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게리 스나이더의 심층 생태학적 사유에 대한 연구

        신명화 부경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paper aims to examine Gary Snyder’s deep ecological thoughts and vision through a close reading of his poems and essays. The analysis of his works will show Snyder’s life-long efforts and practices to overcome the ecological crisis as “a spokesman for wild nature.” Snyder blames Judeo-Christian anthropocentrism, rationalism and dualism of Western culture, techno-science civilization, and capitalism as the main culprit of unprecedented human destruction of nature and the on-going environmental disaster. Judeo-Christian anthropocentrism allows mankind unlimited warrant to exploit and use nature for the sake of human comfort and development. The arrogant tradition of anthropocentrism and excessive rationalism justifies and reinforces the dominance of humans over nature and makes humans pursue self-interest above all. In the Native American culture, in the Zen Buddhism, and in the Paleolithic society, Snyder seeks solutions that can stop more severe environmental destruction and save both mankind and nature from potential ecological catastrophes. In particular, Snyder pursues the interdependence and the coexistence of humans and all life forms in nature from the Buddha’s central doctrine of Causality, or dependent co-arising. He also emphasizes the interconnectedness of all beings in the world since nothing exists in isolation, independent of other life. Therefore, all the beings exist in mutually supplementary relationship. More significantly, Snyder shares the interconnectedness of all living beings on a biological level as shown in the food chain and food-web. Snyder puts bioregionalism and reinhabitation movement into practice in the Turtle Island, which is North America originally named by Native Americans in order to realize the ideal life-community where man and nature co-exist. Chapter I examines the poems which warn us of ecological disaster. In Myths and Texts and Turtle Island, Snyder criticizes the modern civilization for devastating Mother Nature. Chapter Ⅱ deals with the alternative course of the ecological crisis. Snyder tries to seek the solution in Native American’s myths and the Zen Buddhism. In the sequence of “Burning,” he shows the interconnectedness and interpenetration of all beings and ecological food-web as figured in the image of Indra’s net. In chapter Ⅲ, poems showing ecological democracy in the ideal life community are analyzed in detail. In Turtle Island, Snyder depicts the interdependency and co-existence of human and nonhuman nature in an ideal life-community. In conclusion, Snyder shows in his poems and essays the symbiotic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nature. He is practicing the ecocentric egalitarianism that draws us to reject the human’s privilege over nature and respect all beings including humans in their own right as parts of the whole without hierarchies of species.

      • Systematic study on the selected groups of marine amphipods (Crustacea: Malacostraca: Peracarida) from Korea

        신명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For the systematic study of marine amphipods, three groups of amphipods, the sand-burrowing amphipods, the algae-living amphipods, and the amphipods associated with invertebrates, were selected based on their habitat types. Two modern taxonomic methods, the DELTA software and the Digital Drawing, were applied for this thesis. In the first three chapters, the three selected groups of amphipods were examined with morphological taxonomic analyses, respectively. In the last chapter, a molecular taxonomic study was conducted for the species of three selected groups using mitochondrial COI gene sequences in order to confirm the accuracy of morphological classification.As a result of the taxonomic study of sand-burrowing amphipods in chapter 1, 18 species of 6 genera belonging to four families Dogielinotidae, Haustoriidae, Phoxocephalidae, and Urothoidae were identified. Among them, 5 species, Paraphoxus sp., Urothoe sp. 1, Urothoe sp. 2, Urothoe sp. 3, and Urothoe sp. 4, were defined as unknown species, indicating a possibility of new species differing from the congeneric species, and Urothoe convexa was redescribed. Through chapter 2, the taxonomic revision and review of algae-living amphipods, especially of the family Ampithoidae were provided. Three species of the genus Ampithoe, A. lacertosa,Ampithoe new species 1, and Ampithoe new species 2, were described, and the holotype of A. tarasovi collected from Russia was redescribed. A species previously known as A. tarasovi in Korea was newly identified as Ampithoe new species 1, and the description was included. A taxonomic review for all species of the genus Peramphithoe was conducted based on their descriptions and illustrations. The morphological diagnoses and species information were provided additionally. The holotype of P. namhaensis was redescribed, and a new species of the genus was described. In chapter 3, three amphipod species belonging to three families, Melitidae, Pleustidae, and Stenothoidae, were described and information about relationships between the amphipod species and their host invertebrate was provided. Among the three species, Melita anmyeonensis was confirmed to be associated with a bivalve species, Barnea dilatata. Melita anmyeonensis lived between the gills and mantle cavity of B. dilatata. The species could be protected from desiccation and solar irradiation inside the mantle cavity of the host during the low tide period. This was the first record of an association between a species of Melita and a bivalve mollusk. An unknown species of the genus Dactylopleustes was found to be associated with an echinoid species, Mesocentrotus nudus.As obligate associates,the amphipod species was regarded as a new member of the genus Dactylopleustes. Moreover, Metopa groenlandica was collected inside of the cavity of a brachiopod species, and the host brachiopod seemed to provide the amphipod species similar conditions as the bivalve hosts do. The genera Dactylopleustes and Metopa were described for the first time from the Korean fauna. Lastly, the objective of chapter 4 was to test the validity of DNA barcoding as a supplementary tool for species discrimination and to verify anaccuracy of morphological classification of the Korean amphipod species. A 658 bp sequence of COI was obtained from a total of 113 individuals of 27 Korean species (excluding a cryptic species of the genus Urothoe) belonging to 14 genera in 9 families. For Korean amphipod species in this study, a “barcode gap” was observed for the range between 4% and 9 %. The COI gene confirmed to be an informative molecular marker for species identification. A cryptic species of the genus Urothoe was detected from the species U. convexa.

      • 노인의 노후장애불안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활동 참여의 매개효과

        신명화 한서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노인의 노후장애불안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사회활동 참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충남 태안 지역에 거주하는 60 세 이상의 남녀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 17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및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신뢰도 분석, 빈도분석, 교차분석, 평균비교 분석(t-test, One-way ANOVA), 상관분석, 매개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하여 밝혀진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 대상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노후장애불안, 삶의 만족도, 사회활 동 참여에서 각각 유의미한 차이와 유의미하지 않은 차이가 다르게 있었다. 둘째. 주요 변수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노후장애불안은 삶의 만족도 및 사 회활동 참여와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사회활동 참여는 삶의 만족도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노후장애불안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사회활동 참여는 매개효과가 있었 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복지 정책 및 실천을 위한 제언을 덧붙였 다. 본 연구는 노인의 노후장애불안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활동 참 여가 매개하고 있음을 밝혔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사회활동 참여를 개선함 으로써 궁극적으로 노인들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노인복지 정책 수립에 유용 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주제어: 노후장애불안, 삶의 만족도, 사회활동 참여, 매개효과

      • 逆機能 家庭과 낮은 自尊感에 관한 硏究 : 事例를 中心으로

        신명화 安養大學校 神學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을 통해 역기능 가정에서 성장한 성인 아이 부모의 양육 태도는 자녀의 낮은 자존감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부모님의 낮은 자존감의 영향은 인격 장애를 갖게 될 만큼의 영향을 주고 있다. 역기능 가정의 특징과 유형을 살펴보면서 자존감 향상에 도움이 될 가족 치유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함을 알게 되었다. 프로그램에 마지못해 참석 하는듯한 인상을 주는 가족도 있었고 의지적이지 못한 가족도 있었다. 경제적인 면에 있어서도 대단히 취약했다. 가계도를 통하여서 본 부모님의 원 가족 속에서의 삶의 패턴들이 세대 간 되풀이 되고 있었다. 삶의 실패와 부적응으로 인해 인간관계도 원만하지 않았다. 역기능적인 가정의 자녀는 역기능 환경을 학습할 수밖에 없고 건강한 인간관계를 맺는데 실패할 확률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사례의 가족들에게서 나타난 것은 가족 중 한 사람도 가족의 정서에 책임질 사람이 없었다. 이러한 역기능 가족의 낮은 자존감 향상을 위하여 관심을 가지고 그들을 수용하고 이해해 주고 격려해 주는 건강한 가정의 모델이 많아져야 한다. 이 일들을 교회에서 감당해야 하는 시대적인 사명이 있어야 하겠다. 교회에서 한 영혼의 소중함을 알고 따뜻하게 이들의 가정을 섬길 때에 역기능 가정에게 위로와 격려가 될 수 있다. 교회가 가고자 하는 방향과 목적이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는 것이다. 교회가 구체적인 계획과 목표를 수립하여 하나님이 원하시는 돌봄의 사역을 펼쳐 나가야 된다고 생각한다. 본 논문의 사례의 결론을 통해 제안하고 싶은 사항은 첫째, 역기능 가족은 낮은 자존감을 자녀들에게 전이시키고 있다. 역기능 가족은 수치심, 우울증과 같은 자기 자신을 부정하는 태도를 가지고 있고, 진정한 자신에 대해서 말로 표현할 수 없으며 타인과의 관계에서 인정받고 사랑받지 못했을 때 자기 자신을 드러내길 힘들어 한다. 또한 자기 자신에 대해서 불안하게 생각하며 감정도 쉽게 상한다. 세대 간 되풀이 되는 패턴 속에서 자녀의 낮은 자존감은 역기능 가족의 악순환의 고리가 계속 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제안 점으로는 부모님의 낮은 자존감을 자녀에게 전이 시키지 않기 위해서는 부모님의 교육이 필요하다고 본다. 아버지 학교, 어머니 학교, 부부 행복 학교 등 자신의 내면을 탐색할 수 있는 많은 프로그램이 있는데 이러한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자신의 모습을 알아가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역기능 가족의 낮은 자존감에는 부모님의 애정 결핍이 존재하고 있었다. 사례의 가족을 통해서 볼 때 알코올 중독 가정에서 관심이 집중된 것은 알코올 중독자였고 자녀들은 방치되어 있었다. 자녀에게 문제가 발생되어도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하고, 부부 관계 속에서의 불화는 자녀에게 화를 더 내기도 하고, 술을 더 많이 마시게도 한다, 이러한 행동은 잠시 동안은 긴장 관계가 완화되기도 하나 진정한 해결책은 되지 못하였던 것을 알 수 있다. 제안 점으로는 이들은 부모님으로부터 낮은 자존감을 물려받았고 낮은 자존감을 자녀에게 물려주는 것이 당연한 것으로 알고 있는데, 부모님의 태도가 자녀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부모 교육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다. 비슷한 문제를 갖고 있는 사람들의 모임이 필요하며 이들을 적극적으로 지원해 줄 수 있는 지원 그룹이 필요하다. 단회 적인 만남보다 지속적인 만남을 통해 습관을 고쳐나가는 교육이 필요하다고 본다. 셋째, 역기능 가족의 낮은 자존감은 하나님 안에서 사명을 발견하는 것이 어렵다. 교회 생활과 분리된 일상생활을 하고 있으며 진정한 하나님 안에서 부르심을 발견하지 못하기도 하며, 기쁨과 감사의 생활을 하지 못하는 영적인 게으름에 익숙해져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낮은 자존감의 사람은 경건한 신앙생활을 하지 않고 있었으며 하나님 안에서 자신의 존귀한 존재를 발견 하지 못하고 섬김과 헌신이 부족함을 알 수 있다. 또한 가정에서의 예배가 이루어 지지 않고 각자 바쁜 생활로 살아가고 있다. 제안 점으로는 하나님 안에서 사명을 발견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교회 안에서의 많은 프로그램이 있다. 제자 훈련, 사역 훈련, QT모임, 전도 그룹, 중보기도 그룹 등 여러 프로그램을 진행시키기도 하는데 이러한 역기능의 낮은 자존감의 사람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권장해야하며, 가정 예배의 중요성을 알 수 있도록 교회에서는 가정 예배 프로그램을 만들어 주는 것도 필요하다고 본다. 바쁜 가운데 있는 가족들이지만 계획이 지켜져서 그 가족 구성원 모두가 습관화 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넷째, 역기능 가족의 낮은 자존감에는 긍정적인 말과 행동이 제한되었다. 상대방과 의사소통 시에 존중해 주는 말과 행동이 없으며 자신의 분노 표현의 말이 정제되지 않아 서로에게 상처를 많이 준다. 제안 점으로는 성경적이고 아름다운 대화법을 가르쳐 주어 생활 속에서 익혀 나갈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교회에서 시작되어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나를 전달하는 방법과 들을 때도 잘 경청할 수 있는 많은 훈련들이 있는데 이를 확대 시켜 나가도록 교회에서 훈련시키는데 주력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역기능 가족의 낮은 자존감에는 용서가 결핍되어 있다. 이 세상의 많은 부모는 자녀에게 좋은 것을 주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을 것이다. 그런데도 많은 자녀들은 부모님을 용서하지 못하고 있는 부분이 있다. 물론 용서에는 많은 인내와 고통이 뒤따를 수 있다. 부모님들 역시 그 부모에 대해 용서하지 못한 부분이 많이 있다. 이 세상에 모든 사람들은 자녀였으며 대부분 많은 사람들이 부모가 된다. 어렸을 때의 분노를 잘 처리하지 못하여 일생을 불행하게 살기도 하는데 용서의 프로그램을 확대 시켜 나감으로써 자기를 인정하고 하나님 안에서 용서할 수 있도록 교회 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교회에서는 가정을 세우는데 도울 수 있는 사역자들의 헌신과 수고가 필요하며 격려와 지원이 이어져야 할 것이다.

      • 부산지역 초등학교 문화예술교육의 박물관 활용 방안

        신명화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문화는 인간이 지닌 외적 생활 양태의 총체적인 모습이란 측면과 함께 그 안에 담긴 고유한 정신이나 제도 , 관습 등을 전체적으로 지칭하고 있다. 문화는 사회구성원에 의해 역동적으로 움직이고 변화하며 발전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개인이나 사회 집단은 지적 정신적 심미적 계발을 위해 문화적 행위를 통해 창의적 산출물을 창출하였다. 이러한 문화 활동은 문화정책을 통해 발전해 왔다. 오늘날 문화 정책은 국민생활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문화 환경의 조성과 여건 형성에 목표를 두면서 문화예술지원법의 제정과 함께 학교문화예술교육으로 도입되었다. 문화예술교육은 학습자가 자신의 내적 문화예술 요구에 기초하여 자신을 바르게 이해하고 자신과 문화예술작품과의 만남을 통해 소통을 형성하며 나아가 자신의 창작 활동을 통해 자기를 표현하고 실현해 가는 교육활동이다. 그러나 지금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문화예술교육은 이론적 정당성과 방향의 부재 속에 예술 영역에 한정된 기능 습득 교육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문화교육의 산실인 박물관 교육과 연계하여 실시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의 성격을 파악하고 박물관 교육과의 접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우리 부산지역의 문화예술교육 연구 학교 중에서 ‘금성초’와 ‘송운초’를 선정하였는데, ‘금성초’의 경우는 작은 학교와 대안교육의 방향 속에서 체험과 인성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주제통합중심의 새로운 교육과정의 개발과 모델을 제시한 점과 ‘송운초’는 지리적으로는 대도시 내에 위치하고 있지만 문화 경제적으로 소외된 지역에 해당되어 정책적으로 공교육에서의 지원과 노력이 요청되는 교육복지투자지역이기 때문이다. 분석 과정에서는 연구 학교 자체 결과 보고서와 부산교육청 자료 및 활용하였다. 연구학교 운영 결과 보고서외에 실제적 운영 모습을 알아보고자 담당자와의 면담과 인터뷰 등의 방법으로 보고서의 형식성을 보완하였다. 두 학교의 운영 사례와 분석 속에서 문화예술교육 중에서 상대적으로 간과되어온 문화교육을 위한 박물관 활용 방안의 모색과 활동이 중요함을 알게 되었다. 박물관의 열악한 조건과 학교 교사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통일된 인식과 노력, 정책적인 지원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중심으로 나름의 개선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문화예술교육은 기존의 예능 관련 교과와는 다른 통합교과로서의 성격과 학습자의 체험을 강조하는 원리를 바탕으로 이루어져야한다. 학교문화예술교육은 교육과정 속으로 다양한 방법으로 편성 운영되어져야하며 박물관과 학교가 유기적으로 협력하여 연계하여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시스템화하는 노력이 요청된다고 할 수 있다. Culture refers to a way of life of people and also the sum of total of spirits, systems, customs, and so on. Culture moves, changes, and develops in a dynamic way by members of society. A person or a group of people composing society have produced creative outputs through cultural activities for intellectual, spiritual, and aesthetic development. These cultural activities have been developed through cultural policies. Cultural policies of today place object on establishing cultural environment and building conditions in a bid to improve quality of life of people, and accordingly the Law for Support of Culture & Arts Education has been enacted, and culture & arts education in schools has been adopted. Culture & arts education is the education activities with which learners can understand themselves based on their internal demand for culture & arts education, have communication between themselves and cultural artworks, and moreover express and realize themselves through their own creative activities. However, culture & arts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is limited to the education for acquisition skills in arts amid lack of theological justifiability and direction, and it fails to be linked to the museum education, which is a cradle of culture education. Therefore, this research is purposed to find out characteristics of culture & arts education and look into a contact point with the museum education. Especially, 'Geumseong Elementary School' and 'Songun Elementary School' have been selected out of schools for culture & arts education in Busan area, as 'Geumseong Elementary School', which aims for the small school and alternative education, has emphasized on experience and humanity education and proposed development of new education curriculum and relevant model centering on thematic integration, and 'Songun Elementary School' which is located in a big city, but is in educational welfare investment region, as it is in the culturally and economically-underprivileged area, and thereby requiring politic support and efforts. In the process of analysis, reports of the schools related to this study and materials of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have been utilized as data. In an attempt to figure out real operation status of the above-mentioned schools, meeting and interview with the persons-in-charge of those schools have been conducted to supplement the reports. As a result of analysis on the examples of operation of two schools, it was found out that to devise a plan on utilization of museum and develop relevant activities, which have been overlooked comparatively, are important for cultural education. Centering on the issues appeared such as poor conditions of museums, lack of unified recognition and efforts for culture & arts education of school teachers, and insufficient politic support, I proposed improvement measures for this research. Through this research, it was noticed that culture & arts education has a characteristic as an integrated subject which is different from existing art education, and thereby it should be conducted based on the principle placing emphasis on experiences of learners. School culture & arts education should be operated in a more diversified manner, and systematic efforts should be exerted so that education by linking museums and schools can be conducted continuously and systematically through organic collaboration between them.

      • 기후변화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공동체의식 및 환경보전태도에 미치는 영향

        신명화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후변화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공동체 의식 및 환경보전태도에 미치는 영향 신 명 화 지도교수 : 김현정 유아교육전공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본 연구는 기후변화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공동체의식 및 환경보 전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유아의 공동체의식과 환경보전태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대안을 찾는데 목적이 있다. 더불어 기후변화에 기초한 그림책 토의활동을 계획하고 기후변화 그림책 토의활동 프로그램 개발을 진행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기후변화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공동체의식(조화, 자발적 참여 , 소속감 ,일체감 및 상호영향의식, 공공의식)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둘째, 기후변화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환경보전태도(재활용, 절약, 환경 오염방지)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G시에 소재한 K유치원 만5세에 재원중인 두 학급 유아들로 실험 집단 20명(남아 11명, 여아9명), 통제집단15명(남아 13명, 여아7명) 구성하였다. 실험 집단은 약 8주 동안 8차시에 걸쳐 기후변화에 기초한 그림책 토의활동을 실시하였 고, 통제집단은 놀이중심의 2019누리교육과정에 따라 교육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공동체의식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도구로는 우남희 외 (2001)가 구성한 공동체의식 검사지를 바탕으로 고정리(2013)가 유아발달수준에 맞 게 재구성한 측정검사도구이다. 환경보전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검사 도구는 유혜숙(1999) 의 연구를 토대로 김세영(2022)이 구성한 환경보전태도 교사용 관찰기 록지를 홍지명(2006)이 수정•보완한 검사도구이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검 사, 사후검사에 대해 독립표본 t-test 검증을 실시하여 기후변화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공동체의식과 환경보전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후변화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은 실험집단 유아들의 공동체의식 및 환경보전태도 전체 총점에서 점수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기후변화 그림책을 활용 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공동체의식 및 환경보전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의 미한다. 둘째, 실험집단 유아들의 사전검사•사후검사 점수 결과, 기후변화 그림책을 활 용한 토의활동을 실시한 후 통제집단보다 실험집단이 공동체의식 5가지 하위요인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유아 일체감 및 상호작용이 크게 향상되었다. 셋째, 실험집단 유아들의 사전검사•사후검사 점수 결과, 기후변화 그림책을 활 용한 토의활동을 실시한 후 통제집단보다 실험집단이 환경보전태도 3가지 하위요인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유아 환경오염 방지에서 크게 향 상되었다. 이를 종합하면, 기후변화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은 유아의 공동체 의식과 환경 보전태도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