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협력적 쓰기활동이 초등학생의 영어쓰기에 미치는 영향

        송주연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writing activities based on cooperative learning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riting ability and affective factors like confidence, interests, learning motivation, study attitude and community spirit. Four elementary students were instructed to write in English for 2 weeks in the after-school class and their writing progress was observed and analyzed. For this research, various writing activities were conducted using cooperative group learning structures. Questionnaires, teacher's observation log, interview, students' self evaluation, and students' writing portfolios were used to collect the dat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analyses were used. Students' writing products were evaluated based on grammar, form, vocabulary, content, and organiz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writing ability of the students. Though their post writing test results were almost the same as the pretest results, there was gradual increase in the number and length of sentences and the content of writing became richer and more detailed as well. At first, they simply wrote down the example sentences which they learned through collaborative learning. As time went by, they were able to express their feelings and thoughts using the example sentences and related reading texts. Second, in general, cooperative writing instruction affects the students’ affective factors positively. Though their questionnaires didn’t show meaningful differences after experiments, their self evaluation and interview results showed that they participated in the writing activities with interest through collaborative learning. But for the low-leveled students, too much burden of study makes the writing activities boring and hard tasks. In reality, the students who took part in this experimental classes still showed low interest in English writing. Conclusively, cooperative writing instruction through various writing activities enhanc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 writing abilities and their affective factors. These methods helped learners interact actively during the writing classes and made the writing activities more interesting and fun. It is necessary to apply various writing activities based on collaborative learning to English classes in the elementary schools.

      • 임신 중기 및 초기 소아기 간접 흡연 노출과 Glutathione S-transferase 유전자 다형성이 소아행동발달에 미치는 영향

        송주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Objectives : There is an increasing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the environment of intrauterine and early childhood in neurobehavioral development. One of these early environmental factors is the environmental tobacco smoke exposure. According to the previous researches, there i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obacco smoke exposure and neurobehavioral outcomes. The effect of the genetic polymorphism of Glutathione S-transferase on the neurobehavioral outcomes, however, has not been investigated. The author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vironmental tobacco smoke exposure during mid-pregnancy and early childhood and neurobehavioral outcomes of preschool children and if there is any effect of the genetic polymorphism of Glutathione S-transferase M1 and T1 on this relationship. Methods : The participants were the pregnant women(week 24~week 28) who visited the obstetrics and gynecology department (between 2001 and 2004). They had been evaluated for their sociodemographic data including direct and environmental tobacco smoke exposure history and the urine specimen had been sampled for the measurement of cotinine. The offsprings' urine specimen and blood sampling had been done and the socioeconomic data including the environmental tobacco smoke exposure history was evaluated at age 3. The cotinine level of urine specimen was measured and Glutathione S-Transferase polymorphism was analyzed. The offsprings completed Korean-Childhood Behavioral Check List(K-CBCL) at age 4~5. Results : The environmental tobacco smoke exposure during mid-pregnancy based on urine cotinine level has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increased total score and externalizing problem score of K-CBCL(p<.05). The environmental tobacco smoke exposure based on urine cotinine level at age 3 is associated increased total score, externalizing problem score and internalizing problem score of K-CBCL with no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environmental tobacco smoke exposure after controlling for tobacco smoke exposure during pregnancy, however,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increased externalizing problem scores(p=.04). The environmental tobacco smoke exposure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total score, externalizing problem score and internalizing problem score of K-CBCL with GSTM1 null type or GSTT1 null type at age 3 although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 : The environmental tobacco smoking exposure during pregnancy and at early childhood are associated with childhood behavioral problems. The clinical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is important to avoid the environmental tobacco smoke exposure during pregnancy and early childhood and to monitor the possible emergence of behavioral problems of children. 태내 환경 및 초기 소아기 환경은 신경 행동 발달에서 매우 중요하며 개인의 고유한 유전적인 감수성은 이러한 초기 환경과 중요한 상호 작용을 한다. 신경 행동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초기 환경 요인의 하나는 흡연 노출이다. 이미 기존 연구들은 흡연 노출과 자녀의 행동 문제 사이에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그러나 흡연 노출과 흡연 물질 대사 관련 유전자 다형성의 상호 작용이 소아 행동 문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보고된 바가 없다. 본 연구는 임신 중기 및 초기 소아기 흡연 노출과 학령 전기 자녀의 행동 문제의 관계를 살펴보고, 흡연 물질 대사와 연관된 유전자 Glutathione S-transferase(GST)가 이들 상호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2001년부터 2004년까지 이화 여자 대학교 부속 목동 병원 산부인과에 내원한 임신 중기(24-28주)의 산모 102명과 그 자녀를 대상으로 하였다. 임신기 흡연 노출과 인구 사회학적 자료는 설문지와 의무기록을 통해 조사하였고, 임신 중기 소변을 채취하여 코티닌 농도를 분석하였다. 자녀가 만 3세가 되었을 때 설문지를 통해 자녀의 간접 흡연 노출 및 인구 사회학적 자료를 조사하였고, 자녀의 소변 및 혈액 시료를 수집하였다. 모든 검체는 -70℃로 냉동 보관하였고, 임신 중기 소변의 코티닌 농도 및 만 3세 자녀 소변의 코티닌 농도를 측정하고, 만 3세 자녀의 혈액에서 GST 유전자 다형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아동의 행동 발달 상황은 만 4~5세가 되었을 때 한국판 아동 행동 평가 척도(Korean-Childhood Behavioral Check List, 이하 K-CBCL)를 사용하여 조사하였고, 모든 자료를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임신 중기에 코티닌 농도를 기준으로 간접 흡연 노출이 있는 경우 비노출군에 비하여 학령 전기 자녀의 K-CBCL에서 총 문제 행동 점수 및 외현화 문제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p<0.05). 2. 만 3세에 간접 흡연 노출이 된 경우, 간접 흡연 노출이 되지 않은 경우에 비해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으나 K-CBCL의 총 문제 행동 점수, 내재화 점수, 외현화 점수가 모두 높았다. 그러나 임신 중기 흡연 노출 변인을 보정한 경우에는 초기 소아기에 간접 흡연 노출이 있는 경우, 외현화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p=0.04). 3. 임신 중기, 만 3세 시기 간접 흡연의 노출과 Glutathione S-transferase 유전자 다형성의 상호 작용이 K-CBCL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통계적 유의성은 없으나 만 3세 시기에 간접 흡연에 노출된 경우, GSTM1 null type과 GSTT1 null type에서 K-CBCL 모든 척도의 점수가 높았다. 결론적으로, 임신 중기 간접 흡연 노출과 초기 소아기의 간접 흡연 노출은 소아기 행동 문제와 관련성이 있다. 따라서 임신기와 초기 소아기의 간접 흡연 노출을 피하고, 간접 흡연 노출이 된 경우에는 아동의 행동 문제에 대한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하겠다.

      • 활동중심 성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성 인식에 미치는 효과

        송주연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활동중심 성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성 인식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활동중심 성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성 인식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활동중심 성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성 인식 하위영역인 성 지식, 성 의식, 성 태도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위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대상 선정, 사전검사, 활동중심 성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사후검사, 통계처리 및 자료 분석의 순으로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 청소년 문화의집 5학년 14명을 실험집단으로, 동일 지역 소재의 ○○ 센터 5학년 아동 14명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성 지식 검사는 양순옥 등(2002)이 개발한 검사도구를 수정․보완한 김영아(2010), 이관순(2004)의 검사도구를 본 연구자가 지도교수의 자문을 받아 재구성하여 사용하였고, 성 의식 검사는 박효정과 연은경(2003)이 개발한 검사도구를 수정․보완한 김영아(2010)의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성 태도 검사는 오진아(2008)의 검사도구를 수정․보완한 김영아(2010)의 검사도구와 양순옥 등(2002)이 개발한 검사도구를 수정․보완한 이관순(2004)의 검사도구를 본 연구자가 지도교수의 자문을 받아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활동중심 성교육 프로그램은 관련문헌과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이를 기초로 본 연구자가 지도교수의 자문을 받아 연구대상에 알맞게 수정․보완하여 재구성하였고, 매 회기 60분씩 총 10회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자료처리 분석은 Windows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유의 수준 p<.05 수준에서 t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매 회기마다 아동들이 작성한 활동지와 본 연구자의 관찰기록 내용을 토대로 아동의 성 인식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활동중심 성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아동의 성 인식은 참여하지 않은 비교집단의 아동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활동중심 성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아동의 성 인식의 하위영역 즉, 성 지식, 성 의식, 성 태도는 참여하지 않은 비교집단의 아동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양적분석이 갖는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서 아동들이 작성한 활동지와 본 연구자의 관찰기록 내용을 토대로 분석해 볼 때 활동중심 성교육 프로그램은 아동들에게 다양한 활동 속에서 올바른 성 지식을 습득하고, 자연스럽게 성에 대한 자신의 생각과 경험을 나누며, 유해한 성문화와 표현물에 대한 비판적 사고를 갖도록 하는 건강한 성 인식을 함양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활동중심 성교육 프로그램이 아동들에게 자신의 변화를 인식하며 성적감정과 행동양식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인지적․정서적 조건들을 제공함으로써 바람직한 성 가치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책임 있는 성 행동을 할 수 있는 아동으로 성장하는데 도움을 준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성교육을 담당하는 실무자들은 아동의 건전한 성 인식 함양을 위해 활동중심 성교육 프로그램과 같은 다양한 교육매체를 활용한 교수법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여 교육 현장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 우리나라 국립 지방박물관 CI(Corporate Identity)개선에 관한 연구

        송주연 경희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Even in the times of the 21st century when the information and creativity is evaluated to be the corporate essential value, the value of image, an immaterial asset based on the culture is getting important. As the amount of information or conveying method is a requisite for competition in the society of excessive information like today to increase "the information with conveyable value" or "the informative value" is important. The "culture" is worthy of note as a top of the informative value. C.I(Corporate Identity) is also to raise the corporate communication efficiency from such a cultural viewpoint like this. Concretely, the fact that there are many companies to deploy the corporate culture as a theme of existence proof and to try to improve the communicational environment can be a good example. The purchasing type of consumers or the recognition of business has changed the recognition of CI. In the past, the order of corporate preferences was decided from the viewpoint of the corporate physical scale or asset, but the more attention is being paid to the professional business and its corporate CI as the time passes by. Accordingly, the corporate CI is being structured from the macroscopic viewpoint jumping over the cultural boundary or limit, or space of national concept. In order to grow up in the rapid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 the corporate images should be expressed younger and more clearly suited to the trend of consumers. The businesses are changing themselves and the consumers' level is being heightened, but at the moment our national local museums do not reach the change of times. The Daegu National Museum, Buyeo National Museum, Jeonju National museum, Jeju National Museum, Chuncheon National Museum were considerably short of design background materials as well as simple symbolic marks and the combination of logo type. In addition, the Gwangju National Museum, and Jinju National Museum were not equipped with even CI. The museum which makes public to the masses by conserving, studying, exhibiting the proofs of various cultures can be the essential core of cultural foundational facilities in the modern society. In particular, unlike the other cultural foundational facilities, the museum is a place to offer the highest dimensional idea to the human beings and at the same time a warehouse of cultures where the material proofs of man and human environment were gathered. Additionally the exhibition which stresses the role of communication and witch is suited to the mission of institutions and its target is effectively realized is being required. As the leisure time is increased and the interest in the cultural art is growing, its function is no more satisfied just with the purpose of collection itself, it is required to communicate the collections with spectators, and to be utilized as a medium to connect their experiences. This study looked into the general consideration on the concept and trend, function, role of museums, and the museum culture when it comes to the development process and modern sense, together with the execution of questionnaire on whether the people as an example are fond of CI or not. As a result, as the design far from the taste of the public was adopted they were not satisfied with the aesthetic appreciation of CI of the current museums. Especially as the image of museum presents the positive recognition ‘a useful and necessary place’ together with the negative one 'a hard and heavy place' the image improvement through CI is necessary. In case of the existing national museums CI with the mechanical technique occupies the seven ones corresponding to 70.00%. In this case it is easy to manage, and can give an intellectual and clear feeling due to the unification, most of which were introduced in times of Yushin and the military regime, but of late the more cases to use the free and soft technique or organic technique rather than the mechanical expression with the hard feeling are increasing. Besides as a result through the questionnaire the national Jeju museum which received the highest preferences by the people is using the symbolic mark with the free hand technique. The logo type was appeared as the national Jinju museum which is also using the calligraphy the calligrapher directly wrote with the free hand technique. With this context this researcher presented the introduction of CI with the free hand technique, not mechanical one as its main improvement method. This is lately being used frequently as the society is developed and changed, which is a technique to draw freely with a hand and gives us a friendly and soft feeling rather than an authoritative and hard image. The symbolic mark should be made to understand popularly and easily by expressing a matter or a concrete image concisely with the concrete image not abstract one. The logo type should be focused on its readability and have to convey the idea of museum. Additionally, as each local museum is symbolic of our nation, I would like to propose to develop the exclusive handwriting or to make a design to bring into relief such a Korean image as Gungseoche(a Korean handwriting). As the National Local Museum is the place that contains the culture, history, and spirit of ancestors, it should make an effort to establish CI and sound image, and this study is hoped to be helpful to form and further improve its brand value. 정보와 창의성이 기업의 핵심가치로 평가되는 21세기에도 문화에 바탕을 둔 무형의 자산인 이미지의 가치가 더 빛을 발하고 있다. 오늘날과 같은 정보과다 사회에서는 정보의 양이나 전달방법이 경쟁의 요건이 되므로 “전달할만한 가치 있는 정보”, 즉 “정보가치”를 높이는 일이 중요하다. 그 정보가치의 최상위로서 “문화”가 주목되고 있다. C.I(Corporate Identity)는 이러한 문화적인 측면의 관점에서 기업의 커뮤니케이션 효율을 높이려고 하는 것이기도 하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기업문화를 존재증명의 테마로 전개하고,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개선하려는 기업이 많은 것도 그중 하나이다. 소비자들의 구매 형태나 기업에 대한 인지도는 CI에 대한 인식을 바꿨다. 과거에는 기업의 외형적 규모나 자산의 관점에서 기업 선호도의 순위를 정했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전문성 있는 기업과 그 회사의 CI에 더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업의 CI는 문화적 경계나 한계, 국가 개념의 공간을 뛰어넘어 거시적인 관점에서 구축해 나가고 있다. 급변하는 사회 환경 속에서 성장하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트렌드에 맞춰 기업들의 이미지를 더 젊고 명확하게 표현해야 한다. 기업들이 변화하고 소비자들의 눈은 높아만 가고 있는데, 현재 우리나라의 국립 지방박물관은 시대의 변화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국립중앙박물관, 국립경주박물관, 국립공주박물관, 국립김해박물관을 제외한 국립대구박물관, 국립부여박물관, 국립전주박물관, 국립제주박물관, 국립부여박물관, 국립춘천박물관은 단순하게 심벌마크와 로고타입의 조합 외에 디자인적인 배경자료가 상당히 부족했다. 또한 국립광주박물관, 국립진주박물관은 CI조차 확립되지 않았다. 다양한 문화의 증거들을 보존, 연구, 전시하며 대중에게 알리는 박물관은 현대 사회에 있어 문화기반 시설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다른 문화기반 시설과 달리, 박물관은 인간에 대한 가장 고차원적 관념을 제공하는 장소이며 인간과 인간의 환경에 대한 물질적인 증거들을 모아놓은 문화의 보고이다. 또한 소통이라는 역할이 강조되고, 기관의 임무에 부합하며 효율적으로 목적을 실현해나가는 전시가 요구되고 있다. 여가시간이 증대되고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감에 따라 그 기능은 더 이상 수집 그 자체의 목적만으로 충분하지 않으며, 소장품들을 관람자들에게 교류하고, 그들의 경험을 이어주는 하나의 수단으로서 활용될 것을 요구한다. 본 논문에서는 박물관의 개념과 흐름, 기능과 역할, 발전과정과 현대적 의미의 박물관 문화 등 일반적인 고찰과 함께 일반인들을 표본으로 CI에 대한 호불호와 기호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일반인의 기호와 동떨어진 디자인을 채용함으로써 현 박물관 CI의 심미성에 대해 만족하지 못 하였다. 특히 박물관의 이미지가 ‘유용하고, 필요한 곳’이라는 긍정적인 인식과 더불어 ‘딱딱하고 무겁다’는 부정적 인식도 나타나는 만큼 CI를 통한 이미지 개선이 필요하다. 기존의 국립 박물관의 경우 기계적인 기법의 CI가 7개로 70.00%에 해당한다. 이 경우 통일성이 있어 관리가 용이하고, 이지적이고 명쾌한 느낌을 줄 수 있지만 주로 유신 및 군사정권 시절에 도입된 것으로 최근에는 딱딱한 느낌의 기계적인 표현방식보다는 자유스럽고 부드러운 기법이나 유기적인 기법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또한 설문을 통해서 본 결과 일반인들의 가장 많은 선호도를 얻은 국립제주박물관은 프리핸드 기법의 심벌마크를 사용하고 있다. 로고타입은 국립진주박물관으로 나타났으며 이것역시 프리핸드 기법의 캘리그라피(Calligraphy)로 서예가가 직접 쓴 서체를 사용하고 있다. 이런 맥락으로 본 연구자는 주요 개선방안으로 기계적인 기법이 아닌 프리핸드기법의 CI 도입을 제의하였다. 이는 사회가 발전되고 시대가 변화함에 따라 최근에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손으로 자유롭게 그린 듯한 기법으로 권위적이고 딱딱한 이미지 보다는 친근감이 느껴지고 부드러운 느낌을 준다. 심벌마크는 추상형이 아닌 구상형으로 사물이나 구체적 형상을 간결하게 표현함으로써 대중적으로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로고타입은 가독성을 중시하며 박물관의 이념을 전달 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각 지방은 물론 나아가 우리나라를 상징하는 국립 박물관인 만큼 전용서체를 개발하거나 궁서체 같은 한국적 이미지를 부각 시키는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국립 지방박물관은 문화와 역사, 조상들의 얼이 살아 숨 쉬는 곳으로 CI 확립과 더불어 이미지 구축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며 본 논문이 국립 지방박물관의 브랜드 가치를 형성하고 높이는데 도움이 되길 기대해 본다.

      • 영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원장의 코칭리더십과의 관계

        송주연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we looked at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coaching leadership in infant teachers. The research questions set up are as follows. First, is there a difference in resilience depending on the individual variation of the infant teacher? Second, does the director's coaching leadership recognized by the infant teacher differ depending on the individual variation of the infant teacher? Thir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of infant teachers and the director's coaching leadership? This study was conducted on 300 teachers of infant education institution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o find out the resilience and coaching leadership of infant teachers. The resilience to restore to the infant questionnaire used in this study has been to ensure that the director of the coaching scale used in the survey uses the resilience index test (ResilienceQuotientTest : RQT) in Reich and Shatte (2003).Lee Kyung-nim, 2015) The revised director's coaching leadership measure was used. The collected data analysis conducted a one-way distribution analysis (ANOVA) and t-validation of the infant teacher to identify the resilience of the infant teacher and the director's coaching leadershi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 difference between resilience and resilience of infant teacher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marital status and type of educational institution. This means that age, marital status, and type of education are affected by the resilience of infant and infant teachers. Second, the coaching leadership of the director recognized by the infant teacher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ge, teaching experience and type of educational institution. This means that age, teaching experience, and type of educational institution affect the leadership of the director recognized by the infant teacher. Third, after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of infant teachers and coaching leadership of the director, a static correlation emerged. This is because the more resilient the infant teacher is, the better his or her coaching leadership is.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re as follows : An infant teacher with high resilience works efficiently in the process of carrying out tasks so that the director, parents and infants can achieve their responsibilities. Through the director's coaching leadership, the president and teachers can work with teachers to enhance the resilience of infant teachers and improve the resilience of infant education by consulting with them on education operation, contents of education, methods of education, and evaluation.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코칭리더십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교사의 개인변인에 따라 회복탄력성은 차이가 있는가? 둘째, 영유아교사의 개인변인에 따라 영유아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코칭리더십은 차이가 있는가? 셋째, 영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원장의 코칭리더십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코칭리더십을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영유아교육기관 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로 회복탄력성은 Reicich와 Shatte(2003)의 회복탄력성 지수 검사 (ResilienceQuotientTest:RQT)문항을 영유아 교사의 평정에 적합하도록(이재영, 2012) 수정한 회복탄력성 척도를 사용하였고, 원장의 코칭리더십은 안현미(2011)가 사용한 코칭리더십 척도를 영유아교육기관의 원장평정에 적합하도록(강진숙·이경님, 2015) 수정한 원장의 코칭리더십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은 영유아교사의 개인변인에 따라 영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원장의 코칭리더십을 알아보기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과 t-검증을 실시하였고, 영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원장의 코칭리더십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교사의 교직경력에 따른 회복탄력성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연령, 결혼여부, 교육기관유형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연령, 결혼여부, 교육기관유형에 영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이 영향을 주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영유아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코칭리더십에 영유아교사의 결혼여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연령, 교직경력, 교육기관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영유아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코칭리더십에 연령, 교직경력, 교육기관유형이 영향을 주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영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원장의 코칭리더십과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대체적으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는 영유아교사가 높은 회복탄력성일수록 원장의 코칭리더십이 높다고 인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얻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높은 회복탄력성을 가진 영유아교사는 원장, 부모, 영유아 등과 좋은 관계를 맺어 자신의 책무를 다할 수 있도록 업무의 내용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효율적으로 업무를 진행하고 유치원 운영의 교육목표가 달성할 수 있도록 업무 능력을 신장시키고 업무의 효율성을 높인다. 이에 원장의 코칭리더십을 통하여 교사와 회의를 통해 교육운영,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평가 등 교사와 협의하여 협력하여 영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을 높이고 더불어 영유아교육의 질을 높일 수 있다.

      •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아동의 자아탄력성이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송주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through ego-resilience)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o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 total of 444 4th and 5th grade elementary students (211 boys and 233 girls) participated in this study. Children responded to questionnaires that included measures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ego-resili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as used to analyze the hypothesized path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ther-child communication had a direct effect on emotional intelligence. However, father-child communication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emotional intelligence. Second, both father-child communication and mother-child communication had indirect effects on emotional intelligence through children's ego-resilience. Lastly, there were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indirect paths from parent-child communication to emotional intelligence through children's ego-resilience. For boys, maternal communication indirectly influenced emotional intelligence through ego-resilience. For girls, paternal communication had an indirect effect on emotional intelligence through ego-resilience. In conclusion, this study considered both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children's ego-resilience in predicti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identified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the model. Findings from this study hav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 designed to improve school-aged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아동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과 자아탄력성을 통해 정서지능에 미치는 간접적 영향을 살펴보고, 그 경로에서의 성차를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 경기도 및 충청북도에 위치한 5곳의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444명의 4, 5학년 남녀 아동으로 질문지법을 이용한 자기보고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부모 자녀 간 의사소통은 Barnes와 Olson(1982)이 개발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척도(Parent Adolescent Communication Inventory; PACI)를 민하영(1991)이 번안한 질문지를 장영수(2008)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에게 맞게 수정 · 보완한 질문지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아동의 자아탄력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Block과 Kremen(1996)이 개발한 자아탄력성 척도(Ego-Resiliency Scale)를 한현아(2007)가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정서지능은 Salovey와 Mayer(1990)의 정서지능 모형에 입각하여 문용린(1997)이 개발한 초등학교 고학년용 정서지능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 검정 및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사용하였다. 경로에서의 성차를 살펴보기 위하여 다중집단분석(Multiple Group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아동의 정서지능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적인 경로와 관련하여, 모-자녀 간 의사소통은 아동의 정서지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부-자녀 간 의사소통의 직접적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아동의 자아탄력성을 통해 정서지능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적인 경로와 관련하여, 부-자녀 및 모-자녀 간 의사소통 모두 아동의 자아탄력성을 통해 아동의 정서지능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쳤다. 즉, 아버지와 어머니가 자녀와 개방적이고 긍정적인 의사소통을 할수록 아동의 자아탄력성이 높았으며,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아동의 정서지능도 높았다. 마지막으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아동의 자아탄력성을 통해 정서지능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는 남녀 아동 모두 이성 부모와의 관계에서만 발견되었다. 즉, 남아의 경우에는 어머니가 개방적이고 긍정적인 의사소통을 많이 할수록 자아탄력성이 높았고 이는 높은 정서지능으로 이어졌으며, 여아의 경우에는 아버지와 개방적이고 긍정적인 의사소통을 할수록 자아탄력성이 높았고 결과적으로 높은 정서지능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남녀 아동의 자아탄력성을 통해 아동의 정서지능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확인하였고, 그 경로에 있어 성차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아동의 정서지능의 선행 요인으로 환경적 요인인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개인 내적 요인인 아동의 자아탄력성의 영향력을 밝힘으로써, 이러한 요인들이 정서지능에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부-자녀 및 모-자녀 간 의사소통을 동시에 고려할 때 이성 부모와의 의사소통에서만 남아와 여아의 정서지능에 이르는 경로가 나타나, 이성 부모의 상대적 영향력을 확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의 증진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과 아동의 자아탄력성 및 정서지능 향상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됨으로써 학령기 후기 아동의 심리적 건강과 긍정적인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갈등해결프로그램이 아동의 갈등해결 전략과 친구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

        송주연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갈등해결프로그램이 아동의 갈등해결전략과 친구관계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데 있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갈등해결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에는 갈등해결전략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둘째 갈등해결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에는 친구관계의 질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농산촌 소재의 A군 B초등학교 고학년(4~6학년) 학생36명으로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18명씩 무선 배치하였다. 실험설계는 사전-사후 검사 통제집단 설계를 사용하였다. 연구처치는 나연수(2006), 이인욱(2007), 장유영(2005) 등의 연구를 참고로 재구성한 갈등해결프로그램을 주 2회 50분간 11회에 걸쳐 진행하였다. 측정도구는 하지원(2005)의 갈등해결전략 척도와 이은해와 고윤주(1999)의 친구관계의 질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각 두 집단에게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수집된 자료처리는 SPSS Win 12.0을 이용하여 변량분석(ANOVA), 공변량분석(ANCOVA), 중다공변량분석(MANCOVA)하였다. 그리고 양적자료가 갖는 신뢰성에 대한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해 각 회기별 집단참여일지와 프로그램 종료 후 평가 내용을 질적 분석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를 통해 얻은 가설의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갈등해결프로그램은 아동의 갈등해결전략 중 절충 및 협력 전략 향상(p<.001)과 양보전략을 향상(p<.001)시키는데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회피전략을 감소(p>.05)시키는데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지배전략을 감소(p<.01)시키는데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갈등해결프로그램은 아동의 친구관계의 긍정적 기능을 향상(p<.01)시키는데, 친구관계의 부정적 측면을 감소(p<.001)시키는데, 친구관계에 대한 만족감을 향상(p<.01)시키는데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갈등해결프로그램은 아동의 갈등해결전략의 변화뿐만 아니라 아동의 친구관계의 질 또한 변화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