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Q방법론을 활용한 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원인 분석

        송미숙 전북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원인에 대한 분석을 위해 Q방법론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7개 유형이 추출되었다. 1유형은 학업에 대한 의미부여 실패, 2유형은 자기관리 부족, 3유형은 과도한 평가부담, 4유형은 목표달성에 대한 불안, 5유형은 취업과의 양립갈등, 6유형은 상대적 비교로 인한 갈등, 7유형은 교육과정에 대한 불만족으로 나타났다.

      • Johann Sebastian Bach <Mattha"us-Passion, BWV.244>에 대한 연구 : 알토 독창곡 4곡을 중심으로

        송미숙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의 교회 음악 중 가장 뛰어난 걸작으로 일컬어지는 <마태수난곡> 중 4개의 알토 아리아를 중심으로 연구하기 위한 것이다. 바흐는 1685년 3월 21일 중부 독일의 튜링겐에서 음악가였던 요한 암브로지우스 바흐의 8남매 중 막내로 태어났다. 자연스레 아버지와 맏형에게서 받은 오르간과 바이올린, 음악이론 교육은 그가 음악가로 살아갈 토대를 마련해 주었으며 궁정 오르가니스트, 궁정 악사와 악장, 음악 감독직, 합창장 등의 직업을 가지며 음악가로서 성장하게 되었다. 그는 음악의 목적은 “오직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것”이라 했으며 경건한 신앙심을 간직하고 오로지 하나님에게 봉사한다는 신념으로 많은 종교곡을 썼다. 바흐가 교회를 위하여 쓴 곡들 중 <마태수난곡>은 마태복음의 26-27장을 바탕으로 하였으며 피칸더의 자유시가 삽입 되어져있다. 그리스도의 수난을 다룬 이 곡에서는 크게 1, 2부로 나눠져 있으며, 총 78개의 곡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 1부에서는 수난의 예언에서 예수가 체포되기까지의 내용인 “최후의 만찬”, “감람산의 장면”, “유다의 반역”, “예수의 결백”이, 제 2부에서는 예수의 처형을 다룬 “가야바의 심판”, “빌라도의 판결”, “골고다 언덕 위의 십자가형”, “예수의 죽음과 매장”의 스토리가 전개 되고 있다. 바흐의 <마태수난곡>은 기술적으로, 정서적으로 그리고 신앙적으로도, 지금까지 쓰여졌던 같은 종류의 곡들 중 가장 위대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으며, 표현의 한계를 극복한 기쁨과 슬픔의 조화는 깊은 감동을 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바로크 음악을 특징짓는 근본적인 음악 미학적 관점인 감정이론과 음형이론을 토대로 하여 음악의 분석을 선율, 리듬, 화성, 악기배치, 등으로 살펴보고자한다. 이를 통해 작곡가적 입장에서 작품의 올바른 이해를 돕게 하고, 더불어 서양 음악사에서 바흐의 위대한 업적에 대한 그 근거를 찾아 볼 수 있게 한다. 그러므로 앞으로 이 곡을 연주하는 알토성부의 성악가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한다. The aim of this dissertation is to study on the <St Matthew-passion, BWV. 244>, which is considered as the most outstanding church music of Johann Sebastian Bach(1685-1750) especially in regards to four alto arias. Bach was born on 21 March in 1635 as the youngest and eighth child of Johann Ambrosius Bach, a musician in the southern part of Germany. He naturally received organ and violin teaching, musical theory from his father and the eldest brother, and those educational opportunities assisted in forming the foundation for living as a musician. Further, he grew into a great musician by getting jobs of a court organist, a court musician, a conductor, a music director and a chorus master. He highly demanded for religious music to ascribe all honor to God and wished to broaden his composing and performing a large number of church music according to his own belief that holds personal relationship with the Christian God and services only for God. <St Matthew-passion, BWV.244> is based on chapter 26 and 27 in Matthew and inserted a free verse of Picander. This piece, which deals with the sufferings of Christ on the cross, is divided into two parts and consists of 78 pieces. In the first part, there are “the Last Supper”, “the Mount of Olives”, “Judas's betrayal” and “the Innocence of God”, including the description from the prediction of suffering to God's arrest. And then, The second part, it is followed by “Caiaphas's Judgment”, “Pilate's Judgement”, “Crucifixion on the top of Golgotha” and “God's death and his burial”, including the description of crucifixion. <St Matthew-passion, BWV.244> of Bach is considered as the greatest piece in terms of technical, emotional and religious aspects compared with other pieces. Also, the harmony between the happiness and sadness beyond the limitation of expression impresses audiences. In this dissertation, I am going to make the analysis of musical features such as melodic lines, rhythm, chords, the structure of instruments and articulations from the point of the view of basic aesthetics of Baroque music, particularly based on "Affektenlehre" and the forms of notes. Accordingly, this dissertation helps the correct comprehension of this piece from a composer's view. In addition, related to his cherished role as one of the greatest composers in the history of music, it would examine detailed instructions. Therefore, from now on, this dissertation will assist alto singers who plan to perform this piece for more effective performance and a further study.

      • 초등학교 남녀 학생의 분노표현 유형

        송미숙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types of anger expression in boy and girl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s applying Q methodology. Thirty four Q samples for categorizing the anger expression were developed with in-depth interview, and literature review. P-samples of this study were 30 boy and 30 girl students in the fifth grade of one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yeongsangbuk-do. The data were treated by PC-QUANL program and main factor analysis was used for Q factor analysis. As the results, four types of anger expression such as passive-emotional, rational problem-solving, active-actional, and support pursuing expression were identified in boy students. And four types of anger expression such as passive-suppressive, rational-suppressive, indirect-emotional and emotional-aggressive expression were identified in girl students. In conclusion, types of anger expression in both boy students and girl students were divided into four types respectively. In both boy students and girl students, there were types to express anger passively and to control it properly. And both boy and girl students showed positive and negative strategies of anger expression together. Therefore, anger regulation program for the elementary students which is suitable for each type is recommended. 본 연구는 초등학교 남녀 학생의 분노표현 방법을 유형화하기 위해 Q 방법론을 적용하여 수행되었다. 심층면담 및 문헌고찰 등을 토대로 수집된 자료를 종합ㆍ분석하여 최종적으로 34개의 Q 표본을 추출하였고, 이를 경상북도에 소재한 1개의 초등학교 5학년 남학생 30명과 여학생 30명에게 분류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C-QUANL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처리하였고, Q 요인분석은 주요인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남학생의 분노표현 방법은 다음과 같이 확인되었다. 제1유형은 ‘소극적 감정표현형’으로 분노를 억누르거나 참아보려고 하지만 분노가 사라지지 않을 땐 상대방을 원망하면서 감정적으로 표현하는 유형이다. 제2유형은 ‘이성적 문제해결형’으로 분노를 표출하지 않고 이성적으로 상황을 판단하고 건설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분노 감정에서 스스로 벗어나려하는 유형이다. 제3유형은 ‘능동적-행동적 표현형’으로 분노를 공격적으로 표현하기도 하지만 의도적으로 회피하거나 공격적 표현을 줄이려고 능동적으로 노력하는 유형이다. 제4유형은 ‘지지추구형’으로 분노상황을 다른 사람에게 이야기함으로써 도움을 받거나 위안을 얻어 분노를 해결하고자 하는 유형이다. 연구결과 여학생의 분노표현 방법은 다음과 같이 확인되었다. 제1유형은 ‘소극적-억압적 표현형’으로 자신의 이미지를 생각하여 분노를 적극적으로 표현하지 못하고 소극적인 방법으로 표현하거나 분노를 억누르는 유형이다. 제2유형은 ‘이성적-억압적 조절형’으로 분노를 느끼는 즉시 감정을 표현하지 않고 상황을 이성적으로 판단해 분노를 억누르거나 긍정적으로 대처하여 분노를 스스로 조절하는 유형이다. 제3유형은 ‘간접적-감정적 표현형’으로 분노를 상대방에게 표출했을 때 생길 수 있는 부정적 결과를 고려해 간접적이지만 감정적인 방법으로 분노를 표현하는 유형이다. 제4유형은 ‘감정적 공격형’으로 분노 감정에 충실하게 신체적, 언어적 공격으로 분노를 표현하는 유형이다. 결론적으로 초등학교 남녀 학생의 분노표현 유형은 각각 4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에서 분노를 소극적으로 표현하려고 하는 유형과 적절하게 조절하려는 유형을 찾아볼 수 있었다. 또한 남학생에게는 지지추구형이 나타났으며 여학생에게는 분노를 억압하고 공격적으로 표현하려는 유형이 나타나 남녀 학생 모두 긍정적인 표현법과 부정적인 표현법을 모두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각 유형별 특성에 따른 개별화된 분노조절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소백산지 남동사면 산록대 지역의 지형 특색 : 상주~안동 일대를 중심으로

        송미숙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상주~안동 일대의 동-서로 펼쳐진 소백산지 남동사면 산록대의 지형 특색을 기술하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지역의 지형발달 양상을 파악하려는 것이다. 연구지역은 안동에서 낙동에 이르는 낙동강 본류와, 산지 쪽으로 약간 떨어져 발달한 소백산지 산록대의 분지 및 평야들이 동-서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산록 말단의 평야대를 따라서 상주, 함창·점촌, 예천, 풍산, 안동과 같은 경북 북부 지역의 주요 취락 및 생활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지형학 관점에서 본 지역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매우 흥미로운 곳이다. 1)구조 지형학 관점에서, 연구지역은 북동-남서 방향의 소백산지 산록대 지역이면서 동-서의 방향성을 지니고 있다. 이는 낙동강 본류 하곡과 이에 평행하게 분포하는 분지들의 발달이 소백산지 조산운동과는 다른 내적영력에 의해 형성된 구조선과 관련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지질학적 연구는 이곳을 한반도에서 동-서 방향으로 길게 뻗은 단층대(안동단층대)와 관련된 지형으로 본다. 그러므로 본 지역은 소백산지 조산운동과 그 이후의 단층작용(안동단층대)이 복합된 지형경관을 관찰할 수 있는 곳이다. 2)이 지역은 편마암 및 편암, 조선계 석회암, 경상계 퇴적암, 화강암(불국사·대보화강암) 등 다양한 암석 분포를 나타내므로, 소백산지 산록대에서의 암석별 풍화특성과 사면발달 양상을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고 있다. 3)그리고 기후지형학 관점에서, 이곳은 북서풍계절풍에 대한 소백산지의 바람그늘 효과가 어떻게 지형에 반영되는지를 파악하기에 좋은 지역이기도 하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지형학적 관심사에 접근하는 시도라 할 수 있다. 그리고 경북 북부지방의 주요 생활공간에 대한 본 연구가 지리학에 도움이 되는 지형연구가 되고자, 소백산지 내부에서 산록대와 낙동강 본류에 이르는 지역의 지형환경 특징의 변이도 살펴보았다.

      • 여성사회적기업가 경험분석 : 역량강화 방안을 중심으로

        송미숙 성공회대학교 NGO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2007년 사회적기업 육성법이 제정된 이후 사회적경제 영역에 참여하는 여성사회적기업가의 수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여성사회적기업가들은 협동조합, 마을기업, 중간지원조직 등의 다층적 영역에서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다채로운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여성사회적기업가들이 겪고 있는 제약과 어려움은 구체적으로 무엇이며, 그들은 어떠한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가고 있는지 여성들의 경험을 통해 살펴보려 한다. 나아가 여성사회적기업가의 역량강화를 위한 제도적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사회적경제 영역에서 현재 활동하고 있는 여성사회적기업가 8명을 심층 면접하고 그들의 경험을 젠더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여성사회적기업가들은 사회적 가치를 담은 창업동기를 가지고 기업을 만들었으나, 일상적이고 구조적인 차별 및 인적 관리의 어려움 등을 겪고 있었다. 여성사회적기업가들은 일상적으로 경험하고 있는 성 불평등에 대한 문제 제기와 더불어 지속적인 자기 개발을 통해 위의 문제들을 해결하려 하였으며, 일과 가정의 양립을 위한 사적 자원을 동원하고 있었다. 이 논문의 결론에서는 사회적 기업가들이 여성주의리더십을 가지고 성장하기 위해서 필요한 역량강화의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여성사회적기업가 교육이 재구성되어야 하며, 여성주의 리더십교육이 강화되어야 한다. 사회적 기업이 관 주도로 육성되면서 비록 양적으로 확산되었으나 여성사회적기업가를 위한 교육과정에서 여성주의 리더십교육은 빠져있거나 내용이 부족하다. 민관학이 함께 다양한 조직적, 내용적 체계를 마련해 나가야 할 필요가 있다. 여성사회적기업가 교육은 창업을 준비하는 여성리더 뿐 아니라 초, 중, 고, 대학 등 학교 교육과정에서 여성사회적기업가 정신교육 등과 연계되어 준비하고 실현되어야 한다. 둘째, 젠더네트워크가 구축되어야 한다. 젠더네트워크의 수준은 지지에서 참여, 공동 경영까지 다양한 형태로 구축될 수 있다. 여성기업가들의 네트워크를 통해 사회적자본의 확대를 도모할 수 있고, 이는 여성사회적기업가들의 성장과 조직의 지속가능성, 사회를 복원하는 힘으로 선 순환할 수 있다. 젠더네트워크의 구축은 여성사회적기업가들의 자발적 네트워크도 중요하지만, 중간지원조직이나 지역, 공공에서의 지원방안도 확대되어야 한다. 셋째, 여성사회적기업가들의 일과 가정 양립을 위한 지원체제가 구축되어야 한다. 여성기업가들이 이중고를 느끼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공립 어린이집 확충, 지역 돌봄 방과후, 공동 부엌 등이 확대되어야 한다. 또 독일의 마더 센터 등의 사례를 벤치마킹하여 공간공유를 통해 다양한 세대간 연계와 상호 신뢰 자본을 확장해 갈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도 필요하다. 주제어: 여성사회적기업가, 사회적경제, 여성주의리더십, 역량강화, 여성기업가정신교육, 젠더네트워크

      • 학령기 인공와우 이식 아동 감정발화의 모방 능력 연구 : 청지각 및 음향학적 평가

        송미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인공와우 이식 아동이 3가지 감정 발화를 듣고 화자의 정서적 운율을 그대로 모방하여 산출할 수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밝히기 위하여, 연령과 성별을 맞춘 또래 건청 아동과의 비교를 통해서 청지각적 평가와 음향학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인공와우 이식 아동 집단에서 관련 변인(생활연령, 수용어휘력, 인공와우 이식 연령, 인공와우 사용기간)과 감정 발화 과제의 청지각적 평가 점수(슬픔, 화남, 기쁨)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만 6세 ~ 만 12세의 학령기 인공와우 이식 아동 15명과 생활연령과 성별을 일치시킨 건청 아동 15명, 총 30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고, 자체 제작한 감정 발화 과제를 실시하였다. 인공와우 이식 아동 집단과 건청 아동 집단 간 감정 발화 과제별 청지각 평가와 음향학적 파라미터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이원혼합 분산분석(two-way mixed ANOVA)를 실시하였다. 인공와우 이식 아동 집단에서 다양한 관련 변인(생활연령, 수용어휘력, 인공와우 이식 수술나이, 인공와우 사용기간)과 청지각적 평가 점수(슬픔, 화남, 기쁨)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단순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 간 감정 발화의 청지각적 평가 점수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인공와우 이식 아동 집단의 청지각적 평가 점수가 건청 아동 집단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둘째, 집단 간 감정발화 유형에 따른 기본주파수의 평균, 범위, 변동률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감정 발화 유형 내의 차이에서 주효과가 나타났으며, 기쁨과 화남이 슬픔에 비해 기본주파수의 평균값, 범위값, 변동률값이 높게 나타났으며, 화남이 기쁨보다 유의하게 높은 변동률 값을 보였다. 셋째, 집단 간 감정 발화 유형에 따른 강도 평균의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강도의 변동률에서는 집단 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인공와우 이식 아동의 강도 값이 건청 아동에 비해 더 큰 변동률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공와우 이식 아동 집단의 관련 변인(생활연령, 수용어휘력, 인공와우 이식 수술 나이, 인공와우 사용기간)과 감정 발화 과제의 청지각적 평가 점수(슬픔, 화남, 기쁨)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서, 청지각 평가에서 인공와우 이식 아동들은 ‘슬픔, 화남, 기쁨’ 감정 발화를 모방하여 정서적 운율이 들어간 발화를 기대 수준(Chance level) 이상으로 모방할 수 있었다. 정서적 운율을 모방하는 능력이 건청 아동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아동들이 감정 발화를 듣고 모방한 것을 청지각적으로 평가하는 과제에서 5점 척도(1점=전혀 느껴지지 않는다, 3점=보통이다, 5점=매우 많이 느껴진다) 중 보통 수준 이상의 평점을 받으며, 매우 저조하지 않았음을 짐작할 수 있다. 이는 음향학적 평가에서 기본주파수와 강도의 측정치에서 집단 간 차이가 없었다는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다. 음향학적 파라미터에서 강도의 변동률을 제외하고, 기본주파수 관련 파라미터들과 강도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나지 않았다. 이를 통해 되도록 어린 나이에 인공와우 이식 수술을 하고, 조기 중재를 통해, 청각적 경험을 축적시키는 것이 아동들의 운율 발달에 성공적인 역할을 하는 것임을 짐작해 볼 수 있다. This research conducted auditory-perceptual and acoustic assessments with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 and children with normal hearing of the same age and gender, to specifically clarify whether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 could listen to 3 types of emotional utterance and imitate and produce the same emotional prosody of the narrator. Moreover,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ed factors of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 (chronological age, receptive vocabulary, age of implantation, duration of implantation) and auditory-perceptual assessment scores of emotional utterance tasks (sadness, anger, happiness).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were 15 school-aged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from six to twelve years of age and 15 children with normal hearing with matching chronological age and gender. Total of 30 children were selected as subjects and we implemented self-produced emotional utterance tasks. We implemented a two-way mixed ANOVA to see if there was a difference of auditory-perceptual assessment for each emotional utterance task and acoustic parameters, between children group with cochlear implant and children group with normal hearing. We implemented Pearson’s simple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ous related factors of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 (chronological age, receptive vocabulary, age of implantation, duration of implantation) and auditory-perceptual evaluation scores (sadness, anger, happiness). The consequent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ce found in the difference between group scores, regarding auditory-perceptual assessment for emotional utterance. The auditory-perceptual assessment scores of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 were shown to be relatively lower than children with normal hearing. Secondly, there were no significant statistics found between the groups regarding mean, range and variability of fundamental frequency of emotional utterance types. Thirdly, while the differences of mean of intensity according to emotional utterance types showed no significant finding between groups,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ce found between the groups regarding variability of intensity. In other words, the intensity values of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 were shown to display more variability compared to hearing children. Fourth,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shown between related factors of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 (chronological age, receptive vocabulary, age of implantation, duration of implantation) and auditory-perceptual assessment scores of emotional utterance task (sadness, anger, happiness).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of auditory-perceptual assessment,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 could imitate utterances with emotional prosody at a greater chance level, by imitating ‘sad, angry, happy’ emotional utteranc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bility to imitate emotional prosody compared to hearing children. However, in the test where children's imitations of emotional utterance was assessed with auditory-perceptual manner, they received higher than average scores in the 5 point scale(1 point=can not be perceived, 3 points=average, 5 points=can be well perceived), which shows that results were not too poor. This can be seen from the result that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the fundamental frequency and measured intensity of the acoustic assessment. Excluding variability of intensity from the acoustic parameter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regarding parameters and intensity of fundamental frequency. Through this finding, it can be assumed that to have a cochlear implant at an early age, and to accumulate auditory experiences by early intervention, can play a successful role in prosody development of children.

      • 그림책에 대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송미숙 동덕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그림책에 대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증진에 효과가 있는가를 검증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그림책에 대한 토의 활동은 유아의 단어 수 증가에 효과가 있는가? 2. 그림책에 대한 토의 활동은 유아의 문장 수 증가에 효과가 있는가? 3. 그림책에 대한 토의 활동은 유아의 그림 속 상황을 이해하여 이야기하는내용 일치도 증가에 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안산시에 소재한 C유치원과 H유치원에 재원중인 만4세 유아 60명이다. 두 유치원의 만 4세반 4개 학급에서 생년월일이 비슷한 유아들 중 남녀 성비를 고르게 하여 한 학급에서 각 15명씩 표집하였으며, 각 유치원에서 표집된 한 반의 유아는 실험집단에, 다른 한 반의 유아는 비교집단에 무선배치하였다. 실험집단의 유아들은 교사가 읽어주는 그림책의 이야기를 듣고 교사와 함께 토의활동을 하였다. 교사가 사용한 토의를 위한 질문은 창조, 상상, 예측과 가설, 계획, 의사결정과 판단에 관련된 질문이었다. 비교집단의 유아들은 교사가 읽어주는 그림책의 이야기를 들은 후 그림책에 관한 내용을 기억하여 교사가 묻는 질문에 답하는 활동을 하였다. 연구는 2008년 5월 13일부터 7월 17일까지 10주 동안 진행되었으며, 예비실험, 사전검사, 6주간 주 2회 총12회의 실험처치, 사후검사의 순으로 이루어졌다. 연구에 사용된 그림책은 창작동화 12권이었으며, 언어표현력의 검사도구로는 4-6세 유아의 수준에 맞게 제작된 장영애(1981)의 언어검사도구 중 언어표현력 부분만을 사용하였다. 자료 처리는 부호화 과정을 거쳐 SPSS WIN 12.0 프로그램으로 전산처리 후 t-test와 공변량 분석(Ancova)으로 처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가 읽어주는 그림책의 이야기를 듣고 교사와 함께 토의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은 교사가 읽어주는 그림책의 이야기를 들은 후 교사가 묻는 그림책에 관한 내용을 기억하여 답하는 활동을 한 비교집단의 유아들보다 언어표현력이 향상되었다. 언어표현력의 단어 수, 문장 수, 내용 일치도를 살펴보면 단어 수에 대하여는 통계적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없었으나, 문장수와 내용 일치도에 대하여는 토의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그림책 내용을 묻는 질문에 답하는 활동을 실시한 비교집단의 유아들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들에게 그림책을 읽어줄 때 그림책 내용에 대한 다시 물어보기 방식의 사후활동보다는 자신의 생각이나 경험을 바탕으로 유아 스스로 자유롭게 이야기할 수 있는 토의활동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유아의 언어표현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discussion about story books on young children's language expression improvement. The following study issues were set for the objective. 1. Does the discussion about story books have an effect on increase of children's words? 2. Does the discussion about story books have an effect on increase of children's sentences? 3. Does the discussion about story books have an effect on increase of correspondence between the storybook's and children's telling contents after understanding storybook's situation? This study focused on 60 young children, who are four years old and attend 'C' and 'H' kindergarten in Ansan city of Gyeonggi province. 15 children from 4 classes of both kindergarten were sampled respectively, who were born around the same time and whose ratio of gender were balanced. One class sampled from each kindergarten was assigned randomly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group was to a comparative group. Young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listened to storybooks their teacher read and then, had discussion activities with the teacher. The teacher used questions about creativity, imagination, prediction, hypothesis, plan, decision making and judgement. Young children in the comparative group listened to storybooks their teacher read and then, had activities to answer teacher's questions after remembering contents related to the storybooks. This study was carried out from May 13, 2008 to July 17, 2008 for 10 weeks, and it was arranged in order : preliminary experiment, pre-test, and total 12 experiments(2 times per week for 6 weeks). The storybooks used for this study were 12 creative children's books, and the used test tool for language expression ability was the language expression ability part of Jang, Yeong-ae's language test tools(1981) for young children aged 4 to 6. The data process was done by encoding, computerizing by SPSS WIN 12.0 Program, t-test and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language expression ability of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 group who listened to storybooks and then discussed with their teacher was more improved than the children in the comparative group who listened to storybooks and answered the teacher's questions after remembering the contents. Looking into the number of words, the number of sentences and matching with the contents regarding the language expression ability, both group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but in term of the number of sentences and matching with the contents,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better significantly than the children in the comparative group. This result shows that when to read storybooks to young children at pre-school education sites, providing an opportunity of discussion to let children express their own thoughts and experiences freely can improve children's language expression ability more than listen and answer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