of junior level civil officers but also of civil officers at the 5th level or over, who belong to manager positions, would be important. Therefore, there appeared limitations in this study in proposing solutions for enhancing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entire organization for the proposal of solutions for increas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Accordingly, follow-up studies will need to attempt research into the entire organization. keyword : organizational commitment, trust, gender equality, promotion, job satisfaction.

      • 생활시설 장애인의 여가활동 만족도에 관한 연구 : 경기도 장애인 생활시설을 중심으로

        신미옥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경기도 지역 장애인생활시설에 입소하여 생활하고 있는 장애인과 시설관계자를 대상으로 여가활동 실태와 여가만족도 및 욕구를 파악하고 비교 분석하여 시설 거주 장애인의 향후 여가생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 장애인의 여가생활 향상을 위한 제언을 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방법은 경기도 내 장애인생활시설 25개소에 생활하고 있는 장애인 중 인지능력이 가능한 장애인과 시설관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기술분석 및 회귀분석하였으며 조사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장애인생활시설 장애인의 여가활동 참여도는 저조하였고, 참여도가 높다고 하더라도 TV 시청/비디오 감상(4.41) 등에서 높은 실천율을 보였으며, 다음으로는 라디오 듣기(3.84), 음악감상(1.59), 걷기/산책(1.21), 종교활동(1.58)이었다. 이외의 활동은 거의 하지 않거나 년 1회~2회 수준으로 매우 미흡하게 여가활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활동 제약요인으로는 사회적 제약(2.59), 개인적 제약(2.49), 가족적 제약(1.97) 순으로 나타났다. 여가활동 참여는 친구나 동료 장애인과 함께 하는 것(25.2%)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가생활을 원만하게 하는데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사항으로는 경제적인 능력(24%),교통시설의 확충(21%), 자원봉사제도의 활성화(20%)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설 관계자의 견해를 살펴보면 장애인의 여가활동 참여 시간은 주에 2시간~3시간의 참여정도가 바람직하다고 나타났으며, 프로그램 운영 시 어려운 점으로 이동편의 문제(32.5%), 경제적인 문제(25.3%), 여가시설의 부족(18.5%), 장애인의 건강상의 문제(11.6%), 시간부족(4.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시설 관계자의 장애인에게 도움이 되는 여가활동으로는 6개의 여가활동 영역별로 컴퓨터 활동, 산책, 나들이, 연극․영화 보기, 가족․친지 방문, 노래방이용으로 나타났다. 여가생활 재원은 바우처 지원(33.2%)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관계자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제언으로는 이동편의 개선, 재정적인 지원,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에 대한 의견이 다수였으며, 기타의견으로 자원봉사자와의 연계, 이동, 식사 등의 포괄적인 지원, 홍보 및 정보제공, 바우처 제도의 활성화, 인력지원, 인식 개선, 사회복지협의체의 역할 확대 등을 제언하였다. 셋째, 생활시설 장애인의 여가활동의 만족도(3.3)는 “보통을 약간 상향”하는 수준을 보였다. 만족 요인으로는 사회만족(3.49)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교육만족(3.4), 휴식만족(3.29), 심신만족과 환경만족(3.2) 순으로 나타났다. 여가 만족도와 참여 횟수, 참여시간, 정적인 여가활동, 체육관련 여가활동, 여행ㆍ관광 여가활동, 문화 예술적 여가활동, 사회 참여적 여가활동, 오락적 여가활동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생활시설 장애인은 여가지원, 여가활동 참여횟수 및 시간이 높을수록, 오락적 여가활동과 사회 참여적 여가활동을 많이 할수록 여가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관계자의 견해를 반영한 여가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에 대한 제언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가활동 프로그램 유형이 다양화 되어야 한다. 둘째, 여가활동 시 당사자의 욕구를 기반으로 한 개별화된 프로그램의 개발과 이를 위한 지원이 확대되어야 한다. 셋째, 정부의 예산 확충과 다양한 프로그램 지원 사업 등의 안정적인 재정지원이 필요하다. 넷째, 문화바우처와 여행바우처 사업의 지원 비용확대, 신청의 간소화, 홍보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장애인이 사회통합에 제약을 받지 않고 여가시설을 불편함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장애인편의시설 및 교통편의 등의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basic data for future leisure activities of disabled people in residential facilities and propose plans to improve their leisure through understanding and cooperatively analyzing the reality of leisure activity, leisure satisfaction and needs of disabled people living in residential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facility workers in Gyeonggi-do area.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disabled people with cognitive ability among disabled people living in 25 residential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y located in Gyeonggi-do area and facility workers in it were surveyed and performed descriptive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of disabled people in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y was found low. The leisure activity with the highest degree of participation is watching TV and videos(4.41), listening to radio (3.84), listening to music(1.59), walking or strolling(1.21), and religious activity(1.58). Activities other than these were rarely done or done once or twice a year, which implies that disabled people do leisure activities insufficiently. The restriction factors on leisure activity are in the order of social restriction(2.59), personal restriction(2.49), familial restriction(1.97). It was found that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is most preferred with friends or other disabled people(25.2%) and necessary details for satisfactory leisure life are in the order of financial ability(24%), expansion of transportation facility(21%), vitalization of volunteer service system (20%). Second, examining the opinions of facility workers it was found that 2~3 hours a week of leisure participation of disabled people is desirable and difficulties in managing programs are in the order of transportation problem(32.5%), financial problem(25.3%), shortage of leisure facility(18.5%), health condition of disabled people(11.6%), lack of time(4.8%). Moreover, 6 leisure activities that help disabled people thought by the facility workers are computer activity, strolling, outing, watching a play or movie, visiting family or relatives, going to kareoke. The most preferred source of revenue for leisure life is voucher aid(33.2%). Majority of facility workers' proposals for vitalization plan were improvement of transportation, invigoration of voucher system, labor face support, reformation of perception, and expansion of social welfare consultative group's role. Third, the degree of satisfaction(3.3) in leisure activity of disabled people in residential facilities was found relatively high. Factors of satisfaction are in the order of social satisfaction(3.49), education satisfaction(3.4), rest satisfaction(3.29), mind and body satisfaction and environment satisfaction(3.2). Leisure satisfact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number of participation, passive leisure activity, leisure activity related to physical education, travelling leisure activity, cultural art leisure activity, social participation leisure activity, entertainment leisure activity. Thus, it was found that as leisure support and the number and time of participation is higher and as they participate in more entertainment leisure activity and social participation leisure activity the degree of leisure satisfaction is higher. The proposals reflecting the opinions of facility workers to vitalize leisure activit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ypes of leisure activity programs should be diversified. Second, in case of leisure activity, development of individualized program based on the need of the person concerned and support for such programs should be expanded. Third, stable financial support like government budget expansion and support program for diverse programs is needed. Fourth, expansion in financial aid, simplification in registration, vitalization in publicity of cultural voucher and travel voucher is necessary. Lastly, there's a need to build infra such as convenient facilities and transportation convenience for disabled people so that disabled people can use leisure facilities with no restriction on social integration and inconvenience.

      • 청소년을 고려한 아파트 단위평면 선호특성에 관한 연구

        신미옥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주거환경은 인간행위의 요구에 의해 만들어지고 인간행위를 유도하거나 함유하게 된다. 그러므로 주거의 설계는 수많은 행위들을 충족시켜야 하고 설계자는 이용자의 행위들을 아는 것으로부터 시작해야 한다. 현재 어린이나 노인, 주부, 부부를 위한 주거공간 계획은 다양하게 연구, 실행되어 왔으나 청소년들을 위한 계획은 그리 많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물리적 주거공간이 청소년에게도 합리해야 한다는 관점에서 출발하여, 청소년의 주생활 행위를 분석하고 주거환경에 대한 선호를 분석하여 청소년에게 합리한 주거공간의 요소를 도출하여 주거공간을 계획 할 때에 청소년을 고려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사용하는데 그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인 청소년에 대하여 그들을 배려한 주거공간을 연구하기 위하여 우선 각 건설회사의 단위세대 계획의 현황에 대하여 고찰한 다음 2007년 대전 주택현상에서 아파트 단위평면 계획요소를 분석하고 설문조사와 분석을 통하여 청소년의 주공간 사용행태와 주거공간에 대한 선호를 연구하였다. 설문자료는 SPSS WIN(VER.11.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형제자매가 있는 청소년 대부분이 독방을 사용하고 있다. 주거공간에 방이 4개인 경우 대부분이 그 중 1개는 다목적실로 사용 가능하다고 조사되었다. 둘째, 청소년의 주공간 사용행태는 ‘침실활용형’, ‘혼합활용형’, ‘거실활용형’으로 분류가 가능하였다. ‘침실활용형’은 ‘공부’, ‘친구접대’, ‘여가활동’을 자신의 침실에서 하는 경우가 많은 형으로서 주거공간에서 자신의 침실에 대한 활용도가 가장 높은 형이다. ‘침실활용형’ 청소년에 대하여서는 자신의 방에서 공부와 취미활동, 친구접대가 가능하도록 공간을 배려해 주어야 한다. ‘침실활용형’청소년 자녀를 둔 가정을 위해서는 활용이 낮은 ‘공용공간’의 면적을 작게 하고 활용이 높은 ‘자녀방’의 면적을 크게 계획하는 것에 대하여 고려할 필요가 있다. ‘거실활용형’은 ‘가족대화’, ‘친구접대’, ‘여가활동’을 거실에서 하는 경우가 많은 형으로 주거공간에서 거실에 대한 활용도가 높은 형이다. ‘거실활용형’ 청소년에 대하여서는 거실에서 여러 가지 활동이 가능하도록 쾌적한 거실공간을 제공해 주어야 한다. ‘거실활용형’청소년 자녀를 둔 가정을 위해서는 ‘자녀방’을 취침과 공부를 위하여 조용하고 알맞은 크기로 계획하고 활동이 많은 거실공간을 쾌적하고 넓게 계획하며 거실과 주방을 통합하여 보다 넓은 공용공간을 계획하는 것에 대하여 고려할 필요가 있다. 셋째, 현재 거주하는 주거공간에 대한 만족도 조사에서 청소년은 전체적으로 비교적 만족하는 편이며, 만족도는 주택의 면적이 큼에 따라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프라이버시는 만족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개인공간에서 느끼는 자유로움 정도가 높을수록 만족도가 더 높고 개인공간에서 비좁음을 느끼지 않을수록 만족도는 더 높았다. 40평 이상에 거주하는 학생은 개인공간이 비좁다고 느끼지 않은 반면에 39평 이하에 거주하는 학생이 개인공간에 대하여 비좁다고 느꼈다. 자녀방의 크기는 주택의 면적이 작아짐에 따라 작아지지만 39평 이하에서는 자녀방의 축소보다 다른 실의 축소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넷째, 청소년 침실의 위치에 대하여서는 보편적으로 ‘욕실’과 가까운 위치를 선호하였다. 안방 및 현관과의 거리는 성별, 개인성향, 현재 거주환경 등에 따라 부동한 차이를 보였는데 ‘현관 가까이’를 선호하는 학생은 동시에 ‘욕실가까이’를 선호하였고 자신의 침실에 샤워시설을 설치할 것에 대해 비교적 높은 선호를 보였으며 ‘발코니’의 설치에 대해서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때문에 ‘자녀방’을 현관 가까이에 계획할 경우 욕실도 ‘자녀방’과 가깝게 계획하며 자녀방에 발코니를 설치하는 것에 대하여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자녀방’에 샤워시설의 도입에 대하여 새롭게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반면에 ‘안방가까이’를 선호하는 학생은 자신의 침실에 ‘발코니’와 ‘샤워시설’을 두는 것에 대해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때문에 안방과 인접한 ‘자녀방’은 발코니를 두지 않는 것에 대하여 고려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욕실’에 대해서는 주거공간에서 가장 작은 면적으로 계획됨에도 보편적으로 좁다고 느끼지 않았으며, ‘욕실’내 욕조시설에 대해서 비교적 선호하는 편이다. 때문에 공용욕실의 확장과 휴식공간으로의 활용은 실제 욕구와 어긋날 수 있어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여섯째, 침실 이외에 ‘기타용도’의 방에 대해서는 ‘서재/공부방’에 대한 선호보다 ‘영화/음악감상실’, ‘게임/놀이방’, ‘드레스룸’에 대한 선호가 높았는데 그 중 ‘드레스룸’에 대한 선호가 가장 높았다. 이는 청소년의 학습행위는 ‘청소년 침실’에서 가장 많이 이루어지며 사춘기에 들어서면서 외모에 대한 중시로 인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때문에 주거공간 계획 시 ‘기타용도’로 사용될 방을 미리 예상하여 통풍과 방음 등에 대하여 계획하는 것이 필요하다. 설문조사의 결과로 실제적인 사례를 분석한 결과 자녀공간, 욕실, 거실, 기타 용도의 방에서 긍정적인 부분과 개선해야 할 부분을 분석할 수 있었다. 이는 청소년의 주공간 사용행태와 주거선호에 대하여 조사함으로 주거공간에서 청소년의 유익을 반영할 수 있는 요소를 찾을 수 있고 또 그것을 단위세대 공간계획에서 반영할 수 있음을 설명한다. 본 연구는 단위세대 주거공간계획에서 반영할 수 있는 공간적인 요소로 제한하였지만 청소년의 주거욕구는 주거시설과 실내장식 등 요소에서도 반영될 수 있다. 추후 더 종합적이고 세분화된 청소년의 주거선호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길 지향한다. The Residential environment has created by needs of human behavior and lead for it. It explains the housing design has to be started knowing user's behaviors to sufficient user. Residential space plan for children, elder, housewives, and couple has been studied constantly, however, space plan for youth or students have not studied much until this time. Residential space plan for youth should be rational to youth. Therefore, the behavior or youth in the residential space and preferences has analyzed on this study to make a practical application of study, residential plan that considers youth. To study a youth friendly residential space, first, analyzed the present status of apartment's unit plan of construction companies. After analyzing the present status, studied preferences of residential space and way to use the space through survey analyzing with method about 5 districts of apartment design competition in 2007. The collected cases are analyzed by using statistics software SPSS for windows 11.0. The result of study are as below. First, most of youth has their brothers or sisters, and use their own room. Also in the case of 4 rooms in one unit, one of them can be used for multipurpose. Second, the way to use main space for youth classified by 'My room conjugations', 'Mixed conjugations', and 'Living room conjugation.' Most of youth in the group of 'My room conjugations' sleep, invite friends, study, and play activities in their own room. Otherwise youth in the group of 'Living room conjugation' invite friends and play activities in living room. Third, on the survey of satisfaction measurement about current living space, generally most of youth satisfied their living space and in the cases of square meter is larger or use their own room, youth satisfied their living space more. Also it is correlated to privacy that more private space got more satisfaction. Fourth, in the case of 'My room' position, most youth preferred restroom at hand. Distance between the master's room and the entrance was unequal differences by sex, propensity, and living environment. Youth preferred 'close to the entrance' also 'close to the restroom', got high preference on 'restroom in my room' comparatively, and preferred to 'balcony in my room.' On the other side, in the group of youth, preferred 'close to the master's room', reacted negatively on 'restroom in my room' or 'balcony in my room.' Fifth, for the restroom, although it is one of the most small parts at residential space, youth does satisfied with the square meter relatively, but did not prefer to have a rest at the restroom. Lastly, use for extra room other than 'My room', 'Movie or music room', 'Game room', and 'Dress room' are preferred than 'Study room' and preference to the 'Dress room' was the highest. As a result of analyzed the case of survey, there were affirmative parts and parts to be improved at 'Children's room', 'Restroom', 'Living room', and 'Extra room.' The scope of this study was limited to space factors to apply residential apartment complex design, but it can be also applied at the factors of residential facilities and interior decoration. The synthetic subdivided study on the youth preferred residential space design will be advanced later on.

      • 都市型 狹小住宅 LDK 空間構成方法論 硏究

        신미옥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Small urban houses in Japan are built upon small land areas or small sites within the city. Narrow houses, unlike other detached houses commonly known as ‘houses for sale’, are houses that reflect the architect’s efforts to provide comfortable residential spaces despite of limited space. Generally, small houses are built by architects upon the owner’s request for residential purposes. Therefore, architects put in the utmost effort to overcome the space limit in designing a place to best reflect the client’s request. Small houses that were introduced to Korea in 2012 through mass media are the new type of housing. Unlike the conventional development that focuses on flat apartments, small urban houses develop each (individual) space and allow various spatial compositions for the diverse lifestyles of residents. In particular, a communal space can be composed in a 3-dimensional space by applying empty spaces or raising the floor height. The research focuses on various possibilities of the LDK (Living room + Dining room + Kitchen) spatial structure in small urban houses. The cases of the sample narrow urban houses were designed by an architect to adapt diverse requests of clients, where a spatial composition of communal space is analyzed, inquired, and categorized. Hence, the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diversity of internal space in small houses based on categorized results. In this research, the size of small houses are defined as houses that are built upon land smaller than 100㎡. 108 cases that were constructed in Japan after 2011 were collected and used as objects of the study.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is research, in addition to the range and method, are discussed in the introduction in chapter one. In chapter two, theoretical consideration was conducted for research analysis. First, before the consideration of narrow houses, how the smallness of houses in Japan and Korea changed, and the time when small houses appeared are outlined. Next, research tendency was analyzed and found through advanced research of small houses. In other words, the definition and significance of narrow houses were described through advanced research materials and media materials. Further, the spatial composition and necessity of typological research claimed in the research was explained through studying the introduction of small domestic houses and spatial features. Finally, the significance of LDK placement in small houses was discussed. Due to insufficient research on small LDK houses, the composition of LDK has been understood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advanced research on LDK in general residences. To sum up,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for analyzing work spatial composition and typology of LDK in narrowness houses is revealed. In chapter three, the subjects of study in small urban Japanese houses were analyzed through a previous theoretical review. To understand the LDK plan characteristics of small houses, plan configurations, section configurations, and multi-dimensional space configurations of LDK were analyzed (scrutinized). Above al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size and shape of small houses were considered, and plan configurations were analyzed.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by schematization and symbolization to display the elements of small houses in detail. To find out the factors that affect the plan layout of LDK, relation analyses between LDK plan configurations and general characteristic factors were conducted. Next, the perspectives of vertical movement elements, horizontal movement elements, and vertical variation elements were used in sectional elements analyses on the LKD section configuration. The applicability of the relations between layers and LDK for vertical movement elements; the applicability of the empty space, pitched roof and visual openness of high floor height for vertical openness element; and the applicability of the difference in floor level and in ceiling level for vertical variation element were analyzed. In addition to understanding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ectional structure in LDK, an analysis on the relation between LDK section composition and general features were conducted. In chapter four, this research analyzed multi-dimensional spatial compositions. Case studies of the ㉮ (combination in plan configuration), ㉯ (stair composition), and ㉰ (vertical openness) are listed, then recent trend and features of small houses were deduced by counting the relevant cases. Various possibilities of multi-dimensional compositions in LDK were considered through analyzing multi-dimensional compositions following the plan configurations in LDK. The spatial composition was contemplated mainly as a factor that gives (imparts) extensibility (sense of volume). According to extensibility, LDK space is classified into a horizontal LDK type, displaying only the horizontal extensive factor, a vertical LDK type displaying only the vertical extensive factor, and a complex LDK type displaying both the horizontal and vertical extensive factors: Each of its features are considered. Chapter five abstract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comprehensively and summarizes the understandings of features in LDK spatial composition and types through research. Furthermore, it provides the values and limits of the study, and a guide to how future research should be directed. The comprehensive abstract of analysis conducted in the research is as follows: The case used in research is, for the most part, second or third floor story buildings. Looking at LDK distribution by the height of buildings, LDK space on the first floor of building occupies 30.5%, and on the second floor of building, 55.6%, therefore showing there are more LDK installed on second floors. 3×3 grid diagram was used to analyze LDK plan layout (configuration) relations. The layout of LDK is categorized into 11 kinds of plan configurations. Among them, the LDK linear layout (configuration) occupies the largest ratio with 38.0%, which can be interpreted as the most efficient. In addition, the factors that affect the LDK plan configuration are building area, plane type, and section type. According to spatial relations of LDK, it is classified into openness type, living room separation type, kitchen separation type, and total separation type. Openness type occupies 61.1% (66 units), which is the largest. Through segmented areas, openness does not divide LD areas, but LD K type separates K area only by using types like face to face, where the kitchen occupies the most area. The cases where staircases opened to the LDK were 79.6%, which was the highest. The most common location and shape features of staircases were straight, wall mounted staircases (26.9%), and complex staircases that were located in a few spots (25.9%). Staircases open to the LDK were usually of the see-through type framed stairs designed to cohere with the materials or colors in the LDK to give spatial unity. Empty spaces appeared 28.7% in study cases, and living rooms had the most. Empty space appeared in two types, which was open actively through full size windows or completely blocked views from the outside road through the skylight or clerestory. the ratio of high ceiling show 40.7% of all cases. Among them, the cases in which LDK were located at the highest floor, and where the pitched roof was reflected as it was in the interior space, so that it formed high-level floors, appeared the most. The difference in floor level was considered in the skip floor type and split level type. The skip floor type was 7.4% (8 cases), and the split level type was 23.1% (25 cases), showing there were more split level types. The factors that affected section configuration in LDK were floor shape, façade shape, level, and floor LDK installed. The research categorizes the ㉮ (combination in plan configuration), ㉯ (stair composition), and the ㉰ (vertical openness) for multi- dimensional spatial configuration in LDK, and organizes each case in the combination of ㉮-㉯-㉰. 108 cases used in the analysis appeared in 49 types of multi-dimensional composition, and there were 5 kinds of combinations which were distributed in more than five cases. These five kinds of combinations are the fundamental spatial compositions of LDK. Through the analysis on the multi-dimensional spatial composition following LDK plan configuration, multi-dimensional features of each plan configuration have been deduced. First, multi-dimensional spatial composition of LDK linear layout was often found in the following cases: the stairs opened adjacent to LDK, extensibility of interior space by a terrace linked to a living room, and a high ceiling height of living room or LD. Next, the multi-dimensional spatial composition of L and DK parallel layout type, as well as the LD and K parallel layout type, established high level floors for the living room, dining room, and kitchen which were often open and formed a big common space. Third, the multi-dimensional spatial composition of a vertical LDK layout L, D, K were generally each linked to depth differences. A kitchen located in the middle became voided to connect with the upper part and play a major role in the house. Fourth, separate multi-dimensional living rooms commonly placed a staircase between L and DK, splitting the space. L and DK had a half or one floor difference in height. Finally, the multi-dimensional crossing layout showed features that gave extensibility for each L, D, and K space divided and opened diagonally. Each space formed a depth difference or was planned to be high-rise floor. According to the factors that imparted extensibility in LDK space, it was classified into a horizontal LDK type, vertical LDK type, or complex LDK type. Complex LDK types, where both horizontal extension factors and vertical extension factors occupied the most, were 66.7%. In complex LDK types, compositions of ‘staircase open & high building height’, ‘open stair & void’, and ‘depth difference & high building height’ were generally presented. Furthermore, ‘crack void’, ‘depth difference in entrance/stair hall’, ‘quartered space depth difference’, and ‘void between spaces’ were the common features found in LDK. These features are not easily found in general detached houses. It can be seriously considered for diverse spatial composition in small houses, and requires further research and analysis in the future. Plan configuration, section configuration, and multi-dimension configuration, which are combinations of planes and sections, have been analyzed in this study. LDK spatial composition was deduced through analysis and was categorized by area. Hence, LDK space composition features by area were examined. Plan configurations in LDK were classified by many areas. One was often seen in small areas, another was usually found in relatively bigger areas, and yet another was shown universally in every range of area. Stair composition had a larger ratio in skip floor and split level type as lot area became bigger in size. Staircases between floors seemed to have a larger ratio in space separation types rather than space integration types as the area become larger. For vertical open composition, the ratio of void or high ceiling height appeared higher in the lots with areas of 40∼79㎡, yet it was comparatively lower in 80∼100㎡ area. Small houses are a type of detached house which are flexible in composing the plan and section. Simultaneously, it requires detailed and multi-dimensional composition to reflect the client’s lifestyle because of its limited space. This research intended to analyze the features of small houses for the first time, and demonstrated the resulting systematic possibility. Especially the analysis on openness and extensibility method of LDK which are considered as significant factors in small houses’ interior spatial composition, will be used as a reference to compose the interior space in small houses later. The analysis on the multi-dimensional composition by area could be a fundamental resource to search an applicable LDK composition on a specific lot area. This study has thoroughly analyzed LDKs in small houses. Yet, it is limited to understand the complicated interior spatial composition in small houses. A more comprehensive research is required not only for LDK, but for overall spatial composition afterwards. The result analyzed in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be used actively for future research and design of spatial design in small detached houses. 본 연구의 대상인 일본 도시형 협소주택(狹小住宅)은 도심에 위치한 자투리 필지나 소규모 필지에 건축한 주택을 지칭한다. 협소주택은 동일한 형태의 주택인 속칭 ‘집장사 집’이 아닌 작은 필지의 한계를 극복하고 쾌적한 주거공간을 만들고자 하는 건축가의 노력이 반영된 주택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협소주택의 사례들은 건축주가 거주 목적으로 건축가에게 설계를 의뢰한 경우로서, 건축가는 주어진 필지에 거주자의 요구를 최대한 반영하도록 관련법규 안에서 공간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면서 모든 공간을 계획하게 된다. 한국에서는 2012년에 TV 매체를 통해 한국과 일본의 협소주택 사례를 소개하기 시작하였고, 이후 새로운 주거유형으로 주목받게 되었다. 도시형 협소주택은 기존의 아파트 중심의 개발과 달리 각 필지별로 개발하는 방식으로서 거주자의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에 대응한 다양한 공간구성이 가능하다. 특히 공용공간은 보이드(Void)를 도입하거나 층고를 높이는 등의 방식으로 수직적 공간 확장을 통해 삼차원적인 공간을 구성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도시형 협소주택의 LDK 공간구성에 대한 다양한 가능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거주자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한 공간 계획을 위해 이제까지 건축가가 설계한 도시형 협소주택의 사례를 분석하여 내부 공용공간의 구성방법을 조사․분석하고 이를 유형화하고자 한다. 또한 유형화된 내용을 토대로 하여 소규모 주택의 내부공간의 확장성과 개방성을 위한 설계방법을 도출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협소주택의 규모를 100㎡ 이하의 대지에 건축된 주택으로 정의하고, 2011년 이후 준공된 일본의 사례 총 108개를 수집하여 연구 대상으로 활용하였다. 1장 서론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 연구의 범위와 방법에 대하여 밝혔고, 2장에서는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한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였다. 첫째, 협소주택에 대한 고찰에 앞서 일본과 국내의 소규모 주택의 변화와 협소주택의 출현 시기를 정리하였다. 둘째, 협소주택에 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하여 연구 경향을 분석하였고, 선행 연구자료와 미디어 자료를 토대로 하여 본 연구의 대상인 협소주택에 대한 정의와 의의를 밝혔다. 또한 국내 협소주택의 도입 배경과 공간특성을 분석하여 본 연구에서 주장하는 협소주택의 공간구성 방법과 유형화 연구의 필요성을 밝혔다. 셋째, 협소주택 내 공간 중에서 LDK(거실+식당+주방) 배치의 중요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협소주택의 LDK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므로, 일반주거 내 LDK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LDK 구성의 특징을 파악하였다. 또한 이상의 고찰을 종합하여, 협소주택 내 LDK의 공간구성방법을 분석 및 유형화하는 작업에 대한 본 연구의 의의를 밝혔다 3장에서는 앞의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 일본 도시형 협소주택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협소주택의 LDK 계획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협소주택의 LDK의 평면조합방식과 단면조합방식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우선 협소주택의 규모, 형태 등 일반적 특성에 대하여 고찰하고, 협소주택의 LDK 평면조합방식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은 협소주택의 세부적인 요소를 표현하기 위하여 도식화 및 기호화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LDK의 평면배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LDK 평면조합방식과 일반적 특성요인의 관계 분석을 진행하였다. LDK의 단면조합방식에 대하여는, 단면요소인 수직이동요소, 수직개방요소, 수직변화요소의 세 가지 측면으로 분석하였다. 수직이동요소로는 계단과 LDK와의 관계, 수직개방요소로는 보이드와 경사지붕․높은 층고의 시각적 개방성, 수직변화요소로는 바닥 단차, 천정 높이차의 적용여부를 분석하였다. 또한 LDK의 단면구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LDK 단면구성방식과 일반적 특성요인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LDK의 입체적 공간구성방법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우선 LDK의 ㉮(평면조합방식), ㉯(계단구성방식), ㉰(수직개방방식)의 조합에 의한 사례 리스트를 작성하고, 조합방식에 해당하는 사례의 빈도를 통하여 협소주택의 최근 경향과 주요 특징을 도출하였다. 다음, LDK의 평면조합방식에 따른 입체적 공간구성방식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LDK의 입체적 공간구성의 다양한 가능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LDK 공간에 확장감을 부여하는 요소를 파악하고, 이러한 확장요소에 따라 LDK공간을 수평 확장요소만 나타난 수평 LDK형, 수직 확장요소만 나타난 수직 LDK형, 수평확장요소와 수직확장요소가 모두 나타난 복합 LDK형으로 분류하고 각 유형의 LDK 계획방법을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대지면적에 따른 LDK의 입체적 확장방법을 고찰하였다. 5장은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하는 장으로서 이 연구를 통하여 파악된 LDK 공간구성방법 및 유형의 특성에 대하여 요약․정리하였다. 또한 본 연구가 지니는 가치와 그 한계점,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내용을 종합적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대상 사례는 주로 2층이나 3층의 규모를 가진다. LDK의 층별 분포를 살펴보면, 1층에 LDK가 위치한 경우는 30.6%, 2층에 위치한 경우는 55.6%로 2층에 위치한 경우가 더 많이 나타났다. LDK 평면배치관계에 대한 분석은 3×3그리드 도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LDK의 배치는 11가지 평면조합방식으로 분류하였으며, 그중 LDK 일렬배치형이 37.0%로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나고 있어 가장 효율적인 배치 유형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LDK의 평면조합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건축면적, 평면유형, 단면유형 등으로 나타났다. LDK의 공간관계에 따라 개방형, 거실분리형, 주방분리형, 완전분리형으로 분류하였으며, 그중 개방형이 61.1%(66개)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세분화된 영역 구분을 통하여 개방형은 LD에는 영역을 구분하지 않고, 대면형 주방 등으로 K만 영역을 구분하는 LD⋅K형이 가장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계단은 LDK에 개방된 경우가 79.6%로 높게 나타났다. 계단의 위치나 형태의 특징은 벽부형 직선계단(26.9%), 계단이 여러 곳에 위치한 복합형 계단(25.9%) 순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LDK에 개방된 계단은 주로 시선이 통과되는 개방형 계단이며, LDK 공간내 요소들의 재질이나 색상 등을 일관되게 계획함으로서 공간에 통일성을 부여하였다. 대상사례에서 보이드는 28.7%에서 나타났으며, 그 중 거실 공간이 보이드 처리된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이드 공간은 전면창을 통하여 외부에 적극적으로 개방된 경우와 천창이나 고측창으로 외부 도로로부터의 시선을 완전히 차단한 경우가 대조되어 나타났다. 높은 층고는 40.7%에서 나타났으며, 그 중 LDK가 최상층에 위치하고 경사지붕이 그대로 내부공간에 반영되어 높은 층고를 형성하는 경우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단차는 스킵플로어형과 스플릿레벨형으로 분류하여 고찰하였으며, 스킵플로어형이 7.4%(8개), 스플릿레벨형이 23.1%(25개)로 스플릿레벨형이 많이 나타났다. 또한 LDK의 단면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평면형태, 입면형태, 층수 및 LDK 해당층으로 나타났다. LDK의 입체적 공간구성방식에 대하여 ㉮(평면조합방식), ㉯(계단구성방식), ㉰(수직개방방식)의 세 가지 항목으로 분류하고, 각 사례를 ㉮-㉯-㉰의 조합방식으로 정리하였다. 분석에 활용된 108개의 사례는 49가지 입체적 조합방식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5개 이상의 사례가 분포된 조합방식은 5가지로 나타났다. 이 5가지 조합방식은 LDK의 가장 기본적인 공간구성방법으로 볼 수 있다. LDK 평면조합방식에 따른 입체적 공간구성방법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각 평면조합방식의 입체적 공간구성 특징을 도출하였다. 첫째, LDK 일렬배치형의 입체적 공간구성은 주로 계단이 LDK에 인접하여 개방된 경우, 테라스가 거실에 연결되어 내부공간의 확장감을 가져온 경우, 거실 혹은 LD의 층고가 높은 경우로 나타났다. 둘째, L과 DK 병렬배치형, LD와 K 병렬배치형의 입체적 공간구성은 주로 거실, 식당, 주방이 개방되어 하나의 큰 공용공간을 이루면서 높은 층고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LDK 꺾인배치형의 입체적 공간구성은 주로 L, D, K가 각각 단차로 연결되는 경우, 중심에 위치한 주방이나 식당 공간이 보이드 처리되어 상층부와 소통하며 전체 주택공간의 중심적 역할을 하는 경우로 나타났다. 넷째, 거실분리형 배치의 입체적 공간구성은 주로 계단을 L과 DK 사이에 위치하여 공간을 분리 하며, L과 DK는 반층 차이, 혹은 다른 층에 있는 경우로 나타났다. 다섯째, LDK 엇갈린 배치의 입체적 공간구성은 L, D, K 각 공간이 구분되면서 사선 방향으로 개방되어 공간에 확장감을 부여하는 것이 특징적으로 나타났으며 각 공간이 단차를 형성하거나 높은 층고로 계획되는 경우로 나타났다. LDK의 공간에 확장감을 부여하는 요소에 따라 LDK공간을 수평 LDK형, 수직 LDK형, 복합 LDK형으로 분류하였다. 그 중 수평확장요소와 수직확장요소가 모두 나타난 복합 LDK형은 66.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복합 LDK형에서는 ‘계단 개방 + 높은 층고’, ‘계단 개방 + 보이드’, ‘단차 + 높은 층고’의 조합이 주로 나타났으며, 이 외에 LDK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난 조합은 ‘틈새 보이드’, ‘현관/계단홀 단차’, ‘공간 4분할 단차’, ‘사이공간 보이드’ 등이며, 이러한 요소는 일반 주택에서 흔히 나타나지 않은 특징들이다. 소규모 주택의 다양한 공간구성을 위한 방법으로 적극적으로 고려될 수 있으며, 추후 보다 구체적인 조사와 분석이 필요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LDK의 평면조합방식, 단면구성방식, 평면과 단면을 조합한 입체적 구성방식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분석을 통하여 도출한 LDK 공간구성방법을 면적별로 분류하여 면적에 따른 LDK 공간구성 특징을 살펴보았다. LDK의 평면조합방식은 대지면적에 따라 작은 면적에서 주로 나타나는 유형과 비교적 큰 면적에서 주로 나타나는 유형이 구분되었고, 일부 유형은 모든 면적범위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났다. LDK의 계단구성방식은 대지면적이 클수록 스킵플로어와 스플릿레벨형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층간계단은 면적이 클수록 공간통합형 계단의 비율이 줄어들고 공간분리형 계단의 비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지면적에 따른 수직개방방식은 대지면적이 40∼79㎡에서는 보이드나 높은 층고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나, 대지면적이 80∼100㎡의 경우는 LDK의 수직적 개방성이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났다. 협소주택은 단독주택으로서 평면구성과 단면구성이 자유롭다. 동시에 공간의 협소함 때문에 거주자의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하기 위해서는 더욱 세부적이며 입체적으로 구성하여야할 필요성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협소주택의 특징을 최초로 입체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그에 따른 체계적인 가능성을 증명하였다. 특히 협소주택의 내부공간 구성에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LDK의 개방성 및 확장방법에 대한 분석은 추후 협소주택의 내부공간을 구성함에 있어서 참고자료가 될 수 있다. 또한 대지면적에 따른 LDK 입체적 공간구성방법에 대한 분석은 구체적인 필지에 적용가능한 LDK 구성방법들을 찾아보기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하여 협소주택 계획 시 실무에서 적용가능한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그 범위를 협소주택 내부공간 중 공용공간을 이루는 LDK에 한정함으로 LDK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이 이루어졌으나, 협소주택의 전반적인 내부공간 구성을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추후 LDK 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공간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내용들이 추후 국내 소규모 단독주택의 공간 다양화를 위한 연구와 설계에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신병교육훈련이 훈련병들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연구

        신미옥 이화여자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구상의 유일한 분단국가인 우리 나라는 여러 가지 병역제도 중에서 일정한 연령이 된 신체 건강한 남자에게는 일정 기간의 병역 의무를 법으로 규정하는 징집제를 택하고 있다. 따라서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모든 건강한 남자는 군이라는 관문을 인생에서 의무적으로 꼭 한번은 통과해야만 한다. 우리 나라의 젊은이들은 그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정하면서 묵묵히 국방의 신성한 의무를 계속해 가고 있다. 물론 이런 과정에서 소신껏 군에 입대한 젊은이들도 많이 있겠지만 국방의 Z의무로 인해 ‘자의에 관계없이’ 군에 가야 한다는 것이 상당히 큰 심리적 부담감 내지 불안감으로 작용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 이러한 불안감과 심리적 부담은 입대 직전, 신병교육대 생활뿐만 아니라 자대 배치, 훈련 실시 등의 과정 중에 높게 나타난다. 또한 비록 입대를 하지 않은 남자들이나 그의 가족들마저도 이러한 불안감에 휩싸이는 경우가 많다. 특히 신병교육대에 입소한 인원들 중 입대 직전의 불안으로 인하여 군 생활의 시작인 신병교육대 생활에 일찍 적응하지 못하고 탈영이나 자해, 자살 기도에 이르는 경우도 있다. 뿐만 아니라 아들을 입대시킨 부모님들마저도 아들에 대한 걱정과 불안으로 인하여 잠 못 이루고 있는 것이 오늘날 군 입대한 아들을 둔 부모님들의 현실이다. 이 같은 관점에서 본 연구는 군에 갓 입대한 젊은이들의 심리 상태 중에서 불안 요인이 차지하는 부분과 불안의 주요 원인을 분석하여 입대 초의 불안 요인이 신병교육을 통하여 해소되는지의 여부와 불안요소가 높은 병사들을 선별하여 면담 및 교육을 통해 군이라는 특수 조직에 대해 각 개인이 조기에 적응하고, 심리적 안정 속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경험적 증거 확보와 더불어 참고 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또한 이 연구를 통해 군에 입대한 아들을 둔 부모님들이 신병 교육에 대한 이해와 심리적 안정감을 증진시키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강원도에 위치한 00부대 신병교육대 훈련병 500명을 대상으로 입소한 날과 퇴소직전에 2차에 걸쳐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표집된 500명중 실제 분석에 사용된 인원은 499명이었다. 본 연구의 설문에는 설문지 간이정신진단검사인 Symptom Check List 90- Revision (이하 SCL-90-R)을 사용하였다. SCL -90- R의 세부내용은 아홉 개 의 증상으로 신체기능 (Somatization), 강박증 (Obsessive Compulsive), 대인예민성 (Interpersonal-Sensitivity), 우울 (Depression), 불안 (Anxiety), 적대감 (Hostility), 공포불안(Phobic Anxiety), 편집증 (Phranoid Ideation), 정신증 (Psychoticsm)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집된 자료분석을 위해서는 빈도분석, 기술통계, 자료의 표준화, 요인분석 (Factor Analysis), 군집 분석 (Cluster Analysis)등을 실시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1. 입대 직전의 훈련병들의 불안한 심리요인은 신병교육훈련을 통하여 안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입대직전의 훈련병들의 우울 정도는 신병교육훈련을 통하여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입대직전의 훈련병들의 공포 회피 요인은 신병교육훈련을 통하여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신체기능으로 불안감을 갖는 훈련병들은 신병교육훈련을 통하여 빠르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보면 훈련병들은 입대 직전의 불안심리가 신병교육훈련을 통하여 안정을 찾고 공포회피도 낮아진 것을 알 수 있다. 즉, 신병교육을 통해 훈련병들은 군에 대한 자신감을 얻고, 군 생활에 적응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한다고 볼 수 있겠다. 수료 직전 실시한 설문에서도 불안요인이 나타난 것은 부대 변경에 따른 불안감이 내재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겠다. Ever since the armistice of the Korean War in 1953, South Korea has been standing face to face with hostile North Korea for almost half the century. Experiencing the tragic war, South Korea understands the importance of self-defense under the hostile circumstance. Every Korean man is obligated to serve in the military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is has been a huge part of South Korea's intention for self-defense. In the process of being drafted to the military system, most of young Koreans feel that they are the only ones who can fulfill the necessity of self-defense. However, there are still numerous Korean men who think that they do not belong to the military system and take this reality as a waste of time. It usually leads to the fact that they begin their military duty under psychological pressure and anxiety. New recruits to the Replacement Training Center usually find difficulty in adapting to the new military environ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the leaders of the replacement training have to find out how to ease the new recruits' psychological anxiety, so that they can help the new recruits adjust to the new environment and receive effective trai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reasons of the new recruits' psychological anxiety in the early stage of the training and how their mental anxiety changes as they continue the training. Based upon the results, it will be possible to offer a new suggestion to the quick adaptation to the military system and psychological stability for the new recruits. For the object of the study, 500 new recruits who began their military duty in 1999, answered the questionaire (Symptom Checkslist-90-Revision) twice, the first day of the training and the last day of the training,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study and statistical analysis are as follows: 1. The new Recruits' psychological anxiety tends to decrese as the replacement training continues. 2. The physical conditions of the recruits have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anxiety. 3. The recruits' psychological anxiety not caused by physical condition can be eased with education program 4. Fear caused by current physical condition can be decreased with education program. Besides the study, the facts that were understood through interviews with the recruits and continuous interest on the recruits, are as follows. 1. An important reason that the new recruits have psychological anxiety, comes from the misunderstanding of the military system. 2. Sudden change of environment. 3. Familv health 4. Doubted future with loving partners. 5. Physical inability 6. Physical uncomfort which comes from the training program. Based upon these results, if there is a continuous study on the new recruits' psychological anxiety, it will be helpful to protect numerous accidents which why happen in the military. The new recruits waiting for being appointed to each military division, tend to have high psychological anxiety and fear. They can be relaxed and adjusted to the system in each of the military division, such as interviews and continuous interest on them.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make the new recruits and their family understand the reality of the military life through effective public propaganda. Upon these results, the next researcher may be able to develop a more effective model of the replacement training through a more detailed analysis on the new recruits' psychological anx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