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MTA계 근관충전재가 상아세관의 침투에 미치는 영향

        송일석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완벽한 근관의 밀폐는 근관 치료의 성공을 위한 중요한 요건 중 하나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근관 충전 재료는 gutta-percha이며, 생체 친화적인 근관 충전 재료로 개발된 MTA가 일부 임상 증례에서 사용되고 있다. gutta-percha와 함께 사용되는 sealer의 상아세관 내 침투와 관련된 많은 연구는 보고되고 있으나, MTA의 상아세관 내 침투와 관련된 논문은 거의 없다. 따라서 이번 연구의 목적은 MTA계 근관충전재가 상아세관의 침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건전한 50개의 사람의 단근치를 이용하여, 치관부는 CEJ까지 삭제하고 근관을 Profile system으로 #40.06까지 근관 확대, 성형하였다. 다음 기구로 넘어갈 때마다 2 ml의 5.25% NaOCl로 소독하고, 성형이 다 끝난 후에는 18% EDTA로 3분간 soaking하였으며, 1 ml의 5.25% NaOCl로 최종 세척하였다. 그리고 무작위로 10개씩 5개의 군으로 분류하였다. A군은 대조군으로써 AH-26 sealer, B군은 Angelus Fillapex MTA sealer, C군은 Portland cement, D군은 OrthoMTA, E군은 ProRoot MTA를 이용하여 근관충전 시행하였다. 근관충전 시행 후, 37℃, 100% 습도의 incubator에서 3일간 보관하였다. 각 시편을 주수하에 diamond disc를 이용하여 절단하였으며, 50~100% 에탄올 용액에 각 10분씩 탈수시키고, dessicator에서 24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그 다음에 gold-palladium으로 sputter-coating하고, 주사 전자 현미경(S-4300, Hitachi, Japan)을 이용하여 각 재료들이 dentinal tubule 내로 들어간 깊이를 관찰하였다. One-way ANOVA, Scheffe test를 이용하여 95% 유의 수준으로 통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도말층을 제거하고 난 후, Portland cement, OrthoMTA, ProRoot MTA 그룹의 입자들이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상아세관 내로 침투하였다. 2. OrthoMTA 그룹의 입자들이 particle type의 그룹들 중에서 상아세관 내로 가장 깊이 침투하였다. 하지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볼 때, MTA의 생체학적인 성질, 적합, 밀폐 능력과 관련하여 많은 임상적 관심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Success of root canal therapy requires a complete obliteration of the root canal system. The materials used widely for root canal filling is gutta-percha. A bioactive material, MTA (mineral trioxide aggregate) is used for root canal filling in some cases. Many researches have been performed to examine the ability of endodontic sealers to penetrate into dentinal tubules by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analysis. However, little study has been reported on tubular penetration of MTA. The purpose of this in vitro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root canal filling material composed of MTA on tubular penetration. Fifty recently extracted human single-rooted teeth were used in this experiment. The teeth were decrowned at the CEJ. The canals were instrumented to an apical ISO size of #40. 2 ml of 5.25% solution of NaOCl were used for irrigation prior to the insertion of each instrument. Each root canal was soaked with 18% EDTA for smear layer removal for 3 minutes followed by a final flush with 1 ml of 5.25% solution of NaOCl and then was dried with paper points. Before obturation, the samples were randomly divided into five groups of ten teeth each according to the canal filling materials used. AH-26 sealer and gutta-percha were used in group A, as a control group, Angelus Fillapex MTA sealer and gutta-percha were used in group B, Portland cement was used in group C, OrthoMTA was used in group D, and ProRoot MTA was used in group E. After obturation, all groups were stored in 100% humidity at 37℃ for 3 days in a incubator. Then, each sample was sectioned longitudinally using a diamond disc and placed in a small vial and dehydrated in series of 50-100% ethanol solutions for 10 minutes each. The specimens were then dried in a dessicator for 24 hours. Specimens were coated with gold-palladium and scanned under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depth of tubular penetration was examined through SEM images. A statistic 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whether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Below shows the results of this study. 1. After smear layer removal, particles of Portland cement, OrthoMTA, ProRoot MTA groups penetrated into the the dentinal tubules though there are some differences. 2. Particles of OrthoMTA groups penetrated into the deepest depth of the dentinal tubule among groups with particle type of materials 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is result might arise a considerable clinical interest because it concerns the bioactive properties, adaptation and sealing ability of the obturating materials.

      • 파노라마방사선영상에서 딥러닝에 기반한 치근단 병변의 세그먼테이션

        송일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1. 목 적 심층 신경망(deep neural network)은 의학 및 치의학 연구 분야에서 가장 유망한 인공지능 중 하나로 급부상하였으며, 이를 통해 질병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효과적인 진단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CNN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파노라마방사선영상에서 치근단 병변을 세그먼테이션 하는 능력을 평가하는 것이다. 2. 방 법 치근단 병변을 가진 총 1000장의 파노라마방사선영상을 학습(n=800, 80%), 검증(n=100, 10%), 테스트(n=100, 10%) 데이터 세트로 각각 분류하였다. 파노라마방사선영상은 ResNet50 모델을 이용하여 일정한 크기로 절단된 영상을 학습에 사용하였으며, 학습은 시맨틱 세그먼테이션 방법의 대표적인 모델인 U-Net 모델을 이용하여 진행되었다. 치근단 병변을 확인하는 성능은 IoU 임계값에 따른 precision, recall, F1-score 값을 계산하여 평가하였다. 3. 결 과 IoU 임계값 0.3에서 180개의 병변 중 147개의 병변이 검출되었다. F1-score는 IoU 임계값 0.3, 0.4, 0.5에서 각각 0.828, 0.815, 0.742으로 확인되었다. 4. 결 론 이번 연구에서 치근단 병변의 감지 및 진단을 위한 딥러닝의 잠재적 유용성이 확인되었다. U-Net 알고리즘은 파노라마방사선영상에서 치근단 병변을 감지하는 데 상당히 좋은 성능을 제공하였다. Objectives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CNNs) have rapidly emerged as one of the most promi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in the field of medical and dental researches, which can provide an effective diagnostic methodology allowing for detection of diseases at early age. This study was, thus, aimed to evaluate performances for periapical lesion segmentation from panoramic radiographs using a deep CNN algorithm. Material and Methods A total of 1000 panoramic images showing periapical lesions were separated into training (n=800, 80%), validation (n=100, 10%), and test (n=100, 10%) dataset, respectively. All panoramic images were cropped using ResNet50 network. U-Net, representative network of semantic segmentation, was adopted for this study. The performance of identifying periapical lesions was evaluated after calculating precision, recall, and F1-score under specific IoU threshold. Results In the test group of 180 periapical lesions, 147 lesions were segmented from panoramic radiographs under IoU threshold of 0.3. The performance value of F1-score were 0.828, 0.815, and 0.742, respectively, under IoU threshold of 0.3, 0.4, and 0.5.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e potential utility of deep learning-guided approach for the segmentation of periapical lesions. The deep CNN algorithm using U-Net allows for a considerably high performance in detecting periapical lesions.

      • 시멘트 基礎法에 의한 重金屬 廢棄物 固化處理時 液狀硅酸소다의 役割

        송일석 建國大學校 産業大學院 1993 국내석사

        RANK : 247631

        Solidification/Stabilization of inorganic wastes is an alternative of hazardous waste treatment when the wastes are not recyclable. Cementbased solidification processes are the most commoly used techniques for the heavy metal wastes. There are several additives for the processes, which are soluble sodium silicate, clays fly ash, and kiln dust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ole of soluble sodium silicate on the leachability of heavy metals from cement-based solidified wastes. Two types of waste-one which contains copper and the other which contains lead were used, compressive strength measurement and SEM were conducted to examine any physical charactericties of the solidified wastes. Leachability of copper and lead from the waste solidifid with soluble sodium silicate was much less than that from the waste solidified without sodium silicate. The results of SEM indicated that this phenamena were due to the less pore space created by the soluble sodium silicate in the solidified wastes. However,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wastes solidified using sodium silicate was less then that of the wastes solidified without sodium silicate.

      • Fe2O3 불순물 방지막과 Na이 도핑된 CIGS 박막형 태양전지 특성에 관한 연구

        송일석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chalcopyrite solar cells have become a subject of special interest and it has been focused to develop low-cost processing with high quality Cu(In,Ga)Se2 (CIGS) absorber films. Direct current (DC) magnetron sputtering is an attractive process because it is easily scalable using commercially available deposition equipment and can provide good uniformity over large areas with a high deposition rate. In the two stage process by sputtering, the non-uniform composition of CIGS absorber along the depth is demonstrated successfully. The presence of Na in Cu(In,Ga)Se2 (CIGS) is well known to improve the solar cell performance. To incorporate Na into the CIGS absorber, Na-doped Mo (Mo-Na) back contact layers were grown on stainless steel foils. Three different back contact designs deposited from Mo-Na sputtering targets with Na concentrations of 5 at.% was investigated. A multistage CIGS evaporation process at low (~600 °C) substrate temperature was used to deposit the absorbers Measurements from time-of-flight secondary ion mass spectroscopy depth profiles indicate that Na is preferentially collected at the internal interfaces and out-diffuses from the grain boundaries of the multilayer Mo-Na back contact into the CIGS absorber. From the [Ga]/([In]+[Ga]) grading profiles, a more pronounced Ga dip was found with increasing Na concentration. Moreover, at high Na concentrations , a change in the CIGS texture was observed by X-ray diffraction (XRD), energy dispersive spectroscopy (EDS),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 Best solar cell efficiency of 6.2% was achieved for the 5 at.% Mo-Na sample without antireflective coating.

      • 歷史的 變遷에 따른 環境美術의 硏究 : 목포시 환경조형물을 중심으로

        송일석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환경조형물은 작가라는 특정한 개인이 만들고 특정한 개인이 소유하게 되는 예술품과는 그 특성이 다르다. 환경조형물은 조형물이 사회 속에서 확장된 개념으로 심미적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는 조형물로서의 기능과 시민의 정서를 안정시킬 수 있다는 측면에서 유용한 물건으로서의 의미를 동시에 갖고 있다. 그래서 다수가 공유하는 환경조형물은 조형물이 갖는 추상성보다는 다수가 공감하는 합리성이 요구된다. 또한 환경조형물은 환경으로서의 자연과 조화를 이루면서 유기적인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 미술사적으로 살펴보면 문명이 발달하지 않은 미분화된 사회에서는 조형물이라는 개념이 없었다. 그 사회에서 보여지는 대부분의 물건들은 신을 숭배하기 위한 예배의 대상이었거나 생활의 일용품이 대부분이다. 문명과 문화가 발달하면서 인간의 자연스러운 심미적인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순수예술품이 생기게 된다. 오랫동안 지속하던 농경사회를 지나 산업사회로 접어들게 되자 도시라는 새로운 환경이 나타나게 되고 이 새로운 환경을 가꾸기 위해서 조형물로서의 기능과 의미와 확장된 또 다른 조형물이 나타나는데 그것이 환경 조형물이다. 도시와 인구의 양적 팽창으로 인한 도시의 역기능은 여러 가지 부작용을 낳는다. 도시의 환경조형물 에서도 이런 도시화로 인한 역기능이 마찬가지로 나타난다. 환경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거나 반영하지 않은 환경조형물은 환경을 미화시키기 보다는 심지어는 환경의 저해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하였다. 환경조형물로 인한 많은 문제들을 풀기 위해서는 한국의 전통사회가 가졌던 여러 가지의 장점을 고려하므로 써 그 해결을 위한 방안을 모색할 수 있었다. 한국의 전통사회가 그렇게 오랫동안 한국의 자연과 친화관계를 유지하면서 한국의 특유한 미감을 전달할 수 있었던 것은 한국인의 의식 속에 면면히 흐르는 풍수지리라는 지혜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하였던 것이다. 풍수지리의 사상은 한국에서 오랫동안 형성된 유교, 불교, 그리고 도교사상과의 연장선 속에서 볼 수 있다. 한국의 전통사상은 무량수전 같은 고건축과 탑과 솟대 그리고 불상 등의 많은 민족적 유산을 낳게 하고, 거기서 한국인이 자연과 유지하려 하였던 자연친화사상 즉, 주변과의 조화관계에서 실마리를 찾아 볼 수 있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목포시의 도시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므로 목포시의 도시환경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그 과정에서 드러난 것은 목포시의 도시환경 조형물의 문제는 한국의 환경조형물의 문제와 크게 다르지 않았고 그것들은 서로가 맞물려 있음을 알게 되었다. 첫째는 목포시의 대부분의 환경조형물은 그 놓여진 위치가 적절하지 못하여 그것은 장소성을 획득하지 못하고 도시민으로 하여금 충분한 감상의 기회를 제공하지 못한다. 둘째는 목포시의 환경조형물은 전국 어디서나 볼 수 있는 환경조형물의 재료와 기법으로 된 것이 대부분으로 목포시의 지역적 특성을 적절히 들어내지 못했다. 셋째는 환경조형물의 제작과 설치는 그 성격상 예술품과는 다르게 합리적으로 운용되어야 하는데 그 운용의 투명성을 찾아보기 힘들었다. 넷째는 환경조형물을 만드는 것은 작가라는 개인이지만 그것을 소유하는 것은 시민들이라는 다수이다. 그러므로 시민들은 환경조형물에 대한 주인의식을 갖고서 적극적인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이러한 환경조형물의 문제들을 개선하기 위해서 환경조형물의 사례들을 연구하였다. 첫째 외국의 사례연구에서는 구미의 도시가 오랜 기간 형성되었듯이 그 문화의 일부로서의 환경조형물은 오랜 기간 동안 형성되어 그것은 마치 도시의 일부분과 같았다. 그래서 목포시의 환경조형물의 제작과 설치는 단기간에 이루어지는 것보다는 점차적으로 장기적 계획 하에 진행되어야 한다. 그 일을 위하여 작가와 시민과 행정가 그리고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환경예술품 연구위원회의 구성을 요구한다. 둘째 포스코 경영 정보센터의 사례연구에서는 그 건물의 조형물 제작과 설치를 위한 운영의 예에서 보듯이 그 모든 일은 일관성 있고 합리적으로 운용되어야 한다. 셋째 광주광역시 북구청 벽화의 사례연구에서는 환경조형물은 개인과의 관계가 있는 조형물과는 다르게 다수의 시민이 바라보는 것이다. 그러므로 시민들의 관심을 반영하고, 시민들을 위하고, 시민들의 요구를 반영하는 것이어야 한다. 넷째 ‘98 민족극 한마당’ 야외무대의 사례연구에서는 목포시의 환경조형물은 반드시 목포시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목포시의 이미지의 부각과 창출을 위한 것이어야 한다.

      • 가로림만 점착성 퇴적물의 침강특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송일석 전북대학교 산업기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quantitative estimation of settling properties of mkuddy cohesive sediments are very essential in the study of ocean pollutions as well as depositions. Settling properties of muddy cohesive sediments are influenced largely by aggregation which occurs as a consequence of interparticle collision and cohesion of particles. Since the degree of cohesion of cohesive sediments depend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such as grain size distribution, percentage of organic materials, mineralogical compositions etc. The settling properties of cohesive sediments for a specific site should be determined through field or laboratory experiments. Therefore, the study on settling properties of cohesive sediments had been carried out mainly experimentally, attached importance to development of experimental device. In this study, the settling velocity of cohesive sediments from Garolim Bay is estimated quantitatively. Five settling tests for Garolim sediments have been carried out on different concentration using settling column. Also, physico-chemical properties such as grain size distribution, the percentage of organic contents, mineralogical composition etc. are measured in this study in order to examine their correlation with settling velocity and their effect on settling velocities. Experimental results from settling tests show that the settling velocity of Garolim Bay sediments vary in the range of two orders of magnitude (from 0.007 to 2.5 mm/s) over the corresponding concentration range of 0.1 to 90 g/L. And the feature of settling velocity profile is quite different in quantity as compared to those of previous studies for muds from other regions. Particularly in the flocculated settling region, settling velocity for Garolim Bay is larger than that of Gunsan and Saemankeum sediments, it is less than that of Okeechobee sediments. While in the hindered settling region, settling velocity for Garolim Bay is larger than all three sediments. It is concluded that magnitude of settling velocities of cohesive sediments can be quite different regionally depending on i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It means that field or laboratory experiments for settling velocity measurement should be preceded over the numerical modeling of cohesive sediment transport in order to obtain the reliable prediction results for a given specific site.

      • Implementation and analysis of the embedded master for EtherCAT

        송일석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산업 환경에서 이더넷 기반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점차 많이 쓰이고 있다. 고속, 고성능, 통신거리의 증가 그리고 더 낳은 상호 운영성이라는 이점들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실시간 성을 보장하기위해 이더넷의 몇 가지 기술들이 산업용 이더넷 프로토콜에 적용되고 있다. 이 논문은 임베디드 시스템 기반의 EtherCAT 마스터의 네트워크 성능을 분석하였다. 네트워크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통해 임베디드 시스템에서의 네트워크 성능 특징을 측정하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다른 요소들이 어떻게 네트워크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 수 있다. Ethernet-based network protocol is widely using in industrial environments. Its advantages include high speed, high performance, operating over long distances, and better interoperability. A number of techniques are used to implement the Ethernet protocol for the needs of industrial processes that must provide real time processes. This paper analyses network performance of an Embedded system based master using EtherCAT. The network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the Embedded systems are compared by looking into the factors affecting their performance in a network system. This may determine reasons why network performance differs between fa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