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初等學校 敎師들의 美術科 評價 實態에 關한 調査 分析 硏究 : 忠淸北道를 中心으로

        송수경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aims to recognize importance of art education assessment at elementary schools, analyze the actual state of art education assessment to identify problems, and devise a good art education assessment methodology to provide basic data for a desirable direction of art education. To do thi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346 teachers in North Chungcheong Province; and for data analyses, frequency analysis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by using an SPSS 12.0 program. From th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drawn about a direction of art education assessment. First, as for operation of art education curricula, urban regions had a smaller number of hours for art education, which failed to be operated normally most of all because of invasion of main subjects. Second, as for the actual state of art education assessment, textbooks and teaching guides were mainly used to decide on assessment items and contents; mostly evaluated were completeness of works and enthusiasm and interest in expression activities; and in most cases,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assessments were performed. Observation (50.4%) was mostly used in art education assessment; there was the greatest difficulty with evaluation in the area of appreciation. This is mostly because they had no information about children's developmental properties and relevant expression methods. 53.2% primarily reflected the results of assessment in school record. Third, as for teachers' attitudes toward art education assessment, 33.3% showed self-confidence; and the majority of them (60.8%) put confidence in the results of assessment. Fourth, other opinions about art education assessment included "need of criteria for objective assessment," followed by "insufficient time," "need to improve teachers' quality," and "provision of teachers in exclusive charge of art education." Fifth, as for a direction of art education assessment, efforts must be made to realize desirable school education respecting individuals' personality and creativity for students, and it is necessary to expand teacher training to improve quality concerning assessment and position teachers in exclusive charge of art education for teachers, along with teachers' own personal efforts. In the national respect, it is urgent to offer financial support to resolve difficulties in securing teaching aids and materials necessary for art education assessment, secure those teaching aids and materials, and improve educational environment. Most of all, however, teachers must evenly teach and evaluate all the areas of aesthetic experience, expression, and appreciation rather than instruction emphasizing the area of expression to diversify evaluation methodologies and devise an objective evaluation program. Finally, schools must reinforce PRs concerning importance of art education assessment essential to children's whole-personal growth and continuously exert multilateral efforts to get agreement and attention from both students and parents. As for a future scheme based on the result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Internet website to allow teachers to share programs related to art education and provide training opportunities and additional evaluation to secure expertise. 본 연구는 초등학교 미술과 평가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일선 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미술과 평가의 실태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미술과 평가의 해결방향을 모색하여 바람직한 미술교육 방향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충청북도 현직교사 34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미술과 평가의 해결방향에 대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미술과 교육과정 운영 실태에 대해서 도시지역으로 갈수록 교육이수시간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술과 교육이 정상적으로 운영되지 못하는 이유는 주지 교과 시간의 침해의 이유가 가장 큰 것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둘째, 미술과 평가 실태에 대해서 평가항목 및 내용 설정 방법으로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를 주로 활용하였으며, 미술과 평가 대상에서는 작품의 완성도, 표현활동에서의 열성과 흥미도가 가장 높았으며, 평가방식에는 이론과 실기평가를 병행한다는 경우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미술과 평가 시 주로 사용하는 방법은 ‘관찰법’이 50.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평가에 가장 어려움을 느끼는 영역으로는 ‘감상 영역’이었다. 이에 대한 이유로는 아동의 발달특성 및 이에 따른 표현방법을 알지 못한다는 경우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평가결과는 주로 성적에 반영한다는 경우가 53.2%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미술과 평가 자세는 '자신있다'는 의견이 33.3%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평가를 신뢰하는지에 대한 결과에서는 '신뢰한다'라는 의견이 60.8%로 과반수 이상이었다. 넷째, 미술과 평가에 대한 기타 의견으로는 ‘객관적 평가의 기준 필요’하다는 의견과 ‘시간부족’, ‘교사들의 지질향상 필요’, ‘미술 전담교사 절실’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미술과 평가의 해결방향으로는 학생의 경우 개개인의 개성과 창의성을 존중하는 바람직한 학교교육을 구현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고, 교사의 경우는 평가에 대한 자질을 높이기 위한 교사교육 확대와 미술전담 교사를 배치하고 교사 자신의 부단한 개인적 노력이 필요하다. 국가적 차원에서는 미술과 평가에서 필요한 각종 기자재나 교구 확보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재정적 지원이 시급하고, 교육기자재 및 교구의 확보, 교육환경의 개선이 우선시되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교사들은 표현 영역에 치우친 수업보다는 미적체험, 표현, 감상 영역의 모든 영역을 고루 지도하고 평가하며, 여러 가지 평가방법을 다양화하고 객관적인 평가 프로그램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끝으로, 학교에서는 아동의 전인적 성장에 꼭 필요한 미술과 평가의 중요성에 대한 홍보를 계속 강화하여 학생과 학부모 모두 호응과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다각적인 노력을 계속 기울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앞으로 이루어져야 할 방안으로는 미술과에 대한 교사들의 프로그램을 공유할 수 있는 인터넷 사이트 개설 및 전문성 확보를 위한 지속적인 연수 기회와 추가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사망 자료를 활용한 부산지역의 암 사망불평등에 관한 연구

        송수경 고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암 발생률은 낮은 반면 높은 암 사망률을 보이는 부산지역을 대상으로 암 발생률과 암 사망률을 파악하고 부산지역 사망 자료를 이용하여 부산지역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암 사망불평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하여 부산지역의 효율적인 암 예방관련 보건정책을 세우고 보건정책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자는 부산지역의 2006년부터 2009년도까지의 전체사망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산지역의 성별에 따른 암 사망은 남자가 여자보다 2배정도 높은 수준이었으며 암종(癌種)에 따른 사망에서 위암은 남자가 여자의 2배, 간암과 폐암은 3배정도 높은 사망률을 보였다. 하지만 암으로 인한 사망률은 남자는 감소하는 반면 여자는 증가하는 추세로 나타났다. 둘째, 부산지역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암 사망자들은 나이와 결혼상태, 직업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이 40세에서 49세 이하, 50세에서 59세 이하에서는 암으로 인한 사망이 감소하는 반면 70세 이상에서는 증가하였다. 기혼인 경우 암 사망이 이혼인 경우보다 10배정도 유의하게 높았으며 사별과 이혼에 따른 암 사망은 증가하는 반면 미혼인 경우의 암 사망은 감소하였다. 직업에 따른 암 사망은 비육체적 직업군이 육체적 직업군보다 2배 이상 높게 암으로 사망하였다. 셋째, 부산지역의 암 사망불평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본 연구에서 인구사회학적 특성으로 범주화한 성, 사망나이, 결혼상태, 교육, 직업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산지역 남자의 암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망나이, 결혼상태, 교육수준, 직업이었으며 여자의 암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결혼상태, 교육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이 제언할 수 있다. 암으로 인한 사망률이 매년 증가하는 추세에서 부산지역의 암 사망불평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세부적인 건강불평등 측정도구가 개발되어져야함은 물론 암에 대한 치료나 지원보다는 예방에 중점을 둘 수 있는 과학적 근거가 있는 사회계층별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 사업과 계층별 욕구를 반영한 차별화되고 맞춤성을 갖춘 접근전략과 프로그램들이 제공되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지역 내 주민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고려한 지역별 맞춤건강증진 사업들이 시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 트라우마로 인해 발생한 예술작품과 감정순환 : 본인작품 중심으로

        송수경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유년시절의 추억과 같이 평생동안 마음의 쉼과 그리움을 담고 있는 기억의 공간이 있다. 이와는 반대로 벗어나고 싶은 기억의 공간이 있는데, 우리는 이것을 트라우마(trauma) 라고 부른다. 본 논문은 ‘트라우마로 인해 발생된 예술작품이 관객의 삶에 어떤 의미를 줄 수 있는 것인지’에 관해 질문하며, 이 질문에 초점을 맞추어 본인의 작품을 분석하였다. 트라우마에 대한 연구는 라캉의 정신분석학에 근거로 하였다. 라캉은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의 무의식을 구조주의 언어학의 입장에서 새롭게 바라보았다. 라캉에게 상징계로의 진입은 인간의 필연적 과정으로써 상징계는 언어가 중심이 되지만, 언어로써는 자신의 욕망이 충족되지 못한다. 그러므로 인간은 언어를 벗어날 수 없으며, 이와 같은 언어는 우리의 사고를 억압한다. 라캉은 트라우마를 구멍이라는 용어를 통해 설명 하려 했는데, 이를 통해 트라우마는 우리가 세계의 경험들을 기표를 이용해서 표현하는 가운데 어떤 기표로도 충족되지 않기 때문에 화자로 하여금 상실감을 느끼게 하는 경험이다. 상처받은 경험을 끄집어 내는 과정에서 ‘이야기’의 형식을 갖게 된다는 것에 따라 예술가의 감정이 담긴 내러티브는 트라우마와 나 그리고 예술작품과 관객을 연결해 준다. 이러한 관계는 시간적 흐름에 따라 연쇄적 반응으로 이어지는 하나의 여정이다. 그러므로 트라우마로 인해 발생한 나의 작업은 관객이 볼 수 있는 내러티브를 갖게 되며, 이 내러티브는 이미 ‘트라우마의 경험이 준 본인의 감정’과 ‘타인과의 소통에 있어 불만족스런 언어’ 그리고 ‘타인과의 감정을 교류’을 고려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로써 설치작품으로 ‘기억의 재현’을 시도는 관객이 나와 같은 경험을 체험하며, 나와 같은 감정을 공유하길 바라는 나의 심리를 반영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논문의 결과에 해당하는 ‘감각하는 내러티브’에서는 메를로 퐁티의 현상학에서의 ‘신체의 앎’과 본인의 작업의 연결점을 살펴 보았는데, 사탕과 고춧가루 같은 감각적인 오브제들은 ‘관 의 몸’을 통해 관객이 사유할 수 있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이 트라우마에 대한 심리학을 바탕으로 트라우마에 대한 보편적 증상인 ‘반복강박’을 분석하고, 이를 나의 심리와 연결하며, 트라우마에 의해 발생된 예술작품이 개인의 치유를 넘어 관객과의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예술로써의 방향을 연구하였다. There is a space of memory that fills the tranquility and longing of the heart much like nostalgia from one’s younger years. Reversely from this, there is a space of memory which we want to escape from, which we refer to as trauma. This study questions “what significance the works of art created by trauma has on the lives of audiences” and the author’s works are analyzed within the scope of this question. The research of trauma was conducted founded upon the psychoanalysis of Jacques Lacan. Lacan viewed the structuralism of the unconscious as described within psychoanalysis of Freud from a new linguistic perspective. To Lacan, the entry into the Symbolic is an inevitable human process and viewed the Symbolic as being centered on language, yet language does not satisfy one’s desires. Consequently, humans cannot escape from language and such language works to oppress our reasoning. Lacan attempted to explain trauma with the term ‘hole’, and while we attempt to express our worldly experiences by using signifiers, there are no signifiers that can satisfy trauma, in turn leaving us experiencing a feeling of loss. The emotion-filled narratives of the artist, which are given a “story” format within the process of drawing out our hurtful experiences, works to connect this trauma with myself, the work of art and the audience. Such a relationship is a journey that elicits series of responses with the flow of time. Consequently my works created due to trauma take up a narrative that the audience can see, which I was able to understand that such a narrative is a consideration of the ‘emotions given to the self through the experience of trauma’, ‘the dissatisfaction of language in communicating with others’, and ‘the exchange of emotions with others’. With the installation work attempting the ‘Reproduction of Memory’, I was able to understand that the work reflects my state of mind that desired the audience to experience my experiences and share my emotions. Within the context of ‘Narrative that is sensed’ correspon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exploring the points of connections with my work with the ‘understanding of body’ as from the phenomenology of Maurice Merleau-Ponty, sensible objets, such as candy or powdered peppers, can be understood by the audience through the ‘body of the audience’. Based on such psychological studies on trauma, this study analyzes a general symptom of trauma ‘repetition compulsion’, and connects with my own state of mind to research directions for works of art to serve as more than just healing for oneself to become art that can communicate with audiences.

      • 주거환경 및 근린환경이 청소년의 사회적 성숙에 미치는 영향 : 분당 신도시의 주거지역을 대상으로

        송수경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청소년기는 성인이 되어 사회생활을 할 때 필요한 모든 자질과 능력이 계발되어야 하는 중요한 시기이다. 그러나 불신이 팽배하고, 범죄가 비일비재한 현대사회에서 타인에 대한 신뢰를 가지고, 건강하게 사회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성인으로 성장하기는 매우 어렵다. 인간의 1차적인 사회화가 이루어지는 교육환경으로써 가정이 할 수 있는 역할이 있지만, 거시적인 사회적 상호작용의 공간으로서 주거환경 및 근린환경 또한 가정 못지않게 중요하다. 그동안 주거환경 및 근린환경과 청소년의 발달 간 연구는 청소년의 정신건강을 비롯한 심리적 요인에 초점이 맞추어 진행되어왔다. 그러나 청소년이 사회적 성숙에 이르도록 돕는 주거환경 및 근린환경과 관련된 연구는 많지 않으며, 주거환경 및 근린환경과 사회적 성숙에 관한 인과관계 관련 연구는 또한 드물다. 이와 같은 배경 하에 본 연구는 주거환경 및 근린환경과 청소년의 사회적 성숙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청소년의 사회적 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주거환경 및 근린환경의 영향요인을 파악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도시계획 시 청소년의 사회적 성숙 수준을 높이기 위해 고려해야 하는 주거환경 및 근린환경 계획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의 분석은 1단계인 ‘일반적 특성(개인 및 가족특성, 거주특성)에 따른 사회적 성숙 차이 분석’과 2단계인 ‘주거환경 및 근린환경과 사회적 성숙간 상관관계 분석’, 그리고 3단계인 ‘주거환경 및 근린환경과 사회적 성숙간 인과관계 분석’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1단계 분석 결과, 부학력과 소유형태만이 전체 사회적 성숙과 차이가 있었다. 아버지의 학력이 낮은 집단이 학력이 높은 집단보다 사회적 성숙이 높았고, 소유형태가 자가, 전세인 집단이 월세인 집단보다 사회적 성숙이 높았다. 이는 아버지가 가진 지식수준이 높지 않아도 학생들의 사회적 성숙 수준이 높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주택의 소유형태가 안정적일수록 학생들의 사회적 성숙이 더 높은 것으로 해석된다. 2단계 분석 결과, 범죄걱정, 낙후시설존재를 제외한 모든 변수가 사회적 성숙과 상관이 있었다. 주택내부환경 중에서는 단열이, 근린관리상태 중에서는 청소상태가, 근린시설 중에서는 문화시설이, 근린이웃환경 중에서는 이웃공중도덕이, 동네무질서 중에서는 유해시설존재가 사회적 성숙과 가장 영향이 있었다. 이는 단열이 잘 되는 주택에 거주할수록, 근린의 청소상태가 양호할수록, 근린의 문화시설이 잘 갖추어져있을수록, 이웃공중도덕이 잘 지켜질수록, 유해시설이 많이 존재하지 않을수록 사회적 성숙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3단계 분석 결과, 근린시설, 근린이웃환경, 근린관리상태가 자아정체감과, 자아정체감은 대인관계 및 공동체의식과 유의미한 인과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근린시설이 잘 갖추어져 있을수록, 근린의 관리상태가 좋을수록, 근린의 이웃환경이 좋을수록 자아정체감이 높고, 자아정체감이 높을수록 대인관계 및 공동체의식이 높음을 의미한다. 그 외 주택내부환경과 동네무질서는 대인관계 및 공동체의식과 관련이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해 주거환경 및 근린환경이 자아정체감을 매개로 공동체의식 및 대인관계와 인과관계가 있음을 밝혔다. 이러한 결과는 주거환경 및 근린환경이 자아정체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일치하며, 자아정체감이 발달될수록 사회에 대한 친밀감 형성이 수월하다는 Erikson의 심리사회발달 이론과도 일치한다. 이는 청소년의 사회적 성숙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있어 가정환경, 학교환경 뿐 아니라 주거환경 및 근린환경이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과, 그 중에서도 근린의 시설, 근린의 관리상태, 근린의 이웃환경을 고려하는 것이 필수적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이를 도시계획의 측면에서 보면, 청소년의 사회적 성숙 수준을 높이기 위해, 사회적 상호작용이 가능한 근린시설의 충분한 공급, 근린의 깨끗한 관리상태 유지, 이웃간 소통과 협력이 이루어지는 커뮤니티 활성화에 초점을 둔 주거계획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특히, 주택공급의 방향이 커뮤니티의 형성보다는 개인의 프라이버시 보장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고, 주거공간이 교육의 장으로서의 의미보다는 거래되는 부동산으로서 더 많이 인식되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개인의 건전한 사회적 성숙을 도모하기 위한 주거계획은 반드시 필요하다.

      • 초등 교사의 수업평가 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송수경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derived from observing the process of consultation on teaching practice and examining documentary materials on class evaluation and to extract practical criteria for class evaluation.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differences in teaching evaluation criteria according to evaluation situation and determined whether the set class evaluation criteria are usable as practical materials for evaluating and measuring classes. For these purposes, we set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First, what are practical criteria for evaluat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aching analyzed in observation and documentary materials? Second, what differences are there among practical class evaluation criteria? Third, how utilizable are the teaching evaluation criteria suggested as the outcome of this study? In or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we sampled 4 teacher′s teaching the same grade and satisfying the inclusion criteria, and selected documentary materials related to class evaluation. Data were analyzed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and inductive category analysis, an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data were enhanced through member check, peer debriefing, and triangulation. Conclusions drawn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sults of observing and analyzing the process of consultation on teaching practice, a total of 20 practical teaching evaluation criteria were found in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Second, in the results of minutes analysis after autonomous supervision classes in 2011, 18 teaching evaluation criteria were extracted. Limited consulting time after class, superficial discussion among teachers, avoidance of redundant advice, uncomfortable evaluation atmosphere, avoidance of direct advice on class, difference in experience among teachers, etc. were analyzed as the causes. Third, the results of analyzing class observation checklists in 2010 were different from the results of minutes analysis after class in 2011. Ambiguous and unspecific class evaluation forms hindered teacher′s natural expression of practical knowledge and consequently impeded the development of such practical knowledge into field education theories sharable among teachers. Fourth, from teaching practice minutes in 2010, 16 teaching evaluation criteria were identified. Teacher′s considered learning activities, learning instruments, and class media to be most important in class analysis, and the evaluation of preservice teacher′s classes focused on technical aspects. Fifth, when the analysis elements of class evaluation criteria extracted by evaluation situation were converted into percentile (%), class evaluation criteria extracted from practical knowledge showed similar percentages among teachers. Sixth, when the results of teaching evaluation criteria by evaluation situation were diagramed in broken line graph, similar patterns were observed although their evaluation situations were different. Teacher′s main activity is teaching, and teacher′s professionalism means their abilities to teach well. Efficient teachers should make continuous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classes even in unpredictable classroom situations, and rather than working as a mere deliverer of curriculum, they should intervene actively in educational activities based on their practical knowledge. In order to analyze and evaluate a teacher′s classes objectively, his/her teaching behavior should be observed and analyzed on his/her practical knowledge, which becomes the cause of teaching behavior. Although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is an important variable for efficient classes, however, it has not been theorized as a field education theory. In this sense, u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ground materials, it is necessary to make diverse attempts and studies on practical teaching analysis and evaluation based on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본 연구는 교육실습 수업지도 협의과정 관찰 및 수업평가 문서자료들에서 드러난 초등 교사들의 실천적 지식을 분석하여 추출한 실제적인 수업평가의 기준이 무엇인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또한 각각의 평가 상황에 따른 수업평가 기준 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이를 통해 설정한 수업평가의 기준을 실제적인 수업 평가 및 측정 자료로 활용 가능한지에 대해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관찰 및 문서자료에서 분석한 초등 교사들의 실제적인 수업평가의 기준은 무엇인가? 둘째, 실제적인 수업평가의 기준 간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셋째, 연구 결과로 제시한 수업평가 기준의 활용 가능성은 어느 정도인가? 연구 목적의 달성을 위해 일정한 준거를 만족하는 동일 학년 4명의 교사와 수업평가 관련 문서자료들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질적 분석방법과 귀납적 범주 분석으로 자료를 분석 하였고, 자료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이기 위하여 구성원간 검토, 동료간 협의, 삼각 검증법을 활용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교생실습 수업지도 협의과정 관찰 분석 결과 교사들의 실천적 지식이 드러난 실제적인 수업평가의 기준은 모두 20개 유목이었다. 둘째, 2011 교내자율장학 수업 후 협의록 분석 결과 수업평가 기준 18개 유목이 추출되었다. 수업 후 협의 시간의 제한성, 교사들 간 형식적인 토의 방식, 중복적인 조언 피하기, 자유로운 평가 분위기의 미 정착, 수업에 대한 직접적인 조언 회피, 교사 간 경력의 차이 등이 그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2010 수업관찰 체크리스트 분석 결과 참여 관찰과 2011 수업 후 협의록 분석과는 다른 결과를 보였다. 애매하고 구체적이지 않은 수업평가 양식이 교사들이 지닌 실천적 지식의 자연스러운 발현을 방해하고, 그러한 실천적 지식들이 교실 수업 속에서 교사 간 공유 가능한 현장 교육 이론으로 성장하는 것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넷째, 2010 교생수업연구 협의록에서는 16개의 수업평가 기준이 분석되었다. 교사들은 학습 활동 및 학습 교구, 수업 매체 활용 유목을 수업 분석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고, 예비 교사의 수업에서는 수업의 기술적인 면에 집중하여 수업을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평가 상황별로 추출한 수업평가 기준의 분석 요소들을 퍼센타일(%)로 변환하면 교사 간 실천적 지식에 근거하여 추출한 수업평가 기준은 모두 비슷한 비율을 나타내었다. 여섯째, 평가 상황별 수업평가 기준의 결과를 각각 꺾은선 그래프로 나타내면 서로 다른 평가 상황에도 불구하고 꺾은선 그래프의 모습이 모두 비슷한 양상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교사의 주된 활동은 수업이며, 교사의 전문성은 결국 수업을 잘 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효율적인 교사는 예측 불가능한 교실 상황에서도 수업의 질적 개선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며, 이를 위해 교육과정의 단순 전달자가 아닌 자신의 실천적 지식을 근거로 교육활동에 적극 개입하여야 한다. 수업을 보다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평가하려면 수업 행동의 원인이 되는 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근거하여 수업 행동을 관찰하고 분석하여야 한다. 그러나 교사의 실천적 지식이 효율적인 수업을 위한 중요한 변인임에도 불구하고 아직 현장 교육 이론으로 이론화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의 실천적 지식을 근거로 한 실제적인 수업분석 및 평가에 대한 다양한 시도와 연구가 요구된다.

      • 제주지역 사회복지사의 이차적 외상스트레스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 레질리언스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송수경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social worker experiences secondary traumatic stress during the process of providing services to clients who have experienced various traumas, which affects burnout of social workers as well as mental difficulties such as depression. Furthermore, That's why it left Social welfare fiel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secondary traumatic stress on burnout in social workers and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on secondary trauma stress and burnout. And to seek intervention and policy suggestions for prevention.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administered for 187 social workers in Jeju. Data were collected for two months from August to September, 2018. K-STSS were used to measure social worker's secondary traumatic stress and CD-RISC were used to measure the resilience. MBI were used to measure social worker's burnout and 8 items for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N 18.0 statistical packag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Burnout of social worker and secondary traumatic stress showed to be lower than average level, and the resilience shown to be higher than average.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Burnout and secondary traumatic stress, and negatively with Burnout and secondary traumatic stress in Resilience. Second, the higher the avoidance, the more emotional depletion, the lowered individual achievement, the more impersonal the client, and the hyperarousal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emotional exhaustion, but the intrusion had no significant effect. Third, the higher the resilience, the lower the emotional exhaustion, the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and the depersonalization of the client. Fourth, as a result of checking the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it shows that the moderating effect is on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rusion and the emotional exhaus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econdary traumatic stress and resilience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burnout. It is necessary to survey of secondary trauma stress and burnout for all social worker in Jeju. And there is a need to provide intervention programs in order to prevent and alleviate burnout in social worker by decreasing secondary traumatic stress and increasing resilience. 사회복지사는 다양한 외상을 경험한 클라이언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이차적 외상스트레스를 겪게 되며, 이는 우울 등 정신적 어려움뿐만 아니라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영향을 주게 되고 나아가 사회복지사가 이직을 고려하거나 사회복지현장을 떠나게 하는 주요 요인이 되기도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지역 사회복지사의 이차적 외상스트레스가 직무소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 이차적 외상스트레스와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레질리언스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직무소진을 예방하기 위한 개입방안 및 정책적 제언을 모색해보기 위함이다. 제주지역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 187명을 대상으로 자가기입식 설문이 이루어졌으며, 2018년 8월부터 9월까지 약 2개월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사회복지사의 이차적 외상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한국형 이차적 외상스트레스 척도 K-STSS 17문항과 직무소진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MBI 22문항, 레질리언스를 측정하기 위해 CD-RISC 25문항을 측정도구로 사용하였으며,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8문항을 포함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t-test, ANOVA,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위계적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직무소진 평균은 2.72점, 이차적 외상스트레스 평균은 2.48로 평균보다 낮았으며, 레질리언스는 3.56점으로 평균이상으로 나타났다. 직무소진과 이차적 외상스트레스는 정적 상관관계가, 레질리언스의 경우 직무소진과 이차적 외상스트레스에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회피적 사고가 심할수록 정서적 고갈, 개인적 성취감 저하, 클라이언트에 대한 비인격화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각성은 정서적 고갈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보였으나, 침습적 사고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레질리언스가 높을수록 정서적 고갈, 개인적 성취감 저하, 클라이언트에 대한 비인격화 정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레질리언스의 조절효과 검증결과, 침습적 사고와 정서적 고갈의 관계에서만 조절효과를 보였으며, 다른 변인들 간의 관계에서는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이차적 외상스트레스와 레질리언스가 직무소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제주지역 사회복지사들의 이차적 외상스트레스와 직무소진에 대한 전반적인 실태파악이 요구되며, 이차적 외상스트레스에 대한 적절한 조기중재, 직무소진 예방과 레질리언스 향상을 위한 예방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 보건소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인지도와 운동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연구

        송수경 고신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보건소에서 실시하고 있는 건강증진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참가자를 대상으로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일반적인 인지도를 분석하고 건강증진 운동 프로그램이 참가자에게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 가를 체지방 분석기계(In Body 520)를 사용하여 분석 측정하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입증하여 좀 더 효율적인 보건소 운동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은 부산광역시 소재 Y보건소의 건강증진 운동 프로그램 참가자 전체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운동프로그램 참여 효과 비교를 위한 기간은 2007년 5월 21일에서 동년 6월 22일까지로 일주일에 두 번씩 총 10회에 걸친 운동을 실시한 후의 측정결과를 가지고 비교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응답자는 모두 여성이었고 연령대별로는 50대가 55.4%로 가장 많았으며, 60대는 25.0%를 차지하였다. 이 들의 건강증진 프로그램에 대한 인지도는 운동프로그램에 대한 인지도가 82.1%로 가장 높았으며 금연과 절주는 동일하게 67.9%를 나타났다. 둘째, 건강증진프로그램에 참여함에 있어 여성이 참여하기 어려운 이유로는 프로그램 시간대 때문에가 37.5%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했으며 집안일 때문에는 26.25%, 비용 때문에는 21.25%, 육아 때문에는 8.75%순으로 건강증진프로그램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운동 프로그램 후 평균 체중은 60.8kg으로 0.4kg 의 변화가 있었다. 운동 프로그램 후의 효과를 항목별로 보면 체중과 체지방량, BMI, 체지방률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운동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likert 5점 척도에서 평균 4점 이상의 만족도를 보였지만 재 참가의사에서 나타난 건강 생활실천정도에 도움이 되었나는 질문에 대해서는 그저 그렇다는 의견과 조금 도움이라는 답변이 97.9%나 차지하였다. 다섯째, 운동효과와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독립변수로 하고 건강 증진 운동 프로그램 만족도를 종속변수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분석결과 모든 변수가 만족도를 69.0%를 설명하였고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직업, 소득이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할 수 있다. 보건소에서 건강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운동 프로그램은 참가자의 체성분 변화에 긍정적인 변화를 줌으로써 건강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운동 프로그램을 시행함에 있어 개인적 특성이나 지역적 특성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즉 건강 생활 실천은 지역 보건소의 노력도 중요하지만 개인의 의지가 더 많이 필요로 함을 시사하는 내용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urnish the measures activating more efficient exercise health programs in the public health centers ,through analyzing the name recognition of health promotion program, measuring the effects of exercise health program on the participants by using a body composition analyzer(In Body 520), and demonstra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all of the participants in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of Y-public health center in the Busan Mettro -politan City, and of the results of the measurements comparative analysis was done after carrying out the exercise health program ten times, twice a week from May 21, 2007 to June 22, 2007. The result of this survey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ll of the respondents of the survey were women. And in the view of age group, the 50 year-olds took the highest proportion, 55.4 percent, while the 60 year-olds took 20 percent. As for their name recognition of health promotion program, the survey showed the highest score, 82.1 percent in the name recognition of exercise health program, while showing 67.9 percent in both nonsmoking program and nondrinking program. Second, concerning the factors of the difficulty in women's particiating in health promotion programs, the problem of time required for the program held the most proportion, 37.5percent, while the problem of housework held 26.25 percent, the cost of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21.25 percent, and childcare 8.75 percent. Third, the average weight of the subjects was 60.8kg after partici -pating in the exercise health program, falling by 0.4kg. As for the effects of the exercise health program, the survey showed significant effectiveness in the items such as Weight, Body Fat Content, BMI, and Body Fat Percentage. Fourth, the general level of satisfaction in the exercise health program was over 4 points on 5-point Likert Scale, but as to the question about helpfulness of the program in leading a healthy life, the answer of being little helpful or being a little helpful held 97.9%. Fifth, according to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which was made putting the effects and socio-demographical factors as Independent Variable, the level of satisfaction in the exercise health program as Dependent Variable, all of the variables marked 69.0% in the level of satisfaction. In addition, occupation and income had significant positi -ve effect in the level of satisfaction. Generalizing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t is possible to offer a suggestion as follows. It was considered that the exercise health program aimed at health promotion in the public health centers should be effective in health promotion as it resulted a positive change in the body composition. However in the operation of exercise health program, personal or regional characteristic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first of all. It means that one's leading a healthy life requires his own personal intention as well as the effort of public health centers.

      • 이청준 소설의 신화성 연구

        송수경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639

        이청준 소설의 신화성 연구 이청준은 한국 현대소설사에서 사회적 모순과 병리 현상을 진지하게 탐구한 작가로서 지성소설의 계보를 열어 간 작가라 할 수 있다. 동시에 그는 글쓰기란 무엇인가라는 화두 앞에서 신화적 상상력을 통해 인간 삶의 심층적 의미와 우주적 진리를 탐구하려는 노력을 지속적으로 보여 왔다. 그런 노력은 근대적 합리주의가 놓쳐 버린 인간적 진실을 신화 혹은 신화적 상상력을 통해 재발견함으로써 그의 소설을 더욱 핍진하게 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본고는 이청준 문학이 최종적으로 도착하고자 하는 지향점이 ‘시간의 소거’와 ‘재생’을 통한 신화적 공간이며 이는 인간이 용서와 화해를 통해 조화를 이룬 삶의 공간으로 본다. 신화성은 바로 신화적 메시지를 제의라는 일정한 틀 속에서 그 의미를 해석하는 신화의 제의화 과정으로 나타난다. 제의가 한 집단의 관습적 행위만을 연행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메시지를 산출하며 집단의 공통된 경험을 축조하고 의미화하는 틀이라는 점에서 통과제의, 희생제의, 씻김제의는 이청준 문학에서 신화성이 어떻게 각기 다른 제의적 형식을 통해 현실을 조명하고 의미화 하는지 고찰하는 주요한 방법론이 된다. 이청준 소설의 신화성을 연구하는 첫 번째 제의의 형식은 통과제의이다. 통과제의의 중심 내용은 자아각성에 있으며 그것은 새로운 탄생 즉 재생의 의미를 갖는다. 그리고 죽음으로 표상되는 시련의 과정은 본질적인 것에 대한 탐색과정으로 주인공은 이 과정을 극복해야만 비로소 깨달음을 얻고 다른 사회로 나아갈 수 있다. 두 번째로 살펴볼 제의의 형식은 희생제의적 양상이다. 본고에서는 이청준 소설에서 고찰되는 희생제의적 양상을 지라르의 희생양 메커니즘과 바타이유의 소모로서 신성화되는 희생제의 이론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희생제의는 희생양의 대가 없는 파멸을 통해 그 공동체를 구원하며 동시에 소모되는 희생양은 신성화된다. 이청준 소설에서 이러한 희생양 징후를 보이는 인물들은 주로 글을 쓰지 못하는 글쟁이들이나 현실에서 소외되어 끊임없이 ‘이편’이 아닌 ‘저편’ 세계로의 탈주를 꿈꾸는 자들이다. 이들은 이러한 ‘차이’와 ‘결핍’이라는 희생양 징후를 통해 그 사회로부터 희생양으로 지목되거나 아니면 스스로 희생양이 되어 제의적 죽음을 맞는다. 세 번째로 살펴볼 제의는 씻김제의이다. 씻김굿은 죽은 자의 넋을 천도하기 위해 행해지는 무속 제의이다. 이청준 소설에서 넋씻김, 넋올림으로 연행되는 씻김 제의적 양상은 아버지로 상징되는 역사를 현재를 살고 있는 아들이 어떻게 수용하고 반성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를 던지면서 결국 화해와 용서의 길을 독자에게 제시한다. 그런 의미에서 이청준 소설에서 재현되는 씻김제의적 양상은 그의 문학이 다다른 최후의 귀항지가 어디인가를 밝혀주는 단초가 된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이청준 소설의 신화성이란 현실을 비추고 반성하는 거울이면서 이청준이 화해와 용서로써 도착하고자 하는 글쓰기의 최종 도착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신화성은 그의 초기 작품에서는 주로 아버지의 법(질서)에 편입하거나 그 질서를 초월하여 신성한 자리에 오르는 통과제의적 양상으로 나타나며, 중기 작품에서는 아버지의 법에 저항하면서 스스로 희생양이 되어 죽음을 맞이하거나 아버지의 법인 권력에 의해 희생양이 되는 희생제의적 양상으로 나타난다. 후기 작품에서는 아버지의 역사와 화해하고 용서함으로써 진정한 삶의 조화를 꿈꾸는 씻김제의적 양상으로 나타난다. 결국 이청준 소설에서 신화성은 이청준이 ‘귀항지 없는 항로’로 비유한 자신의 글쓰기가 도착한 최종 귀항지라고 할 수 있다. 주제어: 이청준, 신화성. 통과제의, 희생제의, 씻김제의,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