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로부스타 커피 블랜딩 비율에 따른 커피의 관능특성과 소비자 커피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송인영 숭실대학교 경영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47

        Robusta is one of coffee that has a commercially highest value in the world as well as arabica. The economic benefits of Robusta coffee has been based on its mechanized production, resistance to disease, cheap price and high extraction . However, the gap of price between Robusta and Arabica because Arabica has the sweeter and more acidic character in the flavor profile, has been wider in the last few years. Consequently, Robusta has been considered as an arabica substitute in terms of price. However, according to the paper of Pacetti et al.(2012), there was described that south Italian has been using Robusta coffee due to its sensory character as well as an economc benefit. In addition, the research paper of Mendes and Menezes(2001) showed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100% Arabica and 50% Robusta blending. Meanwhile, the coffee market of South Korea has been formed uniquely as the instant coffee based on Robusta has 89% in a total coffee market. Vietnam which is the largest green bean exporter country in south Korea and the largest Robusta coffee producer country in the world has 33.3% among a total imported green bean in south korea. In spite of a lasting demand for Robusta and this unique market, Robusta coffee has been considered as a low quality coffee with its economical advantages only. Manufacturers have been using a high-quality coffee strategy due to an excessive competition in domestic coffee market, they have been using the catchphrase based on using high-quality 100% Arabica coffee only with the negative perception of Robusta coffee. Because of the phenomenon of blindness preference of Arabica and negative perception of Robusta, there is even the overemphasis of arabica coffee in domestic research. Therefore, this study puts the purpose to raise the awareness and correct use of Robusta, which is underestimated in our country. Also this study aims at a survey of consumer preference of Robusta blend, investigates the sensory quality characteristics of Robusta and provides the basis of coffee blending in our coffee industry. Five different blends with Arabica and Robusta have been used on a sensory test on expert panel group and consumer panel group. (arabica 100%, Arabica 75%+Robusta 25%, Arabica 50%+Robusta 50%, Arabica 25%+Robusta 75%, Robusta 100%) There has been carried out the study of the sensory characteristics by expert panel group and coffee assessment by consumer panel group . For the sensory evaluation by expert panel, the UCDS ROBUSTA RINE CUPPNG FORM and SCAA COFFEE CUPPING FORM have been used. In result, some sampl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ome categorie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100% Arabica coffee and 50% Robusta blend coffee. In the survey of consumer preference, it has been used crossetabulation analysised with answers of questions ; frequency of drinking, preference type of coffee, frequency of visiting a coffee shop, gender, age, occupation except the educational level, average monthly income, marital status. The study of a total consumer preference, the preference of robusta and Arabica coffee blends was higher than 100% Arabica and 100% Robusta. The blending of 75% + 25% Arabica Robusta took the highest preference. Two or more a day drinkers took the biggest portion in this survey one cup a day, 3-4 cups a week were followed. two or more cup a day drinkers prefered 50% Robusta. one cup a day prefered 75% Robusta. 3-4 cups a week prepered 25% Robusta. In a result of coffee preference survey,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visiting coffee shop, the less visiting coffee shop, the more preferring high Robusta blend. Roasted coffee took the most preference type of coffee in this survey. then both of roasted coffee and instant was followed by instant coffee. Roasted coffee drinkers prefered Robusta 25%. instant coffee and roasted coffee drinkers prefered Robusta 75%. instant coffee drinkers prefered Robusta 100%. This indicates that consumer who drinks instant coffee frequently has been accustomed to the taste of Robusta coffee. In a result of coffee preference survey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visiting coffee shop, the less visiting coffee shop, the more preferring high Robusta blend. Answer of 1-2 times a week was the most frequency of visiting a coffee shop. 3-4 times a week, 2-3 times a month, once a month or less, one or more times a day became followed. The layer of visiting 1-2 times a week and 3-4 times a week showed the preferences of 25% Robusta. The layer of visiting 2-3 times a month and once a month or less showed the preferences of 75% Robusta. In the gender, there was a significant tendency to prefer robusta coffee by female consumers compared to male consumers. In the age, consumer of older age group tended to prefer Robusta coffee. In the occupation, housewife group tended to prefer Robusta coffee. Because of increasing accessibility to instant coffee, they might prefer Robusta coffee. From abov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of expert panels, the blending ratio of Robusta coffee does not destroy the sensory properties of the quality of 100% Arabica coffee beverage up to 50%, that does not show the difference in the quality of coffee. On the other hand, in the study of consumer preference, unlike the evaluation of expert panel, Korean consumers who accustomed to the taste of instant coffee, showed high preference for 50% or more blend which is blended with 75% Robusta. This showed consumer could not perceive the difference from negative flavor of Robusta coffe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a potential of Robusta coffee in the market of a coffee blending. The bottom line is that a blended coffee with a proper ratio of Robusta may not significantly destroy the sensory properties of arabica and may increase extraction yields and reduce cost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provide an understanding of the korean consumer preference and the correct recognition 로부스타는 아라비카와 함께 전 세계적으로 가장 높은 상업성을 지니고 있는 커피품종이다. 로부스타 품종이 지닌 질병에 대한 저항력과 기계화 생산, 낮은 가격, 그리고 높은 추출율 등의 특징은 로부스타 커피의 경제적 이점을 뒷받침하는 근거가 되었다. 그러나 단맛과 산미, 다양한 향미 프로파일로 기술되는 아라비카의 높은 가격책정에 의해 두 종 간의 가격 차이는 지난 몇 년 동안 크게 확대되었고 이 결과로 로부스타는 가격적인 인센티브를 위해 아라비카 커피를 대체하는 커피로 사용되곤 했다. 그러나 Pacetti 외 3인(2012)의 논문에서 언급하듯, 이탈리아 남부지역에서는 커피 블랜딩 시 로부스타를 단지 경제적 이득이 아니라 관능적인 특성을 선호하여 사용한다고 기술한 바 있다. 또한 Mendes and Menezes(2001)의 연구논문에서도 블랜딩에 로부스타를 50%까지 사용하더라도 100% 아라비카를 사용한 그것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한편 한국은 로부스타를 기반으로 한 인스턴트커피가 전체 커피시장의 89%를 차지하는 매우 독특한 형태의 시장이다. 세계 최대 로부스타 커피 생산국인 베트남은 국내 최대 생두수입 대상국으로 국내 생두 수입 총량의 33.3%를 차지하고 있다. 국내의 이러한 독특한 시장구조와 꾸준한 수요에도 불구하고, 로부스타 커피는 단순히 상업적 이점을 가진 저급한 커피로 인식되어져 왔다. 국내 커피시장의 경쟁심화에 따라 업체들은 고급커피 전략을 취하고 있으며, 100% 고급 아라비카를 사용한다는, 로부스타 커피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기반으로 한 캐치프라이즈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로부스타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아라비카에 대한 맹목적인 선호현상으로 국내 연구에서도 아라비카 커피에 대한 편중 현상이 나타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에서 저평가 받고 있는 로부스타 커피에 대한 인식 제고와 커피 블랜딩에서 로부스타의 올바른 사용과 인식 제고에 목적을 둔다. 이에 로부스타의 관능적 품질 특성을 조사하고, 국내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로부스타 블랜드 커피의 선호도 조사를 통해 한국 소비자의 로부스타 커피에 대한 인식 및 로부스타 블랜드 커피 선호도에 대한 결과를 얻어내 커피 블랜드의 한국적 기초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아라비카-로부스타 커피를 5가지 비율(아라비카 100%, 아라비카 75%+로부스타25%, 아라비카 50%+로부스타 50%, 아라비카 25%+로부스타 75%, 로부스타 100%)로 블랜딩하여 전문가패널에 의한 관능특성 연구와 소비자패널에 의한 커피 선호도 연구를 실행하였다. 전문가패널의 관능평가에서는 SCAA COFFEE CUPPING FORM과 UCDA ROBUSTA FINE CUPPING FORM을 이용하였으며, 각 샘플별로 일부 평가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로부스타가 50%까지 블랜드 된 샘플은 100% 아라비카 샘플과 동일한 품질의 커피로 평가되었다. 소비자 선호도 평가에서는 전체 소비자 선호도 조사와 함께 커피 음용횟수, 즐겨 마시는 커피, 커피 전문점 방문 횟수, 성별, 연령, 직업의 각 설문문항과 선호하는 커피를 교차분석 하여 선호요인을 알아보았으며 학력, 월 평균 소득, 결혼 여부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얻을 수 없어 제외하였다. 전체 소비자 선호도 조사에서는 아라비카 100%, 로부스타 100%에 비해아라비카와 로부스타가 블랜드 된 커피의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아라비카 25% + 로부스타 75%에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커피 음용횟수에 따른 선호도에서는 하루 2잔 이상 마신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하루 1잔, 일주일에 3-4잔이 그 뒤를 이뤘다. 하루 2잔 이상 마신다는 응답자는 로부스타가 50% 블랜드 된 커피를, 하루 1잔 마신다는 응답자는 로부스타가 75% 블랜드 된 커피를, 일주일에 3~4잔 마신다는 응답자는 로부스타가 25% 블랜드 된 커피를 선호했다. 선호도 조사에서 커피 음용 횟수가 적은 응답자들의 경우 커피 전문점에서 원두커피를 즐겨 마시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로 인해 로부스타 블랜드 비율이 높은 인스턴트 믹스커피의 맛에 상대적으로 길들여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즐겨 마시는 커피에 따른 선호도에서는 원두커피, 인스턴트와 원두커피, 인스턴트커피 순으로 즐겨 마시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원두커피를 즐겨 마시는 응답자는 로부스타가 25% 블랜드 된 커피를, 인스턴트와 원두커피를 즐겨 마시는 응답자는 로부스타가 75% 블랜드 된 커피를, 인스턴트커피를 즐겨마시는 응답자는 로부스타 100%인 커피를 선호했다. 이는 인스턴트커피를 즐길수록 로부스타 커피의 맛에 익숙해져 있음을 보여준다. 커피 전문점 방문 횟수에 따른 선호도에서는 일주일에 1-2회, 일주일에 3-4회, 한 달에 2-3회, 한 달에 1회 이하, 하루 1회 이상의 순으로 응답했으며 일주일에 1-2회, 일주일에 3-4회 방문 한다는 응답층은 로부스타가 25% 블랜드 된 커피를, 한달에 2-3회, 한 달에 1회 이하로 방문 한다는 응답층은 로부스타가 75% 블랜드 된 커피를, 하루 1회 이상 커피전문점을 방문한다는 응답층은 로부스타가 블랜드 된 커피 전체에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커피 전문점 방문 횟수에 따른 소비자들의 커피 선호도 조사의 결과

      • 영국과 한국의 공기업 민영화에 관한 비교 연구

        송인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영국은 1979년 대처 정부 이후 의욕적으로 민영화를 추진하였다. 영국이 대대적인 민영화에 성공한 이후, 민영화는 전세계적인 조류가 되었고, 때마침 김대중 정부가 집권하게 된 한국에서도 본격적인 민영화를 추진하게 되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영국의 민영화를 그 배경 및 방식, 경과 및 성과 등으로 나누어 포괄적으로 고찰하고, 한국의 민영화도 같은 맥락에서 살펴본 뒤, 두 국가의 민영화에 대한 비교 및 평가를 내리는 것이다. 이를 위해 민영화를 분석하는데 사용되는 이론중 주인-대리인 이론과 공공 선택 이론을 선택하였다. 영국은 1970년대 후반 케인즈주의적 복지 국가의 한계가 드러남에 따라 이를 극복하기 위해 신자유주의적 정책을 추진하게 되었다. 그 대표적인 것이 민영화이다. 영국의 민영화는 이전의 복지 국가적 성격으로 인해 국민주 방식과 종업원 지주제를 채택하여 대중 자본주의를 실현하려는 가시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는 노동 세력을 소유주로 변화시켜 보수당에게 정치적 이득을 가져다 주었지만 기업의 소유권은 여전히 대주주에게 속하여 소유권의 완전 이양을 통한 경제적 이득까지 이루게 되었다. 한국의 경우 1980년대 이후 대내외적 여건의 변화와 이에 따른 경제의 개방화, 자유화 및 정부 규제의 완화라는 시대적 요청으로 인해 민영화가 본격화되었다. 그러나 영국에서와 같은 국민주 방식은 큰 효과를 거두지 못했다. 그 이유는 먼저 한국이 다른 국가들보다 더 강한 중앙 집권적 성격을 띠고 있는 것에 기인한다. 즉, 국가가 여전히 공기업에 대한 정치적 세력을 유지하려고 노력한다는 것이다. 또한 한국의 경우 대부분의 공기업이 비효율성을 지니고 있었던 영국과 달리 높은 수익을 올리고 있던 공기업이 상당수 존재했다. 따라서 민영화 대상 공기업에 대한 신중한 검토가 없었던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이러한 이유로 한국의 민영화에 대해서는 보다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하며 영국의 민영화를 모방한 것이 아닌 한국적 민영화가 더욱 절실히 요구되는 것으로 보인다. The Great Britain pursued the privatization powerfully since Margaret Thatcher started ruling in 1979. After Britain succeeded in the nation-wide privatization, it has become one of the significant world-wide trends. South Korea is not an exception, so president Kim, Dae-jung is planning to privatize most of public enterprises.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go over the backgrounds, methods, process and results of the privatization in Britain and then also in Sou th Korea. It is ultimately aimed to compare both countries with each other.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paper chose two of the theories used to analyze privatization, that is, the Principal-Agent Theory and the Public Choice Theory. In the late 1970s, as it reached the limit of the Keynesian welfare state, the Great Britain turned to the Neo-liberalism. The most outstanding policy of the Neo-liberalism is the privatization. Since Britain had been a welfare state, it tried to realize the public capitalism by selecting public stock offering and management-employee buy-out (MEBO) as methods. The labor class changed into the small owners but the ownership still existed. As a result, the Conservative party attained both political and economic profit. In case of South Korea, the government has driven the privatization since 1980s, with the change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situation, the economic openness and lessening of government regulation. However, it proved that the public flotation was not as effective as in Britain. This resulted from that South Korea's power structure has been heavily centralized. In other words, the government it self still tried to maintain the political influence on public enterprises. Moreover, several enterprises made high profit in South Korea while most of them were in effective in Britain. Consequently, it is one of the obstacles not to have considered the objects of the privatization. For these reasons, it seems that it is better to develop South Korea's own style of privatization, not a simple imitation of that of the Great Britain.

      • 성화죽음준비교육이 축복가정의 죽음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대구가정교회를 중심으로

        송인영 선문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성화죽음준비교육이 축복가정의 죽음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대구가정교회를 중심으로- 선문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송 인 영 지도교수 : 오 규 영 본 연구의 목적은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에서의 죽음 즉, ‘성화(聖和)’죽음을 아름답게 맞이하도록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축복가정들에게 진행함으로써 죽음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신앙교육과제로 적용하는데 있다. 죽음준비교육은 지상에서 삶을 살면서 제2의 출생인 죽음에 대하여 긍정적인 태도로 죽음을 준비하도록 돕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진행하였다. 먼저 제1장에서 연구배경, 목적, 방법과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대구가정교회 축복가정으로 범위를 제한하였다. 제2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인 죽음과 죽음준비교육에 대하여 이해하고, 가정연합의 성화죽음 이해, 성화식의 의미와 역사, 성화죽음준비교육 목표, 필요성 등을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성화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대구교구 3개 교회(대구가정교회, 수성가정교회, 달성가정교회) 식구를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하였다. 개인 특성을 성별, 국적, 연령, 신앙경력으로 구분하여 독립변인으로 설정하고, 종속변인으로써 죽음태도와 죽음준비교육 필요성에 대하여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하고, 요구된 내용을 성화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삼았다. 요구된 내용은 성화식 의미와 절차, 성화식 준비, 유언 및 법률 절차, 타종교 장례식, 죽음과 인생회고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개발은 측정된 결과를 바탕으로 30대 이상의 성인을 교육대상으로 하여 아래와 같이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첫째,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 내용은 4가지 주제영역(원리·종교, 문화·사회, 심리·정신, 의학·법적)으로 구성하였다. 둘째, 교육대상은 축복가정으로 한국인과 일본인으로 하였다. 셋째, 프로그램 실행은 PPT 강의 및 동영상 시청, 그리고 집단 활동(토론, 역할극)과 발표식으로 진행하였다. 성화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 실행의 구체적인 내용 및 절차는 다음과 같다. 제1회기는 ‘마음열기’로 아이스 브레이크, 교육목적, 일정소개, 제2회기는 ‘인생여행’으로 인간발달 단계, 원리적 성장기간(3단계 삶) 이해, 제3회기는 ‘죽음이해’로 죽음과 종교적 이해, 원리적 사후세계(제2의 출생), 제4회기는 ‘아름다운 죽음’으로 죽음에 이르는 과정, 아름다운 죽음, 원리적 죽음과 삶, 제5회기는 ‘용서와 화해’로 내면아이 발견 및 치유, 사별과 상실 치유, 제6회기는 ‘죽음과 법률’로 상속과 유언, 사전의료 의향서, 기타(장기기증), 제7회기는 ‘성화준비’로 타종교 장례식, 성화식의 의미, 성화식 준비내용, 제8회기는 ‘나의 성화식’으로 성화식 절차, 입전예배 체험, 그리고 프로그램 평가를 하였다. 제4장에서는 교육의 효과성을 측정하여 죽음태도의 요소인 죽음이해, 불안감 정도를 평가하고, 교육의 필요성, 교육 만족도에 대하여 설문지 조사도 하였다. 가설에 대한 분석결과는 독립변인에 상관없이 죽음이해도가 높아졌고, 죽음불안감이 감소되었으며, 성화죽음준비교육 필요성이 전체적으로 높아졌다. 죽음준비에 대한 정보 획득과 죽음대처능력이 향상되었다는 긍정적 답변이 나왔다. 따라서 성화죽음준비교육을 통하여 축복가정들의 죽음태도에 대하여 긍정적이고 의미 있는 결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대구가정교회 축복가정으로 특정 집단으로 진행했다는 점에서 효과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통일원리를 알고 있는 축복가정들에게 성화죽음준비교육은 죽음태도에 대하여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볼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한다. 첫째, 성화죽음준비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인지하여 교회현장에 확대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둘째, 더욱 활발한 죽음준비교육 연구와 영적성장을 위한 단계별 세부적이고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연구가 요구된다. 셋째, 보다 거룩하고 의미 있는 성화식을 맞이하기 위하여 성화죽음준비교육 실행과 함께 경험을 가진 전문지도자의 양성이 필요하다. 넷째, 성화죽음준비교육은 보다 성숙된 삶을 제공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이어야 하므로 법률, 건강 등 전문적 분야와 협력체계를 갖출 수 있기를 바란다. 다섯째, 가정연합의 사회복지 차원에서 성화죽음준비교육의 모델이 필요하다.

      • 김영숙의 통합피아노교수이론에 근거한 초급 피아노 지도방안 연구 : 베스틴 교재를 중심으로

        송인영 가천대학교 음악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A Study of Piano Teaching Method for Beginners on Kim' s Piano Pedagogy Integration Theory - Focusing on Bastien Piano Series - Song In Young Master's Degree of Piano Pedagogy Graduate School of Music Gachon University Thesis Advisor: Professor Kim Young Sook The objective of music education is to develop the musical talent of individual student and nurture one's heart in music deeply and extensively. The ideal growth in music ought to be balanced in both talent and heart. Therefore piano education is not only acquisition of skill but it should have purpose on developing the students' potential with internal growth in music. I searched for new textbooks that are oriented towards comprehensive musical development of theories of the twentieth century with the newest teaching methods. Unfortunately, there were none that pursues balanced development of musicality and one's inner growth. Since I started Piano Pedagogy course in graduate school of Gachon University, I have been interested in Professor Kim's Piano Pedagogy Integration Theory and it motivated me to study about integrated piano teaching method for beginners. There are teaching materials with relatively various types of tonality being used in Korea and I have chosen Bastien Piano Basic for my study because the exercise of each tonality is systematic and the contents and composition are comprehensive which make it suitable to apply to Kim's theory. In this thesis, I am going to suggest the efficient elementary level teaching method for balanced musical growth with application of Bastien Piano Basic. As proving the development of Center of Being takes years, I took an approach to it with four axes instead. And that are Inner Listening, Sense of Rhythm, Technique, and Musical Language based on Center of Being. The procedure of the study is as below. First, I have examined elementary level piano teaching method in Professor Kim's Piano Pedagogy Integration Theory and music educationalist, James Bastien's book, How to Teach Piano Successfully. Second, I have examined the composition, contents and features of Bastien Piano Basic. Lastly, to attain integrated education through four axes of Inner Listening, Sense of Rhythm, Technique, and Musical Language in piano integration theory, I have suggested step-by-step teaching method using Bastien Piano Basic and applied to my students. As a result, there have been positive changes in the students' balanced development in musicality, interest in learning the piano, and the growth of their inner selves. Music soothes us and gives energy and joy in our lives. This is feasible when the correct musical education is done that suits the musical purpose and the correct musical education should be started from the elementary level. I hope that my teaching method for balanced development in musicality will be helpful for elementary level education. 〈국문초록〉 김영숙의 통합피아노교수이론에 근거한 초급 피아노 지도방안 연구 - 베스틴 교재를 중심으로 - 송 인 영 가천대학교 음악대학원 피아노 페다고지 전공 지도교수 김 영 숙 음악교육은 학생개개인의 음악적인 능력을 점진적으로 개발하고 음악적인 심성을 깊고 넓게 육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홍수, 「음악교육의 현대적접근」(서울: 세광 1990) p.176-177 그러므로 바람직한 음악적 성장을 위해서는 피아노교육 역시 단순히 기능습득의 차원에서 이루어져서는 안 되며 학생의 심미적 가능성의 계발과 전인적인 교육으로서의 목표를 갖고 음악성의 균형 있는 발달과 내면의 성장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자는 포괄적인 음악성의 계발을 지향하는 20세기의 음악교육이론과 최신의 교수법을 적용한 새로운 교재들을 살펴보았으나 음악성의 균형 있는 발달과 내면의 성장을 함께 추구하는 교수이론을 찾지 못하였다. 그러던 중 대학원에 입학하여 피아노교수법을 공부하며 피아노 교수학자 김영숙의 통합피아노교수이론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이것이 피아노를 처음 시작하는 초급단계부터 적용되어져야 한다고 생각하여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연구를 위한 중심교재로는 현재 국내에서 사용 중인 교재들 중 비교적 다양한 조성을 경험할 수 있고 각 조성에 따른 훈련이 체계적이며 내용과 구성이 포괄적이어서 통합교수이론을 적용하기에 적합한 베스틴 교재(Bastien Piano Basics)를 선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베스틴 교재를 활용하여 균형 있는 음악적 성장을 위한 체계적인 초급피아노 지도방안을 연구하고 이를 제시하며 실제 적용하여 보고자 한다. 이에 있어 통합피아노교수이론의 내면의 중심(core)이 성장함을 증명해야 하나 이를 단시간에 증명하기 어려우므로 대신 내면의 중심에 근거한 내청(Inner Listening), 리듬감(Sense of Rhythm), 테크닉(Technique), 음악언어(Musical Language)의 4축을 중심으로 다루었다.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 배경으로 피아노 교수학자 김영숙의 통합피아노교수이론과 James Bastien의 저서「how to teach piano successfully」에 언급된 피아노 학습의 기간에 따른 단계적 계획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둘째, 베스틴 교재의 구성과 내용 및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셋째, 통합피아노교수이론의 4축 (내청, 리듬감, 테크닉, 음악언어)을 통해 통합된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베스틴 교재를 활용한 단계적인 지도방안을 제시하고 본 연구자가 운영하는 교습소의 학생을 대상으로 지도방안을 실제 적용하고 이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음악성의 균형 있는 발달, 피아노에 대한 관심과 흥미, 내면의 성장에 있어 긍정적인 변화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음악은 우리의 마음을 순화 시키고 삶에 활력과 즐거움을 준다. 이는 음악교육의 목표에 맞는 올바른 음악교육이 이루어질 때 가능하며 올바른 음악교육은 피아노를 처음 배우는 초급단계부터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지도방안이 균형 있는 음악적 성장을 위한 초급 피아노 교육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길 바라며 앞으로도 초급피아노교육에 대한 더 많은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란다.

      • 현대 미술의 재현성과 모더니즘 이후의 사진 연구

        송인영 弘益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흔히 현대 사회와 문화는 이미지를 통해 소통된다고 한다. 특히 끊임없이 생산되고 재생산되는 사진 이미지들이 오늘의 일상생활을 지배하고 있다고 하는 것에 대해서는 거의 보편적인 합의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시각 환경의 변화와 그에 대한 인식은 유사성이라는 재현의 개념에 커다란 변화를 일으켰다. 이미지의 무제한 복제가 가능하고 지시대상이 없는 이미지가 제작되는 현실 속에서 '재현의 위기'가 거론되기 시작했다. '재현의 위기'는 새로운 재현 개념의 필요성을 불러 일으켰으며, 새로운 재현 개념은 '시뮬라크르(simulacre)'라는 개념을 통해 등장했다. '시뮬라크르'는 일반적으로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대상을 존재하는 것처럼 만들어 놓은 인공물로 모사물, 가장(假裝) 등으로 번역되는데, 이는 원대상을 모방(imitation)한다는 뜻과는 달리 흉내 낼 대상이 없는 이미지이며, 이 원본 없는 이미지가 그 자체로서 현실을 대신하고, 현실은 이 이미지에 의해서 지배받게 되므로 오히려 현실보다 더 현실적인 것이 됨을 의미한다. 본 논문은 '시뮬라크르'라는 새로운 재현 개념에 대해 연구해 보려는 목적에서 비롯되었다. 그 목적을 이루기 위해 우선 '시뮬라크르' 개념에 관한 보드리야르와 들뢰즈의 이론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시뮬라크르'와 사진과의 관계를 분석해 보았다. 특히 포스트모더니즘 양식으로 볼 수 있는 뉴 웨이브 사진(New Wave Photograph)과 디지털 사진(Digital Photograph)의 표현 속에 나타나는 새로운 경향을 시뮬라크르 현상으로 살펴보았다. '시뮬라크르'와 사진의 관계를 분석하면서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하게 되었다. 대중매체의 발달과 이에 수반되는 이미지의 대량복제는 현대생활과 문화를 이미지 중심의 시각 문화로 변화시켰다. 특히 사진 이미지의 생산과 분배는 현대 문화 소통 구조의 핵심 과정으로 사진은 리얼리티의 현대적 의미를 구성하는 중심요소가 되었다. 그러나 그것은 아이러니하게도 '사진은 곧 진실'이라는 리얼리즘적 인식으로부터 사진은 참과 거짓, 실재와 모조, 진실과 환영의 경계를 오르내리는 '시뮬라크르'라는 정반대의 인식으로 우리의 사고 틀을 바꾸어 놓았다. 사진은 이제 조작된 이미지를 생산하는 대표적 매체로 인식된다. 실제로 작가들은 이미지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디지털 카메라, 포토��등 자유롭게 첨단매체를 이용하거나 원래의 이미지에 조작을 가한다. 이제 사진 미학의 범위는 '재현'의 문제에서 '시뮬라시옹"의 문제로, 또한 '거기 있었음'의 존재의 문제에서 앞으로 '있을 수 있는' 가상과 상상의 세계로 그 맥락이 새롭게 이해될 시기에 접어들었다. 본 연구는 시각예술에서 실재의 충실한 모방으로 정의되던 재현 개념을 대체하는 것으로 제기된 '시뮬라크르'가 탈근대 시각예술의 존재론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그것의 해석 가능성을 확장시키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It is said that modern society and culture communicate through image. That photograph images which are ceaselessly produced and re-produced are dominating the everyday lives of ours is no longer a far-fetched assumption. Such changes in visual environment and recognition to it triggered an enormous change in similarity within the concept of appearance. Given the current reality where infinite duplication of images are possible and images with no directive subjects are produced, 'crisis of appearance' has started to surface. 'Crisis of appearance' has lighten the necessity of a new concept of appearance and it has emerged in the concept of 'simulacre'. 'simulacre' is generally translated as replica and disguise which is an artificial object that makes believe a non-existing object to exist. This is different from imitating an original object and is a image that cannot be taken upon and as such image without a original represents the reality and the reality is subjected to such image, it zeroes on to a more real world than the actual reality. This thesis centers on looking into the new appearance concept of 'simulacre'. First, in order to look deep into such concept, the theory of Baudrillard and Deleuze on 'simulacre' has been researched. Also, I hav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simulacre' and photograph. I have particularly focused on the new trends that appear on the New Wave Photograph and Digital Photograph in a post-modernism pattern as a unique phenomenon of simulacre. Amid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imlacre' and photograph, I came about the following fact. The development of mass media and mass duplication of image accorded to such phenomenon changed the modern life and culture into a visual-centered culture of life. Especially,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photo images are the essence of the communication structure in modern culture and photo itself has become the main factor that composes the modern meaning of reality. However, such phenomenon, ironically, changed our paradigm of thinking from the realistic acknowledgement of 'photos are real' to the opposite paradigm of 'simulacre' that sees photo going in and out of the concept of true and false, reality and replica, truth and vision. Photos are now universally taken as a media that produces adjusted images. Artists actually use state-of-the-art media such as digital camera and photo shop or adjust the original image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 of the image. Now the boundary of photo aesthetics has moved into a stage where the focus has converged from the issue of 'appearance' to the issue of 'simulation', and from the issue of existence which meant 'it was there' to the world of fiction and imagination which means 'it can happe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earth the fact that 'simulacre' which has been presented as, an alternative to the concept of appearance defined as the actual copy of reality in visual art can act as the existing theory of non-modern visual art and to expand its boundary of analysis.

      • 대학 외국인 교원의 채용과 역할수행 과정에서 나타난 디커플링 연구 : 제도 변화에 미치는 행위자의 역할을 중심으로

        송인영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학의 유형별로 채용된 외국인 교원은 어떠한 특성을 가지고 어떤 역할을 수행하며 외국인 교원의 채용 및 역할수행과정에서 나타난 대학의 디커플링의 양상과 그 원인은 무엇인가를 고찰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외국인 교원 채용의 배경으로서의 고등교육 국제화의 흐름과 대학평가의 중요성의 대두, 외국인 교원의 역할과 적응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았고, 신제도주의의 동형화와 디커플링 이론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대학의 외국인 교원 유치 및 역할수행과정에서 나타나는 디커플링의 양상은 무엇이며 다양한 대학유형별로 상이하게 나타나는 디커플링의 발현양상 및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이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단계 혼합연구 설계를 활용하였으며 외국인 교원 대상 설문조사 데이터를 활용한 양적 분석과 심층면담을 통한 질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중심대학에서 발생하는 디커플링의 양상은 크게 1) 대학 국제화의 상징적 역할에 대한 지나친 강조와 2) 대학 의사결정과정에서의 소외, 3) 무늬만 외국인 교원에 대한 선호의 세가지로 요약된다. 교육중심대학에서 발생하는 외국인 교원 디커플링 현상은 크게 1) 전임교원 확보율의 충족을 위한 계약직 외국인 교원 채용과 2) 실제적 역할 수행을 고려하지 않은 채용으로 정리될 수 있다. 상술한바와 같이 인터뷰를 통해 발견된 디커플링의 양상은 대학의 유형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왜 대학 유형에 따라 다른 모습의 디커플링이 나타나는가는 다음의 요인들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의 유형에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1) 외부의 대학평가 기제는 연구중심대학부터 교육중심대학에 이르기까지 강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다만 연구중심대학은 글로벌 대학랭킹이, 교육중심대학의 경우 전임교원 확보율이 강한 영향력을 가졌다. 2) 입학자원 부족과 외국인 학생 유치 열망은 교육중심대학에 주로 큰 영향을 미쳤다. 대학 조직요인인 3) 외국인 교원의 적정비율과 4) 우호적 조직문화는 발생한 디커플링을 상쇄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디커플링의 발생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즉 외부의 동일한 압력에도 불구하고 디커플링이 발생하지 않는 대학도 있는데 발생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1) 강력한 제도 혁신가의 존재 2) 고착된 위계관계가 존재하지 않는 신생조직의 거버넌스, 3) 장기적 리더십의 세가지로 정리하였다. 기관이나 학과 차원에서 외국인 교원의 필요성을 설득하고 추진하는데 핵심적 역할을 하는 행위자가 장기적 관점을 가지고 국제화 전략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며, 변화를 반대하는 구성원들이 큰 힘을 발휘하지 못하는 신생조직의 맥락에서는 동일한 외부적 압력에도 불구하고 디커플링이 상대적으로 적게 발생되었던 것이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종합해보면, 대학의 유형에 따라 상이한 특성을 보이는 외국인 교원들은 유형별로 서로 다른 선호에 기반하여 채용되나 내국인 교원과는 다른 역할에 대한 기대를 체감하고 행정 및 서비스 업무 보다는 연구와 교육중심의 업무를 수행한다. 대학은 평가기제와 외국인 유학생 유치 필요성을 비롯한 외부에 기인하는 원인에 의해 서로 다른 디커플링 양상을 나타내며 다만 외국인 교원의 적정비율과 우호적이고 수평적 조직문화는 이를 다소 상쇄시킨다. 또한 제도 혁신가의 존재와 장기적 리더십의 유지, 변화에 반대하는 구성원과의 관계가 디커플링 억제의 주요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다.

      • 지역구 국회의원의 정치적 목적이 지역예산배분 과정에 미치는 영향 : 차기 총선 불출마한 지역구 의원의 지역 SOC 사업을 중심으로

        송인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민의 대표인 국회는 재정에 대한 권한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행정부에서 편성한 예산을 심의하고 이를 확정한다. 국회가 가지는 예산심의와 확정의 권한은 세금으로 국가의 1년 경비를 계획하는 주요한 업무이기에 국회의원들의 역할이 더욱 엄중히 요구되는 부분이다. 하지만 국회의원은 국가재정에 대한 권한을 각자의 정치적 목표를 위해 사용하기도 한다. 선거를 통해 주민들의 선택을 받아야 하는 국회의원은 4년 동안 주민을 위해 일한 자신의 정치적 역량을 보여줄 필요가 있는데 의정보고서나 선거공보물에 강조되는 ‘국비 확보’가 그 예이다. 특히 ‘도로’, ‘철도’, ‘공항’ 등의 사업이 많은 사회간접자본(SOC)에 대한 예산 증액 혹은 신규사업 확보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지역 유권자들이 생활 속에서 느낄 수 있고 지역 경제 활성화로 연결될 수 있는 예산을 확보함으로써 유권자를 설득해 다음 당선에 유리한 정치적 형국을 조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지역구 국회의원의 차기 총선에서 같은 지역구 출마 여부가 해당 지역구 예산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특히 차기 선거를 준비하는 국회의원들이 당선이라는 정치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예산심의와 확정 과정에서 어떠한 영향력을 행사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차기 선거에 같은 지역구 총선 불출마를 결정한 국회의원과 그렇지 않은 의원들을 비교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역구 국회의원이 차기 총선에서 동일 지역구에 불출마할 경우, 해당 지역의 국가지원지방도 국회확정 예산안 증가율에 양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지역구 국회의원이 차기 총선에 불출마하더라도 지역구 관련 차기 지방자치단체장으로 출마할 경우, 국가지원지방도 예산 국회확정안 증가율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지역구 국회의원의 불출마 시기가 해당 지역 국가지원지방도 예산 국회확정안 증가율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는데, 지역구 국회의원이 차기 총선이 있는 직전 해의 예산안 심의가 있기 전 불출마할 경우 해당 지역구 국가지원지방도 예산 국회확정안 증가율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지역구 국회의원의 예산심의·확정 과정에서 정치적 요인을 분석한 기존 연구에서 더 나아가 그들의 정치적 목표를 구체화하고 이에 따른 지역구 예산증가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차기 총선에서의 같은 지역구 출마 여부와 불출마 시기를 정량화하고 이 요소가 지역구 국가지원지방도 국회확정예산 증가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혀냈다. 차기 선거 당선이라는 정치적 목표를 가진 지역구 의원이 국회 예산심의와 확정 과정에서 해당 지역의 SOC 예산증가를 위해 더욱 영향력을 행사하려고 노력하는 것이 본 연구를 통해 드러난다. This study analyzed whether running in the same district in the next general election of congressman affects the increase in the regional budget. Especially it compares between congressman who decided not to run in the next election and those in the next election to see how politicians preparing for the next election exert their influence in the budget review and decision process.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is study not running in next election in the same district reduces SOC budget growth rate in the districts. However even if a congressman does not run in the next general election in the same district but run in the next local election in the same district the budget growth rate in the district increases. In addition the timing of congressman's non-running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budget growth rate of regional SOC program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because it clarified congressman’s political goals and analyzed how they affect the budget growth rate of regional SOC programs. It quantified whether and when not to run in the same district in the next general election and revealed how this factor affects the budget growth rate of the regional SOC programs. The study reveals that congressman with political goals of winning the next election tried to exert more influence to increase SOC budgets in the region in the process of reviewing and deciding the National Assembly's budg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