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꽃을 소재로 한 도자 조형 연구

        송현경 建國大學校 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247631

        While nature is the orign of the art, the art is another nature created through art ist's spiritual world. The laws of nature are amazing and mysterious, and are harmonized and balanced. In the inside of nature's order , the object , what is called flower, is one of the nature things enough for inducing artistic impulse, going together as the material of artistic expression in human being's life, and flower makes human feel mental comfort and is of help in emotions as beautiful color and mild rhythmic form in sight. Because of development in scientific civilization today, people have lost the chances to come in contact with nature. Current life environment , therefore, makes feel of much nostalgia. So I selected flower as material in working which makes a human's unfeeling heart ample, gives beauty and pleasure in sight and mental , and can satisfy everyone's artistic desire. And by reconstructing the form of flower freely, I tried to express creative ceramic sculpture work. For this object , in chapter Ⅱ of theoretical background, I considered nature and art, looked into aesthetic and religious meaning of flower as contempoarry ceramics to understand the study on formative arts of flower. In chapter Ⅲ of producing work, I formed flower in breathing nature to free image in my own way through inside emotion. In the plastic way, I chose coiling producing to ease the expression, I tried to represent splendid and fantastic color as various color by mixing several dyestuff based on low firing enamel. Through all the firing processes, I fired in one thousand degree C(cone06) using electronic kiln. I concluded as followings from the process of working: First, the material of flower came to be suitable for ordered and rhythmic expression in form and color. Second, in the producing process using clay, I had a difficulty in shaping my idea about works but tried to express it as stable in form as possible. Third, what I took pains to display importantly i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flower through producing work was overall volume, surface quality, and splendid and delicate color. So in forming, I gave surface quality by emphasizing dynamic motion and flow of line and did coloring several times repeatedly to obtain splendid and delicate color. Fourth, the subjective modification using clay in producing process enabled internal and essential experience in aesthetic and I could undergo several development by expression consciousness. Flower gave help in the respect of emotion in our life space and got to be medium which decorated given beautiful space richly. I made ceramic work making the object of subjective beauty consciousness and expression my own way, and expect that formalized works will decorate respectively the space exposed to poverty of emotion undergone around us.

      • 초등 사회과에서 NIE를 활용한 지속가능발전교육 실행 연구

        송현경 경인교육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비해 적은 차시 분량, 학습 내용과 자료 부족의 문제를 띠고 있는 현재 사회과 수업을 NIE(신문활용교육)를 활용해 설계, 실행해봄으로써 사회과 수업에 주는 시사점을 찾는 데에 목적이 있다. 현재 5학년 1학기 사회 교과서 2단원 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국토의 소단원 ‘3. 모두를 위한 지속가능한 발전’ 단원의 내용을 분석한 후, 한정된 내용과 자료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NIE를 활용해 문제해결학습모형을 적용한 6차시 수업을 설계하였다. 수업 대상은 파주시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이며 6차시 중 1∼2차시는 지속가능발전 관련 신문 기사 내용 분석 및 지속가능발전의 필요성 알기, 3∼4차시는 지속가능발전 사례 탐구, 5∼6차시는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태도 기르기로 수업 내용을 구성하였다. 1차 수업 실행 과정에서 발견되는 문제점들을 바탕으로 개선 방향을 모색한 후 개선 방안을 적용하여 2차 수업을 실행하였다. 2차 수업은 학습모형의 단계와 학습활동이 부합되게 하기 위하여 소단원 차시별로 문제해결학습모형을 적용하지 않고 소단원의 전체 내용을 문제해결학습 모형의 단계에 적용하는 것으로 변경하였다. 그리고 학습 목표 도달과의 관련성을 고려하여 몇 가지 학습 활동들을 생략 또는 변경하였으며, 학생들의 자료 독해 수준을 고려하여 기사 내용을 쉽게 재구성하였다. NIE를 활용한 지속가능발전교육 실행 연구 과정과 결과 분석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환경 문제가 날로 심각해지고 있는 현재 경제와 환경이 상호 보완적인 관계이고 지속적인 경제 성장이 환경문제와 사회적 불평등 문제의 개선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한다는 점을 교육하기 위해서 사실적이고 다양한 정보가 들어 있는 신문 활용이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이라 할 수 있겠다. 수업 과정에서 학생들은 구체적이고 시사적인 신문 기사를 활용하여 지속가능한 발전의 의미와 필요성, 사례, 실천을 위해 필요한 태도 등을 탐구하였으며 학생들이 작성한 학습 활동지 및 수업 일지 분석 결과, 실제적이고 시의성을 가지는 시사 자료인 신문은 지속가능한 발전 교육을 함에 있어 학습 주제에 대한 관심 유발, 관련 어휘 및 배경지식 습득, 자료 분석 및 활용 능력, 개인적 차원의 의미와 지식 생성 및 실천 의지를 기르는 데에 도움이 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교사는 지속가능한 발전교육 수업에 NIE를 활용함에 있어 신문 자료의 수준과 활용 범위, 학생들의 학습 수준 및 흥미와 관심 등에 대해 사전에 충분히 고민하고 연구해야 한다. 학습목표 도달을 위해 적절한 신문 자료를 수집 및 선별하고 수업에 이를 어떤 방식으로 활용할 지를 연구하고 필요시 재구성하여 적절한 수업 방법과 모형을 구상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학생들이 신문 자료를 접할 때 활동과 자료 내용을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발문 전략에 대해서도 연구할 필요가 있다. 셋째, NIE를 활용한 지속가능한 발전 교육이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사회과 해당 차시 수업으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의 현재와 미래생활에서 지속성과 의지가 내면화되고 계속적인 실천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교육계, 언론계 등과의 연계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교육 내용에 대해 다양한 신문 활용 교육 자료와 체계적인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가 계속된다면 더욱 효과적이고 유익한 지속가능한 발전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 고정희 시의 공동체 의식 연구 : 타자윤리를 중심으로

        송현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고정희 시에 나타난 타자윤리의 변화 양상을 비교하면서 시인이 추구하는 공동체 의식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중심 논의가 될 타자윤리란 ‘주체가 타자에게 지니고 있는 윤리적인 책임감’을 의미한다. 고정희 시는 여성주의, 기독교, 민중 등 다양한 스펙트럼 속에서도 타자에 대한 관심과 주체의 발견을 통해 순환적인 자의식을 형성해 나간다. 본고는 통시적 관점으로 고정희 시에 드러나는 타자윤리를 살펴본다. 주체가 타자의 존재 사실로부터 사유를 시작한다고 본 임마누엘 레비나스의 타자윤리를 방법론으로 삼았다. 고정희의 시세계는 시인이 바라보는 주된 타자의 양상에 따라 크게 초기, 중기, 후기로 나눌 수 있으며 시기별로 다음과 같은 특성이 드러난다. 먼저 초기시는 첫 시집 『누가 홀로 술틀을 밟고 있는가』(1979)부터 『실락원 기행』(1981)까지 해당한다. 이 시기의 고정희 시는 주체의 실존에 대해 진지하게 고찰하고, 실존을 억압하는 부정적 현실에 저항한다. 고정희에게 주체는 다른 사람과 구별되는 개별의 고유성을 지닌 존재이기 때문에, 동일성을 강조해 개인의 고유성을 상실케 하는 폭압적인 정치공동체에 저항하고 그로부터 벗어나고자 한다. 고정희 시는 실존에 대한 탐색 이후 실존을 상실한 타자에게로 눈을 돌린다. 실존을 상실한 타자는 주체의 또 다른 모습이며, 실존을 상실했다는 사실을 아직 깨닫지 못한 자들이다. 이들은 ‘선각자’를 통해 실존에 대한 각성이 이루어지며, 이때의 ‘선각자’는 레비나스가 말하는 타자에 대한 윤리적인 책임감을 지닌 주체이다. 그러나 시에서 ‘선각자’는 결국 폭압적인 권력의 힘에 굴복하여 죽음을 맞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정희 시에서 선각자를 바라보는 타자들은 ‘구원’의 가능성을 얻는데, 그 까닭은 선각자가 지닌 실존의 각성인 ‘열망’이 타자에게 ‘전이(轉移)’되었기 때문이다. 중기시는 『초혼제』(1983)부터 『이 시대의 아벨』(1983), 『눈물꽃』(1986)에 수록된 시편들에 해당한다. 이 시기 고정희 시에서 타자는 폭압적인 권력과 제도 앞에서 시대의 약자이자, 비주류라고 할 수 있는 민중이다. 고정희는 기독교적인 세계관에서 비롯된 연민과 이타적 시선을 바탕으로 이들에 대한 책임의식을 드러낸다. 특히 중기시는 초기시보다 타자와 비판의 대상이 명확해진다. 시인은 개인의 자유를 억압하는 권력과 제도에 대한 비판을 구체화한다. 시인의 이러한 변화는 타자에 대한 시인의 책임감과 더불어 ‘나’와 ‘타자’의 관계에서 비롯된 공동체 의식이 드러나면서 전개된다. 또 민중의 부름에 대한 응답으로서의 책임감은 ‘타자’에게 시인 자신을 투영해 바라보게 한다. 이때 타자에게 반영(反映)된 주체의 모습은 나의 실존을 재발견하는 것과 같다. 이러한 ‘나’와 ‘타자’ 사이의 동질감은 ‘나’와 ‘타자’의 거리의 한계를 불식시키고, ‘나’와 ‘타자’가 하나로 연결되어 있다는 ‘무한성’을 담보한다. 후기시는 『지리산의 봄』(1987)부터 『저 무덤 위에 푸른 잔디』(1989), 『광주의 눈물비』(1990), 『여성해방출사표』(1990), 『아름다운 사람 하나』(1991), 유고시집 『모든 사라지는 것들은 뒤에 여백을 남긴다』(1992)까지로 나눌 수 있다. 후기시는 비주류로서의 민중 가운데서도 ‘여성’ 타자에 집중해 타자윤리를 보여준다. 앞서 중기시에서 윤리적 책임감이 ‘나’와 ‘타자’ 간의 상호성을 배제하고 일방적으로 이루어졌다면 후기시에서는 서로에 대한 친밀성을 바탕으로 상호작용하는 ‘우애’의 공동체로 나아간다. ‘우애’의 공동체는 여성 시인인 고정희가 사회·제도적으로 억압받는 여성 타자들에게 다가가기 위한 친밀성이자, 자기 자신의 실존을 발견하는 것이다. 시인은 여성 타자들에 대한 ‘우애’의 공동체를 ‘자매애’라고 명명하고 있으며, ‘여성운동’에 관한 시들은 ‘나’와 ‘타자’의 관계에서 드러나는 실천적 결과물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후기시에서 억압적인 세력에 대한 타자의 저항은 ‘화합’과 ‘통합’이라는 여성적인 방법의 해결책으로 모색된다. 시에서 ‘화합’과 ‘통합’은 ‘동행’의 모습으로 구체화한다. ‘동행’은 ‘나’와 ‘타자’가 서로 부르는 ‘함께 있음’으로 생성되며, ‘나’와 ‘타자’의 공동의 증거를 통해 확인되는 서로에 대한, 서로를 위한 무한한 움직임이다. 이러한 양상을 살펴보면 고정희의 시에서 윤리적인 책임감을 부여하는 타자의 대상이 ‘내가 아닌 자’에서 ‘비주류인 민중’ 그리고 ‘여성’으로 구체화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주체가 일방적인 응답으로서의 책임감을 보였던 것에서 ‘나’와 ‘타자’가 상호보완적인 책임감을 보이는 것으로 나아간다. 상호보완적인 책임감은 서로 다른 두 대상의 만남으로 결핍을 채우는 화합의 연대를 뜻한다. 이러한 공동체는 다음과 같은 의의가 있다. 첫째, 약육강식을 동반한 수직적인 가부장제 부성 문화의 모순을 극복하기 위한 수평적인 여성 공동체이다. 고정희가 시에서 보여주는 여성성은 친밀함이 바탕이 된 ‘동행’의 이미지와 순환적인 물의 이미지로 나타난다. 둘째, 다양한 문화를 아우르는 포용적인 공동체이다. 고정희의 공동체는 기독교뿐만 아니라 무교, 불교 등 다양한 문화를 받아들이고 시에서 구현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화감이 생기지 않는 것은 시인이 근본적으로 윤리적인 시선을 바탕으로 공동체를 보고 있기 때문이다. 셋째, 고정희가 묘사하고 있는 공동체의 모습이 점차 현실 가능성이 있는 공동체로 나아가고 있다는 점이다. 고정희는 언론인이자, 운동가로서 실제 삶에서도 시에서처럼 사회적인 목소리를 내왔다. 이는 시인이 시 속에서도 여성의 억압된 현실에 대해 실천적인 목소리를 구현하는 동시에 그들이 평등하게 함께 할 수 있는 이상적인 공동체의 모습에 대해 고민해왔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처럼 고정희 시는 짧은 시기에 쓰인 만큼 시인이 천착한 사회문제와 그에 따른 세계관이 촘촘하고 밀도 있게 나타난다. 물론 아쉽게도 시인의 요절로 시에서 드러나는 공동체를 현실 공동체와 비교하기에는 무리가 따르지만, 현실 공동체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시 쓰기를 전개해 나갔다는 데는 충분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As for poems by Ko Jeong-Hee, this study aims at comparing transitional aspects of ethics of the other and examining the sense of community the poet pursues. As a central discussion topic, ethics of the other refers to 'ethical sense of the responsibility the subject has for others'. Poems by Ko Jeong-Hee form recursive self-consciousness through interest in others and discovery of the subject in various spectra of feminism, Christianity and the public. This study reviews ethics of the other in poems by Ko Jeong-Hee in a diachronic perspective. The methodology is based on ethics of the other of Emmanuel Levinas regarding the subject begins to think from the existence of others. The poetic world of Ko Jeong-Hee may be divided into the early, mid and the latter terms according to the main aspect of others the poet views, showing characteristics by period as follows. Firstly, the early poems contain from the maiden collection 『Who is stepping on the wine frame alone』(1979) to 『Travel Account of the Lost Paradise』(1981). In this period, Ko Jeong-Hee examines the existence of the subject seriously and resists to the negative reality suppressing the existence. For Ko Jeong-Hee, as the subject is a being having an individual unique characteristic different from others, she resists to an oppressing political community to emphasize oneness and remove individual characteristics, pursuing to escape from it. She turns her eyes to others who lost the existence after exploring the existence. Others who lost the existence are another image of the subject, never realizing the fact of losing the existence yet. They come to realize the existence through a 'pioneer', and such a 'pioneer' may be interpreted as the subject having an ethical sense of the responsibility for others as mentioned by Levinas. However, 'pioneer' surrenders to the oppressing power and dies eventually in her poems. Nevertheless, in poems by Ko Jeong-Hee, others seeing the pioneer obtain a possibility of 'redemption' as 'desire' of pioneer's awakening of the existence is 'transferred' to others. The poems in mid term contain from 『A Memorial Service for the Dead』(1983) to 『Abel of this Age』(1983) and 『A Tear Flower』(1986). In such period's poems by Ko Jeong-Hee, others are the weak of the age facing the oppressing power and system and the public of the non-mainstream. Ko Jeong-Hee expresses a sense of responsibility for them based on the altruistic compassion and perspective originating from the Christian world view. Particularly, mid-term poems have a clearer object of the other and criticism than the early. She criticizes the power and system suppressing the freedom of individuals more concretely. Such a change of the poet develops with the community spirit from relationship between 'I" and 'others' and with her sense of the responsibility for them. Besides, a sense of the responsibility as response to calling by the public makes 'others' reflect the poet herself. And then, an image of the subject reflected on others is identical to rediscovering my existence. Identity between I and others gets rid of a distance between 'I' and 'others', ensuring 'infinity' connecting each other. The last latter poems contain from 『Spring of the Mt. Jiri』(1987) to 『Green Grass on that Tomb』(1989), 『Tear Rain of Gwangju』(1990), 『Declaration for Women's Liberation』(1990), 『A Beautiful Person』(1991) and posthumous 『Every Thing Disappearing Leaves a Blank Behind』(1992). The latter poems concentrate especially on 'female' others in non-mainstream public and show ethics of the other. In mid-term poems above, ethical sense of the responsibility unilaterally excludes mutuality between 'I' and 'others', while in the latter poems, it proceeds to the community of 'friendship' interacting based on mutual intimacy. The community of 'friendship' is the intimacy for Ko Jeong-Hee, a woman poet to approach female others oppressed socially· institutionally and discover her existence. She calls the community of 'friendship' for the female others 'sisterhood'. Poems about 'feminine movement' also may be regarded as the practical result occurre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I' and 'others'. In addition, in the latter poems, others' resistance to the oppressing power is done by a feminine solution of 'harmony' and 'unity'. Poems embodies 'harmony' and 'unity' as an image of 'going together'. 'Going together' happens by calling and joining of each other between 'I' and 'others'. It is an endless movement for each other identified by common evidence of 'I' and 'others'. As the result of examining these aspects, in poems by Ko Jeong-Hee, it shows that an object of others giving an ethical sense of the responsibility embodies from the 'one excepting myself' to the 'non-mainstream public' and 'women'. Furthermore, initially the subject shows a sense of the responsibility as an one-sided response but proceeds to the complementary one between 'I' and 'others'. A complementary sense of the responsibility refers to the harmonical solidarity filling in the lack through encounter of different two objects. This community has the significance as follows. Firstly, it is a horizontal feminine community to overcome contradiction of the paternal culture of the vertical and patriarchal. In her poems, Ko Jeong-Hee shows femininity as images of 'going together' based on the intimacy and recursive water. Secondly, it is an embracing community integrating various cultures. Her community accepts a variety of cultures including shamanism and Buddhism as well as Christianity, realizing them through poems. Nevertheless, it doesn't cause incompatibility because she sees the community based on the ethical viewpoint. Thirdly, it is a community having a gradual feasibility. Ko Jeong-Hee, a journalist and activist, made a social voice in her real life like poems. It shows that she made a practical voice for the oppressed life of women and pondered upon an ideal community they can go together equally. As such, poems by Ko Jeong-Hee written for a short time show social issues she explored and the resulting world-view of hers more closely and densely. Of course, there is a difficulty in comparing the poetic community with the real community because of an early death of the poet. However, it has significance in that writing a poem was done based on a possibility of the real community.

      • 아줌마들의 초상사진을 통한 여성성 표현연구 : 30~40대 여성중심

        송현경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구배경 대한민국 서울의 변두리 지역 어딘가에 사는 한 여성. 아침과 동시에 4살 된 아가의 보육원 등원, 남편의 식사, 빨랫감과 정리되지 않은 집안, 이들과 하루도 빠짐없이 사투를 벌이고 있는 나는 이 시대의 한 주부이다. 때로는 아침식사를 건너뛰고, 늦잠 자는 하루, 널브러진 집안, 사랑하는 아기, 남편을 위함이 아닌 하루쯤은 나 자신만을 위한 생활은 상상만이 허락한 나는 전형적인 한국의 주부, ‘아줌마‘라 불리는 여성이다. 6년이라는 기혼생활 동안 여자로서의 나는 생리학적 모습이외 ‘아줌마’ 라는 사회적 신분의 낙인과 함께 여성성이 사라져 가고 있음을 느끼고 있다. 자녀와 남편 한 가정을 위한 희생을 강요가 아닌 자발적인 모습으로 변모하는 여성, 이러한 모습은 가시적으로는 출산과 함께 인정할 수밖에 없는 몸의 변화, 내적으로는 생에 가장 여성적인 삶이였던 ‘아가씨‘시절의 모습이성보다는 감성에 따라 행동하고, 직관적으로 사물을 바라보던 성향이 사라짐을 인지하고 있다. 이 과정을 경험하는 모든 여성들은 한국사회에서 ’아줌마’ 로 분류되어진다. 남자도 여자도 아닌 제3의 성의 역할, 억척스럽고, 여성미를 발견할 수 없는 그녀들을 바라보는 사회의 왜곡된 해석이 본 논문 작품의 매개체가 되었고, 그녀들이 가지고 있는 그녀들만의 봉인된 여성성의 표현을 하고자 한다. 자신의 경험 그리고 실질적인 변화 속에 태동하는 나의 모습.. 그 변화를 주도하는 아줌마들.. 대단치도 화려하지도 않은 아줌마에 대한 주제를 정하기에 이르기까지 숱한 고민 속에 되 내이길 수십 번이었다. 그러나 이 아줌마는 한 가정의 구성원이자 사회의 근간인 가정의 주된 인력이기도하다. 시대가 변화하면서 외부환경에 수없이 상처받은 가족 구성원들을 보살펴 주어야 하는 역할에서부터 이제는 사회적 역할까지를 요구 받는 현실 속에 그들의 모습이 어떤 고뇌 속에서 변화되어 왔는지에 대한 공감이 필요해 보인다. 나에게 있어 사진은 사회적 환경과 작가의 의도에 의해 주관적인 해석을 표현할 수 있는 유일무이한 채널이다. 본인은 이 작업을 통해 아줌마가 아닌 여자로서의 그녀들의 이상을 실현하는 것을 시각적인 표현을 통해 증명해 보고자 한다.

      •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안전교육지식과 부모 효능감이 안전실천에 미치는 영향 :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안전교육지식과 부모 효능감이 안전실천에 미치는 영향

        송현경 광주여자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사회복지학과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안전교육지식과 부모 효능감이 안전실천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들을 대상으로 각각 가정에서 경험한 안전사고의 실제를 조사하고, 부모들의 전반적인 양육효능감의 정도, 안전지식 수준이 안전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부모의 양육효능감 정도와 안전지식 수준이 안전실천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한다. 다음과 같은 연구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 말하는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영유아 부모의 안전인식과 부모효능감 및 안전인식 실천의 동향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 연구문제 2. 영유아 부모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안전인식과 부모효능감 및 안전실천의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영유아 부모의 안전교육 인식과 부모 효능감 및 안전교육실천은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에서는 유아기 자녀를 둔 가정의 부모들의 안전사고 실정을 조사하고, 사고가 발생한 사례에 대하여 안전사고 발생 건수, 사고 종류별 발생빈도, 안전사고 발생 대상, 부모의 안전교육 경험 유무, 안전교육을 받은 횟수에 대한 빈도율 등에 대해 분석과 카이제곱 검증을 통해 살펴보았다.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효능감과 안전지식 및 안전실천을 조사하고, 효능감과 안전지식의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Stepwise 회귀분석을 하였다. 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징 중 안전실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자녀의 수가 많을수록 부모의 안전 실천의 정도는 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유의확률에서는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안전사고 경험이 많은 부모일수록 역으로 안전실천의 정도는 낮게 나타났으나, 유의확률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둘째, 부모의 양육효능감이 높을수록 안전실천에 미치는 영향에는 유의미한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의 양육효능감이 높을수록 부모는 안전실천을 잘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양육효능감 중 안전, 건강영역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취학전 자녀를 둔 부모들의 정확한 안전지식에 대하여 설문 조사 결과 38문항 중 정답을 바르게 인식하는 부모는 63.2%, 안전지식을 잘못 인식하고 있는 부모는 36.8%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연구조사에서도 말하는 것과 같이 부모의 안전지식이나 안전실천은 중요하며 이를 위해 추후로 국가나 유아 교육기관의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안전교육을 통한 바른 지식 전달이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 국악공연 관객의 소비가치가 관람태도와 티켓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송현경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국악공연 활성화를 위해 공연을 관람하는 관람객의 소비가치를 가치-태도-행동 모델에 적용하여 가치-태도-행동간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년 이내 국악공연을 관람한 관객을 대상으로 설문으로 진행하여 총 217부를 받아 통계분석을 통해 모델 간 구조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능적 가치, 감정적 가치, 사회적 가치는 모두 관람태도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탐험적 가치는 기각되었다. 또한 관람태도를 매개하여 티켓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따라서 기능적 가치, 감정적 가치, 사회적 가치 모두 관람태도를 매개하여 가치-태도-행동(V.A.B)모델 이론을 입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소비가치 요인들을 토대로 향후 유료관람객 수 증대와 국악공연 활성화 방안 및 기초 자료로 활용되어 국악공연의 질적, 양적인 성장과 다양한 마케팅 전략을 구사할 수 있다는 시사점이 있다. In order to promote Gugak performances,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value and attitude by applying the consumption value of visitors watching the performances to the value-attitude-action model. The result of a study, the structure of the models was verified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by receiving a total of 217 copies from the audience who watched the Gugak performance within a year.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functional value, emotional value and social value had positive effects on audience’s attitude. Although the epistemic value was rejected, the hypothesis that audience's attitude w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Tickets Purchase Intention. Thus, the theory of value-attitude-action(V.A.B) model was demonstrated. In conclusion, Based on the consumption value factors, it is suggested that the quality and quantit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s can be used and various marketing strategies can be used as basic data and measures to increase the number of paid audiences in the future, promote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s.

      • 신석기시대 후.말기 이중구연토기의 전개과정

        송현경 부산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examines the development process of Double-rimed pottery in the latter and last period of Neolithic Age in South Korea. This study classified double-rimmed pottery based on the attributes of the remains. After classifying the attributes concerning the patterns of double-rimmed pottery, the method of the combination on the double-rim, width of double-rim, pottery form and size, the study analyzed the correlations between each of the attribut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ttribute analysis, the pottery form was set as the first criterion and the method of the combination on the double-rim and pottery patterns as the second criterion, thus dividing them into five different types (I-V types). It has been believed that they could be divided into four stages, based on the time-oriented analysis for each type. The first period was predominated by the Itype and belonged to the Late Neolithic Period. The first type was found only in the western Nakdong river interior region and the lower Nakdong river. It was thought to occur in the western Nakdong river interior region, seen from the patterns and the amount of pottery excavated. The second period, the Ⅱ and Ⅲtypes were mostly identified. This was the epoch-making end period. In this stage, the distribution of pottery was confirmed also in the areas outside the water system of the Nakdong River, and the amount of the remains and artifacts increased more noticeably than its previous stage. It was believed that the Ⅱtype was spread to the neighboring areas after its formation with the Ⅰtype in the western Nakdong river interior region. On the other hand, the Ⅲtype was found around the water system of the Nakdong River and was thought to occur on its own under the influence of SugariIItype-pottery in the lower Nakdong riverr and under the influence of the first type of double-rimmed pottery. Meanwhile, in this stage, distribution in small areas was confirmed in the western Nakdong river interior region and the downstream of the lower Nakdong river and the western Sobaek Mountains region. In the third period, the Ⅳtype was mostly found. This was the period when many remains were confirmed in the widest areas. In this period, distribution in small areas shown in the previous period disappeared and the pottery type became standardized as 'Bb' style and short oblique lines. In the fourth period, the number of the remains and artifacts decreased and there were some areas where no remains were found at all. It was thought that this stage was the period of extinction and decline of double-rimmed pottery, in that the abnormal patterns called 'no pattern tendency' emerged in the peripheral areas of the distribution sphere of double-rimmed pottery. In order to investigate how the developmental aspects of such double-rimmed pottery were supported by the factors other than the pottery, the study examined the position of the relics and the aspects of remains and tools. This showed that the relics became smaller-scale at the last period, compared to its previous periods and their mobility became stronger. In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double-rimmed pottery, one could find double-rimmed pottery in the entire southern areas during the second stage, whereas its standardization took place in the third stage, verifying that mobility was on the increase.

      • 폼롤러 운동이 여성노인의 통증, Fullerton 상급균형 및 기능체력에 미치는 영향

        송현경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aimed to explore the effects of a 16-week Foam roller exercise program as an exercise intervention on VAS, Fullerton Advanced Balance scale and functional fitness in elderly women. It was conducted at J senior citizen center in B Metropolitan city, South Korea. A total of 24 subjects were recruited for this research. 12 were assigned to Foam roller exercise group and 12 were assigned to control group randomly. A 60 minute Foam roller exercise was applied to them as the intervention 3 times a week for 16 weeks. The VAS was performed to evaluate overall, neck, waist and knee pain. Fullerton Advanced Balance scale test was performed to measure static balance ability, dynamic balance ability, coordination ability, and position control ability. The Senior fitness test was performed to evaluate upper body and lower body strength, flexibility, dynamic balance & agility, and enduranc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to analyze the research data by using SPSS Version 22.0. Two-way repeated ANOVA was conducted to verify the differences between time and groups, and interaction between time and groups.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t at p<.05. This research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between pre-post measurement among FAB scale items appeared in reaching forward retrieve object, turning in a full circle right and left direction, jump with both feet for distance, walk while turning head and total score for Foam roller exercise group. It also showed that Significant interaction was in reaching forward retrieve object, turning in a full circle right and left direction, stand on one leg, eyes opened, jump with both feet for distance, walk while turning head, restore balance after backward disturbance and total score for Foam roller exercise group. Significant increase between pre-post measurement appeared in upper and lower body strength, flexibility, dynamic balance & agility for Foam roller exercise group. Also,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s in upper body strength, lower body flexibility and cardiovascular fitness for Foam roller exercise group. In conclusion, Foam roller exercise program confirmed the effectiveness on Fullerton Advanced Balance scale and functional fitness though it was a kind of low intensity exercise. This program can be used as an effective exercise intervention to enhance balance ability easily with reasonable price than other activities, prevent falls and maintain Quality of life in elderly women living in a community.

      • 후기 아동 체질량지수(BMI) 변화궤적의 유형과 영향요인 : 한국아동패널 11차~13차(2018~2020) 활용

        송현경 제주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후기 아동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궤적 유형을 확인하고 그 유형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아동의 비만과 건강요인, 식습관 요인의 관련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성장혼합모형(Growth Mixture Modeling)을 활용하여 모집단 내의 이질성을 허용해 하위집단별로 변화궤적을 추정하였다. 또한, 서로 다른 변화궤적 유형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인요인(성별, 이차성징여부), 건강행태요인(수면시간, 좌식여가시간, 실내 신체활동 여부, 실외 신체활동 여부, 즐겨하는 운동 유무), 식습관요인(탄산음료섭취 여부, 인스턴트식 섭취 여부)으로 범주화하여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아동패널(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11차년도(2018년), 12차년도(2019년), 13차년도(2020년)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Mplus 8.0을 사용하여 분석한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후기 아동 체질량지수(BMI)의 변화궤적을 분석한 결과 ‘정상체중 유지(58%)’, ‘과체중 유지(32%)’, ‘비만 유지(10%)’의 세 가지 유형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아동 체질량지수의 변화궤적 유형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성별, 수면시간, 좌식여가시간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남자 아동이 여자 아동보다 ‘정상체중 유지’ 대비 ‘과체중 유지’, ‘비만 유지’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또한, 수면시간이 짧을수록 ‘정상체중 유지’ 대비 ‘비만 유지’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컸으며, 좌식여가시간이 길수록 ‘정상체중 유지’ 대비 ‘과체중 유지’, ‘비만 유지’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본 연구는 후기 아동 체질량지수의 변화를 종단적으로 살펴보았으며 변화궤적의 이질성을 실제 자료에서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정상체중 유지 유형과 비교했을 때 성별, 수면시간, 좌식여가시간에 따라 과체중 또는 비만이 될 가능성이 달라졌다. 따라서 이를 바탕으로 향후 아동 비만 예방 교육 시 여자 아동보다 남자 아동에 초점을 두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또한, 아동에게 적절한 수면시간과 좌식여가시간을 갖도록 지도가 필요하며 시간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는 후속연구를 통해 규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ype of change trajectory over time in the late Child Body Mass Index (BMI) an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the classification of the type. Through this, we trie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health factors, and eating habits factors in children. As an analysis method, the change trajectory was estimated for each subgroup by allowing heterogeneity within the population using the Growth Mix Modeling. In addition,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y categorizing factors that affect the classification of different types of change trajectories into individual factors (gender, secondary characteristics), health behavior factors (sleep time, sitting leisure time, outdoor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In this study, data from the 11th year (2018), 12th year (2019), and 13th year (2020)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were used for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nalyzed using Mplus 8.0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rajectory of changes in the later child body mass index (BMI),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three types: "normal weight maintenance (58%), "overweight maintenance (32%), and "obesity maintenance (10%).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classification of trajectory types of changes in the child body mass index, gender, sleep time, and sedentary leisure time were found to have an effect. By gender, male children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maintain overweight" and "maintain obesity" groups than female children. In addition, the shorter the sleep time, the more likely it was to belong to the "maintain obesity" group compared to "maintain normal weight," and the longer the sitting leisure time, the more likely it was to belong to the "maintain overweight" and "maintain obesity" group.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longitudinally examined changes in the late child body mass index and confirmed the heterogeneity of the change trajectory in actual data.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ossibility of becoming overweight or obese changed depending on gender, sleep time, and sedentary leisure time compared to the normal weight maintenance type. Therefore, based on this, it suggests the need to focus on male children rather than female children in future childhood obesity prevention education. In addition, guidance is needed to ensure that children have appropriate sleep time and sedentary leisure time, and specific discussions on time are expected to be clarified through follow-up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