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외교적 강압수단으로서의 항공력 사용 : 제2차 Gulf전과 KOSOVO 사태를 중심으로

        송일영 숙명여자대학교 국제관계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적으로 하여금 자신의 행동을 변화시키도록 유발하는 위협적인 무력의 사용, 즉 강압은 국제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중대한 기능중의 하나이다. 지난 몇 년 동안 미국을 비롯한 강대국들은 발칸반도, 아프리카 중동부지역, 페르시아 만에서 완강하게 저항하는 정권과 군사지도자들이 그들의 행동을 변경하도록 강요하기 위해 싸워왔다. 그렇지만 압도적인 군사력에도 불구하고, 강압국은 종종 적을 성공적으로 또는 완전하게 강압하는데 실패하였다. 정치적 목적을 위해서 군사적 실패를 감수하는 지역패권주의자들이 정치력의 연장을 위해 기꺼이 도전하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항공력의 기여에 대해 특별한 관심을 집중하면서 강압외교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증진시키고자 하고있다. 공군력은 미래의 강압작전에서도 여전히 결정적인 역할을 행사할 것이다. 공군력의 전개 속도와 증대되고 있는 공격, 폭격능력은 항공력을 고도로 융통성 있는 수단으로 만든다. 더욱이, 유연성과 정밀성을 포함하는 항공력의 특성은 국민들이 다수의 사상자를 허용하지 않는 것과 같은 강압전략 수행을 방해하는 압박을 덜어주기 때문에 정책결정자들이 선호하게 된다. 성공적인 강압으로 이끄는 조건들을 보면, 몇 가지 요소들이 강압외교가 성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첫째, 강압외교는 강압국이 "전쟁확대를 통한 우세"를 달성할 때 극적으로 강화된다. 강압은 강압국가가 적이 그들의 행위로 인해 감수해야 할 대가를 무효하거나 전쟁확대에 대항할 기회를 거절하는 한편, 동시에 적에게 강요하는 대가의 수준을 증가시킬 수 있을 때 보다 더 성공할 것이다. 강압국이 강요된 대가를 교묘히 다룰 수 있을 때, 그리고 적이 분쟁의 책임을 강압국에게 되돌릴 수 없을 때, 적은 무력에 직면하여 굴복할 가능성이 보다 더 커질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계적 전쟁 확대에 대한 적들의 반응은 다양하고 상상적이다. 체첸 반군들은 러시아의 체첸 침공에 반응하여 민간인을 목표로 테러를 하였다. 그리고 세르비아는 NATO의 공습에 대항하여 인종청소를 더욱 잔인하게 실시하였다. 그러한 대항수단의 효과를 예상하고 최소화하는 것은 전쟁 확대를 통한 우세달성에 있어서 매우 결정적이다. 둘째, 강압은 강압국이 적의 군사전략을 무력화 할 때 보다 더 성공할 가능성이 있다. "거부 전략(denial strategy)" 같은 것은 적이 침공으로 예상되는 이익을 얻는 것을 방지하며, 적은 보다 더 양보하게 된다. 예를 들면, 1995년에 세르비아 지도자들은 NATO 의 폭격에 직면하여 더 이상 얻을 것이 없다는 것을 인정하였기 때문에 양보하였다 - 그리고 크로아트와 보스니아 회교세력으로부터 위협을 받을 정도까지도 취약하게 되었다. 그렇지만 적의 야망이 군사력에 의해 방해받을 수 없거나, 그들이 사용하는 전략이 게릴라전과 같이 압도적인 힘을 갖추고도 대응하는 것이 어려울 때 거부전략은 불가능하다. 성공적인 강압에 도움이 되는 세 번째 요소는 제3세력 위협의 확대이다. 효과적인 강압전략은 대응위협의 결과나 또는 외부의 경쟁자처럼 다른 세력에 직면하여 취약한 점에 대한 군사공격을 動力化 하는 것이다. 양자택일로, 위협 또는 공격은 적이 인지하고 있는 걱정거리인 내부적 불안정을 확대시킬 수 있다. 그래서 근본적으로 지속된 도전에 대한 적의 예상된 희생이나 이익을 다시 생각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전략의 주된 위험요소는 내부적 불안정이 정권내부의 의사결정자 들에게 예측할 수 없게 작용하는 것이다. 어쩌면 강압국의 요구에 대하여 약한 저항 보다 오히려 강하게 저항하도록 만들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상적인 상황하에서 이 방법은 효과적이라고 증명되었다. 역사적 기록에서 몇 가지의 도전이 再三 再四 强壓戰略을 붕괴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음을 알 수 있다. 아마도 가장 중요한 교훈은 적에 대한 정확한 정보와 신중한 판단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강압국이 안보 필요성에 대한 적 자신의 인식을 오해하기 때문에 종종 실패가 발생한다. 다른 도전은 강압의지에 대한 신뢰성을 유지하는 것이다. 위협에 대한 신빙성은 임박한 위기에서의 능숙한 외교뿐만 아니라 이에 못지 않은 빠른 조치로 달성된다. 비록 약한 적조차도 어떠한 강압전쟁도 단기간에 끝날 것이라고 믿으면서 강압국에 자신만만하게 대항하려고 느끼기 때문에 일단 위협을 실행하려는 의지가 인지되는 것은 신빙성이 손상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일부 적들은 단순히 양보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다른 적들은 비록 그들이 위협에 직면하여 양보할 것을 선택할 지라도 요구받은 변화를 강요하기에는 너무 약한 반면, 어떤 정권은 강압국에 굽힘으로서 자신들의 정치적 몰락을 두려워한다. 현대 강압의 배경을 살펴보면, 강압의 성공과 실패에 대한 교훈은 반드시 오늘날과 가까운 미래의 미국 외교정책의 전후관계 내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국내정치는 필연적으로 강압 전략의 형태를 갖으며, 그리고 강압국은 점점 다국적 연합의 일원으로 활동한다. 게다가 강압국은 점점 명확하거나 또는 강화된 도전 자세를 취하는 非국가행위자(non-state actor)들과 직면하는 듯 하다. 강압 작전에 대한 국민의 지지 수준과 강건함은 그들의 지휘와 성공 가능성에 영향을 미친다. 공중 공격은 점점 자국민과 많은 정책결정자들에게 적은 비용, 낮은 책임의 수단으로 인식되어 지고 있다. 그렇지만 정책결정자들은 국민의 지지를 얻기 위해 정기적으로 군사 작전을 일부 제한하고 있다 ; 군사력 규모의 제한, 임무의 종류, 작전기간 등 제약들은 국가의 위기가 고조되거나 또는 다른 한편 자국의 노력이 지장을 받지 않기 위한 강압외교를 방해할 것이다. 더욱이, 적들은 강압위협에 대항하기 위해 국내의 정치적 관심사를, 특히 국민의 공포와 적 민간인 사상자를 이용할 수 있다. 미래 강압을 위한 공군에의 암시는 정확하게 그리고 적당한 조건하에서 사용한다면, 공군력은 성공적인 강압 외교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걸프전은 현대 미국 공군력이 속도와 정밀성을 바탕으로 광범위하게 배치된 목표물들을 파괴할 수 있는 가공할 만한 잠재력을 갖고 있음을 드러냈다. 이러한 공군력의 다양성과 유연성으로 결합된 미증유의 능력은 전쟁 확대 방안을 제공하고, 적의 군사작전을 붕괴시키며, 또는 적을 확대된 제3세력의 위협에 취약하게 만드는데 적합하다. 공군력의 파괴 잠재력은 적의 확대방안 또는 강압에 대한 대응방안을 제한하는 공군력의 능력만큼이나 중요하다. 결정적으로 공군력은 국가가 강압성공에 대한 수많은 일반적인 도전으로부터 회피하도록 도와줄 수 있다. 정보를 제공하고 요구에 대한 이행상태 감시를 도와줌으로써, 공군력은 군사력과 외교가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도와준다. 공군력의 강압적인 사용을 방해하는 많은 정치적인 압력은 군사 전문적이라기 보다는 정치적이고 외교적인 요소들이다. 공군력의 독특성은 광범위하게 연루되어 있는 연합국의 일원들과 마찬가지로 사상자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사로부터 정책결정자들을 편하게 해줄 수 있다. 그것에 의하여 효과성을 심각하게 저하시키는 몇 가지 중요한 압력을 잠식시키고 있다. 그렇지만 공군은 반드시 군사력의 한계를 인정해야 한다 : 일부 적국은 앙보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리고 다른 적국들은 공중폭격에 의해 파괴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그들의 도전을 여러 가지로 맞추어 만들 것이다. 국민들은 국가 이익이 제한 받는 상황에서 다른 형태의 군사력보다 공군력을 선호하는 경향은, 부적당하게 사용될 것이며, 미래의 위기에서 공군력의 신뢰성이 점감(漸減)할 것이다. 이러한 도전과 제한을 인정함으로써, 공군력은 미래에 보다 더 효과적으로 강압할 수 있게 될 것이다. The use of threatened force to induce an adversary to change its behavior - coercion - is a critical function of the state military. In the past several years, U.S. forces have fought in the Balkans, the Horn of Africa, and the Persian Gulf to compel recalcitrant regimes and warlords to modify their actions. Yet despite its overwhelming military power, the Super Powers often fails to coerce adversaries successfully or completely. In a number of recent crises, adversaries have openly defied the Super Powers, complied incompletely with their demands, or otherwise shrugged off threats of force. This report seeks to improve our understanding of coercive diplomacy, focusing particular attention on the contributions of air power. The Air Power will continue to play a crucial rule in future coercive operations. The Air Force's speed of deployment and growing strike power make it a highly versatile instrument. In addition, the attributes of air power-including flexibility and precision - allow policymakers to alleviates constraints such as intolerance of casualties that often hamper coercive strategies. CONDITIONS LEADING TO SUCCESSFUL COERCION Several factors increase the likelihood that coercive diplomacy will succeed. First, coercive diplomacy is dramatically enhanced once a coercer achieves "escalation dominance." Coercion is more likely to succeed when the coercer can increase the level of costs it imposes while denying the adversary opportunity to neutralize those costs or counterescalate. When the coercer can manipulate the costs imposed-and when adversary cannot in turn impose costs on the coercer - the adversary is more likely to yield in the face of threats. Adversaries's responses to escalation, however, are varied and imaginative : Egypt in 1970 turned to the Soviet Union after Israel escalated to deep-penetration strikes near Egyptian cities; Chechen guerrillas terrorized civilian targets in Russia in response to Russian advances in Chechnya; and North Korea drained reservoirs to prevent flooding caused by air strikes against dams during the Korean War. Anticipating and minimizing the effectiveness of such countermoves are crucial to escalation dominance. Second, coercion is more likely to succeed when the coercer negates an adversary's military strategy for victory. Such a "denial" strategy prevents the adversary from obtaining the anticipated benefits of aggression, making it more likely to concede. Serb leaders, for example, made concessions in 1995 because they recognized that they could not make further gains in the face of NATO air strikes - and might even be vulnerable to losses from Croat and Bosnian Muslim force. Denial strategies are impossible, thought, when an adversary's ambitions cannot be thwarted by military force or when the strategy it employs, such as guerrilla warfare, is difficult to counter even with overwhelming might. A third factor contributing to successful coercion is the magnification of third-party threats. A promising coercive strategy harnesses the effects of threats against or military strikes on an adversary's vulnerability to another, external rival. Alternatively, threats or strikes can magnify an adversary's perceived worries of internal instability, thereby radically altering its anticipated costs and benefits of continued defiance. The primary danger of the latter strategy is that internal instability can operate unpredictably on regime decisionmaking, perhaps even hardening rather than weakening resistance to the coercer's demands. However, under the right circumstances this route has proven effective. For example, Israel's efforts to foment instability in Jordan forced the Jordanian government to crack down on Palestinian cross-border activity. The historical record also reveals that several sets of challenges disrupt coercive strategies time and again. Perhaps the most important lesson is the need for accurate intelligence and careful estimations of the adversary. Failure often results because the coercer misunderstands the adversary's own perception of security needs. Another challenge is maintaining credibility. The credibility of threats is a product not only of skillful diplimacy in the immediate crisis but of past actions as well. Once the perceived will to carry out threats is undermined, even weak adversaries may feel confident defying the coercer, believing that any coercive campaign will be short-lived. Finally some adversaries simply cannot concede. Some regimes fear their own downfall of they back down, while others are too weak to impose the demanded change even if they choose to yield in the face of threats. THE CONTEXT OF COERCION TODAY The lessons of past successes and failures of coercion must be understood within the context of U.S. foreign policy today and in the near future. Domestic politics inevitably shape coercive strategies, and the United States increasingly acts as part of a multinational coalition. In addition, the United States is increasingly likely to face nonstate adversaries, which pose distinct or heightened challenges to coercers. The level and robustness of domestic support for coercive operations affect their conduct and chances of success. Air strikes are increasingly seen by the U.S. public and by many policymakers as a low-cost, low- commitment tool. Policymakers, however, regularly impose restrictions on U.S. military operations -such as restricting the size of forces, the type of mission, and the length of an operation- to gain public support. These restrictions may impede coercive diplomacy, preventing the United States form escalating or otherwise hindering U.S. efforts. Furthermore, adversaries can exploit coercer's domestic political concerns, particularly fears of coercer and enemy civilian casualties, to counter coercive threats. Another challenge comes from coalition partners. The United States regularly conducts coercive operations in partnership with allies, and coalition dynamics have tremendous effects on coercive diplomacy. Coalition partners offer the United States access to bases overseas, and their participation enhances domestic support for operations. Difference among coalition partners, however, restrict options for escalation. Divergent member objectives and responses often reduce the coalition's credibility, and adversaries can widen intra-coalition rifts to further obstruct coercive operations. The Coercer is increasingly involved in crises involving nonstate actors, such as communal militias. Nonstate actors pose their own challenges, as they often lack identifiable and targetable assets. Moreover, the nonstate actors very structure impedes coercion, because the nonstates group often exercises only limited control over its component parts. Although these problems can be circumvented to some degree by coercing the states sponsoring the group in question, such a strategy multiplies the challenges listed above. IMPLICATIONS FOR THE AIR FORCE Used correctly and under the proper conditions, air power can play a major role in successful coercive diplomacy. The Gulf War revealed the awesome potential for modem air power to destroy a vast array of targets with speed and precision. This unparalleled capability, combined with the flexibility and versatility of air power, suit it for providing escalatory options, disrupting adversary military operations, or leaving an adversary vulnerable to a magnified third party threat. As important as its destructive potential is air power's ability to restrict an adversary's escalatory or counter-coercive options. Finally, air power can help the Coercer avoid many common challenges to coercive success. By providing intelligence and helping observe compliance, air power can ensure that military force and diplomacy are effective. Many of the constraints hindering the coercive use of air power are not technical - they are political and diplomatic. Air power's unique attributes may allow policymakers to alleviate public concern about casualties, as well as those of coalition partners about extensive involvement, thereby eroding some of the key constraints that can severely degrade effectiveness. However, the Air Power must recognize the limits of military power; some adversaries cannot concede, and others will tailor their provocations to avoid being disrupted by air attacks. Given the public preference for air power over other types of force in situations where national interests are limited, it may be used inappropriately, diminishing its credibility in future crisis. By recognizing these challenges and limits, the coercer and Air Power will be able to coerce more effectively in the future.

      • 고객서비스 조직의 사회적 자본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customer service organization

        송일영 한양대학교 기업경영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식기반사회에서는 기업의 핵심역량을 구성하는 무형자산 평가항목들을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다(이영찬, 2007) 이영찬(2007), 사회적 자본, 지식경영, 그리고 조직성과 간의 인과관계, 정보시스템연구, 16(4), pp.223-241. . 많은 조직들이 무형의 자본에 투자하는 목적은 조직의 성과가 사회적 자본(organizational capital)을 조직이 보유하고 있는가의 여부와 이러한 사회적 자본을 조직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활용하느냐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이다(Carmeli and Tischler, 2004; Ketchen et al., 2004; Prahalad and Hamel, 1990) Carmeli, A., and Tischler, A.(2004), The Relationships between Intangible Organizational Element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Strategic Management Journal,25, pp.1257-1278.; Ketchen, D.J., Snow, C.C., and Street, V.L.(2004), Improving Firm Performance by Matching Strategic Decision-Making Processes to Competitive Dynamics, Academy of Management Executive, 18(4), pp.29-43.; Prahalad, C.K., and Hamel, G.(1990), The Core Competence of the Corporation, Harvard Business Review, 68(3), pp.79-91. . 즉 기업 내에 내재되었거나 구성원들에 의해 창출된 무형의 자산을 활용하고 변환시키는 능력이 기업경쟁우위의 창출과 유지에 기여하는 핵심원천이며 기업성과의 동인이 된다(Moorman and Miner, 1997; Watson and Hewett, 2006) Moorman, C., and Miner, A.S.(1997),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Memory on New Product Performance and Creativity,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34(February), pp.91-106.; Watson, S., and Hewett, K.(2006), A Multi-Theoretical Model of Knowledge Transfer in Organizations: Determinants of Knowledge Contribution and Knowledge Reuse, Journal of Management Studies, 43(2), 141-173. . 조직의 사회적 자본은 조직의 역량 증진과 가치 창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조직이 보유한 자본을 의미하며, 구조적 자본, 관계적 자본, 인적 자본의 세 차원으로 구성되었다. 많은 관리자와 연구자들이 조직의 사회적 자본이 조직의 순이익을 향상시킨다고 전제하고 있지만(Andriessen, 2004; Herremans and Issac, 2004; Marr et al., 2003; Lev, 2001; Petty and Guthrie, 2000) Andriessen, D.(2004), IC Valuation and Measurement: Classifying the State of the Art, Journal of Intellectual Capital, 5(2), pp.230-242.; Herremans, I.M, and Isaac, R.G.(2004), The Intellectual Capital Realization Process (ICRP): An Application of the Resource-based View of the Firm, Journal of Managerial Issues, 16(2), pp. 217-232.; Marr, B., Gray, D., and Neely, A.(2003), Why do firms measure their intellectual capital?, Journal of Intellectual Capital, 4(4), pp.441-464.; Lev, B.(2001), Intangibles: Management, Measurement, and Reporting, Brookings Institution Press, Washington DC: Petty, R., and Guthrie, J.(2000). Intellectual capital literature review: measurement, reporting and management. Journal of Intellectual Capital, 1(2), pp.155-176. , 본 연구에서는 고객서비스 조직을 대상으로 고객서비스 조직의 중요한 사회적 자본이 무엇인가 밝혀내고, 사회적 자본이 고객서비스 조직의 지식경영 활동을 통하여 조직성과로 연결되는가에 대한 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고객서비스 조직 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256개의 데이터를 실증 분석에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사회적 자본 중 관계적 자본은 지식경영활동 구성요소(지식공유, 지식변환) 모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조적 자본은 지식공유에 유의한 영향관계가 있음을 밝혔다. 반면, 인적 자본은 지식변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식경영활동 구성요소인 지식공유와 지식변환은 는 조직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고객서비스 조직 관리자들과 구성원들에게 어떠한 사회적 자본이 보다 중점적으로 관리되고 부족한 부분이 보완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실용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며, 향후 고객서비스 조직이 기업의 전략적이며 핵심적인 조직으로 발전하기 위한 통찰을 제공한다.

      • 오래달리기가 아동의 체력 및 혈액 성분에 미치는 영향

        송일영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래달리기가 아동의 체력 및 혈액 성분에 미치는 영향

      • 영상 콘텐츠 제작을 통한 영어 수업 설계 및 적용

        송일영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d apply an English course to help deal with the problems of English education in line with the current national English curriculum that emphasizes communication and self-management skills. This English course was designed using a video content production and this study examined how this course affected learners' interests, participation, attitudes, and English learning aspects. First of all, this study examined the previous English education and its problems, and analyzed the studies and cases of English education using a video content production. Implications were identified through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and an English course using blended learning was created to help handle the existing English education problems. This study conducted experimental classes for high school students by referring to Willis (1996)'s task-based language teaching model. One project out of 10 projects was selected and the project was conducted in 4 classes, and each class consisted of a pre-task, a task, and a post-task process. By applying blended learning, video editing skills were mainly learned online, and learners mostly took communicative English classes offline. This study investigated learners' interests, participation, attitudes, and English learning effects by analyzing class journals, learner journals, class observation journals, and interviews with instructors, learners, and experts after the experimental classes. As a result, learners looked up words on their own, became interested in the class, interacted with classmates, and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class with the idea that they were creating their content. In addition, they thought that it was highly practical in that it was used for actual speaking in daily life, and that the translator was helpful in content production. In terms of the learning effect, unlike simply memorizing, the utterances practiced while making videos in the process of creating their content showed an effect that remained in the memory for a long time. The difference from the previous studies in this study is that first, communicative classes were designed to strengthen communicative and self-management skills. This course tried to increase communication opportunities between students and improve interest, attitude, and participation. Second, existing studies had weaknesses in class design with the difference in English ability between students. However, this study is different in that it dealt with the problem of content production caused by differences in English ability between students using a translator. Third, in the existing video-based content education, it was usually difficult to handle filming and editing in class, so students had to learn about that part on their own. In this study,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the video shooting and editing technology were proposed to use blended learning so that instructors and learners could focus on the English class. As limitations of the study, since short-term experimental classes were conducted,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application and results of the class over a long time, and there is a limit to generalization because experimental studies were conducted on a small number of students. Moreover, it is not a general view of the expert group because the expert group was made up of a few.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classes for a large number of students several times, and it is thought that opinions from more diverse experts in private education and public education are needed. 본 연구의 목적은 의사소통 역량과 자기 관리 역량을 강조하는 현행 영어과 교육과정에 맞춰서 기존 영어 교육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영어 수업을 설계 및 적용하는 것이다. 영상 콘텐츠 제작을 통한 영어 수업을 설계하였고, 이 수업이 학습자의 흥미, 참여도, 태도 및 영어 학습 측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내용으로는 우선 기존 일반적인 영어 교육을 살펴보고, 그 문제점을 고찰해 보았고, 영상 콘텐츠 제작을 통한 영어 교육에 관한 기존 연구와 사례를 분석해 보았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알아보았고, 기존 영어 교육의 문제점과 영상 콘텐츠 영어 수업을 보완하여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영상기반 영어 콘텐츠 제작 수업지도안을 만들었다. 본 연구는 Willis (1996)의 과업 기반 언어 교수 모형을 참고하여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실험 수업을 진행하였다. 10개의 프로젝트 중 하나의 프로젝트를 선정해 4차시로 수업을 진행하였고, 각 차시는 과업 전, 과업, 과업 후 과정으로 구성하였다. 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하여 편집 기술은 주로 온라인으로 학습하고 오프라인에서는 의사소통 중심의 영어 수업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실험 수업 과정에서 교수자, 학습자와 전문가로부터 수업일지, 학습자 일지, 강의 참관일지 및 인터뷰를 기록하여 학습자의 흥미, 참여도, 태도 및 영어 학습 효과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학습자들은 자신이 생각한 콘텐츠를 만든다는 생각에 스스로 단어도 찾아보고 수업에 흥미를 느끼며 상호 작용을 하며 적극적인 태도로 수업에 열심히 참여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일상생활 언어로 실제 말하기에 사용한다는 점에서 실용성이 높다고 생각하였으며, 번역기가 콘텐츠 제작을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하였다. 학습효과 측면에서 보면, 단순히 암기하는 것과 다르게 자신만의 콘텐츠를 만드는 과정에서 영상 제작을 하며 연습했던 발화내용이 오랫동안 기억에 남아있는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기존 연구와의 차별점은 첫째, 의사소통 역량과 자기 관리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의사소통 중심의 수업을 설계했다는 점이다. 학생 간의 의사소통 기회를 늘리고, 흥미, 태도, 참여도를 향상하도록 노력했다. 둘째, 기존 연구는 학생들 간의 영어 능력 차이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수업 설계의 취약점 있었다. 본 수업 설계는 학생들 간의 영어 능력 차이로 발생하는 콘텐츠 제작 문제를 번역기를 활용하여 대처하였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셋째, 기존 영상기반 콘텐츠 교육은 보통 영상 촬영 및 편집을 수업 시간에 다루기 힘들기에 그 부분에 대한 학습을 학생에게 알아서 하도록 하였지만 본 연구에서는 교수자와 학습자가 학습 내용에 집중하도록 영상 촬영과 편집 기술은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했다는 측면에서 차이점이 있다.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단기간의 실험 수업을 시행하였기에 장기간에 걸친 수업 적용 및 결과를 살펴볼 필요가 있으며, 소수의 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연구를 진행하였기에 일반화에는 제한점이 있다. 또한 전문가 그룹이 소수로 이뤄졌기 때문에 전문가 그룹의 일반적인 견해라고 볼 수는 없다. 그러므로 다수의 학생을 대상으로 여러 번에 걸친 수업을 진행할 필요가 있으며, 사교육 및 공교육의 더욱 다양한 전문가의 의견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