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과학 영재와 일반 아동의 비구조화된 과학문제해결전략에 관한 연구

        수정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급속히 발전하고 변화하는 현시대에서는 단순한 과학적 지식보다는 그 상황을 이해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직면한 여러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해 가는 문제해결전략이 학교교육의 주된 관심사가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구조화 된 과학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초등과학영재와 일반아동의 문제해결전략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그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과학탐구능력과 과학창의적문제해결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비구조화된 문제는 과학적 지식과 과학적 기능, 확산적 사고, 비판적 사고를 분석하기 위한 주관식 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 문항은 한국과학창의력경시대회에서 출제된 문제를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되도록 수정 보완했으며, 두 문항은 기존의 과학적 창의력을 평가하는 문항을 일부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과학탐구능력 검사 도구는 권재술과 김범기(1994)가 개발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과학창의적문제해결력 검사 도구는 이경숙(2004)이 개발한 것을 사용하였다. 서울 소재의 초등과학영재학급에 다니는 과학영재아동과 과학우수아동, 일반아동 각 10명을 대상으로 하여 검사를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영재아동은 과학적 지식 영역 중 다양한 선언적 지식을 창출하고 활용함으로서 문제해결의 결과에 영향을 주었다. 둘째, 과학영재아동은 과학적 지식 영역 중 탐구전략에 있어 차이가 있었다. 문제에 제시된 상황을 해석하고 변인 통제된 내용을 감지하며 예상과 실험설계 하는 능력이 우수하였다. 셋째, 과학영재아동은 과학적 기능 영역 중 그림그리기를 통하여 상황을 시각화하여 풀어가려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넷째, 과학영재아동은 확산적 사고와 비판적 사고 영역의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에서 차이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science gifted and general children in solving the unstructured science problem. The science inquiry skill test and the creative scientific problem solving test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ause of the difference. The three unstructured science problems were used for this study to analyze scientific knowledge and scientific skills, divergent thinking, and critical thinking. One of the problems which is questioned in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he creativity contest is adapted to the purpose of the study. There are two other problems that are adapted to be used on. 'The science inqury skills test' was Gweon Jae-sul & Kim Beom-gi(1994)'s inventory and 'the creative science problem solving test' was Lee Kyoung-sook(2004)'s inventor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students in three groups. 10 science gifted children, 10 science good children and 10 general childre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cience gifted children were used to a varied declarative knowledge of scientific knowledge, so this effected the problem solving results. Second, the science gifted children got more points in the inquiry of scientific knowledge. They were great in understanding the information presented, detecting controlling variables, expecting results and designing experiments. Third, the science gifted children were trying to visualize the situation by drawing from scientific skills. Fourth,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the science gifted and general children was found in the aspect of adaptability, originality and precision.

      • 성인 남성 근로자의 체중감소행동 단계에 따른 건강신념변수 분석

        수정 성신여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영양 과잉과 운동 부족으로 날로 늘어만 가는 성인 남성 비만인구가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한민국 성인 남성 근로자의 체중감소 행동을 단순한 수행-비수행의 이분화 된 관점으로 보지 않고 일련의 변화의 단계가 있음을 전제로 하고 체중감소 행동을 설명하는데 있어 단계적인 변화모형의 타당성을 조사한다. 그리고 인구 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체중감소 행동에 관한 비교 연구하고, 체중감소 행동 단계에 따른 건강신념 변수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를 비교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서울●경기 및 충청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성인 남성 근로자 500명을 대상으로 2008년 2월 20일 부터 3월 10일 까지 설문지를 배부하여 480부가 회수되었고, 이 중 불충분하게 기재되어 있거나 응답하지 않은 문항이 있는 경우를 제외한 총 411부가 본 연구의 자료로 사용되었다. 연구의 자료 분석은 수집된 자료는 SAS(Version 8.1 Window 용, Cary, NC, USA)를 이용하여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빈도, 백분율로 산출하였고, 체중 감소 조절 행동에 따라 건강 관련 행동 습관을 분석하기 위해 x²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체중 감소 조절 행동과 BMI, 식생활 실천도 및 건강 신념 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ANOVA)을 하여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 경우 사후 검증 방법으로 Scheffe 검증을 하였다. 연구의 도구로 객관적인 비만도를 측정하기 위해 체질량 지수(BMI)를 사용하였고, 건강관련 식생활 습관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2006년 보건복지부에서 제정한 ‘한국인 성인 식생활 실천 지침’에 준하여 설문항목을 만들었다. 건강관련 생활습관 및 체중감소 행동을 측정하기 위해서 질병관리 본부 유전체 역학 조사의 지침에 준하여 설문항목을 만들었으며, 체중감소 행동 의견에 관해서는 본 연구자가 건강신념 모델을 적용하여 만든 질문항목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30대 45.5%, 40대 23.6%, 20대 18.5%, 50대 이상 12.4% 순으로 나타났고, 학력은 대졸 이상 52.3%, 고등학교 또는 전문대 졸 44.0%로 대부분이었다. 결혼여부는 기혼 69.6%이 미혼 29.7%보다 많았고, 경제적인 월 평균 수입은 200만원 이상 300만원 미만 30.2%로 가장 많았고, 400만원 이상 26.0%, 200만원 이하 25.1%, 300만원 이상 400만원 미만18.7% 순으로 나타났다. 직업특성은 전문직과 사무직 61.7%과 서비스업과 기술직 29.4% 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건강관련 생활습관의 특성은 음주습관, 흡연습관, 일상생활 운동 습관, 직업 관련 신체활동 습관으로 세부적으로 특성을 분류하였다. 음주습관은 현재 술을 마시는 경우가 77.6%로 가장 높았다. 흡연습관은 현재 담배를 피우는 경우 40.4%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담배를 전혀 피우지 않았던 경우가 34.1%로 나타났다. 일상생활 운동습관은 일주일에 한 번도 하지 않는 경우 50.9%가 그렇지 않는 경우 보다 많았다. 직업 관련 신체활동 습관은 가벼운 신체활동 37.0%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으로 중간 신체 활동이었다. 연구 대상자의 신체 계측 특성은 평균 신장은 173.0cm, 평균 몸무게는 72.2kg, 평균 체질량 지수(BMI)는 24.1kg/m²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 대상자의 체중감소 행동 단계 분포를 파악하면 고려 전 단계 54.0%로 가장 많았고, 유지단계 19.7%, 준비단계 17.3%, 행동단계 4.7%, 고려단계 4.4%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고려단계와 준비단계의 분포가 적기 때문에 행동을 바꿀 의향이 있는 단계인 고려단계와 1개월 이내에 행동을 바꾸려는 의향이 있는 준비단계를 묶어 구분지었다. 또한 행동단계와 유지단계의 분포가 적기 때문에 행동을 바꾸기 위해 노력하며 실천하고 있는 단계인 행동단계와 장기간 행동을 수정하고 있으며, 이러한 행동변화를 유지하며 이전 행동으로 퇴보하지 않도록 노력하는 단계인 유지단계를 묶어 구분지어 본 결과로 고려 전 단계 54.0%, 고려&준비 단계 21.7%, 행동&유지 단계 24.3%로 나타냈다. 셋째, 연구 대상자의 체중감소 행동 단계에 따른 인구 사회학적 특성 비교, 건강관련 행동습관, 체질량 지수, 식생활 실천도 및 건강신념으로 구분지어 분석한 결과, 인구 사회학적 특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건강 관련 행동 습관 특성에서는 일상생활 운동습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행동&유지 단계에 있는 성인 근로자는 일주일 동안 3번 이상의 운동을 하는 경우 47.0%로 가장 많았다. 체질량 지수(BMI)에서는 체중 감소 행동 단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따라서 성인 남성 근로자의 체질량 지수(BMI)는 체중 감소 행동 단계에 따라 의의 있는 차이가 있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연구 대상자의 전체 식생활 실천 정도의 경우 행동&유지 단계가 가장 높았고, 고려 전 단계 , 고려&준비 단계 순으로 나타났고, 식생활 실천 하위 문항에서 체중 감소 행동 단계에 따라 차이가 있는 알아본 결과 [튀기거나 볶은 음식을 적게 먹습니다], [운동은 1회 30분 이상, 1주 3-4회 이상 실천합니다], [생활 속에서의 신체활동을 늘립니다], [건강 체중을 유지 합니다] 문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건강 신념의 차이는 인지 장애는 집단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인지 이익, 인지 민감성, 인지 심각성, Cue to action에서 집단 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통해서 성인 근로자 남성의 체중감소 행동의 단계에 따른 건강 신념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성인 남성 근로자의 체질량 지수(BMI)는 체중감소 행동 단계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성인 남성 근로자의 체중감소 행동에 관한 단계적인 식생활 프로그램이 만들어 진다면, 건강신념에 대한 식생활 실천 강도가 높아질 것이다. 또한 성인 남성 근로자의 체중 감소 행동에 관한 건강 신념에 관한 교육, 비만 예방 및 관리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In today's society, the population of obese men has become a social problem with the growing increase of excessive nourishment and lack of exercise. For this reas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making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weight loss behavior regard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and on the noticeable differences in the health belief variable regarding the stage of weight loss behavior. From February 20 to March 10, 2008, 500 adult male workers were subjected to the survey living in Seoul, Gyounggi, and Choongcheong province and 411 papers were recollected and were applied to the analysis and the statistical data were derived by the help of the SAS Version 8.1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of the survey were mostly in their 30s and they were 173.0cm, 72.2kg, and had a BMI of 24.1kg/m2 in average. 69.6% of the participants were married, and 52.3% obtained at least a bachelor's degree. 67.1% were engaged in professional work and office work and there were a lot of responses with a monthly income between 2 million and 3 million won. Moreover, among the participants, 77.2% were currently consuming alcohol and there were numerous cases of smoking cigarettes. 50.9% answered to have no leisure time physical activity. Among the work-related physical activity, mild physical activities ranked the highest. Second, this research distinguished and examined the distribution of stage of weight loss behavior, compar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analyzed health behavioral characteristics, Body Mass Index (BMI), the practice of eating behavior, and the health belief. As a result, the distribution of stage of weight loss behavior was classified into precontemplation stage, contemplation & preparation stage, and action& maintenance stag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did not show much statistical relevance. The health behavioral characteristics indicated noticeable differences in exercising habits. In terms of BMI, there were statistically noticeable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the stage of weight loss behavior. (p<0.001) Thus, it can be said that the BMI of a male worker significantly vary with the stage of weight loss behavior. With the case of the level of practice of eating habits, the action & maintenance stage ranked the highest, then precontemplation stage, and finally the contemplation & preparation stage. Furthermore, regarding the differences in health beliefs, there were not a lot of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terms of perceived barriers but showed noticeable differences in the perceived benefits, perceived susceptibility, perceived severity, and cue to action Therefore, thisresearch indicated the differences in health beliefs due to the stage of weight loss behavior in adult male workers. In addition, it also helped conclude that the BMI of a male worker can vary in compliance with the stage of weight loss behavior. If there is a program about the stages of eating behaviors regarding the weight loss behavior of adult male workers, the level of practicing eating behaviors will definitely increase. Moreover, a special program is necessary to provide education about health beliefs on weight loss behavior of male workers and to prevent and treat obesity.

      • 기독대학생의 하나님 이미지와 우울과의 관계

        수정 한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기독대학생의 하나님 이미지와 우울에 대해 살펴보고 이러한 하나님 이미지와 우울과의 관계는 어떠하며 성별,학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또한 하나님 이미지와 관련성을 나타내는 우울의 하위 요인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P지역 H대학생 286명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하나님 이미지 측정도구 Lawrenc(1997)의 하나님 이미지 척도(God Image Scale) 4점 척도로 평가하는 자기 보고형 검사도구를 황혜리(2003)가 번안한 72문항과 Gorsuch(1968)가 개발한 하나님 이미지에 대한 형용사 척도를 박민수(2000)가 사용한 것을 사용하였다. 우울의 측정 도구는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Beck,1967)를 이용호와 송종용(1991)이 번안한 것을 기초로 보완, 수정한 노은여(1997)의 것을 사용하였다. BDI는 원래 우울증의 진단용으로 고안된 것이나 정상인의 우울상태도 잘 반영하는 것으로 밝혀져 본 연구에서도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Statistics Package Social Science)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사용한 주요 통계 방법은 하나님 이미지와 우울이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T-test(검증)을 사용하였고 하나님 이미지와 우울이 학번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One-way ANOVA(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하나님 이미지와 우울의 상관을 알아 보기 위하여 Correlation(상관계수 분석)에서 Pearson 상관계수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첫째, 하나님 이미지와 우울은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나님을 많이 체험하고 긍정적으로 바라볼수록 소속감, 선함, 통제감의 하나님 이미지가 높고 우울의 정도가 낮다고 할 수 있다. 둘째, 개인변인(성별,학년)에 따라 하나님 이미지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나 우울의 관계에서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라 하나님 이미지와 우울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하나님 이미지의 하부요인 자비는 P<.0.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Jessie J 가창 테크닉 분석 : 앨범『Who you are』의 수록곡「Do it like a dude」,「Price tag」,「Who you are」를 중심으로

        수정 가톨릭관동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15

        Since the industrialization in the 19th century, the popular which has enjoyed by the public commercially has made remarkable progress infused with culture and art. In the course of the change, the vocal technique has also undergone many changes in line with the mainstream pop music of the time. However, the technique is difficult to study in the academic sense, especially in expressing in words. There are not many kinds of literature in the field. Even if there is, the existing literature are out of date and it is difficult to find the studies on the contemporary vocalists. However, it is important to analyze the vocal techniques of the contemporary vocalists which influence the popular music. Therefore, I examined the vocal technique of a contemporary English vocalist Jessie J who has an excellent vocal technique as well as musical ability to find out the contemporary vocal technique. In this paper, I analyzed the artist’s unique ad-lib pattern, melisma, articulation, and phrasing technique. In addition, the different vocal techniques in relation to the lyrics and its functions. Jessie J has proved her musical talent and gained popularity producing music in many genres including pop, R&B, and soul. She has received many prestigious music awards. Moreover, she is becoming an iconic figure with her unique vocal technique and vibrato. For this paper, I selected three of her songs in a different genre to compare her vocal techniques in each genre. The trendiest vocal technique was analyzed in the contemporary sense. Through this study, I found out that Jessie J had different articulation and melisma in a different genre. I hope that this study would be utilized for future researchers in practical music as there is lack of data in this area. In addition, I wish further research and analysis on the vocal technique be continued.

      •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간의 관계

        수정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375

        한글초록:본 연구는 어머니의 배경변인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행동의 차이와 유아의 성별에 따른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의 차이 여부를 각각 알아보고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자기 조절능력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규명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유아기 자녀를 가진 부모를 대상으로 바람직한 자녀관계를 형성하고 유아의 자기조절발달 증진을 위한 올바른 이해와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하여 가정 및 유아교육현장에서 효율적인 유아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배경변인(연령, 학력, 취업유무)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유아의 성별에 따른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넷째,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5세 유아의 어머니 19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을 묻는 두 가지의 질문지는 어머니가 직접 작성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사도구로 어머니 양육행동 측정도구는 홍계옥(1994)이 번안하여 개발한 IPBI(Iowa Parent Behavoir Inventory: Mother Form)를 사용하였으며,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측정도구는 이정란(1989)이 개발하여 다시 수정, 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은 SPSS WIN 10.0으로 처리하였으며, 신뢰수준 95%에서 검증하였다. 유아와 어머니의 배경변인별 특성에 대한 분석을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어머니의 배경변인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성별에 따른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의 차이를 각각 검증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으며,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의 관계에 대한 분석을 위하여 피어슨의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배경변인(연령, 학력, 취업유무)에 따른 양육행동의 차이에서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통계적으로 어머니의 연령이 낮고 학력이 높을수록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따라서는 달라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성별에 따른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의 차이에서는 자기점검의 경우 전체적으로 여아가 남아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통제는 전체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하위요인 중 행동억제의 경우 여아가 남아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자기조절 능력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으며,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의 하위요인 모두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높을수록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어머니의 합리적 지도와 애정성이 유아의 자기점검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으며, 어머니의 애정성이 유아의 자기통제능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인격형성과 사회화 과정에 중요한 기초가 되는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을 형성하는데 어머니의 관심과 참여를 증가시키며, 교육기관에서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의 중요성에 대한 부모교육의 활성화 방안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기대된다

      •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직업이미지가 직업존중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수정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375

        As the concept of self-esteem has already taken up a significant part of individual well-being and identity(Shin, 2022), the need to study self-esteem in relation to the workplace or job, which accounts for the largest part of the daily life of office workers has been raise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flight attendant, based on previous studies that socially positive job image was formed through internal and external components such as appearance and attitude(Lee, 2009 ; Min, 2013), it was intended to empirically find out how the job image of flight attendant affects job-esteem and self-esteem. Through this, the purpose is to evoke job-related values to students who wish to pursue a career as flight attendants as well as former and current flight attendants, and to shed light on the importance of internal image as well as external job image of flight attendant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research hypothesis was established to empirically analyze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image, job-esteem, and self-esteem of flight attendant,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incumbent Korean cabin crew of domestic and foreign airlines to verify the hypothesis. A total of 296 responses from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Google Online Form for 31 days from March 1 to March 31, 2022 were used for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used to perform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frequency analysis using the SPSS 22 statistical program,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measurement variables and the Cronbach's alpha coefficient was calculated.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reveal the correlation between factors. In additio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the AMOS 21 statistical program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measurement items, and the research hypothesis was verified by conduc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ach constituent concept was identifi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performing factor analysis on the job image of flight attendant, the job image was classified into four sub-factors: 'well-equipped global manners', 'desired job', 'likable image', and 'frequent travel opportunities'. Second, among the occupational images of flight attendant, 'well-equipped global manners’ and ‘likable imag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elf-esteem. Third, among the job images of flight attendant, 'desired job' and 'likable imag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job respect.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job-esteem of flight attendant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elf-esteem. Final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job-esteem in the influence of flight attendant’s job image on self-esteem, 'desired job' showe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an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likable image'. As described above, the causal relationship was investigated how the job image of flight attendant affects job-esteem and self-esteem. Through these results, it is hoped that the importance of students wishing to pursue their career as flight attendants and current flight attendants will be awakened and meaningful implications will be presented to the airline's department in terms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Keywords : flight attendant, job image, job-esteem, self-esteem 자아존중감이라는 개념이 어느새 개인의 안녕과 정체성에 상당 부분을 차지하게 됨에 따라(신재현, 2022), 직장인의 일과 중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직장 또는 직업과 관련하여 자아존중감을 연구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특히 항공사 객실 승무원의 경우, 면대면 업무가 주를 이루는 서비스직임에도 불구하고 용모나 태도 등 내·외적인 구성요소를 통해 사회적으로 긍정적인 직업 이미지가 형성되어 있다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이용덕, 2009 ; 민정원, 2013), 항공사 승무원의 직업 이미지가 직업 존중감과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밝혀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전·현직 승무원은 물론 항공 승무원으로의 진로를 희망하는 학생들에게도 직업 관련 가치관을 환기하고, 승무원의 외적인 직업 이미지뿐만 아니라, 내적 이미지의 중요성 역시 조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항공사 객실 승무원의 직업 이미지와 직업 존중감, 그리고 자아존중감의 영향 관계를 실증 분석하고자 연구 가설을 설정하였고, 가설 검증을 위해 국내·외 항공사의 현직 한국인 객실 승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022년 3월 1일부터 3월 31일까지 31일간 구글 온라인 폼을 통해 수집한 자료 중 총 296부의 응답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인구 통계적 특성과 빈도분석을 수행하는 데에 사용하였고, 측정변수의 타당성 및 신뢰성 확인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Cronbach’s alpha계수를 산출하였다. 요인 간 상관관계를 밝히기 위해서는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AMOS 21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여 측정항목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하였고,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연구 가설을 검증하고, 각 구성개념 간의 인과 관계를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항공사 객실 승무원의 직업 이미지에 대한 요인분석을 수행한 결과, 직업 이미지는 ‘글로벌매너겸비’, ‘선망의직업’, ‘호감이미지’, 그리고 ‘잦은여행기회’의 4개 하위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항공사 객실 승무원의 직업 이미지 중 ‘글로벌매너겸비’와 ‘호감이미지’가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항공사 객실 승무원의 직업 이미지 중, ‘선망의직업’과 ‘호감이미지’가 직업 존중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승무원의 직업 존중감은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항공사 객실 승무원의 직업 이미지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업 존중감의 매개효과 여부를 분석한 결과, 직업 이미지 중 ‘선망의직업’은 완전매개효과, ‘호감이미지’는 부분매개효과를 보여주었다. 이상으로, 항공사 객실 승무원의 직업 이미지가 직업 존중감과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인과 관계를 규명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현직 승무원 및 항공 승무원으로의 진로를 희망하는 학생들이 직업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가질 수 있도록 그 중요성을 환기하고, 인적자원관리 측면에서 항공사의 해당 부서에도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주요어 : 항공사 객실 승무원, 직업이미지, 직업존중감, 자아존중감

      • 웹을 이용한 기술·가정과 교수용 소프트웨어 설계 및 구현

        수정 東新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375

        정보화 시대의 도래에 따라 첨단 ICT이 교육에 도입됨으로써, 전통적인 교육내용과 교육방법 등에 획기적인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정보화 사회의 교육 환경 변화에 대비하고 교육 부문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시행되는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국민공통 기본 교육과정의 기본 교과를 포함한 모든 교과의 수업에서 10%이상 ICT (Information Communication & Technology )활용을 목표로, 각 교과별 ICT 활용 내용을 개발하여 교과서 편찬 시 이를 반영하도록 하고 있다. 이처럼 우리의 의도와 상관없이, 이미 교육현장은 잠정적으로 인터넷을 포함하고 있는 ICT를 교육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법과 그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7차 기술·가정교육 과정에서 ICT을 수업에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법적인 면을 찾아보고자, 다음과 같은 실행과제를 설정하여 실시하였다. 첫째, 기술·가정교과의 특성과 구성요소를 분석하여 기술·가정교과의 내용 중 ICT 수업 적용에 효과적인 교육 내용을 선정하였다. 둘째, 구성요소 분석에 의한 교수용 S/W를 개발하여 제공 함으로써 학습자의 학습력을 기른다. 학생들의 정보화 매체 사용빈도와 활용도를 높이고 기술·가정교과의 수업에 있어 창의적이고 효율적인 효과를 얻기 위하여, 본 연구 프로그램을 실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ICT 수업방식이 전통적인 수업방식보다 흥미와 이해도 면에서 효율적이라는 반응이 85%로 나타나 기술·가정교과에서의 ICT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둘째, 기술·가정 교과의 가정 생활의 설계 단원을 교수용 S/W의 적절한 자료 제시를 통한 실천과제 적용 후, 79%의 학생들이 학습 효과 면에서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함으로써, 교수용 S/W의 활용이 학습과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셋째, 75%의 학생들이 교수용 S/W의 적절한 자료 활용을 통해 자기주도적인 학습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나, ICT을 활용한 수업이 학생들의 학습동기유발과 창의적이고 자기주도적인 학습태도 강화에 도움이 되었다. 본 연구 프로그램의 운영과정에서 나타난 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기술·가정과 수업의 일부 단원에 한정하여 학업 성취도를 분석하여 적용하였다. 따라서 기술·가정과의 전과정을 대상으로 적용한 연구가 수행되어, ICT을 이용한 기술·가정과 수업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검증작업이 필요하다. 둘째, ICT를 활용한 기술·가정수업의 효율적인 교수·학습 방법의 모형을 탐색, 정립하기 위해서는, 교사와 학생이 함께 계획하고, 사고하며 토의하는 과정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 나갈 필요가 있다. 셋째, ICT을 활용한 기술·가정 교과의 수업을 위한 다양한 학습정보 자료가 부족하였다. 따라서 시교육청 단위의 인터넷 학습정보센터 운영으로 풍부하고 다양한 학습정보를 구비하여 교수·학습 활동에 투입된다면, 보다 창의적이고 자기주도적인 학습결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The 7th curriculum, which has begun to be applied starting in 2000, suggests that contents of the use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of each text should be developed and reflected when the text book is compilated, aiming at 10% of the utilization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through an internet in every class. Like this, whether we would intend or not, we should notice that ICT including an internet deeply has come into the school education and is now under the situation to use this educationally.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by suggesting the approach of a teaching on the internet using a variety of materials of a learning and information, to find the method to use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n the course of Technology & Home Economics education in a High school on the basis of the 7th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1.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of the ICT education in the Technology & Home Economics education has been confirmed because the approach of a class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was shown efficiently on understanding the contents of Technology & Home Economics education 2. Through a learning using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interest level of a learning could has been risen and, in the course of solving learning tasks, a creative and self- fulling learning attitude could has been formed.

      • 유치원에서의 어머니 : 교사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수정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7375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와 교사간에 이루어지는 의사소통이 어떠한가를 살펴보고, 어머니-교사 의사소통의 빈도와 의사소통 태도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치원에서 어머니-교사 의사소통시 어머니의 의사소통 빈도는 어떠한가? 2. 유치원에서 어머니-교사 의사소통시 어머니의 의사소통 태도는 어떠한가? 3. 유치원에서 어머니-교사 의사소통시 어머니의 의사소통 빈도와 태도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시내에 위치한 유치원 5곳에 다니는 만 5세 유아의 어머니 277명이다. 어머니-교사 의사소통시 어머니의 의사소통 빈도를 알아보기 위해 Wertheim(1994)이 개발한 부모 의사소통 빈도 질문지(Parent Frequency of Communication Questionnaire)를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의사소통 태도는 Powell(1978)의 의사소통 태도 척도와 Pollman(1983)의 PATCC(Parental Attitude Toward Caregiver Communication)를 Wertheim(1994)이 수정, 첨가하여 제작한 부모용 의사소통 태도 질문지를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Window 용)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Pearson의 단순(bivariate)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제에 대한 어머니와 교사간의 의사소통은 평균 빈도 2.67로 전체적으로 어머니와 교사가 주제에 대해 거의 의사소통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형을 통한 의사소통 빈도는 평균 1.75로 낮은 빈도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와의 의사소통에 대한 어머니의 태도는 평균 3.51로 나타나 일반적인 의사소통에 대한 어머니들의 태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주제별 의사소통 빈도와 유형별 의사소통 빈도 모두 어머니의 의사소통 태도와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냈다. 즉, 주제에 대해 빈번하게 교사와 의사소통 하는 어머니일수록, 또한 유형을 통해 교사와 빈번하게 의사소통 하는 어머니일수록 교사와의 의사소통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others' frequency and attitude of mother-caregiver communication at kindergarten, and to look into how communication frequency relates to communication attitude.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establish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How is mother's frequency of communication toward the caregiver? 2. How is mother's attitude of communication toward the caregiver? 3. How is the relation between mother's frequency and attitude of communication toward the caregiver at kindergart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277 mothers, having 5-year-old children enrolled at 5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and randomly selected. To measure mothers' frequency of communication toward the caregiver, Parent Frequency of Communication Questionnaire, developed by Wertheim(l994), was translated and used for the research tool. To measure mothers ' attitude of communication toward the caregiver, Communication Attitudes Questionnaire, revised and added from Communicative Attitude Scale by Powell(1978) and PATCC(Parenta1 Attitude Toward Caregiver Communication) by Pollman & Weinstein(l983), and finally developed by Wertheim(l994), was translated and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Pearson's correlational interpretation is used to complete the analysi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in general, low communicative frequency between mother and caregiver. The mean for communication frequency was 2.67, and it shows mother rarely communicates with caregiver. Seeing more detail, the most frequently discussed topic was about the child's peer relations at kindergarten, and child's day at kindergarten, child's lunch or snack, child-caregiver relations were rated in order. The mean for communication frequency by different modes or settings was 1.75, showing the infrequent communication. Specifically, the most frequent communication occurred by phone, and, next, during parent visit, during conference, through bulletin boards/written message,

      • 자기표현 향상 및 공격성 감소를 위한 쌀점토 활용 미술활동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수정 단국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375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verify effects on childhood self-expression improvement and aggression reduction by developing artistic activity programs using clay. In particular, it intended to multiply effects through using rice clay safe to eat while considering childhood cognitive development levels.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t developed the program that applies principles of psychological counseling programs and analyzed the satisfaction of parents and professional lecturers. For the analysis, 50 children were picked up to attend the program, the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was applied to implement the program and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self-expression and aggression was analyzed. Besides, an analysis was conducted into detailed characteristics of four participants who demonstrated a striking change during the process. What was used as analysis data included ratings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home room teachers in school for self-expression and aggression, the observation sheet made by a professional program lecturer, video data on activity record and participants' work. Analysis of covariance was carried out with the use of SPSS 20.0. Study findings are shown below. Firstly, factors related to self-expression, such as self-discovery, self-understanding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recognition and improvement, were included as program components through the analysis of preceding research and existing programs. Considering childhood cognitive development levels, the study attempted to offer a chance to observe changes to vocabulary content-based expressions, phonetic expressions and expressions by physical activities among artistic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aggression-related factors included self-esteem, emotion recognition, emotion expression and control and sympathy as well as self-control. Taking childhood social development levels into consideration, it provided a change to observe changes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 aggression and externalizing aggression among artistic activities. A program with 10 sessions in total was finally developed through correction and supplementation after reflecting the preliminary results that applied 3 sessions and validation rating results collected from 9 experts following the initial development of th program. The program was conducted for one or two times per week for 8 weeks before doing a survey of its satisfaction on parents and professional lecturers, which resulted in a high level of parents' satisfaction and relatively low level from professional lecturers. Secondly, the results from controlling the previously measured value and analysis of covariance in order to identify the different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according to whether to attend the artistic activity program using rice clay represented that the average of the experiment group was statistically high in voice and substantive factor among self-expression sub-factors. But, the average of the experiment group was statistically low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factor among sub-factors of aggression. Thirdly,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that worked on the example of four participants who showed relatively much change could see positive changes to self-expression and aggression as the session repeated.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s listed below. Firstly, existing programs were primarily aimed at clinical treatment of those already in crisis or with related disorder when it comes to matters of aggression or self-expression. But,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s it was intended to prevent negative development by developing educational artistic activities for normal children beginning to grow aggression or self-expression. Secondly, the use of rice clay known as a new concept material can bring an additional expectation for a psychological sense of security for material likely to act during the activities.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safe-to-eat material and soft touch can lead to extended applications not only among infants but also intellectual disability groups or the elderly with dementia. Thirdly, the experience in artistic activities with small groups enables professional lecturers and group member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positive and complementary manners. Moreover, this provided grounds for representing positive change in building smooth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y expressing their feeling with confidence. On the other hand, a discussion was made as to limitations of artistic activities using rice clay and its effect verifi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점토를 활용한 미술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유·아동의 자기표현 향상과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특히 유아의 인지발달 수준을 고려하여 먹어도 안전한 쌀점토를 사용하여 효과를 배가시키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심리·상담 프로그램 개발 원리를 적용한 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학부모 및 강사 만족도를 분석하였고, 프로그램에 참여할 유·아동 50명을 표집하고 사전-사후 통제집단 설계를 적용하여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자기표현과 공격성 점수의 집단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진행 과정 중 뚜렷한 변화를 보인 4명의 참여자에 대해 세부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자기표현과 공격성에 대한 유치원 및 학교 담임교사의 평정치, 프로그램 전문 강사의 관찰 기록지, 활동 기록 영상자료, 참여자들의 작품 등을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고 SPSS 20.0을 이용하여 공분산분석 실시하였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와 기존 프로그램들의 분석을 통해 자기표현 관련 요인으로 자기발견, 자기이해, 대인관계 인지 및 개선 등을 프로그램 구성 요인으로 포함하였고 유·아동의 인지발달 수준을 고려하여 미술활동 중 어휘 내용적 표현, 음성적 표현, 신체 활동적 표현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공격성 관련요인으로 자아존중감, 감정인식, 감정표현 및 통제와 공감, 자기조절 등을 포함하였고 유·아동의 사회성발달 수준을 고려하여 미술활동 중 대인관계 공격성과 외현화 공격성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하였다. 프로그램 1차 개발 후, 3회기를 적용한 예비결과와 전문가 9인으로부터 수집한 타당도 평정 결과를 반영 후 수정·보완하여 최종적으로 총 10회기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8주간 주1~2회 간격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학부모와 전문 강사를 대상으로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학부모의 만족도는 높은 것에 비해 전문 강사들의 평가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둘째, 쌀점토를 활용한 미술활동 프로그램 참여 여부에 따른 통제-실험 집단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사전 측정치를 통제하고 공분산분석한 결과에서 자기표현 하위 요인 중 음성 및 체언 요인에 대해 실험집단의 평균이 통계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공격성 하위요인 중 대인관계 요인에 대한 실험집단의 평균이 통계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셋째, 비교적 많은 변화를 보인 4명의 사례를 분석한 결과에서 회기가 거듭됨에 따라 자기표현과 공격성의 긍정적인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프로그램들은 공격성이나 자기표현 문제에 있어 이미 위기에 처해 있거나 관련 장애 대상을 위한 임상적 치료 목적인 경우가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이 연구는 공격성이나 자기표현이 발달하기 시작하는 일반 유·아동을 대상의 교육 목적 미술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부정적 발달을 예방하고자 하였음에 의의가 있다. 둘째, 신개념 소재인 쌀점토를 사용함으로써 활동 중 작용할 수 있는 재료에 대한 심리적 안전감을 부가적으로 기대할 수 있으며 먹어도 안전한 재료의 특성과 부드러운 촉감을 이용하여 영아는 물론 지적 장애군이나 치매노인 등을 대상으로 확대 적용할 수 있다. 셋째, 소집단으로 구성된 미술활동 경험은 전문 강사와 집단원 간의 긍정적이고 상호보완적인 소통을 가능하게 하여 자신감을 갖고 자신의 감정을 표출하여 원만한 대인관계 형성에 긍정적으로 변화를 나타낼 수 있다는 근거를 제공하였다. 한편, 쌀점토를 활용한 미술활동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검증과 관련된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