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중 공용한자어 선정 및 교학에 관한 형태론적 연구

        송복연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고는 실제에 부합하는 한중 공용한자어를 선정하여 양국 언중이 상대국의 언어를 배우지 않아도 문자언어만을 사용하여 기초적인 의사소통이 가능한지 실제 실험을 통해 고찰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불어 한자어의 형태론적 연구를 통해 효과적인 한중 공용한자어 학습법을 고찰하였다. 기존의 한중일 공용한자 808자는 공개 당시의 그 기대와는 달리, 사용 빈도가 높은 글자가 배제되거나 저빈도 글자들이 포함되어 있어 ‘공용’의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등 갖가지 문제점이 드러났다. 필자는 한문 교육용 한자를 기초자료로 사용한 것과 공용한자 선별과정의 과도한 단순화를 그 원인으로 판단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한중 공용한자어를 선정하였다. 한국인의 상용어휘를 모은 ≪한국어 기초어휘집≫을 기초자료로 선정하고 ≪現代漢語詞典≫에서 그 용례를 찾아 「공용한자어」 611개를 추출하였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이음절 한자어만 그 선정 대상으로 하여 고빈도 상용어휘인 고유어가 배제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시범적으로 핵심 고유어에 대응하는 중국어를 설정하여 126개의 「공용한자어」를 추가로 추출하였다. 이로써 총 737개의 「공용한자어」를 선정하였다. 최종 선정된 「공용한자어」와 최근 출판된 ≪한중일 공통 한자어 어휘집≫을 비교하고, 추가 고유어의 경우 중국어 상위 빈도 1500위 표와 비교하여 본고의 「공용한자어」 선정의 타당성을 증명하였다. 양국 언중의 원활한 대화를 위한 선행과제로 효과적인 한자어 학습법을 발굴하는 것으로 설정하고 어휘력의 특징과 다양한 어휘지도 방법을 살펴보았다. 형태소문자, 표의문자인 한자의 성질과 一字多義라는 한자의 특질을 파악하고, 이를 활용할 언어학적 이론인 형태론적 유연성과 투명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자어 학습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형태소학습법을 제안하였다. 기존 연구에서는 공용한자의 선정과 자형 문제에 대한 연구만 있었고 실제 소통 가능성에 대한 검증은 없었다. 이에 필자는 「공용한자어」의 효용성을 가늠해 보기 위해, 실제로 중국인과 한국인이 필담을 나누는 실험을 진행해보았다. 자형이 서로 다른 것에 대한 우려가 있었으나 온라인상의 대화에서는 번체자와 간화자의 변환이 자유로워 전혀 문제가 되지 않았으며, 문자언어만으로도 기본적인 대화는 충분히 가능하다는 사실을 증명하였다. 또한 형태소 학습법을 이용하면 본고에서 선정한 737개의 어휘 이외의 수많은 어휘로의 확장이 가능하고, 이는 더욱 원활한 소통의 가능성을 열어준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LBH속뜻학습법을 활용한 「공용한자어」 교학 프로그램을 제안하여 공용한자 사용에 대한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하였다. 본고는 이로써 한중 양국 언중의 실질적인 소통에 부합하는 「공용한자어」를 선정하였다. 또한 「공용한자어」의 효용성을 실제로 확인하기 위한 필담 실험을 통해 그 가치를 증명하였다. 이는 한중 공용한자 관련 최초의 시도이자 매우 의미 있는 연구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not by having to study the other's language, but only by using written words, to certify if it'd be possible to basically communicate through actual experiments. In addition, it's also to clarify whether it'd be effective to learn the commonly used Sino-Korean Words from a morphologic method. The 808 Chinese Characters commonly used in the ROK, China and Japan, contrary to the initial expectations when publicized, have revealed such various problems as not corresponding with 'public use', or as frequently used words being excluded, whereas scarcely used ones are, instead, included. I found it's because, in the case of Korea, they chose the characters from the Classical Chinese writing for educational use, together with the oversimplification in the course of selecting the commonly used words. To solve this problem, I myself selected the commonly used Sino-Korean Words in both ROK and China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Selecting the Basic Korean Vocabulary, a collection of everyday Korean language, as the source material, I extracted 611 words as the examples from ≪Modern Chinese Dictionary≫. In the course, however, the most frequently used words happened to be ruled out, as I intentionally chose to collect only two syllables Sino-Korean Words. To correct this happening, I again picked out 126 from the core native words, adding them to the aforementioned commonly used Sino-korean Words, making a total of a new 737 commonly used characters. I compared them with the newly published ≪Trilateral Common Vocabulary≫. Which proves to be quite proper, comparing them with the most highly frequently used 1500 words in China. Setting out a model task for more smooth communications between the two peoples, I planned to work out an efficient method for learning the Sino-Korean Words, surveying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vocabulary and the ways for teaching it. I also grasped its nature of having morpheme-graph and seme-graph, and understood further more its characteristics as containing many different meanings in a word and therefore inquired into its linguistic morphological motivation and transparency that could be put to use, on whose base I've suggested a morpheme learning method that's eminently effective for studying Sino-Korean Words. In the existing studies, there're only those about the selections for Korea and China common Sino-Korean Words but none about confirmations for possibilities for actual communication. Hereby to measure its utility, I actually did perform experiments in which some Koreans and Chinese shared conversations by writing. There were some concerns, indeed, for different forms of characters but in reality, it turned out that in the online conversations, as the conversions between the Traditional Chinese and the Simplified ones are free, there didn't happen any problems at all. The experiments have, instead, proved the fact that even only through the written language, basic conversations are fully possible. Furthermore, they - the experiments - make clear that the morpheme learning method can expand the words much far beyond the 737 words this thesis selected, which promises it would provide further smoother conversations. What's more, by proposing a program that will make full use of LBH learning method, I've presented a realistic alternative for the use of the Sino-Korean Words. Therewith, this thesis has selected the Sino-Korean Words that actually corresponds with the real communication between Korean-Chinese peoples, which verifies its value. I should say this is the first try in related with that field, a very meaningful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