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효과적인 음악감상 지도법 연구 : 고등학교 음악교육 중심으로

        송진아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고등학교 음악 감상 교육을 이해를 수반한 음악의 향수라고 한다면 학교 음악 교육에서 음악에 관한 학습은 감상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인 교육현장에서의 음악 연구가 바람직하게 교육목적에 따라 이루어지려면 노래하기(가창)와 기악, 창작, 감상 영역이 똑같이 통찰되어야만 한다. 본 연구는 음악 감상이 학생들의 학습동기를 높여주는 매우 중요한 방법이라는 생각과, 학생들이 음악을 사랑하고 그들의 정서를 순화시키는 것이 중요한 목적이라는 생각 아래 연구를 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효과적인 음악 감상 지도의 방법을 발전시킴으로써 균형 잡힌 교육을 하는 데에도 있고, 이는 기초적인 음악훈련을 해줌으로써 신장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전의 연구를 통한 이론적인 배경들을 참고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관점에 중점을 두었다. 첫째, 음악 감상을 정확하게 지도하기 위해서 교사로서 알아야만 하는 기본지식인 음악 감상을 익히는 것에 대한 내용을 연구하였다. 둘째, 감상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확대시키기 위해서 프로그램 된 학습 방법에 의한 감상 지도법, 가치 판단하는 능력 등등을 연구하였다. 위와 같이 음악 감상을 진전된 방법으로 지도함으로써 학생들이 순수음악을 즐기게 될 것이라고 믿으며, 감상교육이 좀 더 바람직하게 변화될 것이라고 여겨진다.

      • 여행자의 윤리적 소비행동이 공정여행 인식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송진아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전 세계적인 기후변화의 위협, 자연자원의 감소, 심각한 사회·경제적 불평등으로 기업과 개인은 자연적, 사회적, 경제적 환경이 자신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이러한 현상으로 인하여 윤리적인 소비에 대한 수요와 관심이 증가하게 되었다. 여행산업 또한 이러한 흐름에 맞춰 관광의 부정적인 영향의 대안으로 친환경 적이고 지속가능한 관광을 실현하기 위한 공정여행이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공정’은 올바르고 공평함을 의미하며, 이를 무역과 사회현상, 여행에 적용한 것이 공정무역, 공정사회, 공정여행으로 이제 ‘ Fair’는 많은 사람들의 관심의 대상이며, 트랜드라고 할 수 있다. 공정여행은 현지의 환경과 문화존중, 그리고 부의분배를 포함하여, 여행자, 지역사회, 관광산업이 각각의 책임있는 행동을 통해 공정한 관계를 실현하는 여행의 방법으로 여행에서의 윤리적 소비라고 할 수 있으며, 이는 대량관광이 만들어 놓은 사회적·경제적 문제의 해결해 나아갈 수 있는 미래 지향적인 여행의 형태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현재 관광분야에서는 여행자의 윤리적 소비행동 즉, 공정여행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윤리적인 소비행동은 여행자의 소비행동에도 적용 되어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여행자들의 윤리의식을 높이고 아직은 인지도가 낮은 공정여행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며, 윤리적 소비행동과 공정여행의 인식, 공정여행 구매의도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은 공정여행의 초기 시점에서 앞으로의 발전방향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요인이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여행자의 평소 윤리적 소비행동이 공정여행에 대한 인식과 공정여행 구매에 영향을 미치며, 공정여행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것이 공정여행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판단하여 실증적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여행자들의 윤리적인 소비행동의 중요성과 공정여행 인식향상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나아가 공정여행에 대한 개인과 관련산업의 관심과 참여를 촉진 시키고자 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하여 실증조사에 필요한 윤리적 소비행동과 공정여행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였고, 여러 분야의 규범적 논의와 실증연구를 토대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으며, 총 6개의 가설을 설정하여, 1번 이상 해외여행 경험이 있는 여행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증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과 의의를 도출하였다. 먼저, 윤리적 소비행동이 공정여행을 인식하고, 공정여행을 구매하는 것에 영향관계를 밝힘으로써 윤리적 소비행동의 중요성이 검증되었다. 따라서 윤리적 소비행동의 혜택은 동시대의 우리 뿐 만 아니라 후손들에게까지 돌아갈 수 있음을 인식하게 하고 다양한 실천방법의 제시를 통해 윤리적 소비행동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여행자의 평소 윤리적 소비행동이 여행에서의 사회적 책임까지 연결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행은 서비스 산업의 일환으로 일상을 벗어난 일탈로 의식되어 윤리적인 소비행동 보다 개인의 즐거움과 욕구 충족이 우선시 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앞으로 공정여행 또한 일반적인 소비와 마찬가지로 사회적 · 환경적 문제들을 해결해 나가는 윤리적 소비행동의 일환으로써 인식 될 수 있는 장치의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셋째, 공정여행이 가지는 특성 중 여행자의 행동 부분만이 공정여행으로 인식 되고 있어 공정여행에 대한 인식 자체가 낮으며, 여행자 즉 개인적인 요인만이 공정여행을 선택하는 요인으로 나타나 공정여행에 대한 인식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 되었다. 앞으로 지역사회는 여행자들이 사회적 책임의식을 가질 수 있는 환경의 조성과 제도적 제반여건을 마련하여 공정여행을 할 수 있는 여행지 제공에 힘써야 할 것이다. 아울러 관광산업은 여행자들이 공정여행을 통해 기존의 여행에서는 얻지 못했던 색다른 만족감을 느끼고 계속적인 공정여행의 참여를 유도 할 수 있는 다양한 공정여행 상품개발에 노력을 기울여야 하겠다. 마지막으로, 공정여행의 구매 이유는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환경을 고려하는 행동의 일환 보다는 개인의 윤리적 신념의 실현인 것으로 나타나 공정여행의 효과에 대한 인식이 부족함을 반영하고 있다. 여행자 스스로가 공정여행을 통해 사회적 · 환경적으로 발생하는 문제들이 개선하고자 하는 의지를 가질 수 있도록 공정여행의 혜택과 효과를 인식 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매체를 활용한 교육과 홍보 아울러, 체험이나 이벤트를 통한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통한 공정여행의 인식 확산은 여행자들이 여행에서의 윤리적 소비, 즉 공정여행을 구매하게 할 것이며, 나아가 새로운 여행문화의 확대로 이어져 대량관광이 야기한 사회적 · 환경적 문제들을 개선하고 해결하는 방법이 될 것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여행의 주체라고 할 수 있는 여행자, 지역사회, 관광산업간의 책임과 역할 확인을 통해 공정여행의 진정한 의미를 부각시킬 필요가 있다. 아울러 공정여행 경험자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공정여행 경험 후의 인식 조사를 통해 성별, 연령, 직업, 지역, 동반자, 여행비용 등에 따라 차별화 된 공정여행 상품을 제안하기 위한 연구가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다.

      • 정보서비스 기능을 고려한 병원보 편집디자인 연구

        송진아 仁濟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급변하는 의료환경 속에서 병원은 생존전략으로서 필수조건인 고객만족이라는 새로운 가치기준의 서비스 개념을 도입하게 되었고, 이는 의료적인 측면뿐 아니라 비의료적인 측면에서도 활발히 적용되고 있다. 의료수요자에게 있어서 병원의 서비스는 병원선택에 중요한 요인이 되기 때문에 병원은 더 이상 의료수요자의 기대나 요구에 대하여 무관심 할 수 없게 되었다. 즉, 모든 계층의 의료소비자의 요구를 다양한 형태의 고객서비스를 통해 충족시켜야 하는 것이다. 의료 환경과 대중들의 의식변화 속에서 병원은 다양한 형태의 매체를 이용하여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그중 병원보(hospital-publication, 이하 원보)는 의료정보를 포함하는 병원문화정보지로서 병원과 환자, 종업원과 경영진 사이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정립과 병원문화형성의 매체로 자리 매김 해가고 있다. 원보를 발행하는 병원이 증가하면서 원보가 병원문화정보지로서의 역할과 기능이 확대되어가고 있는 것과는 달리 현재 원보 편집디자인의 실상은 정체된 듯한 모습을 보인다. 하지만 디자인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과 시각 매체 발달로 인한 대중의 미적 안목 상승으로 특정 목적과 역할이 있는 잡지들이 그 내용만으로 독자를 사로잡던 시대가 지났다는 사실에 비추어 볼 때, 원보도 정보지로서의 기능에 적합하게 효과적인 내용전달을 할 수 있는 편집디자인 분야의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원보 편집디자인의 사례를 분석하여 그 문제점을 발견하고, 동시에 정보소비자에게 원보가 어떤 기능과 역할을 하고 있는지 분석하여 병원문화정보지로서의 기능에 적합한 원보 편집디자인의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원보의 사례는 고대의료원보와 백병원보, 차병원보를 선정하고, 편집디자인을 분석하였다. 고대의료원보는 편집디자인의 무계획성과 그리드의 혼합사용으로 인한 시각적인 산만함이 체계적인 정보전달을 방해하였으며. 백병원보는 그리드를 사용하여 안정된 레이아웃으로 정보전달 측면에서는 우수하였으나, 독자의 시각적인 흥미를 유도할 만한 디자인요소의 부재와 그리드 시스템을 벗어나지 않는 교과서적인 레이아아웃의 반복으로 정보흡인력이 다소 떨어졌다. 차병원보는 전반적인 디자인 계획의 수립과 융통성 있는 그리드 시스템의 활용을 하여 짜임새 있는 레이아웃을 보이고 있으며, 디자인요소를 이용하여 활기 있는 화면을 구성하고 있으나, 상업적 광고와 홍보성 지면이 많아 공익성과 전문성이 결여되어 있었다. 또한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한 결과, 정보소비자에게 있어서 원보가 병원이미지 향상에 매우 높은 영향이 있음이 드러났다. 그리고 원보를 통해서 의료정보를 제공받고자 하는 의지가 가장 강하게 드러나는 반면, 오락성 있는 정보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에 대해서는 냉담한 반응을 보였다. 이것으로 원보가 시각적인 재미를 추구하는 잡지의 성격이 아닌, 의료와 같은 전문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성격의 잡지임이 증명되었으며, 병원관계자와 의료진에게는 소속감과 공감대를 형성하는 정보에 대한 관심이 높아 사내보적 기능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정보지로서의 원보가 그 기능을 다 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디자이너는 원보의 발행 목적과 방향성을 파악하면서 동시에 내용적 측면에서도 정보를 분석하여 그에 따른 총괄적인 디자인 계획을 수립해야 하며, 정보의 종류가 다양한 지면을 디자인 할 때 디자이너는 자신이 설정한 계획을 염두하여 디자인해야 한다. 원보는 병원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발행되는 사보이기에 기능에 따른 편집디자인측면 연구가 필수적일 것이다. 즉, 정보소비자의 상황과 요구를 파악하고, 그것이 반영되는 디자인만이 병원문화정보지로서의 기능을 다 할 수 있을 것이다. With the rapid changes in medical environment, hospitals came to invite the concept of customer satisfaction, whose value is essential in modern service areas, and it is being widely applied in both medical and non-medical ways. As the service of a hospital became a crucial factor in the medical customer's choice, hospitals can no longer look away from that kind of demand. Thus, they should satisfy various kinds of requests with various kinds of services. For one thing, the medical institutions are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 by various forms of media. Among them, the hospital publication, dealing with medical supply and culture is the one whose worth becomes and more valuable in building hospital culture and harmonious communication between doctors and patients, employees and employers. While the roles of hospital publication are getting larger according to the increasing number of hospitals which provide it, current designing mode looks stagnated. However, social concern and public appreciation of design have greatly increased with the development of visual media, and this means that only with the contents, magazines with specific purpose cannot attract readers any more. So systematic study on design of hospital publication is required. In this paper, examples of hospital publication design will be analyzed to reveal the current problems. And in order to present alternative ways of design, the function of hospital publication for information customers will be examined. Publication of Korea University Hospital, Paik Hospital, and Cha Hospital are selected as examples. First, publication from Korea University Hospital showed that visual distractions caused by unplanned design and mixed use of grids disturb the organized conveyance of information. Secondly, Paik Hospital s publication succeeded in effective communication by using stable layout with grid, but failed in attracting readers attention because it had no original design elements and simply repeated conventional layouts with grid. For the last, in the publication of Cha University Hospital were overall design plan has flexible grid use, and attractive design elements, but there was lack of public and professional quality due to too many commercial ads and P.R. pages. According to a current research, hospital publication has great effect on the customer s feeling about the hospital. Besides, people highly expect medical informations but show little interest in entertaining ones. Also, hospital staffs and doctors are especially concerned about those related with hospital unity and agreement. This proves, therefore, that hospital publication has both the quality of a specialized magazine and the role of a inner-company magazine. For its utmost function as an information magazine, designers should understand the purpose of publication, analyze contents to set a general design plan, and keep that in mind while designing complex pages. As hospital publications are under the circumstances of a hospital, studies on design are indispensible to qualify them for it. So only after grabbing the situation and demand of customers and putting them into practice, a hospital publication can be best of its natural purpose.

      • 『에밀』에 나타난 루소의 도덕교육사상 구조에 대한 연구

        송진아 전남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루소가 교육에 관해 집중적으로 서술한 『에밀』의 원문에 근거해 루소가 생각한 도덕교육의 목표는 무엇인지, 그러한 목표를 이루기 위해 어떤 내용을 가르쳐야 하는지, 그러한 내용을 잘 가르치기 위해 어떤 방법을 사용해야 하는지를 추출하여 구조화해 보았다. 그리고 이를 통해 도출된 시사점이 현행 도덕 교과의 교육활동에 제대로 반영될 수 있도록 거시적 측면에서 루소의 도덕교육 관점으로 ‘도덕과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미시적 측면에서 도덕 교과 수업에 적용하기 위한 교과서 내용 재구성 방안을 제안하였다. 루소가 생각한 도덕교육의 목표는 ‘학생들이 자연과 함께하는 교육 환경 속에서 진정한 행복과 자유를 성취하고 도덕적 감정을 발달시켜 타인과 공동체를 위해 행동하는 바람직한 인간이 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라고 파악된다. 또한 그는 도덕교육 내용으로 잘 규제된 자유 속에서 욕망과 능력을 조화시키는 자연의 필연성 원칙, 타인과 관계를 맺는 과정에서 상대방과 비교를 통해 우월감이나 지배욕구가 생기지 않도록 하는 자기애와 자존감, 자기중심적인 것에서 벗어나 적극적인 선행을 실천하게 하는 타인에 대한 동정심, 이성을 통해 인식한 도덕적 지식을 행동으로 옮길 수 있도록 하는 양심, 많은 사람들을 유쾌하게 만드는 것이 무엇인지를 판단해 즐거움을 공유하는 좋은 취향, 이렇게 다섯 가지를 강조하고 있다. 도덕교육 방법의 측면에서 루소는 인간의 발달시기에 따라 서로 다른 두 가지 교육방법을 제시했다. 첫째, 유아기와 아동기를 포함한 소년기에 해당하는 학생들의 선한 본성을 보호하고 사회적 간섭과 영향을 최소화시켜 인간 본성의 자연적인 성향에 따라 자랄 수 있도록 하는 소극적 교육 방법이다. 그것은 구체적으로 ‘서두르는 교육을 하지 마라’, ‘도덕적 관념을 나타내는 말을 사용하지 마라’, ‘경험이 아닌 말로 교훈을 주지 마라’, ‘학생의 흥미와 유용성을 무시한 강제적인 교육을 하지 마라’가 있다. 둘째, 사회적 존재로서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느끼고 지적 이성이 발달하는 청년기의 학생들에게 도덕적 의무를 직접적으로 가르치는 적극적 교육 방법이다. 그것은 구체적으로 ‘감성에 의해서 이성을 완성하라’, ‘타인에 대한 동정심을 느끼게 하라’, ‘학생의 자율성을 충분히 인정하라’, ‘사회적인 덕을 실천하게 하라’가 있다. 루소가 제시한 이러한 도덕교육은 한국의 도덕 교과 교육에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준다. 첫째, 루소는 모든 교육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교육이 바로 바람직한 인간을 형성하는 도덕교육이라는 것을 이론적으로 설득력 있게 제시하므로 한국 도덕 교과 교육의 정당성을 강화할 수 있다. 둘째, 루소는 자기애와 자존감, 타인에 대한 동정심, 양심과 같은 도덕적 감정을 반드시 가르쳐야 할 필수 교육 내용으로 제시하므로 이러한 도덕적 감정을 도덕교육의 핵심 내용으로 반영하는데 도움을 준다. 셋째, 루소가 제시한 도덕적인 행동을 자율적으로 실천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 방법은 도덕 교과의 교수·학습 방법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준다. 루소의 도덕교육 관점으로 ‘2015 도덕과 중학교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격’과 ‘목표’와 관련해서는 루소의 도덕교육이 충분히 반영되었지만, ‘내용’과 관련해서는 도덕적 감정 요소가 충분히 반영되지 않았다. 루소의 도덕교육이 도덕 교과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도덕 교과 교육활동에 적용하기 위해 각 단원의 주제와 관련된 다양한 도덕적 감정을 도덕 교과서 내에서 비중 있게 다룰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각 중단원 도입 부분마다 도덕적 감정을 느끼고 실천해볼 수 있는 기회를 지속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 활동코너를 마련하는 방법으로 교과서 내용을 재구성할 수 있다.

      • 대학생의 사회비교경향성이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송진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academic burnout and to explore the moderating effects of ego-resiliency and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 betwee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academic burnout of undergraduate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50 undergraduate students attending four-year universities located in Daegu, Busan, and Ulsan, Korea.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on academic burnout,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ego-resiliency, and social support.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t-test, analysis of varianc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imple slope analysis, Johnson-Neyman technique were conducted by using SPSS 25.0 and Process Macro v.3.5.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bility comparison orientation affected emotional exhaustion and inefficacy. Opinion comparison orientation affected cynicism. Second, Ego-resiliency moderated the effect of ability comparison orientation on inefficacy. Third, ego-resiliency moderated the effect of opinion comparison orientation on cynicism. Finally, emotional and evaluative support moderated the effect of ability comparison orientation on inefficacy. However, informational and material support had no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parison and academic burnout. In conclusion,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influence of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on academic burnout differs according to the level of ego-resiliency and social support. The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of individual undergraduate students affects the burnout phenomenon, but the level of burnout may differ depending on how they perceive the difference from the comparison targe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go-resiliency and social support can function as an individual variable and an environmental variable that influences the perception of differences with others.

      • 비대면 방사능 재난 및 테러대응 시뮬레이션 학습 플랫폼 설계 연구

        송진아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Covid-19’라 함)는 우리 사회의 전반에 많은 변화를 가져 왔다. ‘사회적 거리두기’의 실천이 강조되며 모든 영역에서 직접적인 만남이 제한되고 IT 기술을 이용한 다양한 방식의 비대면 소통과 교류의 전략들이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시대에 발맞춰 방사능 재난 및 테러대응을 위한 초동대응요원 교육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비대면 방식의 시뮬레이션 학습플랫폼을 제안한다. 국가방사선비상진료센터에서 운영하는 방사능 재난대응 시뮬레이션 ‘SAVE System’의 구성과 내용을 바탕으로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 Communications Technology, ICT)의 빅데이터(Big data)와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혼합현실((Mixed reality, MR) 기술로 시뮬레이션 학습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기관별 임무에 따른 역량 강화 콘텐츠를 설계하였다. 일련의 연구를 통해, 대규모 인원이 한정된 공간에서 정해진 시나리오에 따라 간소화된 실습을 운영하던 기존의 교육을 보완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비대면 방식으로 쉽게 접근하여 스스로 원하는 학습을 반복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콘텐츠를 제시하였다. 이는 현장대응력을 강화하는 시뮬레이션 플랫폼으로써 방사능 재난 및 테러대응 교육을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 발판이 될 것이다.

      • 여행상품 라이브 커머스의 특성, 사회적 실재감, 몰입, 구매의도에 관한 영향 연구 : MZ세대 소비자를 중심으로

        송진아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코로나 팬데믹은 인류의 삶 전반에 걸쳐 위기를 초래하였다. 특히 국가 간, 지역 간 이동이 제한되면서 국제 관광객은 10억 명 이상 급감하였으며 이에 따른 세계 관광업계의 손실 금액은 1조 3000억 달러에 달한다. 우리나라를 찾는 관광객의 숫자 또한 95% 감소하는 등 관광산업은 전에 없던 위기 상황에 봉착해 있다고 볼 수 있다. 최근 백신 보급률의 증가와 더불어 세계 각국이 입국 관련 제재를 완화하면서 다시 여행에 대한 기대감을 갖기 시작하였다. 관광업계 또한 비대면 마케팅을 활성화하고 여행상품의 판매를 가속화할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이에 비대면 라이브 커머스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는 것과 대조적으로 여행상품을 대상으로 하는 라이브 커머스의 경우 현실적인 활성화와는 달리 그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여행상품과 같이 경험재적인 상품들은 구매 시 더 많은 판단과 경험이 요구되고 의사결정 시 정보에 의존하는 정도가 높아 기존의 유형재와는 다르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본격화된 비대면 소비시대에 대응할 새로운 유통 활로로써 여행상품 라이브 커머스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여 소비자들에게 여행상품을 적극적으로 알리고 구매를 촉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비대면 상황에서도 이용자들 간의 심리적 유대감과 감정적 관계를 강화시키는 사회적 실재감의 역할에 주목하면서 라이브 커머스의 특성과 사회적 실재감 간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팬데믹 이후 관광산업의 지속가능성을 좌우하는 주체로 MZ세대를 선정하였다. 이들은 IT관련 환경에 익숙하고 트렌드에 민감하여 여행상품 소비자로서 여행상품 라이브 커머스의 빠른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토대로 여행상품 라이브 커머스의 특성, 사회적 실재감, 몰입, 구매의도 등을 변수로 도출하고 그에 대한 이론을 정립하였으며, 각 변수들의 개념과 실증분석에 적용할 구성요인들을 제시하였다. 또한 위 변수의 영향 관계를 검증할 수 있는 연구 모형을 설계하고 다섯 개의 연구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설문조사의 결과를 토대로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로 아래와 같은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정서적 유대감과 소통은 소비자에게 긍정적이고 편안함을 주는 요소로, 소비자를 유입하고 지속 시청이 가능하도록 하여 구매에 이르게 하는 요소이다. 진행자의 전문성이 소통과 정서적 유대감에 가장 큰 영향력을 보이므로 여행상품과 잘 부합되는 진행자를 만날 때 가장 큰 시너지를 발휘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전문적인 지식과 함께 재치 있는 진행과 소비자와의 소통에 능하고 해당 여행상품의 기획의도와 잘 맞는 진행자의 선정이 중요할 것이다. 또한 이원 생방송과 같은 방식을 채택하여 여행지 현장을 연결하고 즉각적으로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상호작용의 수준을 향상시켜 타 판매 채널과의 경쟁력을 더욱 확보해야 할 것이다. 둘째, 소비자의 편의를 위한 플랫폼과 사용 시스템의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어야 하겠다. 소비자가 여행상품 라이브 커머스 사용 시 어려움 없이 시스템을 활용하고 라이브 커머스의 편리함을 느낄 수 있도록 플랫폼 구축 시부터 소비자의 사용 편의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셋째, 여행상품 라이브 커머스의 경우 여행지 현장에서 방송이 진행되기도 하므로 여행지를 눈으로 직접 볼 수 있는 점은 자체만으로도 소비자에게는 훌륭한 정보 및 콘텐츠로써 작용할 수 있으므로 고품질의 스트리밍을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어야 한다. 넷째, 여행상품 라이브 커머스에서는 보이지 않는 여행의 즐거움과 가치를 소개하고 판매하게 되므로 소비자에게 현장감을 어떻게 전달하는가는 진행자의 주요 경쟁력이 된다. 따라서 라이브 커머스 진행자는 소비자들이 진행자와 함께 여행지의 현장감을 경험할 수 있도록 철저한 사전 준비를 통해 방송 현장을 통제하고 운영할 수 있어야 하겠다. 모바일 화면은 크기가 작아 라이브 스트리밍의 단조로운 영상으로는 한 공간에 같이 있는 것과 같은 현장성을 전달하기에는 부족한 수준으로 향후 라이브 커머스 분야에 IT기술을 접목하여 다양한 영상 연출에 대한 방법을 고안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흥미를 유발하고 재미있게 시간을 보낼 수 있는 오락적 요소의 중요함이 검증되었다. 라이브 커머스는 MZ세대들에게 하나의 콘텐츠로 인식되므로 MZ세대의 취향을 저격할 수 있는 흥미로운 콘텐츠, MZ세대가 좋아할 만한 진행자의 선정을 통해 MZ세대들이 여행상품 라이브 커머스 속에서 즐거운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여섯째, 사회적 실재감은 구매로 연결될 수 있는 중요한 메커니즘으로 MZ세대의 라이브 커머스 이용은 경험과 취향의 공유가 중요한 요소가 되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만나지 않더라도 공존감을 지각함으로써 구매로 연결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MZ세대의 특성을 충분히 고려한 마케팅 방안이 필요할 것이다. MZ세대는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로 온라인에 친숙하므로 관광기업에서는 그들이 좋아하는 영상 콘텐츠, 유튜브 채널 등을 파악하여 MZ세대 소비자들의 호응을 이끌어 내도록 해야 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전 세대로 연구 대상을 확대하여 세대별 차이점을 알아보고, 성향이나 성격 등과 같이 구매의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조절 변수를 대입하여 개인의 특성에 따른 세밀한 마케팅 방안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해야 하겠다. 아울러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는 라이브 커머스의 부정적인 요인들을 탐구하여 문제의 인식과 해결 방안을 위한 연구 및 여행상품 라이브 커머스가 발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지속적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도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팬데믹 상황으로 여행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이지 못한 시기에 진행되었으므로 여행 안전 권역이 충분히 확보된 후 조사대상의 의식변화에 대한 후속 연구도 필요할 것이다. COVID-19 has brought about a crisis human life. In particular, as a mitigation effort by countries and regions became very restrictive, international tourists have decreased by more than 1 billion, resulting in a loss of 1.3 trillion USD to the global tourism industry. In the case of Korea, the tourism industry is facing an unprecedented crisis as the number of tourists visiting Korea decreased by 95%. As the distribution rate of vaccines increased, many countries began to release their entry-related sanctions, and people started to have expectations of travel again. So, the tourism industry is currently preparing the measures to revitalize contact-less marketing and accelerate the sale of travel products. In contrast to active studies on contact-less live commerce, and despite the realistic need for it, there has not been many studies on travel product live commerce. Travel products are experiential products, and these products require more thought and experience prior to purchasing. Information is crucial when making the decision to buy. As a result, it is necessary to approach the buying process for travel products differently than the process for material goods.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measures to actively inform consumers of travel products and promote purchases by suggesting measures to revitalize the travel product industry, using live commerce as a new distribution channel to cope with the contact-less consumption trend. In addition,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live commerce and social presence, focusing on the role of social presence in strengthening psychological bonds and emotional relationships among consumers even in contact-less situations. In particular, subjects of this study were determined as MZ generation that influences the sustainability of the tourism industry. MZ generation is familiar with IT related environment and sensitive to trends, so it is predicted that they can lead to the fastest growth in the travel industry.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ravel product live commerce, social presence, flow, and purchase intention were derived as variables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theories were established. Also, the component factors to be applied to the concept and empirical analysis of each variable were suggested. In addition, a research model was designed to verify the correlation of the above variables and five research hypotheses were established. An empirical analysis was executed based on the results of a survey that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as mention below. First, emotional bonds and communication are factors that attract customers and enable continual interest so that. customers feel good and comfortable, leading them to purchase the product in the end. Also, as the host’s expertise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communication and emotional bonds, travel products that align well with the host’s emotional state, is expected to have the greatest synergy.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select a host who is not only professional and knowledgeable on the travel product but also tactful and excellent with customer communications.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secure an advantage in the competition with other sales channels by improving the level of interaction and adopting the same method, such as a two-way live broadcast to connect travel destinations and to immediately solve questions. Second, the importance of managing platforms and systems by consumer’s convenience should be emphasized.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convenience of consumers when establishing the platform so that consumers can use the system without difficulty and feel comfortable when using the travel products live commerce. Third, in the case of travel product live commerce, broadcasting is sometimes streamed at the travel destination, so the fact that the consumer can see the travel destination with their own eyes can serve as excellent information and content for consum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quip a system that is capable of incorporating high-quality streaming. Fourth, as the invisible entertainment and value of travel are introduced and sold in travel product live commerce, the way of conveying a sense of realism to consumers becomes the host's main form of competitiveness. Therefore, the live commerce host should be able to control and operate the broadcasting site through thorough preparation so that consumers can experience the realism of the travel destination with the host. In addition, due to the small size of the mobile screens, there is a limitation to live streaming in effectively conveying a sence of realis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ise various methods for video production by incorporating IT technology into the field of live commerce in the future. Fifth, the importance of entertainment factors that induce interest and amusement were verified. Live commerce is being recognized as a content by the MZ generation, so it is necessary to allow the MZ generation to have a pleasant experience in travel product live commerce through the selection of relevant content that the MZ generation have interests. Sixth, social presence is an important mechanism that can lead to purchase, suggesting that the use of live commerce in MZ generation can be an important factor in sharing experience and interest, and that it leads to purchase by perceiving a sense of coexistence even if they do not meet physically. Consequently, a marketing measure that fully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Z generation will be needed. As MZ is a digital native generation, they are familiar with the online presence, so tourism companies should identify their favorite video content and YouTube channels to draw favorable responses from the MZ generation consumers. In subsequent studies,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research subject to all generations to find out the differences between generations, and to suggest detailed marketing measures by applying various modulating variables that can affect purchase intention, such as tendency and personality. In addition, research on the negative factors of live commerce showing continuous growth should be conducted to recognize and solve problems, and research on continuous use to develop travel product live commerce needs to be conducted as well. This study was conducted at a period when the perception of travel was not positive due to the pandemic, so a subsequent study on the change of consciousness of the survey subjects will be needed after the safety of traveling abroad has been sufficiently secu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