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육아휴직 후 복직한 간호사의 양육스트레스와 재직의도에 관한 연구

        송지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육아휴직 급여가 정액제에서 정률제로 바뀐 해인 2011년 이후 육아휴직을 이용한 뒤 복직한 간호사를 대상으로, 그들이 현재 느끼는 양육스트레스, 재직의도를 조사하고 대상자의 제 특성이 양육스트레스와 재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S시 소재의 A상급종합병원에서 2011년 이후 육아휴직을 이용하고 복직한 간호사 중,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자로, A상급종합병원의 임상연구심의위원회(IRB)의 승인을 받은 후, 조건에 맞는 대상자를 연구자가 편의 표출하였다. 연구 도구는 일반적 특성 8문항, 직무관련 특성 및 양육관련 특성 18문항, Abidin(1992)이 개발한 PSI-SF(Parenting Stress Index Short Form)을 기초로 김기현과 강희경(1997)이 한국의 실정에 맞게 개발한 ‘양육스트레스 척도’양육스트레스 32문항, Cowin(2002)이 개발한 재직의도 측정도구를 김민정(2006)이 번역・역번역한 도구 6문항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Win 1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ANOVA, 사후검정으로 Sc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및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1. 본 연구의 대상자 130명의 평균 연령은 33.9세, 육아휴직을 받은 총 횟수는 평균 1.3회이었고, 대상자의 양육스트레스는 5점 만점에 평균 2.88점, 재직의도는 8점 만점에서 평균 5.93점이었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직무관련 및 양육관련 특성에 따른 양육스트레스의 차이는 대상자의 연령(F=3.860, p<.05), 자각하는 건강상태(F=14.414, p<.001), 간호사가 된 동기(F=4.814, p<.05), 육아휴직을 받은 총 횟수(t=-2.177, p<.05), 총 자녀 수(t=-2.171, p<.05), 복직이유(F=7.824, p<.01), 자녀양육으로 인한 이직 고려 경험(t=3.231, p<.01), 근무 시 대리 양육 방법(t=3.084, p<.01), 시부모님 관점에서의 직업에 대한 여성관(F=5.001, p<.01), 남편의 양육에 대한 만족도(F=9.767, p<.001), 근무 시 양육 방식에 대한 만족도(F=6.609, p<.01), 근무 시 양육 방식에 대한 불안도(F=11.341, p<.001)에서 통계적으로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재직의도의 차이는 간호사가 된 동기(F=4.988, p<.01), 간호전문성에 대한 만족도(F=8.607, p<.001), 자녀양육으로 인한 이직 고려 경험(t=-2.860, p<.01), 근무 시 대리 양육 방식(t=2.113, p<.05), 본인이 생각하는 직업에 대한 여성관(F=14.103,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양육스트레스는 재직의도(r=-.279)와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4. 대상자들의 직무관련 특성 및 양육관련 특성 중 재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간호사가 된 동기 중 ‘자아실현의 목적’(t=2.319, p<.05), 간호전문성에 대한 만족도(t=2.919, p<.01), 근무 시 대리 양육 방식(t=2.029, p<.05), 본인의 직업에 대한 여성관 중 ‘여성도 자기 일을 가지고 자아실현을 해야 한다’(t=3.836, p<.001), ‘일-가정 양립이 중요하다’(t=3.221, p<.01)가 재직의도에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31.5%이었다. 한편 제 직무관련 및 양육관련 특성과 양육스트레스가 재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간호전문성에 대한 만족도(t=2.579, p<.05), 근무 시 대리 양육방식(t=2.622, p<.05), 본인의 직업에 대한 여성관 중 ‘여성도 자기 일을 가지고 자아실현을 해야 한다’(t=3.777, p<.001), ‘일-가정 양립이 중요하다'(t=3.193, p<.01), 양육스트레스(t=-2.490, p<.05)가 재직의도에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34.9%이었다. 결론적으로 간호사들의 양육스트레스와 재직의도는 음의 상관관계에 있으며, 여러 변인 중 본인의 직업에 대한 여성관이 ‘자아실현’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이 재직의도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간호사들의 이직률을 낮추기 위해 일과 가정을 양립하는 간호사들을 위한 다각도의 제도적・문화・환경적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사료된다. 주요개념어 : 간호사, 육아휴직, 양육스트레스, 재직의도

      • 『조선왕조실록』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 『실록』의 규범적 이상에 대한 고찰

        송지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reliability of the 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朝鮮王祖實錄) has been controversial. While some accounts propose that the Records deliver a reliable description of the Joseon's reality, others raise doubt as to whether the Records are tainted with opinions and political interests of Joseon's political actors. However, both approaches to the Records fail to consider how the Joseon people perceived the Records, what they expected from the Records, and how they attempted to write the Records. Consequently, those approaches leave considerable information the Records hold unexamined and not fully savored. To elaborate, such approaches show limited understanding of the political characteristics of the Records and fail to capture some critical layers of meaning the Records have. This paper attempts to understand the Records as the Joseon people perceived it. To do so, this paper reconstruct their normative ideal of the Records by establishing what they meant by "實錄," "信史," and "直筆." By investigating and interpreting numerous sentences in the Records and its references, this paper will show that their normative ideal of the Records was to write the most right judgment of the reality, with evidence which they consider to be reliable, appealing to the authority of the imagined descendents in the process. With such reconstruction of their normative ideal of the Records, this paper will reveal two critical political characteristics of the Records. First, writing the Records was one of the authoritative mechanisms to decide the political rights and wrongs. This character will be elaborated in detail by comparing it to another such mechanism, 國是. Second, writing the Records and appealing to it helped the Joseon people to imagine their political entity in which they belong and which prolongs beyond each king's reign. Eventually, this paper will maintain that considering the Joseon people's normative ideal of the Records and its distinctive political characteristics enable the researchers to understand the Records as the Joseon political actors' public consensus. By reading the Records as their public consensus, we will be able to read their shared ideas of critical political events, which the prevent approaches have failed to capture. 『조선왕조실록』(이하 『실록』)상의 기록을 독해하는 방식에 대해 학계 내의 입장은 양분되어 왔다. 논란의 핵심은 『실록』상 기록의 신뢰도에 있는데, 일군의 연구자들은 『실록』상의 기록이 당대의 현실을 정확하게 전달해준다고 주장하는 반면, 일각에서는 당대인들의 정치적 이해관계 하에 서술된다는 점에서 『실록』상의 기록은 당대의 현실을 정확하게 전달해주지 못한다고 주장한다. 해당 쟁점은 다수의 정치적 이해관계가 얽혔던 사건에 대한 기록을 독해하거나 당대에 논쟁적이었던 인물에 대한 기록을 독해할 때에 특히 두드러진다. 그런데 상기의 접근법들은 『실록』에 대한 당대인들의 인식을 고려하는 데에 실패함으로써 『실록』의 의미와 『실록』상 기록의 의미의 많은 부분을 해석의 사각지대에 방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들은 당대인들에게 『실록』이라는 존재가 가졌던 정치적 성격과 기능들을 이해하는 데에 한계를 보이며, 그 결과 『실록』상에 기록된 내용만이 가질 수 있는 의미의 결을 포착하는 데에 한계를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실록』을 보다 풍요롭게 읽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실록』을 당대인들의 시선대로 이해하기를 시도한다. 당대인들에게 『실록』이라는 존재가 가졌던 의미와 『실록』상의 기록의 의미에 대해 기존의 접근법 하에서는 사각지대에 놓였던 지점들을 독해하기 위해, 필자는 당대인들이 상상했던 『실록』의 이상적인 모습과 그러한 이상이 『실록』 쓰기에 부여했던 규범들을 추적하여, 그들이 『실록』을 어떻게 인식했고, 『실록』에 무엇을 기대했으며, 『실록』을 어떻게 쓰려고 했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이를 기초로 하여 『실록』이 당대에 가졌던 정치적 성격을 상세하게 규명하고, 『실록』에 실린 내용만이 가지는 의미의 결을 독해할 수 있는 접근법을 제안한다. 우선 본고에서는 『실록』에 대한 당대인들의 규범적 이상을 밝혔다. ‘직필’, ‘실록’, ‘신사’로 당대인들이 무엇을 의미했는지 살펴봄으로써 ‘상상된 후대의 권위에 호소하며, 사태에 대한 가장 옳은 판단을, 근거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쳐 기록하는 것’이 조선인들의 『실록』 쓰기의 이상적인 목표였다는 점을 보였다. 또한 사관들은 보고 들은 바를 따라 혹은 자신의 마음을 따라 사태를 올바르게 서술해야 한다는 ‘직필’의 규범과 감각 가능한 현상이든 풍문, 공론 등의 발화이든 당대인들이 인정할 수 있는 근거에 기초해서 서술해야 한다는 ‘실록’의 규범에 동시에 부응하기를 요구받았음을 밝혔다. 다음으로, 당대인들이 이러한 규범적 이상과 그것이 요청하는 세부 규범들을 공유하고 있었기 때문에 발생하는 『실록』의 두 가지 정치적 성격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첫째, 『실록』 쓰기가 ‘직필’과 ‘실록’의 이상과 규범에 기대어 당대 관료들의 시선에서 사태의 옳고 그름을 결정하는 기제로 기능했음을 밝혔다. 또한 이러한 『실록』의 성격을 국시(國是)의 개념과 비교하였다. 둘째, ‘신사’로서의 『실록』이 상상된 후대의 권위에 호소하여 자신의 위상을 확보하였기에, 『실록』을 쓰고 『실록』을 상고하는 일련의 행위는 조선의 정치행위자들이 자신들이 속한 정체(政體)를 구체적으로 상상할 수 있게 하였음을 밝혔다. 최종적으로, 이상의 내용들을 고려하여 『실록』을 당대인들의 공적 합의로 읽을 것을 제안하고 해당 제안의 타당성과 유용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이러한 대안적 접근은 『실록』으로부터 정치적 사태들에 대한 당대인들의 공유된, 공적인 인식을 읽어낼 수 있다는 점을 보였으며, 그러한 인식이 어떻게 바뀌어갔는지 추적하는 방식이 『실록』에 대한 대안적 연구법이라는 점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필’, ‘실록’, ‘신사’ 등의 당대인들의 개념을 당대인들의 맥락에서 이해하기를 시도한다는 점에서, 사상사·개념사 연구로서의 의의를 가진다. 객관과 주관의 이분법을 적용하지 않고 각 개념에 대한 당대인들의 인식을 규명한 것은 그 자체로 의의가 있다. 둘째, 『실록』의 정치적 성격을 보다 심층적으로 규명하였다는 의의를 가진다. 『실록』의 정치성은 기록이 당대 정치행위자들의 주관의 반영이라는 점에서도 드러나지만, 그것이 그러한 주관들의 경합의 최종 결과라는 측면을 고려해야 비로소 당대의 『실록』의 위상이나 권위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 사태의 옳음을 정하는 기제로서의 『실록』의 기능과 개별 군주를 넘어서 지속하는 정체에 대한 구체적 상상을 가능하게 하는 『실록』의 기능에 주목한 것은 의의가 있다. 셋째, 『실록』이 조선의 정치사상사 연구의 사료로써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는 의의를 가진다. 『실록』을 당대인들의 공적 합의로 독해하여 『실록』상의 기록이 당대의 정당한 기제를 거쳐 사실이라고 결정된 내용이라는 점을 상기한다면, 『실록』에서 정치적 사건이나 인물에 대한 당대인들의 공적인 인식을 읽어낼 수 있다. 다시 말해, 『실록』상의 기록에서 정치적 사건이나 인물에 대한 사실을 읽어낼 수는 없지만, 그에 대해 당대의 사람들이 어떤 인식을 공유하고 있었는지를 읽어낼 수 있다. 이는 『실록』이 조선의 정치사상사 연구의 사료로서도 적합하다는 점을, 어쩌면 그렇게 활용될 때에야 비로소 조선의 정치에 대해 우리에게 더 많은 것을 말해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 뇌졸중 노인 환자에게 적용한 섬망 예방 가이드라인의 효과

        송지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섬망 예방 가이드라인을 이용한 중재가 뇌졸중 노인의 섬망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의 유사 실험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D시 소재 대학병원 뇌졸중 집중치료실로 입원한 65세 이상 환자 중 실험군 54명, 대조군 54명이었으며, 자료 수집 기간은 2014년 2월 1일부터 2014년 6월 5일까지였다. 실험군에게 적용한 섬망 예방 가이드라인 프로토콜은 2010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are Excellence (NICE) delirium clinical guideline의 섬망 예방을 위한 권고사항을 기본으로 하고, 세부사항에 관한 프로토콜을 연구자가 문헌고찰을 통해 개발한 후 전문가에게 타당성 검증을 받았다. 섬망 예방 가이드라인 프로토콜을 기준으로 섬망 예방 중재를 입실하는 당일부터 시행하였고, 매 근무마다 중재사항에 대해 교육받은 담당 간호사가 침상 앞에 비치된 섬망 예방 가이드라인 check list에 표시하며, 섬망 예방 중재사항을 빠짐없이 시행하도록 하였다. 대조군은 기존에 일반 간호 중재를 적용하였다. 섬망 예방 가이드라인 중재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The Delirium Observation Screening scale (DOS)로 섬망 유무와 섬망 중증도를 측정하고,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Stroke Scale (NIHSS)로 뇌졸중 예후를 측정하였다. 입실일수는 뇌졸중으로 진단받고 뇌졸중 집중치료실로 입실한 날부터 경과가 안정되어 일반 병동으로 퇴실하는 날까지를 기준으로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version 21.0 program을 이용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섬망 유발 관련 특성 및 뇌졸중 관련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 동질성 검증은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와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 가설의 검증은 섬망 예방 가이드라인 중재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섬망 발생율, 섬망 중증도, 뇌졸중 예후, 입실일수 차이를 Chi-square test,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섬망 예방 중재 후 실험군에서 섬망 발생율이 유의하게 감소하여 (χ2=5.655, p=.017) 제 1 가설은 지지되었다. 2. 섬망 예방 중재 후 실험군에서 섬망 중증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여 (t=-2.565, p=.014) 제 2 가설은 지지되었다. 3. 섬망 예방 중재 후 실험군에서 뇌졸중 예후가 유의하게 좋아져 (t=2.293, p=.026) 제 3 가설은 지지되었다. 4. 섬망 예방 중재 후 실험군에서 재원일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여 (t=2.592, p=.011) 제 4 가설은 지지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섬망 예방 가이드라인 프로토콜이 뇌졸중 노인의 섬망 발생율과 섬망 중증도, 뇌졸중 예후, 재원일수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임상에서 섬망 예방 가이드라인 프로토콜이 섬망 예방 중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esent study was a quasi-experimental study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hich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interventions based on delirium prevention guideline on hospitalized elderly stroke patients. The study participants comprised of elderly stroke patients, 65 years or older, who were hospitalized in the stroke unit of a university hospital in “D”city, Korea.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consisted of 54 patients each, and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between February 1 and June 5, 2014.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delirium prevention intervention, DOS was used to determine the presence of delirium and to measure the severity of delirium, while the NIHSS was used to assess the stroke prognosis. The investigation was performed with the length of hospitalization defined as the number of days from admission to the stroke unit to the day of being transferred to the general ward upon stabilization of the patient’s condition. SPSS version 21.0 software was used for all data analysi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along with induced delirium-related and stroke-related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using a descriptive statistics. The pre-tests for homogeneity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analyzed using the χ2 test, Fisher's exact test, and t-test. Moreover, the effects of experimental treatment were analyzed using the chi-square test and t-test.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delirium incidence rate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he delirium prevention intervent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χ2=5.655, p=.017), thus supporting the first hypothesis. 2. The delirium severity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he delirium prevention intervent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2.565, p=.014), supporting the second hypothesis. 3. The stroke prognosis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delirium prevention intervent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2.293, p=.026), supporting the third hypothesis. 4. The number of lengh of hospitaliza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he delirium prevention intervent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2.592, p=.011), hence also supporting the fourth hypothesis.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confirmed that the delirium prevention guideline protocol used in the present stud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delirium incidence rate, delirium severity, stroke prognosis, and the length of hospitalization in hospitalized elderly stroke patients.

      • 학습기술과 자기개발계획이 미용대학의 학습효과와 취업능력향상에 미치는영향

        송지혜 서경대학교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학습기술과 자기개발계획이 미용대학의 학습효과와 취업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 4년제 대학의 교육목적은 연구 활동을 통하여 끊임없이 지식을 창조하고, 새로운 기술을 생성해 내는 핵심적 역할로서, 인격을 도야하고, 국가와 인류사회의 발전에 필요한 학술의 심오한 이론과 그 응용방법을 교수, 연구하며 국가와 인류사회에 공헌한다(고등교육법 제 28조)는데 있다. 미용대학의 교육은 ‘전문미용인력 양성’을 위해 철저한 현장중심의 교육체계 도입이 필요하고 이를 위한 교수법의 개발, 미용교육교제 개발, 학습자 중심의 교과과정 개선 및 전공세분화의 특화교육 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영국의 경우 학과명에 따른 교과과정의 특색이 잘 나타나 있으며 수준 높은 교육을 제공하여 최근 한국의 몇몇 대학들이 영국의 피부미용관련 학과를 소지한 대학들과 공동 학위제를 실시하고 있는데 이는 고등교육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이라 할 수 있다. 한국과 영국의 피부미용관련 교과과정의 두드러진 차이로는 학습기술(Study skills)과 자기개발계획(Personal Development Plan:PDP) 교과목의 유⦁무인데 영국은 이 두 과정을 대학에서 학생들이 선택적 혹은 필수적으로 이수해야 하는 과목으로 권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과 영국의 피부미용관련 대학의 교과과정을 비교, 분석하여 차이점을 알아보고 영국의 대학에서 실행하는 학습훈련과 자기개발계획 과목이 학습효과 향상과 취업능력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첫째, 한국과 영국의 피부미용관련 교과과정을 분석하고자 한국의 학사학위과정에 해당하는 피부미용교과과정을 소지한 학교 25곳 중 12곳과 영국의 학사학위과정에 해당하는 Beauty therapy관련 대학 3곳을 임의 선정하여 교과과정을 비교하였다. 피부미용관련 교과과정 분석은 학교의 홈페이지에 공개된 요람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둘째, 영국의 Bradford college에서 학습기술(Study skills)과 자기개발계획(Personal Development Plan:PDP)과정을 학습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2011년 4월 11일부터 6월 20일까지 편의표본추출법에 의하여 표본을 선정하여 설문조사에 동의한 사람들에게 실시하였고 학습전략, 학습동기, 자아실현, 목표몰입, 자기개발동기, 대인관계가 성적향상과 취업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대상자에게 설문 목적을 설명한 후, 자기기입식(self-administered)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설문지는 총 250부를 배부하였고 총 210부를 회수하였다. 셋째, 영국교수 5인과의 면담을 통하여 학습기술과 자기개발계획이 학생들에게 주는 영향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인터뷰의 질의내용은 녹취와 기록과정으로 정리되었으며 E-mail을 통하여 면담대상자들의 의견이 정확히 기술되었는지 확인하였다. 한국과 영국의 피부미용교과과정 비교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한국과 영국의 피부미용관련 교과과정은 피부미용관련 교과목의 다양성, business관련 과목의 비중, 학습기술과 자기개발계획과정의 유∙무 차이로 정리해 볼 수 있다. 한국은 다양한 피부미용관련 교과목이 이론과 실기에 고루 분포되어 있고 영국은 Business과정이 다양하게 구성되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국의 학습기술과 자기개발계획과정이 학습효과와 취업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을 가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학습기술과 자기개발계획의 공통분모로 잠재변수인 학습전략, 학습동기, 자아실현, 목표몰입, 자기개발동기, 대인관계가 학습효과 향상과 취업능력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결과는 학습전략, 자아실현, 자기개발 동기는 학습효과 향상을 매개로 하여 취업능력향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학습동기, 목표몰입, 대인관계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기존 연구모형을 바탕으로 연구모델에서 나타나지 않은 유의한 경로를 알아보기 위한 수정모델을 채택하여 가설을 검증한 결과 학습동기, 목표몰입, 자기개발동기, 대인관계가 학습효과 향상을 매개로 하여 취업능력향상에는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취업능력현상에는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를 통하여 학습전략, 자아실현, 자기개발 동기는 학습효과 향상을 매개로 하여 취업능력향상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학습동기, 목표몰입, 자기개발동기, 대인관계는 직접적으로 취업능력향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6개의 잠재변수 중 유일하게 자기개발동기만이 학습효과 향상을 매개로 한 취업능력 향상에 간접적으로 또한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침으로서 자기개발동기의 중요성을 나타내었다. 자기개발 동기는 학교를 졸업한 후에도 꾸준한 자기개발과 시대와 유행에 맞춰 변화하는 피부미용 시장의 다변화에 따른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발 빠르게 움직여야하는 피부미용인들에게 반드시 필요한 요소로 자기개발계획과정을 정규교과과정에 포함한다면 학생들의 발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Schumann의 '어린이 정경 Op. 15'에 관한 분석연구

        송지혜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19세기는 개인적이고 주관적인 감정의 표현이 중요시되었던 시대로서 음악에서도 문학이나 시의 영향을 받아 작곡가의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 중요시 되었다. 작곡가의 감정을 직접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새로운 장르로써 성격 소품이 자리를 잡게 되는데, 이것은 주로 피아노를 위해 작곡되었으며 단편적이고 즉흥적인 표현에 적합하여 낭만주의 작곡가들이 즐겨 사용하는 장르로 발달하였다. 슈만(Robert Alexander Schumann 1810-1856)은 19세기 낭만 시대의 표본이 되는 성격소품을 많이 작곡한 작곡가로 문학과 음악의 새로운 연결을 시도하였다. 그는 어려서부터 많은 문학을 접하였고 이런 문학의 영향은 그의 음악에 다양한 형태로 반영 되었다. 그의 대표적인 성격소품은 '나비(Papillon) Op.2', '다비드 동맹 무곡(Davidsbundlertanze) Op.6', '카니발(Carnaval) Op.9', '어린이 정경(Kinderszenen) Op.15', '크라이슬레리아나(Kreisleriana) Op.16' 등이 있다. 그 중 슈만의 대표적인 성격소품인 '어린이 정경 Op. 15'는 13개의 모음곡 형식의 소품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 작품은 1838년 봄에 작곡되었는데 특히 3월과 5월 사이, 당시 파리에서 지내면서 활동하던 그의 약혼녀 클라라와 이 작품에 대한 의견을 활발히 교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작품에는 어린아이들의 세계가 어린 시절을 회상하는 어른들의 시각에서 순간 순간의 영상처럼 표현되었으며, 곡 전반에 걸쳐 슈만의 자유롭고 상상력 넘치는 음악세계가 낭만적으로 펼쳐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슈만의 생애와 피아노 음악의 특징을 알아보고, 슈만의 낭만성과 서정성이 잘 나타나있는 '어린이 정경 Op.15'의 작품분석을 통해 슈만의 음악적 특징을 알아보았다. 또한 그의 작품에 나타나는 시적이고 묘사적인 제목과 음악과의 관계를 통해 슈만의 음악이 가지는 표제음악의 특징과 낭만적인 작곡기법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The nineteenth century was an important period of expressing individual and subjective emotion, and it was important to express emotion affected by literatures and poems in the music field in that period. A character piece was in its place as a new genre of expressing composer's emotion directly, and it was exclusively composed for the piano. It became the most popular genre to the composers of Romantic era because it is suited for fragmentary and extemporary expression. Robert Alexander Schumann(1810-1856) was a standard composer in the nineteenth century. He composed a lot of character pieces and tried to make a new connection of literature with music. He spent a lot of time on the literature from his childhood, and this influence was reflected in his diverse musical form. His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 pieces are 'Papillon Op.2', 'Davidsbundlertanze Op.6', 'Carnaval Op.9', 'Kinderszenen Op.15' and 'Kreisleriana Op.16'. Among these, 'Kinderszenen Op.15' is one of Schumann's typical character pieces comprised of thirteen pieces in the form of suite. This work was composed in the spring of 1838, particularly between March and May, and it is known that Schumann and his fiancee Clara who lived in Paris at that time had numerous letters discussing about this work. 'Kinderszenen Op.15' depicts panoramic images of children's world in the view of adults who flash back their childhood, and it romantically shows liberal and imaginative musical style of Schumann throughout the piece. Schumann's lifetime and his musical traits are referred on this paper through the study on 'Kinderszenen Op. 15' which shows Schumann's romanticism and lyricism very effectively. Furthermore, this paper shows the study about characteristics of the program music and romantic compositional techniques of Schumann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scriptive titles and their music in his works.

      • 존 노이마이어의 「인어공주」 무용작품분석

        송지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nalyzed the work based on Janet Adshead's dance analysis method, the mermaid of John Neumeier. The purpose of this project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 and its choreography. To this end, the related prior research papers and books, dance articles, reviews and internet materials were collected and studied mainly in the literature. Also, it referred to DVD video materials performed by the San Francisco Ballet in 2011. The conclusion of the work analysis through the above research methods is as follows. First, in dancers' movements, the expression of a heterogeneous ensemble, with different but harmonious composition, manifested in classical ballet's formality and modernity of modern dance and daily and realistic movements, and in the movements between reality and reality. The use of pantomime and gestures also created naturalness in every scene and highlighted dramatic elements. And unique and grotesque makeup, costumes, and intense facial expressions expressed by the main dancers represent the choreographer's own abstract grotesque expressions. Second, the theme and situation of the work were hinted at in a clearer and more realistic way with the minimal stage production, neon signs expressing the seafloor and the waves, costumes and makeup of the unique dancers, and various props. Also, the production of" drama" shows Andersen's inner workings, or the poet's complicated inner psychology. This format has the advantage of making it easier to understand the choreographer's intentions and works. And the use of props shows the symbolism of the development of the work. John Neumeier is using Sora as a medium for connecting the sea world and the human world, a symbol that adds new value to an object or action and gives it another meaning. Third, the creation of a new character that is not in the original book shows John Neumeier's choreography-oriented originality. This can also be seen as a human nature exploration,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John Neumeier's work. John Neumeier's "The Little Mermaid" features the character "The Poet," which projects the life of writer Andersen, and shows Andersen's unfulfilled love through his creation, "The Mermaid," expressing his inner psychology. John Neumeier was very interested in Andersen's life, in which he reflected Andersen's sexuality in his work. Fourth, Music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of dance, and it can enhance the completeness of the work by harmonizing movement with proper performance or sound. In particular, John Neumeier delivers emotions to the audience by balancing the size of movement with the cross-sectional tones of violin and cello, while controlling and the mermaid's psychological expression. In addition to music, the prologue shows the vividness of the work by inserting the sound of waves and laughter, the sound of chanting in Chapter 2 of the conversation, and the sound of a whistle. The analysis of John Neumeier's work resulted in the characteristics of such works, and it was evident that his works were marked by realistic and straightforward grotesque expressions, human exploration, and expressionist tendencies that emphasized dramatic elements. Through this, I hope that it will serve as a research case in examining the various choreography trends in modern ballet, and furthermore, it will be of some useful help to research the analysis of works that appreciate, understand, interpret, and evaluate dance. It is also hoped that you will study the styles of famous choreographers from abroad, such as John Neumeier, to create a new modern ballet work that inspires the development of Korean creative ballet and can be recognized globally. 본 연구는 존 노이마이어의「인어공주」를 자넷 에드쉐드 무용분석법을 기반으로 작품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나타나는 작품적 특징과 안무성향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그와 관련된 선행연구 논문과 서적, 무용 기사와 평론, 인터넷 자료를 수집하여 문헌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또한 2011년 샌프란 시스코발레단에 의해 공연된 DVD 영상자료를 참고하였다. 위의 연구방법을 통한 작품분석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수들의 움직임에서 고전발레의 형식미와 현대무용의 모던함과 일상적이고 사실적인 움직임, 그리고 현실과 비현실 사이의 움직임에서 나타나는 서로 다르지만 조화로운 구성으로 이질적인 앙상블의 표현을 보여준다. 또한 팬토마임과 제스처의 사용으로 모든 장면에서 자연스러움을 연출하였고 극적인 요소를 부각시켰다. 그리고 독특하고 괴기한 분장과 의상, 주요 무용수들이 표현하는 강렬한 표정 연기가 안무가만의 추상화된 그로테스크적 표현들을 나타내고 있다. 둘째, 각 장에 나타나는 미니멀한 무대연출과 해저와 출렁이는 파도를 표현하는 네온사인, 개성있는 무용수들의 의상과 분장 그리고 다양한 소품들로 작품의 주제와 상황을 암시하여 작품의 내용을 더욱 선명하고 현실감 있게 연출하였다. 또한 ‘극중극’ 형식의 연출로 안데르센의 내면 즉, 시인의 복잡한 내면 심리를 표출해 내고 있다. 이 형식은 안무가의 의도와 작품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소품의 활용으로 작품 전개의 상징성을 보여주고 있다. 존 노이마이어는 바다세계와 인간세계를 연결하는 매개체 역할로 소라를 활용하고 있는데 상징은 어떤 대상이나 행동에 새로운 가치를 더해주고 또 다른 의미를 부여해주는 것이다. 셋째, 원작에는 없는 새로운 캐릭터를 탄생시킨 것을 볼 때 존 노이마이어의 안무성향의 독창성을 알 수 있다. 이것은 그의 작품적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인간성 탐구로도 볼 수 있다. 존 노이마이어의 「인어공주」에는 작가 안데르센의 삶을 투영한 인물 ‘시인’이 등장하고 그의 창조물인 ‘인어’를 통해서 안데르센의 못 이룬 사랑을 보여주며 그의 내면 심리를 표출시키고 있다. 존 노이마이어는 안데르센의 삶에 관심이 많았는데 그 안에서 그는 안데르센의 섹슈얼리티를 자신의 작품에 반영한 것이다. 넷째, 무용에 있어서 음악은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적절한 연주 또는 소리와 함께 움직임이 조화를 이루면서 작품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 존 노이마이어는 특히 시인과 인어의 심리표현을 바이올린과 첼로의 단면적인 음색을 가지고 움직임의 크기를 조절하면서 강·약, 크고 작음의 밸런스를 이루어 관객에게 감정을 전달한다. 또한 음악 이외에 프롤로그에서 파도 소리와 웃음소리, 대화 소리 2장에서의 기합 소리, 호루라기 소리 등을 삽입하여 작품의 생생함을 나타내고 있다. 존 노이마이어의 작품을 분석한 결과 이와 같은 작품의 특징을 도출하였고, 그의 작품에서는 사실적이고 직설적인 그로테스크적 표현과 인간 탐구, 그리고 극적인 요소를 강조하는 표현주의적 성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현대발레에 나타나고 있는 다양한 안무성향들을 고찰하는데 있어서 하나의 연구사례가 되길 바라고, 나아가 무용을 감상하고 이해하며 해석·평가하는 작품분석 연구에 조금이나마 유익한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또한 존 노이마이어와 같은 해외 유명 안무가들의 스타일을 연구하여 한국 창작 발레의 발전에 영감을 주고 세계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새로운 현대발레작품을 창작하길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