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협력학습에서 집단 간 경쟁이 과제참여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송유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협력학습에서 집단 간 경쟁이 과제참여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경기도 소재 초등학교 5학년 학생 217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준 실험설계 방식에 따라 총 8개의 학급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4학급씩 무선 할당하여 학급별로 3회의 협력학습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목표제시 및 평가 단계에서 집단 간 경쟁과 관련된 실험 처치를 가하였고 통제집단은 집단 간 경쟁과 관련된 처치를 하지 않았다. 집단 간 경쟁을 개체 간 요인(between-subjects), 측정 시기를 개체 내 요인(within-subjects)으로 한 혼합설계 분산분석(1B1W mixed ANOVA)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제참여에 대한 경쟁과 시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경쟁 조건에서 학습에 참여한 경우 과제참여가 점차 증가한 반면 경쟁 조건에서 학습한 경우 비록 변화 추이가 유의하지는 않으나 과제참여가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둘째, 학습 태도 중 협력학습 선호도는 경쟁과 시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였다. 집단 간 성취도를 비교하지 않을 때 협력학습에 대한 선호도가 점차 높아진 반면 성취도를 비교하는 상황에서는 선호도에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다. 내재동기는 경쟁과 시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던 대신 시간의 주 효과가 높게 추정되었다. 따라서 학습이 진행되는 동안 내재동기가 크게 증가하였으나 이때 집단 간 경쟁의 유무는 내재동기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고 볼 수 있다. 셋째, 공동조절과 협력학습 선호도는 경쟁과 시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물론 경쟁의 주 효과도 유의하였다. 즉 집단 간 경쟁이 존재함으로써 소집단 내에서 서로의 학습을 더욱 적극적으로 도왔고, 협력학습에 대해 흥미롭게 인식한 것으로 해석해볼 수 있다. 그러나 경쟁조건에서 공동조절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 확인되었고, 마지막 회기에서 집단 간 경쟁유무에 따른 집단차이가 유의하지 않았으므로 협력학습 상황에서 집단 간 경쟁이 미치는 영향은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이해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협력학습에서 집단 간 경쟁이 미치는 영향을 종단적으로 살펴보고, 과제참여와 학습태도의 긍정적 변화를 이끌 수 있는 수업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교육적, 실천적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ask engagement and learning attitude change according to the intergroup competition in collaborative learning.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group competition, co-regulation and task contribution are used as indicators of task engagement. As indicators of learning attitude, intrinsic motivation and preference for collaborative learning were used. This study hypothesizes that task engagement and learning attitude could decrease in intergroup competition but increase in non-intergroup competition condition. In this study, 217 5th grade elementary students who live in Gyeonggi-do participated.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a quasi-experimental design due to practical constraints and condition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task engagement and learning attitude, three times of collaborative learning was conducted in each class. Experimental group was experimentally related to intergroup competition in goal presentation and evaluation stage of collaborative learning lesson, and control group did not take any action related to intergroup competition. In the analysis stage, a mixed ANOVA was conducted with intergroup competition as between subjects and times as within-subj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ask engagemen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hen there was no competition among groups, but when there was competition between groups, it tended to decrease although not significant. Therefore, it is more effective not to apply intergroup competition to promote learner engagement and increase frequency of cooperative behaviors in small group. Second, interaction effect of competition and time on the preference of collaborative learning among learning attitude was significant. When there was no competition between groups, the preference for collaborative learning continued to increase, but when there was competition between groups, the change was not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intrinsic motivation, the interaction effect of competition and time was not significant, but the main effect of time was significant and the effect size were very large. Therefore, intrinsic motiv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cooperative learning, and the intergroup competition did not affect intrinsic motiv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collaborative learning is effective for intrinsic motivation. In addition, it can be found from the viewpoint of self–determination theory that motivation is not degraded if externally regulated learning is shared with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task. Third, some positive effects of group competition were found. The main effect of the competition was significant in co-regulation and preference of collaborative learning, and higher values were observed at all time points than non–competitive conditions. This results canbe interpreted that intergroup competition affects the co-regulation and preference of collaborative learning more. As the need for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skills is emphasized, a variety of collaborative learning strategies are being used in recent educational setting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lesson should be designed considering the complex and long-term effects on student attitudes as well as student involvement in the use of instructional strategies such as intergroup competition in the education field.

      •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공감능력과 학교적응 간의 관계 :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

        송유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공감능력과 학교 적응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함이다.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공감능력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중학생의 회복탄력성을 통한 간접적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 소재 4개 중학교에 재학 중인 중 1 청소년 366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도구는 조용주(2010)가 개발하고 타당화를 거친 부모공감척도, 신우열, 김민규, 김주환(2009)이 개발하고 타당화한 청소년 대상 회복탄력성 척도(YKRQ-27), 이규미(2005)가 개발하고 타당화한 ‘중학생의 학교적응 척도’를 사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모든 자료의 통계 처리는 SPSS 22.0과 AMO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량을 검토하기 위해 평균, 표준편차, 왜도, 첨도를 산출하였고 주요 연구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부모공감능력과 회복탄력성, 학교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부트스트랩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공감능력, 회복탄력성, 학교 적응 간의 상관 관계를 살펴보면 부와 모의 공감능력은 중학생의 학교적응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부와 모의 공감능력의 하위 요인인 부와 모의 정서지각, 관점수용, 공감적 정서반응은 각각 학교적응의 하위요인인 학교공부, 학교친구, 학교교사, 학교생활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이와 반대로 부와 모 공감의 부정적인 요인에 속하는 냉담한 정서반응은 학교적응의 모든 요인에 걸쳐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중학생의 회복탄력성과 학교적응은 전체 요인에서도 정적 상관이 유의하게 나타났고, 통제성, 긍정성, 사회성의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들과 학교적응의 하위요인들은 모두 각각의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부모공감능력이 중학생의 학교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부와 모의 공감능력은 각각 회복탄력성으로 가는 경로에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고, 중학생의 회복탄력성도 학교 적응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보였다. 부의 공감능력, 모의 공감 능력과 학교 적응과의 관계에서 중학생의 회복탄력성이 완전 매개하였다. 부와 모의 공감 능력은 학교 적응에 간접적인 영향을, 중학생의 회복탄력성이 학교 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부와 모의 공감능력이 높을수록 중학생 자녀의 회복탄력성이 증대되어 학교에 더 잘 적응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부모공감능력은 학교 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회복탄력성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청소년의 외적 요인인 부모 공감능력보다는 청소년 개인 내적 요인인 회복탄력성이 상대적으로 학교 적응에 있어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부모공감능력향상 프로그램과 중학생 회복탄력성 향상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학교 현장에서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다면, 중학교 입학 초기에 발생할 수 있는 학교 부적응 문제를 예방하고, 청소년의 긍정적 발달과 심리사회적 적응, 특히 학교 적응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e on relations between parental empathy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school adjustment. The study looked into the direct effects of parental empathy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ir school adjustment and the indirect effects of resilience on their school adjustment. For that purpose, the investigator conducted a survey with 366 seventh graders from four middle schools in Seoul, gathering data from them. Employed in the study were the parental empathy scale developed and validated by Jo Yong-ju(2010), the resilience scale for adolescents(YKRQ-27) developed and validated by Shin Woo-yeol, Kim Min-gyu and Kim Ju-hwan(2009), and the "School Adjustment Scale for Middle School Students" developed and validated by Lee Gyu-mi(2005). All of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treated with the SPSS 22.0 and AMOS 22.0 programs. Mean, standard deviation, skewness, and kurtosis were obtained to review the descriptive statistics quantity of each major variable used in the study.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connections among the major variables. In addi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nd bootstrapping were performed to figure out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parental empathy, resilience, and school adjustment.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looked into correlations among parental empathy, resilience, and school adjustment and found that paternal and maternal empathy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school adjust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Subfactors of paternal and maternal empathy, which include paternal and maternal awareness of emotions, acceptance of perspective, and empathic emotional reaction,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subfactors of school adjustment, which include school work, school friend, school teacher, and school life adaptation. Cold emotional reaction, a negative factor of paternal and maternal empathy, on the other hand,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all the factors of school adjustment. The resili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all the factors of their school adjustmen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subfactors of resilience, which include control, positivity, and sociality, and those of school adjustment. Secondly, the study also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arental empathy on the school adjust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both parental and maternal empathy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on the path toward resilience. The resili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ir school adjustment. Resilience fully mediated between paternal and maternal empathy and school adjust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Paternal and maternal empathy had indirect influences on their school adjustment, and resilience had indirect influences on it. That is, the greater paternal and maternal empathy is, the higher resilience their middle school children have and the better their school adjustment becomes. Those findings indicate that parental empathy has indirect impacts on the school adjustment of students via resilience rather than direct ones on it and that resilience, an internal factor of individual adolescents, plays relatively more important roles on their school adjustment than parental empathy, an external factor. If programs are developed and implemented in schools to increase parental empathy and improve the resili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based on those findings, they will be able to prevent the school maladjustment problems in the early days of middle school and help with the positive development and psychological and social adjustment, in particular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 고대수학이 인류의 삶에 기여한 업적에 관한 연구

        송유진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고대국가로 부터 수학이 ‘현실적인 필요’ 때문에 생겨난 발생 과정과 그 의미에 대해 소개하였다. 현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수학이 시작되었고, 산술과 기하학을 비롯한 여러 학문이 발전되었으며, 다양한 수학적 증명과 법칙이 만들어졌다. 인류 문명이 발전함에 따라 수학도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현상과 복잡한 관계를 이해하는 학문으로 발전하였다. 고대 문명 속에서 수학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내용과 그 당시 수학자에 관한 재미있는 일화를 중심으로 수의 탄생부터 수학이 발전하기까지의 과정을 연구하였다. 또한 학습자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고대 그리스 수학자 피타고라스의 일화를 중심으로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중학교 3학년의 실수와 그 계산단원의 학습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 조직 구성원의 감성지능, 조직성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송유진 한성대학교 지식서비스&컨설팅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식 정보화 시대에서 조직의 핵심경쟁력인 인재는 시스템이나 제조만으로 해결할 수 없는 영역의 문제를 자신의 지능과 역량을 발휘해 동료와 협력하여 해결함으로서 조직의 목표달성과 성과 창출을 이끌어 낸다. 그래서 많은 기업의 최고경영자들이 기업 경쟁력으로 기술경쟁 보다 우수한 인재의 확보 및 양성을 강조하고 있는 실정이다(송영수, 2007). 그러나 최근 급격히 변화하는 기업경영환경에서 불안한 고용과 갈수록 치열해지는 기업 간 경쟁으로 기업이 어렵게 확보한 인재의 조직에 대한 충성을 저하시키고, 인재이동으로 인한 기업의 비용증가 및 지적자본 유출 등의 문제를 유발하고 있는 실정이다(김부희, 2011). 이러한 불확실성과 위기로 인해 기업경영 환경에서는 단순히 문제해결 및 인지적 반응이 뛰어난 높은 지적소유자 보다는, 정신적인 면에서 건강한 조직구성원이 더욱더 필요한 실정이다(김성호, 2009; 김지영, 2001, 김현기, 2003). 그래서 복잡한 문제와 변화로 인해 스트레스를 인내하고, 동료와 긍정적 에너지를 공유할 수 있고, 그들과 팀을 이루어 조직의 문제를 해결하고 그리고 목표하는 성과를 달성 하는 조직구성원의 감성지능에 주목하고 있는 실정이다(Druskat & Wolff, 2001; Salovey & Mayer, 1990). 따라서 본 연구는 조직구성원의 감성지능의 역할과 중요성을 살펴보고, 조직성과와 직무만족의 변인들을 함께 추가하여 조직구성원의 감성지능, 조직성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를 검증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조직구성원의 감성지능, 조직성과, 직무만족에 대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세우고 전라남도 광주에 위치해 있는 기업에 종사하고 있는 조직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는 총 150부를 배포, 146부를 회수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를 토대로 특정도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고, 인구통계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조직구성원의 감성지능이 높을수록 조직성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조직성과 또한 높을수록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결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조직구성원의 감성지능을 향상시켜 조직성과 및 직무만족도 또한 긍정적인 방향으로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 팬형상 홀 출구 주변의 형상 변화가 막냉각 효율에 미치는 영향 연구

        송유진 한국항공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의 가스터빈은 높은 효율을 얻기 위해 연소 가스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있으며, 이에 따라 터빈의 부품들은 재료의 허용치를 상회하는 온도에 의해 높은 열응력과 열부하 조건에 놓인다. 따라서 블레이드에는 냉각이 적용되어야 하며, 블레이드의 표면에 홀이나 슬롯을 가공하여 낮은 온도의 유체를 블레이드 내부에서 외부로 분사하여 표면을 보호하는 막냉각 기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막냉각 기법 이용 시 막냉각 효율을 측정하여 표면의 냉각 성능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으며, 막냉각 효율은 유체가 분사되는 홀 및 슬롯의 형상, 주유동과 냉각 유체의 유동 조건 등에 따라 크게 변화하므로 다양한 조건에서의 막냉각 성능 평가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막냉각 성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최근 막냉각 효율 측정 연구에 널리 사용되는 압력감응페인트(Pressure Sensitive Paint, PSP)기법을 사용하였으며, Box-Behnken 기법을 이용해 실험 케이스를 효율적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유동 해석 소프트웨어(Ansys CFX)를 사용하여 실험 조건과 동일한 유동 조건을 모사하여, 각 홀 출구 형상에 따른 유동 특성을 파악한 후 냉각 메커니즘을 분석하였다. 첫 번째 연구에서는 블레이드 표면에 열차폐코팅을 적용했을 때 가공 방법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막냉각 홀 출구 주변의 단차가 막냉각 효율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팬형상 홀의 주변에 단차(트렌치)를 적용하였으며, 단차의 형상 변수를 단차의 높이(H/d), 홀 출구로부터 단차 사이의 거리(D/d), 출구 방향 단차의 곡률반경(R/d)으로 선정하여 각 형상 변수가 막냉각 효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단차의 내부와 외부, 전체 효율을 각각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실험 결과 고려한 범위 내에서 대체적으로 단차가 높고, 홀 출구로부터 단차까지의 거리가 짧을수록, 단차의 곡률이 작을수록 높은 막냉각 효율을 보였다. 두 번째 연구에서는 막냉각 홀 출구의 앞전 형상에 변화를 주었을 때 막냉각 홀 형상에 따라 변화하는 막냉각 효율에 대해 실험 연구를 진행하였다. 팬형상 홀의 앞전에 원형 노치를 적용하였을 때 노치의 직경, 위치에 따른 막냉각 효율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았다. 분사된 냉각유체가 비교적 원활히 확산되어 표면에 부착되는 특징을 갖는 홀(3.54-12.64-2)과 출구 면적이 좁아 냉각유체의 모멘텀이 높은 특징을 갖는 홀(7-7-2)에 위의 형상을 적용하였다. 실험 결과, 7-7-2 홀의 경우 원형 노치의 적용이 막냉각 효율 증진을 야기하였다. 그러나 3.54-12.64-2 홀의 경우 원형 노치를 적용하면 막냉각 효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In this study, the effects the exit shape of fan-shaped holes on the film cooling effectiveness were experimentally investigated. In the first study, the effects of trench around the hole with three trench configurations - the height, the distance from the hole exit to the downstream sidewall - and the radius of the curvature of the downstream sidewall were investigated. In the second study, a circular notch was applied to the hole leading edge region. The film cooling effectiveness was measured using the pressure sensitive paint (PSP) technique, and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blowing ratios of 1.0, 1.5, 2.0, and 2.5, and density ratios of 1.0 and 2.0.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film cooling effectiveness inside the trench was generally higher for cases with larger trench heights, smaller distances between the hole exit and downstream sidewall, and smaller radius of the curvature. The smaller distances between the hole exit and downstream sidewall showed higher film cooling effectiveness outside the trench. With a notch, the film cooling hole with relatively smaller exit showed improved film cooling effectiveness since the notch disturbed the coolant with higher momentum and induced the coolant toward the wall.

      • RAD발레교수법을 활용한 누리과정 유아발레교육 연구

        송유진 상명대학교 문회기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교육의 가장 첫 시작점인 만 5세 누리과정과 Pre-Ballet 단계는 유아기에 필요한 바른 인성을 위한 기본 능력을 길러주고 기초 능력을 형성하는 신체적, 정서적, 인지적, 언어, 사회성 등의 모든 발달의 형성에 도움을 주고 균형 있는 발달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새로운 지식창출과 창의적 교육에 중점을 두고 미래를 대비하여 자라나는 유아들을 대상으로 하는 조기교육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만 5세 누리과정 내 예술경험영역 예술 활동의 프로그램을 중점으로 발레 통합교육 프로그램 지도안의 개발을 하고자 하였다. 특히 어느 한쪽에 편중된 발달이 아닌 다양한 상호작용으로 양방향의 모든 변화와 자신만의 표현 방식으로 예술적, 지적 발달을 통해 통합적 사고를 확장 시켜줄 수 있는 RAD Pre-Primary 단계를 활용한 통합교육 프로그램 지도안의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일차적으로 현행되고 있는 여러 가지 선행된 자료들을 통한 분석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프로그램 효과성의 결론은 아래와 같다. 첫째, 아동들의 가장 큰 영역인 심리적 교육에 있어서 RAD의 여러 가지 표현방법의 교육영역은 아동들에게 심리적 안정감과 더불어 자존감을 길러주는데 큰 역할을 한다. 둘째, 신체적 교육에 있어서 리듬감과 몸을 활용한 운동 효과의 극대화는 아동들의 신체적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친다. 셋째, 예술경험영역 안에서 아름다움 찾아보기, 예술표현하기, 예술 감상하기를 바탕으로 나누어져 있는 교육방법론 안에서 유아발레교육의 예술적 가치를 부여하고 활동영역을 보완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적용 될 수 있도록 예술경험 활동의 지도방안을 제시 할 수 있었다. 넷째, RAD 발레교수법의 Pre-Primary 단계를 통합하여 프로그램을 교육함으로써 더 정확한 신체적, 정서적, 예술적 전문지식을 통해 예술교육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는 발레교육의 조기교육을 통한 효과에 있어서 중요한 밑거름이 될 수 있다. 모든 교육에는 시기가 있듯이 조기교육의 중요성은 유아교육에서 나타나며, 가장 중요한 교육적 화두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유아기의 발달, 심리학, 음악 등을 교수법을 숙지하여 다양하고 활용도 높은 프로그램 개발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교육프로그램은 실천적, 이론적 부분의 발전방안 연구로 현 연구단계에 있어서 현재 무용교육법을 보완하고 그것을 통한 활용방안을 모색해 나아가야 한다는 명재가 있다. The contemporary digital era has been changed rapidly with abundant volume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Under this circumstance, new talented personnel that can be more active and creative to solve are required. Eventually, the change of education field that is infrastructure of society is as a matter of course to survive in the global competition. Age 5 Nuri Curriculum and Pre-Ballet stage, the starting point of education suggests balanced development to nurture basic abilities for upright personality at the infant period and to help to form physical, emotional, cognitive, linguistic and social competenc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ocused on new knowledge creation and creative education. With the awareness of importance of earl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e study developed ballet integrated educationprogram manual in art experience activity inside Age 5 Nuri Curriculum. In particular, the study aimed to develop integrated education program using RAD Pre-Primary stage that can expand integrated thinking rather than biased development for two-way change and self-expression method through various interaction expanding artistic and intellectual development.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e study analyzed various previous studies primarily. The conclusion of suggested program in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RAD’s various expression method and education area played an important role in developing children’s psychological stability and self-efficacy in the psychological education, the largest area of children. Secondly, in the physical education, maximization of rhythmic sense of exercise effect using body had had great impact on physical development of children. Thirdly, it could supplement any shortage in the education methodologies in the art experience areas that are divided into finding beauty, expressing art and appreciating art. The study could suggest art experience activity manual by imposing artistic value of children ballet education in the frame of children education by supplementing activity area and by attempting efficient application. Fourthly, by integrating Pre-Primary level of RAD ballet teaching method, the artistic education quality could be improved through more accurate physical, emotional and artistic expertise. It can be an important foundation in the effect through early education of ballet.Just as every education has proper time, the significance of earlier education appears in the children’s education, which is the most important educational issue.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learn development of children period, psychology and music teaching method to develop diverse and highly usable programs. The education program suggested in this study is a practical and theoretical development study, which needs further studies by complementing current dance education method and by seeking utilization method at the current study stage.

      • 앱 아이콘의 시각적 호감도 연구 : 형태적 요소를 중심으로

        송유진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모바일 시장은 생활 속에서 현대인의 필수품으로 스마트 폰이 자리 잡게 되었으며, 스마트 폰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들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키며 넓은 시장성을 가지게 되었다. 사용자들이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함에 있어 앱 아이콘은 시각적으로 가장 먼저 인식되고 사용자와 애플리케이션의 커뮤니케이션을 연결한다고 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이 대중화가 되며 앱 아이콘의 시각적 요인과 사용 요인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졌다. 다양한 앱 아이콘의 디자인들이 나타나면서 시장의 과부화가 발생되었고 이러한 시장 속에서 선택받는 앱 아이콘은 극소수에 불과하다. 이것은 시각적 인지를 통한 앱 아이콘의 형태적 요소가 사용자들의 호감도 유발을 통해 다운로드하도록 유도하고 있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는 빠르게 변화하는 모바일 시장 속 애플리케이션의 넓은 시장성과 그에 따른 앱 아이콘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앱 아이콘 카테고리 별 그래픽 표현방법에 대한 호감도를 20대와 30대 사용자를 중심으로 한 조사 및 분석을 통해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에서 형성되는 앱 아이콘의 형태적 요소를 중심으로 한 시각적 호감도 연구를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5년 04월 30일부터 2015년 05월 13일까지 2주에 걸쳐 10대에서 40대까지의 앱 아이콘 디자인에 대한 관심도와 구글 플레이에 나타난 다운로드 선호도에 의해 자주 사용하는 카테고리 5가지를 선정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애플리케이션 주 사용자인 20대와 30대를 중심으로 브랜드 이미지가 높은 아이콘을 제외한 카테고리 별 8개씩의 아이콘을 선정하여 2015년 10월 21일부터 2015년 11월 02일까지 약 2주간 그래픽 표현방법에 대한 호감도 조사 및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부터 앱 아이콘 디자인에 있어 단순 정보를 통한 커뮤니케이션이 아닌 카테고리와 연령대 별 형태적 요소를 중심으로 한 시각적 호감도를 통해 과부화 된 애플리케이션 시장에 앱 아이콘 디자인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When it comes to mobile markets, smart phones have established its place as the essential item of modern day people in life, and they gained broad marketability as they fulfilled various needs of users through smartphone applications. In terms of users choosing applications, we can say that app icons are the first to be recognized visually and that they link the communication between users and applications. As applications became popular, the importance regarding app icons’ visual and usage factors have heightened. With designs of various app icons appearing, a market overload took place, and app icons that get chosen in a market like this is only extremely few. When it comes to this, we think that morphological factors of app icons through visual perception induce users’ desirability, and that through this it makes people download them. Through perceiving the vast marketability of applications in the rapidly changing mobile market and the importance of app icons following that, and a survey and analysis centered around users in their 20s and 30s regarding desirability about graphic expression methods by app icon category, this study’s objective is to do visual desirability research centered around morphological elements of app icons formed in visual communication. To achieve such study goals, over two weeks from April 20th 2015 to May 13th 2015 we selected five frequently used categories based on interest rates about app icon design and download preferability shown in GooglePlay for teenagers to those in their 40s. Based on this, centered around those in their 20s and 30s, who are the main users of applications, we selected eight icons per each category excluding icons with high brand image; over approximately two weeks, from October 21st 2015 to November 2nd 2015, we carried out a survey and analysis of desirability regarding graphic expression methods. From these research results, through visual desirability centered around morphological elements by category and age group, rather than communication through simple information in terms of app icon design, we wanted to suggest a direction used as basic data for app icon design in overloaded application marke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