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 도서관의 장서개발에 관한 연구

        송영숙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제7차 교육과정의 시행으로 학습방법 및 교육환경이 변화되고, 이에 따른 다양한 교수-학습자료 활용에 대한 욕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므로 교사의 연구와 학습활동에 필요한 정보자료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적절한 장서와 이용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도서관의 장서개발에 대한 실태를 분석하여 장서개발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실증적 조사방법으로 경기도 북부의 2개 시와 2개 군 초등학교 도서관 110개 학교를 조사대상으로 설문지를 발송하고 회수하는 방식으로 하고, 빈도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도출된 장서개발의 발전방향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도서관에는 장서개발을 위하여 사서교사, 교사, 학부모, 관리자, 전문가, 도서관 담당자 등으로 자료(도서)선정위원회가 구성되어야 한다. 둘째, 학교도서관에는 장서개발을 위하여 성문화 된 자료(도서)선정기준이 있어야 한다. 셋째, 학교도서관에는 장서개발을 위하여 충분한 예산이 확보되어 있어야 한다. 넷째, 학교도서관에는 장서개발을 위하여 적절한 장서평가와 폐기가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학교도서관에는 장서개발을 위하여 자료(도서)구입 방법과 절차가 객관적이고, 투명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여섯째, 학교도서관에는 장서개발을 위하여 장서의 규모와 범위가 정해져야 한다. 현재 초등학교에는 독서를 통하여 자기 주도적 학습을 행할 수 있도록 교육인적자원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받아 학교도서관이 설립되고 있다. 학교도서관은 학교 내의 교수-학습 자료를 한 곳에 모아 관리하여 일관성 있는 운영을 해야 하며, 교과교사와 사서교사의 협동수업을 통하여 교수-학습의 성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균형 잡힌 장서개발을 해야 할 것이다. Recently, with application of the seventh educational curriculum, learning methods and educational environments have been changed, and in consequent, the need to use more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is increasing. Thus it is important to be provided with appropriate collections and the system to make use of them, to encourage teachers and students to use effectively information or materials for teachers' research and students'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ffer a guideline for the improvement of collection development by analyzing status of collection development of libraries in elementary schools. Previous literatures were reviewed and questionnaire survey method was used for this stud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one hundred and ten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two cities and two kuns in the northern area of Kyunggi province, and then collected.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frequency analysis. Some suggestions for collection development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and they were as follows: Firstly, libraries of schools should organize selection committee that consists of teacher librarian, teachers, administrator, experts, parents, and officers taking charge of a library for the development of collection. Secondly, relevant criteria to select collection should be codified for the development of collection in school libraries. Thirdly, budget should be fixed enough to support collection development in school libraries. Fourthly, collection evaluation and weeding programs should be conducted appropriately for the development of collection in school libraries. Fifthly, libraries of schools should purchase books objectively and the procedure to do it should be clear for the development of collection in school libraries. Sixthly, size and range of collection should be arranged for the development of collection in school libraries. Now, supported by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chool libraries have been built in elementary schools supported under the policy to encourage students to study with self-directed learning. A school library should be the place to take charge of managing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of the school in one place, and should make an effort to accomplish balanced collection development to maximize the effect of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cooperative class of teachers and teacher librarians.

      • 초등학교 전래동화의 효율적 지도방안 연구

        송영숙 대전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7 차례에 걸쳐 교육과정이 변천되어 오면서 교과서 수록 전래동화가 증가되어 현행 7차 국어 교과서에는 65편(1~4학년)의 전래동화가 수록되어 있다. 이는 우리 문학을 중심에 놓고 자리 매김을 해나가겠다는 문학 교육의 방침과 그 맥을 같이하는 것으로 현대 사회가 안고 있는 왜곡된 가치관에 대한 올바른 방향 제시와 인간성 회복을 위한 인성 교육의 측면에서 전래동화 교육의 의미가 크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라 여겨진다. 전래동화 교육은 이론과 현장의 실태 분석을 근거로 하여 실제 수업에 효과적인 지도 결과를 얻어낼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교육 현장에서는 교육과정에 명시되어 있는 내용체계와 지도방법 및 학습활동에 대한 분석을 제대로 하지 않은 채 교사용 지도서에 의존한 수업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전래동화를 분석하여 연구자가 재직하고 있는 학교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전래동화의 수용 양상과 교육 실태를 설문을 통해 조사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래동화의 효과적인 지도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한 기초작업으로 문헌연구를 통한 전래동화의 문학적·교육적 위상을 고찰한 다음 전래동화의 교과서 수록 실태를 외형면에서 학년별, 영역별, 제시 형태별로 분석해 보았고 전래동화의 주제별 수록 실태와 주인공의 위치별 실태를 조사 분석하였다. 학년별 수록 현황을 보면 전래동화는 3학년 교과서에 가장 많이 수록되어 있으며, 읽기 영역에 30편, 말하기·듣기 영역에 24편, 쓰기 영역에 11편이 수록되어 있다. 이는 전래동화의 구연적 특성과 문학 감상을 위해 주로 읽기 및 말하기·듣기에 많이 수록하였다고 보여지며, 전래동화가 초등학교에서 문학 교재의 주 교재로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시켜 주었다. 수록된 전래동화의 주제를 분석한 결과 '지혜'를 주제로 한 동화가 가장 많았다. 이는 현대의 고도 산업 사회가 요구하는 바람직한 인간상에 부합되는 최고의 덕목으로서 소중한 가치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라고 본다. 전래동화 수용 양상과 교육 실태의 설문 조사 결과 국어과가 타 교과에 비해 흥미도가 높지 않았지만 전래 동화는 흥미가 높았고, 주로 책을 통해서 전래동화를 알게 되었으며 그 중 지혜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선호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한편 아동이나 교사 모두 전래동화를 구연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전래동화 전승에 관심이 적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업 형태에 있어서 아동은 연극으로 꾸며보기, 만화·그림으로 나타내기, 영상 매체 활용, 교사의 구연을 통한 수업 등을 원하고 있으나 실제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수업 형태는 영상자료 보기, 교사가 읽어주는 이야기 듣기, 녹음자료 듣기, 아동이 이야기하기 등으로 나타났다. 아동들은 활동적인 수업형태를 선호하는 반면 학습현장에서 정적인 학습활동이 주를 이루고 있어 아동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있음이 문제점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효율적인 지도 방안으로 아동들이 좋아하며 흥미를 느낄 수 있는 다양한 '교육활동을 통한 지도 방안과'이를 활용하여 본 연구자가 구안한 '가치 내면화 수업모형'에 따라 아동 스스로 올바른 가치 판단과 도덕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 교수 학습 계획안을 제시하였다. 앞으로의 전래동화 교육에 있어 지도하는 교사의 역할에 보다 접근된 연구가 필요하며 전래동화의 구비 전승 방안이 아울러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학급 문고의 전래동화 확보, 가정과의 연계를 통한 독서 지도, 독서 토론회, 전래동화 구연대회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전래 동화를 가까이할 수 있는 장이 마련되어야 하겠으며, 각 영역에 맞는 효과적인 지도 방안, 각종 매체를 활용한 자료 개발에 대한 연구가 더욱 심도 있게 이루어져야 하겠다.

      • 댄스스포츠 활동이 초등학생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송영숙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sociability(responsibility, autonomy, feeling of achievement, activity, sociability, and cooperation) obtained through the dance sports activities during the primary school days. The three primary schools, culture centers, primary institutes and so on which are in Daegu Metropolitan City and carry on the dance sports activities as of 2006 have been chosen as the samples. The chosen subjects were a total of 332 pupils of 162 pupils participating in the dance sports and the 170 not participating out of the male and female pupils of the selected 1‧2‧3‧4‧5‧6 graders. The materials have been processed by using SPSS 12.0. The averages and standard deviations by the factors were calculated. T-test and One-way ANOVA have been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activities and non-activities and sociality in terms of the participation and non-participation in the dance sports activities and the grades and the differences in the sociality(responsibility, autonomy, feeling of accomplishment, activity, sociability, and cooperation) of the primary school pupils in terms of the demographic variables. The post test has been conducted through Scheffe method. The findings obtained through these procedures are as follows: First, it has been found that the participants in the dance sports activities show higher sociality(responsibility, sociability, activity, autonomy, feeling of accomplishment, and cooperation) than the non-participants. Second, it has been fond that the participants in the dance sports activities show higher sociality than the non-participants by the grades. In the case of the first graders, the participants in the dance sports activities show higher activity and feeling of accomplishment. In the case of the fourth graders, the participants in ther dance sports activities show higher responsibility and cooperation. In the case of the sixth graders, the participants in the dance sports activities show higher sociability. Third, it has been fond that in the sociality in terms of the demographic variables of the pupils participating in the dance sports activities, the sociality of the pupils participating in the dance sports activities for less than 6 months show higher responsibility than those participating in the dance sports activities for more than two years. It has been found that, in the sociality in terms of the satisfaction with the dance sports activities, those much satisfied show higher responsibility than those generally satisfied. It has been found that those much satisfied show higher feeling of accomplishment than those satisfied. It has been found that, in the sociality in terms of the changes of the feeling after the dance sports activities, those wishing to keep on the dance sports show higher responsibility than those feeling them to be hard. The conclusions above-mentioned show that the dance sports activities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ociality of the growing pupils. Accordingly, the establishment and propagation of effective educational programs and abundant succeeding studies, together with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the early education of the dance sports activities, will brighten the future.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시기에 댄스스포츠 활동을 함으로서 사회성(책임감, 자율성, 성취감,활동성, 사교성, 협동성)의 차이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의 표집은 2006년도 현재 대구광역시에 소재하고, 댄스스포츠 활동을 실시하고 있는 3개 초등학교와 문화센터, 사설학원 등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대상 1․2․3․4․5․6학년의 남,여학생 중 댄스스포츠 참가자 162명과 비참가자 170명으로 총 332명이었다. 자료처리는 SPSS 12.0의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각 요인별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댄스스포츠 활동의 유․무와 학년에 따라 활동 유․무와 사회성 차이, 인구통계학적변인에 따른 초등학생의 사회성(책임성, 자율성, 성취감, 활동성, 사교성, 협동심)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t-test 와 One-way ANOVA를 이용하였으며, 사후검증은 scheffe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댄스스포츠 활동 참여자가 비참여자보다 사회성(책임감, 사교성, 활동성, 자율성, 성취감, 협동심)이 높았다. 둘째, 학년에 따라서도 댄스스포츠 활동의 참여자가 비참여자보다 사회성이 높았다. 1학년의 경우 댄스스포츠 활동의 참여자가 활동성, 성취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학년의 경우 댄스스포츠 활동의 참여자가 책임감과 협동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6학년의 경우 댄스스포츠 활동의 참여자가 사교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댄스스포츠 활동 참여 아동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사회성에서는 댄스스포츠 활동 참여기간에 따른 사회성에서 6개월미만이 2년이상보다 책임감이 높았다. 댄스스포츠 활동 만족도에 따른 사회성에서 매우 만족한다가 보통이다보다 책임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매우 만족한다가 만족한다보다 성취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댄스스포츠 활동 후의 기분변화에 따른 사회성에서는 댄스스포츠를 계속하고 싶다가 힘이 든다보다 책임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론에서 보면, 댄스스포츠 활동이 성장기 아동의 사회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댄스스포츠 활동의 조기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효과적인 교육프로그램이 구성 보급되고, 후속연구들이 많이 나와야 댄스스포츠의 미래도 밝아질 것이다.

      • 그림 중심 그림책 읽기 교수모형 개발 및 효과

        송영숙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 문 초 록 그림 중심 그림책 읽기 교수모형 개발 및 효과 송영숙 가천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전공 (지도교수 이 차 숙) 본 연구는 그림 중심 그림책 읽기 교수 모형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문제 1에 의해 그림 중심 그림책 읽기 교수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가 진행되었다. 첫째, 그림책 읽어주기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그림 중심 그림책 읽기 교수 목표 및 교수 방향을 설정하였다. 둘째, 유아의 적극적 사고활동을 촉진할 수 있는 그림 중심 그림책 읽기 교수 내용을 선정하였다. 셋째, 선정된 교수 내용으로 교실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그림 중심 그림책 읽기 교수 모형, 즉 그림 훑어보고 이야기 나누기, 그림책의 글 읽기, 그림책의 글과 그림 연결 짓기 단계를 각각 구성하였다. 넷째, 그림 중심 그림책 읽기 교수 모형을 실제 교실에 적용할 수 있도록 12권의 그림책에 대하여 각각 그림책 읽기 교육계획안을 조직하였다. 연구문제 2에 의해 그림 중심 그림책 읽기 교수 모형이 유아의 비판적 및 창의적 사고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그림책 읽기 교육계획안을 조직하여 실제 교실에 적용한 후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만 5세 유아 40명을 대상으로 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하고, 실험집단에는 교수 모형을 적용한 교육계획안을 기반으로 하여 그림책 읽기를 수행하였으며 통제집단은 누리과정에서 제안한 일반적인 그림책 읽기 활동으로 진행하였다. 처치는 그림책 12권을 12주 동안 주 1회로 읽어주었으며, 그림책 12권을 읽어주는 순서는 두 집단이 동일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결과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 중심 그림책 읽기는 유아의 비판적 사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유아의 비판적 사고의 하위요인 중 서로 다른 관점을 인식하기, 판단하여 이유를 말하기, 결과를 예측하기, 타인에게 적용한 기준을 나에게 적용해보기의 점수에 있어, 그림책 읽기 교수를 실시한 실험집단과 누리과정에서 제안한 일반적인 그림책 읽기를 실시한 통제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그림 중심 그림책 읽기는 유아의 창의적 사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유아의 창의적 사고의 하위요인 중 독창성, 제목의 추상성, 정교성, 성급한 종결에 대한 저항 점수에 있어, 그림책 읽기 교수를 실시한 실험집단과 누리과정에서 제안한 일반적인 그림책 읽기를 실시한 통제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한 그림책 읽기 교수 모형은 유아의 그림 중심 그림책 읽기 활동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그림 중심 그림책 읽기를 위한 그림책 읽기 교수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유아의 그림책 읽기 교수 관련 후속 연구를 위한 기초가 되고자 한다.

      • 매수인의 손해배상청구 권리에 관한 연구 -UN 국제물품매매협약(CISG)을 중심으로

        宋英淑 全北大學校 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Contracts for the International Sale of Goods(CISG) which had adopted by UNCITRAL in 1980 is the most important applicable law as a uniform legal basis for world trade. Korea also has become a member country by signing the Convention in 2004, and Korean corporations engaging in international sale of goods will be directly affected by the Convention in the course of performance of export-import contract from March 1, 2005. It is expected that Korean exporters and importers can reduce unnecessary transaction costs and save time by applying the Convention, compared with the past years. Nevertheless, there remains various kinds of intricate problems in the process of performance of international sale of goods, even though the Convention is applicated, because international sales contract in itself has diverse characteristics and complexity. In some cases, the parties concerned cannot but cancel their contract for the reason of breach of contract and claim damages for compensating the loss and expected profits.. But there are so many cases which run into commercial disputes owing to the discrepancy of interpretation of the articles of their contract and calculation method of damages. Recognizing these points, this thesis aims to analyze the legal points on buyer's rights claiming damages in CISG as a remedy when seller breaches his contract with buyer, and find whether there are any problems or not in the articles of CISG, with recommending some points. To attain these aims, some legal aspects which are related to the types of breach of contract that are provided in Korean civil law, English-American laws, and CISG as well as the method of buyer's legal remedies in Chapter Ⅱ. In Chapter Ⅲ, one of the major part of the thesis, seller's responsibilities of damages when he breaches the contract, the scope of exemption provided in the CISG articles, and the impediments and its effects on two contracting parties. In Chapter Ⅳ, the legal points which are related to buyer's obligation of mitigation of the loss and the measurement of damages when contract is avoided, including the damages established by substitute transaction, damages based on current price, and interest on sums in arrears. In Chapter Ⅴ, a final part of the thesis, the problematical limitation which remains in the articles of CISG and the way of solutions which should be considered in making contracts between Korean corporations and its overseas business partners. As a result, the most important problematical points is the article 79 that provides only being not liable for a failure to perform any of obligations if the contracting party proves that the failure was due to an impediment beyond his control and that he could not reasonably be expected to have taken the impediment into account at the time of the conclusion of the contract or to have avoided or overcome it or its consequences. Namely, there is no any provisions of distribution of risks in case both parties are not responsible for the impediments. Anyhow, Korean government has revised its civil law in recent years in accordance with the CISG. But, if we analyze in detail the articles of Korean civil law, there are some points which should be supplemented by referring to the principles of UNIDROIT etc. And also, it is advisable that the contracting parties foresee the possibilities of occurrence of damages at the time of making a contract and include it in their contract sheet.

      • 학습자의 외향성/내향성 성격유형과 면대면/온라인 토론학습 유형이 토론 참여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송영숙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컴퓨터와 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정보통신 테크놀로지의 발달과 함께 우리가 상상했던 많은 일들이 속속 모습을 들어내고 있다. 테크놀로지는 사회의 모든 분야와 결합하여 새로운 가능성을 만들어내고 있다. 교육체제에도 교사 중심 환경에서 학습자 중심 환경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이 일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학습자 중심의 환경을 실현할 수 있는 전략으로써 웹 기반 학습 그 중에서도 온라인 토론에 대한 활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온라인 토론은 단지 환경의 구현만으로 학습이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며, 학습 구성원간의 활발한 상호작용과 적극적 참여를 위해서는 학습자의 특성을 파악하고 학습자 중심 환경을 구현하는 것이 무엇보다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들이 온라인 학습체제에서의 학습자 특성에 관한 연구로 학습 동기적인 측면에 치중되어 있고 전통적인 학습 환경과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의 학습자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나 학습자의 성격유형과 토론 유형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웹 기반 학습의 온라인 토론에서 학습자 특성 중 성격유형에 따라 면대면 토론과 온라인 토론 유형으로 나누어 실험하여 보고 참여도, 만족도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두 집단간의 상호 작용의 효과를 알아봄으로써 학습자 중심의 토론 체제 운영과 토론 학습 전략에 도움을 주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 다루어질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가. 학습자의 외향성/내향성 성격유형에 따라 토론 참여도에 차이가 있는가? 1) 외향적인 성격과 내향적인 성격의 학습자는 발언(게시) 횟수에 차이가 있는가? 2) 외향적인 성격과 내향적인 성격의 학습자는 반응(반응) 횟수에 차이가 있는가? 3) 외향적인 성격과 내향적인 성격의 학습자는 토론 만족도 차이가 있는가? 나. 학습자의 토론학습 유형에 따라 토론 참여도에 있어서 차이가 나는가? 1) 면대면 토론과 온라인 토론에 따라 발언(게시)횟수에 차이가 있는가? 2) 면대면 토론과 온라인 토론에 따라 반응(반응)횟수에 차이가 있는가? 3) 면대면 토론과 온라인 토론에 따라 토론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가? 다. 학습자의 성격유형과 토론학습 유형간에는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가? 1) 학습자의 성격 유형과 토론 학습 유형간에는 발언(게시)횟수에 있어서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가? 2) 학습자의 성격 유형과 토론 학습 유형간에는 반응(반응) 횟수에 있어서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가? 3) 학습자의 성격 유형과 토론학습의 유형간에는 토론 만족도에 있어서 있어서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가? 이 연구를 위한 실험은 초등학교 5학년 학생 76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실험에 참가하기 전에 학습자들은 MTBI 성격유형 검사 결과를 토대로 외향성집단, 내향성 집단으로 분류되었으며 각각의 외향성/내향성 집단은 다시 면대면 토론유형과 온라인 토론유형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면대면 토론 참여도의 분석을 위하여 학습자들이 총 8회 4주동안 토론을 수행하면서 발언 및 반응 횟수를 교사가 체크리스트 하여 누가 기록하였고, 온라인 토론 참여도의 분석을 위해서는 온라인 학습자들의 발언 횟수, 반응 횟수가 토론방에 있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자동적으로 누가 기록되었으며 토론 만족도 분석을 위해서는 토론이 모두 끝난 후에 토론학습 활동의 만족도에 관한 설문을 5단계 평정 척도표를 점수화하여 토론 만족도를 분석하는데 사용되었다. 이 같은 방법에 의해 수집된 자료들은 이원변량분석 방법에 의해 분석되었고 통계분석을 위한 도구로는 SPSS for window 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성격유형(외향성/내향성)에 따라 토론 참여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토론 게시 및 발언 횟수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자의 성격유형(외향성/내향성)에 따라 토론의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토론 전반적 만족도, 토론 효과 만족도, 토론 능력 신장 만족도 세가지 영역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자의 토론유형(면대면/온라인)에 따라 토론 참여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발언 횟수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두 토론 집단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반응 횟수에서 온라인 토론 집단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6.167, p<.015). 넷째, 학습자의 토론유형(면대면/온라인)에 따라 토론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토론 전반적 만족도(F=9.801, p<.003), 토론 효과 만족도(F=13.952, p<.000), 토론 능력 신장 만족도(f=20.390, p<.000) 세가지 영역 모두 면대면 토론 집단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학습자의 성격유형과 토론 학습 유형간의 상호작용의 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토론 발언 횟수, 토론 반응 횟수, 토론 만족도에 있어서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요약하면 이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이 성격유형에 관계없이 토론유형 따라서 토론 학습의 참여도 및 만족도가 달라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학습자 중심의 토론 운영 전략의 기초 자료로써 주목해 볼 필요가 있으며 아울러 앞으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토론 학습 방법을 구상함에 있어서 온라인 토론 유형이 갖는 특성과 면대면 토론 유형이 갖는 특성의 효과를 최대한 살리고 토론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두 토론유형간의 적절한 활용 전략이 요구되며 그에 따른 수업모형개발 연구가 뒤따라야 하겠다. With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ICT) on the basis of computer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 variety of our imaginings in the past happen to be realized one after another. The technologies combined with the various fields of society produce new possibilities. The paradigm in the educational system is changing from a teacher-centered environment into a learner-centered one. With this change, web-based learning is one strategy that promotes a learner-centered environment, especially with the increase of on-line discussion trends. However, the benefits of the online discussion aren't achieved only by implementing the environment. To engage active participation from the learner during on-line discussions, it is most essential to understand the learner's character type and to provide a learner-centered environment. Nevertheless, in most online learning systems, studies on the learners' character type mainly focus on the aspects of their learning motivation, Studies o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learners and learners' character types are scarcely performed. For this reas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develop learning strategies help operate a learner-centered, web-based learning system. The study examines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of learners in face-to-face discussions versus on-line discussions based on the character types of the learners. With the above purpose, concrete matters consider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s there a difference between participation in online discussion according to learners' character types(extrovert/introvert)? 1)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number of utterances(notice) between learners' character types(extrovert/introvert)? 2)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number of reactions(reaction) between learners' character types(extrovert/introvert)? 3) Is there a difference between satisfaction in online discussion according to the learners' character types(extrovert/introvert)? 2. Is there a difference between participation of discussion according to discussion learning types? 1)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number of utterances(notice) between face to face and on-line discussions? 2)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number of reactions(reaction) between face-to-face and on-line discussions? 3) Is there a difference between satisfaction of discussion in the face-to-face and on-line discussions? 3. Is there an interactive effectiveness between the learner's character and discussion learning types? 1) Is there an interactive effectiveness in the number of utterances(notice) between learner's character and discussion learning types? 2) Is there an interactive effectiveness in the number of reactions(reaction) between learner's character and discussion learning types? 3) Is there an interactive effectiveness in satisfaction of discussion between learner's character and discussion learning types? To answer the above questions, I studied 76 students in the 5^(th) year of elementary school who classified as extrovert and introvert group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MTBI character type test, and then classified each of those groups(extrovert/introvert) into face-to-face discussion, a teacher checked and recorded the learners' utterances and the number of reactions in 8 discussion sessions over 4 weeks. To analyze participation of on-line discussion the database system in the discussion room recorded automatically the learners' utterances and the number of reactions. After the completion of the discussion activities, the questionnaire concerning satisfaction of the learners' discussion activities was scored by a 5 step rating system and applied to analyze satisfaction of the 8 discussion sessions during 4 weeks. The data collected by this method was analyzed by Two-way Anova and SPSS for window was applied for a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a difference between participation in discussion according to the learners' character type(extrovert/introver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number of discussion notices and utterance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a difference between satisfaction in discussion according to the learners' character type(extrovert/introver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three aspects of discussion such as general satisfaction, effectiveness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in development of ability.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a difference between participation in discussion according to learners' discussion types(face-to-face/on-line),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number of utterances from both discussion groups, but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number of reactions from the on-line discussion group(F=6.617, p<.015).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a difference between satisfaction in discussion according to the learners' discussion types(face-to-face/on-line),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three aspects such as the general satisfaction in discussion(F=9.801, p<.003), effectiveness satisfaction in discussion(F=13.952, p<.000) and satisfaction in development of ability in the face-to-face discussion group. 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an interactive effectiveness between learner's character types and discussion learning types, it was not significant in the interactive effectiveness in the number of utterances, the number of reactions and satisfaction in discussion. In summary, in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 confirmed that discussion type might be a factor affecting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in learning discussion regardless of the learner's character type. Therefore, the results to this study need to be focused as fundamental data of the operating strategy in a learner centered discussion. Furthermore, in developing the discussion learning method for the elementary student, the results should be used to maximize the features of on-line and face-to-face discussion types, to work out a proper operating strategy to utilize the two different discussion types as well as the effectiveness of discussion, and in following the study of class model development.

      • 서비스 무역장벽이 제조업의 비교우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송영숙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서비스자유무역협정의 체결에 따라 서비스 무역 규모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부가가치 측면에서는 더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서비스무역장벽의 완화는 국내 서비스시장에 외국 서비스 제공자들의 진입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더 좋은 질의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게 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 서비스를 중간재로 사용하는 제조업의 생산성과 수출성과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기존의 연구들은 주로 서비스무역장벽과 제조업의 생산성에 대한 횡단면분석결과를 제시하거나, 서비스무역장벽과 전체 제조업 수출과의 관계만을 다루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00년~2014년의 39개 국가, 18개 제조 산업을 대상으로 서비스무역장벽의 완화가 제조 산업의 수출 비교우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핵심 변수로 World Bank의 서비스무역제한지수(STRI)를 사용하여 계산된 서비스개방도(STO)에 제조 산업별 서비스집약도를 곱한 실질서비스개방도(RSTO)를 분석에 사용한다. 횡단면 및 패널 분석에서 실질서비스개방도의 효과는 국경 간 공급(Mode 1)과 상업적 주재(Mode 3)에서 모두 수출에 긍정적이고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이는 서비스무역장벽이 낮은 국가일수록 서비스를 집약적으로 사용하는 산업에 비교우위를 가져 더 수출하는 경향이 있다는 본 연구의 가설을 지지하는 결과이다. Due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the conclusion of the Free Trade Agreement on Services, the scale of trade in services is increasing continuously, and in terms of value added, it is increasing at a faster rate. The easing of barriers to trade in services not only effectively provides higher quality services by allowing foreign service providers to enter the domestic service market, but also positively affects the productivity and export results of manufacturers using services as intermediaries.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relaxation of trade barriers in services on the export comparative advantage of manufacturing industries. Analyze the calculated RSTO(Real Service Trade Openness) as a major variable using the Service Trade Restrictiveness Index of the World Bank. In analysis, the effect of RSTO was positive and significant for export. This is a result of supporting this study’s hypothesis that the lower the barriers to trade in services, the more likely it is to have a comparative advantage over the manufacturing industry that uses the services intensively, and the more likely it is to export the products of the indus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