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바둑의 스포츠 종목으로의 전환 움직임에 대한 비판

        송윤경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thesis, I assumed a critical attitude and criticised if Baduk approved by Korea Sports Council(KSC) in 2002 is a sport or not. In comparison with the concept of sports and Baduk, these two concepts are of a different character. sports are human activities based on the physical training for survival so they have many standing rules and competitive characters. On the other hand, Baduk, just like sports, it has many standing rules and competitive characters, but it is a play with brains. In this two concepts, I have a question to ask everybody. Is Baduk a sport? Is Baduk approved sports?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means of comparative analysis of these two concepts. The major findings are as below. 1) Even if Baduk and sports are much alike in character, Baduk is a play with brains, not physical training. So Baduk does not belong to a sport. Some scholars insist that the play with brains such as Baduk, chess and bridge should be included in the new field of sports but there is no solid foundation for this insistence. This opinion regards that sports is only physical activity separated mental and body in dualistic view point. So from a monism of view, this opinion is hardly unfounded in the 20th century. Physical activity of sports is human activity generated by an interaction in unified view. So in the absence of the physical activity in the sports definition, Baduk is not a sport. 2) Baduk is not a simple game but an instructive, artistic, and mysterious modern convenience. So including Baduk in sports diminish in value as a high level of culture. 3) The study of Baduk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study of physics. So there is not the curriculum of the study of physics in the curriculum of the study of Baduk training experts for Baduk. That's quite another pair of shoes. 4) To the exclusion of the result that Baduk cannot be approved as a sport, Baduk Society is not ready for the approval to be admitted as a sport. If they want to obtain approval of IOC, they must found the unified International organization, make unified rules. 5)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of Plays with the brains such as Baduk, chess, and bridge are approved by IOC as an International Federation(IF) but there are many adverse criticism about the adoption of the formal item in Olympics. In this situation, if Buduk is approved as a sport, Baduk Society and physical training Society can be thrown into confusion. We can duscuss ways and means of the globalization and popularization of Baduk. 1) Baduk cannot be included in sports scientifically but Baduk can be operated with other physical events in practical view. Baduk is not a sport but it can be supported as related system executively. 2) There can be a way to promote as an independent domain with various plays with brains (chess, bridge, Korean chess, network game and so on...) winning popularity. 3) If a government makes system that is become independent domain, military service, going on to the next stage of education, and a government subside can be solved. In order to keep the real identity of Baduk and sports, Baduk should be developed properly. That depends on the Baduk Society. It is the very desirable thing. It would be worthier to study the development of Baduk society in own way in order to keep the identity of sport and Baduk together.

      •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을 위한 실무 어휘 선정 연구 : 국내 기업의 실무 보고서를 중심으로

        송윤경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국내외 한국 회사에서 사무직으로 근무 또는 근무를 희망하는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비즈니스 한국어 실무 어휘’를 선정하여, 이들이 해당 분야에 대한 전문성을 갖추고 실무에 어려움이 없도록 돕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에 대해 밝히고,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 관련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비즈니스 한국어 어휘 선정 관련 연구를 집중적으로 검토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대상과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2장에서는 연구의 방향과 범위를 명확히 하기 위해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을 정의하고, 전체 한국어 교육의 어휘 범주 내에서 ‘실무 어휘’를 규정하고 그 학습 대상을 명시하였다. 3장에서는 비즈니스 한국어 실무 어휘를 선정하기 위한 과정을 기술하였다. 업종별 세분화된 실무 어휘를 추출하기 위해 해외 진출이 가장 활발한 3대 업종을 선정하고, 업종별 실무 보고서를 수집하여 텍스트를 선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말뭉치를 구축하여 형태소 단위로 분석하여 출현 빈도를 추출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한국어 학습용 어휘 목록과 중복되는 어휘를 제거하고, 마지막으로 3대 업종에 해당하는 대기업의 사무직 종사자 9명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여 저빈도 어휘와 연구개발 분야의 전문 어휘를 제거하였다. 4장에서는 최종적으로 선정된 829개의 ‘비즈니스 한국어 실무 어휘’를 기본형과 확장형으로 분류하여 제시하고 그 특징을 분석하였으며, 자주 결합하는 파생 접사 및 합성어 목록을 제시하였다. 또한 학습자가 종사하는 업종에 따라 추가적인 어휘 학습이 가능하도록 업종별로 제조업 223개, 도매 및 소매업 225개,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199개의‘업종별 추가 실무 어휘’를 제시하고, 이러한 ‘비즈니스 한국어 실무 어휘’선정을 통해 기대하는 효과를 기술하였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비즈니스 한국어 실무 어휘 선정 연구를 종합적으로 정리하며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밝히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으로 마무리하였다. 본 연구는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을 위한 자료가 부족한 현 상황에서 실제 기업에서 쓰이는 내부 보고서를 토대로 어휘 자료 구축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기본형 어휘에 수반되는 여러 가지 확장형 어휘를 보론적 성격으로 함께 제시하여 교육 과정 구성 및 어휘 학습 시 참고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어휘 선정을 위한 말뭉치 텍스트 자료로서 문어 자료만을 범주로 설정하였기 때문에 추후 구어를 포함한 전체 비즈니스 사회의 말뭉치를 이용한 연구도 함께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조음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의 말운동통제 보상능력 및 말운동프로그래밍 능력 비교

        송윤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the clinical practice, significant numbers of children with speech disorders do not have a clear etiology, and are usually referred as a functional articulation disorder. In such cases,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any structural deformity or any other symptoms which could have derived from significant neurologic deficiency. Diagnosis of articulation disorders is generally based on the use of standardized test battery which shows the percentage of consonants correct, error pattern, and tendency of phonological process. These references are compared with the chronological age to determine the presence and severity of the patients' deficits. However, evaluation through the standardized test battery does not provide information related to the etiology or related factor. Although, the functional articulation disorder is suspected to originate from the malfunction of physiologic aspect in the speech processing, it is difficult to find out the etiology or related factor even after the diagnosing process. In the speech process, content should be structured during the arrangement of utterance, and requires analysis of which speech sound chain constitutes the utterance, and finally requires directing process of the muscle contraction which is needed to adequately produce the sound. Out of these steps, motor control step for speech sound production and speech motor programming step which directs the muscle contraction have rarely been studied previously. Moreover, previous study covering these steps to determine the etiology or related factor of functional articulation disorder is limited.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reveal the physiologic etiology or related factors associated with speech processing by analyzing the ability of speech motor control and ability of speech motor programming in children with functional articulation disorders. Study subject was constituted of 35 children with articulation disorder and 35 children without articulation disorder whose age ranged from 5 to 6 years and lived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area. The groups had the same female to male ratio. All the study subjects in the both groups were free of development disorder, sensory disorder, emotional disorder, and structural or functional disorder in the articulator. Also, the subjects were in the normal range with picture vocabulary test. Urimal - Test of Articulation and Phonology was used for classifying the children with articulation disorder; standard deviation with -2 or less was considered as articulation disorder whether standard deviation with -1 or more as normal. Two tasks were considered in the study. For the ability of speech motor control, compensation ability of speech motor control was measured and analyzed in order to indirectly interpret the parameter. To acquire the data, subjects were asked to rapidly repeat /pha/, /tha/, /kha/, /phathakha/ diadochokinetic movement while mandible was free and mandible was stabilized with bite block. For the task of analyzing ability of speech motor programming, subjects were asked to repeat each words and nonwords rapidly. Words applied in the task are those acquainted with 5 to 6 year old children; six 2 syllable and 3 syllable words which does not include /c, c', ch, s, s', ɼ/. Nonwords are formed from previously selected words by vowel modification under the phonetically balanced matter. In the first task, time needed to repeat one syllable for 15 times, or three syllable for 5 times were measured. Also number of articulation error during the repetition was counted. And in the second task, time needed to repeat words and nonwords for 5 times were measured. Also number of articulation error during the repetition was counted. Data was acquired using Multi-Speech Main Program taken by Multi-Speech Model 3700(KAY) loaded on SONY Notebook(VGN-S36LP). Required time was assessed by drawing the wide band spectrograph and number of articulation error was assessed by repeated listening. To compare the performance between the groups, required time and number of articulation error during mandible free state and mandible stabilized with bite block state were assessed and their difference was compared with independent t - test. And also, required time and number of articulation error in each repetition with words and nonwords were evaluated and their difference was compared.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analysis of task performance with compensation ability of speech motor control, children with articulation disorder revealed significantly greater difference in required time for repeating 4 different diadochokinetic movement between mandible free and stabilized state compared to the without articulation disorder group.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articulation error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not found during the mandible free state. However, after the stabilization of mandible, significantly more articulation errors were made in the children with articulation disorder. With task performance related to the ability of speech motor programming, there revealed significantly greater difference in required time of repeating words and nonwords in both 2 syllables and 3 syllables among the children with articulation disorder. Also, children with the articulation disorder showed larger difference in the number of articulation error during words and nonwords repetition compared to the children without articulation disorder. Finall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ercentage of consonants correct and compensation ability of speech motor control or ability of speech motor programming in children with articulation disorder was analyzed. Howeve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ercentage of consonants correct and the two parameters was irrelevant. These aforementioned results all points out to the fact that children with articulation disorder have poor compensation ability of speech motor control and poor ability of speech motor programming compared to the children without articulation disorder. But, judging from the correlation results, those poor ability does not have any relation with the severity of articulation disorder, and suggests that these results reflect either general or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articulation disorder. This study suggests that poor ability of speech motor control and/or poor ability of speech motor programming can act as etiology or related factor in functional articulation disorder. Furthermore, by reviewing the individual performance characteristics, the study suggest that some children with articulation disorder could be classified into cases with poorer ability of speech motor control or poorer ability of speech motor programming. Therefore, classification within the functional articulation disorder to specific subtypes could be possible, and the classification is expected to provide more benefits and assistance in the therapy of children with articulation disorders. 임상에서 만나게 되는 다수의 말장애 아동은 그 원인이 정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 흔히 기능적 조음장애라고 불린다. 이 경우는 눈에 띄는 구조적 결함도 없고, 확실한 신경학적 결함을 의심할 만한 마비나 기능이상을 찾기도 어렵다. 조음장애의 진단은 일반적으로 표준화된 조음음운검사 도구를 사용하게 되는데, 보통 그 결과 자음정확도, 그리고 오류패턴 또는 음운변동 양상의 특성을 알 수 있으며, 이를 생활연령에 비교하여 장애의 유무 및 그 정도를 파악한다. 그러나 표준화된 검사 도구를 사용한 평가 결과는 그 원인 또는 관련된 요소에 대한 정보를 주지는 못한다. 기능적 조음장애는 말처리 과정의 생리적 차원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추정은 하지만, 진단과정을 거치고 나서도 그 원인 또는 관련된 특성이 어떤 것인지 알기 어렵다. 말이 산출되기 위해서는 발화를 기획하는 과정에서 내용을 정하고, 그 발화가 어떤 소리의 연쇄들로 구성되는가를 결정한 뒤에, 그 소리가 적절히 산출될 수 있도록 근육의 움직임을 지시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 중에서 말소리 산출을 위한 근육운동의 통제, 그리고 그 근육운동을 지시하는 말운동 프로그래밍 과정에 대한 선행연구는 드물고, 특히 기능적 조음장애의 원인 또는 관련된 요소를 파악하기 위하여 이 영역을 평가해 본 연구는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능적 조음장애아동의 말운동통제 능력과 말운동프로그래밍 능력을 파악하여 이들이 가진 말처리 과정에서 생리학적 차원의 원인, 또는 관련된 요소들의 일부를 추론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만 5세와 6세의 서울, 경기 지역 거주 아동으로 연령과 성별의 비율을 같게 분포시킨 조음장애아동 35명과 비장애아동 35명으로 하였다. 조음장애집단과 비장애집단 모두 발달장애, 감각장애, 정서장애 및 조음기관의 구조적, 기능적 장애를 갖고 있지 않고, 그림 어휘력 검사 상 정상 범위에 속하였다. 우리말 조음음운 평가 결과 자음정확도가 -2 표준편차 이하에 속하는 아동들은 조음장애집단에 해당하였고, -1 표준편차 이상에 해당하는 아동들은 비장애집단에 해당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과제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뉘었다. 먼저 말운동통제 능력은 말운동통제 보상능력을 살펴봄으로써 간접적으로 유추해보기로 하였는데, 이를 위한 과제는 개구장치를 입에 물기 전 후에 /파/, /타/, /카/, /파타카/ 길항반복운동을 빠르게 반복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말운동프로그래밍 능력을 보는 과제는 단어와 비단어를 각각 빠르게 반복하는 것이었다. 과제에 사용된 단어는 5세와 6세 아동이 익숙하게 사용하는 단어로, /ㅈ, ㅉ, ㅊ, ㅅ, ㅆ, ㄹ/가 포함되지 않은 2음절 단어 6개와 3음절 단어 6개였다. 비단어는 이미 선택한 단어를 음성학적으로 균형을 맞추어 모음만을 변형시켜 만들었다. 두 과제 모두 정해진 횟수를 반복하는 동안 소요된 시간과 그 반복 동안에 나타난 조음오류수를 측정하였다. SONY Notebook(VGN-S36LP)에 Multi-Speech Model 3700(KAY)을 탑재하여 Multi-Speech Main Program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광대역 스펙트로그래프를 그려 소요시간을 파악하고, 반복하여 들음으로써 조음오류수를 파악하였다. 두 집단의 수행력을 비교하기 위하여, 독립된 두 집단의 t 검정으로, 개구장치를 물기 전의 소요시간과 조음오류수, 물고 난 후의 소요시간과 조음오류수를 구하고 그 변화량을 비교하였다. 또 단어를 반복할 때에 소요된 시간과 그 때에 나타난 조음오류수, 비단어를 반복할 때에 소요된 시간과 그 때에 나타난 조음오류수를 구하고 그 변화량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말운동통제 보상능력에 대한 분석 결과, 조음장애집단은 턱 고정 전 후 네 가지 길항반복운동 소요시간 변화에서 모두 비장애집단에 비하여 더 큰 변화를 보여주었다. 또한 조음장애집단은 턱 고정 전의 조음오류수는 비장애집단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턱 고정 후 비장애집단에 비하여 더 많은 조음오류수를 나타내었다. 두 번째, 말운동프로그래밍 능력에 대한 분석 결과, 조음장애집단은 단어와 비단어 반복에 소요된 시간변화에서 2음절과 3음절 모두 비장애집단보다 더 큰 변화를 보여주었다. 또한 조음장애집단은 단어와 비단어 반복에 나타난 조음오류수의 변화에 있어서 비장애집단보다 더 많은 변화를 보였다. 세 번째, 조음장애아동의 자음정확도와 말운동통제 보상능력 및 말운동프로그래밍 능력의 상관분석 결과, 두 가지 능력 모두 자음정확도와는 상관을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조음장애집단의 아동들이 비장애집단의 아동들보다 말운동통제 보상능력과 말운동프로그래밍 능력에 취약성이 있음을 제시해준다. 그러나 상관결과를 보면 조음장애아동들의 이러한 취약성이 조음장애의 중증도와는 상관이 없으며, 조음장애아동의 전반적인 특성이거나, 혹은 개별적인 특성이 반영된 것임을 짐작하게 해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말운동통제 능력의 취약성 또는 말운동프로그래밍 능력의 취약성이 기능적 조음장애의 원인 또는 관련된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개별적인 수행력의 특성을 살펴본 결과, 일부 조음장애아동은 말운동통제 보상능력이나 말운동프로그래밍 능력에 특별히 더 취약성을 보이는 경우로 나눌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점은 기능적 조음장애집단 내에서도 하위유형의 분류가 가능하다는 것을 말해주며, 이러한 분류는 다양한 측면에서 조음장애아동의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을 제시해준다.

      • 전통건축 머름의 유형 및 특성에 대한 연구

        송윤경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의 전통건축은 하나의 기능을 충족하는 독립된 요소들이 모여 군집을 이룸으로써 다양하고 복합적인 기능을 충족하는 구성방법을 취하고 있다. 그 중 창호는 내부와 외부를 구분하는 것뿐만 아니라 두 개 이상의 공간을 연결, 구분, 차단의 역할을 하며, 또한 건물 외관의 중요한 의장적 요소이다. 창과 호는 머름의 설치 유무에 따라 구분되며, 그 기능이 엄격히 구분되는 요소이지만 전통적으로 우리 민족의 생활 방식인 좌식 형태의 주거형태에서 창과 호의 형태가 명확히 구분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 또한, 시대적, 지역적 차이에 따라 창호의 형태와 머름의 유형 등의 창얼굴의 구성방식은 매우 가변적이어서 일관되게 정의하기가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통주거 형태에서 복합적인 역할을 차지하고 있는 창호의 구성요소 중 머름을 대상으로 형태적 분류를 수행하고, 머름의 시대별, 지역별 변천을 분석하고 위치별 창호와의 관계, 머름의 재료, 크기, 형태 등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요민속문화재와 보물로 지정된 전통주택의 도면, 활용 가능한 선행 연구 및 관련 문헌을 분석하여 머름의 유형 분석, 평면/입면상의 특징, 시대별/지역별 머름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답사를 통하여 머름을 실측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머름의 유형별 높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머름의 종합적인 분석 결과는 과거 발전되어온 머름의 구성방식에 대한 분석 자료로써 활용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현재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신축 개량한옥 설계에 적용하여 한옥의 다양성을 발전시킬 수 있으며, 머름 구성의 새로운 기법 개발에 폭넓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는 문화재청에서 지정한 있는 200여개 대상건물 중 일부를 분석한 자료로 분석 표본에 대한 한계가 있기 때문에 추후 연구에서는 분석 대상을 확장하여 보다 활용가능한 결과의 폭을 넓힐 필요가 있다. The Korea traditional building (called by Hanok) has many significant elements. Among them, windows and doors play roles in not only separate inside and outside but also connecting or distinguishing between more than two spaces or block from outside. Moreover, it is crucial components in exterior of the building. The windows and doors can be divided by installation of Meoreum. Although the functions of windows and doors are totally different, it is not easy to clearly classify into window and door in Korea traditional pattern that is a sedentary lifestyle. It is also hard to consistently define the shape of the windows and doors and characteristics of Meoreum because the composition methods of windows and doors are very variable. In this study, it was carried out that the morphological classification of Meoreum is one part of the complicated component of the windows and doors in Korea traditional buildings. The chronological and regional changes of Meoreum were also analyz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eoreum and the windows and doors, material, size and shape of Meoreum were identified. In order to analyze these, the drawings of Korea traditional architectures which were designated as important folklore cultural property and treasured cultural asset and published literatures and were used. The height of Meoreum was statistically analyzed by using the data from site surveys. The comprehensiv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very useful as a basic database about Meoreum is developed in hundreds of years. Because of increasing the demand for new improved traditional building, if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ill be applied in this field, it would be widely use to develop the new composition method for Meoreum. There are some limitation of analyzed sampels because this study is only aimed at several buildings of more than two hundred building. In further study,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target building to increase the utilizability of results.

      • 공명 발성, 악센트 기법 및 혀끝 트릴에 대한 전기성문파형과 공기역학적 특성 비교

        송윤경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음성치료에는 다양한 기법들이 있으나, 그 기법이 목표하는 바에 대한 설명은 직관적이고 모호한 표현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 또 그 기법을 수행할 때 성대와 성도에 어떠한 현상이 일어나는가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연구는 드물다. 이에 저자는 "공명 발성"과 "악센트 기법", "혀끝 트릴"의 각 기법 적용 시에 성대의 접촉양상과 공기역학적인 면의 특성을 "목소리"와 비교하여 기술함으로써 각 치료기법이 효과적인 음성치료로써 적용되는 근거의 제시를 목표로 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성악 전공 4학년 이상인 남자 테너 8명을 대상으로, EGG(electroglottograph), Aerophone II, Phonatory Function Analyzer를 이용하여, 성문폐쇄율과 호기류율, 성문하압과 최장발성시간을 측정하고 각 요인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명 발성은 목소리에 비해 성대진동 시 성문폐쇄율이 감소하고, 공기역학적으로 호기류율의 증가 및 성문하압과 최장발성시간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2. 악센트 기법 발성은 목소리에 비해 성대진동 시 성문폐쇄율이 감소하고, 공기역학적으로 호기류율과 성문하압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3. 혀끝 트릴 발성은 목소리에 비해 성대진동 시 성문폐쇄율이 감소하고, 공기역학적으로 호기류율과 성문하압의 증가 및 최장발성시간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는 공명 발성이 과기능성 음성장애에서 과도한 성대내전을 이완시켜 치료로서의 의미를 갖는다는 점, 악센트 기법 발성이 성대의 과도한 긴장 없이 좋은 접촉패턴을 유도하는데 유용한 방법이라는 점, 혀끝 트릴 발성이 탄력 있는 성대 진동의 유도로 성대 근육의 강화와 강직 완화에 도움이 되며, 호흡 자체의 강화에도 좋은 연습 방법이라는 점을 지지해 주는 자료로서의 의미를 갖는 것으로 여겨진다. Although there are different kinds of therapy techniques for voice problems, their objectives are not explained explicitly. Furthermore, physiologic or aerodynamic changes which may occur in the vocal folds and the vocal tract under a specific therapy have not been explored yet. Therefore, the current study aimed to establish the rationale for three different voice therapy techniques(resonant voice, accent method, and tongue-tip trills) by comparing the aerodynamic, and electroglottographic characteristics under three techniques with those under throat voice. The subject s were a total of 8 male singing students(tenors) who were senior undergraduate or graduate students. In order to compare aerodynamic characteristics, air flow rate and subglottal pressure were measured under three therapy conditions and throat voice using Phonatory Function Analyzer. The characteristics of vocal fold closure patterns were examined by comparing closed quotients(CQ) under three therapy conditions and throat voice using electroglottograph. In addition to these measures, maximum phonation time(MPT) were measured under resonant voice and tongue-tip trills using Aerophone II. The result 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CQ, subglottal pressure and MPT decreased significantly under resonant voice as compared with throat voice, but the air flow rate increased significantly under resonant voice as compared with throat voice. 2. CQ decreased significantly under accent method as compared with throat voice, but both air flow rate and subglottal pressure increased significantly under accent method as compared with throat voice. 3. Both CQ and MPT decreased significantly under tongue-tip trills as compared with throat voice, but both air flow rate and subglottal pressure increased significantly under tongue-tip trills as compared with throat voice. The results suggest the following clinical implications : (1) resonant voice may help to relax the tense vocal adduction in hyper functional voice disorders, (2) accent method may be a useful method for eliciting the vocal fold closure patterns without accompanying the excessive vocal tension, and (3) tongue-tip trills may be a good exercise for strengthening the vocal muscle, lessening the rigidity, and for empowering the respiratory system.

      • 무용 공연 활성화를 위한 효율적 마케팅 연구

        송윤경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Dance circles have experiences conflicts and confusions in a boundary line between pure art and public art, and it is still confused about its identity. Unlike precedent studies on art management and marketing strategies, this study aims to seek for efficient marketing strategies suitable for more developed and high quality dance performance on the basis of dance performance and marketing concept. As the result, it needs to develop dance performance considering a great ripple effect of overall society. Korean dance performance market is still at the beginning stage. To promote efficient and reasonable art management of dance performance art centers, audience development is firstly required through marketing mix. Due to that reason, the introduction of reasonable art management is urgent, and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should be established to ensure long-term audiences of dance. The problems and solu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accept new views and various perspectives and activate the lack of smooth communication and the solutions. It pointed out insufficient communication between artists’ quality and audiences’ popularity. The understanding of audiences should be made by means of artists’ intention and work(dance) with artistry. However, communication between artists’ artistry and audiences’ popularity is not often made. To solve this, artists should firstly try to communicate with audiences by using works with both artistry and popularity. If such new views and various perspectives are accepted, a work with artistry and popularity is created, and it can satisfy both artists and audiences. Second, there are undivided plans, the solutions and activation methods. Art performance art is not divided in the planning stage. Therefore, it is natural that art performance art is not professionalized. Performance planners in charge of overall planning, stage designers in charge of stage setting, and advertisers in charge of advertising are not professionalized. So, an approach with the public is urgently attempted through ‘the audience analysis. For dance performance art, artists and producers need to analyze performance audiences. Third, there are the lack of active marketing strategies, the solutions, and activation methods. Korean dance performance market characteristic is the excessive manufacturer-based market. Under the situation of few actual audiences who buy tickets, performance programs are constantly made. To solve this problem, active supports of large-sized private centers are necessary. As artists focus on works under the financial help and companies have image improvement, they can help each other. In addition, promotion strategies to respond the informatization era are insufficient, so cutting-edge media Internet is used. There is a method to activate ‘art website’ and ‘sharing websites between cultural art foundations’. This area should be more developed through studies, and if performance art sponsors cooperate with partners of each role, financial stability and artistic completion is made so that it will contribute to developing cultural are and upgrading quality of life. 지금까지 무용계는 순수예술이냐 대중예술이냐 하는 경계선에서 갈등과 혼란을 거듭하여 왔으며, 현재까지도 정체성에 대한 자기의 분야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다. 예술경영과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가 많았던 선행 연구와 달리 본 연구에서는 무용공연과 마케팅 개념을 기반으로 보다 발전되고 질 높은 무용공연에 적합한 효율적인 마케팅 전략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그 결과 공연예술은 사회 전반적인 파급효과로 볼 때 발전시킬 수 있는 노력에 대한 이유가 충분히 있다. 우리나라 공연예술 시장의 현황을 살펴보면 아직 우리는 초보단계에 머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무용공연 예술단체의 효과적이고 합리적인 예술경영을 꾀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마케팅 믹스를 통하여 관객개발에 힘을 쏟아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런 이유로 합리적인 예술 경영의 도입이 절실하며 장기적인 무용 관객 확보를 위해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의 수립이 필요하다. 그 문제점과 해결책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새로운 시각과 다양한 관점의 수용, 그리고 원활한 의사소통의 부족과 그 해결책 및 활성화 방안이다. 예술가인 창작자와 관객의 의사소통이 되지 않는 점을 지적하였다. 표현하는 예술가의 의도와 예술성이 담긴 작품(무용)을 매개로 관객의 이해가 의사소통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예술가의 작품성과 관객의 대중성이 의사소통이 안 될 경우가 많다. 이것이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는 우선 창작자가 작품성과 대중성이 적절히 혼합된 작품으로 대중들과의 의사소통을 먼저 시도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새로운 시각, 다양한 관점의 수용이 이루어질 때 작품성과 대중성을 두루 갖춘 작품이 나오고, 예술가와 관객이 모두 만족하는 공연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분업화 되지 못한 기획과 그 해결책 및 활성화에 대한 방안이다. 무용공연예술은 그 기획단계에 있어서 분업화 되어 있지 못하다. 그러므로 전문화되지 못하고 있는 것은 당연한 결과이다. 공연을 기획하는 사람은 전반적인 계획을 작자는 창작을 무대 배경이 되는 무대 장치는 무대 디자이너가 광고는 광고 담당자가 하는 식으로 분담되어 전문화 되어 있지 못한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는 ‘관객 분석’을 통한 대중화의 접근이 가장 먼저 시도되어야 한다. 무용공연 예술은 위해서는 예술가와 제작자는 공연에 관람하는 관객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셋째, 적극적인 마케팅 전략의 미흡과 그 해결책 및 활성화 방안이다. 한국에서의 무용공연시장의 특징은 생산자 위주의 시장이 과도하게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입장권을 구매하여 입장하는 실질적인 관객이 거의 형성되어 있지 못한 상황에서 지속적으로 공연 프로그램을 제작하고 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는 대기업 민간단체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예술가는 경제적 도움을 받아 작품에만 몰두할 수 있고, 기업은 이미지 개선 등의 효과가 있기 때문에 서로 도울 수 있다. 또한 정보화 시대에 비해 그 홍보 전략이 미흡하다. 그러므로 첨단 매체인 인터넷을 활용하는 것이다. ‘예술 사이트를 활성화’ 시키고, ‘문화예술재원들의 사이트 교류’를 활성화 시키는 방안이 있다. 이 분야는 더 많이 연구되어 발전시켜야 할 분야이며 공연예술의 주최자들이 각기 역할의 주체들과의 협력으로 상호보완하고 노력한다면 재정적 안정과 예술적 완성을 이루어 문화예술의 발전과 삶의 질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해야 할 것이다.

      • 2007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에 따른 중학교 음악과 평가 방법 연구

        송윤경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most important two factors that should be faithfully accomplished in education field may be the teaching·learning activities and learning evaluation. Of these, learning evaluation is very important process, because it is to recognize the extent that the students have studied contents which they had learned, and is made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clas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Especially the music subject evaluation is hard to be evaluated objectively without teacher's subjectivity in due to the subjectiv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subject such as artistry, originality and creativity. But for the music teachers it is important to evaluate with high graded validity and reliability, by enhancing the expertise on evaluation and compromising both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evaluation which harmonize with the nature of music curriculum and characteristics. Nevertheless in education field, classes for evaluation rather than evaluation for classes have been developed due to lack of music curriculum class in numbers, and also it is real that theory centered evaluation with paper and pens which is exclusive of evaluation stressed on auditory based on real sound and evaluation in practical technique mainly singing a song and evaluation stressed on outcome rather than procedures and evaluation on a tune in the textbooks which is not the evaluation based on a course of curriculum are being made. The evaluation on music subject should be wholistic one including cognitive, psychomotor and definitive domains with course of study as the center, and so should be turned to the method of qualitative-centered evaluation which is the curriculum centric and enhances the quality of teaching·learning.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ffectively apply and practice the qualitative-centered evaluation methods, tools and items which are well fitted for changeover to three graded absolute evaluations and the way recording descriptive value products in the school field based on the evaluation methods of middle school music curriculum which was revised and presented in the year of 2007 and is being enforced from 2009 by preparing and suggesting activities, comprehensions and ways of life which are the systematizing contents of the revised curriculum in respective categories. The performance assessment which is one of qualitative evaluation methods has been 10 years since introduced and put in practice to Korea. At this point of time, I would like to check how much the evaluation methods have been developed and affected teaching·learning through the performance assessment and tried to seek for improving the evolution methods. Through repeated evaluations, the real and actual curriculum evaluation centric qualitative evaluation should be achieved and music teachers should appropriately catch out both merits and demerits of each performance assessment and also they should select and make the best use of the most effective evaluation methods in accordance with contents categories of the curriculum. Therefore I have looked for a method of curriculum centered qualitative evaluation and developed the method of qualitative-centered evaluation as per categories of the activity, comprehension and a part of one's life respectively. First of all, as for basic study I have looked around the music and the meaning of the learning evaluation, direction through literatures concerning the subject and I also considered the features of music and evaluation and types of various music and evaluation methods. Furthermore I have analyzed the contents of evaluation method in middle school music curriculum which was revised in 2007 and caught up the importance of qualitative evaluation, and I looked around the contents on the conversion to three graded absolute evaluation and the way recording descriptive value products which is under enforcement from 2009. As for actual study, I have developed the qualitative-centered evaluation methods, tools and items as per categories of activity, comprehension and a way of life, based on the contents of evaluation method proposed in the middle school music curriculum revised in 2007. I have developed the evaluation methods based on student's stage of development, study for literature and the contents of the revised curriculum. In activities region, I have developed into evaluation of practical technique and portfolio among the methods of qualitative evaluation as per the categories of singing a song, playing on a instrument, making a music and appreciating a music. And in comprehension region, I have made evaluation items on elements of music and comprehension of concept into real sound centered evaluation with paper and pens. Especially I applied portfolio which is preferred as most effective way in evaluation on the region of a way of life which was newly added in 2007 revision curriculum and easily exposed the specified characteristics and merits of students. This study in which I have developed the qualitative-centered evaluation methods fitted to the nature of music curriculum and characteristics would provide a guideline for the teachers in field what they should evaluate, how they should evaluate according to the 'contents' region of curriculum. And also my intention for this study is to make the qualitative-centered evaluation based on the curriculum more easy by presenting the qualitative evaluation methods in the illustrative form. 교육 현장에서 충실하게 이루어져야 하는 가장 중요한 두 가지는 교수·학습 활동과 학습 평가라고 할 수 있다. 이 중에서 평가는 학생이 배운 내용을 어느 정도로 학습했는가를 알아보고, 그 결과를 토대로 수업을 개선시키고자 하는 목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활동이다. 특히 음악과 평가는 예술성, 독창성, 창의성 등의 주관적인 음악 교과의 특성으로 인하여 교사의 주관이 배제된 객관적인 평가를 하기가 어렵지만 음악교사들은 평가에 대한 전문성을 키워 음악 교과 본질과 특성에 맞는 질적 평가와 양적 평가를 서로 절충해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은 평가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육 현장에서는 음악교과의 수업 시수 부족으로 인해 수업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기보다는 평가를 위한 수업이 전개되고 있고, 또한 실음을 바탕으로 한 청각 위주의 평가가 배제된 이론 중심의 지필평가와 노래 부르기 위주의 실기평가, 과정 보다는 결과를 중시하는 평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가 아닌 교과서 제재곡 내용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는 현실이다. 음악과 평가는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인지적, 심동적, 정의적 영역을 모두 포함하는 총체적인 평가이어야 하며 과정 중심의 평가, 교수·학습의 질을 높이기 위한 평가인 질적 중심의 평가 방법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2007년에 개정된 중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의 평가 방법을 토대로 2007년에 발표되어 2009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3등급 절대 평가, 서술식 평가 결과 기록 방식으로의 전환에 맞는 질적 중심의 평가 방법과 도구, 평가 문항을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인 활동, 이해, 생활화 각 영역별로 만들어 제시하여 학교현장에서 효율적으로 적용하고 실천하고자 하는 데 있다. 질적 평가 방법 중에 하나인 수행평가가 우리나라에 도입되어 시행된 지 십 여 년이 지난 이 시점에서 수행평가를 통해 얼마나 평가 방법에 발전이 있었으며 교수·학습에 영향을 끼쳤는지 점검해 보고 평가 방법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여러 차례의 평가를 통해 향상의 정도를 꼭 반영하도록 하는 진정한 의미의 과정 평가 중심의 질적 평가가 이루어져야 하며 음악 교사들은 각각의 수행평가들의 장·단점을 잘 파악하여 교육과정 내용 영역별로 가장 효과적인 평가방법을 선정해 사용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음악 교과 성격에 맞는 과정 중심의 질적 중심의 평가 방법을 모색하였고, 개정 교육과정 내용에 따라 활동, 이해, 생활화 영역별로 질적 중심의 평가 방법을 만들어 제시하였다. 먼저, 기초 연구에서 문헌을 통하여 음악과 학습 평가의 의미와 방향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음악과 평가의 특징과 다양한 음악과 평가 방법의 유형을 고찰하였다. 또한, 2007년 개정 중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평가 방법의 내용을 분석하여 질적 평가의 중요성을 파악하였으며, 2009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3등급 절대 평가, 서술식 평가 결과 기록 방식으로의 전환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실제에서는 2007년 개정 중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평가 방법의 내용을 토대로 음악 교과 본질과 교육과정 내용에 적합한 질적 중심의 평가 방법과 평가 도구, 평가 문항을 활동 영역, 이해 영역, 생활화 영역별로 만들어 제시하였다. 학생들의 발달 단계와 문헌 연구,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에 근거를 두고 평가 요소를 추출하고 평가 기준을 세워 평가 방법을 개발하였다. 활동 영역에서는 노래 부르기, 악기 연주하기, 음악 만들기, 감상하기 영역으로 나누어 질적 평가 방법 중 실기평가와 포트폴리오로 개발하였으며, 이해영역에서는 음악 요소와 개념 이해에 대한 평가 문항을 실음 중심 지필 평가의 형태로 제작하였다. 특별히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새롭게 추가된 생활화 영역에 대한 평가는 학습자들의 개별화 된 특성과 장점이 쉽게 드러나서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선호되고 있는 포트폴리오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음악 교과의 본질과 특성에 맞는 질적 중심의 평가 방법을 만들어 제시하여 현장의 교사들에게 교육과정의 ‘내용’ 영역에 따라 무엇을 평가해야 하고, 어떻게 평가해야 하는지에 대한 하나의 지침을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질적 중심의 평가 방법을 각 영역별로 예시적 형태로 제시함으로써 교육과정에 근거한 질적 평가를 보다 용이하게 하고자 하였다.

      • 청소년의 외모만족도와 자기표현욕구에 따른 화장행동과 헤어행동

        송윤경 전남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tendency and difference of make-up behaviors and hair styling behaviors according to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elf-expression desire of adolescents and to analyze their influences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represented by adolescents' make-up and hair styling behaviors, thereby providing basic data for educating students to express themselves in an appropriate way. The study gathered data from 565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of 5 different schools in Gwangju city and Jeollanam-do. To analyze the data, the researcher employed t-test,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ronbach’ α), ANOVA, Duncan’s post-hoc comparison, K-means Clustering, Pearson’s correlation with statistics program SPSS/WIN 24.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majority of female students spent more than 10,000 won for make-up and hair styling, and the age at which they started to make-up and hair change was as low elementary school age. The students learnt about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through TV, Internet media such as YouTube, or peers, however, they wanted formal education in school classes. As above, teenager students were interested in make-up and hair styling, wanted to express themselves freely in school through make-up and hair styling, and wanted to be formally educated. In order to respond to these demands, detailed education plans should be explored by specifically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of adolescents by gender and school grade. Second, when it comes to appearance satisfaction, self-expression desire, make-up behaviors, and hair styling behaviors of the adolescents, male students' appearance satisfaction was higher than that of female students, and middle school students' appearance satisfaction was higher than that of high school students. In terms of self-expression desire, the expressive desire for individuality was found to be greater for male students than female students and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an high school students. The desire to imitate popular entertainers was higher for female students than male students, and higher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an high school students. Also, it was found that female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performed more make-up and hair styling behaviors than male students and middle school students. Students with high desire for individuality should be educated to be able to accept various self-expression methods and high desire to imitate popular entertainers should be evaluated critically rather than unconditionally.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make-up and hair styling behaviors according to degree of satisfaction of male and female adolescents, male students showed higher level of make-up behaviors in the group with 'low' appearance satisfac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ake-up behaviors and hair styling behaviors of female students according to the level of appearance satisfaction, and overall, they showed higher make-up behaviors and hair styling behaviors than male students. For middle school students, make-up behaviors and hair styling behaviors were higher in the group with 'medium' or 'lower' appearance satisfaction, whereas high school students showed higher make-up and hair styling behaviors in the group with 'higher' appearance satisfaction. In other words, for the case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male students, the higher their appearance satisfaction was, the less their make-up behaviors and the hair styling behaviors were shown. However,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the higher their appearance satisfaction level was, the more make-up and hair styling behaviors were shown. Fourth, make-up and hair styling behaviors according to self-expression desire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were most frequent in the 'socially trend pursuit' group and least frequent in the 'individually personality pursuit' group. Only female students had differences in the overall trend; the 'individually personality pursuit' group had more frequent make-up and hair styling behaviors the 'socially trend pursuit' group had less frequent make-up and hair styling behaviors. The make-up and hair styling behaviors was generally frequent in the sociality-oriented groups, which means that adolescents experienced socialization through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such as make-up and hair styling. The perception that students' make-up and hair styling behaviors are socially deviant needs to be changed. Fifth, the analysis of the influences of adolescent self-expression desire on make-up and hair styling behaviors showed that for male students, the sub-factor of self-expression desire, 'popular entertainer imit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make-up behaviors, and 'popular entertainer imitation' and 'image manage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hair styling behaviors. Being a femal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both make-up and hair styling behaviors, with 'popular entertainer imitation' and 'image management'. The analysis on each school grade showed that 'popular entertainer imitation,' a sub-factor of the desire for self-express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make-up behaviors. It was also shown that hair styling behavio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popular entertainer imitation' and 'image management'. For high school students, make-up behaviors were shown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opular entertainer imitation,' and hair styling behavior were shown to have only a significant effect on 'popular entertainer imitation'. The desire to imitate popular entertainers was found to be a motive for make-up and hair styling behaviors, regardless of gender or school grade. It is necessary to acknowledge that the adolescents' interest in appearance is growing, and their make-up and hair styling behaviors are manifested in various and complicated patterns. It is also necessary to acknowledge that this is correlated with establishing students' appearance values and meeting their self-expression needs. Continued studies and education are required to help adolescents establish sound values and appropriate appearance management actions. 본 연구는 청소년의 외모만족도와 자기표현욕구에 따른 화장행동, 헤어행동의 경향과 차이를 알고 영향력을 분석하여 청소년기 학생들의 화장, 헤어행동으로 대표되는 외모 관리 행동을 이해하고 궁극적으로는 학생들이 바람직한 방법으로 자신을 표현할 수 있도록 교육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하여 광주·전남 지역 소재의 5개의 중·고등학교 학생 565명을 대상으로 외모만족도, 자기표현욕구, 화장행동, 헤어행동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통계프로그램인 SPSS/WIN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 검정(Cronbach' ɑ), 요인분석, t-test, ANOVA, Duncan의 사후검정, K-평균 군집분석,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많은 여학생들이 화장, 헤어 연출을 위해 1만 원 이상의 돈을 사용하고 있고 색조화장, 헤어 변형을 처음 시작하는 연령도 초등학생 때로 많이 낮아진 것이 확인되었다. 학생들은 유튜브와 같은 TV, 인터넷 매체를 통해서 또는 또래들끼리 알음알음 외모 관리 행동을 배우고 있으나 학교 수업에서 받는 것과 같은 정식적인 교육을 원하고 있었다. 위와 같이 청소년들은 화장, 헤어 행동에 관심이 높고 학교에서 자유롭게 화장, 헤어행동을 통해 자신을 표현하고 싶어 하며 정식으로 이와 관련된 교육을 받기를 원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응답하기 위해서는 성별, 학교급에 따른 청소년들의 특성과 차이를 구체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세부적인 교육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둘째, 청소년의 외모만족도, 자기표현욕구, 화장행동, 헤어행동을 살펴봤을 때 청소년의 외모만족도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으며 중학생이 고등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표현욕구에서 ‘개성 추구’의 표현욕구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고등학생보다 중학생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예인 동조' 욕구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크고 중학생보다 고등학생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학생들보다 여학생들이, 중학생들보다 고등학생이 화장행동과 헤어행동을 더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과 학교급에 따라 자기표현욕구의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개성 추구’ 욕구가 높은 학생군에는 다양한 자기표현 방법을, ‘연예인 동조’의 요구가 높은 학생군에는 무분별한 모방보다는 비판적인 수용을 할 수 있도록 교육해야 할 것이다. 셋째, 남녀 청소년의 외모만족도 정도에 따른 화장행동, 헤어행동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남학생은 외모만족도가 ‘하’인 집단의 화장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의 화장행동과 헤어행동은 외모만족도 수준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고 전반적으로 남학생보다 높은 화장행동과 헤어행동을 보였다. 중학생은 외모만족도가 ‘중’ 또는 ‘하’인 집단에서 화장행동과 헤어행동이 높게 나타난 반면 고등학생은 외모만족도가 ‘상’인 집단에서 화장행동과 헤어행동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즉 중학생과 남학생의 경우 외모만족도가 높으면 화장행동과 헤어행동을 덜하지만, 고등학생의 경우에는 외모만족도가 높을수록 화장행동과 헤어행동을 더 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넷째, 청소년의 자기표현욕구 특성에 따른 집단 간 화장행동, 헤어행동은 ‘사회적 유행추구’ 집단이 화장행동과 헤어행동에서 점수가 높았고, ‘개별적 개성추구’ 집단의 점수가 낮았는데 이는 연예인이나 유행을 잘 따르며 사회적으로 동조되기 쉬운 집단이 적극적으로 화장행동과 헤어행동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여학생의 경우에서만 전체적인 경향과 다르게 나타났는데 ‘개별적 개성추구’ 집단이 화장행동과 헤어행동의 점수가 높았고 ‘사회적 유행추구’ 집단의 점수가 낮았다. ‘개별적 개성추구’ 집단의 남학생의 경우 본인의 개성추구를 화장행동과 헤어행동을 통해 하지 않는 반면 ‘개별적 개성추구’ 집단의 여학생은 화장과 헤어행동을 적극적으로 함으로써 개성을 표현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사회성을 중시하는 집단군에서 화장행동과 헤어행동의 경향이 대체로 높게 나타난 것은 청소년들이 화장, 헤어행동과 같은 외모관리 행동을 통해 사회화를 경험한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학생들의 화장, 헤어 변형을 단순히 일탈로만 여기는 인식을 바꾸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청소년의 자기표현욕구가 화장행동과 헤어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남학생의 경우 화장행동에는 자기표현욕구 하위 요인인 ‘연예인 동조’가, 헤어행동에는 ‘연예인 동조’와 ‘이미지 관리’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은 화장행동과 헤어행동 모두 ‘연예인 동조’와 ‘이미지 관리’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급별 결과로는 중학생의 경우 자기표현욕구 하위 요인인 ‘연예인 동조’가 화장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헤어행동에는 ‘연예인 동조’와 ‘이미지 관리’ 양쪽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생의 경우 화장행동에는 ‘연예인 동조’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헤어행동 또한 ‘연예인 동조’만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예인을 모방하려는 욕구는 성별과 학교급에 상관없이 화장행동과 헤어행동을 하게 하는 동기임을 알 수 있었다. 청소년의 외모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지고 화장행동과 헤어행동이 다양하고 복잡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학생들의 외모 가치관 정립과 자기표현욕구 충족과도 상관관계가 있음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청소년들이 건전한 가치관을 정립하고 바람직한 관리행동을 할 수 있도록 지속적이고 꾸준한 연구와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과세특례제도의 존속 여부에 관한 연구

        송윤경 한양대학교 경영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관광산업은 外貨獲得과 고용증대를 유발시켜 국가발전에 공헌할 수 있는 성장주도산업이라는 공감대가 전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흔히 ‘굴뚝없는 수출품 생산공장’으로 비유되는 관광산업은 국가간 貿易摩擦을 야기시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自國文化의 전파, 국제친선교류확대를 이룰 수 있기 때문에 21세기의 핵심산업으로 부상되고 있으며, 삶의 질을 높이려는 인간의 욕구를 만족시키면서 국가경제에 큰 利得을 안겨주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관광산업이 다가오는 21세기에 가장 각광받는 최첨단 서비스산업으로서 국가고도성장에 크게 기여하게 될 것이므로 그 위상과 기능이 한층 높아질 수 있도록 국가전략사업으로 育成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국내관광산업에 있어서 現存하는 문제점들을 보다 정확히 파악, 효과적인 解決方案을 연구, 제시하고 우리나라 관광업계의 급변하는 경영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마케팅 전략 수립 및 발전방향을 모색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硏究方法으로는 국내․외의 서적과 관광공사의 내부자료에 의거 우리나라 및 주요국의 관광산업의 현황을 분석하고, 외국의 관광마케팅 동향을 살펴봄으로서 마케팅 관련 문제점을 導出하였으며, 이에 대한 代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우리나라 관광산업의 마케팅전략 問題點 및 代案을 4P's에 의거하여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우리나라 고유이미지를 부각시킬 만한 관광상품 부족, 관광안내소․안내판․안내물 등 案內體系가 未洽하여 관광객들에게 많은 불편을 주고 있고, 투자저조, 시설부족, 受容態勢 및 국제경쟁력 약화 등의 문제점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問題點을 해소하기 위해 외래관광객이 원하는 관광상품이 무엇인지 정확히 파악하고, 해외시장에서 잘 판매되도록 정책적지원을 해주는 인센티브제도를 신설한다. 또한 정부내에 가칭 ‘관광상품기획위원회’설치로「레저스포츠 이벤트상품」, 「역사 문화관광상품」, 「매력있는 관광상품」, 「음식메뉴」등의 각종 觀光商品을 개발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가칭 ‘외래관광객 유치 촉진 협력예산’ 배정 등 財政的인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안내원의 근무조건 개선과 인센트브 제공, 안내소 기능의 세분화, 전산네트워크화 작업 및 施設投資가 이루어져야 하며, 도로표지판의 정확한 지명․도로번호․도로명․설치위치․문자크기․색깔․문자와 방향표시․디자인 등이 개선되어야 하고, 관광지역 안내표지판의 다양성과 통일성의 조화, 안내판의 통일된 주제, 주변과의 조화, 내용의 簡潔化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무엇보다도 외래관광객들에게 가장 좋은 첫인상을 보여줄 수 있는 기회가 되는 출입국서비스와 함께 만성적인 교통체증에 따른 서비스차원에서 관광지를 定期巡廻하는 전용버스를 운행하도록 한다. 둘째, 여행상품에 대한 價格上昇의 원인이 되고 있는 호텔비 상승이 일반 중저가형 숙박시설보다 고가형 호텔에 편중된 구조에 기인하고 있어 전체 관광산업의 國際競爭力 低下의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국세․지방세 관련 제도개선, 부대시설 운영 등에 대한 規制緩和, 관광호텔에 대한 전기요금 산업용 요율 적용 등의 검토와 호텔가격 사전예시제 도입으로 호텔기업의 자율적인 준수를 유도하고, 여행상품 가격덤핑방지를 위한 당국의 행정조치 강화, 高․低價格戰略 도입이 필요하다. 세째, 旅行業의 산업분류체계가 대분류로 되어 있고, 여행사의 정책적 지원 미흡으로 외래관광객을 유치하는 인바운드 상품개발과 외래관광객 유치활동이 萎縮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관광산업 추진기관의 시스템 構築, 여행사 인바운드 여행업무 지원강화, 여행업계의 유통구조 개선, 전문여행사 등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네째, 해외홍보에 있어 타국에 비해 조직․활동상이 貧弱하고, 국내 관광홍보활동에 있어 관광이미지 개발․관광홍보활동 등이 미흡하며, 관광이미지 홍보상에 있어 한국을 대표할 만한 핵심적 관광이미지 및 인상적인 심볼․슬로건 등이 부족하다. 따라서 광고컨셉트 전환, 광고내용 강도 강화, 인쇄매체를 이용한 홍보, 국가이미지 차원 유명공인인물 중심 광고와 같은 대중광고로 인한 종합적이고 體系的인 광고전략이 필요하다. 또한 이미지홍보 전략으로 Internet을 통한 홍보와 우리나라 방문결정에 있어 장애요인을 극복하고 관광목적지로서 우리나라의 인지도를 제고시킴으로서 핵심이미지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문화된 觀光誘致團 派遣, 해외주재원과의 協力强化, 외국여행업자와의 紐帶强化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우리나라 관광에 알맞는 심볼․슬로건을 새롭게 설정하여 이미지 마케팅 강화에 重點을 두어야 할 것으로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