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산 웨이블릿 변환과 퍼지 추론을 이용한 강인한 영상 워터마킹 알고리즘

        송학현 목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박사

        RANK : 248639

        지식정보사회의 기반을 이루는 정보통신 네트웍, 정보처리 기술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기술을 중심으로 발전하여 왔고, 초고속 정보통신망을 기반으로 하는 컴퓨터, 방송, 인터넷 기술의 융합으로 멀티미디어 콘텐츠 산업이 핵심 산업으로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제작·유통 및 관리체계에 있어서 디지털자료의 특성상 무한정 복제 및 해킹을 통한 손상 등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으며, 이러한 디지틸 지적재산권보호 문제들을 극복 하기 위한 수단으로 디지털 워터마킹 기술이 연구되어 왔다. 디지털 워터마킹 기술은 저작권 정보, 구입자 정보 등 저작권 보호에 필요한 정보를 디지털 콘텐츠에 삽입함으로써, 삽입된 워터마크가 의도적 혹은 비의도적 공격에 대해서 제거되지 않도록 강인성과 비인지성 및 소유권 분쟁시 소유권을 판별할 수 있는 명확성이 필요한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워터마크 추출시 원영상이 필요 없는 퍼지 추론을 이용한 이미지 적응 주파수영역 기반의 디지털 워터마킹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법은 워터마크를 인간 시각에 덜 민감한 영역에 더 큰 가중치를 가지고 삽입함으로써 강한 워터마크가 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전체적으로 워터마크 암호화, 워터마크 임베딩, 추론 시스템, 워터마크 추출 등 4개로 블럭화한 알고리즘으로 구성하였다. 주파수영역 워터마킹 기법으로 원영상을 이산 웨이블릿 변환을 수행한 후, 인간시각에 덜 민감한 계수 분포를 분석하였고, 이산 웨이블릿 변환 계수 값들의 통계적 특성을 계산하여 인간의 시각특성 모델과 통계적 특성을 갖는 파라미터를 선택하였다. 최적의 계수분포 대역을 구하기 위해 규칙기반의 퍼지 추론 시스템을 설계하였으며, 추론시스템의 퍼지 입력변수는 인간의 시각특성 모델과 공간영역의 통계적 분포특성을 이용하였다. 추론 시스템의 출력 결과, 워터마크가 삽입될 수 있는 최적의 계수 블럭들이 선정되었고, 계수분포에 따른 적응적 워터마크를 삽입한 후, 다양한 공격 유형을 적용하여 강인성 평가실험을 수행한 결과, 제안한 방법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The knowledged-based information society is made of information technology, hardware and software. The development of broadband network has brought new developments in the digital contents industry. However, it has also allowed illegal creation, capturing, circulation, hacking, and unlimited copying of digital contents. For these reasons information security is now an important issue in real field.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and digital watermarking (DW) technology provides copyright protection for intellectual property in digital format. In order to protect rights-managed data, digital watermarking is an identifying characteristic of a picture, audio, clip, logo, or other piece of digital media undetectionable to human eyes. This technology will protect valuable information from intended or unintended attacks. The requirements for a well-designed watermarks are imperceptibility, robustness, unambiguity and etc. well-designed watermark must also have a unique watermark which can be identified the ownership is embedded in the original image, and it will be extracted when needed to prove the copyright. In this dissertation, we proposed four block algorithm, watermark encryption, watermark embedding, fuzzy inference system and watermark extraction scheme based on the human visual system (HVS) It also proposes frequency domain based digital watermarking method that does not require original image (blind) fuzzy inference during watermark extraction. By using discrete wavelet transform (DWT) of frequency domain watermarking method, discrete wavelet transform coefficient value was analyzed, DWT coefficient statistical characteristic was calculated, and human visual characteristic model and statistical characteristic parameter was chosen. In order to select the optimal coefficient, rule based fuzzy inference system was designed, fuzzy inference system's input data, HVS and spatial transform coefficient characteristic was used. Fuzzy inference system results include watermark embedded optimal coefficient blocks which were adaptive to still image. Experiments on data compression, cropping, and noise attack on digital watermarked image were performed and proved that suggested algorithm was robustness, unambiguity and imperceptibility for the digital watermarking.

      • 부탄 및 프로판의 비정상 난류 특성에 관한 연구

        송학현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부탄 및 프로판을 연료로 사용하여 기상 분사 방식의 인젝터를 사용하는 엔진의 형태가 다양하게 연구되고 이를 상용화하여 시판되고 있다. 흡기관 분사 엔진에서 기체 상태의 부탄 및 프로판을 사용하고 있으며 분사 시 비정상 기체 분사 형태로 분사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흡기관 분사 방식의 기체 분사 엔진 시스템에 적용되고 있는 비정상 분사 시스템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부탄 및 프로판을 이용한 비정상 기체 제트 특성에 대해 분사 특성을 측정하고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사 패턴을 측정하기 위하여 부탄 및 프로판의 가시화를 위해 에어로졸 제너레이터를 통과시키고 레이져를 투과시켰다. 가시화된 분사 형상은 ICCD 카메라로 측정하였고, 컴퓨터에 저장한 후에 화상처리 및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사 인젝터의 구동은 디지털 딜레이를 이용하여 delay를 발생시켜 시간별로 거동하는 분사 특성 및 속도를 관측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인젝터 노즐 팁을 직경별로 가공하여 사용하였으며 각각의 노즐 팁에 따라 분사 압력을 변화시켜 인젝터 노즐의 형상과 분사 압력에 따른 분사 특성 또한 고려하였다. 또한 기체분사시 분사 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슬릿 및 원통을 사용하여 분사 특성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노즐 부근에서 노즐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의 슬릿을 사용하여 분사를 통과시켜 슬릿의 직경 및 노즐로부터의 슬릿의 이동거리에 따라 제트가 간섭을 받는 정도를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주위 공기로부터의 유입현상의 효과를 관측하기 위하여 제트 주위에 원통을 적용하여 제트의 거동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분사 도달거리는 기존의 천이 영역을 고려한 모델과 고려하지 않은 모델을 이용하여 전체적으로 예측이 됨을 알 수 있었고, 천이 영역의 거리는 Le/dinj=4.35~19.4 범위로 측정되었다. 제트 주위의 슬릿과 원통을 이용한 실험을 통해 분사 초기에 주위 공기의 유입현상이 활발하게 진행됨을 알 수 있었고, 공기의 유입현상을 제한 받을 경우 제트 거동에도 많은 변화가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슬릿 실험을 통하여 천이 영역 도달 이전의 제트의 직경 등을 파악할 수 있었고, 이로부터 가상 원점의 위치는 x0/dinj=0.56~7.25로 노즐 출구 이후에 위치함을 추정할 수 있었다. 나아가 본 연구를 통해 노즐 직경 및 분사 압력에 따른 최적화된 분사 모델을 제시하여, 흡기관 분사 엔진의 기상 인젝터 설계에 있어 유용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고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