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신질환 환자에 대한 전산화 인지재활치료의 효과성 분석: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

        송승일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1855

        현재 국내에서도 의료와 공학기술을 융합한 전산화 인지재활치료가 활발히 연구 및 적용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기존 전통적 인지치료 한계를 전산화 인지재활치료를 통해 보완 및 개선시킬 수 있음을 증명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전산화 인지재활치료 문헌들에 대해 과학적으로 검증된 과정을 통한 결론을 제시하기 위해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정신질환 환자의 인지장애에 대한 전산화 인지재활치료 효과성을 분석 및 파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정신건강 분야에서의 전산화 인지재활치료 필요성과 작업치료사 참여 및 역할 확대에 대한 기초근거자료를 제시함으로써 통합적 정신건강 치료서비스 제공 및 국민 정신건강 증진을 목적으로 한다.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 방법을 기반으로 한 연구수행을 위해 한국보건의료연구원(National Entertainment Collectibles Association, NECA)의 체계적 문헌고찰 매뉴얼과 PRISMA 가이드라인(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을 토대로 하여 2000년 이후에 발표된 학술지 문헌 중에서 작업치료 석사학위를 소지한 임상경력 7년 이상의 공동 연구자 1명이 총 5개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 및 선별하였다. 데이터베이스에서 수집된 총 37편의 문헌 중에서 체계적 고찰 문헌 선별을 공동연구자 외 작업치료 석사학위를 소지한 임상경력 7년 이상의 작업치료사와 함께 진행하였다. 체계적 고찰을 위한 문헌의 질 평가는 공동 연구자를 포함한 작업치료 석사학위를 소지한 임상경력 10년 이상의 작업치료사 2명이 Van Tulder scale과 PEDro Scale을 사용하여 선정된 문헌의 질을 평가하였으며, 책임연구자 1명이 최종적으로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 선별단계를 거친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 대상 최종 문헌자료들에 대한 일반적 특성은 기술적 통계를 사용하였다. 메타분석의 경우 Revman manager 5.3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문헌 결과별로 자료를 구분하여 입력 및 분석하였으며, 표와 그림을 통해 결과를 시각적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 아래와 같다. 첫째, 체계적 고찰을 통해 분석한 문헌의 일반적 특성 중 질환 유형은 조현병과 치매, 알코올 의존 장애 순서로 나타났으며, 5개의 전산화인지재활치료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인지기능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둘째, 체계적 고찰을 통해 수행한 문헌의 질 평가 결과, 최종 선정된 문헌 모두 5점 이상의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무작위 방법 및 할당과 실험 연구 맹검에 대한 부분에서 감점되었으며, 동질성 검정과 탈락률, 평가 등에 대해서는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셋째, 메타분석을 통해 인지기능,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및 삶의 질에 영역에 대해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정신질환 환자의 인지기능에 대해 전산화 인지재활치료가 효과가 있음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실제 임상 현장에서 정신질환 환자들에게 적용되어지고 있는 인지재활치료 중 전산화 인지재활치료의 효과에 대한 기존 연구들의 내용을 기반으로 종합적인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기존 인지재활치료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정신질환 환자의 인지기능 개선 효과에 대한 임상적 유용성도 함께 증명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정신건강 분야에서의 전산화 인지재활치료의 효과를 확인 및 작업치료사의 참여확대를 통한 질 높은 통합적 의료서비스 제공방법을 제안하는데 의의가 있다. Currently, 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tation therapy which combines medical and engineering technologies is also actively studied and applied in Korea, This proves that the existing limitations of traditional cognitive therapy can be supplemented and improved through 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tation. To present conclusions through scientifically verified processes on the domestic 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tation literature In this study, The effectiveness of 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tation therapy for cognitive disorders patients with mental illness was analyzed and identified using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methods. Through this study, by presenting basic data on the need for 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tation and the participa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 and the expansion of their roles in the field of mental health. This aims to provide integrated mental health treatment services and to promote national mental health. Based on the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and Medical Colleges Association (NECA) systematic literature manual and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is(PRISMA) guidelines for conducting research through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methods. Among the academic literature published after 2000, one co-author with more than seven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with a master's degree in occupational therapy was searched and selected from a total of five databases. Among the total 37 literature collected from the database, the systematic review literature selection was conducted with a clinical therapist with a master's degree in occupational therapy other than a co-author. The quality evaluation of literature for systematic review was evaluated by two occupational therapists with more than 10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with master's degree in occupational therapy, including co-author, using Van Tulder scale and PEDro Scale. one responsible researcher finally reviewed it. In this stud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final literature subject to systematic consideration and meta-analysis after the screening stage were used by technical statistics. For meta-analysis, the data was input and analyzed separately by literature result using the Revman manager 5.3 program and the results were presented visually through tables and fig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literature analyzed through systematic review, the frequency of disease types was represented by the frequency of schizophrenia, dementia, alcohol dependent disorder the effectiveness of cognitive function was verified using five 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tation therapy. Second, as a result of the quality assessment of the literature conducted through systematic review, all of the final selected literature produced a good result of more than five points. Random methods and allocations were deducted in the section on the blind of experimental study and the homogeneity test, elimination rate, evaluation and others showed good results. Third, through meta-analysis, research was conducted on the areas of cognitive function, means of daily activities, and quality of life and it showed that 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tation treatment works for cognitive functions of patients with mental illness. This study presented comprehensive results based on the contents of previous studies on the effects of 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tation therapy during (under) cognitive rehabilitation treatment applied to patients with mental illness at actual clinical sit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found that we could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existing cognitive rehabilitation therapy and clinical usefulness for cognitive improvement effects in patients with mental illness could also be demonstrated. It is meaningful to identify the effects of 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tation treatment in the mental health field and to propose a high-quality integrated medical service provision method by expanding the participa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 범주화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송승일 대구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범주화 훈련이 인지기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기간은 2013년 12월부터 2014년 3월까지 대구에 소재한 K병원에서 실시하였고, 연구대상자 선정 기준에 따라 뇌졸중 진단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작업치료 중재 및 추가적으로 인지기능 향상을 위해 범주화 훈련을 실시한 실험군 15명,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작업치료 중재 및 추가적으로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전통적인 인지치료만을 받는 대조군 15명으로 나누어 주 2회, 30분씩 8주에 걸쳐 실시하였다. 치료 전․후의 인지기능을 비교하기 위해 CNT를 시행하였고, 자기효능감을 비교하기 위해 일반적, 구체적 자기효능감 척도를 시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범주화 훈련을 시행한 집단이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전통적인 인지치료를 시행한 집단에 비해 인지기능이 향상되었다(p< .05). 둘째, 범주화 훈련을 시행한 집단이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전통적인 인지치료를 시행한 집단에 비해 일반적 자기효능감이 향상되었다(p< .05). 셋째, 인지기능 중 언어성 기억과 시공간 기억은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 .05).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범주화 훈련은 전통적인 인지치료와 함께 중재시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을 향상시키고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킨다고 할 수 있으며, 임상에서 간편하고 유용하게 적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중재를 좀 더 기능적이며 특정 상황과 관련성이 높은 과제들로 이루어진 프로그램의 사용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ategorization training on cognitive function and self-efficacy in patients with stroke. This study was conducted at K hospital located in Daegu from December 2013 to March 2014. Patients diagnosed with stroke were selected according to criteria to select the research targets. Fifteen patients with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raditional occupational therapy and categorization training intervention, traditional occupational therapy for increase cognitive function. Fifteen patients with control group received traditional occupational therapy and traditional cognitive therapy for increase cognitive function for 30 minutes per each session two times a week for total eight weeks. CNT were conducted to compare cognitive function before and after therapy intervention. Self-efficacy scale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self-efficac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stroke patients before and after therapy intervention in categorization training group and traditional cognitive therapy group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p< .05), and categorization training group was statistical significantly increase compared to traditional cognitive therapy groups(p< .05). Second, the general self-efficacy before and after therapy intervention in categorization training group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p< .05), furthermore general self-efficacy in categorization training group was statistical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raditional cognitive therapy groups(p< .05). Third, verbal learning, visual memory showed the statistical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bility to general self-efficacy(p< .05).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categorization training increase cognitive function and improves the self-efficacy of stroke patients compared with traditional cognitive therapy, therefore, is expected to be useful in clinics. Further studies will be need to increase cognitive function with programs consist of more functional and highly related to specific situation task.

      • 녹내장 환자의 섬유주절제술에 대한 장기적 고찰

        송승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1839

        1991년 1월부터 1996년 7월까지 전남대학교 병원 안과에서 녹내장 진단을 받고 섬유주절제술을 시행받은 후 5년 이상 추적관찰이 가능했던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Mitomycin C(MMC)를 사용한 군(MMC군)은 37명(47안)이었고 MMC를 사용하지 않은 군(대조군)은 30명(34안)이었다. 수술후 최종추적관찰시 평균안압은 MMC군 17.30±5.70mmHg, 대조군 18.96±7.57mmHg이었고 술후 평균안압조절 약제수는 MMC군 0.89±0.89개, 대조군 1.26±0.66개였다. 수술성공률은 MMC군 68.1%, 대조군 70.6%였으며 Kaplan-Meier 생존분석에 의하면 술후 60개월까지는 MMC군에서 MMC의 안압조절효과로 인해 더 높은 생존률을 보였으나 그 후 백내장, 여과포감염등의 합병증으로 인한 추가수술로 인해 더 낮은 생존률을 보였다. MMC군의 합병증은 백내장, 저안압, 얕은전방, 전방출혈, 여과포누출, 여과포감염, 저안압성 황반병증 등이 있었으며 대조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많지 않았다. MMC의 적용농도나 적용시간에 따른 최종관찰시 평균안압, 수술성공률, 합병증발생률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MMC는 일차적 섬유주절제술시에 안압조절은 효과적이었으나 MMC를 사용하지 않은 군과 비교하여 안압하강효과가 차이가 없었으며, 합병증을 유발할 가능성이 더 높으므로 선택적으로 사용하여야 할 것이다. A clinical analysis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long-term results of trabeculectomy of the patients who had been followed up more than 5 years at the department of Ophthalmology i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991 to July 1996. Forty-seven eyes of 37 patients of primary trabeculectomy with mitomycin C(MMC group) and 34 eyes of 30 patients of primary trabeculectomy without MMC(control group) were evaluated. The mean intraocular pressure(IOP) at the last follow-up was 17.30±5.70mmHg and 18.96±7.57mmHg in MMC and control group, respectively. The mean number of postoperative anti-glaucoma medications was 0.89±0.89 and 1.26±0.66 in MMC and control group, respectively. Success rate was 68.1% and 70.6% in MMC and control group, respectively. By Kaplan-Meier survival analysis, the survival rate of filtration was higher in MMC group than control group until postoperative 60 months, but after then, the rate was reverse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in MMC group were cataract, hypotony, shallow anterior chamber, hyphema, bleb leakage, bleb infection and hypotonic maculopathy,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complications rates between two groups.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mean IOP, success rate and complication rate according to MMC concentration or application time at the last follow-up. MMC was effective in IOP-control in primary trabeculectomy,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ong-term IOP-lowering effect by comparing to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ere more serious complications than control group. Therefore it should be used selectively.

      • 뇌경색 백서모델에서 내재성 줄기세포의 활성에 미치는 HIF-1α 와 VEGF의 역할

        송승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1839

        Background: Endogenous neural stem cells (NSCs) become “activated” after neuronal injury, but the activation mechanisms of endogenous NSCs are little known. Methods: The present study evalu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endogenous neural stem cell and HIF-1α and VEGF expression in a photothromobotic rat stroke model using immunohistochemistry and Western blotting. The present study also evaluated the chronological changes of endogenous neural stem cell by BrdU incorporation and compared with HIF-1α, VEGF expression in this model. Results: The mRNA and protein expression of HIF-1α, VEGF, and nestin showed sequential changes after ischemic stroke. In Western blot analysis, HIF-1α was initially increased at 1 h, and VEGF was increased following HIF-1α. HIF-1α induction was observed at 1 h, and maximally increased at 12 h in the ipsilateral hemisphere. HIF-1α immunoreactivity was detected in the ipsilateral cortical neurons in the infarct core and peri-infarct area. VEGF positive immunostaining was identified in both cortex, but ipsilateral cortex staining intensity and numbers were higher compared to the contralateral cortex. VEGF positive neurons are easily found along the peri-infarct areas 12 h after ischemia. The expression of nestin increased throughout the microvasculature in both the ischemic core and the boundary zone in all experimental rats after 12 h of ischemic injury. Nestin immunoreactivity increased in SVZ during 12 h to day 3, and markedly increased in ipsilateral cortex between day 3 to 7. Nestin labeled cells showed dual differentiation with microvessels near the infarct core and astrocytes in areas outside of the microvessel-differentiated area. BrdU incorporated cells were gradually increased at day 1 in SVZ and ipsilateral cortex, followed by the observation of numerous BrdU-labeled cells were in peri-infarct and unlesionsed cortex at day 3. These BrdU-labeled cells were mainly co-labeled with nestin, GFAP and laminin, but not neuron. Conclusions: Early expressions of HIF-1α and VEGF after ischemia make up the microenvironment to increase the neuronal plasticity of activated endogenous NSCs. Moreover, neural precursor cells after large cortical injury might be recruited from cortex nearby lesion and SVZ.

      • 생애 초기 애착외상과 경험회피의 관계 : 부정정서강도와 고통감내력의 매개효과

        송승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823

        Experiential Avoidance, a concept that encompasses various attempts to avoid uncomfortable internal experience, has been repeatedly verified as a predictor of the onset and maintenance of various mental disorders. Given that numerous researchers have examined the predictors of chronic experiential avoidanc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life attachment trauma and experiential avoidance. Moreover,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whether negative affect intensity, which refers to the degree of intrinsic intense experience of negative affect, and distress tolerance, which is conceptualized as the internal competency to endure psychological distress, act as a mediator. For this purpose, a self-report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633 Korean adults aged 19 to 29. Based on the collected data,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and bootstrapping confirmed the structural relations and mediating effects of each variable. Additionally, to identify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level of negative emotional intensity, distress tolerance, and experiential avoidance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the attachment trauma experience, the latent mean difference test using a MIMIC model was perform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life attachment trauma and experiential avoidance, the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the mediation of negative affect intensity and distress tolerance showed the significance of all direct paths except the path from negative emotional intensity to experiential avoidance. Second, the results from bootstrapping to examine the indirect effect of negative affect intensity and distress tolerance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life attachment trauma and experiential avoidance revealed the significance of the simple mediating effects of distress tolerance and the sequential dual mediating effect of negative emotional intensity and distress tolerance. However, the simple mediating effect of negative emotional intensity was not significant. Third, the latent mean difference test to identify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experiential avoidance, negative affect intensity, and distress tolerance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attachment trauma experience revealed that, after controlling for gender, as early life attachment trauma was more frequent, the level of experiential avoidance and negative affect intensity was higher and distress tolerance was lower. Taken together, it was found that the early life attachment trauma experience did not only directly predict the high level of experiential avoidance but also Early life attachment experience in trauma not only directly predicts a high level of experiential avoidance but also increased the tendency to avoid uncomfortable instinct experience by enhancing the negative affect intensity and hindering the endurance ability. Furthermore, although the attachment trauma experience magnified the negative affect intensity, the intense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 did not lead to instant avoidance behaviors and deteriorated the endurance ability against the negative emotions so that it increased the individual tendency of avoidance. In addition, frequent attachment trauma was associated with more intense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 reduced ability to tolerate, and increase in experiential avoidance; it was found that level difference between variables occurred, as the experience of attachment trauma were accumulated. This study aimed to promot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group with high experiential avoidance tendency. It confirmed the influence of various traumatic stress which can occur in the caregiver-child relationship as well as childhood abuse or neglect as a distance predictive variable of the high experiential avoidance tendency and verified the effects of the underlying mechanism in the process.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nurturing internal competence to endure negative emotions in dealing with the chronic avoidance tendency is required. Considering the specificity of the attachment trauma group and cumulative traumatic experience is also need. Close explorations and appropriate intervention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promoting the healthy development path of the group with attachment trauma. 불편한 내적 경험을 회피하려는 다양한 시도들을 포괄하는 개념인 경험회피(Experiential Avoidance)는 다양한 정신장애의 발병과 유지의 예측 요인으로 반복 검증되고 있다. 수많은 연구자들이 만성화 된 경험회피의 예측 요인들을 탐색해오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생애 초기 애착외상 경험에 주목하여 경험회피와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둘 간의 관계에서 부정정서를 내적으로 강렬히 경험하는 정도를 지칭하는 부정정서강도와 심리적 고통을 견뎌내는 내적 역량을 의미하는 고통감내력이 기제 변인으로 작용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만 19~29세에 해당하는 전국 성인남녀 633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구조방정식 분석과 부트스트래핑 기반 유의성 검정을 통하여 각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와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성차를 통제하고 애착외상 경험의 심각도에 따라 부정정서강도, 고통감내력 그리고 경험회피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MIMIC 모형을 통한 잠재평균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애 초기 애착외상과 경험회피 간의 관계에서 부정정서강도와 고통감내력이 매개하는 연구 모형을 설정한 후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정정서강도에서 경험회피로 이어지는 경로를 제외한 모든 직접 경로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애 초기 애착외상과 경험회피 간의 관계에서 부정정서강도와 고통감내력의 간접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한 결과, 애착외상과 경험회피 간의 관계에서 고통감내력의 단순매개효과, 부정정서강도와 고통감내력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부정정서강도의 단순매개 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애착외상 경험 수준에 따라 경험회피, 부정정서강도, 그리고 고통감내력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혼입변인을 통제한 잠재평균 차이검증을 실시한 결과, 어릴 적 애착외상 경험이 빈번했을수록 경험회피와 부정정서강도 수준은 높고, 고통감내력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생애 초기 애착외상 경험은 이후 높은 경험회피 수준을 직접적으로 예측할 뿐만 아니라 부정정서강도를 높이고 이를 감내하는 능력을 저해함으로써 불편한 내적 경험에 대한 회피 경향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애착외상 경험은 부정정서강도를 증폭시키지만, 강렬한 부정정서 경험이 즉각적인 회피 행위로 이어지지 않고 부정정서를 버텨내는 역량을 취약하게 만듦으로써 개인의 회피 경향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애착외상 경험이 빈번할수록 부정정서는 더욱 강렬히 경험되고, 이를 감내해 내는 능력은 감소하며, 경험회피 수준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나 애착외상 경험이 누적됨에 따라 변인 간 수준 차이가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높은 경험회피 수준을 나타내는 집단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높은 경험회피 경향성의 원거리 예측 변인으로서 아동기 학대나 방임뿐만 아니라 양육자-자녀 간의 관계에서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외상적 스트레스원의 영향력을 확인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존재하는 기제 변인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요컨대 만성적인 회피 성향을 다루는 데 있어 일차적으로 부정정서를 견뎌내는 내적 역량을 길러줄 필요성이 시사되며, 동일 자극에도 부정정서를 더욱 강렬히 경험하는 애착외상 집단의 특수성과 외상 경험의 누적 정도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면밀한 탐색과 적절한 개입을 통하여 애착외상 경험이 있는 집단의 건강한 발달 경로 촉진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Effect and mechanism of sheet-type adipose-derived stem cells in diabetic wound healing

        송승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9 국내박사

        RANK : 1823

        Chronic wounds such as diabetic ulcers are a significant global health problem despite the ongoing efforts to prevent and treat them. The characteristics of diabetic wounds are functional impairment of fibroblasts and keratinocytes that play critical role in wound healing and elevated MMPs, which results in the destruction of healthy extracellular matrix (ECM). Treatment of diabetic wounds still remains a clinically difficult problem. Stem cells are a new hope to improve impaired diabetic wound healing. Among peripheral stem cells, adipose-derived stem cells (ASCs) are an attractive source with advantages of easy cell harvesting and culturing. Traditionally, cultured ASCs are individualized through trypsinization and applied in suspension state. However, the suspension method has many disadvantages such as destruction of cellular structure and function and low efficiency. Therefore, we used a photothermal ASCs sheet harvesting technique to preserve cell to cell and cell to ECM contact. In this study, we hypothesized that maintained intercellular adhesion of sheet-type ASCs promotes diabetic wound healing by enhanced paracrine effect. To verify it, we planned the following experiments. In vitro, we investigated growth factor release over time from sheet-type ASCs and the effect of sheet-type ASCs on human dermal fibroblasts(HDFs) and human keratinocytes(HKs) obtained from diabetic patients. Furthermore, we examined the mechanism of the enhanced paracrine function of sheet-type ASCs by electron microscopy and cell adhesion molecule blocking study. In vivo, we compared the wound healing effects of sheet-type ASCs with conventional dressing in diabetic mouse wound model. Our data demonstrate that the sheet-type ASCs secreted more growth factors such as VEGF, PDGF and FGF to accelerate the diabetic wound healing. The augmented paracrine function of the sheet-type ASCs enhanced the proliferation and migration of both HDFs and HKs as well as the production of ECM components such as collagen 1. Moreover, elevated MMP-1 in diabetic skin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sheet-type ASCs treated groups. In a mechanistic study of sheet-type ASCs, we found that blocking calcium dependant adhesion molecules resulted in decreased growth factor release and disruption of cell to cell adhesion. The wound healing effect of sheet-type ASCs in diabetic mouse wound model was verified in vivo, showing that the application of sheet-type ASCs significantly enhanced wound closure rate and accelerated re-epithelialization at the wound edge. In conclusion, sheet-type ASCs improved cell migration and proliferation, secretion in HDFs and HKs, and wound healing rate in diabetic mouse via enhanced paracrine effect. Maintaining intercellular adhesion via calcium dependent adhesion molecules is essential to the function and shape of sheet-type ASCs. 당뇨병으로 인한 궤양은 만성 창상의 가장 많은 원인 중의 하나로 이 중에서 약 3-5%, 세계적으로 매년 약 100만명 이상이 결국 다리를 절단하게 되는 난치성 질환이다. 이에 대한 치료방법으로 과거에는 단순드레싱, 음압치료, 성장인자치료 등이 사용되었으나 그 효과에 한계가 있어 최근에는 줄기세포치료가 많이 연구되고 있다. 성체줄기세포 중 지방유래줄기세포는 쉽게 많은 양을 채취할 수 있고 배양이 잘되는 등의 장점으로 최근에 줄기세포치료제로 각광받고 있다. 지방줄기세포의 측분비 효과(paracrine effect)는 피부의 창상치유를 촉진시키는 주요기전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기존의 지방줄기세포 처리 방식은 단백분해효소를 통해 세포와 세포간의, 세포와 세포외 기질간의 접촉을 분리시킴으로써 이러한 측분비 효과가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간 지방유래 줄기세포(human adiposederived stem cells, ASCs)를 지방조직으로부터 분리 배양한 후 비침습적 광열기술을 이용하여 시트 형태로 수확하여 당뇨창상에 대한 치유 효과를 확인하고, 그 기전을 알아보았다. 시트형 지방줄기세포(sheet-type ASCs)가 창상치유에 도움이 되는 VEGF, PDGF, FGF 등의 성장인자를 상당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분비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시트형 지방줄기세포의 배양액이 당뇨환자에서 얻은 섬유모세포의 증식과 이동 뿐만 아니라 각질형성세포의 이동도 촉진시킴을 확인하였다. 또한 제1형 콜라겐과 같은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의 분비를 증가시킴과 동시에, 이를 분해하는 MMP-1을 당뇨군에서 유의하게 감소시킴으로써 창상치유에 유리하게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시트형 지방줄기세포의 기전과 관련해서 칼슘 의존형 부착분자(calcium dependent adhesion molecule)를 차단해본 결과 VEGF,PDGF의 측분비 효과가 감소하고, 전자현미경상에서 세포간 접촉이 분리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칼슘 의존형 부착분자가 시트형태의 유지와 기능에 밀접히 관련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In vivo 실험은 당뇨쥐를 이용하여 마우스의 등배부에 8mm지름의 전층 피부결손을 만든 후 지방 유래 줄기세포를 시트 형태로 적용하였고, 이를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육안 비교와 H&E 염색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시트형 지방줄기세포를 적용한 실험군에서 빠른 재상피화를 확인하였다. 시트형 지방줄기세포는, 기존의 방법과는 달리 단백 분해효소를 사용하여 세포를 분리하지 않기 때문에 세포간의 접촉이 보존되어 더 많은 성장인자를 분비할 수 있었고, 창상에서도 그 치유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결과는 앞으로 당뇨성 만성창상에 지방줄기세포가 부착된 시트형 치료제 개발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