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회복지시설 프로그램 및 서비스 평가지표 개선에 관한 연구 : 광주/전남 사회복지시설을 중심으로

        송영종 목포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wo. First, this study was aimed at the social welfare facilities center evaluation that is necessary for the verification of respon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institutions. It analyzes the perceptions of welfare workers to assess the adequacy indicators around the program and service evaluation indicators. Second, this study aimed to derive the importance weight of the evaluation index to find the improvement that can be applied to the physical welfare evalu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as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two processes. The first step was analyzed research evaluat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 indicators targeted at social workers working in Gwangju and South Jeolla Province social welfare facilities. Objective assessment of the scale of the facility assessment indicators demonstrate the ease of 2.843, performance is a little lower than usual to 2.98. Reflect about the business, and usually there is no difference. But it reflects the degree of regional variation was higher than normal in 3.373. "A quantitative evaluation indicators of performance-oriented" for the objectivity of the evaluation scale was the most by 35.2%. Rank 2 in the "evaluation index did not reflect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each institution 'were higher by 29.7%. If you organize your programs and services are also important three total weight of the 16 sub-items for the features for business by size as follows: program planning expertise (D2-1) 0.108, reflect local social characteristics (D2-4) 0.103, the desire-reflection of participant(D2-5) 0.092, the program execution process(D2-2) 0.072, the expertise in case management personnel(D1-2) 0.066, case management resources linked (D1-4) 0.066, the expertise of case management to perform(D1-3) (2.5686), the community network (D3-3) 0.058, the case management system(D1-1) 0.057, program execution process(D2-6) (2.3725), the performance of local events and amenities provides performance(D3-4) 0.052, the local organizing systems running (D3-1) 0.049, the differentiation and novelty of the program(D2-7) 0.044, organizing local expertise to perform (D3-2) 0.043, program Evaluation(D2-3) 0.041, program impact and modeling(D2-8) 0.034. The weight of program planning expertise (D2-1) 0.108, reflect local social characteristics (D2-4) 0.103 and the desire-reflection of participant(D2-5) 0.092 is higher than 2015. 2015 Scoring ratio (current) and the results shown below compares the weights (Improvement) newly derived results of this study. Reflect local social characteristics (D2-4) -0.028, the community network (D3-3) -0.018, the desire-reflection of participant(D2-5) -0.017, the performance of local events and amenities provides performance(D3-4) -0.012 is higher. Program impact and modeling(D2-8) 0.041, Program Evaluation(D2-3) 0.034, the differentiation and novelty of the program(D2-7) 0.031, program execution process(D2-6) 0.020 is lower. Using the newly derived according to the current weight and Scoring Results were evaluated for three hypothetical Welfare tentatively. The rankings changed the weights of evaluation indicators and Scoring proportion of workers did not match the current evaluation index. This study will explore the ways that social welfare workers have to admit the validity and relevance of the Scoring and evaluation items of the evaluation indicators. It may be utilized as the basis for developing new evaluation index.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사회복지시설 중 인지도와 주민 참여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기관의 책임성 및 효과성에 대한 검증의 요구가 필요한 사회복지관 시설평가 중 프로그램 및 서비스 평가지표를 중심으로 평가지표 적절성에 대한 복지관 종사자의 인식을 분석하고 둘째, 평가지표의 중요도 가중치를 도출하여 실제 복지관 평가에 적용할 수 있는 개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두 과정의 실증분석을 하였다. 첫 번째 과정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사회복지시설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들을 대상으로 평가지표에 대한 적절성을 조사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시설평가지표에서의 평가척도의 객관성은 2.843, 실적입증의 용이성은 2.98로 보통보다 조금 낮은 수준 이였다. 사업특성의 반영정도도 보통과 별차이가 없지만 지역특성의 반영정도는 3.373으로 보통보다 높게 나타났다. 평가척도의 객관성에 대하여 ‘실적위주의 수량적 평가지표’가 35.2%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2순위에서는 ‘각 기관과 지역적 특성이 반영되지 못한 평가지표’가 29.7%로 높게 나타났다. 프로그램 및 서비스 3대 기능사업에 대한 총 16개 세부평가항목의 중요도 가중치를 크기순으로 정리하면 D2-1 프로그램 기획의 전문성 0.108, D2-4 지역사회특성반영 0.103, D2-5 참여자 욕구반영 0.092 , D2-2 프로그램 수행과정 0.072 , D1-2 사례관리 인력의 전문성 0.066 , D1-4 사례관리 자원연계 0.066 , D1-3 사례관리 수행의 전문성 , D3-3 지역사회 네트워크 0.058 , D1-1 사례관리 실행체계 , 0.057 , D2-6 프로그램 수행과정 , D3-4 지역행사 및 편의시설 제공 실적 0.052 , D3-1 지역조직화 실행체계 0.049 , D2-7 프로그램 차별성 및 참신성 0.044 , D3-2 지역조직화 수행의 전문성 0.043 , D2-3 프로그램 평가 0.041 , D2-8 프로그램 파급효과 및 모델링화 0.034 로 나타났다. 2015년 배점 비중에 비해 본 연구 결과 D2-1 프로그램 기획의 전문성 0.108, D2-4 지역사회특성반영 0.103, D2-5 참여자 욕구반영 0.092 는 높게 나타났다. 2015년 배점 비중(현행)과 본 연구결과 새롭게 도출한 가중치(개선)을 비교한 결과 D2-1프로그램기획의전문성(-0.033) D2-4지역사회특성반영(-0.028) D3-3 지역사회 네트워크(-0.018) , D2-5 참여자 욕구반영(-0.017) , D3-4 지역행사 및 편의시설 제공 실적(-0.012)은 비교적 크게 나타났고, D2-8 프로그램 파급효과 및 모델링화(0.041), D2-3 프로그램 평가(0.034), D2-7 프로그램 차별성 및 참신성(0.031), D2-6 프로그수행과정(0.020)은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현행배점(2015년 평가지표의 배점)과 연구결과 새롭게 도출한 가중치(개선)를 사용하여 가상적인 복지관 세 곳을 시험적으로 평가해 본 결과 평가순위가 변하여 현행평가지표의 배점 비중과 복지사들의 평가지표 가중치간의 불일치 정도가 무시할 수 없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평가대상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이 평가지표의 적절성과 평가항목 및 배점에 대한 타당성을 인정할 수 있는 개선 방안 모색한 것으로서 새로운 평가지표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트랜스포머를 이용한 전동기 전류 데이터 이상 탐지 및 이상 상태 분류

        송영종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동기는 산업, 가전, 운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전동기의 고장은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고, 특히 운송에 사용 되는 전동기는 막대한 인적 피해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전동기의 이상을 감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딥러닝을 이용한 이상 탐지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실제 현장에서 이상 데이터를 획득하기 어려워 정상 데이터만 훈련하고 이상을 탐지하는 비지도 학습 기반 이상 탐지 방법이 주로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사용된 데이터 세트는 12개의 전력을 가진 40개의 전기 모터 인버터의 RST 3상 전류 센서 데이터로 구성된다. 정상 데이터와 전동기에서 주로 발생하는 4가지 이상 상태(베어링 불량, 회전체 불균형, 벨트 느슨함, 축 정렬 불량) 데이터로 구성된다. 본 논문에서는 트랜스포머 모델을 사용하여 비지도 학습 기반 이상 탐지 및 지도 학습 기반 이상 상태 분류 방법을 제안한다. 첫째, 비지도 학습 기반 모델을 사용하여 이상 탐지한 다음, 지도 학습 기반 모델을 사용하여 이상 상태를 분류한다. 이상 상태 분류 성능은 한 모델이 데이터 세트의 모든 모터인 12개 전력을 가진 40개 전기 모터 센서 데이터의 4개 이상 상태를 분류할 때 0.94AUC 점수로 매우 강력하다.

      • 토마토 작물에서 LbCas12a-crRNA 유전자가위 시스템 최적화

        송영종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clustered regularly interspaced short palindromic repeats (CRISPR)/CRISPR-associated protein (Cas) system has become the most important technology within the category of new plant breeding techniques (NPBTs). Among the diverse Cas protein collections, Cas9 and Cas12a are widely studied and applied in almost all living organisms. While the CRISPR/SpCas9 was the first engineered complexes and is highly efficient in gene editing, Cas12a also has some unique advantages over Cas9, especially in homology-directed repair (HDR)-based gene targeting (HGT), owning to its ability to 1) generate double-strand breaks (DSBs) with protruding 5’- ends compared to the blunt ends in case of Cas9, that somehow facilitated the DSB end resection for HGT. and 2) recurrently cleave the targeted dsDNA thanks the distal cut site from the PAM sequence which is proximal to the cut site of the Cas9 protein. The recurrent cleavages may offer more chance for the HGT to be selected for repairing the DSBs. However, the cleaving efficiency of the Cas12a was still relatively low compared to that of the Cas9 complex and is an important subject of improvement. The cleaving activity of Cas12a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Human cells with either the additions of several nucleotides to the 5’ or 3’ terminal of the CRISPR RNA (crRNA, CRISPR scaffold-guide RNA arrangement), but yet to be validated in plants. Therefore, in this study, we sought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the crRNA extensions on the Cas12a cleaving activity using tomato as a plant model. The Cas12a could process its precursor RNA into active crRNAs and the processing efficiency was shown to be affected by the crRNA lengths. We added 5’ or 3’ extensions to dual guide crRNAs with either 20-nucleotide (nt) or 23-nt lengths for targeting 4 different tomato loci (8 cleaving sites). To assess the cleaving activity of the Cas12a-crRNA complexes, we used targeted deep sequencing analysis to measure the indel mutation efficiencies at each of the cleavage sites. Our data reveal that the highest editing efficiency was obtained with the 23-nt crRNAs. Importantly, in consistent with previous data in Human cells, either of the extensions, particularly the 3’ extension, showed enhancing effects on the SlCENH3 editing only in the case of the 20-nt crRNAs. We assume that the editing efficiency of the 23-nt crRNAs was similar to that of the 3’ extended 20-nt crRNAs because of the longer crRNAs behaved similarly to the 20+3-nt crRNAs that were theoretically more stable compared to the 20-crRNAs alone. Further validation at three more loci (SlMTL8, SlCRTISO, and SlSGR) showed similar performance of the crRNA design, suggesting that either the 23-nt crRNA-containing crRNAs without extension or the 20-nt crRNAs with 3' extension could be efficiently used. Our works contribute pieces of knowledge for the Cas12a crRNA engineering and may advance the system for efficient gene targeting in plants.

      • A STUDY ON KRYLOV SUBSPACE METHODS : Krylov 方法에 관한 硏究

        송영종 조선대학교 대학원 1995 국내박사

        RANK : 247631

        本 論文에서는 Krylov 部分空間 上에서 反復法을 利用하여 線型 方程式의 解를 구하는 Arnoldi 方法과 一般化된 最小殘差 方法을 考察하였다. 먼저, 2章에서는 定義와 定理들을 살펴보고, 一般的인 射影 過程을 通하여 Krylov 部分空間 方法을 紹介하였고, 3章에서는, Krylov 部分空間 K_(k) 上에서의 l_(2) 正規直交 基底에 대한 Gram- Schmidt(GS) 方法을 利用하여 Arnoldi 方法을, 4章에서는 K_(k)에서 참값의 殘差 norm의 最小로부터 近似解를 얻는 一般化된 最小殘差를 살펴보았다. 5章에서는 이런 數値 實驗들을 利用하여 例題의 近似解를 比較 分析하였다.

      • 한국의 IMF 경제 위기 전 후 질병이환율, 의료이용 및 사망률의 변화

        송영종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연구에서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국민건강·보건의식행태조사」의 95년과 98년 자료와 통계청에서 발간하는 사망원인통계연보의 1995년 1월부터 99년 12월까지의 월별 사망자수를 이용하여, IMF 경제위기가 우리나라 국민들의 질병이환과 의료이용에 미친 영향을 수량화하여 알아보고, 전체사망률과 특정 질환별 사망률의 변화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IMF 이후에 전체 질환, 급성 질환, 만성 질환 이환율은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암, 고혈압, 신경쇠약, 심장질환, 그리고 사고는 이환율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소화성궤양은 증가하였으나 자연증가율을 보정하면 오히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둘째, IMF 이후에 전체 인구대비 외래이용률과 이환자 대비 외래이용률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전체 인구대비 입원이용률과 이환자 대비 입원이용률이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환대비 외래 이용률은 고혈압, 신경쇠약, 소화성궤양, 심장질환 그리고 사고에서 유의하게 IMF 후에 감소하였으나 암으로 인한 외래 이용률은 감소하지 않았다. 입원이용률은 6개 질병 모두 IMF 전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IMF 이후 의료서비스를 받은 사람들의 평균외래방문회수와 평균 입원일수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고혈압과 소화성궤양으로 인한 입원환자의 평균입원일수에 IMF 전후 차이가 있었으며 IMF 후의 입원일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넷째, 전체 사망률은 IMF 발생 1년 후부터, 소화기계질환과 순환기계질환에 의한 사망률은 IMF 직후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99년 12월까지 IMF효과가 지속되었으며, 사망의 외인에 의한 사망률은 IMF 이후에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순환기계 질환 중 허혈성 심장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은 IMF가 발생한 직후부터 증가하여 점차적으로 일정 수준으로 수렴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뇌혈관으로 인한 사망률은 IMF의 효과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사망의 외인 중 운수 사고로 인한 사망률은 IMF 직후 첫 1년 동안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 자살률은 IMF가 발생한 3개월 후부터 6개월 후까지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그 이후에 점차 감소하여 IMF가 없었을 경우로 회귀하는 양상을 보였다. 위의 분석 결과를 통하여 IMF는 우리나라 국민들의 이환율과 의료이용 그리고 전체 사망률의 변화를 가져왔다. 이로써 IMF가 대변하는 실직과 수입의 감소 그리고 물가상승 등 외적 요인이 의료 이용에 대한 접근도를 떨어뜨리고, 스트레스와 사고 등 위험요인을 증가시킴으로써 질병에 대한 이환율과 사망률을 높일 것이라는 가설을 충족시켰으나, 이에 대한 원인 결과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ntify the influence of the IMF Economic crisis on morbidity and medical utilization patterns in Korea, based on "The Survey on Public Health and Health-Related Behaviors" published by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in 1995 and 1998, and to analyze changes in overall mortality and individual mortality per disease, based on "The annual statistical report about the cause of death and the number of the dead(per month between January 1995 and December 1999)" published by the Statistical Office.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 1. After the IMF crisis, the morbidity of overall disease, acute illness and chronic illness increased,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orbidities of cancer, hypertension, nervous breakdown, cardiovascular disease, and accidents increased significantly. The morbidity of ulcers in the digestive system increased, but, with the rate of natural increase being corrected, it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2. After the IMF crisis, the ratios of using outpatient service per total population and per patient decreased,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atios of hospitalization per total population and per patients decreased significantly. The ratio of using outpatient service per morbidity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following categories : hypertension, nervous breakdown, ulcers in the digestive system, cardiovascular disease and accidents. In the case of cancer the ratio did not decrease. As for the above mentioned six categori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atio of hospitalization before and after the IMF crisis. 3. The average number of visiting medical facilities and length of stay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IMF crisis. In the case of inpatient s suffering from hypertension and ulcers in the digestive system,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ir average length of stay before and after the IMF crisis. The length of stay was significantly higher after the IMF crisis. 4. Total mortality began to increase one year after the IMF crisis and continued to increase until December 1999, while the mortality caused by diseases in the digestive and circulatory systems began to increase right after the IMF crisis, and continued to increase until December 1999. Mortality caused by external factors decreased after the IMF crisis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Mortality caused by cardiovascular disease began to increase after the IMF crisis and gradually showed the aspect of being constrained to a certain level. Mortality caused by cerebral blood vessel was constantly under the influence of the IMF crisis and showed an upward trend. As for external factors, mortality caused by traffic accident s decreased significantly for the fir st year after the IMF crisis. The suicide rate increased rapidly 3 months after the IMF crisis. It maintained an upward trend for three months. Afterwards it gradually decreased until it regressed to the pre-IMF level.

      • 학교교육에서 환경윤리교육의 모색

        송영종 蔚山大學校 敎育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류가 현재 안고 있는 생태위기는 본질적으로 인류가 자연에 대해서 가지고 있는 가치관의 위기이며, 이와 같은 위기로부터 벗어나 인류와 생태계의 영속을 보장받기 위해서는 지금까지의 윤리와는 전혀 다른 어떤 새로운 윤리는 아닐지라도 자연에 대한 인간의 책임이 부과되는 윤리, 즉 환경윤리가 요청된다고 볼 수 있다.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정치, 경제 제도의 조정과 인간의식의 실천적인 힘을 제공하고, 그것이 실질적인 결과를 산출해 내기 위해서는 환경교육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학교교육을 위주로 현재 학교교육에서의 환경윤리교육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것의 개선방향을 살펴보았다. 먼저 I장에서는 생태학적 위기에 대하여 논의를 전개하고 인간과 자연에 관한 새로운 윤리를 정초 해야 함을 이야기하고 있다. II장에서는 생태학적 위기와 환경문제에 대한 여러 이론들을 살펴보고 환경윤리에서의 교육의 중요성에 대하여 논의 해 보았다. III장에서는 학교환경교육의 중요성과 그 원리 그리고 내용과 방법을 통하여 학교 교육을 통한 환경윤리의 모색을 시도해 보았다. IV장에서는 학교 환경윤리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에 대하여 모색해 보았다. 끝으로 V장에서는 환경윤리교육을 위한 교수 학습방안으로 가치명료화 이론을 제시하였다. 가치명료화 이론은 개인이 선택한 가치의 존중과 가치의 내면화 그리고 내면화된 가치를 적절한 행동으로 실행 또는 결정하는 것을 도와주게 된다. 위에서 제시한 환경윤리교육의 개선 방향은 "인간, 인간과 문화, 인간과 생물, 물리학적 환경의 상호관계를 이해하고, 올바로 평가하는 데 필요한 기능과 태도를 개발시키기 위하여 가치를 인식하고 개념을 명백하게 하는 과정뿐만 아니라 환경의 질에 관련된 행동 규범을 규정하고 수립하는 실천과정"이다. 즉, 환경윤리교육은 환경에 대해 알고(knowing), 느끼고(feeling), 행동하기(acting)의 학습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학교환경윤리교육의 핵심은 환경에 대한 바른 인식과 행동을 배우고 이것을 실천에 옮겨, 환경의 질 향상과 유지에 기여하는 바람직한 민주시민을 길러내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The ecological crisis the mankind is currently encountering is essentially the juncture of the outlook of value the mankind has toward the nature. To be rid of such crisis and to be guaranteed of the perpetuation of mankind and ecosystem, perhaps not the whole new set of moral principles but the code of conduct that imposes the mankind the responsibility of nature, namely, the environmental moral is requested. In order to substantiate the above, the arbitration of politics and economical regime as well as provision of practical strength of human awareness and that to bring forth the practical result, the necessity of environmental study is demanded. Accordingly, this treatise seizes the controversial point of environmental study of morals of current school education and inspects the bearings of improvement. On the first chapter, the consultation of the ecological crisis is deployed and talks about the new moral principle concerning human and nature. On the second chapter, the divergent views referenced to environmental crisis are examined and the gravity of the education of environmental moral is consulted. On the third chapter, through the importance of school education of environment, its reform measure and through contents and method, attempted the groping of environmental moral. The fourth chapter gropes for the point at issue of school environmental moral education and the reform measure. Finally, on the fifth chapter, by the drilling measure of faculty for the environmental moral education, the theory of the lucidity of value is presented. The theory of the lucidity of value assists the respect of value chosen by individuals, internalization of value, and practicing or concluding the internalized value into pertinent conduct. The course of improvement for the proposed environmental moral education from above is "not only the process to perceive the value and distinct the concept to exploit the capability and attitude needed to comprehend and uprightly valuate the mutual relation of man, man and civilization, man and organism, and physical surrounding, but the practical process that ordains and establishes the related behavioral criterion. That is, the environmental moral education can be seen as the course of education of knowing, feeling and acting of environment. The core of environmental moral education of school takes aim at learning about upright recognition and conduct and putting this into practice, as well as cultivating the democratic citizens that contribute in uplift and maintenance of quality of the environment.

      • 종합적 품질경영(TQM)의 효과적인 추진전략에 관한 연구 : 조선업을 중심으로

        송영종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30여년 동안 한국은 산업전반에 걸쳐 “품질경영”을 실시했다. 그러나 기본적인 개념없이 단순히 일본의 시스템과 기술을 도입했기 때문에 결과는 만족스럽지 못했다. 그리고 경영환경의 급격한 변화에 직면한 한국은 현장 중심적인 활동에 역점을 두는 품질관리에 한정될 수 밖에 없었다. 이 논문에서, 한국에서의 산업환경과 관련해 상기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소비자 중심적인 품질경영을 형성하는 새로운 접근법(전략)이 제시되었다. 먼저 우리는 경영 환경상의 변동요인을 이해하고 이러한 변동에 대한 품질경영 시스템을 만든다. 품질관리 개발 공정뿐만 아니라 일부학자(편집자 주)가 제안한 전략들도 연구되었다. 이 연구에서 한국 산업의 새로운 품질관리 전략의 취약부분을 보완하기 위해서 만들어졌고 한국 산업 전반에 도입된 몇 가지 제안과 성공적인 전략도 소개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