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靑邱野談』과 『三言二拍』의 致富談 比較硏究

        송영란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thesis aims to compare and analyze a discourse on the accumulation of wealth, found in Cheonguyadam, a historical storybook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in Sameonibak, a short story written in colloquial Chinese in the late Ming Dynasty.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late Ming Dynasty, both contain a transitional characteristic, namely the collapse of feudal society and the development of commodity money economy. Cheonguyadam and Sameonibak, produced in this socio-economic soil, are outstanding literary works in both Dynasties, and the pursuit of material wealth is mainly concerned in both works. Therefore, this paper considers that a comparative study on these 2 works could be a meaningful one. In chapter 2, a comparative analysis, focusing on characters included in the discourse on the accumulation of wealth, was dealt with. In Cheonguyadam the collapsed gentry is the largest main characters in it. When they face to be in danger of starvation, they get a bread-and-butter job to survive. But they always come back to their previous position as a Confucian scholar after they got a proper portion of wealth, and through this process, they show a remaining Confucian scholar’s consciousness. Meanwhile, in the section where the common people or the lowest class of people take a role as main characters, the rise of status is main concern for them with the accumulation of wealth. On the contrary, in the discourse on the accumulation of wealth of Sameonibak, characters with the origin of gentry class change their status successfully into merchants, through this, they show an aspect of taking out the consciousness of class. Moreover, in the section where merchants play a role as main characters, their good work ethics is appeared, and a strong enthusiasm for wealth as well. In chapter 3, the narrative characteristic of a discourse on the accumulation of wealth is comparatively considered. In the discourse on the accumulation of wealth of Cheonguyadam, the accumulation of wealth through agricultural management was a main pole, on the other hand, in the discourse of acculation of wealth of Sameonibak, a variety of activities of merchants were main characteristic. Meanwhile, in the discourse of Cheonguyadam, the act of cornering and hoarding was used as a motif to express an opportunistic accumulation of wealth, on the other hand, in the discourse of Sameonibak, targeting a niche market was used as a motif for the accumulation of wealth. And an accidental get-rich-quick stories are often appeared in both works. Especially, in Cheonguyadam, the story of getting most valuable treasure is mainly concerned as a type of being rich by borrowing an oral literature like a folk tale or a legend, on the contrary, in Sameonibak, the international trade for a get-rich-quick story is described, also a desert island is set for a spot to get most valuable treasure. In chapter 4, a thematic consciousness for a discourse on the accumulation of wealth is comparatively searched. In the discourse of Cheonguyadam, the life of collapsed gentry who was driven out on the working places is mainly focused. Especially the maintenance of livelihood was a serious social issue, and it reflects the social reality of the day, through presenting an antinomic situation between the extreme poverty and the continuity of reading. On the other hand, in the discourse of Sameonibak, under the reality of the day overflowed with earthly desires, the editor’s intention is distinctively captured in that he tries to square righteousness with usefulness. Besides, in the discourse of Cheonguyadam, a strong consciousness of hierarchy is appeared. For main characters the accumulation of wealth is a temporary expedient regardless of their classes, thus finally it’s concluded as the consciousness of status. For this consciousness as a conclusion, an indomitable will toward wealth is generally realized through the discourse of Cheonguyadam. In the discourse of Sameonibak, on the contrary, the idea of Heaven’s will is the basis of consciousness in which wealth and honor are decided by Heaven’s will. With this sort of idea, the main characters included in the discourse on the accumulation of wealth in Sameonibak have a philosophical view for wealth. In chapter 5, a social and literary meaning of the discourse on the accumulation of wealth is concerned on the basis of the abovementioned results. The discourse of both works, Cheonguyadam and Sameonibak, deals with the accumulation of wealth through agricultural management, manual industry and commercial business, thus the sections or stories including these kinds of aspect are heavily compiled. This phenomenon makes a turning point in the general context of the discourse on the accumulation of wealth. A crucial difference in the discourse of both works, Cheonguyadam and Sameonibak, is rooted from the different ideological soil of 2 Dynasties. Finally it’s coincided from 2 Dynasties’ ideological background; namely for the whole time of the Joseon Dynasty, neo-Confucianism was settled as a ruling ideology, on the other hand, by the Ming Dynasty ideological diversification is achieved from the advent of Wang Yangming. 본고는 조선후기의 야담집인 『청구야담(靑邱野談)』과 중국 명나라 말기의 백화(白話) 단편소설집인『삼언이박 (三言二拍)』을 기본 자료로 삼아 두 작품집 소재 치부담(致富談)을 비교분석한 논문이다. 조선후기와 명말(明末)은 공히 봉건사회의 몰락과 상품화폐경제의 발달이라는 이행기적 속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경제적 토양 속에서 산출된 『청구야담』과 『삼언이박』은 양국의 문학사에서 발군의 작품집으로 자리매김되고 있고, 물질적 부의 추구는 그 중요한 특징의 하나로 자리잡고 있다. 제Ⅱ장에서는 치부담의 등장인물을 중심으로 비교분석을 진행하였다. 『청구야담』에서는 몰락양반이 주인공으로 등장하고 있는 작품이 압도적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가운데 그들은 아사(餓死)의 위기에 직면하여 어쩔 수 없이 생업의 현장으로 나섰다가 일정한 부를 이룩한 후에는 한결같이 선비로서의 위치로 복귀하는 모습을 보임으로써 뚜렷한 사의식(士意識)의 잔존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평민이나 천민이 주인공으로 설정된 작품에서는 축적한 부를 발판으로 삼아 신분상승을 도모함으로써 신분상승의 지향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비해 『삼언이박』 소재 치부담에서는 그 출신이 사인(士人)인 경우에도 대체적으로 자연스러운 신분전환을 이루어 성공적으로 상인의 대열에 합류함으로써 신분의식을 탈피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한편 상인이 주인공으로 설정된 작품에서는 투철한 직업의식을 지니고 있는 모습이 포착되고, 부에 대한 강한 열망을 보이고 있다. 제Ⅲ장에서는 치부담의 서사특성을 대조적으로 검토해 보았다. 『청구야담』 소재 치부담에서는 농업경영을 통한 부의 축적이 한 특징을 이루고 있었으며, 『삼언이박』 소재 치부담에서는 상인들의 치부활동이 다채롭게 전개되고 있음이 그 특징이었다. 한편, 기회에 편승하여 부를 축적하고 있는 유형으로 『청구야담』 소재 치부담에서는 ‘매점매석(買占賣惜)’ 모티브가 활용되고 있었으며, 『삼언이박』 소재 치부담에서는 ‘인기아취(人棄我取)’ 모티브가 활용되고 있었다. 그리고 우연한 기회에 일확천금을 하게 되는 경우가 『청구야담』과 『삼언이박』 소재 치부담에서 두루 나타나고 있었다. 『청구야담』에서는 지보(至寶)를 획득하여 부자가 된다는 유형의 이야기가 상대적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가운데, 민담과 전설 등 구비문학적 전통들을 차용하여 작품화하고 있는 반면, 『삼언이박』에서는 해외무역을 통해 일확천금을 하고 있는 것으로 그려지고 있으며, 지보(至寶)의 획득 장소 또한 해외의 무인도로 설정하고 있다. 제Ⅳ장에서는 치부담의 주제의식을 대비 고찰하였다. 『청구야담』 소재 치부담은 생업의 현장으로 내몰리고 있는 몰락양반의 삶을 중점적으로 포착하고 있는 가운데, ‘극도의 가난’과 ‘독서의 지속’이라는 이율배반적인 상황을 제시함으로써 ‘치생(治生)’이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된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 이에 비해 『삼언이박』 소재 치부담에서는 사회 전반적으로 물욕이 팽배해 있는 시대적 현실에 당면하여 ‘의(義)’와 ‘이(利)’를 조화롭게 일치시키고자 하는 의도가 뚜렷이 포착되고 있다. 또한, 『청구야담』 소재 치부담은 강고한 신분의식을 보여주고 있다. 상하층을 막론하고 주인공들에게 있어 치부(致富)는 일시적인 방편이 되며, 공히 식분의식에로 귀착이 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귀착점으로서의 신분의식으로 인해 『청구야담』 소재 치부담을 보면, 대체적으로 부(富)를 향한 집념과 불굴의 의지가 관철이 되고 있다. 이에 반해 『삼언이박』 소재 치부담에서는 부귀(富貴)는 하늘의 뜻에 의해 결정된다는 천명사상(天命思想)이 의식의 기저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기저의식으로서의 천명사상으로 인해 『삼언이박』 소재 치부담의 주인공들을 보면, 대체적으로 부(富)에 대해 달관의 태도를 지니고 있음이 그 특징이다. 제Ⅴ장에서는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치부담의 문학적⋅사회적 의미를 도출하였다. 『청구야담』과 『삼언이박』은 공히 농업이나 수공업 그리고 상업을 통한 부의 축적을 정면으로 다루고 있는 가운데, 이러한 작품들을 집중적으로 수록하고 있다는 특징을 지닌다. 이는 양국 문학사에서 치부담의 문학적 전통 및 그 전체적인 맥락과 관련하여 살펴볼 때, 하나의 전환점을 이루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가운데 『청구야담』과 『삼언이박』 소재 치부담이 공히 그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한편, 『청구야담』과 『삼언이박』 소재 치부담은 이질성을 드러내고 있는데, 그 결정적인 차이는 치부담을 산출한 양국의 사상적 배경의 차이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즉 조선왕조 전 시기에 걸쳐 주자학이 지배 이데올로기로 강고하게 자리를 잡았던 한국과 명대(明代)에 이르러 왕양명(王陽明)의 출현과 더불어 사상의 다원화가 이루어졌던 중국의 사상적 배경에 호응하는 것이다.

      • Synthesis of blue fluorescent OLED emitters and Binding study on Pd(II) self-assembled macrocycle/ fluorinated fatty acids

        송영란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Part 1. New blue emitting materials based on 1,2-diphenylindolizine were designed and synthesized as a core material by Suzuki coupling reaction. The photophysical properties, electrochem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the synthesized compounds were investigated using UV-vis & fluorescence spectroscopy, cyclic voltammetry, thermogravimetric analysis, and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experiments. The indolizine derivatives indicate emission wavelength of the around 450 nm and have proper band gaps of 3.1-3.4 eV as blue emitters. The enhanced thermal stability observed in the indolizine derivatives compared with 1,2-diphenylindolizine (∆Tm > 100 ℃). As a result, the indolizine derivatives are suitable as blue fluorescent emitters in OLEDs. Part 2. 1,3-Bis(4-pyridyloxy)propane and Pd(II) complex were synthesized. The structure of Pd(II) self-assembled macrocycle at low concentration (1 mM) was confirmed by X-ray crystallography. The binding constants of Pd(II) self-assembled macrocycle against fatty acids and fluorinated fatty acids were determined by NMR titration. The Job’s plot of Pd(II) macrocycle and fatty acids indicates 1:1 binding stoichiometry. The binding constants are proportional to the length and logP of fatty acids. The enhanced binding constants of fluorinated fatty acids were observed compared with fatty acids with same length. The enhanced binding would be explained by the increase of hydrophobic interaction. 주제 1. 1,2-Diphenylindolizine을 중심물질로 하여 다양한 치환기와 함께 Suzuki 결합반응을 통하여 새로운 청색 발광 물질을 계획하고 합성했다. 자외선과 형광 분광학, 순환 전압 전류, 열중량 분석 그리고 시차주사 열량측정법을 통해서 합성물의 광학적, 전기화학적, 열적 특성을 조사했다. Indolizine의 파생물들은 450nm 부근에서 청색빛을 내고, 청색 이미터로서 적당한 3.1-3.4 eV의 밴드갭을 가진다. 중심물질인 1,2-diphenylindolizine과 indolizine의 파생물들을 비교해봤을 때 열적 안정성이 향상된 것을 관찰했다. 실험결과를 종합해보면 indolizine 파생물들은 OLEDs에서 청색 형광 이미터로서 적합하다. 주제 2. 1,3-Bis(4-pyridyloxy)propane과 팔라듐(II) 복합체를 합성했다. 낮은 농도에서 팔라듐(II) 자기조립 고리의 구조를 X-선 결정학을 통해서 확인했다. 지방산 및 불소화지방산 대 팔라듐(II) 자기조립 고리의 결합상수는 핵자기공명 적정을 통해서 알아냈다. 팔라듐(II) 고리와 지방산들의 Job's plot은 1:1의 화학량론을 보여줬다. 결합상수는 지방산들의 길이와 logP에 비례한다. 같은 길이의 지방산과 비교하였을 때 불소화지방산은 향상된 결합상수가 관찰됐다. 향상된 결합상수는 소수성 상호작용의 증가로 설명된다.

      • 사회복귀시설 이용 정신장애인의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송영란 전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at influence social support that persons with mental disorder recognized after they were provided with mental health service from mental rehabilitation center had on their life quality. This study focused on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problems. First, what difference does social support show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persons with mental disorder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that are related to disabilities? Second, what influence social support that persons with mental disorder does have on their life quality? Survey that was collected from 210 persons with mental disorder who were provided with mental health service in 7 mental rehabilitation centers located in Jeollabuk-do was analyzed. Direct interview method was used for the survey. Social support is used to measure the support that was recognized at three levels that is family, friends and significant others. Social support consists of 12 questions and each question is used by making it revised with 5-point Likert scale. In reliability of social support, support of family was Cronbach's ⍺=.94, support of friends was Cronbach's ⍺=.918, and support of significant others was Cronbach's ⍺=.914 in this study. Tool to measure life quality was made to measure korean version of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Scale(WHOQOL). The tool consists of 26 questions. Satisfactory level is measured 5 point scale. This scale is composed of Overall QOL(Quality of Life) and the following 6 domain. ① physical ② psychological ③ independence ④ social ⑤ environment ⑥ spiritual. Reliability of quality of life scale was Cronbach's ⍺=.898 but reliability of quality of life scale in this study was Cronbach's ⍺=.915.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ful to measure the life level of persons with mental disorder who are provided with mental health service and to find what actions are needed to improve their life quality. It was found that persons with mental disorder who were provided with mental health service showed better improvement. It was revealed that providing persons with mental disorder with mental health service can make a contribution to their social skills and leading to improvement of life quality. What is most important in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of persons with mental disorder is that they should be provided with the support of local communities after they leave a hospital.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that can improve self esteem of persons with mental disorder and implement them. Second,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mental health service that can improve life quality of persons with mental disorder by providing support that meets their needs. Third, it is necessary that continuous feedback about advice and intervention of experts towards persons with mental disorder should be provided. Fourth, it is necessary that programs and interventions which can promote social support for persons with mental disorder and develop their ability should be developed.

      • 김치로부터 분리된 바실러스속 균주가 생산하는 항산화 및 항노화 활성을 지닌 세포외 다당류에 관한 연구

        송영란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전통 발효식품인 김치로부터 세포외 다당류 (Exopolysaccharde, EPS)를 고생성하는 균주 2종 (균주 17, 균주 20)을 분리하였다. 16S rDNA 염기서열 분석 및 생화학적 분석 결과 분리된 균주 모두 Bacillus licheniformis와 가장 높은 상동성과 유사성을 나타내어, 각각 B. licheniformis KS-17과 B. licheniformis KS-20으로 명명하였다. 각각의 균주로부터 생성되는 EPS인 KS-17과 KS-20의 구성당, 분자량 및 구조 분석한 결과 분자량은 각각 1.45 kDa과 1.55 kDa 정도로 나타났으며, 둘 다 glucose로 단일 구성된 glucan의 형태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균주로부터 EPS 생산의 최적화를 위하여 배지의 탄소원, 탄소원의 함량, 초기 pH, 배양온도 및 배양시간을 분석한 결과, 두 균주는 모두 sucrose를 최적 탄소원으로 하여, B. licheniformis KS-17은 75 g/L의 sucrose가 함유된 배지에서, 초기 pH 7.0, 37℃에서 60시간 배양될 때 고활성 (18.8 ± 0.41 g/L)을 나타내었으며, B. licheniformis KS-20은 100 g/L의 sucrose 함유된 배지에서, 초기 pH 6.0, 37℃에서 72시간 배양될 때 고활성 (15.2 ± 0.44 g/L)을 나타내었다. 또한 KS-17과 KS-20은 DPPH 라디칼, 슈퍼옥시드 라이칼에 대한 항산화 효과에 있어서 대표적인 항산화고분자인 b-glucan과 비교하여 유사한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특히,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억제시키는 항노화 효과는 2배나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식품 유래 균주로부터 생산되는 EPS인 KS-17과 KS-20은 항산화 또는 항노화 활성을 보유한 천연 고기능성 다당류로써, 식품 및 화장품 산업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2011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문학 작품 분석 : 문학 작품의 갈래별, 영역별, 매체별 수록 양상

        송영란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2011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을 근거로 집필된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문학 작품의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교과서에 문학 작품을 수록할 때 어떤 점을 고려해야 할지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초, 중, 고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문학 작품을 학년 군, 과정에 따라 문학의 갈래별, 국어의 영역별, 매체별로 분석하였다. 2011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국어 교과서에는 총 288편의 문학 작품이 수록되어 있으며 그 중 서사문학 작품은 149편, 서정문학 작품은 128편, 극 문학 작품은 11편으로 비율이 각각 51.7%, 44.5%, 3.8%로 나타났다. 갈래에 따라 살펴보면 서사문학에서는 모든 학년 군, 과정에서 환상동화가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났으며 서정 문학에서는 초1~2학년 군의 동요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으나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동시의 비율이 높아졌다. 국어의 영역에 따라 살펴보면 초1~2학년 군과 중학교, 고등학교 과정이 문학 영역에서 문학 작품 비율이 가장 높았는데 그 이유는 다른 양상으로 나타났다. 초1~2학년 군은 다른 영역의 성취 기준을 달성하기 위한 제재로 문학 작품이 활용된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중학교, 고등학교 과정은 문학의 특성이나 한 갈래를 교수·학습하기 위한 단원이 있어 다른 학년 군에 비해 문학 영역의 비율이 높았다. 초등학교 과정은 다른 영역의 성취기준을 달성하기 위한 제재로써의 문학 작품 수록 비율은 높으나 중학교, 고등학교 과정처럼 문학 자체를 교수·학습하기 위한 단원으로 구성되어 있지 않았다. 매체별 수록된 문학 작품의 비율을 살펴보면 초1~2학년 군은 음원, 초3~4학년 군은 플래시 동영상, 초5~6학년 군은 음원의 빈도가 가장 높았다. 그러나 중학교, 고등학교 과정의 경우 매체가 제시되지 않은 경우에 해당하는 기타의 비율이 가장 높다.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국어 교과서에서 문학 작품은 문학적 가치를 교수·학습하기 위한 것보다는 장애 학생의 흥미를 고려하고 의사소통 기능을 신장시키기 위한 제재로써 활용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교과서 문학 작품 수록 시 장애아동의 관심과 흥미와 더불어 학년 군, 과정에 따라 다양한 갈래의 문학 작품을 경험할 수 있도록 문학의 갈래를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갈래의 특성과 장애 아동의 수준을 고려하여 매체가 제시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pattern of literary texts included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complied under the 2011 Revise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what to be considered in selecting literary texts for the textbooks.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analyzed literary texts contained in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Korean language textbooks under the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by the branch of literature, domain of the Korean language, and medium for each grade group and curriculum. A total of 288 literary texts were collected from Korean language textbooks under the 2011 Revise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and 149 (51.7%) of them were narratives, 128 (44.5%) were lyrics, and 11 (3.8%) were dramas. By branch, fantasy stories occupied the largest proportion of narratives in all the grade groups and curriculums. Among lyrics, children’s songs were overwhelmingly dominant in the 1st~2nd grade group, but the proportion of children’s poems increased in the higher grades. By the domain of the Korean language, the proportion of literary texts in the domain of literature was highest in the 1st~2nd grade group and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curriculums, and the reasons for the high proportion were different. In the 1st~2nd grade group, literary texts were often used as materials for attain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other domains. However, the middle and high school curriculums had units for teaching-learning a branch or the characteristics of literature, and therefore the proportion of the domain of literature was high compared to that in other grade groups.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contained a high proportion of literary texts used as materials for attain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other domains, but it did not have a unit for teaching-learning literature itself as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curriculums. As to the proportion of literary texts by medium, the most frequent media were sound sources in the 1st~2nd grade group, Flash videos in the 3rd~4th group, and sound sources in the 5th~6th group.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curriculums, however, the most frequent media were ‘Others,’ which means that media were not presented. Literary texts included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under the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were used more as materials for stimulating disabled students’ interest and enhancing their communication functions rather than for teaching-learning the values of literature itself. Accordingly, in addition to stimulating disabled children’s interest in learning,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branches of literature so that disabled children may experience diverse branches of literary texts throughout different grades and curriculums. What is more, media need to be presented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branch of literature and disabled children’s level.

      •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수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송영란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인문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이들이 지각하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결정수준을 측정하고, 각 변인들과 학교생활적응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이런 연구를 기초로 하여 학생들이 학교생활적응을 잘 하도록 진로교육을 실시할 때 개인을 둘러싼 모든 상황을 고려한 진로지도는 물론, 진로상담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진로상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개념적 틀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과 관련하여 설정한 가설은 다음과 같다. 연구가설 1. 인문계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수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학교생활적응 간에는 정적상관이 있을 것이다. 연구가설 2. 진로결정수준에 대해 학교생활적응 각 변인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각 변인은 각기 다른 영향력을 나타낼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경기도내에 소재하고 있는 4개의 인문계 고등학생을 학년별, 성별, 계열을 고려하여 임의표집한 445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진로결정수준을 알기 위하여 Osipow, Carney, Winer, Yanico 및 Koshier(1980)가 개발한 진로결정 검사(Career DecisionScale : CDS)를 고향자(1992)가 우리 문화에 적절한 문장표현으로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Taylor와 Betz(1983)가 개발한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CDMSES-SF)의 단축형을 이은경(2000)이 중ㆍ고등학생을 대상에 포함하여 원문과 대조하여 상황에 적합한 문항으로 수정 혹은 대치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학교생활 적응도는 임정순(1993)의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검사지’와 전호택의 ‘학교생활 검사지’를 참고로 유윤희(1994)가 중·고등학생에 알맞게 수정, 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WIN Ver. 12.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과 상관분석 그리고 회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별 연구결과와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결정수준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진로결정수준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지만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하위영역인 ‘문제해결’은 진로결정수준과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 간에는 어느 정도 관련성이 존재하며,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영역들과도 어느 정도 관련성이 있지만,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하위영역인 ‘문제해결’은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영역인 ‘교사관계’간에는 아무런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결정수준과 학교생활적응 간에는 약하게나마 서로 관련성이 있으며, 진로결정수준과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영역 중 교우관계와 학교수업 간에 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생활적응이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영역들이 진로결정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는데, 학교생활적응 하위영역들이 진로결정수준을 약 3%로 낮은 설명량을 나타내고 있으며, 학교생활적응 중 학교수업에 적응을 잘하는 학생이 진로결정 수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결정수준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하위영역들이 진로결정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를 보면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영향을 주며, 특히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하위영역인 목표선택과 문제해결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보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 및 학교생활적응과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다. 그리고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진로결정수준에 높은 영향력이 나타났고 학교생활적응에는 미약한 영향력만 나타냈다. 특히 진로결정수준을 높이기 위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하위영역인 목표선택의 수립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영역 중 학교수업에 적응을 잘하는 학생이 진로결정수준도 높음을 알 수 있었다.

      • 옥외공간의 평균복사온도 측정방법에 관한 연구

        송영란 경남과학기술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옥외공간에서의 평균복사온도 측정방법에 대하여 기존에 사용하던 고가의 순복사계를 대체하는 합리적인 방법의 평균복사온도 측정방법을 검토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하여, 녹지조건을 달리한 두 장소를 선정하여 각 측정대상지에 지름 50㎜의 소형황동흑구와 지름 38㎜의 탁구공흑구, 기상환경 측정기기 및 6면의 복사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순복사계(CNR4)를 지면으로부터 1.1m의 높이에 설치하여 각 측정기기의 온도를 1분 단위로 계측하였다. 취득된 자료 중 2015년 9월 5일부터 동년 동월 16일까지 우천일과 구름이 많은 날을 제외한 6일간 총 8,640건의 1분 단위 자료를 이용하여 녹지조건에 따른 평균복사온도 변화 및 복사량 변화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녹지조건과 일 중 시간대에 따른 평균복사온도 변화를 분석한 결과, 각 기기별 평균값이 차이가 미미하였으며, 순복사계를 이용한 평균복사온도값과 비교하였을 때, 황동흑구와 탁구공흑구 모두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회귀분석에 있어서도 설명력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B-MRT와 A-MRT 모두 현실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방법론이라고 해석되었다. 옥외공간에서 현실적으로 합리적인 비용으로 평균복사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수치적으로 증명했다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다만, 6일 동안의 짧은 측정기간으로 다양한 기상변화를 반영하지 못했다는 점과 천공상태인 개방지와 가시나무 수림지만을 대상지로 삼은 것은 본 연구의 큰 한계라고 할 수 있다.

      • 유아의 신앙발달과 친사회적행동 발달 증진을 위한 성경동화 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송영란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박사

        RANK : 247631

        교육의 목적은 전인적인 발달로 어린 유아들에게 인지적인 학습의 강요보다는 인성적인 측면이 발달하고 균형있는 발달을 통해서 민주적인 바람직한 인간으로 성장하게 해야 한다. 그러므로 현대사회에서 유아들에게 성경동화 활동을 통하여 인격적인 신앙이 증진하고 친사회적인 행동을 증진하도록 하게 하는 연구는 매우 의미있는 것이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는 Fowler와 Godman의 신앙발달이론과 Eisenberg 의 친사회적발달 이론에 기초하여 유아의 신앙발달과 친사회적 행동발달 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성경동화 활동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이를 유치원 교육 현장에 적용하여 유아의 신앙발달과 친사회적 행동발달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은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유아기 신앙발달과 친사회성 발달과 관련된 문헌고찰과 제6차 유치원 교육과정의 유아의 전인교육 및 사회교육 목표의 내용 분석을 통하여 프로그램의 기본 방향을 설정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기독교 이념으로 설립된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기독교 유아교육 실태 및 기독교 유아교육 교수활동에 대한 교사의 요구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유치원 교사 101명을 대상으로 기초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교사들은 기독교 유이교육기관에 적합한 교육목적 및 목표를 하나님과 이웃을 사랑하는 유아로 설정하고 기독교 유아교육의 목표로 유아의 신앙이 잘 발달하는 교수활동을 유아교육 현장에서 일주일에 1-2회 실시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을 매우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문헌고찰과 기초설문 조사에서 나타난 결과를 반영하여 프로그램의 구성원리,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 프로그램의 실제를 구성하였다. 구성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유치원의 만 5세 유아 60명을 각각 30명씩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배정하여, 실험집단에 신앙과 친사회성 행동 증진 프로그램을 8주간 총16회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교수활동에는 교수-학습 활동이 포함된다. 구성된 프로그램이 유아의 신앙발달과 친사회적 행동 발달 증진에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프로그램 실시 전,후 실험집단 및 통제집단 유아를 대상으로 신앙발달 검사도구를 개발하여 면접하고, 친사회적 행동 발달 측정을 위해서 실험실에서 도와주기와 나눠주기, 미술영역에서 자연관찰을 통한 도와주기와 나눠주기를 하는 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유아에게 그림도구를 가지고 면접을 통하여 친사회적 도덕적 추론과 감정이입의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사전검사 사후검사 점수에 대해 t검증 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경동화 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유아의 신앙발달 사후검사 점수가 통제집단의 하나님에 대한 이해, 예수님에 대한 믿음과 부활. 기도, 구원, 용서점수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향상을 보였다. 따라서 성경동화 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신앙발달을 긍정적으로 증진시켰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성경동화 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발달 중에서 실험실에서의 도와주기, 나눠주기의 행동 점수와 자연관찰을 통한 도와주기와 나눠주기 점수가 통제집단에 비해서 증진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친사회적 도덕적 추론 등의 사후검사 점수가 통제집단의 점수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향상을 보였다. 그리고, 감정이입에 있어서는 통제집단에 비해 점수가 높게 의미 있게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성경동화 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발달에 긍정적으로 증진시켰다고 할 수 있다. 넷째, 성경동화 활동 프로그램에서 실험집단의 유아 반응 중 주의집중도, 이해도, 만족도, 흥미참여도는 유의미하게 증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성경동화 활동 프로그램은 유치원 교육과정안에 통합되어 유아의 신앙발달 및 친사회적 행동 능력을 전반적으로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유아의 신앙발달 검사를 개발 하였다는 점과 이론적 접근과 설문조사를 기초하여 유치원 교육과정안에 통합될 수 있는 성경동화 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유치원의 일반교실 환경에서 소집단 형태의 유아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유아의 신앙발달과 친사회적 행동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모델을 제시해 주었다는 점이다. 유아의 신앙과 친사회적 행동발달 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프로그램의 후속연구를 위해서는 다양한 연령의 유아를 위한 연간 프로그램개발 및 연령간의 연계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이들의 양적인 측정 뿐만 아니라 유아의 신앙발달과 친사회적 행동 발달에 대한 태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질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a biblical fairy tale activity program for young children and determine if its application can facilitate their growth of faith and prosocial behaviors. For this purpose, literatures of Goldman's(1964)and Fowler's(1981) faith theory and Eisenberg's (1997) prosocial behavior theory were investigated; conditions of young Protestant children education in a childs education Kindergarden based on Protestantism were observed to understand the current goals and needs of young Protestant children education, the extent and contents of activities, and teachers' needs for the education in a young Protestant children education center and thus to reflect the results in constructing a program. Considering integration and association of preschool curricula, particularly, analyzed and reflected were contents of soci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n the area of social life in the sixth preschool curriculum. A faith development scale was manufactured by calculating reliability and validity through a preliminary test; helping and sharing tests were carried out in a laboratory; and three sessions of helping and sharing were implemented through natural observation during optional hours. Besides, in order to test prosocial reasoning and empathy, young children were interviewed through a drawing. For all tests mentioned above, pretest and post-test were implemented for about thirty minutes after optional activity hours and after preschool. A teac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provided a biblical fairy tale activity program; one in the control group provided a regular preschool program. Four researchers were in the master's course with practical career experience for more than three years. As for the biblical fairy tale activity program constructed, two classes for five-year-old children were randomly selected from S Preschool in Daejeon, Korea; they were then divided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hich consisted of 30 children, respectively, and the former group was provided with a total of 16 sessions of the program for eight weeks. The experimental group was provided with 16 sessions of the biblical fairy tale activity program, while the control group just with the existing preschool program. The resultant data went through t-test with subjects in terms of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and effectiveness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main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provided with the biblical fairy tale activity program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rades of God, Jesus, resurrection, salvation(heaven), prayer, and forgiveness were among contents of young children's faith development than the control group, which means that the program is effective in facilitating young children's development of faith.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biblical fairy tale activity program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rades of helping, sharing, prosocial reasoning, and empathy, all of which are young children's development of prosocial behaviors than the control group, which means that the program is effective in facilitating young children's development of prosocial behaviors. Third, the biblical fairy tale activity program was found to improve young children's responses, such as attention, understanding,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in interest.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biblical fairy tale activity program could be integrated into a preschool curriculum and used in educational practices, and was positively effective in facilitating young children's development of faith and prosocial behavi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